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501B1 -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501B1
KR101930501B1 KR1020170182595A KR20170182595A KR101930501B1 KR 101930501 B1 KR101930501 B1 KR 101930501B1 KR 1020170182595 A KR1020170182595 A KR 1020170182595A KR 20170182595 A KR20170182595 A KR 20170182595A KR 101930501 B1 KR101930501 B1 KR 10193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a hole
main via
hole
thin plat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형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7018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Blasting cartridges, i.e. case and explosive
    • F42B3/10Initiators therefor
    • F42B3/12Bridge initiators
    • F42B3/124Bridge initia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r material of the b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21/00Checking fuzes; Testing fuz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폭관용 연결선 및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제2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를 절연시키는 절연 시트부재를 포함하여 기폭회로에서 수십 nH 수준의 낮은 인덕턱스를 가질 수 있는 기폭관용 연결선을 제공하여 수십 nH 수준의 낮은 인덕턱스를 가지는 기폭관용 연결선을 이용하여 기폭관 발파 시험기와 기폭관을 연결함으로써 기폭관 발파 시험 시 기폭관의 작동 특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기폭관 발파 시험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ELECTRIC WIRE FOR DETONATOR AND TESTING APPARATUS FOR DETON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폭관용 연결선 및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폭관과 기폭관 발파 시험기를 연결하는 기폭관 연결선의 인덕턴스를 낮춰 기폭관을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기폭관용 연결선 및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식 기폭관은 전기 에너지를 점화원으로 하여 화약을 기폭시켜 탄두화약을 기폭시키는데 사용되는 화공품을 일컫는 명칭으로 주로 탄약 및 유도무기의 탄두 폭발계열의 최초 기폭화공품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전기식 기폭관 중 금속 박막 조립체가 기폭관은 일반적으로 전기를 흐르게 하는 통로인 박막형태의 교선(Bridge)과 교선의 폭발력에 의해 고속의 파편을 형성하는 비행편(Flyer), 비행편이 기폭관 내부의 화약 방향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지지하는 탬퍼(Tamper) 비형편이 날아가는 통로가 되는 배럴(Barrel), 이러한 금속조립체를 지지하고 전기적 신호의 통로가 되는 핀이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Plug), 비행편이 날아가는 충격에 의해 작동되는 화약과 기폭관을 밀봉하기 위한 커버(Cover)로 구성된다.
금속박막형 전기식 기폭관의 경우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를 통한 작동 특성을 시험하고 있다.
금속박막형 전기식 기폭관은 작동특성이 기폭 회로의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터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인 전선과 케이블 즉, 다수의 도전성 와이어를 피복으로 감싼 공지의 전선 또는 케이블은 인덕턴스 값이 높다.
이에 기폭관 발파 시험 시 기폭관을 발파시키는 기폭관 발파 시험기와 기폭관을 일반적인 전선과 케이블 즉, 다수의 도전성 와이어를 피복으로 감싼 공지의 전선 또는 케이블로 연결하는 경우 기폭관의 작동 특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 한국특허등록 제10-1360108호 '신관 시험 장치'(2014.02.03.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인덕턴스 값을 가지도록 한 기폭관용 연결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인덕턱스 값을 가지는 기폭관용 연결선을 통해 기폭관 발파 시험기와 기폭관을 연결함으로써 기폭관 발파 시험 시 기폭관의 작동 특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은 제1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제2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를 절연시키는 절연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메인 비아홀과 제2메인 비아홀이 위치되고,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며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5메인 비아홀과 제6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2단자 삽입홀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은 상면에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가 올려지고,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의 하면을 덮어 절연시키는 베이스 시트부재,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의 상면을 덮어 절연시키는 커버 시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5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6단자 삽입홀이 위치되고, 상기 커버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9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전체부분에 있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겹쳐지는 제1전체 겹침부; 및 상기 제1전체 겹침부의 일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1부분 겹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전체부분에 있어 상기 제1전체 겹침부와 전체부분에 있어 겹쳐지는 제2전체 겹침부; 및 상기 제2전체 겹침부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부분 겹침부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3부분 겹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분 겹침부는 상기 제3부분 겹침부는 서로 점차 겹쳐지는 면적이 줄어들고 각 단부 측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분 겹침부와 상기 제2부분 겹침부는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1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3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6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6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1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6접속링부와 겹쳐지며 상기 제2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2접속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6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접속링부와 겹쳐지며 상기 제5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5접속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접속링부 및 상기 제2접속링부에는 복수의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 및 복수의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5접속링부에는 상기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6접속링부에는 상기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에는 상기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1시트 연결구멍, 상기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2시트 연결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타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3메인 비아홀과 제4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타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7메인 비아홀과 제8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3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4단자 삽입홀이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7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8단자 삽입홀이 위치되며, 상기 커버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1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2단자 삽입홀이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1전체 겹침부의 타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2부분 겹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2전체 겹침부의 타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부분 겹침부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4부분 겹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 겹침부는 상기 제4부분 겹침부는 서로 점차 겹쳐지는 면적이 줄어들고 각 단부 