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212B1 - Nude ondol floor pannel - Google Patents

Nude ondol floor pa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212B1
KR101934212B1 KR1020170121721A KR20170121721A KR101934212B1 KR 101934212 B1 KR101934212 B1 KR 101934212B1 KR 1020170121721 A KR1020170121721 A KR 1020170121721A KR 20170121721 A KR20170121721 A KR 20170121721A KR 101934212 B1 KR101934212 B1 KR 10193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ondol
water pipe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식
Original Assignee
박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식 filed Critical 박경식
Priority to KR102017012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212B1/en
Priority to PCT/KR2018/011237 priority patent/WO201905970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2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de ondol installation panel to facilitate inspection and replacement with respect to leakage and breakage of a hot water pipe.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de ondol installation panel comprises: an ondol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n insulating panel horizontally laid on a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a hot water pip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cut by a required length to be formed as a unit, and integrated by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each unit;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med in a pair to face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t water pipe, and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a reception unit forming a plurality of bent parts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member; and a transparent upper panel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The upper panel enables a user to check water leakage due to breakage of the hot water pipe.

Description

누드 온돌 시공패널{NUDE ONDOL FLOOR PANNEL}NUDE ONDOL FLOOR PANNEL}

본 발명은 누드 온돌 시공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결합되는 온수 파이프를 온돌패널에 배치하고, 온돌패널의 상부에 투명한 상부판을 결합하여 온수 파이프의 파손 및 누수에 대하여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한 누드 온돌 시공패널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door ondol construction panel, in which a hot water pipe to be separated and coupled is disposed on an ondol panel, and a transparent top plate is jo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to check and replace the hot water pi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주거문화로 선조들이 옛날부터 전통적으로 사용하면서 전수되어오고 있는 가옥의 난방 방법으로는 구들장을 이용한 온돌난방 방식이 주로 선호되고 있는바 이는 온돌난방의 장점인 방안의 공기가 자연스러운 대류현상을 나타내고 복사열을 이용하는 방식이므로 사용 중에 포근함과 쾌적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Generally, as a method of heating the hous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by the ancestors for the residential culture of Korea, the Ondol heating method using the canopy is mainly preferred because the air of the room, which is the advantage of Ondol heating, This is because it shows the phenomenon and uses the radiant heat, so you can feel warmness and comfort during use.

이러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구들장을 이용한 온돌난방 방식은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그 열이 구들장을 가열하고 축열 시킨 후 그 축열된 구들장의 열에 의해 방바닥이 일정시간 동안 적정온도로 유지되는 축열식 난방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This kind of Ondol heating system using traditional Korean stovepipe is a regenerative heating system in which the heat is heated and stored in the furnace when the furnace is lit, and the floor i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a certain time by the heat of the stored furnace .

이러한 온돌 구조의 난방방식은 그 우수한 이점이 속속 밝혀지고 있어, 도시화와 더불어 사라졌던 것이 근년에 들어서면서 건강에 유익한 온돌 황토방 등의 인기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The heating system of the Ondol structure has been found out the advantages of the Ondol heating system. Recently, it has been disappearing with the urbanization, and the popularity of Ondol Ondol, which is beneficial for health, is steadily increasing.

한편, 공업화 등에 따라 삶의 수준이 향상되면서 시골의 주택에서도 일반적으로 기름 보일러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인 일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화목을 하는 일이 거의 없어 국토의 야산에는 잡목들이 너무 우거져 길이 아니면 접근하기조차 쉽지 않아 화재가 발생하여도 진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을 정도여서 잡목을 화목으로 이용하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산림청 등에서도 육림의 경제성 등의 목적으로 간벌한 나무가 많이 생겨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재는 나무가 가장 싼 연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level of living has been improved due to industrialization, it has become common practice to use oil boilers in rural houses, and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reconciliation, It is easy to use firewood as a firewood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volve even if a fire occurs because it is not easy. Also, the forestry office can purchase and use a lot of thin trees for the purpose of economical efficiency , The advantage is that trees can be used as the cheapest fuel now.

종래의 온돌 구조의 난방시스템은 자세하게는 재래식 아궁이, 벽난로 또는 화덕과 같은 발열 장소와, 상기 발열장소에서 화목 등을 연소시켜 발생한 열기 및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로 방바닥을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구들장에 의해 형성된 고래와 상기 고래로부터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굴뚝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래를 형성하고 열을 축열하여 방바닥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구들장이라고 하는 얇고 평평한 돌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구들장을 사용하여 방바닥을 난방하므로 열에 의해 가열된 구들장이 열을 장시간 유지하므로 난방지속 시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The heating system of the conventional ondol structure is made up of a heating room such as a conventional fireplace, a fireplace or an oven, and a hearth which serves to heat the room floor by the passage of heat and smoke generated by burning firewood in the heating room A whale and a chimney for discharging the smoke from the whale to the outside. In order to form the whale and store the heat to warm the floor, a thin and flat stone called a gully is necessarily required. Using such a gully, So that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eating duration is long.

