KR101935306B1 -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306B1
KR101935306B1 KR1020170065536A KR20170065536A KR101935306B1 KR 101935306 B1 KR101935306 B1 KR 101935306B1 KR 1020170065536 A KR1020170065536 A KR 1020170065536A KR 20170065536 A KR20170065536 A KR 20170065536A KR 101935306 B1 KR101935306 B1 KR 101935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unit
image
measuring
d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459A (ko
Inventor
한영이
천원중
정현욱
이문희
조성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306B1/ko
Priority to US16/617,017 priority patent/US11041963B2/en
Priority to PCT/KR2018/004047 priority patent/WO2018216898A1/ko
Publication of KR2018012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1Applications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e.g. in vivo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01T1/023Scintillation dose-rate 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58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for detecting non x-ray radiation, e.g. gamma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Abstract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부와, 방사선조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측정하우징부와,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되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에 의해 발광하는 섬광부와, 섬광부를 촬상하는 촬상부와, 촬상부에서 취득한 촬상이미지에 기초하여, 섬광부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선량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RADIATION DOSE}
본 발명은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선 치료시 사용되는 생체 선량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치료는 인체 내부 장기 등의 암 조직에 집중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암을 치료하는 치료법의 일종이다. 방사선을 세포에 조사하면, 방사선이 세포의 DNA와 세포막에 작용하며, 세포의 분열 또는 사멸 등의 과정을 통하여 세포가 죽는 것을 이용한 치료법이다.
다만, 방사선을 인체 등의 생체 조직에 조사하는 경우, 암 조직뿐만 아니라, 암 조직 주위에 위치하는 정상 조직에도 방사선이 조사되어 정상 조직의 장애를 일으키게 되므로, 암 조직을 치료하되, 정상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사선 선량 최적화가 필요하다.
종래의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는, 생체 선량 등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 및 질량이 커서 장치의 장착 및 제어가 어렵고, 섬광부에 표시된 이미지가 왜곡되어 생체 선량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0750991호(2007.08.14등록, 발명의 명칭: 방사선량 측정용 팬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부피 및 질량을 줄여 제작 및 장착이 용이하고, 반사 거울 등의 적용 없이, 섬광부의 이미지를 촬상, 보정하여 방사선 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는: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부;상기 방사선조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측정하우징부;상기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되며,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에 의해 발광하는 섬광부;상기 섬광부를 촬상하는 촬상부; 및상기 촬상부에서 취득한 촬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섬광부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선량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하우징부는, 상기 섬광부 및 상기 촬상부가 장착되는 측정하우징; 및상기 측정하우징을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하우징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하우징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거치부; 및상기 고정거치부와 상기 측정하우징을 연결하며,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정하우징부는, 상기 측정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촬상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촬상부로 전달되는 방사선량을 줄여, 상기 촬상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촬상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촬상보호부는, 아크릴, 납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광부는, 상기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되며,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에 의해 발광되는 섬광판; 및 상기 방사선조사부와 상기 섬광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방사선이 조사되면, 상기 섬광판 측으로 전달되는 전자량을 증대시켜 상기 섬광판의 발광량을 증대시키는 섬광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된 방사선이 상기 섬광부를 통과하는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섬광부를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섬광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위치하며, 상기 선량측정부는, 상기 촬상이미지를 전달받는 촬상이미지입력부; 상기 촬상이미지를, 상기 촬상부의 위치 또는 각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이미지보정부; 및상기 이미지보정부에서 보정된 보정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섬광부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선량측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정이미지는, 기준이미지를 상기 섬광부의 장착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촬상부로 상기 기준이미지를 촬상한 비교이미지가 상기 기준이미지 대비 변형된 정도인 이미지변형률을, 상기 촬상이미지에 역으로 입력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은, 측정하우징부를 방사선조사부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고정단계;상기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된 섬광부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단계;상기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된 촬상부로 상기 섬광부를 촬상하여 촬상이미지를 얻는 촬상단계;상기 촬상부의 위치 및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이미지를 보정하여 보정이미지를 얻는 이미지보정단계; 및 상기 