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211B1 - 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 - Google Patents

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211B1
KR101931211B1 KR1020170119184A KR20170119184A KR101931211B1 KR 101931211 B1 KR101931211 B1 KR 101931211B1 KR 1020170119184 A KR1020170119184 A KR 1020170119184A KR 20170119184 A KR20170119184 A KR 20170119184A KR 101931211 B1 KR101931211 B1 KR 10193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core
elastic body
cover
knee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이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석 filed Critical 이호석
Priority to KR102017011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2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load acting on the knee, such as when walking or climbing, thereby preventing the weakened knee from becoming worse and helping rehabilitation. The knee protector comprises: a cover covering the knee area; and a load reduction modul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with an elastic body and a core which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from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body. The core is divided into an upper core and a lower cor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re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re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distance therebetween.

Description

무릎 보호대 및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 with knee protector and knee protector}

본 발명은 무릎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행시나 등산을 하는 경우 등 무릎에 작용하는 부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약화된 무릎이 더욱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무릎 보호대 및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ee protector and knee protector capable of reducing the load acting on the knee, such as when walking or climbing, To a bottom having a protector.

누구라도 성인이 된 이후에는 나이가 들수록 신체 기능이 떨어지게 되며, 특히 40대 이후 부터는 더욱 건강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근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건강 유지를 위해 다양한 운동을 꾸준히 함으로써 근력의 감소를 늦추어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Anyone who becomes an adult will become less able to function as he gets older, especially after his 40s. In recent years, many people are trying to maintain a healthy life by slowing the decrease of strength by keeping various exercises for health maintenance.

중년 이후의 많은 사람들은 건강유지를 위해 등산을 많이 하고 있으며,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경사지를 오르내리다 보면 무릎에 많은 하중이 실려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Many people after middle age have been climbing to maintain their health, and many people complain of knee pain with heavy loads on their knees when climbing up or down the stairs,

특히, 내리막길에서는 더욱 무릎 관절에 힘이 많이 작용하므로 하산시에는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Particularly, since the force on the knee joint is much higher on the downhill road, much care is required in Hassan.

무릎이 좋지 않으면 일상생활에도 많은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미리 조심할 필요가 있고,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기능저하 및 불의의 사고로 인해 무릎에 부상을 입은 경우에는 더 이상의 악화를 막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If your knee is not good, you will need to be careful before you kneel so that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in your daily life. If you are injured in knee due to natural malfunction due to aging and injuries, Efforts will be needed.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된 20-0484137호의 "무릎 보호용 하의"가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protecting the knee, there is a "under knee protection " of the Utility Model No. 20-0484137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릎 보호용 하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하의 내부에 설치되는 무릎보호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및 복부에 착용되는 하의(10), 상기 하의(10)의 무릎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무릎보호대(20), 상기 하의(10)에 무릎보호대(20)를 장착하도록 무릎 부위에 설치되는 개폐수단(11)을 포함하며, 특히 무릎보호대(20)는 무릎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관절링(21), 상기 관절링(2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대(22), 무릎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무릎의 앞부분과 뒷부분이 직접 접촉되지 않게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개방부(27), 상기 무릎보호대(20)를 무릎 및 다리에 안착되게 하고, 무릎보호대(20)의 흘러내림을 줄이도록 개방부(27)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밴드부(23), 상기 무릎보호대(20)가 다리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르 유지하도록 풀리거나 조여지게 상기 무릎보호대(20)의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감아주는 형태로 설치되는 조임부재(25), 상기 조임부재(25)를 풀어주거나 조일 수 있도록 상기 무릎보호대(20)의 외면에 설치되는 조절다이얼(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protecto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knee joi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nee protector shown in FIG. 1, A knee protector 20 installed to surround the knee protector 20 and a knee protector 20 installed on the knee protector 20 so as to mount the knee protector 20 on the lower protector 10, A support base 22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joint ring 21, a front and a rear part of the knee so that the knee can move smoothly, An opening 27 formed to be opened so as not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knee protector 20 so that the knee protector 20 is seated on the knee and the leg and the knee protector 20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Respectively A clamping member 25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protector 20 so as to be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protector 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held or tightened so as to maintain the knee protector 20 firmly in contact with the leg, And an adjustment dial 26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knee protector 20 so as to release or tighten the tightening member 25.