그러나, 구들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돌을 구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들장은 온도변화를 심하게 받으면서 외부의 충격도 자주 받으므로 내구성이 약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들장이 깨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이들 틈으로 열기나 연기가 새어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However, not only is it difficult to find a stone that can be used as a canopy, but also because the canopy is subject to a severe temperature change and receives frequent external impacts, the canopy breaks down over time as the durability is weak. There is also a problem of leakage of smoke.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형된 온돌구조가 제안되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099540호는 "조립식 온돌블럭"이라는 명칭으로 기존의 돌로 된 구들장과 구들장을 받치는 동시에 불이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고래의 두둑을 쌓는데 쓰이는 벽돌 등을 조립식 블럭으로 단일화하여 제공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재질이 돌이나 시멘트가 아닌, 건강에 좋은 황토 등의 흙으로 된 블럭(Block)으로, 통상의 벽돌처럼 압축 성형한 후, 다시 고온으로 소성(燒成)하여 건조한 것으로서 견고성과 축열, 보온성이 뛰어난 온돌 블럭을 개시하고 있다.Therefore, a modified Ondol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5-0099540, entitled "Prefabricated Ondol block ", supports the existing stone- The bricks used to build the bridges of the whales, which serve as passageways, are unified into a single building block so that they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by anyone. The material is not made of stone or cement, Which is compression molded like a normal brick and dried again by heating at a high temperature to provide an ondol block excellent in rigidity, heat storage, and warmth.

또한, 특허출원 제2006-0115196호의 "구들장 마감재"는 "사각프레임의 측면에는 연결부와 연결홈부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끼움홈부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끼움홈부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상측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반원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삽입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의 상부가 개방된 "U"자형 배관홈이 형성하되 배관홈과 연장선에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에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프레임의 중심내측면에는 연결프레임의 돌기가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공과 걸림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배관 연결부와 상기 배관홈에 냉온파이프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열파이프가 구비된 구들장마감재"를 개시하고 있다.The "roof top finish material" of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6-0115196 is "a panel having a connec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groov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a square frame and having a fitting groov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U-shaped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upper part of the fram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and coupled with the connection frame,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the pipe groove and an extension is formed in the pipe groove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tep, and an insertion hole and a locking projection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enter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ned frame, And a cold pipe is inserted into the pipe connecting portion and the pipe groove. It discloses a gudeuljang finish provided with a heat pipe. "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온돌 구조의 난방시스템에 사용되는 구들장의 개량 고안들은 상기 종래의 구들장에 관련된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하는 이점은 있으나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제조원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실용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최근 대부분의 주거용 난방에 사용되는 보일러를 채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mprovement design of the canopy used in the conventional heating system of the ondol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nventional canopy easily, but the manufacturing thereof is not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expensive, which is not practical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employ a boiler used for most residential heating in recent years.

또한, 보일러를 채용한 온돌난방의 보편적인 시공은 방바닥을 방수, 단열조치를 하고 엑셀 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시멘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상기 엑셀 파이프를 보일러 온수배관에 연결하여 시공을 완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niversal construction of Ondol heating system adopting boiler is waterproofing and insulation measures of the floor, installing the excel pipe at regular intervals, curing the concrete by curing it, connecting the excel pipe to the boiler hot water pipe .

이러한 시공은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공의 공기 또한 장기간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고, 사용 중 시멘트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으로 시멘트 성분이 방출되어 방안의 공기를 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construction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work is very complicated and cumbersome, and the construction air takes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ement component is released due to a rise in the temperature of the cement concrete during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각각의 유니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화된 온수 파이프를 온돌패널에 배치하고, 온돌패널의 상부에 상부판을 결합하여 온수 파이프의 파손 및 누수에 대하여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고, 시멘트 사용이 없는 친환경적인 새로운 구조의 누드 온돌 시공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t water pipe integrated with a connecting member that cuts to a necessary length and connects the respective units is disposed on the ondol block pane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which is easy to inspect and replace hot water pipes and leak, and has an eco-friendly new structure that does not use 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건축구조물 바닥에 수평을 이루도록 까는 단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돌패널,Ondol panel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sulation board which horizontally lay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온돌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유니트로 형성시키고, 상기 유니트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화된 온수 파이프,A hot water pipe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and cut into a required length to form a unit and which is integrated by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units,

