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568B1 -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 Google Patents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568B1
KR101929568B1 KR1020170059193A KR20170059193A KR101929568B1 KR 101929568 B1 KR101929568 B1 KR 101929568B1 KR 1020170059193 A KR1020170059193 A KR 1020170059193A KR 20170059193 A KR20170059193 A KR 20170059193A KR 101929568 B1 KR101929568 B1 KR 10192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ate
power saving
informa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4512A (en
Inventor
박동수
신현만
Original Assignee
박동수
신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수, 신현만 filed Critical 박동수
Priority to KR102017005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568B1/en
Publication of KR2018012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가 개시된다.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는 대기전력에 대한 절전 기능과 전기기기 사용시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변환부; 콘센트 단자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소모 전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전달하는 상태 감지부; 제어부의 연결 명령에 따라 가정용 전원이 콘센트 단자로 제공되도록 전기적 연결 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와 Triac 부; 플러그 삽입 감지부; 상기 단자 삽입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태 감지부의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저장하고, 소모 전류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가 사용중 상태, 사용대기 상태, 사용시작요청 상태 또는 과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와 Triac 부로 연결 명령을 전달하며, 상태 정보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외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도 저장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의 소모 전류량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를 구비하며,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는 음성 인식 모드 선택 버튼, 물체 감지 센서 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Standby power saving outlet is started.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is provided with a power saving function for standby power and a power conversion unit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ower during use of the electric equipment; A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 consumed current amount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an outlet terminal and transmitting consumed current amou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 relay and a triac unit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so that a household power source is provided to an outlet terminal according to a connection command of the control unit;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And stores the consumed current amount information of the status sensing unit when th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is receiv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apparatus is in use state, use waiting state, use start request state, or overload state based on the consumed current amount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command to the relay and the Triac uni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stat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a standby power saving outlet including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the stored contents are not erased even when the external power is shut off,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nsumption current amount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includes an input unit for selectively operating a voice recognition mode selection button and an object detection mode mode selection button.

Description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0001]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

본 발명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전력에 대한 절전 기능 수행과 기기 사용시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콘센트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cket power saving function for standby power and an outlet technology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power when using the apparatus.

대기전력은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플러그가 꽂혀있으면 소모되는 전기를 말한다. 이러한 대기전력은 다수의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현대 생활에서 많은 에너지 낭비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Standby power refers to electricity consumed when a plug is plugged in even when the appliance is not in use. This standby power has a problem of causing a lot of energy waste in a modern life using a plurality of household appliances.

이러한 대기전력의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가전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절전 콘센트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reduce the use of such standby power, a power saving outlet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power can be cut off when the household appliance is in a standby state.

이러한 종래의 절전 콘센트는 가전제품이 대기상태인 경우의 전력소모량을 기반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지만, 가전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절전 콘센트를 조작하거나 절전 콘센트를 위한 리모콘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상존한다.Such a conventional power saving outlet can cut off the power supply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when the household appliance is in a standby state. However, in order to use the household appliance, the user must operate the power saving socket or use a remote control for the power saving socket. This inconvenient problem still exists.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4263310000(2004.03.26) 대기전력 차단용 다기능 멀티탭(콘센트) 및 그 제어방법Multifunctional multi-tap (outlet)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and its control method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2017870000(2012.11.09) 인공지능 자동 절전시스템Korea patent registration 10-12017870000 (2012.11.09)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c power saving system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제품의 전원버튼 조작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by power saving outlet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a power button operation of an appliance and automatically supplying power thereto.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는 가정용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120); 콘센트 단자(14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소모 전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전달하는 상태 감지부(110); 제어부(150)의 연결 명령에 따라 가정용 전원이 콘센트 단자(140)로 제공되도록 전기적 연결 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130)와 Triac 부(158);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각 콘센트 단자의 내부 밑면에서 눌려지는 누름 스위치 또는 빛감지 센서를 사용하며, 단자 삽입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 물체 감지 센서부(157); 상기 단자 삽입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상태 감지부(110)의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소모 전류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가 사용중 상태 Realy ON, 사용대기 상태 Triac부 ON, 사용시작요청 상태 또는 과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릴레이(130)와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상태 정보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인체를 감지하는 상기 물체 감지 센서부(157)의 감지 유무에 따라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Triac부(158) ON], 인체가 감지되면 사용중 상태[Realy(130) ON]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외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도 저장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50)의 소모 전류량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52)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를 구비하며,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멀티 탭의 각 콘센트 단자는 장치 ID가 할당되고,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includes a power converter 120 for converting a home power source into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 state sensing unit 110 for sensing a consumption current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nd transmitting consumption curr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A relay 130 and a triac unit 158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so that the household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ccording to a connection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50;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145 using a push switch or a light detection sensor that is pressed by an inner bottom surface of each receptacle terminal when a plug of an external device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terminal inser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An object detection sensor unit 157; And stores the consumed current amount information of the state sensing unit 110 when th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is receiv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apparatus is in use state Realy ON, use standby state Triac unit ON, Or the overload state, generates state information,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controls to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and detects a human body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iac unit 158 when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detection sensor unit 157 is detected or not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 And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the stored contents are not erased even when external power is shut off, and a storage unit 152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controller 150,
Each outlet terminal of the multi-tap of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is assigned a device ID,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음성 인식 모드 선택 버튼, 물체 감지 센서 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입력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160)는 마이크와 증폭기, 필터부와 ADC와 연결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는 HMM(Hidden Markov Model) 확률 모델, 벡터 양자화(Vector Quantization), MSVQ(Multi Swction Vector Quantization) 중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60)의 상기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라 장치 ID가 할당된 특정 콘센트 단자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130)와 상기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전달하여 동작되도록 한다.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160 for selectively operating a voice recognition mode selection button and an object detection mode mode selection button. The input unit 160 includes a microphone, an amplifier, And a speech recognition unit connected to the ADC, wherein the speech recognition unit uses a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of any one of a HMM (Hidden Markov Model) probability model, a vector quantization, and a MSVQ (Multi Swing Vector Quantization)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or a blocking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with respect to a specific receptacle terminal to which a device ID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command of the input unit 16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상기 제어부(150)의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5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부(156)로 전달한다.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56 for visually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an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may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56, respectively.