종래기술의 경우 무릎 부위의 움직임에 따른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절링(21)을 이용하여 무릎이 굽혀지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릎보호대를 제공하고 있느나, 관절링 형태는 파손의 우려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knee protector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nding the knee by using the joint ring 21 that enables rot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knee region in the conventional art. Is complicated.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84137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484137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이루어 제작이 용이하고 쉽게 착용이 가능한 무릎 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nee protector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being easily manufactured and easily worn.

그리고 본 발명은 하의에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는 무릎 보호대가 구비되는 하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knee protector which can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knee protector.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무릎 보호대는, 무릎 부위를 감싸게 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좌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기 탄성체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로 이루어지는 부하 저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nee protector comprising: a cover for covering a knee; And a load reduction modul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core including an elastic body and a core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body.

그리고 상기 코어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코어의 하단과 상기 하부 코어의 상단은 상호간 이격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e is divided into an upper core and a lower cor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re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re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distance therebetween.

그리고 상기 상부 코어의 상단과 상기 하부 코어의 하단은 상기 탄성체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upper end of the upper core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core are fixedly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body.

또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부하 저감모듈의 전후로 보아시스템이 연결되어 무릎을 감싸게 되는 상기 커버의 조임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is a coil spring, and the system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load reduction module, so that the tightness of the cover to cover the knee can be adjusted.

한편, 본 발명은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로서, 하의; 상기 하의의 무릎 부위를 이루는 커버; 상기 커버의 좌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기 탄성체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로 이루어지는 부하 저감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ttom with a knee protector. A cover forming the knee area of the lower part; And a load reduction modul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ncluding a core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body and the elastic body.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코어의 하단과 상기 하부 코어의 상단은 상호간 이격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코어의 상단과 상기 하부 코어의 하단은 상기 탄성체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부하 저감모듈의 전후로 보아시스템이 연결되어 무릎을 감싸게 되는 상기 커버의 조임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re is divided into an upper core and a lower cor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re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re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elastic body is a coil spring, and the system is connect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load reduction module so that the degree of tightening of the cover, which covers the knee, can be adjusted .

본 발명에 의한 무릎 보호대 및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는 쉽게 착용이 가능하며, 하의 형태로 제공하게 되면 무릎 보호대가 흘러 내리지 않아 정확한 위치에서 무릎 보호대가 제 역할을 하여 무릎에 작용하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knee protector and the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worn, and when the knee protector is provided in a lower form, the knee protector does not flow down, so that the knee protector acts at the correct position, .

그리고 본 발명은 무릎이 약하거나 불편함이 있는 사람들이 착용하게 되면 보행시 불편함을 줄여줄 수 있고, 무릎의 악화를 방지하여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inconvenience when the wearer wears a weak knee or an inconvenience, and can prevent the knee from worsening, thereby helping the patient to be trea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릎 보호용 하의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하의 내부에 설치되는 무릎보호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릎 보호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부하저감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무릎 보호대에 보아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무릎 보호대가 적용된 하의를 보여주는 개념도.
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knee pro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ee protector installed in the lower part.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ad reduction module.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case where a bore system is applied to a knee protector. Fig.
FIG.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lower part to which a knee protector is applied.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릎 보호대 및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knee protector and knee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Reference will now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릎 보호대에 관련되는 것이며, 무릎 부위를 감싸는 커버와 커버의 좌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되, 탄성체와 탄성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탄성체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로 이루어지는 부하 저감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rotector and includes a cover for covering a knee portion and a load reduction module which is composed of a core which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ver and which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body and the elastic body. It is.

또한, 본 발명은 무릎 보호대가 바지와 같은 하의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knee protector can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art like a trouser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릎 보호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4는 부하저감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무릎 보호대에 보아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무릎 보호대가 적용된 하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nee bol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ad reduction module, FIG. 5 is an illustration of a knee protector applied to a knee protector,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lower part to which the protector is applied.

먼저, 무릎 부위에 필요시 착용이 가능한 무릎 보호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First, describe the knee protector, which can be worn when needed in the knee area.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보호대(100)를 구성하는 한 요소인 커버(110)는 무릎 부위를 직접 감싸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커버(110)는 탄력이 있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ver 110, which is an element of the knee protector 100, directly covers the knee area. Preferably, the cover 110 is made of elastic fibers.

무릎에 착용되는 커버(110)의 좌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부하 저감모듈(120)이 하나씩 결합되는데, 부하 저감모듈(120)은 탄성체(120a) 탄성체(120a)의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120b)로 이루어진다.The load reduction module 12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110. The load reduction module 120 includes a core 120b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120a, .