상기 온수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돌패널의 상부에 복수개로 배치된 구획벽,A pair of partition walls which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상기 구획벽의 양측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및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to defin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member;

상기 구획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상부판을 포함하고,And a top plat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resting on the top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상부판은 상기 온수 파이프의 파손으로 인한 누수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온돌 시공패널을 제공한다.And the upper plate is capable of checking whether leakage of water occurs due to breakage of the hot water pi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에 있어서, 상기 온돌패널은In the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건축 구조물 바닥의 면적에 대응하여 미리 제작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수용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판이 안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온수 파이프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판이 상기 온수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 상기 구획벽 및 상기 단차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plate-shaped plate previously prepared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building structure, an inclined portion formed with an inclination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 partition wall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rim of the plate,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has a height equal to tha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upper plat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the connecting member, , And is seated on the partition wall and above the step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에 있어서, 상기 온수 파이프는 누수 시 부분적인 교체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pipe may be partially replaced when the water leakage occu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에 있어서, 건축구조물 바닥에 수평을 이루도록 까는 단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돌패널, 상기 온돌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유니트로 형성시키고, 상기 유니트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화된 온수 파이프, 상기 온수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형성되며, 상기 온돌패널의 길이방향 상부 양측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가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수용벽, 상기 수용벽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온수파이프가 배치되는 파이프벽 및 상기 수용벽 과 상기 파이프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벽 및 상기 파이프벽은 순차적으로 상기 온돌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벽 및 상기 파이프벽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이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ndol panel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heat insulating plate horizontally formed on the bottom of a building, a uni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heating panel,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ndol pan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ndol panel to form a pair of connection members, A pipe wall on which the hot water pipe is disposed, and a transparent upper plate that is seated on the receiving wall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ipe wall, the receiving wall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wall, Wherein the receiving wall and the pipe wall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op of the ondol panel, And the spacing portions are formed such that the lengthwise ends of the receiving wall and the pipe wall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 파이프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여 온수 파이프의 파손 및 누수시 교체가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join the hot water pipe, so that the hot water pipe can be easily broken and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투명 재질로 형성된 상부판을 온돌 시공패널의 상부에 결합하여 온수 파이프의 누수 점검이 용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upper plat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ondol construction panel, and the water leakage of the hot water pipe can be easily checked.

또한, 온돌 시공패널의 바닥면은 수용홈과 인접한 부분에 온수 파이프 및 연결부재의 상면 외주면을 동일한 높이로 형성시키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부판의 전 영역으로 온수 파이프에서 전달되는 열을 균일한 온도로 분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Ondol construction panel has a sloped portion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receiving groove to form the hot water pi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t the same height so that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hot water pipe to the entire area of the top plate is uniformly heated Can be distributed.

또한, 온돌 시공패널의 양측 외벽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상부판이 온돌 시공패널의 상부에 안착되더라도, 하중이 단차부, 구획벽, 온수 파이프 및 연결부재로 균일하게 작용하여 실내의 충격에도 파손의 최소화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pper plate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construction panel by forming a step on both outer walls of the ondol construction panel, the load acts uniformly on the step, the partition wall, the hot water pipe and the connecting member, Lt; / RTI >

또한, 볼 발명에 따르면,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소재로 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user by applying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without using c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의 조립에 의한 배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의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nude overheated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FIGS. 3 and 4 are piping views of a nude overheated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and 7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 of a nude overheating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is a plan view of a nude overheated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ly connecting the other parts with each other in between.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의 조립에 의한 배관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nude on-off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of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Figs. 6 and 7 are enlarg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t of a nude overheated oven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10)은 온돌패널(100), 온수 파이프(200), 구획벽(300), 수용부(400) 및 상부판(500)을 포함한다.1 to 4, a nude on-hill construction pane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dol panel 100, a hot water pipe 200, a partition wall 300, a receiving portion 400, And includes a top plate 500.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구조물의 바닥에 수평을 이루도록 까는 단열판(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돌패널(100), 온돌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유니트(201)로 형성되고 상기 유니트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210)에 의하여 일체화된 온수 파이프(200), 온수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온돌패널의 상부에 복수개로 배치된 구획벽(300), 구획벽의 양측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가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400) 및 구획벽의 상부에 결합되는 투명재질의 상부판(500)을 포함하고, 상부판(500)은 온수 파이프(200)의 파손으로 인한 누수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to 5, an ondol panel 100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 heat insulating plate 101 horizontally disposed on a floor of a building, The hot water pipes 200 are formed by the unit 201 and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connecting members 210 that connect the units to each other. The pair of hot water pipes 200 are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t water pipes,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to define a space for receiving a connection member, and a transparent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500, and the upper plate 500 is capable of checking whether leakage of water occurs due to breakage of the hot water pipe 200.

