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225B1 -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225B1
KR101931225B1 KR1020170141367A KR20170141367A KR101931225B1 KR 101931225 B1 KR101931225 B1 KR 101931225B1 KR 1020170141367 A KR1020170141367 A KR 1020170141367A KR 20170141367 A KR20170141367 A KR 20170141367A KR 101931225 B1 KR101931225 B1 KR 10193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keyword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웨이브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웨이브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웨이브벤처스
Priority to KR102017014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업로드하는 자료입력모듈;
상기 앨범의 판형 및, 상기 판형에 따른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설정모듈;
상기 데이터를 상기 템플릿에 배치하는 배치모듈;
배치된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디어 앨범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앨범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A System Of Producing Online Media Album}
본 발명은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받은 사진 및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등에 구현되는 미디어 앨범을 자동 생성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전체폰 사용자의 절반 이상을 넘어섰고 태블릿 PC 사용자도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스마트 환경에 맞게 서비스와 콘텐츠들도 진화하고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자들의 서비스와 콘텐츠 이용 패턴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변화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디지털'이란 수식어를 붙일 필요가 없을 정도로, 대부분의 디바이스, 서비스, 콘텐츠 등이 디지털로 구현되어 있다.
포토와 연관된 산업 및 서비스들도 스마트 환경에 맞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의 상태(presence, status) 정보를 담은 '포토'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비스가 그 영역을 빠르게 확산해 나가고 있다.
반면에, 포토를 모아 관리하고 보관하는 포토앨범 서비스는 아직까지 스튜디오 또는 사진관 등 전문가의 손을 거쳐야만 하는 오프라인 서비스로 남아 있다. 그러한 상황에도 돌/성장 앨범을 중심으로 아빠, 엄마 등 비전문가의 셀프앨범 제작 추세가 확장되어 나가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카메라 수준의 카메라를 탑재한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은 이러한 추세의 또 다른 진화를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다.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 환경에서 화려한 포토 편집 기능을 기반으로 포토 공유를 하는 포토 어플리케이션(이하,'앱') 서비스들은 사용자들로부터 높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다만, 이렇게 전문가 수준으로 편집된 포토를 '개별 포토 단위'로 보관과 관리를 하고는 있지만, 개별 포토들을 한꺼번에 모아 볼 수 있는 포토앨범의 제공 수준은 높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9-0040485호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디자인 포토 북과 그 제작방법 및 모바일 서비스 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이미지파일, 동영상파일, 사운드파일 그리고 텍스트파일과 같은 다양한 파일을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상에서 에디팅하여 플레시플레이어가 지원되는 모든 O/S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도록 바탕 페이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각 페이지, 각 페이지 콘트롤 및 필요한 효과를 구현하는 각종의 함수 라이브러리 및 이를 구현하는 스크립트, 각 페이지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파일들로 멀티미디어 컨텐츠 뷰어의 플랫폼을 포함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포토와 동영상, 사운드 파일을 단순 합성하여 멀티미디어 방식의 포토 북을 제작하는 것 만이라는 한계성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50960호에 ‘전자앨범 편집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제1레이아웃 데이터에 따라서 복수 페이지 상에 화상/화상들을 배치하는 화상 배치 수단과, 복수의 페이지 중의 페이지 상에 배치된 화상/화상들의 수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수량에 따라, 제2레이아웃 데이터를 선택하는 레이아웃 데이터 선택 수단 및, 레이아웃 데이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제2레이아웃 데이터에 따라서, 페이지 상에 화상/화상들을 자동으로 재배치하는 화상 재배치 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포토의 수량을 인식하고 수량에 따라 페이지 및 레이아웃만을 설정하여 앨범을 제작하는 기술에 불과하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받은 사진 및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등에 구현되는 미디어 앨범을 자동 생성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에 최적화된 사진만을 추려 사용자의 선호에 부합하는 미디어 앨범을 자동 제작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받은 사진 및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등에 구현되는 미디어 앨범을 자동 생성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최적화된 사진만을 추려 사용자의 선호에 부합하는 미디어 앨범을 자동 제작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영상으로부터 썸네일을 자동 추출하도록 하여 해당 썸네일을 기반으로 미디어 앨범이 제작되도록 하며, 썸네일 클릭 시 동영상을 자동 재생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디어 앨범 제작 시에 사진 및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로 하여 해당 데이터에 적합한 텍스트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성향을 기반으로 하여 개별 데이터에 대한 앨범 배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업로드하는 자료입력모듈; 상기 앨범의 판형 및, 상기 판형에 따른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설정모듈; 상기 데이터를 상기 템플릿에 배치하는 배치모듈; 배치된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디어 앨범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앨범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데이터는,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획득부와, 상기 이미지로부터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사진그룹에 저장하는 썸네일추출부 및, 추출된 쌍기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동영상을 연동 처리하는 연동처리부를 포함하는 자료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치모듈은,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템플릿에 배치하는 썸네일배치부 및, 사용자에 의한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클릭에 따라 연동된 상기 동영상을 재생 처리하는 영상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료분석모듈은, 상기 사진 및 상기 이미지를 저대역 필터링 처리하여 1차 필터본을 획득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에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로부터 외곽선을 획득하는 외곽선검출부 및, 검출된 상기 외곽선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추출부는, 상기 객체가 인식된 상기 1차 필터본 중 어느 하나를 썸네일 이미지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자료분석모듈은, 이미지키워드가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객체가 인식된 상기 1차 필터본과 상기 기준이미지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대표키워드를 산출하는 키워드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템플릿설정모듈은, 상기 템플릿을 상기 데이터가 배치되는 데이터영역 및, 텍스트가 배치되는 텍스트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분할부 및, 상기 텍스트영역에 삽입되는 기준텍스트를 생성하는 기준텍스트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치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영역에 배치하는 데이터배치부와, 상기 기준텍스트에 상기 대표키워드 및 상기 데이터의 촬영날짜, 촬영장소를 반영하여 연관텍스트를 생성하는 연관텍스트생성부 및, 상기 연관텍스트를 상기 텍스트영역에 배치하는 텍스트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1)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받은 사진 및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등에 구현되는 미디어 앨범을 자동 생성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최적화된 사진만을 추려 사용자의 선호에 부합하는 미디어 앨범을 자동 제작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고,
2) 동영상으로부터 썸네일을 자동 추출하도록 하여 해당 썸네일을 기반으로 미디어 앨범이 제작되도록 하되, 썸네일 클릭 시 동영상을 자동 재생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였으며.