탄성체(120a)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것을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탄성체(120a)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120b)는 분리되어 있는 상부 코어(121)와 하부 코어(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body 120a may be made of a coil spring or the like and the core 120b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120a may include 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core 122 separated from each other.

그리고 탄성체(120a)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되, 두 개의 코일 스프링을 활용할 수 있다. 제1코일 스프링 내부에 제2코일 스프링이 삽입되며, 둘 중 하나는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Further, a coil spring is used as the elastic body 120a, but two coil springs can be utilized. A second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il spring, one of them is a tension coil spring, and the other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예를 들어, 제1코일 스프링은 상하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며, 제2코일 스프링은 수직하중 작용시 하중이 무릎 관절에 집중되는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coil spring serves to push up and down, and the second coil spring serves to prevent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knee joint when a vertical load is applied.

상부 코어(121)는 탄성체(120a)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며, 하부 코어(122)는 탄성체(120a)의 하단으로부터 삽입되고, 상부 코어(121)의 하단과 하부 코어(122)의 상단은 상호간 이격거리를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된다.The upper core 121 is inser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body 120a and the lower core 122 is inser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120a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re 121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re 12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y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at a distance.

상부 코어(121)와 하부 코어(122)는 적당한 길이를 갖는 봉상부재와 같은 것이며, 직선을 이루는 딱딱한 소재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부 코어(121)와 하부 코어(122)는 서로 마주보되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이격거리 부위가 관절 역할을 하게 된다.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core 122 are the same as the rod-shaped members having an appropriate length, and use a rigid linear material. Since 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core 122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spacing distance, the spacing distance portion serves as a joint.

따라서 커버(110)의 좌우측에 하나씩 설치되는 부하 저감모듈(120)은 무릎이 굽혀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관절 역할을 하는 탄성체(120a)의 상하 길이 중간 부위가 굽혀지게 되며, 이후 무릎이 펴지게 되면 탄성체(120a)의 탄력에 의해 무릎을 펼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knee is bent, the load reduction module 120 install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110 bends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elastic body 120a, which naturally acts as a joint. When the knee is extended, So that the knees can be unfold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arms 120a.

그리고 무릎 보호대(100)가 무릎을 감싸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부하 저감모듈(120)의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에 의해 무릎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하중을 분산시켜 무릎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Since the knee protector 100 is fixed while being wrapped around the knee, 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core 122 of the load reduction module 120 disperse the load acting on the kne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rotect the knee .

탄성체(120a)에 삽입되는 상부 코어(121)의 상단과 하부 코어(122)의 하단은 탄성체(120a)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re 122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120a are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body 120a, respectively.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는 탄성체(120a)에 삽입되되 일정한 위치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부 코어(121)의 상단은 탄성체(120a) 상단에 구속되게 하고, 하부 코어(122)의 하단은 탄성체(120a)의 하단에 구속 연결되게 하는 것이다.Since 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core 122 are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120a and must maintain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re 121 is constrained to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body 120a, And the lower end is constrain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120a.

상부 코어(121)의 상단 및 하부 코어(122)의 하단은 T 자 형상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돌기(P)가 형성되게 하여 탄성체(120a)에 걸리도록 하거나, 재봉을 통해 커버(110)와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re 122 are formed to have a protrusion P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form a T shape so as to be caught by the elastic body 120a, .

바람직하게 커버(110)에 부착되는 부하 저감모듈(1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고 외관을 고려하여 부하 저감모듈(120)을 커버(110)에 고정 연결하기 위해 홀더(130)를 설치할 수 있다.The holder 130 may be installed to secure the position of the load reduction module 120 attached to the cover 110 and securely connect the load reduction module 120 to the cover 110 considering the external appearance.

홀더(130) 역시 섬유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탄성체(120a), 상부 코어(121) 및 하부 코어(122)를 감싸게 되고, 커버(110)에 재봉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The holder 130 can also be made of a fibrous material and can wrap the elastic body 120a, 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core 122 and can be joined to the cover 110 through sewing.

그리고 사람마다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무릎의 둘레 사이즈도 제각각 이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맞게 조정하면서 사용 가능하도록 커버(110)에 결합된 부하 저감모듈(120)의 전후로 보아시스템(140)을 마련하여 커버(110)의 조임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body is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the circumference of the knee is also different. Therefore, the system 140 is provid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load reduction module 120 coupled to the cover 11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body while adjusting the body, So that the degree of tightening of the cover 110 can be adjusted.

