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500B1 -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 - Google Patents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500B1
KR101930500B1 KR1020170157340A KR20170157340A KR101930500B1 KR 101930500 B1 KR101930500 B1 KR 101930500B1 KR 1020170157340 A KR1020170157340 A KR 1020170157340A KR 20170157340 A KR20170157340 A KR 20170157340A KR 101930500 B1 KR101930500 B1 KR 10193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orming part
forming
wing forming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언
곽호선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7015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04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armour-piercing type
    • F42B12/1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of armour-piercing type with shaped or hollow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Explosive charg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but not dependent on shape of container
    • F42B1/02Shaped or hollow charges
    • F42B1/028Shaped or hollow charg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l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에 관한 것으로 탄체부재의 개방부 측에 장착되어 라이너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라이너 고정부재를 축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하여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 에너지가 상기 라이너부재에 불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폭발 시 라이너부재로 성형되는 관통자의 후단부 측에 복수의 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비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관통자의 비행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거리 표적에 대한 타격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장거리 표적에 대한 정밀타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WING STABLISED EXPLOSIVELY FORMED PROJECTILE AND WING STABLISED PENETRATOR OF EXPLOSIVELY FORMED PROJECTILE}
본 발명은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날개 안정형 관통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행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거리 표적에 대한 정밀 타격이 가능한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날개 안정형 관통자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는 작약의 폭발에너지에 의해 라이너를 자가단조(Self-Forge)로 관통자로 변형시켜 관통자를 목표물에 충돌시켜 목표물을 파괴하는 탄두이다.
도 1은 종래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는 전방이 개방된 탄체(1)의 내부에 주작약(2)이 채워지고, 탄체(1)의 개방된 전방을 라이너(3)로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종래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는 주작약(2)이 폭발하면서 라이너(3)가 자가단조(Self-Forge)에 의해 관통자(4)로 변형되고, 관통자(4)가 목표물에 충돌됨으로써 목표물을 파괴하게 된다.
종래 라이너(3)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휘어진 형상을 가지며 폭발 시 관통자(4)로 성형되어 1000 m/s 이상의 초고속으로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폭발 형성 탄두의 관통자(4)는 라이너(3)의 자가단조(Self-Forge)에 의해 성형될 때 후단부 측이 단순히 후단부 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게 되고, 장거리 비행 시 비행 안정성이 낮아 장거리 표적에 대한 타격이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폭발 형성 탄두의 관통자(4)는 비행 거리가 길어질 수록 비행 안정성이 저하되어 원하는 표적에 대한 타격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발 시 성형되는 관통자의 후단부 측에 복수의 날개부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관통자의 비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는 전방이 개방된 작약공간이 구비된 탄체부재, 탄체부재의 내부에 채워지는 주작약부재, 상기 탄체부재의 개방된 전방을 커버하며 상기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관통자로 성형되는 라이너부재, 탄체부재의 개방부 측에 장착되어 상기 라이너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라이너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 고정부재는 축비대칭 형상을 가져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 에너지가 상기 라이너부재에 불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체부재, 상기 라이너부재, 상기 주작약부재는 모두 축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라이너 고정부재만 축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이너 고정부재는 상기 탄체부재의 선단부 측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부재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을 덮어 가압하는 상기 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 고정부재는 링 지지부의 내주면이 축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은 발사된 상기 라이너부재가 접촉되면서 관통자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 지지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형성부 및 복수의 상기 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날개형성부를 연결하고 관통자의 날개부 사이에서 오목한 골부를 형성하는 골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골형성부는 상기 날개형성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개형성부의 길이 대비 35%미만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날개형성부는 원호형상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골형성부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날개형성부는 원호형상을 가지되, 상기 링 지지부의 외경보다 큰 곡률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 지지부는 정면에서 중공부의 형상이 축비대칭 형상을 가지되 날개형성부와 골형성부가 축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은 발사된 상기 라이너부재가 접촉되면서 관통자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 지지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 제2날개형성부, 제3날개형성부, 제4날개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 및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는 상기 링 지지부의 외경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상기 제4골형성부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 내지 상기 제4날개형성부의 길이 대비 5 ~ 25%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는 각각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상기 제4골형성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은 발사된 상기 라이너부재가 접촉되면서 관통자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 지지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 