3) 미디어 앨범 제작 시에 사진 및 동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로 하여 해당 데이터에 적합한 텍스트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할뿐더러,
4)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파악된 성향을 기반으로 하여 개별 데이터에 대한 앨범 배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디어 앨범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온라인 미디어 앨범(1) 제작 시스템은, 앨범을 제작하고자 하는 사용자(10) 및, 사용자(1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미디어 앨범(1)을 자동 생성하는 메인서버(20)로 이루어진다.
사용자(10)는 앨범을 제작하고자 하는 주체로서, 사진이나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반적으로는 사진과 동영상을 함께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 처리하여 미디어 앨범(1) 생성을 시도한다. 이 때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도 있으며, 혹은 스마트폰 외에도 태블릿PC나 디지털카메라 등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Wi-fi 등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혹은 PC를 통해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메인서버(20)는 상기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앨범(1)을 생성하는 주체로서, 이러한 메인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미디어 앨범(1)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 웹페이지에 사용자(10)가 데이터를 업로드 할 경우 웹페이지에 업로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디어 앨범(1)을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미디어 앨범(1)은 어플리케이션(앱) 또는 웹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미디어 앨범(1)이 제작되는 환경은 온라인 환경이라면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 때 본 발명의 미디어 앨범(1) 제작 시스템은 단순히 업로드된 모든 사진이나 동영상을 단순 나열하는 형태로 미디어 앨범(1)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진이나 동영상 중 일부만을 추려 미디어 앨범(1)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10)의 선택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으며, 혹은 시스템, 즉 시스템을 관리하는 메인서버(20)가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미디어 앨범(1) 배치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초점이 나간 사진이나 동영상은 미디어 앨범(1)에 배치되지 않도록 자동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며, 나아가 사용자(10)의 선호도를 파악한다면 사용자(10)의 선호에 맞춰, 예를 들어 인물 사진을 선호하는 사용자(10)의 경우 인물 사진 위주의 미디어 앨범(1)을 제작하는 것 역시 가능하고, 풍경 사진이나 음식 사진을 선호하는 사용자(10)의 경우 해당 사용자(10)의 선호도에 맞춘 미디어 앨범(1)을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온라인 미디어 앨범(1) 제작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기본 구성 및,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미디어 앨범(1)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온라인 미디어 앨범(1) 제작 시스템은, 자료입력모듈(100)과, 템플릿설정모듈(200) 및, 배치모듈(300)과, 앨범제공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료입력모듈(100)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디지털카메라, PC 등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저장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10)가 소지한 데이터 중 앨범 제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후보군이 되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혹은 미디어 앨범(1)에 포함되었으면 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템플릿설정모듈(200)은 제작될 미디어 앨범(1)의 판형 및 템플릿(2)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판형 및 템플릿(2)은 사용자(10)의 선호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으며, 혹은 입력된 데이터의 수에 따라 조절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더불어 판형의 경우 해당 미디어 앨범(1)이 웹페이지를 통해 구현되는지,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지에 따라서도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웹용 판형 및 앱용 판형이 동시에 생성될 수도 있다.
템플릿(2)이라 함은 실제로 데이터가 배치되는 영역을 일컫는 말로서, 판형 내에서 템플릿(2)의 형태를 조절하여 데이터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템플릿(2)은 판형의 크기에 따라 조절되거나, 혹은 사용자(1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의 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배치모듈(300)은 사용자(10)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템플릿(2)에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데이터의 배치의 경우 입력받은 모든 데이터를 템플릿(2)에 배치할 수도 있고, 혹은 입력받은 데이터 중 일부만을 템플릿(2)에 배치할 수도 있다. 나아가 템플릿(2)에 데이터를 배치하는 순서는 무작위 배치일 수도 있으며, 혹은 시간 순에 따라, 혹은 사진이 촬영된 장소정보에 따라 배치 순서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판형에 따라 다양한 템플릿(2)이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배치모듈(300)에 의한 데이터 배치 형태 역시 해당 템플릿(2)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앨범제공모듈(400)은 배치된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종적인 미디어 앨범(1)을 생성하여 사용자(10)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미디어 앨범(1)은 템플릿(2)을 제외하고도 표지나 기타 디자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설정이나 사용자(10) 설정에 의해 설정된 표지나 기타 레이아웃 디자인을 포함하는 최종적인 미디어 앨범(1)을 생성하여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1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미디어 앨범(1)은 템플릿(2) 내에 추가기능제공영역(5)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추가기능제공영역(5)은 해당 미디어 앨범(1)에 접속할 수 있는 URL이 포함된 QR코드 또는 전자스탬프 등을 포함하여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QR코드 스캐닝을 통해 타인이 해당 미디어 앨범(1)에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거나, 촬영장소 인근 영역에 도달할 때나, 촬영장소 인근의 상점 등에 입장 시 사용자(10)가 지닌 스마트폰 등에 알림이 작동하도록 하고, 해당 알림 동작 시 추가기능제공영역(5)에 포함된 전자스탬프를 찍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미디어 앨범(1)과 부가되는 추가 기능을 더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도 2, 도 3과 더불어 도 4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온라인 미디어 앨범(1) 제작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 구성 및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은, 데이터에 포함된 동영상으로부터 썸네일 이미지를 자동 추출하고, 썸네일 이미지와 동영상을 상호 연동 처리하는 자료분석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자료분석모듈(500)은 썸네일 이미지 획득을 위해 보다 추가적인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자료분석모듈(500)에 포함된 이미지획득부(510)를 통해 입력된 동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 때 이미지의 추출이라 함은 일종의 동영상 캡쳐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동영상의 재생 시간 범위 내에서 복수개의 이미지에 대한 캡쳐를 수행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이라 보면 된다. 이 때 추출되는 이미지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10초, 30초, 1분 등 특정 시간 간격마다 캡쳐를 수행하여 이미지를 추출해내는 것 역시 가능하다.
