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086B1 -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086B1
KR101932086B1 KR1020120109178A KR20120109178A KR101932086B1 KR 101932086 B1 KR101932086 B1 KR 101932086B1 KR 1020120109178 A KR1020120109178 A KR 1020120109178A KR 20120109178 A KR20120109178 A KR 20120109178A KR 101932086 B1 KR101932086 B1 KR 10193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pplication
power
request signal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980A (ko
Inventor
김민규
백우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86B1/ko
Priority to US14/033,830 priority patent/US9392168B2/en
Priority to AU2013231179A priority patent/AU2013231179B2/en
Priority to EP13186084.3A priority patent/EP2713606B1/en
Priority to CN201310450205.5A priority patent/CN103716530B/zh
Publication of KR2014004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카메라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적용된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은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수행되고,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온하는 단계;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앱 전환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카메라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적용된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휴대 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고 리눅스나 윈도우즈 등과 같은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운영체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는 카메라와 관련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입력부(예, 터치패널)를 통해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휴대 장치에 요청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그런 다음, 배터리의 전원이 카메라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가 동작(activation; 예컨대, 렌즈에서 수광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는 작업)한다.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카메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의 동작이 종료된다.
종래 카메라 제어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이하, 앱(App))에서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앱으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카메라가 전원 오프(Power OFF; 카메라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카메라의 동작이 종료됨)되었다가 다시 전원 온(Power ON); 카메라로 전원이 공급되어 카메라가 동작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불필요한 카메라의 전원 오프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제 1 앱에서 제 2 앱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느려지고 카메라를 다시 동작시키기 위한 전류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카메라 제어 방법에 따르면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카메라가 전원 온 된다. 따라서, 카메라가 느리게 동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1 앱에서 제 2 앱으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카메라의 전원 온을 유지하여, 제 2 앱으로 빠르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소모 전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휴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카메라를 전원 온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가 빠르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휴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은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수행되고,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온하는 단계;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앱 전환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은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 장치의 카메라 컨트롤러에서 수행되고,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카메라;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온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앱 전환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오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는 카메라;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카메라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앱이 실행되다가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앱으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카메라로 전원 온을 유지하여 제 2 앱으로 빠르게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소모 전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휴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카메라를 전원 온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카메라가 빠르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휴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앱의 실행을 종료하고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앱을 실행하기 위한 절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4는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앱의 실행을 종료하고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앱을 실행하기 위한 절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카메라와 관련된 앱을 실행하고 카메라를 전원 온 하기 위한 절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7은 카메라와 관련된 앱을 실행하고 카메라를 전원 온 하기 위한 절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 장치는 카메라 및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운영체제를 가지고,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앱의 실행은 앱을 휴대 장치의 보조기억장치에서 주기억 장치로 로딩하는 과정과, 주기억 장치로 로딩된 앱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앱의 종료는 해당 실행 화면의 표시를 종료하는 과정과, 앱을 휴대 장치의 주기억 장치에서 삭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 그리고 휴대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100)는 표시부(110), 키입력부(120), 저장부(130), 무선통신부(140), 오디오처리부(150), 카메라(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렌더링(rendering)하여 버퍼에 저장한다. 표시부(110)는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10)는 휴대 장치(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들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앱의 실행 화면, 키패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10)가 켜지면,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이미지다.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이미지를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changing)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배경 이미지와, 이 위에 표시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들 각각은 앱들에 대응된다.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아이콘을 탭)된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앱(예, 브라우저)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상기 화면들 중에서 하나 예컨대, 앱 실행 화면을 배경(background)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 예컨대, 키패드를 전경(foreground)으로써 상기 배경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 1 이미지를 제 1 스크린 영역에 표시하고 제 2 이미지를 제 2 스크린 영역에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또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입력부로써 터치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10)는 터치스크린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110)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터치패널(111)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이벤트는 터치 좌표(x, y)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될 경우 터치 기구(예, 손가락이나 펜)가 터치패널(111)에 터치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 기구의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즉 터치 좌표가 예컨대, (x1, y1)에서 (x2, y2)로 변화된 경우 제어부(170)는 터치가 이동한 것으로 결정한다. 제어부(170)는 터치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터치의 위치변화량(dx, dy)을 산출한다. 제어부(170)는 터치패널(111)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및 핀치아웃(pinch out) 등으로 분류된다.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터치패널(111)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멀티 터치는 여러 지점에 다수의 터치 기구(예, 엄지와 검지)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탭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가 터치된 후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해제(touch-off)되는 사용자 입력이고,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기구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기구를 터치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탭 앤 터치는 화면의 어느 지점을 탭한 후 해당 지점을 소정 시간(예, 0.5초)이내에 다시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기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이며, 플릭은 드래그에 비해 터치 기구를 빠르게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하는 사용자 입력이고, 프레스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사용자 입력이고, 핀치 인은 두 개의 터치 기구로 두 지점을 동시에 멀티 터치한 후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좁히는 사용자 입력이고, 핀치 아웃은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넓히는 사용자 입력이다. 즉 터치는 터치패널(111)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그 밖의 사용자 입력들은 터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한다.