보정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섬광부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선량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반사 거울 등의 적용 없이 섬광부의 촬상이 가능하고 측정하우징부가 포맥스 재질 등의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장치의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바, 이동프레임 등에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하우징부를 이동프레임 등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장착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선량측정부에서 촬상이미지를 보정함으로써, 촬상이미지로부터 생체 선량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 섬광부, 촬상부 및 선량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가 이동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가 이동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가 이동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에 고정연결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거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광커버부에서 섬광커버부의 두께 변화에 따라 섬광판에 전달되는 전자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이미지를 EBT3 필름을 이용하여 측정한 이미지와 비교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 섬광부, 촬상부 및 선량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1)는 방사선조사부(100), 프레임부(200), 측정하우징부(300), 섬광부(400), 촬상부(500) 및 선량측정부(600)를 포함하여, 방사선을 피조사체(10), 예를 들어 생체 조직에 조사하고, 생체 조직을 통과한 방사선의 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방사선조사부(100)는 방사선을 섬광부(400) 측으로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사선조사부(100)는 프레임부(200)에 장착되며, 엑스선, 감마선, 고에너지 전자, 고에너지 양성자 또는 그 밖의 고에너지 미립자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조사부(100)는 엑스선 발생 장치, 방사선 동위원소 소스 또는 선형 가속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1)의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자 가속기 등에서 가속시켜 생성한 고에너지 미립자 빔을 전달받아 방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방사선조사부(100)는 방사선을 방출할 수 있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임부(200)는 방사선조사부(100)를 지지하며, 방사선조사부(10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200)는 고정프레임(210) 및 이동프레임(230)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210)은 바닥면, 천장 또는 벽체 등에 고정되어, 이동프레임(230), 방사선조사부(100) 등을 지지한다.
이동프레임(230)은 대략 중앙부가 고정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단부에는 방사선조사부(100) 및 측정하우징부(300)가 상호 대향되도록 장착되어, 방사선조사부(100)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이 측정하우징부(300)에 장착된 섬광부(4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동프레임(230)은 양단부의 사이에 테이블(30) 또는 피조사체(10)가 위치하도록 하고, 양단부가 테이블(30) 또는 피조사체(1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사선조사부(100)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이동프레임(230)의 회전 정도에 무관하게, 테이블(30) 또는 테이블(30) 상에 위치한 피조사체(10)를 통과하고, 측정하우징부(300)에 장착된 섬광부(400)에 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가 이동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가 이동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가 이동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측정하우징부(300)는 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23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하우징부(300)는 측정하우징(310) 및 하우징고정부(330)를 포함한다.
측정하우징(310)은 방사선조사부(100)에 대향되게 위치하며, 섬광부(400) 및 촬상부(50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하우징(310)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측정하우징(310)은 PVC를 발포 성형한, 비중이 대략 0.65 ~ 0.85인 포맥스(foamex)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하우징(310)은 합성수지 재질, 특히 포맥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금속 재질을 적용한 경우에 비하여 중량이 절감되고, 측정하우징(310)에 조사된 방사선이 측정하우징(310)에 의하여 산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측정하우징(310)은 섬광부(400), 촬상부(500)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금속 재질을 적용한 경우 대비 중량을 대폭 줄여, 이동프레임(230)에 장착되어도, 중량 등에 의하여 이동프레임(230)이 변형, 파손되거나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측정하우징(310)은 섬광부(400)의 이미지를 촬상부(500)에서 촬상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빛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측정하우징(310)의 외부면을 흑색종이 등으로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하우징부에 고정연결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거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하우징고정부(330)는 측정하우징(310)을 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2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고정부(330)는 고정거치부(331) 및 고정연결부(335)를 포함한다.
고정거치부(331)는 프레임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거치부(331)는 복수 개, 예를 들어 3 쌍이 구비되어, 프레임부(200), 구체적으로 이동프레임(230)에 끼움 결합,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거치부(331)는 고정거치바디(332) 및 고정거치걸림부(333)를 포함한다. 고정거치바디(332)는 고정연결부(335)에 볼팅, 끼움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이동프레임(230)의 측면 등에 접한다.
고정거치걸림부(333)는 고정거치바디(332)와 연결되며, 이동프레임(230)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미도시) 등에 삽입되어 고정거치걸림부(333)가 이동프레임(230)에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거치부(331)의 형상은, 장착하고자 하는 이동프레임(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프레임(2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 이외에도, 양단부가 신축성 있는 고정연결부(335)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230)에 밀착될 수 도 있다.