그 후 썸네일추출부(520)를 통해 상기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썸네일 이미지로 추출하여 사진그룹에 저장한다. 이 때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썸네일 이미지로 추출하는 경우, 사용자(10)로부터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썸네일 이미지로서 저장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자료분석모듈(500) 내에서 자동적으로 이미지 중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썸네일 이미지의 자동 추출을 위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자료분석모듈(500)에 포함된 연동처리부(530)는 썸네일추출부(520)를 통해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와, 해당 썸네일 이미지가 포함된 동영상을 연동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어떤 동영상에서 해당 썸네일 이미지가 추출되었는지를 파악한 뒤, 썸네일 이미지와 동영상을 상호 링크 처리하여 연동 관계를 맺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이는 종래의 멀티미디어 링크와 그 기능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자료분석모듈(500)에 의해 동영상으로부터 썸네일 이미지가 추출되고 해당 썸네일 이미지와 동영상이 연동 처리 되는 경우, 미디어 앨범(1) 상에는 썸네일 이미지만을 배치시킨 뒤 썸네일 이미지의 클릭 시 해당 동영상이 웹 또는 앱 상에서 사용자(10)에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배치모듈(300)에 포함될 수 있는 썸네일배치부(310) 및 영상재생부(32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썸네일배치부(310)는 자료분석모듈(500)에 의해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를 템플릿(2) 상에 배치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10)의 미디어 앨범(1) 확인 시 해당 동영상의 대표 이미지라 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재생부(320)는 사용자(10)의 마우스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템플릿(2)에 배치된 썸네일 이미지가 클릭될 시, 썸네일 이미지와 연동 처리된 동영상을 재생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동영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나 어플리케이션 내부에서 별도의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사용자(10)는 썸네일 이미지를 통해 해당 동영상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먼저 확인한 다음, 썸네일 이미지 클릭 시 그 동영상을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미디어 앨범(1) 내에서는 사진앨범의 형태로 저장하되, 각각의 사진을 클릭할 시 동영상이 재생되는 식으로 미디어 앨범(1)을 구현해낼 수도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이미지로부터 썸네일 이미지를 지정할 시, 자료분석모듈(500)의 구성을 통해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자동 추출이 가능하다 하였다. 이에 대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자료분석모듈(500)은 필터링부(540)와, 외곽선검출부(550) 및, 객체인식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540)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1차 필터링이 거쳐진 1차 필터본을 얻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동영상으로부터 얻어진 이미지 뿐 아니라 사용자(10)가 입력한 사진에 대한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진과 이미지에 대한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함에 따라, 블러링을 거치게 되어 미세한 에지 성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대역 필터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진이나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을 기준으로 하여 선 변환 처리한 뒤 저대역 필터링을 수행할 t도 있다.
외곽선검출부(550)는 필터링부(540)를 통해 얻어진 1차 필터본에서 에지를 검출해 내고, 검출된 에지를 이용하여 외곽선을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외곽선은 1차 필터본 내에서 곡선을 나타내는 점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이미지라 함은 특정 객체를 촬영한 것이므로 여러 가지 객체나 그림자 등의 외곽선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외곽선을 획득하는 외곽선 검출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객체 인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객체인식부(560)는 검출된 외곽선을 기본으로 하여 1차 필터본에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검출된 외곽선을 포함하는 영역을 다수개로 설정한 뒤, 해당 영역 내에서 외곽선이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경우 객체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여 이를 제외할 수도 있다. 그 후 외곽선 중 폐곡선을 이루는 것은 완성된 특정 객체인 것으로 간주한 뒤, 이를 인식 처리하여 객체로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료분석모듈(500)을 통해 이미지나 사진 내에서 자동 객체 인식이 가능한 경우, 상기 썸네일 추출부는 객체가 인식 처리된 1차 필터본 중 어느 하나를 썸네일 이미지로 지정하게 된다. 즉 초점이 날아가지 않고 객체가 분명하게 인식되는 이미지만이 썸네일 이미지로 지정될 수 있으므로, 해당 동영상에 대한 대표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더 나아가 상기 자료분석모듈(500)에 의해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이를 단순 객체로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이 사진 또는 이미지가 무엇에 대해 촬영된 것인지, 즉 해당 사진이나 이미지가 담고 있는 키워드를 도출해내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키워드는 예를 들어 인물, 풍경, 물체 등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인물로서 남자, 여자, 여자아이, 남자아이, 혹은 유아, 영아 등으로 외곽선을 통해 파악된 폐곡선의 크기에 따라 세분화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진이나 이미지가 포함하는 키워드를 파악하기 위해, 상기 자료분석모듈(500)은 키워드가 이미 파악되어 있는 기준이미지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570)와, 1차 필터본으로부터 해당 사진이나 이미지에 대한 대표키워드를 산출해내는 키워드산출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70)는 해당 이미지가 무엇에 대해 촬영된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라 할 수 있는 이미지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기준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복수개의 음식에 대한 이미지에 음식이라는 이미지키워드를 설정한 뒤 기준이미지로서 저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키워드라 함은 사람, 사물, 음식 등일 수 있으며, 더 자세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물 중에서도 남자, 여자, 여자아이, 남자아이, 혹은 유아, 영아 등일 수 있다.
키워드산출부(580)는 상기 객체인식부(560)를 통해 파악된 객체의 형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570)에 저장된 기준이미지의 비교 처리를 통해 상기 1차 필터본에 포함된 객체의 대표키워드를 산출해내는 것으로서, 사용자(10)에 의해 업로드되어 필터링을 거친 1차 필터본에 있어 객체 인식이 완료된 경우, 해당 객체를 기준이미지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어떠한 이미지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며, 해당 이미지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대표키워드로서 산출하는 것이다. 이 때 하나의 1차 필터본에 대해 하나의 이미지키워드만이 도출되는 경우 해당 이미지키워드가 바로 대표키워드가 되며, 하나의 1차 필터본에 대해 여러 개의 이미지키워드가 도출되는 경우 폐곡선이 차지하는 영역이 큰, 즉 객체의 크기가 가장 큰 이미지키워드가 대표키워드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 혹은 다른 방법으로 대표키워드를 지정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겠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해당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대표키워드가 파악되는 경우, 해당 데이터가 무엇에 대해 촬영된 것인지를 키워드, 즉 텍스트로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 나아가 해당 텍스트를 미디어 앨범(1)에 포함하도록 하여 사용자(10)가 텍스트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사진 및 동영상이 무엇에 대해 촬영된 것인지 보다 쉽게 파악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템플릿설정모듈(200)은, 영역분할부(210) 및 기준텍스트생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설정모듈(200)에 포함될 수 있는 영역분할부(210)는 생성된 템플릿(2)을 사진이나 동영상, 즉 데이터가 배치되는 영역인 데이터영역(3)과, 상술한 바와 같이 대표키워드를 포함하는 텍스트가 배치되는 영역인 텍스트영역(4)으로 분할 처리한다. 이 때 도 3에서와 같이 데이터영역(3)과 텍스트영역(4)을 인접하게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및 텍스트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함은 물론이다.
