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153B1 -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153B1
KR101932153B1 KR1020170041571A KR20170041571A KR101932153B1 KR 101932153 B1 KR101932153 B1 KR 101932153B1 KR 1020170041571 A KR1020170041571 A KR 1020170041571A KR 20170041571 A KR20170041571 A KR 20170041571A KR 101932153 B1 KR101932153 B1 KR 10193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layer
resin
wall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107A (ko
Inventor
정창환
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우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우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우이엔티
Priority to KR102017004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15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1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64Impregn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재질의 입자 분리 필터를 액상의 수지에 함침하여, 입자의 흡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이 재질의 제1 필터층, 제1 필터층의 일면에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이 재질의 필터벽, 필터벽을 중심으로 제1 필터층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필터벽과 연결된 종이 재질의 제2 필터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Separating Particles Filter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수지에 함침된 종이 필터를 이용하여, 내구성과 입자 흡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에 이용되는 공정 중, 상당 수는 기체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분리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스크러버, 필터, 전기집진, 멀티 사이클론 기술 등이 적용되고 있으나 그 효율성 재고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필터나 전기집진기는 입자 또는 대전입자의 제거가 가능하나, 큰 유량일 경우에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미세 입자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회전식 입자 분리 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장치 내에 위치하는 필터의 내구성을 위해 금속의 필터가 장착되어 제조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재질은 내구성이 단수명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25106호 (2011. 03. 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식 입자 분리 장치 내의 높은 압력에도 내구성 및 입자 제거 효율성이 유지되고, 제조 단가가 낮은 입자 분리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롤 형태로 권취된 필터에 있어서, 필터는 종이 재질의 제1 필터층, 제1 필터층의 일면에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이 재질의 필터벽, 필터벽을 중심으로 제1 필터층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필터벽과 연결된 종이 재질의 제2 필터층을 포함한다.
필터벽은 단면이 물결 또는 허니콤 구조의 무늬 중 어느 하나이다.
허니콤 구조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된다.
필터는 액상 수지에 함침되고, 액상 수지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1 필터층 및 제2 필터층은, 필터벽과 접합되는 면에 반구 형상의 충돌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 재질의 제1 필터층 위에 접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 필터층 형성단계, 제1 필터층 형성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용 조성물 위에, 단면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결 구조 또는 허니콤 구조의 무늬를 가지는 이상의 종이 재질의 필터벽을 압착하고, 압착된 필터벽의 타단에 접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필터벽 형성단계, 필터벽에 형성된 접착용 조성물 위에 종이 재질의 제2 필터층을 압착하는 제2 필터층 형성단계, 제1 필터층 형성단계부터 제2 필터층 형성 단계를 통해 일체로 성형된 입자 분리 필터를 롤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 단계, 권취 단계를 통해 롤 형태로 권취된 입자 분리 필터를 함침조의 액상 수지에 함침하는 필터 함침 단계, 필터 함침 단계의 함침조에서 입자 분리 필터를 분리하여 경화하는 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필터벽 형성단계 및 제2 필터층 형성단계에서, 압착은 접착용 조성물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터 함침 단계의 함침조에 저장된 액상의 수지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함침조 내부에 위치한 롤러는 필터와 맞닿는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함침조의 상단 및 상기 함침조 내부에 위치한 롤러의 상단에는 탈수용 롤러를 더 포함하여, 필터에 흡수된 액상의 수지를 탈수한다.
제1 필터층 형성단계, 필터벽 형성단계 및 제2 필터층 형성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제1 필터층과 제2 필터층의 필터벽과 접합한 면에 반구 형상의 충돌판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서 낮은 가격에도 높은 효율성의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터는 종이 재질에 액상 수지를 함침하고, 액상 수지가 경화되며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형태의 입자 분리 필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벽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벽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를 함침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를 권취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함침 단계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함침 단계의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 형태의 입자 분리 필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입자가 충돌하여 분리 및 흡착되는 입자 분리 필터(1000)에 관한 것으로, 종이 재질의 제1 필터층(1100), 제1 필터층(1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이 재질의 필터벽(1200), 필터벽(1200)을 기준으로 제1 필터층(1100)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필터벽(1200)에 연결되어 종이 재질의 제2 필터층(1300)을 포함한다.