제2날개형성부, 제3날개형성부, 제4날개형성부, 제5날개형성부, 제6날개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5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5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5골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6골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상기 제6날개형성부는 상기 링 지지부의 외경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상기 제4골형성부, 상기 제5골형성부, 상기 제6골형성부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 내지 상기 제6날개형성부의 길이 대비 10 ~ 25%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상기 제6날개형성부는 각각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상기 제4골형성부, 상기 제5골형성부, 상기 제6골형성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은 발사된 상기 라이너부재가 접촉되면서 관통자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 지지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 제2날개형성부, 제3날개형성부, 제4날개형성부, 제5날개형성부, 제6날개형성부, 제7날개형성부, 제8날개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5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5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5골형성부, 상기 제6날개형성부와 상기 제7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6날개형성부와 상기 제7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6골형성부, 상기 제7날개형성부와 상기 제8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7날개형성부와 상기 제8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7골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제8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8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8골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상기 제6날개형성부, 상기 제7날개형성부, 상기 제8날개형성부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제4골형성부, 제5골형성부, 제6골형성부, 제7골형성부, 제8골형성부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 내지 상기 제8날개형성부의 길이 대비 15 ~ 30% 사이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관통자는 전방이 개방된 작약공간이 구비된 탄체부재, 탄체부재의 내부에 채워지는 주작약부재, 상기 탄체부재의 개방된 전방을 커버하며 상기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관통자로 성형되는 라이너부재, 탄체부재의 개방부 측에 장착되어 상기 라이너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라이너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에서 상기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상기 라이너부재가 변형되어 성형되는 것으로 관통자 몸체부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통자는 선단부가 구형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관통자 몸체부 및 상기 관통자 몸체부의 후단측에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꼬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꼬리부의 외측 둘레로 복수의 날개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 날개부는 지느러미(fin)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자 몸체부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날개부의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골부에서 연장되어 볼록하게 돌출되어 측단면에서 지느러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꼬리부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 제2날개부, 제3날개부, 제4날개부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 상기 제2날개부와 상기 제3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 상기 제3날개부와 상기 제4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 상기 제4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꼬리부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 제2날개부, 제3날개부, 제4날개부, 제5날개부, 제6날개부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 상기 제2날개부와 상기 제3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 상기 제3날개부와 상기 제4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 상기 제4날개부와 상기 제5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 상기 제5날개부와 상기 제6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5골부, 상기 제6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6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꼬리부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 제2날개부, 제3날개부, 제4날개부, 제5날개부, 제6날개부, 제7날개부, 제8날개부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 상기 제2날개부와 상기 제3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 상기 제3날개부와 상기 제4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 상기 제4날개부와 상기 제5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 상기 제5날개부와 상기 제6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5골부, 상기 제6날개부와 상기 제7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6골부, 상기 제7날개부와 상기 제8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7골부, 상기 제8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8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너 고정부재로 폭발 에너지를 라이너부재에 불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하여 폭발 시 라이너부재로 성형되는 관통자의 후단부 측에 복수의 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비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통자의 비행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거리 표적에 대한 타격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장거리 표적에 대한 정밀타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도 3, 도 5, 도 6, 도 8, 도 9를 참고하면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는 전방이 개방된 작약공간(100a)이 구비된 탄체부재(100), 탄체부재(100)의 내부에 채워지는 주작약부재(200), 탄체부재(100)의 개방된 전방을 커버하며 주작약부재(200)의 폭발 시 관통자(500)로 성형되는 라이너부재(300), 탄체부재(100)의 개방부 측에 장착되어 라이너부재(30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라이너 고정부재(400)를 포함하며, 라이너 고정부재(400)는 축비대칭 형상을 가져 주작약부재(200)의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 에너지가 라이너부재(300)에 불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탄체부재(100)는 전방이 개방된 작약공간(100a)이 내부에 구비된다.
주작약부재(200)는 신관부에 의해 기폭되는 화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신관부에 의해 기폭되어 폭발된다.
탄체부재(100)의 개방된 전면 측에는 개방된 전방을 커버하는 라이너부재(300)가 구비된다.
탄체부재(100)의 바닥면부(110)에는 주작약부재(200)를 기폭시키기 위한 신관부가 위치될 수 있는 신관 장착용 중공부(111)가 구비되고, 신관부는 폭발을 유도하는 기폭제와 기폭제의 발화를 주작약부재(200)로 전달하는 전폭약을 포함한다.