상기 상태 감지부(110)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에서 상기 단자 삽입 정보가 생성될 경우, 외부 장치의 플러그 삽입 여부에 따라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마다 상기 상태 감지부(110)와 상기 제어부(150)가 동작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에 의해 절전 상태를 사용하게 되며, When the plug inserting unit 145 generates th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the state sensing unit 110 senses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whether a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sensed current amount to the controller 150 The state detecting unit 110 and the controller 150 operate each time a plug of the external apparatus is inserted so that the external apparatus uses the power saving state by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상기 콘센트 단자(140)에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연결되면,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는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콘센트 단자에 삽입되었음을 상기 제어부(150)에 알리고, 상기 상태 감지부(110)는 외부 장치의 사용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이 전류 소모량 정보는 저장부(152)에 저장되며, When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the plug insertion sensing part 145 informs the control part 150 that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state sensing part 110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of the external apparatus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사용자가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착되면, 외부 장치의 사용에 따른 전류 소모량이 상기 대기 상태시의 전류 소모량보다 큰 상태임을 상기 상태 감지부(110)가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릴레이(130)를 통해 전원이 상기 콘센트 단자(140)로 계속 공급되도록 하며, When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by the user, the state sensing unit 110 senses that the current consumed by the use of the external device is larger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during the standby state, So that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through the relay 130,

사용자가 외부 장치의 플러그를 오프 상태로 하면, 상기 상태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전류 소모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외부 장치가 상기 사용대기 상태임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릴레이(130)가 전원 연결을 차단한다.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use standby state based on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measured by the state detection unit 110, The power supply 130 disconnects the power supply.