기준텍스트생성부(220)는 상기 텍스트영역(4)에 삽입되는 일종의 양식이라 할 수 있는 기준텍스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OOOO년 OO월 OO일에 XXX에서 촬영된 YYY에 대한 사진/동영상’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준텍스트가 설정되는 경우 O 및 X, Y만 자동 삽입하게 되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데이터 및 텍스트를 함께 보여줄 수 있는 템플릿(2)이 제작된 경우, 배치모듈(300)에서도 데이터 및 텍스트를 함께 배치 처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배치모듈(300)은 데이터배치부(330), 연관텍스트생성부(340), 텍스트배치부(350)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배치부(330)는 배치모듈(300)의 기본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사진이나 동영상, 혹은 해당 동영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영역(3)에 배치 처리한다.
연관텍스트생성부(340)는 해당 데이터로부터 파악된 대표키워드 및 상기 데이터에 대한 촬영날짜, 촬영장소를 상기 기준텍스트에 반영하여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설명텍스트라 할 수 있는 연관텍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대표키워드가 음식, 촬영날짜가 2017년 3월 5일, 촬영장소가 서울시 강남구일 경우 해당 내용이 반영된 연관텍스트는 ‘2017년 3월 5일에 서울시 강남구에서 촬영된 음식에 대한 사진/동영상’ 이 되는 것이다.
텍스트배치부(350)는 상기 연관텍스트생성부(340)를 통해 생성된 연관텍스트를 텍스트영역(4)에 배치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 때 해당 연관텍스트는 연관텍스트에 포함된 대표키워드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인접하게 배치 처리된다. 즉, 특정 데이터가 이미 배치 처리된 경우, 해당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대표키워드, 촬영날짜, 촬영장소를 포함하는 연관텍스트는 해당 데이터가 배치된 데이터영역(3)과 인접한 텍스트영역(4)에 배치 처리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데이터 및 해당 데이터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디어 앨범(1)에 포함된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10)의 직관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술한 설명에서 특정 1차 필터본에 대해 복수개의 키워드가 산출되는 경우, 그 중 대표키워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 별도의 구성이 더 이용될 수 있다 하였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키워드산출부(580)는 1차 필터본으로부터 대표키워드를 산출해냄에 있어 1차 필터본에 포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여러개의 후보키워드를 파악해낸 뒤, 해당 후보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대표키워드로 지정할 수 있는데, 이 때 대표키워드 지정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키워드산출부(580)를 후보키워드산출파트(581), 군집화처리파트(582), 대표키워드설정파트(583)의 세부 구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후보키워드산출파트(581)는 1차 필터본으로부터 인식된 객체와 기준이미지를 단순 비교 처리하여 복수개의 이미지키워드를 산출해내어 이를 후보키워드로 파악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데이터, 즉 하나의 1차 필터본이 여러개의 객체를 담고 있는 경우 이미지키워드 역시 여러개가 파악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해당 객체들로부터 파악된 이미지키워드를 후보키워드로 지정한다.
군집화처리파트(582)는 파악된 후보키워드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후보키워드를 군집화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 때 바람직하게는 파악된 복수개의 후보키워드를 어소시에이션 팩터(Association Factor, AF)에 의해 군집화하여 후보키워드 군집화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때, 군집화에 이용되는 어소시에이션 팩터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2
는 후보키워드 x에 대한 후보키워드 y의 어소시에이션 팩터,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3
은 후보키워드 x와 근접한 후보키워드 y의 누적 합,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4
은 후보키워드 x와 근접한 전체 후보키워드의 누적 합,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5
는 후보키워드 x,y 상호간의 어소시에이션 팩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산출된 어소시에이션 팩터를 통해 복수개의 후보키워드를 군집화 처리함으로써, 해당 후보키워드 사이의 관계 뿐 아니라 하나의 데이터에서 동일한 객체가 여러 번 등장하는 경우(예를 들어 여러 명의 인물이 한 사진에 담긴 경우, 여러 개의 음식이 한 사진에 담긴 경우) 해당 객체에 대한 후보키워드가 등장하는 빈도수 역시 효과적으로 파악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어소시에이션 팩터 연산에 있어서는 특정 후보키워드와 근접한, 즉 관계가 유사한 (예를 들어 인물-여성, 인물-유아, 음식-음료) 후보키워드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어소시에이션 팩터를 계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군집화가 가능하다.
대표키워드설정파트(583)는 상술한 군집화처리파트(582)에 의해 군집화 처리된 결과를 바탕으로 후보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대표키워드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어소시에이션 팩터에 의해 군집화가 수행되어 연관관계 및 빈도수가 파악된 후보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대표키워드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데이터에 음식 및 인물이 모두 포함되어있다고 가정했을 때, 음식이라는 후보키워드가 1개, 인물 중에서도 유아라는 후보키워드가 3개, 인물이라는 후보키워드가 5개, 여자라는 후보키워드가 2개 산출된 경우 가장 빈도수가 높고 연관관계의 중점이 되는 인물이 대표키워드가 된다고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미디어 앨범(1) 제작 시스템은 배치모듈(300)에 의한 사진 및 동영상, 즉 데이터의 배치 시 모든 데이터를 배치 처리하는 것이 아닌 데이터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하였는데, 이러한 데이터 배치 여부에 있어 사용자(10)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10)의 성향을 파악해야 함은 물론인데,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고객성향파악모듈(600)을 통해 사용자(10)의 데이터에 대한 선호도를 설문을 통해 파악하고, 그를 기반으로 사용자(10)의 선호도 성향인 고객성향을 산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고객성향이 파악되는 경우, 배치모듈(300)에 포함될 수 있는 배치여부제어부(360)는 파악된 고객성향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템플릿(2) 배치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설문 결과로 파악된 고객성향이 인물 사진을 선호하는 경우, 인물 사진으로 파악된 데이터는 템플릿(2)에 배치 처리하고, 인물 사진이 아닌 데이터는 템플릿(2)에 배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앨범 배치에 대한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성향파악모듈(600)의 기능이 중요하다 할 수 있는데, 먼저 고객성향파악모듈(600)에 있어 사용자(10)의 선호도 파악 설문은 기본설문수행부(610)에 의해 진행될 수 있으며, 기본수행설문부를 통해 생성된 기본설문결과를 기반으로 성향파악부(620)가 사용자(10)의 고객성향을 산출해내게 된다.