보아시스템(140)은 운동화 등에 적용되는 와이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조이게 되면 커버(110)가 무릎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bore system 140 can adjust the wire length applied to running shoes or the like so that the cover 110 can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knee when tightened.

보아시스템(140)은 와이어(141)와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게 되는 조정휠(142)로 이루어지며, 와이어(141)는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이러한 보아시스템 자체는 공지의 기술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bore system 140 consists of a wire 141 and an adjustment wheel 142 that the wire is wound or unwound, and the wire 141 is arranged in a zigzag. Such a bore system itself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보아시스템(140)을 채용함으로써 무릎 보호대(100)를 무릎 부위 적당 위치에 착용한 후 타이트하게 조이게 되면 무릎 보호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도 하게 된다.Further, by adopting the bore system 140, when the knee protector 100 is worn at a suitable position on the knee and then tightly tightened, the knee protector 100 is prevented from flowing down.

다음으로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Next, the undergarment having the knee protector will be described.

도 6은 무릎 보호대가 장착된 하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6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knee protector.

상술한 무릎 보호대(100)가 하의(200)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으며, 등산복을 비롯한 다양한 바지 종류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knee protector 100 described above can be integrally mounted on the lower part 200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pants including a climbing garment.

일반적인 하의(200)의 형상을 이루되, 무릎 부위를 감싸는 부위는 커버(110)가 된다.The cover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eneral lower body 200, and the area surrounding the knee area is a cover 110.

커버(11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무릎을 어느 정도의 힘으로 조이면서 감싸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1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s configured so as to surround the knee with a certain degree of force.

그리고 하의(200)의 외관을 고려하여 하의의 무릎 부위는 이중 구조로 하여 커버(110) 외측을 감싸는 커버 외피(210)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Consider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lower part 200, the lower knee part may have a double structure so that the cover 210 covering the outer side of the cover 110 may be provided.

하의(200)의 무릎 부위를 이루는 커버(110)의 좌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하나씩의 부하 저감모듈(120)이 설치된다.One load reduction module 120 is install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over 110 constituting the knee part of the lower par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에 적용되는 부하 저감모듈(120)은 이미 언급한 무릎 보호대(100)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며, 탄성체(120a)와 상부 코어(121), 하부 코어(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oad reduction module 120 applied her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detail in the knee protector 100 already mentioned and comprises the elastic body 120a and the upper core 121 and the lower core 122. [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보아 시스템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동일하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은 제1코일 스프링과 제2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내부에 다른 코일 스프링이 삽입된 형태가 되게 구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body uses a coil spring, and a bore system may be applied. The coil spring may include a first coil spring and a second coil spring,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other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one of the coil springs.

예를 들어 제1코일 스프링은 상하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며, 제2코일 스프링은 수직하중 작용시 하중이 무릎 관절에 집중되는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For example, the first coil spring serves to push up and down, and the second coil spring serves to prevent th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in the knee joint when a vertical load is applied.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릎 보호대 혹은 무릎 보호대를 갖는 하의를 착용하게 되면, 보행시에 무릎에 작용하는 부하를 줄여줄 수 있게 됨으로써 무릎을 보호해주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e wear of the knee protector or the knee pro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reduce the load acting on the knee during walking, thereby protecting the knee.

본 발명은 무릎 보호를 위한 보조용품이나 무릎 보호기능을 갖는 바지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to an auxiliary article for knee protection or a pants having a knee protection function.

100 : 무릎 보호대
110 : 커버
120 : 부하 저감모듈
120a: 탄성체 120b: 코어
121 : 상부 코어 122 : 하부 코어
P : 돌기
130 : 홀더
140 : 보아시스템
141 : 와이어
142 : 조정휠
200 : 하의
210 : 커버 외피
100: knee protector
110: cover
120: Load reduction module
120a: elastic body 120b: core
121: upper core 122: lower core
P: projection
130: holder
140: BoA system
141: wire
142: Adjusting wheel
200: Bottom
210: cover sheath

Claims (7)

