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533B1 -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533B1
KR101933533B1 KR1020170025449A KR20170025449A KR101933533B1 KR 101933533 B1 KR101933533 B1 KR 101933533B1 KR 1020170025449 A KR1020170025449 A KR 1020170025449A KR 20170025449 A KR20170025449 A KR 20170025449A KR 101933533 B1 KR101933533 B1 KR 101933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mart factory
process facility
simulator
f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830A (ko
Inventor
권영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5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는, 피교육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공정 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공정 설비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공정 설정값을 수신하는 스마트 공장 설계부,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공정 시뮬레이터 및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에서 생성한 공정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공정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METHOD FOR VIRTUALIZING SMART FACTORY}
본 발명은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적인 공장 없이 스마트 공장 가동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공장(Smart Factory)은 제품의 기획, 설계, 생산, 유통, 판매 등 기업 활동의 전 과정을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로 통합한 공장을 의미한다.
스마트 공장에서는 공장 내 설비와 기계에 센서가 설치되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수집분석됨으로써, 공장 내 모든 상황들이 일목요연하게 보여지게 된다. 즉, 생산현장에서의 단위 공정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는바 최적화된 생산 체계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이에, 스마트 공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 공장 전문가 양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이론 위주의 교육 방식으로는 스마트 공장의 요소 기술과 통합기술을 교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실질적인 교육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교육 목적의 스마트 공장을 건설하기에는 고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저비용으로 스마트 공장의 통합 기술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인 공장 건설 없이 스마트 공장 가동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 공장의 전체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요소 기술과 통합 기술을 함께 교육시킬 수 있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는, 피교육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공정 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공정 설비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공정 설정값을 수신하는 스마트 공장 설계부,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공정 시뮬레이터 및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에서 생성한 공정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공정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정 설비는, 가상화된 스마트 공정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부품, 다수의 부품들어 이루어진 독립적인 장치 및 다수의 장치로 이루어져 소정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 설비별 동적 특정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정 설비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는, 상기 공정 설비의 동적 특성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정 설비가 실제로 구동될 때 생성되는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는, 상기 공정 설비의 가동 시간, 가동 상황, 생산 진도, 생산 실적, 불량 발생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에서 생성한 결과값을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공정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은, 피교육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공정 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공정 설비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공정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정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정 설비의 동적 특성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정 설비가 실제로 구동될 때 생성되는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정 설비의 가동 시간, 가동 상황, 생산 진도, 생산 실적, 불량 발생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공정 결과값을 공절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에 따르면, 물리적인 스마트 공장을 건설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공장의 가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공장의 통합 기술을 쉽게 습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기반의 스마트 공장 교육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피교육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교육자들에게 지급된 전용 하드웨어를 통해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정 설비를 선택하고 공정을 시뮬레이션하는데 필요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정 시뮬레이터가 생성한 결과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단계를 수행하는 주체를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각 단계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서버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스마트 공장을 가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먼저 사용자 인증 요청을 수신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은 네트워크를 통해 웹으로 접속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스마트 공장 가상화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당한 라이센스를 소지한 사용자에게만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스마트 공장에 포함되는 공정 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120).
여기에서 공정 설비란, 가상화될 스마트 공장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부품,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독립적인 장치, 다수의 장치로 이루어져 소정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열처리 설비, 연삭 설비, 조립 설비, 검사 설비, 포장 설비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제조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그 공정에 사용되는 설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 가상화할 스마트 공장에 포함되는 공정 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시스템은 복수의 공정 설비들과 그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모델링 정보를 기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후,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공정 설정값들을 수신한다(S130). 공정 설정값이란, 공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정 설비에 부품이 투입되는 시간 간격, 에러율 등에 관한 정보가 공정 설정값에 해당될 수 있다.
공정 설정값이 설정되면, 선택된 공정 설비 및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한다(S140). 구체적으로, 실제 물리적인 스마트 공장에서 공장 설비가 가동할 때 생성되는 관측값들을 가상으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각 공정별로 소요되는 시간, 불량 발생 현황, 제조된 제품의 품질 등에 관한 결과값을 생성한다.
이후, 공정 설비별로 생성된 공정 결과값을 저장한다(S150). 시뮬레이터에 의해 공정 설비가 가상으로 구현됨에 따라 생성된 결과값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로 하여금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에 따르면, 물리적인 스마트 공장 없이도 스마트 공장의 가동을 구현할 수 있는바, 피교육자들로 하여금 스마트 공장 관련 통합 기술을 쉽게 습득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피교육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교육자들은 소정의 단말 장치(200-1, 200-2, 200-3, 200-4)를 이용하여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100)에 접속한 후,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교육자들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 장치 단말 장치(200-1, 200-2, 200-3, 200-4)로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100)에 접속한 후, 웹 페이지를 통해 스마트 공장을 가상으로 구동하고, 스마트 공장이 구현됨에 따라 발생되는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다.