기본설문수행부(610)는 사용자(10)로부터 데이터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설문을 수행하여 기본설문결과를 도출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인물 사진을 선호하는지, 음식 사진을 선호하는지, 풍경 사진을 선호하는지, 혹은 인물 사진 중에서도 아이 사진을 선호하는지, 여자 사진을 선호하는지 등을 설문을 통해 파악한다. 더불어 이와 같은 객체에 대한 성향 뿐 아니라, 촬영된 사진의 구도, 혹은 촬영된 사진의 밝기, 실내/야외 촬영 등 촬영 자체에 대한 성향을 물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객체에 대한 선호 성향 및 촬영 환경에 대한 선호 성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기본설문결과를 산출해내기 위해, 상기 기본설문수행부(610)는 선호성향입력파트(611)와, 촬영성향입력파트(612) 및, 비교산출파트(613)와, 쌍대비교처리파트(614)와, 고유치산출파트(615), 중요도산출파트(616), 최종수치산출파트(617), 설문결과도출파트(618)로 구성될 수 있다.
선호성향입력파트(611)는 사용자(10)로부터 객체에 대한 선호성향, 예를 들어 인물사진/음식사진/물건사진, 혹은 보다 세부적으로 여자사진/남자사진, 디저트사진/식사사진, 물건 중에서도 전자제품/화장품 등 특정 객체나 물체에 대한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을 디스플레이하여 각각의 상기 설문에 대한 선호수치를 입력받는 입력받는다. 이 때 선호수치는 바람직하게 매우 싫다->매우 좋다로 이루어져, 각 항목별로 점수가 부가된 수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싫다는 1점, 매우 좋다는 5점일 수 있는 것이다. 선호수치는 5단계, 7단계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촬영성향입력파트(612)는 사용자(10)로부터 촬영 조건, 예를 들어 구도(피사체중심, 배경중심)이나 사진의 밝기(어두운 사진, 밝은 사진), 촬영 장소(실내, 야외), 객체의 개수(복수/단수) 등과 같은 촬영 조건에 대한 촬영성향을 묻는 설문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설문에 대한 촬영수치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촬영수치 역시 바람직하게 매우 싫다->매우 좋다로 이루어져, 각 항목별로 점수가 부가된 수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싫다는 1점, 매우 좋다는 5점일 수 있는 것이다. 촬영수치도 마찬가지로 5단계, 7단계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 때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과 촬영성향을 묻는 설문은 동일한 유형인 것을 기본으로 하나, 유형이 비슷할 뿐 설문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설문 문항은 동일할 수도,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설문의 개수는 동일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비교산출파트(613)는 선호성향입력파트(611) 및 촬영성향입력파트(612)에 의해 입력된, 각각의 설문에 대한 선호수치 및 촬영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비교수치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선호성향과 촬영성향을 비교 처리하여 비교수치를 산출해낸다. 따라서 객체에 대한 선호성향 및 촬영구도나 촬영환경에 대한 성향이 서로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판단해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비교수치 산출에 있어서는 다음의 수학식이 이용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6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7
는 상기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8
번째 설문에 대한 비교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09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0
번째 설문에 대한 선호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1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2
번째 설문의 선호수치에 대한 중요도로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3
,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4
는 상기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5
번째 설문에 대한 촬영수치를 의미한다.
이 때 선호수치에 대한 중요도는 기 설정될 수 있는 값으로서, 사용자(10)에 의해 중요도를 설정받거나, 혹은 설문에 n개 중 특정 설문이 중요한 설문이라고 이미 시스템 상에서 파악된 경우, 해당 설문에 입력된 선호수치에 대해서만 높은 중요도가 시스템 상에서 기 지정될 수도 있다.
더불어 촬영구도나 촬영환경에 대한 성향이 중요하다고 하나, 가장 중요한 성향은 촬영된 객체에 대한 선호성향이다. 따라서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 및 선호수치에 대해서는 보다 세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비교산출파트(613), 쌍대비교처리파트(614), 고유치산출파트(615), 중요도산출파트(616)가 이용된다.
쌍대비교처리파트(614)는 상기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선호수치를 쌍대 비교 처리하여 쌍대비교행렬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에 포함된 각각의 질문에 대한 선호수치가 입력되었을 때, 각각의 질문에 대한 중요도 판단을 위한 준비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중요도 판단은 쌍대비교행렬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쌍대비교행렬을 생성하게 된다. 이 때 생성되는 쌍대비교행렬은 다음과 같다.
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6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7
은 상기 선호수치 각각을 쌍대 비교한 쌍대비교행렬로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8
정사각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19
는 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0
의 원소,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1
는 상기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2
개 중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3
번째 요소의 상대중요도,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4
은 설문의 총 개수이다.
이 때 상대중요도는 기 설정될 수 있는 값으로서, 사용자(10)에 의해 중요도를 설정받거나, 혹은 설문에 n개 중 특정 설문이 중요한 설문이라고 이미 시스템 상에서 파악된 경우, 해당 설문들에 대해서만 높은 상대중요도가 시스템 상에서 기 지정될 수도 있다.