신관부는 기폭제와 기폭제의 발화를 주작약부재(200)로 전달하여 주작약부재(200)를 폭발시키는 공지의 구성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작약공간(100a)의 바닥면 즉, 바닥면부(110)의 상부면은 신관 장착용 중공부(111)에서 탄체부재(100)의 내주면까지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폭발 시 라이너를 발사시키는 추진력이 더 강해지도록 한다.
또한, 작약공간(100a)의 바닥면에는 폭발파 조절기(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탄체부재(10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라이너부재(300)는 탄체부재(100)의 내주면과 일치되는 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체부재(100)의 내부 즉, 작약공간(100a) 내에서 작약공간(100a)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작약공간(100a)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탄체부재(100)의 전방측에는 작약공간(100a)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라이너부재(300)를 가압하여 라이너부재(3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라이너 고정부재(400)가 장착된다.
라이너부재(300)는 주작약부재(200)의 폭발 시 자가단조(Self-Forge)에 의해 관통자(500)로 성형된다. 즉, 라이너부재(300)는 폭발 시 자가단조(Self-Forge)에 의해 관통자(500)로 성형되면서 발사되고, 라이너부재(300)의 변형으로 형성되는 관통자(500)는 1000 m/s 이상의 초고속으로 비상하여 목표물에 충돌됨으로써 목표물을 파괴하게 된다.
라이너부재(300)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단부(510)가 구형을 이루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원판 형상을 가진다.
즉, 라이너부재(300)는 중심이 오목하도록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원판형상을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오목한 중심이 외측을 향하도록 탄체부재(100)의 전방 측을 밀폐시키게 된다.
라이너 고정부재(400)는 탄체부재(100)의 개방부 측 즉, 탄체부재(100)의 선단부 측에 장착되는 장착부(410) 및 장착부(410)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라이너부재(3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을 덮어 가압하는 링 지지부(420)를 포함한다.
라이너 고정부재(400)는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이 축비대칭 형상을 가져 주작약부재(200)의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 에너지가 라이너부재(300)에 불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은 주작약부재(200)의 폭발 시 라이너부재(300)가 통과되는 중공부의 내주면이고, 라이너부재(300)가 링 지지부(420)를 통과할 때 라이너부재(300)에 폭발 에너지를 불균일하게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은 발사된 라이너부재(300)가 접촉되면서 관통자(500)의 날개부(521)를 형성하며 링 지지부(42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형성부(421), 복수의 날개형성부(421) 사이에 위치되어 날개형성부(421)를 연결하고 관통자(500)의 날개부(521) 사이에서 오목한 골부(522)를 형성하는 골형성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골형성부(422)는 날개형성부(421)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날개형성부(421)의 길이 대비 35%미만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날개형성부(421)는 원호형상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골형성부(422)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날개형성부(421)는 원호형상을 가지되, 링 지지부(420)의 외경보다 큰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이외에도 라이너 고정부재(400)는 정면에서 다각형상 또는 별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중공부를 가지는 링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링 지지부(420)는 정면에서 중공부의 형상이 다각형상 또는 별모양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링 지지부(420)는 정면에서 중공부의 형상이 더 상세하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별모양 또는 내주면에 이격된 홈을 구비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링 지지부(420)는 정면에서 중공부의 형상이 축비대칭 형상을 가지되 날개형성부(421)와 골형성부(422)가 축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형태를 가지는 예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라이너부재(300)는 링 지지부(420)를 통과하면서 외측 둘레부분이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에 의해 접촉되면서 외측 둘레에서 접촉 부위별로 속도차이가 발생되고, 이러한 속도 차이에 의해 도 4, 도 7, 도 10을 참고한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관통자(500)는 관통자 몸체부(510)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부(521)가 돌출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탄체부재(100), 라이너부재(300), 주작약부재(200)는 모두 축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라이너 고정부재(400)만 축비대칭 형상으로 형성하여 주작약부재(200)의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 에너지가 라이너 고정부재(400)에 의해서만 라이너부재(300)로 불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에서 성형된 관통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다른 실시예에서 성형된 관통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에서 성형된 관통자(5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7, 도 10을 참고하면, 관통자 몸체부(510)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부(521)가 돌출 형성된다.