제1 필터층(1100)은 종이 재질의 필터로, 입자 분리 장치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외향으로 회전하는 입자가, 외향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층이다.
필터벽(1200)은 제1 필터층(1100)의 어느 한 면에 형성 및 접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제1 필터층(1100) 내에서 입자가 제1 필터층(1100)의 내경을 따라 회전하며, 원심력에 의한 입자의 충돌력이 강해지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제1 필터층(1100)의 내주면에 필터벽(1200)이 형성되어, 입자가 필터벽(1200)의 내부에서만 회전하기 때문에, 입자의 회전 반경이 작아져서 그 원심력이 약해지고, 입자가 필터벽(1200)에 충돌하는 충격력이 감소된다.
도 2와 도 4를 통해 비교하면, 필터벽(1200)은 단면이 물결 무늬로 불리는 정현파 형태의 종이 재질 필터층일 수 있다. 도 2는 입자 분리 필터(100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물결 무늬인 것이고, 도 4는 입자 분리 필터(100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물결 무늬인 것으로, 물결 무늬의 필터벽(1200)은 별도의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이 재질의 필터층을 일정 간격마다 제1 필름층(1100) 내지 제2 필름층(1300)에 접합 및 압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물결 무늬의 필터벽(1200)이 제1 필름층(1100) 내지 제2 필름층(1300)과 접합하는 접합점들의 사이에서 탄력이 발생하여, 유동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필터층(1300)은 필터벽(1200)을 기준으로 하여, 제1 필터층(1100)의 위치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필터벽(1200)과 연결된다. 이는 제1 필터층(1100)과 동일한 구조이나, 권취된 상태의 롤 형태의 입자 분리 필터(1000)에서는, 지속적으로 감겨있기 때문에 제1 필터층(1100)의 외면에도 면이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필터층(1100) 및 제2 필터층(1300)은 필터벽(1200)에 가해지는 입자의 충격력에 의해, 필터벽(1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결 무늬의 필터벽이 아닌, 허니콤 구조의 필터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벽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필터벽은 물결 무늬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인 육각 구조의 허니콤 기둥일 수 있다. 허니콤 구조의 기둥은 정육각형으로 동일한 폭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기 때문에, 타 구조와 대비하여 동일한 면적에서 가장 많은 격벽(변)을 가지는 고내구성의 구조이다.
도 7은 제1 필터층(1100)과 제2 필터층(1300)의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 필터벽(12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따라, 입자가 하방으로 흐르는 공간이 더욱 복수로 구비되기 때문에, 동일한 면적에서 하방으로 흐르는 입자가 분리되어, 입자가 뭉쳐졌을 때 원심력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벽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필터벽은 허니콤 구조의 기둥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변)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허니콤 구조인 기둥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입자가 흐르는 공간이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입자가 뭉쳐져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필터층(1100) 내지 제2 필터층(1300)이 일체로 성형된 입자 분리 필터(1000)는, 액상의 수지에 함침되어, 제1 필터층(1100) 내지 제2 필터층(1300)의 구조를 포함하는 입자 분리 필터(1000)의 전체 면적에 액상 수지가 코팅된다.
여기서 액상 수지는 경화성 수지이며,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닌 수지, 불포화 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액상 수지인 경화성 수지가 종이 재질의 입자 분리 필터(1000)에 흡수된 후 경화되며, 이를 통해 입자 분리 필터(10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회전식 입자 분리 장치 내에서, 제1 필터층(1100)에는 원심력 방향과 동일한 면에 충돌판(1110)을 더 포함하고, 제2 필터층(1300)의 원심력 방향과 반대되는 면에 충돌판(1310)을 더 포함한다.