고유치산출파트(615)는 상술한 쌍대비교처리파트(614)를 통해 생성된 쌍대비교행렬에 대한 고유치를 산출하는 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쌍대비교행렬 작성이 이루어지면 해당 행렬로부터 고유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 때 고유치 산출을 위해서는 고유방정식을 작성하고 그에 대한 해를 구하는 방식을 통해 고유치를 산출할 수 있는데, 이 때 고유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행렬식(determinant)가 이용되며, 행렬식의 답을 도출하는 방식을 통해 고유치를 산출해낼 수 있다. 이러한 고유치는 단일 값으로 나타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값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 때 고유치는 다음의 수학식의 해를 구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5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6
는 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7
의 고유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8
Figure 112017106688517-pat00029
단위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0
은 설문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술한 수학식, 증 행렬식의 답을 도출해냄으로써 고유치를 산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중요도산출파트(616)는 상기 고유치를 기반으로 상기 쌍대비교행렬로부터 중요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만약 고유치가 복수의 값으로 나타나는 경우 고유치의 최대값을 기반으로 중요도를 산출한다. 이 때 산출되는 중요도는 설문에 포함된 각각의 질문에 대한 중요도로서, 각각의 질문별 중요도가 고유치를 기반으로 산출된다.
최종수치산출파트(617)는 상기 비교수치에 중요도산출파트(616)에 의해 파악된 중요도를 반영하여 설문별 최종수치를 산출해내는 것으로서,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이 때의 중요도는 고유치이거나, 고유치의 최대값일 수 있다. 더하여 설문별 최종수치에 있어서는 별도의 가중치가 더 부여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가중치는 별도의 설정을 통해 지정되거나 혹은 사용자(10)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혹은 시스템 상에서 기본 설정된 가중치일 수도 있다. 최종수치산출은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학식 6,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1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2
는 상기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3
번째 설문에 대한 최종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4
는 상기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5
번째 설문에 대한 비교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6
는 쌍대비교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7
의 고유치 중 최댓값,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8
Figure 112017106688517-pat00039
번째 설문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한다.
설문결과도출파트(618)는 최종수치산출파트(617)에 의해 판단된 설문별 최종수치를 취합하여 기본설문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설문별 최종수치 각각을 판단하여 최종수치를 비교 처리함으로써 해당 사용자(10)가 야외에서 밝은 밝기로 촬영된, 인물이 중심에 배치된 사진을 좋아하는지, 혹은 실내에서 어두운 밝기로 촬영된, 물체가 오른쪽 하방에 배치된 구도의 사진을 좋아하는 지등의 기본설문결과를 파악해내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기본설문결과는 성향파악부(620)에 의해 고객성향으로서 산출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고객성향 파악 시 상술한 자료분석모듈(500)을 통해 파악된 데이터의 대표키워드 및 기본설문결과를 반영해낼 수도 있으며, 이에 더해 자료분석모듈(500)을 통해 객체의 배치좌표, 즉 구도를 자동 판단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고객성향을 산출해낼 수 있다. 이는 사용자(10)가 특정 구도의 데이터를 선호하는지 설문을 통해 파악한 값 뿐 아니라, 사용자(10)가 어떠한 구도의 데이터를 자주 생성해내는지 (촬영하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보다 정규화된 고객성향을 파악해내는 것이다.
이 때 배치좌표 파악을 위해서는 자료분석모듈(500)에 배치좌표파악부(59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배치좌표파악부(590)는 객체가 파악된 1차 필터본에서의 객체의 배치좌표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는 1차 필터본을 벡터화 처리하여 각각의 좌표를 파악한 뒤, 객체가 배치된 배치좌표를 파악함으로써 해당 데이터의 구도를 자동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와 같이 보다 정규화된 고객성향 파악 시, 설문을 통해 파악된 객체 촬영 성향 뿐 아니라, 사용자(10)가 실제로 어느 객체를 촬영했는지를 파악하여, 즉 데이터로부터 파악된 대표키워드를 기반으로 어느 객체를 주로 촬영했는지를 자동 파악함으로써 사용자(10)의 실제 객체 촬영 경향을 고객성향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객성향파악모듈(600)은 키워드리스트생성부(630)와, 경향수치파악부(640), 비교데이터산출부(660), 수치산출부(670)를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10)로부터 생성된 대표키워드의 경향 뿐 아니라 경향이 비슷한 사용자(10)를 그룹화하고, 그룹화 내에서의 비교 처리를 통한 최종 촬영 경향인 경향최종수치를 산출해낼 수 있으며, 이 경우 성향파악부(620)는 상기 대표키워드 및 상기 배치좌표와 상기 기본설문결과 및 상기 경향최종수치를 모두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고객성향을 산출해낼 수 있게 된다.
키워드리스트생성부(630)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10)가 업로드한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대표키워드를 기반으로 키워드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데이터마다 하나의 대표키워드가 생성되므로, 키워드리스트에 포함된 대표키워드의 수는 사용자(10)가 업로드한 데이터의 수와 일치하게 된다.
경향수치파악부(640)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상기 키워드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10)의 경향수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팩터들이 반영된 연속적 값을 산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후술할 유사성향분류부(650)가 최근린법 매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경향수치를 산출하게 된다.
수학식,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0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1
는 산출된 사용자(10)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2
의 경향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3
는 관찰된 사용자(10)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4
의 키워드특성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5
는 사용자(10)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6
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개수를 의미한다.
이 때 경향수치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10)가 어떠한 키워드특성(인물, 음식, 배경)을 갖는 대표키워드를 주로 생성하였는지에 대한 키워드특성수치를 반영할 뿐 아니라, 데이터의 수 등을 파악하여, 즉 촬영에 있어서의 경향을 반영하여 수치화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이 때 키워드특성을 수치화하는 수치화 방식 또는 수치화될 수 있는 팩터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 때 산출된 값들은 연속적인 값을 나타내므로, 경향수치가 산출된 사용자(10)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산출된 경향수치를 기반으로 보다 심층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고객성향파악모듈(600)에 포함될 수 있는 유사성향분류부(650)가 최근린법 매칭을 수행하여 경향수치가 유사한 상기 사용자(10)를 유사성향그룹으로 분류한다.
이 때 최근린법 매칭은 그리디 알고리즘(Greedy algorithm)을 이용하여 경향점수가 가장 비슷한 피험자를 통제집단 내에서 찾는 방식이며, 최근린법 매칭은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수행된다.