관통자(500)는 선단부가 구형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관통자 몸체부(510), 관통자 몸체부(510)의 후단측에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꼬리부(520)를 포함하고, 꼬리부(520)의 외측 둘레로 복수의 날개부(521)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각 날개부(521)는 지느러미(fin)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관통자 몸체부(510)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날개부(521)의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부(521)의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522)가 형성되고, 날개부(521)는 골부(522)에서 연장되어 볼록하게 돌출되어 측단면에서 지느러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은 발사된 라이너부재(300)가 접촉되면서 관통자(500)의 날개부(521)를 형성하며 링 지지부(42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 및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2날개형성부(421b) 사이에 위치되고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2날개형성부(421b)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422a), 제2날개형성부(421b)와 제3날개형성부(421c) 사이에 위치되고 제2날개형성부(421b)와 제3날개형성부(421c)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422b), 제3날개형성부(421c)와 제4날개형성부(421d) 사이에 위치되고 제3날개형성부(421c)와 제4날개형성부(421d)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422c),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4날개형성부(421d) 사이에 위치되고 제4날개형성부(421d)와 제4날개형성부(421d)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4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는 링 지지부(420)의 외경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는 라이너부재(300)의 발사 시 라이너부재(3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과 접촉되는 접촉면으로 관통자(500)의 후단부 측 둘레로 이격된 날개부(521)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제1골형성부(422a), 제2골형성부(422b), 제3골형성부(422c), 제4골형성부(422d)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의 길이 대비 5 ~ 25% 사이의 길이를 가지고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라이너부재(300)의 발사 시 라이너부재(3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과 접촉되는 접촉면으로 관통자(500)의 후단부 측 둘레로 복수의 날개부(521) 사이에서 오목한 골부(522)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에서 주작약부재(200)가 폭발하여 라이너부재(300)가 발사될 때 라이너부재(300)가 자가 단조로 변형된 관통자(5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a)는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500)에 대한 일 실시예는 꼬리부(520)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521a), 제2날개부(521b), 제3날개부(521c), 제4날개부(521d)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제1날개부(521a)와 제2날개부(521b)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522a), 제2날개부(521b)와 제3날개부(521c)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522b), 제3날개부(521c)와 제4날개부(521d)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522c), 제4날개부(521d)와 제1날개부(521a)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522d)가 형성된다.
제1날개부(521a) 내지 제4날개부(521d)는 라이너부재(300)가 링 지지부(420)를 통과할 할 때 제1날개형성부(421a) 내지 제4날개형성부(421d)와 접촉되면서 성형되고, 제1골부(522a) 내지 제4골부(522d)는 라이너부재(300)가 링 지지부(420)를 통과할 할 때 제1골형성부(422a) 내지 제4골형성부(422d)와 접촉되면서 제1날개부(521a)와 제2날개부(521b)의 사이에 각각 성형된다.
라이너부재(300)는 링 지지부(420)를 통과하면서 외측 둘레부분이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 즉, 제1날개형성부(421a) 내지 제4날개형성부(421d) 및 각 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된 제1내지 제4골형성부(422d)와 접촉되면서 외측 둘레에서 접촉 부위별로 속도차이가 발생되고, 이러한 속도 차이에 의해 관통자 몸체부(510)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이격된 지느러미 형상의 제1날개부(521a) 내지 제4날개부(521d)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다른 실시예를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은 발사된 라이너부재(300)가 접촉되면서 관통자(500)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링 지지부(42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 제5날개형성부(421e), 제6날개형성부(421f) 및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2날개형성부(421b) 사이에 위치되고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2날개형성부(421b)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422a), 제2날개형성부(421b)와 제3날개형성부(421c) 사이에 위치되고 제2날개형성부(421b)와 제3날개형성부(421c)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422b), 제3날개형성부(421c)와 제4날개형성부(421d) 사이에 위치되고 제3날개형성부(421c)와 제4날개형성부(421d)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422c), 제4날개형성부(421d)와 제5날개형성부(421e) 사이에 위치되고 제4날개형성부(421d)와 제5날개형성부(421e)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422d), 제5날개형성부(421e)와 제6날개형성부(421f) 사이에 위치되고 제5날개형성부(421e)와 제6날개형성부(421f)를 연결하는 제5골형성부(422e),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6날개형성부(421f) 사이에 위치되고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6날개형성부(421f)를 