터치패널(111)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성된다. 물론 손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터치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이벤트를 생성한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볼륨 조절키 및 셔터(shutter)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셔터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한편 키입력부(120)의 키는 하드 키(hard key)라 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되는 가상의(virtual) 키는 소프트 키(soft key)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의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휴대 장치(100)에서 생성되거나 무선통신부(14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예, 서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등)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부팅 프로그램,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카메라 컨트롤러 및 앱 실행 관리자를 저장한다. 여기서 카메라 컨트롤러는 운영체제의 기반 하에 동작하고,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앱 실행 관리자는 운영체제의 기반 하에 동작하고, 앱들의 실행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저장부(130)는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장치(1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카메라 컨트롤러, 앱 실행 관리자 등이 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휴대 장치(1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며, 매우 다종다양하다. 이러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설치 및 제거가 자유롭다. 휴대 장치(100)의 제어부(170)로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17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휴대 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게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운영체제는 카메라 컨트롤러 및 앱 실행 관리자 등을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이러한 부팅 및 로딩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외부장치(예, 외부표시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녹음,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통화 기능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7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D/A□변환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부(17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카메라(16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60)는 빛을 모으기 위한 렌즈와, 이렇게 수광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로우 데이터(low data)로 처리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ISP는 로우 데이터를 프리뷰(preview) 이미지로 가공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는 모듈과, 로우 데이터를 압축 이미지로 가공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SP는 프리뷰 이미지와 압축 이미지를 인터리브 데이터(interleaved data)로 가공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하는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터치패널(111) 또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셔터 이벤트(예, 사용자가 표시부(110)에 표시된 셔터 버튼을 탭)를 검출하고, 셔터 이벤트에 응답하여 압축 이미지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프리뷰 이미지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이미지로써 로우 데이터를 화면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한 것을 의미한다. 즉 프리뷰 이미지는 고해상도의 로우 데이터를 저해상도의 데이터로 크기를 줄인 것이다. 이러한 프리뷰 이미지는 섬네일(thumbnail) 등의 용도로 저장될 수 있다. 압축 이미지는 저장용으로 로우 데이터를 JPEG 등의 포맷으로 압축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인터리브 데이터는 프리뷰 이미지와 압축 이미지가 섞여 있는 형태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이미지가 패킷 단위로 이루어진다고 했을 때, 인터리브 데이터는 프리뷰 이미지의 패킷들과 압축 이미지의 패킷들이 랜덤하게 또는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섞여 있는 것이다.
제어부(170)는 휴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장치(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부팅 프로그램,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주기억장치와, 저장부(13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저장부(130)로부터 읽어 온(read)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캐시메모리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G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의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제어하고, 작업(task)들의 순서를 정하고, CPU 및 GPU의 연산을 제어하고,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한다. 한편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70)의 본 발명과 관련된 특징적인 기술 즉, 카메라 제어 기술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휴대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모듈,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모듈, 진동 모터, 카메라, 액세서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는 휴대 장치(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휴대 장치(100)의 부속품으로써 예컨대, 터치패널(111)에 터치를 위한 펜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카메라(160)와 관련된 제 1 앱(예, 사진 촬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그리고 카메라(160)가 전원 온 된다. 예컨대, 카메라(160)로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160)는 렌즈에서 수광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적인 신호를 로우 데이터로 처리하고, 로우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70)는 터치패널(111) 또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제 1 앱의 종료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이 카메라(160)와 관련된 제 2 앱의 실행을 요청하는 앱 전환 이벤트(예컨대, 리모트 뷰 파인더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사용자가 탭)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리모트 뷰 파인더(remote view finder)는 휴대 장치(100; 예, 디지털 카메라)의 프리뷰 이미지를 다른 휴대 장치(예, 스마트폰)로 전송하고, 다른 휴대 장치로부터 셔터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셔터 이벤트에 응답하여 압축 이미지를 저장부(13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여기서 두 장치 간의 무선 통신 방식은 예컨대,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앱 전환 이벤트가 아닌 다른 이벤트(예, 카메라(160)와 관련 없는 앱(예, 브라우저)에 대응되는 아이콘 또는 제 1 앱의 종료 버튼을 사용자가 탭)인 경우, 단계 240에서 제어부(170)는 제 1 앱의 실행을 종료한다. 또한 단계 240에서 제어부(170)는 카메라(160)를 전원 오프한다. 즉 제어부(170)는 카메라(16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카메라(160)의 동작을 종료한다.
