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283B1 -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총수위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총수위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4283B1 KR101934283B1 KR1020180061414A KR20180061414A KR101934283B1 KR 101934283 B1 KR101934283 B1 KR 101934283B1 KR 1020180061414 A KR1020180061414 A KR 1020180061414A KR 20180061414 A KR20180061414 A KR 20180061414A KR 101934283 B1 KR101934283 B1 KR 1019342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category
- water level
- coast
- sho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455273 Tetr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77 foreca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01C13/004—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vertical mov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01C13/006—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horizontal mov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외력 조건을 고려하여 총수위를 산출하기 위한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안의 특성에 따른 카테고리 별 예시 지역 및 총수위 산출값을 나타낸 예시도.
120 : 프로세서 210 : 조석 예측 모델
220 : 해일 예측 모델 230 : 파랑 예측 모델
235 : 파수위상승고/처오름높이 예측 모델
Claims (20)
-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해안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수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서버의 통신부가, 총수위를 예측하고자 하는 해안에 대하여, 조석 예측 모델에 의해 산출되는 조석에 의한 수위 변화에 대한 데이터인 제1 데이터, 해일 예측 모델에 의해 산출되는 기상 현상에 의한 수위 변화에 대한 데이터인 제2 데이터, 파랑 예측 모델 및 파수위상승고·처오름높이 예측 모델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산출되는 파랑에 의한 수위 변화인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상기 예측 모델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의 프로세서가, 상기 해안의 특성에 따라 상기 통신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의 상기 해안의 상기 총수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해안은 상기 해안의 특성에 따라 자연해안을 의미하는 제1 카테고리 및 인공해안을 의미하는 제2 카테고리 중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제3 데이터는, 쇄파에 의해 일어나는 수위 변화의 평균 높이인 제3-1 데이터, 파랑이 해변 또는 구조물의 사면 위로 밀려 올라간 높이인 제3-2 데이터, 및 파의 골에서 마루까지의 높이인 제3-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산출되며,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인공해안 중 경사해안을 의미하는 제2-1 카테고리 및 인공해안 중 직립해안을 의미하는 제2-2 카테고리로 구분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1 데이터 및 상기 제3-2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총수위를 산출하고,
상기 해안이 상기 제2-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제3-3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총수위를 산출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수위의 값 L을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의 값 A, 상기 제2 데이터의 값 M, 상기 제3 데이터의 값 W를 참조로 하여 수식 을 이용하여 상기 L을 산출하고,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W는 수식 을 통해 산출되고, 상기 H0는 유의파, 상기 L0는 파주기, 상기 βf는 해안 경사도며,
상기 해안이 상기 제2-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W는 파의 골에서 마루까지의 높이를 참조로 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해안 경사도를 참조로 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인공해안 중 경사해안을 의미하는 제2-1 카테고리 및 인공해안 중 직립해안을 의미하는 제2-2 카테고리로 구분되되,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해안에 대응되는 상기 해안 경사도는 수치 표고 데이터 및 수심 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해안인 상기 제2-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해안 경사도는 상기 해안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의 경사도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결정되며,
상기 해안이 상기 제2-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해안 경사도는 0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는 해안 경사도를 참조로 하여 산출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해안 경사도를 산출함에 있어서, (i) 수치 표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해안의 특정 지점의 표고값을 산정하고, 상기 특정 지점에서 법선 방향으로 기설정된 수심값까지의 거리를 산정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표고값, 상기 수심값 및 상기 수심값까지의 거리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지점의 상기 해안 경사도를 산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인공해안 중 경사해안을 의미하는 제2-1 카테고리 및 인공해안 중 직립해안을 의미하는 제2-2 카테고리로 구분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3 데이터의 값 W을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3-1 데이터의 값 W1 및 상기 제3-2 데이터의 값 W2를 참조로 하여 수식 를 이용하여 상기 W를 산출하고,
상기 해안이 상기 제2-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3-3 데이터의 값 W3를 참조로 하여 상기 W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수위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해안이 해당되는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의 적용을 달리하되,
과거에 예측했던 상기 총수위를 상기 해안의 실제 총수위 관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율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해안을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구역마다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의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에 대한 총수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수위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해안이 해당되는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의 적용을 달리하되,