상기 입력부(160)는 마이크와 증폭기, 필터부와 ADC와 연결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기 설정된 특정 음성 데이터의 음성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60)의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라 장치 ID가 할당된 특정 콘센트 단자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130)와 상기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전달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The input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an amplifier, a filter unit, and a speech recognition unit connected to the ADC. The control unit 150 may input an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according to speech recognition of predetermined specific speech data.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or a blocking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to a specific outlet terminal to which a device ID is assigned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of the input unit 160. [ To supply or cut off power.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스마트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USB 연결부(159)를 더 포함하며,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100 further includes a USB connection unit 159 connected by a USB cabl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멀티 탭의 각 콘센트 단자는 장치 ID가 할당된다. Each outlet terminal of the multi-tap of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is assigned a device ID.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 전력 절전 콘센트는 콘센트 단자 마다 구비된 스위치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통신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물체 감지 센서 모드를 버튼을 눌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감시전원 공급부에 의한 전원 공급에 의해 가전제품의 전원 버튼이 켜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를 제공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전기세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can selectively use the smartphone communication mode, the voice recognition mode, the object detection sensor mode, and the switch provided for each outlet terminal by pressing the butt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state where the power button of the household appliances is turned on, thereby providing a standby power saving socket that can automatically supply the power,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waste of standby power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제품 구조도이다.
도 3a 및 3b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제품 사진[2구(일반), 4구(일반)]이다.
도 4a는 전기용품 안전 인증서(J-200S)16A 250V이다.
도 4b는 [인공지능] 전자파적합성 시험성적서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tandby power saving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roduct structural view of a standby power saving outle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S. 3A and 3B are photographs of products [two-socket (general), four-socket (general)] of the standby power saving socket.
Fig. 4A is the electric appliance safety certificate (J-200S) 16A 250V.
Fig. 4B is a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st report of [AI]].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ndby power saving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실시예)(Exampl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ndby power saving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제품 구조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roduct structure diagram of a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는 간략히 '절전 콘센트'라 하며, 상태 감지부(110), 전원 변환부(120), 릴레이(130), 콘센트 단자(140),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 제어부(150), 저장부(152), 경고 부저(154), 표시부(156), 물체 감지 센서부(157), Triac부(158) 및 입력부(160)로 구성된다.1,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briefly referred to as a 'power saving outl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ncludes a state detection unit 110, A controller 130 and a control unit 150.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50.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switching unit 120, the relay 130, the receptacle terminal 140, the plug insertion sensing unit 145, A triac unit 158, and an input unit 160. The input unit 160 includes a triac unit 157, a triac unit 158,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가정용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120); 콘센트 단자(14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소모 전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전달하는 상태 감지부(110); 제어부(150)의 연결 명령에 따라 가정용 전원이 콘센트 단자(140)로 제공되도록 전기적 연결 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130)와 Triac 부(158);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각 콘센트 단자의 내부 밑면에서 눌려지는 누름 스위치 또는 빛감지 센서를 사용하며,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 단자(140)에 삽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콘센트 단자(140) 내부에 스위치 형태로 돌출 구비되어 단자 삽입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 물체 감지 센서부(157); 상기 단자 삽입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상태 감지부(110)의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소모 전류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가 사용중 상태 Realy ON, 사용대기 상태 Triac부 ON, 사용시작요청 상태 또는 과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릴레이(130)와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상태 정보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인체를 감지하는 상기 물체 감지 센서부(157)의 감지 유무에 따라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Triac부(158) ON], 인체가 감지되면 사용중 상태[Realy(130) ON]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외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도 저장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50)의 소모 전류량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52)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를 구비하며,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includes a power converter 120 for converting a home power source into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 state sensing unit 110 for sensing a consumption current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nd transmitting consumption curr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A relay 130 and a triac unit 158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so that the household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ccording to a connection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50; A push switch or a light detection sensor which is pressed by an inner bottom surface of each receptacle terminal when a plug of an external apparatus is inserted is used and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145 protruded in a switch form to transmit the terminal inser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An object detection sensor unit 157; And stores the consumed current amount information of the state sensing unit 110 when th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is receiv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apparatus is in use state Realy ON, use standby state Triac unit ON, Or the overload state, generates state information,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controls to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and detects a human body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iac unit 158 when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detection sensor unit 157 is detected or not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 And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the stored contents are not erased even when external power is shut off, and a storage unit 152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controller 150, ,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스마트폰 통신 모드 선택 버튼, 음성 인식 모드 선택 버튼, 물체 감지 센서 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입력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60)의 상기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라 장치 ID가 할당된 특정 콘센트 단자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130)와 상기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전달하여 동작되도록 한다.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160 for selectively operating a smartphon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button, a voice recognition mode selection button, and an object detection sensor mode selection button,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or a blocking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with respect to a specific receptacle terminal to which a device ID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command of the input unit 160, .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Wi-Fi, Blutooth)에 의해 스마트폰으로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현재 ON/OFF 상태와 전력 소모량을 출력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로 장치 ID가 할당된 특정 콘센트 단자에 대하여 원격 콘센트 단자 제어 신호(ON/OFF 제어 신호)가 수신되어 사용자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스마트폰 통신 모드 선택 버튼, 사용자 음성 인식에 따라 사용자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음성 인식 모드 선택 버튼, 일정 거리 내에서 물체와 인체의 감지여부에 따라 동작되는 물체 감지 센서 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된 모드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60)를 더 포함하고,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outputs a current ON / OFF state and a power consumption amount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with a smart phone by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A smartphone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button for receiving a remote operation terminal control signal (ON / OFF control signal) for a specific outlet terminal to which a device ID is assigned by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and receiving a user operation command, A voice recognition mode selection button for inputting a user operation command, an input unit 160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in a selected mode having an object detection sensor mode selection button oper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object and the human body are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comprising: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60)의 상기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라 장치 ID가 할당된 특정 콘센트 단자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130)와 상기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전달하여 동작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or a blocking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with respect to a specific receptacle terminal to which a device ID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command of the input unit 160, .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는 상기 제어부(150)의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5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부(156)로 전달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The standby power saving socket outle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156 for visually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unit 156 To be displayed.