측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2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3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3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4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8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8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기 제3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8접속링부와 겹쳐지고, 상기 제4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4접속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8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3접속링부와 겹쳐지고, 상기 제7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7접속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접속링부 및 상기 제4접속링부에는 복수의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 및 복수의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7접속링부에는 상기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8접속링부에는 상기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시트부재에는 상기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3시트 연결구멍, 상기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4시트 연결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부분 겹침부와 제4부분 겹침부는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는 기폭관, 상기 기폭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기폭관으로 기폭 전류를 인가하는 기폭관 발파 시험기, 상기 기폭관 발파 시험기에 연결되는 오실로 스코프, 상기 기폭관 발파 시험기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기폭관 발파 시험기로 기폭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기폭관과 상기 기폭관 발파 시험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폭관용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기폭관용 연결선은 제1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제2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를 절연시키는 절연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메인 비아홀과 제2메인 비아홀이 위치되고,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며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5메인 비아홀과 제6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2단자 삽입홀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는 상면에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가 올려지고,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의 하면을 덮어 절연시키는 베이스 시트부재,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의 상면을 덮어 절연시키는 커버 시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5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6단자 삽입홀이 위치되고, 상기 커버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9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전체부분에 있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겹쳐지는 제1전체 겹침부; 및 상기 제1전체 겹침부의 일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1부분 겹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전체부분에 있어 상기 제1전체 겹침부와 전체부분에 있어 겹쳐지는 제2전체 겹침부; 및 상기 제2전체 겹침부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부분 겹침부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3부분 겹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분 겹침부는 상기 제3부분 겹침부는 서로 점차 겹쳐지는 면적이 줄어들고 각 단부 측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분 겹침부와 상기 제2부분 겹침부는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1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3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6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6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1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6접속링부와 겹쳐지며 상기 제2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2접속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6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접속링부와 겹쳐지며 상기 제5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5접속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접속링부 및 상기 제2접속링부에는 복수의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 및 복수의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5접속링부에는 상기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6접속링부에는 상기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에는 상기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1시트 연결구멍, 상기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2시트 연결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타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3메인 비아홀과 제4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타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7메인 비아홀과 제8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3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4단자 삽입홀이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7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8단자 삽입홀이 위치되며, 상기 커버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1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2단자 삽입홀이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1전체 겹침부의 타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2부분 겹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2전체 겹침부의 타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부분 겹침부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4부분 겹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 겹침부는 상기 제4부분 겹침부는 서로 점차 겹쳐지는 면적이 줄어들고 각 단부 측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2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3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3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4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8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8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기 제3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8접속링부와 겹쳐지고, 상기 제4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4접속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8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3접속링부와 겹쳐지고, 상기 제7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7접속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접속링부 및 상기 제4접속링부에는 복수의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 및 복수의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7접속링부에는 상기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8접속링부에는 상기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시트부재에는 상기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3시트 연결구멍, 상기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4시트 연결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부분 겹침부와 제4부분 겹침부는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폭회로에서 수십 nH 수준의 낮은 인덕턱스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십 nH 수준의 낮은 인덕턱스를 가지는 기폭관용 연결선을 이용하여 기폭관 발파 시험기와 기폭관을 연결함으로써 기폭관 발파 시험 시 기폭관의 작동 특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기폭관 발파 시험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은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를 포함한다.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의 사이에는 절연 시트부재(300)가 위치된다.