연결하는 제6골형성부(42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 제5날개형성부(421e), 제6날개형성부(421f)는 링 지지부(420)의 외경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 제5날개형성부(421e), 제6날개형성부(421f)는 라이너부재(300)의 발사 시 라이너부재(3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과 접촉되는 접촉면으로 관통자(500)의 후단부 측 둘레로 이격된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제1골형성부(422a), 제2골형성부(422b), 제3골형성부(422c), 제4골형성부(422d), 제5골형성부(422e), 제6골형성부(422f)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 제5날개형성부(421e), 제6날개형성부(421f)의 길이 대비 10 ~ 25% 사이의 길이로 각각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라이너부재(300)의 발사 시 라이너부재(3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과 접촉되는 접촉면으로 관통자(500)의 후단부 측 둘레로 복수의 날개부 사이에서 오목한 골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에서 주작약부재(200)가 폭발하여 라이너부재(300)가 발사될 때 라이너부재(300)가 자가 단조로 변형된 관통자(5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a)는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정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500)에 대한 일 실시예는 꼬리부(520)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521a), 제2날개부(521b), 제3날개부(521c), 제4날개부(521d), 제5날개부(521e), 제6날개부(521f)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제1날개부(521a)와 제2날개부(521b)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522a), 제2날개부(521b)와 제3날개부(521c)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522b), 제3날개부(521c)와 제4날개부(521d)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522c), 제4날개부(521d)와 제5날개부(521e)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522d), 제5날개부(521e)와 제6날개부(521f) 사이에 오목한 제5골부(522e), 제6날개부(521f)와 제1날개부(521a) 사이에 오목한 제6골부(522f)가 형성된다.
제1날개부(521a) 내지 제6날개부(521f)는 라이너부재(300)가 링 지지부(420)를 통과할 할 때 제1날개형성부(421a) 내지 제6날개형성부(421f)와 접촉되면서 성형되고, 제1골부(522a) 내지 제6골부(522f)는 라이너부재(300)가 링 지지부(420)를 통과할 할 때 제1골형성부(422a) 내지 제6골형성부(422f)와 접촉되면서 제1날개부(521a) 내지 제6날개부(521f)의 사이에 각각 성형된다.
라이너부재(300)는 링 지지부(420)를 통과하면서 외측 둘레부분이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 즉, 제1날개형성부(421a) 내지 제6날개형성부(421f) 및 각 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된 제1내지 제6골형성부(422f)와 접촉되면서 외측 둘레에서 접촉 부위별로 속도차이가 발생되고, 이러한 속도 차이에 의해 관통자 몸체부(510)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이격된 지느러미 형상의 제1날개부(521a) 내지 제6날개부(521f)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과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다른 실시예를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은 발사된 라이너부재(300)가 접촉되면서 관통자(500)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링 지지부(42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 제5날개형성부(421e), 제6날개형성부(421f), 제7날개형성부(421g), 제8날개형성부(421h) 및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2날개형성부(421b) 사이에 위치되고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2날개형성부(421b)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422a), 제2날개형성부(421b)와 제3날개형성부(421c) 사이에 위치되고 제2날개형성부(421b)와 제3날개형성부(421c)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422b), 제3날개형성부(421c)와 제4날개형성부(421d) 사이에 위치되고 제3날개형성부(421c)와 제4날개형성부(421d)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422c), 제4날개형성부(421d)와 제5날개형성부(421e) 사이에 위치되고 제4날개형성부(421d)와 제5날개형성부(421e)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422d), 제5날개형성부(421e)와 제6날개형성부(421f) 사이에 위치되고 제5날개형성부(421e)와 제6날개형성부(421f)를 연결하는 제5골형성부(422e), 제6날개형성부(421f)와 제7날개형성부(421g) 사이에 위치되고 제6날개형성부(421f)와 제7날개형성부(421g)를 연결하는 제6골형성부(422f), 제7날개형성부(421g)와 제8날개형성부(421h) 사이에 위치되고 제7날개형성부(421g)와 제8날개형성부(421h)를 연결하는 제7골형성부(422g),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8날개형성부(421h) 사이에 위치되고 제1날개형성부(421a)와 제8날개형성부(421h)를 연결하는 제8골형성부(422h)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 제5날개형성부(421e), 제6날개형성부(421f), 제7날개형성부(421g), 제8날개형성부(421h)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 제3날개형성부(421c), 제4날개형성부(421d), 제5날개형성부(421e), 제6날개형성부(421f), 제7날개형성부(421g), 제8날개형성부(421h)는 라이너부재(300)의 발사 시 라이너부재(3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과 접촉되는 접촉면으로 관통자(500)의 후단부 측 둘레로 이격된 날개부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제1골형성부(422a), 제2골형성부(422b), 제3골형성부(422c), 제4골형성부(422d), 제5골형성부(422e), 제6골형성부(422f), 제7골형성부(422g), 제8골형성부(422h)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제1날개형성부(421a), 제2날개형성부(421b)제2날개형성부(421b)부, 제4날개형성부(421d), 제5날개형성부(421e), 제6날개형성부(421f), 제7날개형성부(421g), 제8날개형성부(421h)의 길이 대비 15 ~ 30% 사이의 길이로 각각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라이너부재(300)의 