무릎 부위를 감싸게 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좌우측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상기 탄성체 내부로 삽입되는 코어로 이루어지는 부하 저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이고, 제1코일 스프링 내부에 제2코일 스프링이 삽입되고, 두 코일 스프링 중 하나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고, 다른 하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A cover that covers the knee area;
And a load reduction modul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v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ncluding a core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body and the elastic body,
Wherein the elastic body is a coil spring, a second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il spring, one of the coil springs is a tension coil spring, and the other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부 코어와 하부 코어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코어의 하단과 상기 하부 코어의 상단은 상호간 이격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e is divided into an upper core and a lower core, and a lower end of the upper core and an upper end of the lower core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distance therebetwee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어의 상단과 상기 하부 코어의 하단은 상기 탄성체의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upper end of the upper core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core are fixedly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lastic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저감모듈의 전후로 보아시스템이 연결되어 무릎을 감싸게 되는 상기 커버의 조임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대.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degree of tightening of the cover to which the knee is to be wrapped is adjusted by connecting the system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load reduct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19184A 2017-09-17 2017-09-17 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 KR101931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184A KR101931211B1 (en) 2017-09-17 2017-09-17 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184A KR101931211B1 (en) 2017-09-17 2017-09-17 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211B1 true KR101931211B1 (en) 2018-12-21

Family

ID=6496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184A KR101931211B1 (en) 2017-09-17 2017-09-17 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2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423B1 (en) * 2021-12-06 2022-05-10 전영현 pants size adjuster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290B2 (en) 1995-12-12 2000-03-15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pparatus used therefor
JP3196285B2 (en) * 1991-02-28 2001-08-0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Monoazo compound and method for dyeing or printing fiber material using the same
JP2007092222A (en) 2005-09-28 2007-04-12 Komura Yoshitaka Joint supporter, and hinge used for the same
US20080289072A1 (en) * 2007-05-21 2008-11-27 James Gunjae Shin Work pants equipped with detachable knee protection pads
KR101553581B1 (en) 2014-11-21 2015-09-21 조문국 Knee protector
JP3208786U (en) 2016-11-29 2017-02-16 中山式産業株式会社 Knee supporter
KR200484245Y1 (en) 2016-08-23 2017-08-17 전민성 Joint Protectors for use in Humans
US20170238629A1 (en) 2016-02-19 2017-08-24 Jonathan Johnson Knee Pad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285B2 (en) * 1991-02-28 2001-08-0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Monoazo compound and method for dyeing or printing fiber material using the same
JP3022290B2 (en) 1995-12-12 2000-03-15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pparatus used therefor
JP2007092222A (en) 2005-09-28 2007-04-12 Komura Yoshitaka Joint supporter, and hinge used for the same
US20080289072A1 (en) * 2007-05-21 2008-11-27 James Gunjae Shin Work pants equipped with detachable knee protection pads
KR101553581B1 (en) 2014-11-21 2015-09-21 조문국 Knee protector
US20170238629A1 (en) 2016-02-19 2017-08-24 Jonathan Johnson Knee Pad System
KR200484245Y1 (en) 2016-08-23 2017-08-17 전민성 Joint Protectors for use in Humans
JP3208786U (en) 2016-11-29 2017-02-16 中山式産業株式会社 Knee suppor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423B1 (en) * 2021-12-06 2022-05-10 전영현 pants size adju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8495B1 (en) Hamstring brace
US6652596B2 (en) Suspension aid for above-knee prosthesis
US20200023223A1 (en) Flat resistance band with releasable connectible ends for creating a releasable flat loop resistance band
KR102139734B1 (en) Ez-power suit
US20150135395A1 (en) Garment retaining apparatus
KR101931211B1 (en) Knee Protecter and Knee Protection Trousers
KR101664901B1 (en) Suspension Safety belt.
KR200455208Y1 (en) Knee support
KR200466476Y1 (en) Band for protection of waist of chiropractic type
KR102050923B1 (en) Joints correction system
CA2312602A1 (en) Tool for firmly carrying a cushiony member on one's back
KR101852603B1 (en) Belt for Waist Protection
KR20090008187U (en) Wadded baby wrapper
CN110786977A (en) Shoulder and back posture correction belt
KR102335273B1 (en) X-bend type wearable musculoskeletal guard
KR102335274B1 (en) Wearable musculoskeletal guard
TWM541880U (en) Knee protection strap structure
KR101291372B1 (en) Band using person's legs together
JP7150299B2 (en) walking aid
KR102169616B1 (en) Lumbar vertebra relaxation and sleep induction treatment device for bed attachment or detachment using tension
KR19990018498U (en) Posture Correction Belt
JP2004081792A (en) Implement for preventing o acute back pain
KR101929176B1 (en) Assistant apparatus for sitting works
JP3221458U (en) Rain gear combined kneel
KR200281114Y1 (en) A baby hol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