절연 시트부재(300)는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를 절연시키며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가 절연된 상태로 각각 핀단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절연 시트부재(300)는 폴리이미드 필름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절연가능한 공지의 다양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은 상면에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가 올려지고,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의 하면을 덮어 절연시키는 베이스 시트부재(400),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의 상면을 덮어 절연시키는 커버 시트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부재(400)와 커버 시트부재(500)는 각각 절연 시트부재(300)와 동일한 재질 즉, 폴리이미드 필름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절연가능한 공지의 다양한 합성수지 필름으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는 서로 겹쳐지게 위치되고 서로 80%이상 겹쳐지도록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메인 비아홀(121)과 제2메인 비아홀(141)이 위치되고, 타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3메인 비아홀(131)과 제4메인 비아홀(151)이 위치된다.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며 제1메인 비아홀(121)과 제2메인 비아홀(141)과 연결되는 제5메인 비아홀(241)과 제6메인 비아홀(221)이 위치되고, 타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3메인 비아홀(131)과 제4메인 비아홀(151)과 연결되는 제7메인 비아홀(251)과 제8메인 비아홀(231)이 위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메인 비아홀(121)과 제2메인 비아홀(141)이 위치되고,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며 제1메인 비아홀(121)과 제2메인 비아홀(141)과 연결되는 제5메인 비아홀(241)과 제6메인 비아홀(221)이 위치되며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의 타단부 측과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의 타단부 측에 각각 비아홀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절연 시트부재(300)는 일단부 측에 제1메인 비아홀(121)과 제5메인 비아홀(241)과 연결되는 제1단자 삽입홀(320) 및 제2메인 비아홀(141)과 제6메인 비아홀(221)과 연결되는 제2단자 삽입홀(310)이 위치되고, 타단부 측에 제3메인 비아홀(131)과 제7메인 비아홀(251)과 연결되는 제3단자 삽입홀(330) 및 제4메인 비아홀(151)과 제8메인 비아홀(231)과 연결되는 제4단자 삽입홀(340)이 위치된다.
또한, 베이스 시트부재(400)는 일단부 측에 제1메인 비아홀(121)과 제5메인 비아홀(241)과 연결되는 제5단자 삽입홀(420) 및 제2메인 비아홀(141)과 제6메인 비아홀(221)과 연결되는 제6단자 삽입홀(410)이 위치되고, 타단부 측에 제3메인 비아홀(131)과 제7메인 비아홀(251)과 연결되는 제7단자 삽입홀(430) 및 제4메인 비아홀(151)과 제8메인 비아홀(231)과 연결되는 제8단자 삽입홀(440)이 위치된다.
또한, 커버 시트부재(500)는 일단부 측에 제1메인 비아홀(121)과 제5메인 비아홀(241)과 연결되는 제9단자 삽입홀(520) 및 제2메인 비아홀(141)과 제6메인 비아홀(221)과 연결되는 제10단자 삽입홀(510)이 위치되고, 타단부 측에 제3메인 비아홀(131)과 제7메인 비아홀(251)과 연결되는 제11단자 삽입홀(530) 및 제4메인 비아홀(151)과 제8메인 비아홀(231)과 연결되는 제12단자 삽입홀(540)이 위치된다.