상기 상태 감지부(110)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에서 상기 단자 삽입 정보가 생성될 경우, 외부 장치의 플러그 삽입 여부에 따라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마다 상기 상태 감지부(110)와 상기 제어부(150)가 동작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에 의해 절전 상태를 사용하게 되며, When the plug inserting unit 145 generates th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the state sensing unit 110 senses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whether a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sensed current amount to the controller 150 The state detecting unit 110 and the controller 150 operate each time a plug of the external apparatus is inserted so that the external apparatus uses the power saving state by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상기 콘센트 단자(140)에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연결되면,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는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콘센트 단자에 삽입되었음을 상기 제어부(150)에 알리고, 상기 상태 감지부(110)는 외부 장치의 사용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이 전류 소모량 정보는 저장부(152)에 저장되며, When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the plug insertion sensing part 145 informs the control part 150 that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state sensing part 110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of the external apparatus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사용자가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착되면, 외부 장치의 사용에 따른 전류 소모량이 상기 대기 상태시의 전류 소모량보다 큰 상태임을 상기 상태 감지부(110)가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릴레이(130)를 통해 전원이 상기 콘센트 단자(140)로 계속 공급되도록 하며, When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by the user, the state sensing unit 110 senses that the current consumed by the use of the external device is larger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during the standby state, So that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through the relay 130,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오프 상태로 하면, 상기 상태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전류 소모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외부 장치가 상기 사용대기 상태임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릴레이(130)가 전원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user turns off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tandby state based on the current consumption measured by the state sensing unit 110, )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상기 입력부(160)는 마이크와 증폭기, 필터부와 ADC와 연결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기 설정된 특정 음성 데이터의 음성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60)의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라 장치 ID가 할당된 특정 콘센트 단자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130)와 상기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전달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The input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an amplifier, a filter unit, and a speech recognition unit connected to the ADC. The control unit 150 may input an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according to speech recognition of predetermined specific speech data.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or a blocking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to a specific outlet terminal to which a device ID is assigned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of the input unit 160. [ To supply or cut off power.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스마트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USB 연결부(159)를 더 포함하며,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100 further includes a USB connection unit 159 connected by a USB cabl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멀티 탭의 각 콘센트 단자는 장치 ID가 할당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각 콘센트 단자의 ON/OFF 상황이 표시되고,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로 원격 콘센트 단자 제어 신호(ON/OFF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ach outlet terminal of the multi-tap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is assigned a device ID, and the smart phone displays the ON / OFF status of each outlet terminal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And transmits the remote receptacle terminal control signal (ON / OFF control signal) to the power saving receptacle 100.

상기 입력부(160)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블루투스 통신부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부와 통신되어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콘센트 단자마다 ON/OFF 여부 데이터와 실시간 전력 소모량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콘센트 단자 ON/OFF 상황을 보고,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꽃혀 있지 않은 콘센트 단자의 장치 ID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로 원격 콘센트 단자 제어 신호(ON/OFF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장치 ID가 할당된 해당 콘센트 단자를 ON/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input unit 160 is provided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the input unit 160 may communicate wit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of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100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phone, And the real-time power consumption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the outlet terminal ON / OFF status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s checked, and the device ID of the outlet terminal, To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from the smartphone of the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sponding outlet terminal to which the device ID is assigned is turned on / off.