온돌패널(100)은 건축구조물의 바닥에 수평을 이루도록 까는 단열판(101)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단열판(101)은 건축구조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단열용 자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을 적용할 수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한다.The ondol panel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sulating plate 101 which is horizont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uilding structure. Here, the heat insulating plate 101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apply styrofoam used as a general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또한, 단열판(101)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건축에서 사용되는 바닥판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일례로, 기존 바닥위에 바로 시공이 가능한 갈바륨, 우레탄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판은 층간소음을 줄여줄 수 있으며, 난방을 하지 않아도 바닥으로 올라오는 냉기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insulating plate 101 with a bottom plate which is generally used in construction. For example, galvalume and urethane foam can be used on existing floors. These decks can reduce the interlayer noise and prevent the cold air coming to the floor without heating.

이러한 온돌패널(100)은 건축구조물의 바닥에 단열판을 설치하여 수평을 이룬 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경사없는 균일한 바닥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온돌패널(100)은 좁은 면적 뿐만 아니라 넓은 면적의 시공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온돌패널(100)은 플레이트(110), 경사부(120), 격벽(130) 및 단차부(140)를 포함한다.Such an ondol panel 100 can be provided on the horizontal surface by providing a heat insulating plate on the bottom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provide a uniform bottom surface without inclination. The ondol panel 100 can be constructed not only in a narrow area but also in a large area. The Ondol panel 100 includes a plate 110, an inclined portion 120, a partition 130 and a stepped portion 14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10)는 건축구조물 바닥(s)의 면적에 대응하여 미리 제작되는 판 형상이다. 이러한 플레이트(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플레이트(110)는 가로 90cm 내지 100cm, 세로 50cm 내지 60cm, 두께 1cm로 제작하여 좁은 면적의 경우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의 길이를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다.3 to 5, the plate 110 is a plate shape previously prepared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floor s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plate 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example, the plate 11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width of 90 cm to 100 cm, a length of 50 cm to 60 cm, and a thickness of 1 cm, so that the length of the plate 110 may be cut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넓은 면적의 경우 전술한 플레이트(110)를 복수개로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두께가 1cm 보다 얇은 경우에 후술하는 온수 파이프(200)의 뜨거운 열에 변형될 소지가 있다. 반면에 플레이트(110)의 두께가 1cm 보다 두꺼운 경우에 단단하고 견고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제작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large area,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plates 110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and constructed. Further, when the plate 110 is thinner than 1 cm, the plate 110 may be deformed into hot heat of the hot water pipe 200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plate 110 is thicker than 1 cm, it is advantageous that the plate 110 is made rigid and firm, but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따라서, 플레이트(110)의 두께는 0.8cm 내지 1.3cm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피스 또는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단열판(101)의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plate 110 is preferably 0.8 cm to 1.3 cm.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plate 101 by using a piece or a fixing pin.

경사부(120)는 수용부(400)의 양측으로부터 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The inclined portion 120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10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0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경사부(120)는 연결부재(210)가 안착되는 수용부(400)의 양측으로부터 플레이트(110)의 상면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120)는 온수 파이프(200)의 외주면이 연결부재(210)의 외주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부판(500)이 온수 파이프(200), 연결부재(210), 구획벽(300) 및 단차부(14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2 to 5, the inclined portion 12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10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00 where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seated. The inclined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200 has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so that the upper plate 500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200, 300 and the stepped portion 140, as shown in FIG.

즉, 경사부(120)는 온수 파이프(200)와 연결부재(210)의 외주면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부판(500)이 온돌패널(1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경우, 온수 파이프(200)에서 전달되는 열을 상부판(500)의 전 영역으로 균일한 온도로 분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경사부(120)가 없는 경우, 온수 파이프(200)와 연결부재(210)의 단차가 발생되어 상부판(500)이 온돌패널(100)의 상부에 안착되더라도, 온수 파이프(200)에서 전달되는 열을 상부판(500)의 전 영역에 균일한 온도로 분포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pper plate 5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100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2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Can be distributed at a uniform temperature throughout the entire area of the top plate 500. [ For example, in the absence of the inclined portion 120, even if the stepped portion of the hot water pipe 200 and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generated and the upper plate 500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100, It is impossible to distribute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upper plate 500 to the entire region of the upper plate 500 at a uniform temperature.