고정연결부(335)는 고정거치부(331)와 측정하우징(310)을 연결하며,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연결부(335)는 신축 가능한 재질의 벨트 또는 포맥스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동프레임(230)에 결합된 고정거치부(331)에 연결되어, 측정하우징(310)을 이동프레임(230)에 밀착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하우징부(300)는 촬상보호부(350)를 더 포함한다(도 2 참조). 촬상보호부(350)는 측정하우징(310)에 장착되며 촬상부(50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촬상부(500)로 전달되는 방사선량을 줄임으로써, 촬상부(500)의 파손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보호부(350)는 아크릴, 납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가시광선은 촬상보호부(350)를 투과하여 촬상부(500)로 전달되되, 방사선은 촬상보호부(350)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섬광부(400) 등에서 반사되는 방사선에 의하여 촬상부(500)의 센서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광커버부에서 섬광커버부의 두께 변화에 따라 섬광판에 전달되는 전자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및 8을 참조하면, 섬광부(400)는 측정하우징부(300)에 장착되며, 방사선조사부(1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에 의하여 여기되어 발광한다. 본 실시예에서 섬광부(400)는 대략 직사 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정하우징부(300)의 상측면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섬광부(400)는 섬광판(410) 및 섬광커버부(430)를 포함한다.
섬광판(410)은 측정하우징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방사선조사부(1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에 의해 발광된다. 섬광커버부(430)는 방사선조사부(100)와 섬광판(410) 사이에 위치하며, 방사선조사부(100)로부터 방사선과 반응하여, 섬광판(410) 측으로 전달되는 전자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섬광판(410)이 발광되는 정도를 증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섬광커버부(430)는 구리, 황동, 스틸 등 원자번호가 상대적으로 높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섬광판(410)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섬광커버부(430)의 두께에 띠라, 섬광판(410)에 전달되는 전자량이 변화됨을 알 수 있으며, 섬광커버부(430)를 장착하지 않는 경우 대비 전자량이 증가하는 두께로 섬광커버부(430)를 형성하여, 섬광판(410)에 전달되는 전자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섬광커버부(430)는 구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1.00 ~ 2.25 mm 의 두께로 형성되어, 섬광판(410)에 전달되는 전자량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섬광부(400) 전체 무게의 증가폭을 제한한다.
촬상부(500)는 섬광부(400)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부(500)는 방사선조사부(100)가 섬광부(400)를 통과하는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며, 섬광부(400)를 촬상한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부(500)는 방사선조사부(100)에서 조사된 방사선이 섬광부(400)를 통과하는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여 섬광부(400)를 촬상하여, 섬광부(400)를 통과한 방사선이 촬상부(5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촬상부(500)의 파손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부(500)는 섬광부(400)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위치하여, 섬광부(400)를 촬상한다. 이러한 촬상부(500)는 광각렌즈를 포함하여, 섬광부(400)에 근접하여 섬광부(400)를 촬상함으로써, 암실을 형성하는 측정하우징(310)의 크기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촬상부(500)에서 촬상한 촬상이미지(40)는 선량측정부(600)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부(500)는 이동프레임(230)에 고정된 측정하우징(310)에 장착되므로, 선량측정부(6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동프레임(230)의 회전 시 전선이 꼬이거나, 타 장치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부(500)는 미러리스 카메라, 액션캠 등의 소형 카메라로 예시되며, 측정하우징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량측정부(600)에는 무선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선량측정부(600)는 촬상부(500)에서 취득한 촬상이미지(40)에 기초하여, 섬광부(400)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량측정부(600)는 촬상이미지입력부(610), 이미지보정부(630) 및 선량측정부재(650)를 포함한다.
촬상이미지입력부(610)는 촬상부(500)로부터 촬상이미지(40)를 전달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이미지입력부(610)는 촬상부(5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촬상부(500)로부터 실시간으로 촬상이미지(40)를 전달 받는다.
이미지보정부(630)는 촬상이미지(40)를, 촬상부(500)의 위치 및 각도에 기초하여 보정하여 보정이미지(60)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정이미지(60)는 기준이미지(50)를 섬광부(400)의 장착위치에 위치시킨 후, 촬상부(500)로 기준이미지(50)를 촬상한 비교이미지(45)가 기준이미지(50) 대비 변형된 정도인 이미지변형률을, 촬상이미지(40)에 역으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선량측정부재(650)는 이미지보정부(630)에서 보정된 보정이미지(60)를 분석하여, 섬광부(400)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보정부(630)는 보정이미지(60)의 좌표별로 밝기 등을 측정하는 방식 등으로 섬광부(400)에 도달한 방사선의 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S1)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S1)은 고정단계(S100), 방사선조사단계(S200), 촬상단계(S300), 이미지보정단계(S400) 및 선량측정단계(S500)를 포함한다.