발사 시 라이너부재(30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과 접촉되는 접촉면으로 관통자(500)의 후단부 측 둘레로 복수의 날개부 사이에서 오목한 골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일 실시예에서 주작약부재(200)가 폭발하여 라이너부재(300)가 발사될 때 라이너부재(300)가 자가 단조로 변형된 관통자(5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a)는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500)에 대한 일 실시예는 꼬리부(520)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521a), 제2날개부(521b), 제3날개부(521c), 제4날개부(521d), 제5날개부(521e), 제6날개부(521f), 제7날개부(521g), 제8날개부(521h)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제1날개부(521a)와 제2날개부(521b)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522a), 제2날개부(521b)와 제3날개부(521c)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522b), 제3날개부(521c)와 제4날개부(521d)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522c), 제4날개부(521d)와 제5날개부(521e)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522d), 제5날개부(521e)와 제6날개부(521f) 사이에 오목한 제5골부(522e), 제6날개부(521f)와 제7날개부(521g) 사이에 오목한 제6골부(522f), 제7날개부(521g)와 제8날개부(521h) 사이에 오목한 제7골부(522g), 제8날개부(521h)와 제1날개부(521a) 사이에 오목한 제8골부(522h)가 형성된다.
제1날개부(521a) 내지 제8날개부(521h)는 라이너부재(300)가 링 지지부(420)를 통과할 할 때 제1날개형성부(421a) 내지 제8날개형성부(421h)와 접촉되면서 성형되고, 제1골부(522a) 내지 제8골부(522h)는 라이너부재(300)가 링 지지부(420)를 통과할 할 때 제1골형성부(422a) 내지 제8골형성부(422h)와 접촉되면서 제1날개부(521a) 내지 제8날개부(521h)의 사이에 각각 성형된다.
라이너부재(300)는 링 지지부(420)를 통과하면서 외측 둘레부분이 링 지지부(420)의 내주면 즉, 제1날개형성부(421a) 내지 제8날개형성부(421h) 및 각 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된 제1골형성부(422a) 내지 제8골형성부(422h)와 접촉되면서 외측 둘레에서 접촉 부위별로 속도차이가 발생되고, 이러한 속도 차이에 의해 관통자 몸체부(510)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이격된 지느러미 형상의 제1날개부(521a) 내지 제8날개부(521h)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너 고정부재(400)로 폭발 에너지를 라이너부재(300)에 불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하여 폭발 시 라이너부재(300)로 성형되는 관통자의 후단부 측에 복수의 날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비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통자의 비행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거리 표적에 대한 타격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장거리 표적에 대한 정밀타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 : 탄체 2 : 주작약
3 : 라이너 100 : 탄체부재
100a : 작약공간 110 : 바닥면부
111 : 신관 장착용 중공부 200 : 주작약부재
300 : 라이너부재 400 : 라이너 고정부재
410 : 장착부 420 : 링 지지부
421 : 날개형성부 421a : 제1날개형성부
421b : 제2날개형성부 421c : 제3날개형성부
421d : 제4날개형성부 421e : 제5날개형성부
421f : 제6날개형성부 421g : 제7날개형성부
421h : 제8날개형성부 422 : 골형성
422a : 제1골형성부 422b : 제2골형성부
422c : 제3골형성부 422d : 제4골형성부
422e : 제5골형성부 422f : 제6골형성부
422g : 제7골형성부 422h : 제8골형성부
500: 관통자 510 : 관통자 몸체부
520 : 꼬리부 521 : 날개부
521a : 제1날개부 521b : 제2날개부
521c : 제3날개부 521d : 제4날개부
521e : 제5날개부 521f : 제6날개부
521g : 제7날개부 521h : 제8날개부
522: 골부 522a : 제1골부
522b : 제2골부 522c : 제3골부
522d : 제4골부 522e : 제5골부
522f : 제6골부 522g : 제7골부
522h : 제8골부

Claims (26)

  1. 전방이 개방된 작약공간이 구비된 탄체부재;
    상기 탄체부재의 내부에 채워지는 주작약부재;
    상기 탄체부재의 개방된 전방을 커버하며 상기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관통자로 성형되는 라이너부재; 및
    상기 탄체부재의 개방부 측에 장착되어 상기 라이너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라이너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 고정부재는 축비대칭 형상을 가져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발생되는 폭발 에너지가 상기 라이너부재에 불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라이너 고정부재는,
    상기 탄체부재의 선단부 측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부재의 외측 둘레 중 일부분을 덮어 가압하는 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너 고정부재는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이 축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체부재, 상기 라이너부재, 상기 주작약부재는 모두 축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라이너 고정부재만 축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은 발사된 상기 라이너부재가 접촉되면서 관통자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 지지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형성부; 및