즉, 제5단자 삽입홀(420), 제1메인 비아홀(121), 제1단자 삽입홀(320), 제5메인 비아홀(241), 제9단자 삽입홀(52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하나의 핀단자가 통과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6단자 삽입홀(410), 제2메인 비아홀(141), 제2단자 삽입홀(310), 제6메인 비아홀(221), 제10단자 삽입홀(51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하나의 핀단자가 통과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7단자 삽입홀(430), 제3메인 비아홀(131), 제3단자 삽입홀(330), 제7메인 비아홀(251), 제11단자 삽입홀(53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하나의 핀단자가 통과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8단자 삽입홀(440), 제4메인 비아홀(151), 제4단자 삽입홀(340), 제8메인 비아홀(231), 제12단자 삽입홀(54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하나의 핀단자가 통과될 수 있게 된다.
더 상세하게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는 전체부분에 있어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와 겹쳐지는 제1전체 겹침부(110), 제1전체 겹침부(110)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1부분 겹침부(111)와 제2부분 겹침부(112)를 포함한다.
제1부분 겹침부(111)의 단부에는 제1메인 비아홀(121)이 형성된 제1접속링부(120)가 위치되고, 제2부분 겹침부(112)의 단부에는 제3메인 비아홀(131)이 형성된 제3접속링부(130)가 위치되며 제1부분 겹침부(111)와 제2부분 겹침부(112)는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는 전체부분에 있어 제1전체 겹침부(110)와 전체부분에 있어 겹쳐지는 제2전체 겹침부(210), 제2전체 겹침부(210)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제1부분 겹침부(111)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3부분 겹침부(211), 제2전체 겹침부(210)의 타단부에 위치되어 제2부분 겹침부(112)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4부분 겹침부(212)를 포함한다.
제1부분 겹침부(111)는 제3부분 겹침부(211)는 서로 점차 겹쳐지는 면적이 줄어들고 각 단부 측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제2부분 겹침부(112)와 제4부분 겹침부(212)는 서로 점차 겹쳐지는 면적이 줄어들고 각 단부 측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3부분 겹침부(211)의 단부에는 제6메인 비아홀(221)이 형성된 제6접속링부(220)가 위치되고, 제4부분 겹침부(212)의 단부에는 제8메인 비아홀(231)이 형성된 제8접속링부(230)가 위치되며 제3부분 겹침부(211)와 제4부분 겹침부(212)는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는 제1접속링부(120)와 이격되며 제6접속링부(220)와 겹쳐지며 제2메인 비아홀(141)이 형성된 제2접속링부(140), 제3접속링부(130)와 이격되며 제8접속링부(230)와 겹쳐지고, 제4메인 비아홀(151)이 형성된 제4접속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는 제6접속링부(220)와 이격되며 제1접속링부(120)와 겹쳐지며 제5메인 비아홀(241)이 형성된 제5접속링부(240), 제8접속링부(230)와 이격되며 제3접속링부(130)와 겹쳐지고, 제7메인 비아홀(251)이 형성된 제7접속링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속링부(140)는 제2메인 비아홀(141)과 제6메인 비아홀(221)을 통과하는 핀단자부를 통해 제6접속링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접속링부(150)는 제4메인 비아홀(151)과 제8메인 비아홀(231)을 통과하는 핀단자부를 통해 제8접속링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5접속링부(240)는 제5메인 비아홀(241)과 제1메인 비아홀(121)을 통과하는 핀단자부를 통해 제1접속링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7접속링부(250)는 제7메인 비아홀(251)과 제3메인 비아홀(131)을 통과하는 핀단자부를 통해 제3접속링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접속링부(120) 및 제2접속링부(140)에는 복수의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101) 및 복수의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102)이 각각 형성되고, 제5접속링부(240)에는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101)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202)이 형성되고, 제6접속링부(220)에는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102)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2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접속링부(130) 및 제4접속링부(150)에는 복수의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103) 및 복수의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104)이 각각 형성되고, 제7접속링부(250)에는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103)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204)이 형성되고, 제8접속링부(230)에는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104)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203)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시트부재(500)의 제9단자 삽입홀(520) 및 제10단자 삽입홀(510)은 제5접속링부(240)와 제6접속링부(220)를 모두 노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시트부재(500)의 제11단자 삽입홀(530) 및 제12단자 삽입홀(540)은 제7접속링부(250) 및 제8접속링부(230)를 모두 노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부재(400)의 제5단자 삽입홀(420) 및 제6단자 삽입홀(410)은 제1비아홀(121)과 제2비아홀(141)과 각각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제1접속링부(120) 및 제2접속링부(140)의 전부가 각각 베이스 시트부재(4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부재(400)의 제7단자 삽입홀(430) 및 제8단자 삽입홀(440)은 제3메인 비아홀(131)과 제4메인 비아홀(151)과 각각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제3접속링부(130)와 제4접속링부(150)의 전부가 각각 베이스 시트부재(4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또한, 절연 시트부재(300)에는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101)과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202)을 