이는 반원 혹은 삼각형 등의 충돌판(1110, 1310)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입자가 필터벽(1200), 제1 필터층(1100) 및 제2 필터층(1300)에 충돌하기 전에, 충돌판(1110, 1310)에 충돌하여, 필터벽(1200), 제1 필터층(1100) 및 제2 필터층(1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충돌판(1110)은 제1 필터층(1100)의 한 면, 또는 제1 필터층(1100) 및 제2 필터층(1300)의 어느 한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는 회전식 입자 분리 장치의 내경이 장치마다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일경하지 않은 내경에서도 동일한 성능을 내기 위해 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만, 충돌판(1110)은 강한 충격에도 내구성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종이 재질이 아닌 금속 혹은 합성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충돌판(1110)은 회전식 입자 분리 장치의 회전 방향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좌우가 대칭이다. 단, 단방향 회전인 경우에는 입자 분리 필터(100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도록, 최적 구조의 비대칭인 충돌판(1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발명은 입자 분리 필터(10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최소의 공기저항을 나타낼 수 있는 구조인 반원 구조를 기본형으로 한다.
다음은 전술된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농업 필지의 재배작목과 지리적 경계를 기준으로 기상재해경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를 함침한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종이 재질의 제1 필터층(1100) 위에 접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 필터층 형성단계(S-1), 제1 필터층 형성단계(S-1)에서 도포된 접착용 조성물 위에 종이 재질의 필터벽(1200)을 압착하고, 압착된 필터벽(1200)의 타단에 접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필터벽 형성단계(S-2), 필터벽(1200)에 형성된 접착용 조성물 위에 종이 재질의 제2 필터층(1300)을 압착하는 제2 필터층 형성단계(S-3), 제1 필터층 형성단계(S-1)부터 제2 필터층 형성단계(S-3)를 통해 일체로 성형된 입자 분리 필터(1000)를 롤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 단계(S-4), 권취 단계를 통해 롤 형태로 권취된 입자 분리 필터(1000)를 액상 수지에 함침하는 필터 함침 단계(S-5), 필터 함침 단계(S-5)에서 함침된 입자 분리 필터(1000)를 경화하는 경화 단계(S-6)를 포함한다.
제1 필터층 형성단계(S-1)는 제1 필터층(1100)의 어느 한 면에 접착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여기서, 도포되는 접착용 조성물은 공기와 접착 시 응고되는 성질이어야 하며, 포이즈에 대한 수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필터벽 형성단계(S-2)는 제1 필터층 형성단계(S-1)에서 접착용 조성물이 도포되면, 도포된 조성물 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허니콤 구조를 포함하는 필터벽(1200)을 압착한다. 이 과정에서 압착은 접착용 조성물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용 조성물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압착되어야 한다. 압착이 된 후에, 압착된 필터벽(1200)의 반대편에 다시 접착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이 역시, 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용 조성물은 공기와 접착 시 응고되는 성질이다.
제2 필터층 형성단계(S-3)는 필터벽 형성단계(S-2)에서 제1 필터층(1100)과 필터벽(1200)이 압착되고, 접착용 조성물이 압착된 반대면에 도포되면 접착용 조성물이 도포된 면에 제1 필터층(1100)과 동일한 구조의 제2 필터층(1300)을 압착한다. 이 역시 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용 조성물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용 조성물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압착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1 필터층 형성단계(S-1), 필터벽 형성단계(S-2) 및 제2 필터층 형성단계(S-3) 중 어느 한 단계에서는, 제1 필터층(1100)이 필터벽(1200)과 접하지 않은 면에 충돌판(1110)을 더 형성하는 충돌판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접착 및 압착과 동일하기에 설명을 생략한다.
권취 단계(S-4)는 제1 필터층 형성 단계(S-1)부터 제2 필터층 형성 단계(S-3)까지의 단계를 통해 일체로 성형된 입자 분리 필터(1000)를 롤의 형태로 권취한다. 이는 롤러를 이용하여 권취될 수 있으며, 자연인의 수작업에 의해 권취될 수 있다.