격벽(130)은 플레이트(110)의 테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격벽(130)은 플레이트(110)의 외벽역할을 하며, 온돌패널(100)을 복수개로 구비하는 시공하는 경우에 각각의 격벽(130)이 서로 인접하여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The barrier ribs 130 ar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rim of the plate 110. The partition 130 functions as an outer wall of the plate 110. When the plurality of Ondol panels 100 are installed, the partition 130 is adjacently joined to each other.

또한, 격벽(130)은 외측이 건축구조물의 내벽(w)에 밀착되도록 시공하여 온돌패널(100)이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tion 130 is installed so that the outer side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w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prevent the Ondol panel 100 from shaking or moving.

또한, 격벽(130)은 본 발명에서 플레이트(110)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의 사각 테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barrier ribs 130 ar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both sides of the plate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ribs 130 are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barrier ribs 130 may extend from the rectangular rim of the plate 110 And can be extended vertically.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차부(140)는 격벽(130)의 내측으로부터 플레이트(110)의 중앙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판(5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단차부(140)는 격벽(130)의 상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하여 상부판(500)이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판(500)이 온돌패널(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단차부(140)는 상부판(500)의 두께에 대응하여 격벽(130)의 상부로부터 소정거리 하향된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6 and 7, the step 140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partition 130 toward the center of the plate 110 so that the top plate 500 can be seated. That is, the stepped portion 14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upper plate 500 is seated,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plate 5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ndol panel 100 It does. The stepped portion 14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barrier rib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500.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온수 파이프(200)는 온돌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유니트로 형성시키고, 상기 유니트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화된다. 즉, 온수 파이프(200)는 건축구조물 바닥의 면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온돌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유니트(201)로 형성시킨다. 각각의 유니트(20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상의 파이프와 온돌패널(100)의 양측에서 호 형상으로 휘어지는 곡선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도록 절단된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유니트(201)는 수용부(400)에 안착되어 연결부재(210)가 위치하는 길이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and 7, the hot water pipe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100, and is cut into a required length to be formed into a unit, and is integrated by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nits. That is, the hot water pipe 200 is cut to a length desired by the user and is formed as the unit 201 in order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100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loor area of the building structure. Each of the units 201 is cut into a straight pi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urved pipe bent in an arc shape on both sides of the Ondol panel 100. Each of the units 201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400 and is cut to a length where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located.

이와 같이, 온수 파이프(200)는 유니트(201)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파손되거나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유니트를 제거하여 새로운 유니트를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온수 파이프(200)는 호스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way, the hot water pipe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unit 201, so that when the water pipe 200 is broken or leakage occurs,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unit and join the new unit. Also, the hot water pipe 200 may be formed in a hose form.

한편, 온수 파이프(2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로 형성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온수 파이프(200)의 파손으로 누수되면, 누수된 부분의 온수 파이프(200)를 절단하여 연결부재(210)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3 and 5, the hot water pipe 200 is not formed as a unit but can be used as an integral unit. In this case, if the hot water pipe 200 is leaked due to breakage, it is also possible to cut the hot water pipe 200 of the leaked part and connect it to the connecting member 210 for us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구획벽(300)은 온수 파이프(2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온돌패널(200)의 상부에 복수개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구획벽(300)은 온수 파이프(2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소정거리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구획벽(300)은 온돌패널(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온돌패널(2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벽체를 이룬다. 그리고 구획벽(300)은 온돌패널(200)의 상면에 복수개로 배치된다. 또한, 구획벽(300)은 한 쌍으로 배치되되, 하나 이상의 n개로 배치되는 부분의 구획벽(300)은 수용부(400)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3 and 4, the partition walls 300 are formed in pairs so as to face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ameter of the hot water pipe 200, and are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200 in plurality. More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s 300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t water pipe 200, and are formed as a pair. The pair of partition walls 300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ndol panel 200 and form a wall vertically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ndol panel 200.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0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ndol panel 200. Further, the partition walls 300 are disposed in pairs, and the partition walls 300, which ar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n locations, allow the receiving portions 400 to be continuously disposed.