연결하기 위한 제1시트 연결구멍(301),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102)과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201)을 연결하기 위한 제2시트 연결구멍(302),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103)과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204)을 연결하기 위한 제3시트 연결구멍(303),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104)과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203)을 연결하기 위한 제4시트 연결구멍(304)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부재(400)에는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101),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102),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103),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104)에 연결되는 제5시트 연결구멍(401), 제6시트 연결구멍(402), 제7시트 연결구멍(403), 제8시트 연결구멍(404)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시트부재(500)에는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202),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201),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204),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203)에 연결되는 제9시트 연결구멍(501), 제10시트 연결구멍(502), 제11시트 연결구멍(503), 제12시트 연결구멍(504)이 위치될 수 있다.
즉, 제9시트 연결구멍(501),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202), 제1시트 연결구멍(301),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101), 제5시트 연결구멍(401)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10시트 연결구멍(502),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201), 제2시트 연결구멍(302),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102), 제6시트 연결구멍(402)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11시트 연결구멍(503),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204), 제3시트 연결구멍(303),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103), 제7시트 연결구멍(403)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12시트 연결구멍(504),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203), 제4시트 연결구멍(304),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104), 제8시트 연결구멍(404)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서로 연결된다.
제5단자 삽입홀(420), 제1메인 비아홀(121), 제1단자 삽입홀(320), 제5메인 비아홀(241), 제9단자 삽입홀(52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하나의 핀단자가 통과된 후 납땜되어 고정되고, 납땝 시 용융된 납이 제9시트 연결구멍(501),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202), 제1시트 연결구멍(301),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101), 제5시트 연결구멍(401) 내로 유입되어 도전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6단자 삽입홀(410), 제2메인 비아홀(141), 제2단자 삽입홀(310), 제6메인 비아홀(221), 제10단자 삽입홀(51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하나의 핀단자가 통과된 후 납땜되어 고정되고, 납땝 시 용융된 납이 제10시트 연결구멍(502),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201), 제2시트 연결구멍(302),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102), 제6시트 연결구멍(402) 내로 유입되어 도전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7단자 삽입홀(430), 제3메인 비아홀(131), 제3단자 삽입홀(330), 제7메인 비아홀(251), 제11단자 삽입홀(53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하나의 핀단자가 통과된 후 납땜되어 고정되고, 납땝 시 용융된 납이 제11시트 연결구멍(503),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204), 제3시트 연결구멍(303),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103), 제7시트 연결구멍(403) 내로 유입되어 도전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8단자 삽입홀(440), 제4메인 비아홀(151), 제4단자 삽입홀(340), 제8메인 비아홀(231), 제12단자 삽입홀(54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게 위치됨으로써 하나의 핀단자가 통과된 후 납땜되어 고정되고, 납땝 시 용융된 납이 제12시트 연결구멍(504),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203), 제4시트 연결구멍(304),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104), 제8시트 연결구멍(404) 내로 유입되어 도전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써,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는 기폭관(10), 기폭관(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폭관(10)으로 기폭 전류를 인가하는 기폭관 발파 시험기(20), 기폭관 발파 시험기(20)에 연결되는 오실로 스코프(50), 기폭관 발파 시험기(2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30), 기폭관 발파 시험기(20)로 기폭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발생부(40), 기폭관(10)과 기폭관 발파 시험기(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폭관용 연결선(60)을 포함하고, 기폭관용 연결선(60)은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100)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200)를 절연시키는 절연 시트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폭관용 연결선(60)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용 연결선(60)을 적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실시예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함을 밝혀둔다.