사용자 입력이 카메라(160)와 관련된 제 2 앱의 실행을 요청하는 것인 경우(예, 리모트 뷰 파인더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사용자가 탭), 단계 250에서 제어부(170)는 제 1 앱의 실행을 종료하고 단계 260에서 제 2 앱을 실행한다.
도 3은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앱의 실행을 종료하고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앱을 실행하기 위한 절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제 1 앱(171), 제 2 앱(172) 및 카메라 컨트롤러(173)을 포함한다. 카메라(160)는 렌즈, 이미지센서, ISP(Image Signal Processor), 경통(body tube) 및 모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경통은 렌즈와 이미지센서 간의 거리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통이다. 모터는 카메라(160)의 외부로 경통을 빼고 카메라(160)의 내부로 경통을 집어넣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즉 카메라(160)가 전원 온 상태이면 경통은 모터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160)의 외부에 위치하고 카메라(160)가 전원 오프 상태이면 경통은 모터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160)의 내부에 위치한다.
단계 310에서 제 1 앱(171)은 실행 중이고, 카메라(160)는 전원 온 상태이고,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앱 전환 정보가 'false'임을 알고 있다. 여기서 앱 전환 정보는 카메라 컨트롤러(173)가 카메라(160)의 전원 오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참고하는 정보이다. 이러한 앱 전환 정보는 운영체제가 주기억장치로 로딩되고 카메라 컨트롤러(173)가 실행된 경우, 초기 값으로 "false"이 설정된다. 또한 앱 전환 정보는 카메라(16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에 의해 그 값이 "false"에서 "true"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앱 전환 정보는 카메라 컨트롤러(173)에 의해 그 값이 "true"에서 "false"로 리셋(reset) 가능하다.
단계 320에서 제 1 앱(171)은 카메라 전원 오프 요청(Camera_Power OFF)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단계 330에서 제 1 앱(171)의 실행은 종료된다. 예컨대, 제 1 앱(171)은 입력부(예, 터치패널(111)이나 키입력부(120)로부터 종료 이벤트를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Camera_Power OFF"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전송한 후 종료된다.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제 1 앱(171)으로부터 "Camera_Power OFF" 신호를 수신한다. "Camera_Power OFF"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앱 전환 정보를 바탕으로 카메라(160)의 전원 오프 여부를 결정한다. 즉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앱 전환 정보가 false이므로 앱 전환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카메라(160)를 전원 오프하기로 결정한다.
단계 34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160)의 전원 오프의 결정에 따라, "Camera_Power OFF" 신호를 카메라(16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단계 350에서 카메라(160)는 전원 오프된다. 예컨대, 먼저 모터는 카메라 컨트롤러(173)의 제어 하에 경통을 카메라(16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후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Camera_Power OFF" 신호를 카메라(160)로 송신하게 되고, "Camera_Power OFF" 신호에 의해 이미지센서, ISP 및 모터로의 전원 공급은 중단된다. 그리고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이미지센서 및 ISP 등에 설정된 파라미터(예, 감도(sensitivity), 플래시 자동 여부 등)들을 초기화하고, 초기화된 값들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한편 카메라(160)가 전원 오프된 후 단계 360에서 제 2 앱(172)이 실행된다. 단계 370에서 제 2 앱(172)은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송신한다.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제 2 앱(172)으로부터 "Camera_Power ON"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Camera_Power ON"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카메라(160)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이미 알고 있다. 따라서 단계 38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16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계 390에서 카메라(160)는 전원 온 된다. 예컨대, "Camera_Power ON" 신호에 의해 모터, 이미지 센서 및 ISP로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모터는 카메라 컨트롤러(173)의 제어 하에 경통을 외부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미지센서는 렌즈에서 수광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ISP로 출력한다. ISP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로우 데이터로 처리하고 로우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한다. 그리고 ISP는 카메라 컨트롤러(173)를 통해 프리뷰 이미지를 제 2 앱(172)으로 전달한다. 제 2 앱(172)은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4는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앱의 실행을 종료하고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앱을 실행하기 위한 절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제 1 앱(171)은 실행 중이고, 카메라(160)는 전원 온 상태이고,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앱 전환 정보가 'false'임을 알고 있다.