다시 설명하면, 한 쌍의 구획벽(300)은 온수 파이프(200)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최초 하나의 벽체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른 하나의 벽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를 1 내지 n개로 배치하는 경우, 최초 하나로부터 이격된 n개의 벽체는 양측에 수용부(200)를 형성하도록 각각 벽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구획벽(300)은 상부판(500)이 안착되는 벽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the pair of partition walls 30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on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hot water pipes 20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 And n walls spaced from the first one are formed by being bent in the wall direction so as to form the receiving portion 200 on both sides. The pair of partition walls 300 serves as a wall on which the top plate 500 is seated.

또한, 구획벽(300)의 두께는 0.4cm 내지 0.6cm로 형성되며, 이의 평균치인 0.5c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획벽(300)의 높이는 단차부(140), 연결부재(21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구획벽(300)의 높이는 일반적인 건축자재 부품인 연결부재(210)의 표준화 규격을 고려하여 약 3cm 정도의 높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rtition wall 300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0.4 cm to 0.6 cm and an average thickness of 0.5 cm.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300 is set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tep 140 and the connecting member 210.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300 is preferably about 3 cm in height considering the standardization standard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which is a general building material part.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수용부(400)는 구획벽(300)의 양측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210)가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부(400)는 연결부재(210)의 표준화 규격을 고려하여 약3.5cm 정도로 구획벽(300)이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S. 1 and 8, a plurality of bend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300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member 210. The receiving part 400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partition wall 300 to a distance of about 3.5 cm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ization standard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이러한, 수용부(400)는 연결부재(210)가 안착되는 공간이지만, 상부판(5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한다.The receiving portion 400 is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seated, but provides an area where the top plate 500 can be stably mount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부판(500)은 구획벽(300)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판(500)은 투명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부판(500)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전술한 온돌패널(20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판(500)은 두께가 0.3cm 내지 0.6cm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판(500)의 두께가 0.3cm 내지 0.6cm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경우, 온수 파이프(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전도율은 높지만, 실내 충격에 약해서 파손될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부판(50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온수 파이프(200)로부터 전달되는 열전도율이 낮아 실내온도의 열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6 and 7, the top plate 5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00. That is, the top plate 500 is transparent and serves to confirm the inside. The top plate 500 may have a length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ondol panel 200. The top plate 500 may have a thickness of 0.3 cm to 0.6 cm.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500 is thinner than 0.3 cm to 0.6 cm, the thermal conductivity transmitted from the hot water pipe 200 is high, but it is vulnerable to a room impact and is damaged. When the thickness of the top plate 500 is large, the thermal conductivity transmitted from the hot water pipe 200 may be low, resulting in a problem of lower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room temperature.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누드 온돌 시공패널(10')은 수용벽 및 파이프벽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except that the receiving wall and the pipe wall are formed.

그러므로, 도 9에서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 생략될 것이다.Therefore, in FIG. 9,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s those in the embodiment will be given lik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elements will be omitted below.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a nude overheated construction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10')은 온돌패널(100), 온수파이프(200), 수용벽(600), 파이프벽(700) 및 상부판(500)을 포함한다.9, the nudoor ondol construction panel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ndol panel 100, the hot water pipe 200, the receiving wall 600, the pipe wall 700, Plate 500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드 온돌 시공패널(10')은 건축구조물 바닥에 수평을 이루도록 까는 단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돌패널(100), 온돌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유니트로 형성시키고, 유니트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화된 온수 파이프(200), 온수 파이프(2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형성되며, 온돌패널(100)의 길이방향 상부 양측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210)가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400)를 구비하는 수용벽(600), 수용벽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며, 온수파이프가 배치되는 파이프벽(700) 및 수용벽과 파이프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상부판(500)을 포함하고, 수용벽(600) 및 파이프벽(700)은 순차적으로 온돌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수용벽(600) 및 파이프벽(700)의 길이방향의 양 말단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이격부(800)가 형성된다.9, the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ndol panel 100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a heat insulating plate horizontally formed on the bottom of a building, The hot-water pipes 200 are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floor panel and cut into a required length to form a unit. The hot-water pipes 200 and the hot water pipes 200 are integrally formed by connecting members, A receiving wall 600 having a receiving part 400 formed with a plurality of bending part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ndol panel 100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includes a pipe wall 700 in which the hot water pipes are disposed and a top plate 500 of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seated on the top of the receiving wall and the pipe wall and the receiving wall 600 and the pipe wall 700, Come sequentially Placed on top of panel 100, and,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wall 600 and the pipe wall 700 is formed with a spaced portion 800 so as to be positione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여기서, 온수파이프(200)는 유니트로 형성되는 것뿐만 아니라 일체형으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온수 파이프(200)의 파손으로 누수되면, 누수된 부분의 온수 파이프(200)를 절단하여 연결부재(210)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hot water pipe 200 can be used not only as a unit but also as an integral unit. In this case, if the hot water pipe 200 is leaked due to breakage, the hot water pipe 200 of the leaked part may be cut and us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210.