오실로 스코프(50)는 기폭관(10)의 기폭 시 발생되는 전압과 전류에 대한 파형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기폭관(10)의 기폭 시 발생되는 전압과 전류에 대한 파형을 측정함으로써 기폭관(10)의 작동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기폭관 발파 시험기(20)는 기폭관용 연결선(6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2개의 핀단자부를 구비하고, 기폭관(10)은 기폭관용 연결선(6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2개의 핀단자부를 구비한다.
즉, 기폭관 발파 시험기(20)에 구비되는 2개의 핀단자부 중 하나는 제5단자 삽입홀(420), 제1메인 비아홀(121), 제1단자 삽입홀(320), 제5메인 비아홀(241), 제9단자 삽입홀(520)을 관통하여 납땜되어 연결되고, 2개의 핀단자부 중 다른 하나는 제6단자 삽입홀(410), 제2메인 비아홀(141), 제2단자 삽입홀(310), 제6메인 비아홀(221), 제10단자 삽입홀(510)을 관통하여 납땜되어 연결된다.
또한, 기폭관(10)에 구비되는 2개의 핀단자부 중 하나는 제7단자 삽입홀(430), 제3메인 비아홀(131), 제3단자 삽입홀(330), 제7메인 비아홀(251), 제11단자 삽입홀(530)을 관통하여 납땜되어 연결되고, 2개의 핀단자부 중 다른 하나는 제8단자 삽입홀(440), 제4메인 비아홀(151), 제4단자 삽입홀(340), 제8메인 비아홀(231), 제12단자 삽입홀(540)을 관통하여 납땜되어 연결된다.
기폭관 발파 시험기(20)는 캐피시터를 포함하고, 캐피시터 내에 전원부(30)에서 공급된 고압의 전류로 저장하고 신호 발생부(40)에서 기폭 신호가 인가되면 고압의 전류를 기폭관(10)으로 전달하여 기폭관(10)이 기폭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폭관 연결선은 기폭회로에서 수십 nH 수준의 낮은 인덕턱스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기폭 회로의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터에 크게 영향을 받는 기폭관(10)의 작동 특성을 오실로 스코프(50)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기폭회로에서 수십 nH 수준의 낮은 인덕턱스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십 nH 수준의 낮은 인덕턱스를 가지는 기폭관용 연결선(60)을 이용하여 기폭관 발파 시험기(20)와 기폭관을 연결함으로써 기폭관 발파 시험 시 기폭관의 작동 특성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기폭관 발파 시험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기폭관 20 : 기폭관 발파 시험기
30 : 전원부 40 : 신호 발생부
50 : 오실로 스코프 60 : 기폭관용 연결선
100 : 제1도전성 박판부재 101 :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
102 :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 103 :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
104 :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 110 : 제1전체 겹침부
111 : 제1부분 겹침부 112 : 제2부분 겹침부
120 : 제1접속링부 121 : 제1메인 비아홀
130 : 제3접속링부 131 : 제3메인 비아홀
140 : 제2접속링부 141 : 제2메인 비아홀
150 : 제4접속링부 151 : 제4메인 비아홀
200 : 제2도전성 박판부재 202 :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
201 :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 204 :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
203 :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 210 : 제2전체 겹침부
211 : 제3부분 겹침부 212 : 제4부분 겹침부
220 : 제6접속링부 221 : 제6메인 비아홀
230 : 제8접속링부 231 : 제8메인 비아홀
240 : 제5접속링부 241 : 제5메인 비아홀
250 : 제7접속링부 251 : 제7메인 비아홀
300 : 절연 시트부재 301 : 제1시트 연결구멍
302 : 제2시트 연결구멍 303 : 제3시트 연결구멍
304 : 제4시트 연결구멍 320 : 제1단자 삽입홀
310 : 제2단자 삽입홀 330 : 제3단자 삽입홀
340 : 제4단자 삽입홀 400 : 베이스 시트부재
401 : 제5시트 연결구멍 402 : 제6시트 연결구멍
403 : 제7시트 연결구멍 404 : 제8시트 연결구멍
420 : 제5단자 삽입홀 410 : 제6단자 삽입홀
430 : 제7단자 삽입홀 440 : 제8단자 삽입홀
500 : 커버 시트부재 501 : 제9시트 연결구멍
502 : 제10시트 연결구멍 503 : 제11시트 연결구멍
504 : 제12시트 연결구멍 520 : 제9단자 삽입홀
510 : 제10단자 삽입홀 530 : 제11단자 삽입홀
540 : 제12단자 삽입홀

Claims (14)

  1. 제1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제2도전성 박판부재; 및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를 절연시키는 절연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1메인 비아홀과 제2메인 비아홀이 위치되고,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일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며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5메인 비아홀과 제6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2단자 삽입홀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가 올려지고,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의 하면을 덮어 절연시키는 베이스 시트부재,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의 상면을 덮어 절연시키는 커버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5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6단자 삽입홀이 위치되고,
    상기 커버 시트부재는 일단부 측에 상기 제1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5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9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2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6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0단자 삽입홀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전체부분에 있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겹쳐지는 제1전체 겹침부; 및