피교육자들은 단말 장치 단말 장치(200-1, 200-2, 200-3, 200-4)를 통해 실제 스마트 공장이 구현될 때 발생하는 결과값들을 확인할 수 있는바,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과 동일한 상황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이 구동됨에 따라 생성된 결과값들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공정 및 품질개선 업무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는 피교육자들에게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를 지급하고 그 하드웨어들을 통해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교육자들에게 지급된 전용 하드웨어를 통해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 하드웨어(300)는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기 시뮬레이터 애플리케이션(310) 및 표시부(320)를 포함한다.
시뮬레이터 애플리케이션(310)은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100)에 접속하여 가상화된 공정 설비를 구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구체적으로, 피교육자는 시뮬레이터 애플리케이션(310)을 통해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에 포함된 공정 설비와 그 공정 설비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공정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100)는 피교육자가 시뮬레이터 애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입력한 값을 이용하여 가상화된 공정 설비를 구동하고, 가상화된 공정 설비가 구동하면서 생성된 결과값을 전용 하드웨어(300)에 전송한다.
피교육자는 표시부(320)를 통해 가상화된 공정 실비가 구동하면서 생성된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공정 설비에 부착된 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확인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 가능한 전용 하드웨어(300)를 이용함에 따라 장소에 대한 제약없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100)는 사용자 인증부(110), 스마트 공장 설계부(130), 공정 설비 DB(135), 공정 시뮬레이터(150), 공정 모니터링부(170) 및 공정 결과 DB(175)를 포함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각 구성요소가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100)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각 구성요소를 독립적인 서버로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정 설비 DB(135) 또는 공정 결과 DB(175)를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하거나, 공정 시뮬레이터(150)에서 생성한 관측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공정 모니터링부(170)를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100)와 구별되는 별도의 독립적인 서버로 구현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부(110)는 피교육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부(110)는 인증 정보에 포함된 피교육자 정보와 라이선스 DB(미도시)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공장 설계부(130)는 스마트 공장을 구성하는 공정 설비 및 그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공정 설계값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공정 설비(DB)는 복수의 공정 설비들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 설비 DB(135)에는 각 공정 설비 별 동적 특성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 설비가 임의의 부품에 대한 절삭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인 경우, 절삭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해당 공정 설비의 동적 특성 모델링 데이터, 에너지 특성 데이터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공정 설계부(130)는 공정에 대한 설계값도 수신한다. 예를 들어, 공정 설비에 투입되는 부품에 관한 정보, 투입 시간 간격, 에러율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공정 시뮬레이터(150)는 선택된 공정 설비 및 공정 설계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시뮬레이션하고 결과값을 생성한다. 실제 스마트 공장에서는 공정이 수행됨에 따라, 각 공정 설비에 부착된 센서 등을 통해 공정과 관련 데이터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시뮬레이터(150)는 가상으로 공정 설비를 가동하여 실제 공정 설비가 가동되는 것과 동일하게 공정 설비와 관련된 데이터를 생성한다.
공정 모니터링부(170)는 공정 시뮬레이터(150)에서 생성한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공정 결과 DB(17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모니터링부(170)는 공정 시뮬레이터(150)에서 가상으로 구현된 공정 설비가 생성한 결과값을 수집해 빅데이터 형태로 운영할 수 있다.
수집된 빅데이터에는 공정 설비의 가동 시간, 공정 설비의 가동 상황 등을 포함하는 공정 설비에 관한 정보, 생산 진도, 생산 실적, 불량 발생 현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피교육자는 수집된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생산성을 높이는데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정 설비를 선택하고 공정을 시뮬레이션하는데 필요한 설정값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교육자가 스마트 공장 가상화 시스템에 접속하면, 스마트 공장에 포함될 공정 설비 및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설정값을 입력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피교육자가 공정명 또는 공정 설비를 선택한 후, 해당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설정값을 입력하면 스마트 공장 설계부(130)가 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에 포함될 공정인 용접, 가공, 도장, 포장 등의 공정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공정을 가상하는데 필요한 설정값인 Lot Delay Time, Cycle Time, Error Rate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Lot Delay Time은 해당 공정 설비에 부품이 투입되는 시간 간격, Cycle Time은 공정 설비에 투입된 부품이 해당 공정에 머무르는 시간이고, Error Rate는 해당 공정에서 발생되는 에러율을 의미한다. 공정 시뮬레이터(150)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값에 따라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고, 그에 따른 각종 결과값을 생성한다.
다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공정 설비의 종류 및 공정 설비에 대해 입력하는 설정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설정값을 입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정 시뮬레이터가 생성한 결과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교육자가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의 구동 명령을 전송하면, 공정 시뮬레이터(150)는 스마트 공정 설계부(130)를 통해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한다.