수용벽(600)은 온수 파이프(200)의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온돌패널(100)의 길이방향 상부 양측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210)가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4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용벽(600)은 온돌패널(100)의 상부에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파이프벽(700)과 순차적으로 배치되기 위해서이다.The receiving wall 600 is formed in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t water pipe 200 and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ndol panel 100, (Not shown). The receiving wall 60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ondol panel 100. This is to be arranged sequentially with the pipe wall 700 described later.

파이프벽(700)은 수용벽(600)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며, 온수파이프(200)가 배치된다.The pipe wall 70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wall 600, and the hot water pipe 200 is disposed.

이와 같이, 수용벽(600) 및 파이프벽(700)은 순차적으로 온돌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수용벽(600)이 배치되고, 이와 인접하여 파이프벽(700)이 배치되어 온수파이프(200)의 파손으로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파손된 온수파이프(200)만 별도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wall 600 and the pipe wall 700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100. That is, when the receiving wall 600 is disposed and the pipe wall 7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ceiving wall 600 to generate leakage due to the breakage of the hot water pipe 200,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broken hot water pipe 200 .

이격부(800)는 수용벽(600) 및 파이프벽(700)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이격부(800)는 거주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룸에 온수파이프(200)가 연결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이격부(800)는 시공하는 거주 공간 외에도 다른 거주공간의 온수파이프(200)와 연결되도록 하여 온수파이프(200)가 보일러에서 공급하는 온수를 거주 공간 전체로 분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spacing portion 800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receiving wall 600 and the pipe wall 700. The spacing part 800 serves to connect the hot water pipe 200 to a plurality of rooms where a living space is formed. That is, the separating unit 800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200 in the other residence space in addition to the residential space for the construction, thereby distributing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boiler to the entire residential spa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누드 온돌 시공패널
100 : 온돌패널 101 : 단열판
110 : 플레이트 120 : 경사부
130 : 격벽 140 : 단차부
200 : 온수 파이프 210 : 연결부재
300 : 구획벽 400 : 수용부
500 : 상부판 600 : 수용벽
700 : 파이프벽 800 : 이격부
10: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100: Ondol panel 101:
110: plate 120:
130: partition wall 140:
200: hot water pipe 210: connecting member
300: partition wall 400: accommodating portion
500: top plate 600: receiving wall
700: pipe wall 800: separation part

Claims (4)

건축구조물 바닥에 수평을 이루도록 까는 단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돌패널;
상기 온돌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유니트로 형성시키고, 상기 유니트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화된 온수 파이프;
상기 온수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온돌패널의 상부에 복수개로 배치된 구획벽;
상기 구획벽의 양측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구획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온수 파이프의 파손으로 인한 누수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온돌패널은
건축 구조물 바닥의 면적에 대응하여 미리 제작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수용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판이 안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온수 파이프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판이 상기 온수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 상기 구획벽 및 상기 단차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온돌 시공패널.
An ondol panel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n insulating plate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bottom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A hot water pipe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and cut into a required length to form a unit and is integrated by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units;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so as to face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t water pipe;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to define a space for receiv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And an upper plat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capable of checking whether leakage of water occurs due to breakage of the hot water pipe,
The ondol panel
A plate-shaped plate previously prepared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building structure;
An inclined portion in which a slope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 partition wall extending vertically from a rim of the plate; And
And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parti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late to receive the top plate,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pipe, the connecting member, the partition wall, and the step portion by mak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have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파이프는 누수 시 부분적인 교체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온돌 시공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t water pipe is capable of partial replacement when it leaks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건축구조물 바닥에 수평을 이루도록 까는 단열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온돌패널;
상기 온돌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유니트로 형성시키고, 상기 유니트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일체화된 온수 파이프;
상기 온수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의 형성되며, 상기 온돌패널의 길이방향 상부 양측에 복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연결부재가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수용벽;
상기 수용벽에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온수파이프가 배치되는 파이프벽; 및
상기 수용벽 과 상기 파이프벽의 상부에 안착되는 투명재질의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온돌패널은
건축 구조물 바닥의 면적에 대응하여 미리 제작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
상기 수용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가 형성된 경사부;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판이 안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온수 파이프의 외주면이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판이 상기 온수 파이프, 상기 연결부재, 상기 수용벽 및 상기 단차부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기 수용벽 및 상기 파이프벽은 순차적으로 상기 온돌패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벽 및 상기 파이프벽의 길이방향 양 말단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이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드 온돌 시공패널.
An ondol panel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an insulating plate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bottom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A hot water pipe which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and cut into a required length to form a unit and is integrated by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units;
A receiving wall having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facing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t water pipe and having a spac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ndol panel;
A pipe wall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wall, the pipe wall having the hot water pipe disposed therein; And
And a top plat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is seated on the receiving wall and the top of the pipe wall,
The ondol panel
A plate-shaped plate previously prepared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building structure;
An inclined portion in which a slope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gradually increases from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 partition wall extending vertically from a rim of the plate; And
And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parti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late to receive the top plate,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t water pipe, the connecting member, the receiving wall, and the step portion by mak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t water pipe have the same height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receiving wall and the pipe wall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ondol panel and the separating part is formed such that both the longitudinally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receiving wall and the pipe wall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Nude Ondol construction panel.
KR1020170121721A 2017-09-21 2017-09-21 Nude ondol floor pannel KR1019342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21A KR101934212B1 (en) 2017-09-21 2017-09-21 Nude ondol floor pannel
PCT/KR2018/011237 WO2019059708A1 (en) 2017-09-21 2018-09-21 Transparent underfloor heating constructio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721A KR101934212B1 (en) 2017-09-21 2017-09-21 Nude ondol floor pa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212B1 true KR101934212B1 (en) 2018-12-31