수학식,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7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8
는 경향수치가
Figure 112017106688517-pat00049
인 사용자(10)와 유사성향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10),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0
는 사용자(10)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1
의 경향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2
는 사용자(10)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3
의 경향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4
는 상기 시스템에 등록된 전체 사용자(10) 집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최근린법 매칭에 의해 사용자(10)가 집단화되어 짝을 이루게 되면, 유사성향을 나타내는 사용자(10)가 집단화된 그룹인 유사성향그룹 내에서 키워드리스트의 상호 비교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비교데이터산출부(660)를 통해 하나의 유사성향그룹에 포함된 사용자(10) 간의 키워드리스트의 비교,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사성향그룹 내에서 하나의 사용자(10) 및 다른 사용자(10) 사이의 쌍대비교 처리를 통해 비교데이터를 생성해낼 수 있으며, 수치산출부(670)를 통해 산출된 비교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사용자(10)에 대한 수치화된 경향최종수치를 산출해낼 수 있다. 이 때 경향최종수치는 대표키워드 생성 경향 뿐 아니라, 유사한 대표키워드 생성 경향을 보이는 그룹 내에서의 상호 비교를 통해 각 사용자(10)가 어떠한 특색을 보이는지를 더 파악한 값이므로 보다 세밀화된 경향 파악이 가능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미디어 앨범(1) 제작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미디어 앨범 2 : 템플릿
3 : 데이터영역 4 : 텍스트영역
5 : 추가기능제공영역 10 : 사용자
20 : 메인서버 100 : 자료입력모듈
200 : 템플릿설정모듈 210 : 영역분할부
220 : 기준텍스트생성부 300 : 배치모듈
310 : 썸네일배치부 320 : 영상재생부
330 : 데이터배치부 340 : 연관텍스트생성부
350 : 텍스트배치부 360 : 배치여부제어부
400 : 앨범제공모듈 500 : 자료분석모듈
510 : 이미지획득부 520 : 썸네일추출부
530 : 연동처리부 540 : 필터링부
550 : 외곽선검출부 560 : 객체인식부
570 : 데이터베이스 580 : 키워드산출부
581 : 후보키워드산출파트 582 : 군집화처리파트
583 : 대표키워드설정파트 590 : 배치좌표파악부
600 : 고객성향파악모듈 610 : 기본설문수행부
611 : 선호성향입력파트 612 : 촬영성향입력파트
613 : 비교산출파트 614 : 쌍대비교처리파트
615 : 고유치산출파트 616 : 중요도산출파트
617 : 최종수치산출파트 618 : 설문결과도출파트
620 : 성향파악부 630 : 키워드리스트생성부
640 : 경향수치파악부 650 : 유사성향분류부
660 : 비교데이터산출부 670 : 수치산출부

Claims (13)

  1.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업로드하는 자료입력모듈;
    상기 앨범의 판형 및, 상기 판형에 따른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설정모듈;
    상기 데이터를 상기 템플릿에 배치하는 배치모듈;
    배치된 상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디어 앨범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앨범제공모듈;
    이미지키워드가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입력받은 상기 사진을 저대역 필터링 처리하여 1차 필터본을 획득하는 필터링부와,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에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로부터 외곽선을 획득하는 외곽선검출부 및, 검출된 상기 외곽선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와, 객체가 인식된 상기 1차 필터본과 상기 기준이미지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대표키워드를 산출하는 키워드산출부 및, 상기 1차 필터본 내에서 상기 객체의 배치좌표를 파악하는 배치좌표파악부를 포함하는 자료분석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수행하여 기본설문결과를 도출하는 기본설문수행부 및, 상기 기본설문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고객성향을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로부터 파악된 상기 대표키워드 및 상기 배치좌표와 상기 기본설문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고객성향을 산출하는 성향파악부와, 각각의 상기 사용자로부터 산출된 대표키워드를 기반으로 키워드리스트를 생성하는 키워드리스트생성부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상기 키워드리스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경향수치를 산출하는 경향수치파악부와, 최근린법 매칭을 통해 상기 경향수치가 유사한 상기 사용자를 유사성향그룹으로 분류하는 유사성향분류부 및, 상기 유사성향그룹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간 생성된 상기 키워드리스트를 비교 처리하여 비교데이터를 생성하는 비교데이터산출부 및, 상기 비교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수치화된 경향최종수치를 산출하는 수치산출부를 포함하는 고객성향파악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배치모듈은,
    상기 고객성향에 따라 각각의 상기 데이터의 배치여부를 제어하는 배치여부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향파악부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파악된 상기 대표키워드 및 상기 배치좌표와 상기 기본설문결과 및 상기 경향최종수치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고객성향을 산출하며,
    상기 경향수치파악부는,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상기 경향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수학식,
    Figure 112018058934372-pat00113

    (여기서,
    Figure 112018058934372-pat00114
    는 산출된 사용자
    Figure 112018058934372-pat00115
    의 경향수치,
    Figure 112018058934372-pat00116
    는 관찰된 사용자
    Figure 112018058934372-pat00117
    의 키워드특성수치,
    Figure 112018058934372-pat00118
    는 사용자
    Figure 112018058934372-pat00119
    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개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사진 및 동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복수개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획득부와,
    상기 이미지로부터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썸네일추출부 및,
    추출된 상기 썸네일 이미지와 상기 동영상을 연동 처리하는 연동처리부를 포함하는 자료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치모듈은,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템플릿에 배치하는 썸네일배치부 및,
    사용자에 의한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클릭에 따라 연동된 상기 동영상을 재생 처리하는 영상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분석모듈은,
    상기 사진 및 상기 이미지를 저대역 필터링 처리하여 1차 필터본을 획득하는 필터링부 및,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에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로부터 외곽선을 획득하는 외곽선검출부 및,
    검출된 상기 외곽선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추출부는,
    상기 객체가 인식된 상기 1차 필터본 중 어느 하나를 썸네일 이미지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분석모듈은,
    이미지키워드가 설정된 복수개의 기준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객체가 인식된 상기 1차 필터본과 상기 기준이미지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대표키워드를 산출하는 키워드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템플릿설정모듈은,
    상기 템플릿을 상기 데이터가 배치되는 데이터영역 및, 텍스트가 배치되는 텍스트영역으로 분할하는 영역분할부 및,
    상기 텍스트영역에 삽입되는 기준텍스트를 생성하는 기준텍스트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치모듈은,
    상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영역에 배치하는 데이터배치부와,
    상기 기준텍스트에 상기 대표키워드 및 상기 데이터의 촬영날짜, 촬영장소를 반영하여 연관텍스트를 생성하는 연관텍스트생성부 및,
    상기 연관텍스트를 상기 텍스트영역에 배치하는 텍스트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산출부는,
    객체가 인식된 상기 1차 필터본과 상기 기준이미지를 비교 처리하여 상기 1차 필터본으로부터 복수개의 후보키워드를 파악하는 후보키워드산출파트와,
    파악된 복수개의 후보키워드를 군집화 처리하는 군집화처리파트 및,
    상기 군집화 처리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후보키워드 중 어느 하나를 대표키워드로 설정하는 대표키워드설정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군집화처리파트는,
    파악된 복수개의 후보키워드를 어소시에이션 팩터(Association Factor, AF)에 의해 군집화하되,
    상기 어소시에이션 팩터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5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6
    는 후보키워드 x에 대한 후보키워드 y의 어소시에이션 팩터,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7