과거에 예측했던 상기 총수위를 상기 해안의 실제 총수위 관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율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해안을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제k 알고리즘 - 각각의 상기 제k 알고리즘은 상기 해안을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함 - 을 이용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을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상기 관측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점의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에 대한 총수위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스를 각각의 상기 제k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하되, 각각의 상기 프로세스에서 산출된 각각의 상기 총수위를 상기 관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율이 가장 적거나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것으로 분석되는 특정 제k 알고리즘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 제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의 상기 해안의 상기 총수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해안의 특성을 고려하여 총수위를 예측하는 서버에 있어서,
총수위를 예측하고자 하는 해안에 대하여, 조석 예측 모델에 의해 산출되는 조석에 의한 수위 변화에 대한 데이터인 제1 데이터, 해일 예측 모델에 의해 산출되는 기상 현상에 의한 수위 변화에 대한 데이터인 제2 데이터, 파랑 예측 모델 및 파수위상승고·처오름높이 예측 모델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산출되는 파랑에 의한 수위 변화인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상기 예측 모델로부터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해안의 특성에 따라 상기 통신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의 상기 해안의 상기 총수위를 산출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해안은 상기 해안의 특성에 따라 자연해안을 의미하는 제1 카테고리 및 인공해안을 의미하는 제2 카테고리 중 하나로 구분되고,
상기 제3 데이터는, 쇄파에 의해 일어나는 수위 변화의 평균 높이인 제3-1 데이터, 파랑이 해변 또는 구조물의 사면 위로 밀려 올라간 높이인 제3-2 데이터, 및 파의 골에서 마루까지의 높이인 제3-3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로 하여 산출되며,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인공해안 중 경사해안을 의미하는 제2-1 카테고리 및 인공해안 중 직립해안을 의미하는 제2-2 카테고리로 구분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상기 제3-1 데이터 및 상기 제3-2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총수위를 산출하고,
상기 해안이 상기 제2-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제3-3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총수위를 산출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수위의 값 L을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의 값 A, 상기 제2 데이터의 값 M, 상기 제3 데이터의 값 W를 참조로 하여 수식 을 이용하여 상기 L을 산출하고,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W는 수식 을 통해 산출되고, 상기 H0는 유의파, 상기 L0는 파주기, 상기 βf는 해안 경사도며,
상기 해안이 상기 제2-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W는 파의 골에서 마루까지의 높이를 참조로 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해안 경사도를 참조로 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인공해안 중 경사해안을 의미하는 제2-1 카테고리 및 인공해안 중 직립해안을 의미하는 제2-2 카테고리로 구분되되,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해안에 대응되는 상기 해안 경사도는 수치 표고 데이터 및 수심 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함으로써 결정되고,
상기 해안인 상기 제2-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해안 경사도는 상기 해안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의 경사도의 평균을 산출함으로써 결정되며,
상기 해안이 상기 제2-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해안 경사도는 0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는 해안 경사도를 참조로 하여 산출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해안 경사도를 산출함에 있어서, (i) 수치 표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해안의 특정 지점의 표고값을 산정하고, 상기 특정 지점에서 법선 방향으로 기설정된 수심값까지의 거리를 산정하는 프로세스, 및 (ii) 상기 표고값, 상기 수심값 및 상기 수심값까지의 거리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지점의 상기 해안 경사도를 산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삭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테고리는 인공해안 중 경사해안을 의미하는 제2-1 카테고리 및 인공해안 중 직립해안을 의미하는 제2-2 카테고리로 구분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안이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1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3 데이터의 값 W을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제3-1 데이터의 값 W1 및 상기 제3-2 데이터의 값 W2를 참조로 하여 수식 를 이용하여 상기 W를 산출하고,
상기 해안이 상기 제2-2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3-3 데이터의 값 W3를 참조로 하여 상기 W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삭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수위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해안이 해당되는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의 적용을 달리하되,
과거에 예측했던 상기 총수위를 상기 해안의 실제 총수위 관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율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해안을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구역마다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의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에 대한 총수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총수위를 산출함에 있어서, 상기 해안이 해당되는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제1 데이터, 상기 제2 데이터 및 상기 제3 데이터의 적용을 달리하되,
과거에 예측했던 상기 총수위를 상기 해안의 실제 총수위 관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율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해안을 소정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제k 알고리즘 - 각각의 상기 제k 알고리즘은 상기 해안을 각각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함 - 을 이용하여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을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카테고리 또는 상기 제2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상기 관측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점의 상기 분할된 구역 각각에 대한 총수위를 산출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스를 각각의 상기 제k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하되, 각각의 상기 프로세스에서 산출된 각각의 상기 총수위를 상기 관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차율이 가장 적거나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것으로 분석되는 특정 제k 알고리즘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 제k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의 상기 해안의 상기 총수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1414A KR101934283B1 (ko) | 2018-05-29 | 2018-05-29 |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총수위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1414A KR101934283B1 (ko) | 2018-05-29 | 2018-05-29 |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총수위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4283B1 true KR101934283B1 (ko) | 2019-01-02 |