필터 함침 단계(S-5)는 권취 단계(S-4)에서 권취된 롤 형태의 입자 분리 필터(1000)를 함침조(5000)의 액상 수지에 함침한다. 여기서 액상 수지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화성 수지이며,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닌 수지, 불포화 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경화 단계(S-6)는 함침조(5000)의 액상 수지에 함침된 롤 형태의 입자 분리 필터(1000)를 함침조(5000)에서 꺼내서 경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를 통해, 제1 필터층(1100) 내지 제2 필터층(1300)이 일체로 성형된 입자 분리 필터(1000)는, 액상의 수지에 함침되어, 제1 필터층(1100) 내지 제2 필터층(1300)의 구조를 포함하는 입자 분리 필터(1000)의 전체 면적에 액상 수지가 코팅된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상 수지인 경화성 수지가 종이 재질의 입자 분리 필터(1000)에 흡수된 후 경화되며, 이를 통해 입자 분리 필터(10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액상의 수지는 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경화성 수지이며,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닌 수지, 불포화 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자 분리 필터를 권취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함침 단계의 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필터 함침 단계(S-4)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권취 및 권출을 통해, 입자 분리 필터(1000)를 함침조(5000) 내부의 액상 수지에 함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제1 롤러(2000), 제2 롤러(3000) 및 제3 롤러(4000)를 개시한다. 이 중, 제2 롤러(3000)는 함침조(5000) 내부에 위치하며, 액상의 수지 내부에 위치한다. 이는 입자 분리 필터(1000)가 제2 롤러(3000)의 회전면을 따라 이동하고, 입자 분리 필터가 이동하며 액상의 수지를 흡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롤러(3000)는 입자 분리 필터(1000)에서 액상의 수지가 탈수되는 것이 더욱 용이하도록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여, 강한 압력으로 탈수를 돕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롤러의 상단에 탈수용 롤러(3500)를 더 포함한다. 이는 제2 롤러(3000)와 제3 롤러(40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 롤러(3000)와 제3 롤러(4000)의 사이에서 입자 분리 필터(1000)에 강한 압력이 전해지도록 하여, 입자 분리 필터(1000)에 과흡수된 액상의 수지를 탈수한다.
위에서 전술한 탈수용 롤러(3500)는 액상 수지의 내부에 위치한 롤러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다른 롤러에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위에서 전술한 입자 분리 필터(1000)를 이용하여, 회전식 입자 분리 장치에서 효율을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회전 속도 처리 효율
200 rad/sec 81.86%
250 rad/sec 87.11%
300 rad/sec 93.87%
위의 표를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자 분리 필터(1000)는 회전식 입자 분리 장치 내에서 고속의 회전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고속의 회전에서도 높은 입자 제거 효율성을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입자 분리 필터 1100 : 제1 필름층
1110 : 충돌판 1200 : 필터벽
1300 : 제2 필름층 2000 : 제1 롤러
3000 : 제2 롤러 3500 : 탈수용 롤러
4000 : 제3 롤러 5000 : 함침조
S-1 : 제1 필터층 형성단계 S-2 : 필터벽 형성단계
S-3 : 제2 필터층 형성단계 S-4 : 권취 단계
S-5 : 필터 함침 단계 S-6 : 경화 단계

Claims (12)

  1. 롤 형태로 권취된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종이 재질의 제1 필터층;
    상기 제1 필터층의 일면에 부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이 재질의 필터벽; 및
    상기 필터벽을 중심으로 제1 필터층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필터벽과 연결된 종이 재질의 제2 필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터층 및 제2 필터층은, 상기 필터벽과 접합되는 면에 반구 형상의 충돌판을 더 포함하는 입자 분리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벽은 단면이 물결 또는 허니콤 구조의 무늬 중 어느 하나인 입자 분리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 구조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된 입자 분리 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액상 수지에 함침되는 입자 분리 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수지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자 분리 필터.