단계 420에서 제 1 앱(171)은 입력부(예, 터치패널(111) 또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앱 전환 이벤트를 검출한다. 제 1 앱(171)은 앱 전환 정보를 "true(즉, 제 1 앱에서 제 2 앱으로 전환)"로 설정하고, 단계 430에서 제 1 앱(171)은 앱 전환 정보를 카메라 컨트롤러(173)에 전송한다. 이때 제 1 앱(171)은 앱 전환 정보와 함께, 카메라(160)의 설정과 관련된 파라미터(예, 감도, 플래시 자동 여부 등)를 카메라 컨트롤러(173)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제 1 앱(171)은 "Camera_Power OFF"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단계 450에서 제 1 앱(171)의 실행은 종료된다.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제 1 앱(171)으로부터 "Camera_Power OFF" 신호를 수신한다. "Camera_Power OFF"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앱 전환 정보를 바탕으로 카메라(160)의 전원 오프 여부를 결정한다. 즉 단계 46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앱 전환 정보가 true이므로, 앱 전환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카메라(160)를 전원 오프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Camera_Power OFF" 신호를 카메라(160)로 전송하지 않는다.
단계 470에서 제 2 앱(172)이 실행된다. 단계 480에서 제 2 앱(172)은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송신한다.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제 2 앱(172)으로부터 "Camera_Power ON" 신호를 수신한다. "Camera_Power ON"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앱 전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앱 전환 정보가 "true"인 경우,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160)에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단, "Camera_Power ON"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단계 49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앱 전환 정보를 true에서 false로 리셋(reset)한다.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제 1 앱(171)으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를 제 2 앱(172)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 2 앱(172)은 제 1 앱(171)으로부터 수신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카메라(16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 2 앱(172)은 초기 설정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카메라(16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앱에서 제 2 앱으로 전환되었지만 도 3과 달리 카메라의 동작이 유지된다. 따라서 제 1 앱에서 제 2 앱으로 전환되는 속도가 빠르고 전류 소모가 줄어든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카메라(160)와 관련된 앱이 실행되고, 앱은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송신한다. 단계 51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Camera_Power ON" 신호를 수신한다. "Camera_Power ON"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단계 52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는 카메라 컨트롤러(173)가 카메라(160)의 전원 상태를 알기 위해 참고하는 정보이다.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는 운영체제가 주기억장치로 로딩되고 카메라 컨트롤러(173)가 실행된 경우, 초기 값으로 예컨대, "0"이 설정된다. 즉 "0"은 카메라(160)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이다. 상대적으로 "1"은 카메라(160)가 전원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는 예컨대, 운영체제의 커널(kernel)의 시스템 파일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20에서의 확인 결과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1"인 경우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160)가 이미 전원 온임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단계 53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160)에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54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1"에서 "0"으로 리셋(reset)한다. 여기서 단계 540은 앱으로부터 "Camera_Power OFF" 신호가 수신될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Camera_Power OFF" 신호가 수신되면, 카메라(160)에 "Camera_Power OFF" 신호를 전송하고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1"에서 "0"으로 리셋(reset)한다.
단계 520에서의 확인 결과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0"인 경우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160)가 전원 오프임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단계 55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160)로 전송한다.
도 6은 카메라와 관련된 앱을 실행하고 카메라를 전원 온 하기 위한 절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카메라 컨트롤러(173), 어플리케이션(174) 및 앱 실행 관리자(175)를 포함한다. 단계 610에서 카메라(160)는 전원 오프 상태이고,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0"임을 알고 있다.