    복수의 상기 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날개형성부를 연결하고 관통자의 날개부 사이에서 오목한 골부를 형성하는 골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골형성부는 상기 날개형성부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개형성부의 길이 대비 35%미만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성부는 원호형상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골형성부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성부는 원호형상을 가지되, 상기 링 지지부의 외경보다 큰 곡률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지지부는 정면에서 중공부의 형상이 축비대칭 형상을 가지되 날개형성부와 골형성부가 축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은 발사된 상기 라이너부재가 접촉되면서 관통자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 지지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 제2날개형성부, 제3날개형성부, 제4날개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 및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는 상기 링 지지부의 외경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상기 제4골형성부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 내지 상기 제4날개형성부의 길이 대비 5 ~ 25% 사이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는 각각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상기 제4골형성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은 발사된 상기 라이너부재가 접촉되면서 관통자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 지지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 제2날개형성부, 제3날개형성부, 제4날개형성부, 제5날개형성부, 제6날개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5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5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5골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6골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상기 제6날개형성부는 상기 링 지지부의 외경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상기 제4골형성부, 상기 제5골형성부, 상기 제6골형성부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 내지 상기 제6날개형성부의 길이 대비 10 ~ 25% 사이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상기 제6날개형성부는 각각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상기 제4골형성부, 상기 제5골형성부, 상기 제6골형성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지지부의 내주면은 발사된 상기 라이너부재가 접촉되면서 관통자의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링 지지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1날개형성부, 제2날개형성부, 제3날개형성부, 제4날개형성부, 제5날개형성부, 제6날개형성부, 제7날개형성부, 제8날개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2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1골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날개형성부와 상기 제3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2골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3날개형성부와 상기 제4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3골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날개형성부와 상기 제5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4골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5날개형성부와 상기 제6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5골형성부;
    상기 제6날개형성부와 상기 제7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6날개형성부와 상기 제7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6골형성부;
    상기 제7날개형성부와 상기 제8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7날개형성부와 상기 제8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7골형성부;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제8날개형성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와 상기 제8날개형성부를 연결하는 제8골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형성부, 상기 제2날개형성부, 상기 제3날개형성부, 상기 제4날개형성부, 상기 제5날개형성부, 상기 제6날개형성부, 상기 제7날개형성부, 상기 제8날개형성부는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골형성부, 상기 제2골형성부, 상기 제3골형성부, 제4골형성부, 제5골형성부, 제6골형성부, 제7골형성부, 제8골형성부는 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날개형성부 내지 상기 제8날개형성부의 길이 대비 15 ~ 30% 사이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20. 삭제
  21. 전방이 개방된 작약공간이 구비된 탄체부재, 탄체부재의 내부에 채워지는 주작약부재;
    상기 탄체부재의 개방된 전방을 커버하며 상기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관통자로 성형되는 라이너부재;
    상기 탄체부재의 개방부 측에 장착되어 상기 라이너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라이너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에서 상기 주작약부재의 폭발 시 상기 라이너부재가 변형되어 성형되는 관통자이며,
    상기 관통자는,
    선단부가 구형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관통자 몸체부; 및
    상기 관통자 몸체부의 후단측에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벌어지게 형성되는 꼬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꼬리부의 외측 둘레로 복수의 날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관통자.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각 날개부는 지느러미(fin)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자 몸체부의 후단부 측에 외측 둘레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관통자.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사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골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골부에서 연장되어 볼록하게 돌출되어 측단면에서 지느러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관통자.