이때, 공정 시뮬레이터(150)는 실제 공정 설비가 가동되는 것과 동일하게 공정 진행과 관련된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정 설비별 작업 현황, 각 공정 설비가 공정을 완료한 제품의 개수, 불량 제품 발생 개수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다만, 공정 시뮬레이터(150)가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가동하여 생성하는 결과값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다른 범용적인 데이터들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피교육자로 하여금 생산현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생산된 제품의 품질관리 및 생산 설비 관리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100)는 프로세서(101), 스토리지(102), 메모리(103), NIC(104) 및 버스(105)를 포함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01)은 스마트 공장 가상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러나, 프로세서(101)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범용적인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02)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는, 각종 공정 설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 공정 시뮬레이터가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함에 따라 생성된 공정 결과값이 저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 스토리지(102)에 저장된 스마트 공장 가상화 프로그램은 피교육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공정 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공정 설비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공정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정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메모리(103)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그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01)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104)에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교육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 또는 전용 하드웨어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버스(105)는 상술한 프로세서(101), 스토리지(102), 메모리(10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4)가 연결되는 데이터 이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피교육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공정 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공정 설비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공정 설정값을 수신하는 스마트 공장 설계부;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공정 시뮬레이터; 및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에서 생성한 공정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공정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는, 상기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여,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고,
    상기 피교육자는 상기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통해, 스마트 공장 관련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설비는,
    상기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부품,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진 독립적인 장치 및 다수의 장치로 이루어져 소정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장치 중 하나인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공정 설비별 동적 특성 모델링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정 설비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는,
    상기 공정 설비의 동적 특성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정 설비가 실제로 구동될 때 생성되는 결과값을 생성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는,
    상기 공정 설비의 가동 시간, 가동 상황, 생산 진도, 생산 실적, 불량 발생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에서 생성한 결과값을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공정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
  7. 스마트 공장 가상화 서버가 스마트 공장을 가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피교육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공정 설비에 대한 선택 입력 및 상기 공정 설비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공정 설정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정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 시뮬레이터는, 상기 공정 설비를 가상으로 구현하여,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구현하고,
    상기 피교육자는 상기 가상화된 스마트 공장을 통해, 스마트 공장 관련 기술을 습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정 설비의 동적 특성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공정 설비가 실제로 구동될 때 생성되는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공정 설비 및 상기 공정 설정값을 이용하여 공정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공정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정 설비의 가동 시간, 가동 상황, 생산 진도, 생산 실적, 불량 발생 현황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공정 결과값을 공정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빅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KR1020170025449A 2017-02-27 2017-02-27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KR101933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49A KR101933533B1 (ko) 2017-02-27 2017-02-27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49A KR101933533B1 (ko) 2017-02-27 2017-02-27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30A KR20180098830A (ko) 2018-09-05
KR101933533B1 true KR101933533B1 (ko) 2019-04-05

Family

ID=6359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49A KR101933533B1 (ko) 2017-02-27 2017-02-27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05B1 (ko) 2018-10-08 2020-04-23 최상수 공장을 분석하는 컴퓨팅 시스템 및 공장을 관리하기 위해 그 컴퓨팅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KR102499828B1 (ko) * 2020-12-30 2023-02-14 주식회사 스탠스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이용한 가상훈련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544A (ja) * 2002-08-05 2004-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生産制御システム
JP2015138525A (ja) * 2014-01-24 2015-07-30 株式会社東芝 仮想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2783B2 (ja) * 1994-08-24 2003-05-06 株式会社東芝 複数発電ユニットデータ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544A (ja) * 2002-08-05 2004-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生産制御システム
JP2015138525A (ja) * 2014-01-24 2015-07-30 株式会社東芝 仮想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30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2539B1 (en) Real-time monitoring of network-based training exercises
US10803766B1 (en) Modular training of network-based training exercises
Numfu et al. Virtual reality based digital chain for maintenance training
US10521550B2 (en) Planning and engineering method, software tool and simulation tool for an automation solution
US8930758B2 (en) Automated testing of mechatronic systems
US9652590B2 (en) System and method to simulate maintenance of a device
US9778643B2 (en) Machine procedure simulation
KR101933533B1 (ko) 스마트 공장 가상화 방법
CN106407446A (zh) 一种网络调查问卷构建方法及其装置
WO2017142393A1 (en) System for managing user experience test in controlled test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JP5589901B2 (ja) ソフトウェア検証支援装置、ソフトウェア検証支援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検証支援プログラム
CN108920846A (zh) 一种高铁列控系统复杂运营场景的风险耦合分析方法
KR102155126B1 (ko) 이산 사건 명세와 모의 개체 아웃소싱 기반의 반도체 공정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Haugen et al. Applying systems thinking to frame and explore a test system for product verification; A case study in large defence projects
Cacciabue et al. The development of a model and simulation of an aviation maintenance technician task performance
Edwards et al. Using a simulation model for knowledge elicit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KR101335657B1 (ko) 실시간 시뮬레이터와 시스템 스위칭을 이용한 대규모 dcs 검증 장치 및 그 검증방법
Ramler et al. Practical challenges in test environment management
JP2019066989A (ja) 評価システム、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oncha et al. Control and Identification Toolbox (CIT): An Android application for teaching automatic control and system identification
US20150310748A1 (en) Active training platform and environment
Lee et al. Development of a remote access control laboratory using xPC target and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US201102084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terative simulation of an operation of a device
EP2913726B1 (en) Industrial automation equipment and machine procedure simulation
KR20130106114A (ko) 리플레이 스크립트를 이용하는 시뮬레이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