단계 620에서 앱 실행 관리자(175)는 터치패널(111) 또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174)의 실행을 요청하는 이벤트(예, 리모트 뷰 파인더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탭)를 검출한다.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단계 630에서 앱 실행 관리자(175)는 어플리케이션(174)에 실행을 명령한다. 이에 따라 단계 640에서 어플리케이션(174)은 실행된다. 단계 650에서 어플리케이션(174)은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송신한다.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Camera_Power ON" 신호를 어플리케이션(174)으로부터 수신한다.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0"이므로 단계 660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16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계 670에서 카메라(160)는 전원 온 된다. 예컨대, "Camera_Power ON" 신호에 의해 이미지 센서 및 ISP로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이미지센서는 렌즈에서 수광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ISP로 출력한다. ISP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로우 데이터로 처리하고 로우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한다. 그리고 ISP는 카메라 컨트롤러(173)를 통해 프리뷰 이미지를 어플리케이션(174)으로 전달한다. 어플리케이션(174)은 표시부(110)를 제어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74)은 프리뷰 이미지를 다른 휴대 장치(예, 스마트폰)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은 프리뷰 이미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어플리케이션(174)이 실행되고 이에 따라 카메라(160)가 "Camera_Power ON"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예컨대, 0.3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카메라(160)가 전원 온 되어 프리뷰 이미지가 다른 휴대 장치에서 표시될 때까지 예컨대, 2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프리뷰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해 적어도 2.3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도 7은 카메라와 관련된 앱을 실행하고 카메라를 전원 온 하기 위한 절차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이다.
단계 710에서 카메라(160)는 전원 오프 상태이고,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0"임을 알고 있다. 단계 720에서 앱 실행 관리자(175)는 터치패널(111) 또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174)의 실행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검출한다.
어플리케이션(174)의 실행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단계 731에서 앱 실행 관리자(175)는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1'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단계 732에서 '1'로 설정된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전달된다. 단계 733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 설정 정보가 "0"에서 "1"로 변경되었음을 인식하고,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160)로 전송한다. 단계 734에서 카메라(160)는 단계 734에서 카메라(160)는 전원 온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74)의 실행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단계 741에서 앱 실행 관리자(175)는 어플리케이션(174)에 실행을 명령한다. 이에 따라 단계 742에서 어플리케이션(174)은 실행된다. 단계 743에서 어플리케이션(174)은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 컨트롤러(173)로 송신한다.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Camera_Power ON" 신호를 수신한다. "Camera_Power ON"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1"인 경우 단계 744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160)가 이미 전원 온임을 인식하고, "Camera_Power ON" 신호를 카메라(160)에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745에서 카메라 컨트롤러(173)는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1"에서 "0"으로 리셋(reset)한다.
이상으로 도 7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74)의 실행과 카메라(160)의 전원 온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카메라(160)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그 피드백(예, 프리뷰 이미지)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도 6과 비교해보면, 단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휴대 장치
110: 표시부 111: 터치패널
120: 키입력부 130: 저장부
140: 무선통신부 150: 오디오처리부
160: 카메라 170: 제어부
171: 제 1 어플리케이션 172: 제 2 어플리케이션
173: 카메라 컨트롤러 174: 어플리케이션
175: 앱 실행 관리자

Claims (14)

  1.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 장치에서 카메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온하는 단계;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앱 전환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카메라 컨트롤러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카메라 전원 오프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앱 전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의 전원 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나타내는 앱 전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오프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카메라 컨트롤러가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로부터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미리 설정된 앱 전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앱 전환 정보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상기 앱 전환 정보를 초기 값으로 리셋(reset)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5.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 장치의 카메라 컨트롤러에서 카메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한 후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리셋(rese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에서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된 경우, 제 2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8. 카메라;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온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종료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앱 전환 이벤트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앱 전환 이벤트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카메라 전원 오프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전원 오프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앱 전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의 전원 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카메라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나타내는 앱 전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카메라를 전원 오프하지 않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로부터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미리 설정된 앱 전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앱 전환 정보가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 2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상기 앱 전환 정보를 초기 값으로 리셋(reset)하는 카메라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2. 카메라;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카메라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가,