  6. 삭제
  7. 종이 재질의 제1 필터층 위에 접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제1 필터층 형성단계;
    상기 제1 필터층 형성단계에서 도포된 접착용 조성물 위에, 단면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결 구조 또는 허니콤 구조의 무늬를 가지는 이상의 종이 재질의 필터벽을 압착하고, 압착된 필터벽의 타단에 접착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필터벽 형성단계;
    상기 필터벽에 형성된 접착용 조성물 위에 종이 재질의 제2 필터층을 압착하는 제2 필터층 형성단계;
    상기 제1 필터층 형성단계부터 제2 필터층 형성 단계를 통해 일체로 성형된 입자 분리 필터를 롤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 단계;
    상기 권취 단계를 통해 롤 형태로 권취된 입자 분리 필터를 함침조의 액상 수지에 함침하는 필터 함침 단계;
    상기 필터 함침 단계의 함침조에서 입자 분리 필터를 분리하여 경화하는 경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벽 형성단계 및 제2 필터층 형성단계에서, 압착은 접착용 조성물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함침 단계의 함침조에 저장된 액상의 수지는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조 내부에 위치한 롤러는 필터와 맞닿는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조의 상단 및 상기 함침조 내부에 위치한 롤러의 상단에는 탈수용 롤러를 더 포함하여, 필터에 흡수된 액상의 수지를 탈수하는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층 형성단계, 필터벽 형성단계 및 제2 필터층 형성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제1 필터층과 제2 필터층의 필터벽과 접합한 면에 반구 형상의 충돌판을 형성하는 입자 분리 필터의 제조 방법.
KR1020170041571A 2017-03-31 2017-03-31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71A KR101932153B1 (ko) 2017-03-31 2017-03-31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571A KR101932153B1 (ko) 2017-03-31 2017-03-31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07A KR20180111107A (ko) 2018-10-11
KR101932153B1 true KR101932153B1 (ko) 2018-12-24

Family

ID=6386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571A KR101932153B1 (ko) 2017-03-31 2017-03-31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1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34B1 (ko) * 2013-11-12 2016-10-24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내열성 카트리지 여과재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34B1 (ko) * 2013-11-12 2016-10-24 주식회사 엔바이오니아 내열성 카트리지 여과재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107A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665B2 (en) Nestable framed pleated air filter and method of making
JP6578486B2 (ja) 除湿装置
US20190168143A1 (en) Filter media with a multi-layer structure
EP1587616B1 (en) Method for manufacture of a filter structure
CN1252321A (zh) 带有成型吸附剂的过滤装置、设备和使用方法
JP2001505283A (ja) 断熱および遮音用の多層シート絶縁材料
KR102121084B1 (ko)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 및 에어 드라이어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JPH0114802B2 (ko)
CN111278530B (zh) 气体吸附体和其制造方法及二氧化碳气体浓缩装置
US6227383B1 (en) Filtering material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adsorption filter produced from said filtering material
US10780381B2 (en) Pattern coated filter and method
KR101932153B1 (ko) 입자 분리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JP2950453B2 (ja) 発熱体を有するシート状収着体、発熱体を有する収着用積層体および発熱体を有する収着用積層体を用いた除湿装置
KR101762546B1 (ko) 대형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US6197079B1 (en) Pleated ai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793389B1 (ko) 기모형 부직포를 여재로 한 화학흡착필터의 제조 방법
US20210001258A1 (en) Filter media pack with porous wrapper
CN210186666U (zh) 一种刚性气液聚结滤芯及其制备装置
JP6313112B2 (ja) スポーク挿入型デシカントロータ
CN107073378A (zh) 过滤器滤芯
US2947419A (en) Filter and method of making
CA2944311A1 (en) Filter medium
KR101725798B1 (ko) 대형 카트리지 필터 및 제조 방법
JP4454886B2 (ja) ケミカルフィルタ
US3189182A (en) Fuel filter water separato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