고정단계(S100)에서는 측정하우징부(300)를 방사선조사부(10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프레임부(200)에 고정한다. 측정하우징부(300)는 고정거치부(331)와 고정연결부(335)를 구비하여 이동프레임(2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방사선조사단계(S200)에서는 측정하우징부(300)에 장착된 섬광부(400)에 방사선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사선조사단계(S200)에서는 측정하우징부(300)에 대향되게 위치하며 이동프레임(230)에 장착된 방사선조사부(100)에서 방사선을 조사하게 된다.
촬상단계(S300)에서는 측정하우징부(300)에 장착된 촬상부(500)로 섬광부(400)를 촬상하여 촬상이미지(40)를 얻는다.
이미지보정단계(S400)에서는 촬상부(500)의 위치 및 각도에 기초하여, 촬상이미지(40)를 보정하여, 보정이미지(60)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보정단계(S500)에서는 기준이미지(50)를 섬광부(400)의 장착위치에 위치시킨 후, 촬상부(500)로 기준이미지(50)를 촬상한 비교이미지(45)가 기준이미지(50) 대비 변형된 정도인 이미지변형률을 촬상이미지(40)에 역으로 입력하여, 보정이미지(60)를 생성한다.
선량측정단계(S600)에서는 보정이미지(60)에 기초하여 섬광부(400)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이미지를 EBT3 필름을 이용하여 측정한 이미지와 비교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1)를 이용한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S1)에 따라 측정한 결과가, 실제EBT3 필름 측정 결과와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EBT 3 필름 측정 결과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1)를 이용한 방사선 선량 측정 결과의 감마 분석 결과, 3 % / 3 mm 조건에서는 94.24 %의 일치율, 4 %/4 mm 조건에서는 98.73%의 일치율, 5 %/ 5 mm조건에서는 100.00 %의 높은 일치율을 나타내는바, 본 실시예에서의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1)는 상당한 정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1) 및 측정방법(S1)은 반사 거울 등의 적용 없이 섬광부(400)의 촬상이 가능하며, 측정하우징부(300)가 포맥스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장치의 부피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1) 및 측정방법(S1)은 선량측정부(600)에서 촬상이미지(40)의 왜곡을 보정함으로써, 촬상이미지(40)로부터 생체 선량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10: 피조사체
30: 테이블 40: 촬상이미지
45: 비교이미지 50: 기준이미지
60: 보정이미지 100: 방사선조사부
200: 프레임부 210: 고정프레임
230: 이동프레임 300: 측정하우징부
310: 측정하우징 330: 하우징고정부
331: 고정거치부 332: 고정거치바디
333: 고정거치걸림부 335: 고정연결부
350: 촬상보호부 400: 섬광부
410: 섬광판 430: 섬광커버부
500: 촬상부 600: 선량측정부
610: 촬상이미지입력부 630: 이미지보정부
650: 선량측정부재 S1: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
S100: 고정단계 S200: 방사선조사단계
S300: 촬상단계 S400: 이미지보정단계
S500: 선량측정단계

Claims (12)

  1.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부;
    상기 방사선조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는 측정하우징부;
    상기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되며,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에 의해 발광하는 섬광부;
    상기 섬광부를 촬상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취득한 촬상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섬광부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선량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부는,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된 방사선이 상기 섬광부를 통과하는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섬광부를 촬상하고, 상기 섬광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량측정부는,
    상기 촬상이미지를 전달받는 촬상이미지입력부;
    상기 촬상이미지를 상기 촬상부의 위치 또는 각도에 기초하여 보정하는 이미지보정부; 및
    상기 이미지보정부에서 보정된 보정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섬광부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선량측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우징부는,
    상기 섬광부 및 상기 촬상부가 장착되는 측정하우징; 및
    상기 측정하우징을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하우징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우징은,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고정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거치부; 및
    상기 고정거치부와 상기 측정하우징을 연결하며,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우징부는,
    상기 측정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촬상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촬상부로 전달되는 방사선량을 줄여, 상기 촬상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촬상보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보호부는,
    아크릴, 납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광부는,
    상기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되며,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에 의해 발광되는 섬광판; 및
    상기 방사선조사부와 상기 섬광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방사선이 조사되면, 상기 섬광판 측으로 전달되는 전자량을 증대시켜 상기 섬광판의 발광량을 증대시키는 섬광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이미지는,
    기준이미지를 상기 섬광부의 장착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촬상부로 상기 기준이미지를 촬상한 비교이미지가 상기 기준이미지 대비 변형된 정도인 이미지변형률을, 상기 촬상이미지에 역으로 입력하여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11. 측정하우징부를 방사선조사부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된 섬광부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조사단계;
    상기 측정하우징부에 장착된 촬상부로 상기 섬광부를 촬상하여 촬상이미지를 얻는 촬상단계;
    상기촬상부의 위치 및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이미지를 보정하여 보정이미지를 얻는 이미지보정단계; 및
    상기 보정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섬광부에 조사된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선량측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촬상부는, 상기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된 방사선이 상기 섬광부를 통과하는 경로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섬광부를 촬상하고, 상기 섬광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보정단계는,
    기준이미지를 상기 섬광부의 장착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촬상부로 상기 기준이미지를 촬상한 비교이미지가 상기 기준이미지 대비 변형된 정도인 이미지변형률을, 상기 촬상이미지에 역으로 입력하여 상기 보정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측정방법.