    은 후보키워드 x와 근접한 후보키워드 y의 누적 합,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8
    은 후보키워드 x와 근접한 전체 후보키워드의 누적 합,
    Figure 112017106688517-pat00059
    는 후보키워드 x,y 상호간의 어소시에이션 팩터를 나타낸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향분류부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최근린법 매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수학식 3,
    Figure 112018058934372-pat00067

    (여기서,
    Figure 112018058934372-pat00068
    는 경향수치가
    Figure 112018058934372-pat00069
    인 사용자와 유사성향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
    Figure 112018058934372-pat00070
    는 사용자
    Figure 112018058934372-pat00071
    의 경향수치,
    Figure 112018058934372-pat00072
    는 사용자
    Figure 112018058934372-pat00073
    의 경향수치,
    Figure 112018058934372-pat00074
    는 상기 시스템에 등록된 전체 사용자 집단)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설문수행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을 디스플레이하여 각각의 상기 설문에 대한 선호수치를 입력받는 선호성향입력파트 및,
    상기 사용자에게 촬영성향을 묻는 설문을 디스플레이하여 각각의 상기 설문에 대한 촬영수치를 입력받는 촬영성향입력파트 및,
    각 설문에 대한 상기 선호수치 및 상기 촬영수치를 비교 처리하여 비교수치를 산출하는 비교산출파트와,
    상기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에 포함된 각각의 상기 선호수치를 쌍대 비교 처리하여 쌍대비교행렬을 생성하는 쌍대비교처리파트와,
    상기 쌍대비교행렬을 기반으로 고유치를 산출하는 고유치산출파트와,
    상기 고유치를 기반으로 상기 쌍대비교행렬로부터 중요도를 산출하는 중요도산출파트와,
    상기 비교수치에 상기 중요도를 반영하여 상기 설문별 최종수치를 산출하는 최종수치산출파트와,
    상기 설문별 최종수치를 기반으로 상기 기본설문결과를 도출하는 설문결과도출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산출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상기 비교수치를 산출하고,
    상기 쌍대비교처리파트는,
    다음의 행렬 A로 나타나는 쌍대비교행렬을 생성하며,
    쌍기 고유치산출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5를 통해 고유치를 산출하며,
    상기 최종수치산출파트는,
    다음의 수학식 6을 기본으로 상기 설문별 최종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수학식 4,
    Figure 112017106688517-pat00075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76
    는 상기
    Figure 112017106688517-pat00077
    번째 설문에 대한 비교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78
    Figure 112017106688517-pat00079
    번째 설문에 대한 선호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0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1
    번째 설문의 선호수치에 대한 중요도로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2
    ,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3
    는 상기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4
    번째 설문에 대한 촬영수치)
    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5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6
    은 상기 선호수치 각각을 쌍대 비교한 쌍대비교행렬로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7
    정사각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8
    는 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89
    의 원소,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0
    는 상기 선호성향을 묻는 설문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1
    개 중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2
    번째 요소의 상대중요도,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3
    은 설문의 총 개수)
    수학식 5,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4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5
    는 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6
    의 고유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7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8
    단위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099
    은 설문의 총 개수)
    수학식 6,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0

    (여기서,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1
    는 상기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2
    번째 설문에 대한 최종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3
    는 상기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4
    번째 설문에 대한 비교수치,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5
    는 쌍대비교행렬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6
    의 고유치 중 최댓값,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7
    Figure 112017106688517-pat00108
    번째 설문에 대한 가중치)
KR1020170141367A 2017-10-27 2017-10-27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KR10193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367A KR101931225B1 (ko) 2017-10-27 2017-10-27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367A KR101931225B1 (ko) 2017-10-27 2017-10-27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225B1 true KR101931225B1 (ko) 2018-12-20

Family

ID=6495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367A KR101931225B1 (ko) 2017-10-27 2017-10-27 온라인 미디어 앨범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2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078B1 (ko) * 2014-05-29 2016-04-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5078B1 (ko) * 2014-05-29 2016-04-0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7943B2 (en) Determining image-based product from digital image collection
US8761523B2 (en) Group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US20130050747A1 (en) Automated photo-product specification method
US20120027311A1 (en) Automated image-selection method
US20130130729A1 (en) User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US9336442B2 (en) Selecting images using relationship weights
US20130128038A1 (en) Method for making event-related media collection
US201400931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management
US20120030575A1 (en) Automated image-selection system
WO2012073421A1 (ja) 画像分類装置、画像分類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集積回路、モデル作成装置
WO2015070320A1 (en)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20170293637A1 (en) Automated multiple image product method
CN114138992A (zh) 基于用户行为的内容推荐的系统和方法
WO2014005022A1 (en) Individualizing generic communications
CN106454064A (zh) 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US8831360B2 (en) Making image-based product from digital image collection
Ahmad et al. USED: a large-scale social event detection dataset
JP666083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07403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at extract person groups to which a person belongs based on a correlation
US8406461B2 (en) Automated template layout system
US20120027303A1 (en) Automated multiple image product system
US8406460B2 (en) Automated template layout method
JP2014092955A (ja) 類似コンテンツ検索処理装置、類似コンテンツ検索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80254A (ja) コンテンツ分類方法および装置
JP2020140557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