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꼬리부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 제2날개부, 제3날개부, 제4날개부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 상기 제2날개부와 상기 제3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 상기 제3날개부와 상기 제4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 상기 제4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관통자.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꼬리부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 제2날개부, 제3날개부, 제4날개부, 제5날개부, 제6날개부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 상기 제2날개부와 상기 제3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 상기 제3날개부와 상기 제4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 상기 제4날개부와 상기 제5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 상기 제5날개부와 상기 제6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5골부, 상기 제6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6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관통자.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꼬리부의 외측 둘레로 지느러미(fin) 형상의 제1날개부, 제2날개부, 제3날개부, 제4날개부, 제5날개부, 제6날개부, 제7날개부, 제8날개부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1골부, 상기 제2날개부와 상기 제3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2골부, 상기 제3날개부와 상기 제4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3골부, 상기 제4날개부와 상기 제5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4골부, 상기 제5날개부와 상기 제6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5골부, 상기 제6날개부와 상기 제7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6골부, 상기 제7날개부와 상기 제8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7골부, 상기 제8날개부와 상기 제1날개부 사이에 오목한 제8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관통자.
KR1020170157340A 2017-11-23 2017-11-23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 KR10193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40A KR101930500B1 (ko) 2017-11-23 2017-11-23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340A KR101930500B1 (ko) 2017-11-23 2017-11-23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500B1 true KR101930500B1 (ko) 2018-12-19

Family

ID=6500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340A KR101930500B1 (ko) 2017-11-23 2017-11-23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251B1 (ko) 2020-08-05 2021-12-10 국방과학연구소 폭발 성형 관통자
KR20220023236A (ko) 2020-08-20 2022-03-02 국방과학연구소 폭발 성형 관통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9187A1 (en) * 2009-07-27 2016-07-21 Orbital Atk, Inc. Reactive material enhanced projectiles, devices for generating reactive material enhanced projectile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09187A1 (en) * 2009-07-27 2016-07-21 Orbital Atk, Inc. Reactive material enhanced projectiles, devices for generating reactive material enhanced projectiles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251B1 (ko) 2020-08-05 2021-12-10 국방과학연구소 폭발 성형 관통자
KR20220023236A (ko) 2020-08-20 2022-03-02 국방과학연구소 폭발 성형 관통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0061A (en) Short-range discarding-sabot training practice round and self-destruct subprojectile therefor
US4036140A (en) Ammunition
US5515787A (en) Tubular projectile
US2246429A (en) Projectile
US9528806B2 (en) Projectile having a discardable sabot
US4590862A (en) Projectile pusher-type discarding sabot
KR101930500B1 (ko) 날개 안정형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 및 폭발 성형 관통자 탄두의 날개 안정형 관통자
KR20140145593A (ko) 미사일 탄두
US4036141A (en) Ammunition
US7448324B1 (en) Segmented rod projectile
US6763765B2 (en) Break-away gas check for muzzle-loading firearms
US10082377B1 (en) Hingeable ogive projectile
US3444813A (en) Carrier for fin stabilized projectiles
US6161482A (en) Multi-disk shell and wad
US2974595A (en) Projectile
US10443990B2 (en) Fragmenting shotgun projectile with radially-disposed segments
US11156441B2 (en) Projectile,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jectile and ammunition
AU2004209894B2 (en) Double explosively-formed ring (defr) warhead
US4748912A (en) Mortar grenade
AU2018365320B2 (en) Projectile for firearms
UA49981C2 (uk) Підкаліберна куля для рушниць, зокрема для рушниць з частково або повністю нарізним стволом
RU2475694C1 (ru) Кассетный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ый снаряд для танковой гладкоствольной пушки
US5009167A (en) High-explosive projectile
RU2494337C2 (ru) Минометный бесшумный выстрел
RU2583108C1 (ru) Способ стрельбы подкалиберным активно-реактивным снарядом и подкалиберный активно-реактивный снаря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