    상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지 않기로 결정한 후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를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리셋(rese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 1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카메라 전원 설정 정보가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오프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에서 "상기 카메라가 전원 온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된 경우, 제 2 카메라 전원 온 요청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KR1020120109178A 2012-09-28 2012-09-28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KR101932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178A KR101932086B1 (ko) 2012-09-28 2012-09-28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US14/033,830 US9392168B2 (en) 2012-09-28 2013-09-23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in mobile device to turn on or off based on application
AU2013231179A AU2013231179B2 (en) 2012-09-28 2013-09-24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and mobile device
EP13186084.3A EP2713606B1 (en) 2012-09-28 2013-09-26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and mobile device
CN201310450205.5A CN103716530B (zh) 2012-09-28 2013-09-27 用于控制相机的方法和移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178A KR101932086B1 (ko) 2012-09-28 2012-09-28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980A KR20140042980A (ko) 2014-04-08
KR101932086B1 true KR101932086B1 (ko) 2019-03-21

Family

ID=49263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178A KR101932086B1 (ko) 2012-09-28 2012-09-28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92168B2 (ko)
EP (1) EP2713606B1 (ko)
KR (1) KR101932086B1 (ko)
CN (1) CN103716530B (ko)
AU (1) AU2013231179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395B1 (ko) * 2013-01-16 202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684416A (zh) * 2013-09-11 2016-06-15 普道实验室有限公司 利用表面进行暂时安装的数字相机
JP2015158753A (ja) * 2014-02-21 2015-09-03 ソニー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機器および制御装置
CN106161938B (zh) * 2016-07-22 2019-05-14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闪光灯打开方法和装置
CN110875964A (zh) * 2018-08-30 2020-03-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301404A (zh) * 2020-02-24 2021-08-24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和控制方法
US11592907B2 (en) * 2020-10-20 2023-02-28 Google Llc Gesture-triggered augmented-reality
WO2023212847A1 (en) * 2022-05-05 2023-11-0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an image sens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6476A1 (en) 2009-07-20 2011-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to allow multiple plug-in applications real-time access to a camera application in a mobile device
US20110058052A1 (en) 2009-09-04 2011-03-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amera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35144A (fi) * 2003-09-05 2005-03-06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matkaviestimen kameran käyttöönottamiseksi
KR20050090804A (ko) * 2004-03-10 200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CN100562070C (zh) * 2007-02-13 2009-11-18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预测影像撷取数量的方法
US20080270900A1 (en) * 2007-04-27 2008-10-30 Wezowski Martin M R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witching a device between application modes
US20090273686A1 (en) * 2008-05-02 2009-11-05 Nokia Corporatio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apparatus providing improved image capturing
US20100118153A1 (en) * 2008-11-12 2010-05-13 Xiaoguang Yu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mage sensors
JP4675411B2 (ja) * 2008-12-17 2011-04-2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メラ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141854B1 (ko) * 2009-12-30 2012-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1788052B1 (ko) * 2010-12-21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전환 제어 방법
US20130088429A1 (en) * 2011-10-05 2013-04-11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user input
US8996729B2 (en) * 2012-04-12 2015-03-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asks performed by multiple devices
US8688038B2 (en) * 2012-01-27 2014-04-01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enhance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e switching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KR20130090225A (ko) * 2012-02-03 2013-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이미지 센서의 동작 모드 변경 방법
US9448813B2 (en) * 2012-05-24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try points to image-related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EP4171052A1 (en) * 2012-06-11 2023-04-26 Sony Group Corporatio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920020B1 (ko) * 2012-08-07 2019-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상태 전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99635B1 (ko) * 2013-04-09 2020-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04760B2 (en) * 2013-08-22 2017-10-31 Apple Inc. Scrollable in-line camera for capturing and sharing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6476A1 (en) 2009-07-20 2011-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to allow multiple plug-in applications real-time access to a camera application in a mobile device
US20110058052A1 (en) 2009-09-04 2011-03-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amera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3606A3 (en) 2014-09-17
KR20140042980A (ko) 2014-04-08
EP2713606B1 (en) 2018-02-21
CN103716530B (zh) 2018-08-24
AU2013231179B2 (en) 2018-08-23
US9392168B2 (en) 2016-07-12
AU2013231179A1 (en) 2014-04-17
EP2713606A2 (en) 2014-04-02
US20140092264A1 (en) 2014-04-03
CN103716530A (zh)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955B1 (ko)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KR101932086B1 (ko)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KR102032449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US1053450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and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044826B1 (ko)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KR20140101169A (ko)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JP6313028B2 (ja) タッチ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
US9658865B2 (en) Method of edi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105354A (ko) 터치 감응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15349B1 (ko) 통화 전환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074496A (ko)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1950225B1 (ko)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076193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029827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200015680A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