KR1020170065536A 2017-05-26 2017-05-26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935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536A KR101935306B1 (ko) 2017-05-26 2017-05-26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16/617,017 US11041963B2 (en) 2017-05-26 2018-04-06 Radiation dose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PCT/KR2018/004047 WO2018216898A1 (ko) 2017-05-26 2018-04-06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536A KR101935306B1 (ko) 2017-05-26 2017-05-26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459A KR20180129459A (ko) 2018-12-05
KR101935306B1 true KR101935306B1 (ko) 2019-01-04

Family

ID=64395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536A KR101935306B1 (ko) 2017-05-26 2017-05-26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41963B2 (ko)
KR (1) KR101935306B1 (ko)
WO (1) WO2018216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386B1 (ko) * 2019-12-23 2022-06-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방사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모니터링 방법
KR20230168828A (ko) * 2022-06-08 2023-12-1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실시간 방사선 선량 분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052A (ja) * 2005-08-16 2007-03-01 Canon Inc 放射線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03676B1 (ko) * 2011-06-10 2012-11-21 국립암센터 섬광판을 이용한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JP5837937B2 (ja) * 2011-10-25 2015-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809B1 (ko) 2005-07-04 2008-02-20 김영창 유방암 검사장치
KR100750991B1 (ko) 2005-09-06 2007-08-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량 측정용 팬텀장치
KR101641077B1 (ko) 2014-04-07 2016-07-2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두경부 방사선 수술장비의 3차원 선량분포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052A (ja) * 2005-08-16 2007-03-01 Canon Inc 放射線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203676B1 (ko) * 2011-06-10 2012-11-21 국립암센터 섬광판을 이용한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JP5837937B2 (ja) * 2011-10-25 2015-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459A (ko) 2018-12-05
US20200088890A1 (en) 2020-03-19
WO2018216898A1 (ko) 2018-11-29
US11041963B2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2735A1 (en) Imaging-based self-adjusting radiation therapy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1691031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adiation beam asymmetry measurements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s
US1094033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adiation beam alignment and radiation beam measurements using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s
RU2014132705A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измерений гарантии механического и дозиметрического качаства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в лучевой терапии
US1105889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a radiation output rate and monitoring beam energy
NL2007151C2 (en) A gamma source tracking system.
US11861845B2 (en) Image-based radiation therapy quality assurance
KR101935306B1 (ko) 방사선 선량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211617B1 (ko) 엑스선 차폐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엑스선 장치
KR20140061177A (ko) 적응형 센서유닛, 그를 이용한 x-선 촬영 장치 및 방법
EP3827287B1 (en) Scintillating detectors for quality assurance of a therapy photon beam
KR102324365B1 (ko) 플라스틱 형광판을 이용한 실시간 선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7731A (ko) 수평 및 회전 구동이 가능한 방사선 선량 측정 장치
KR102502082B1 (ko) 동물진단용 엑스레이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48075B1 (ko) 하전입자의 방사선량 측정 장치 및 영상장치
US11600004B2 (en) Image-based radiation therapy quality assurance
KR20160025199A (ko) X선 장치의 산란선 분포 측정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CN114096889A (zh) 放射线射束检测装置
KR20150039506A (ko) 엑스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2001137370A (ja) 放射線量測定方法および放射線量測定装置
JP2001137371A (ja) フィルム載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