    상기 제1전체 겹침부의 일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1부분 겹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전체부분에 있어 상기 제1전체 겹침부와 전체부분에 있어 겹쳐지는 제2전체 겹침부; 및
    상기 제2전체 겹침부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부분 겹침부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3부분 겹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겹침부는 상기 제3부분 겹침부는 서로 점차 겹쳐지는 면적이 줄어들고 각 단부 측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1전체 겹침부의 타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2부분 겹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 겹침부와 상기 제2부분 겹침부는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1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3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6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6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1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6접속링부와 겹쳐지며 상기 제2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2접속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6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접속링부와 겹쳐지며 상기 제5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5접속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링부 및 상기 제2접속링부에는 복수의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 및 복수의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5접속링부에는 상기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6접속링부에는 상기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에는 상기 제1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5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1시트 연결구멍, 상기 제2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6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2시트 연결구멍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타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제3메인 비아홀과 제4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타단부 측에 핀단자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7메인 비아홀과 제8메인 비아홀이 위치되며,
    상기 절연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3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4단자 삽입홀이 위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7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8단자 삽입홀이 위치되며,
    상기 커버 시트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제3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7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1단자 삽입홀 및 상기 제4메인 비아홀과 상기 제8메인 비아홀과 연결되는 제12단자 삽입홀이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1전체 겹침부의 타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2부분 겹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2전체 겹침부의 타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부분 겹침부와 일부분만 겹쳐지는 제4부분 겹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 겹침부는 상기 제4부분 겹침부는 서로 점차 겹쳐지는 면적이 줄어들고 각 단부 측이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2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3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3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4부분 겹침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8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8접속링부가 위치되며,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는 기 제3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8접속링부와 겹쳐지고, 상기 제4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4접속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는 상기 제8접속링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3접속링부와 겹쳐지고, 상기 제7메인 비아홀이 형성된 제7접속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접속링부 및 상기 제4접속링부에는 복수의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 및 복수의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7접속링부에는 상기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8접속링부에는 상기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시트부재에는 상기 제3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7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3시트 연결구멍, 상기 제4접속보조 연결구멍과 상기 제8접속보조 연결구멍을 연결하기 위한 제4시트 연결구멍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부분 겹침부와 제4부분 겹침부는 폭방향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용 연결선.