Family

ID=6495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721A KR101934212B1 (en) 2017-09-21 2017-09-21 Nude ondol floor panne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4212B1 (en)
WO (1) WO2019059708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65A (en) 2019-09-26 2021-04-05 박경식 nude type improved floor-heat panel
KR102384391B1 (en) * 2021-06-30 2022-04-15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Thermostatic Insulation Bus stop Boot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668B1 (en) 2013-09-12 2016-06-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photovoltaic pane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454Y1 (en) * 2003-08-18 2003-11-14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Hot­water heating hypocaust panel of dry process
KR20040096847A (en) * 2004-09-24 2004-11-17 (주)삼세대시공 Hot bed for stone-therapy
KR20090039240A (en) * 2007-10-17 2009-04-22 이형락 Aluminium hypocaust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reof
KR20130005535A (en) * 2011-07-06 2013-01-16 주식회사 신한플라스틱 Warm water panel and the connecting apparatus
KR20150003758U (en) * 2014-11-06 2015-10-14 김학원 The ondol she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668B1 (en) 2013-09-12 2016-06-1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photovoltaic pa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65A (en) 2019-09-26 2021-04-05 박경식 nude type improved floor-heat panel
KR102384391B1 (en) * 2021-06-30 2022-04-15 주식회사 코크스나인 Thermostatic Insulation Bus stop Boo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708A1 (en)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26B1 (en) A hot water circulation floor for heating using a flooring board
KR101934212B1 (en) Nude ondol floor pannel
CN102575855B (en) Panel assembly for ondol underfloor heating
KR20160004071U (en) Prefabricated heating panel structure for hot water boilers
CN209116429U (en) Type dry ground heating system and its heat conducting module
KR102053584B1 (en) Prefabricated thermal conduction plate for ondol and construction method
CN109237584A (en) Type dry ground heating system and its heat conducting module
KR102056758B1 (en) Flooring method for preventing noise in apartment house
KR20100069060A (en) Hypocaust flooring block for fire-box heating facility
KR101308978B1 (en) Ventilation board for drying slab
KR102005051B1 (en) Ondol flooring board of dry type
KR20170108355A (en) Water heating panels for heating efficiency and interlayer noise
KR102626779B1 (en) Ondol panel set for air circulation boiler and ondo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m
KR102467271B1 (en) Prefabricated Indoor Heating Floor Member
KR100725454B1 (en) Assembable a Hypocaust Block
KR101099215B1 (en) Heating system of ondol structure and a method for heating a water
KR101702634B1 (en) Hot-water floor
KR102396695B1 (en) Prefabricated red clay-hot water panel flooring
KR200426867Y1 (en) Hose-Arrangement Plate for Ondol
KR101315124B1 (en) Heating panel for fabrication
CN217054161U (en) Composite floor heat-insulating layer structure
KR101788214B1 (en) Assembly loess pane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 of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KR102182146B1 (en) Ondol panel with a hot circulation
KR102560835B1 (en) Movable Fire Place And Structure For Setting The Same
KR200361909Y1 (en) Fabricated under-floor he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