Family
ID=6502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1414A Active KR101934283B1 (ko) | 2018-05-29 | 2018-05-29 |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총수위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428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07122A (zh) * | 2020-03-19 | 2020-06-19 | 广东景泽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 一种潮水变化的预测方法及装置 |
CN111504417A (zh) * | 2020-04-24 | 2020-08-07 | 福建省泰昌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配电站房水位预警系统及方法 |
KR20230119483A (ko) * | 2022-02-07 | 2023-08-16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월파 예측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측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288B1 (ko) * | 2014-08-04 | 2016-03-10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영상 처리를 통한 처오름 측정 방법 및 장치 |
-
2018
- 2018-05-29 KR KR1020180061414A patent/KR10193428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288B1 (ko) * | 2014-08-04 | 2016-03-10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영상 처리를 통한 처오름 측정 방법 및 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보고서 1 |
한반도 주변 해역의 폭풍 해일 특성 (2009.05.29.)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07122A (zh) * | 2020-03-19 | 2020-06-19 | 广东景泽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 一种潮水变化的预测方法及装置 |
CN111307122B (zh) * | 2020-03-19 | 2021-12-14 | 广东景泽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 一种潮水变化的预测方法及装置 |
CN111504417A (zh) * | 2020-04-24 | 2020-08-07 | 福建省泰昌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配电站房水位预警系统及方法 |
KR20230119483A (ko) * | 2022-02-07 | 2023-08-16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월파 예측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측 방법 |
KR102626957B1 (ko) | 2022-02-07 | 2024-01-17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월파 예측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측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hang et al. | Do storms cause long-term beach erosion along the US East Barrier Coast? | |
Rangel‐Buitrago et al. | Coastal storm characterization and morphological impacts on sandy coasts | |
CN111666314B (zh) | 基于多因子的风暴潮易损性评估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 |
KR101934283B1 (ko) |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해안의 특성을 고려한 총수위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 |
Łabuz et al. | Coastal erosion caused by the heavy storm surge of November 2004 in the southern Baltic Sea | |
Hu et al. | Prediction of the future flood severity in plain river network region based on numerical model: A case study | |
Castrucci et al. | Modeling the impacts of sea level rise on storm surge inundation in flood-prone urban areas of Hampton roads, Virginia | |
Liu et al. | Nume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yphoon-induced storm surge distribution in Zhanjiang Harbor | |
CN117195603B (zh) | 基于高分辨率遥感要素的洪涝灾害推演方法、设备及介质 | |
KR20200014147A (ko) | 대형 복합재난 영향 확산을 고려한 수치모형 및 시나리오 기반 피해 예측방법 | |
Nguyen et al. |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easonal variations of depth-of-closure on shoreline evolution | |
MENDOZA et al. | Factors controlling vulnerability to storm impacts along the Catalonian coast | |
Soomere et al. | Linking wave loads with the intensity of erosion along the coasts of Latvia | |
Crapoulet et al. | Using LiDAR topographic data for identifying coastal areas of northern France vulnerable to sea-level rise | |
Kawai et al. | Hindcasting of storm surges in Korea by Typhoon 0314 (Maemi) | |
Hubbert et al. | Modelling storm surges and coastal ocean flooding | |
Yuk et al. | Modelling of storm-induced seawater flooding in the Suyeong River area, South Korea: A case study due to the storm surge and waves during Typhoon Sanba | |
Thanathanphon et al. | Storm surge forecasting and inundation estimation during tropical Strom Pabuk 2019 in the Southern Coast of Thailand | |
Jin et al. | Quantitative analysis of coastal dune erosion based on geomorphology features and model simulation | |
Shaban | Flood Scenario of Tigris River in Baghdad City | |
Yoon et al. | Development of a near real-time forecasting system for storm surge and coastal inundation | |
Lemke et al. | Development of a storm erosion climatology for the New Jersey Coast, US | |
Castrucci et al. | Hydrodynamic modeling of storm surge flooding in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southeast virginia | |
Kawai et al. | Estimation of extreme storm water level in Japanese bays by using stochastic typhoon model and tide observation data | |
De Santiago et al. | Risk mapping assessment by means of probabilistic storm scenarios in a partially engineered beach: Anglet, Fr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