  13. 기폭관;
    상기 기폭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기폭관으로 기폭 전류를 인가하는 기폭관 발파 시험기; 및
    상기 기폭관 발파 시험기에 연결되는 오실로 스코프, 상기 기폭관 발파 시험기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부;
    상기 기폭관 발파 시험기로 기폭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기폭관과 상기 기폭관 발파 시험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폭관용 연결선을 포함하고,
    상기 기폭관용 연결선은 제1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겹쳐지게 위치되는 제2도전성 박판부재,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도전성 박판부재와 상기 제2도전성 박판부재를 절연시키는 절연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14. 삭제
KR1020170182595A 2017-12-28 2017-12-28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KR10193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95A KR101930501B1 (ko) 2017-12-28 2017-12-28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95A KR101930501B1 (ko) 2017-12-28 2017-12-28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501B1 true KR101930501B1 (ko) 2018-12-19

Family

ID=6500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595A KR101930501B1 (ko) 2017-12-28 2017-12-28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3325A (zh) * 2018-12-24 2019-04-16 苏州烽燧电子有限公司 电子引信厚膜电路测试仪控制电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9498A1 (en) * 2002-03-20 2003-09-25 J.S.T. Mfg. Co., Ltd. Anisotropically conductiv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60108B1 (ko) * 2013-12-11 2014-02-11 국방과학연구소 신관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9498A1 (en) * 2002-03-20 2003-09-25 J.S.T. Mfg. Co., Ltd. Anisotropically conductive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360108B1 (ko) * 2013-12-11 2014-02-11 국방과학연구소 신관 시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3325A (zh) * 2018-12-24 2019-04-16 苏州烽燧电子有限公司 电子引信厚膜电路测试仪控制电路
CN109633325B (zh) * 2018-12-24 2023-12-29 苏州烽燧电子有限公司 电子引信厚膜电路测试仪控制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680B2 (en) Full function initiator with integrated planar switch
US7543532B2 (en) Full function initiator with integrated planar switch
CN103775270B (zh) 用于组装在内燃发动机中的火花塞静态测试的设备和方法
US10066910B1 (en) Bursting Switch
KR101930501B1 (ko) 기폭관용 연결선 및 이를 구비한 기폭관 발파 시험 장치
CA2145721A1 (en) Explosive Detonation Apparatus
US6348797B1 (en) Combustion state detec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55800A (en) Combined EED igniter means and means for protecting the EED from inadvertent extraneous electricity induced firing
US20020023567A1 (en) Secured high-power electro-pyrotechnic initiator
KR101339081B1 (ko) 전기 발파기와 스파크 기폭기를 사용하는 비전기식 뇌관의 기폭장치 및 방법
CN111964542A (zh) 火工品起爆电路、平流层飞艇和无损测试方法
JPH01102300A (ja) 電子式延時雷管
US1868224A (en) Julius scbrttrmaun
CN212458149U (zh) 火工品起爆电路、平流层飞艇
US3160789A (en) Insulated exploding bridgewire header
US3041972A (en) Arc resistant electric initiator
US200901604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iagnostic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coil
CN207716967U (zh) 一种电容式发爆器
CN206674996U (zh) 用于电子烟的供电装置
US4827823A (en) Bullet firing mechanism with retrieval cable
WO2005010456A3 (en) Safe electrical initiation plug for electric detonators
US3789762A (en) Device to prevent accidental ignition of electro-explosives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CN115856397B (zh) 一种等离子点火系统的放电电压测量辅助工具
JPS59200407A (ja) 内燃機関の点火装置
CN209357958U (zh) 多点起爆引信测试仪安全测试负载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