이하,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각 블럭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each block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원 변환부(120)는 가정용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20 converts the household power source into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상태 감지부(110)는 콘센트 단자(14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소모 전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전달한다. 상태 감지부(110)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에서 단자 삽입 정보가 생성될 경우, 무접점 릴레이 인 Triac부(158)를 ON 시키어 외부 장치의 대기 상태에서의 소모 전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단자 삽입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소음이 없는 무접점 릴레이 인 Triac부(158)를 ON 시켜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다양한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마다 상태 감지부(110)와 제어부(150)가 동작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데이터 입력 없이도 다양한 외부 장치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에 의해 절전 상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 기술들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들에 외부 장치의 플러그를 연결하고, 대기 값을 읽게 하는 것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을 생략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state sensing unit 110 senses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by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nd transmits the consumed current amoun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When the plug inserting unit 145 generates th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the state detecting unit 110 turns on the triac unit 158, which is a non-contact relay, to detect the amount of consumed current in the standby state of the external apparatus, ). This operation is performed by turning on the Triac unit 158, which is a non-contact relay having no noise, repeatedly every tim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is generated. In other words, the state sensing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50 operate each time a plug of a variety of external apparatuses is inserted, so that various external apparatuses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aving receptacle 100 . ≪ / RTI > Such a configuration can eliminate the user's operation such as connecting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receptacle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reading the standby value,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Triac부(158)와 릴레이(130)는 제어부(150)의 연결 명령에 따라 가정용 전원이 콘센트 단자(140)로 제공되도록 전기적 연결 경로를 제공한다.The triac unit 158 and the relay 130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so that the household power is suppli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ccording to a connection command of the controller 150. [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는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콘센트 단자(140)에 삽입여부를 감지하여 단자 삽입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이 안된 경우 콘센트 단자(140) 전원을 삽입시까지 차단한다.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145 senses whether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nd transmits the terminal inser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50. When the plug of the external apparatus is not inserted, Cut the power supply until it is inserted.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는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각 콘센트 단자의 내부 밑면에서 눌려지는 누름 스위치, 플러그의 삽입에 따라 빛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감지하는 빛감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145 may include a push switch that is pushed by an inner bottom surface of each receptacle terminal when a plug of an external device is inserted, and a ligh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at the amount of light is reduced upon inserting the plug.

그 일 예로,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는 도 2에서와 같이 콘센트 단자(140) 내부에 누름 스위치 형태로 구비된다.For example,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145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ush switch inside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s shown in FIG.

제어부(150)는 단자 삽입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태 감지부(110)의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저장하고, 소모 전류량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사용중 상태(Realy ON), 대기 상태(Triac부 ON), 사용시작요청 상태 또는 과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릴레이(130)와 Triac부(158)로 연결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인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 센서부(157)의 감지 유무에 따라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Triac부(158) ON], 인체가 감지되면 사용중 상태[Realy(130) ON]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도 제어한다. 제어부(150)의 소모 전류량 정보는 별도의 저장부(152)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때 저장부(152)는 외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도 저장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150 stores the consumption current amount information of the state sensing unit 110 when the terminal inser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use state (Realy ON) or in the standby state ), The start request state or the overload state, generates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If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150 turns on the triac unit 158. If the human body is detected, ON] is also controlled. The consumed current amount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150 may b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unit 152.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52 is constituted by a nonvolatile memory whose stored contents are not erased even when external power is shut off.

입력부(160)는 블루투스 통신부를 구비하는 경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블루투스 통신부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부와 통신되어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콘센트 단자마다 ON/OFF 여부 데이터와 실시간 전력 소모량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콘센트 단자 ON/OFF 상황을 보고,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꽃혀 있지 않은 콘센트 단자의 장치 ID를 확인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 원격 콘센트 단자 제어 신호(ON/OFF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장치 ID가 할당된 해당 콘센트 단자를 ON/OFF시킬 수 있다.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멀티 탭의 각 콘센트 단자는 장치 ID가 할당되며, 스마트폰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각 콘센트 단자의 ON/OFF 상황이 표시된다. The input unit 160 may communicate wit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of the smartphone to transmit ON / OFF data and real-time power for each outlet terminal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when the input unit 160 include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The amount of consumption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he status of the outlet terminal of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100 displayed on the smartphone is checked, and the device ID of the outlet terminal, By transmitting an outlet terminal control signal (ON / OFF control signal), the corresponding outlet terminal to which the device ID is assigned remotely can be turned ON / OFF. Each outlet terminal of the multi-tap of the standby power saving power outlet 100 is assigned a device ID, and the smart phone displays ON / OFF status of each outlet terminal of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입력부(160)는 IR, RF 또는 블루투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무선 리모콘, 제어부와 연동된 입력부에 자체적으로 음성인식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 인식(예, 4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콘센트 단자의 경우, "1번 ON, 2번 ON, 3번 ON, 4번 OFF), 또는 콘센트 단자 마다 부착된 조작 스위치와 같은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60)의 명령에 따라 Triac부(158) 및/또는 릴레이(130)로 연결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The input unit 160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and transfers the command to the controller 150. The input unit 160 may include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using any one of IR, RF, and Bluetooth,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itself in an input unit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to recognize a voice command of the user (for example, Various kinds of means such as "ON ON", "2 ON", "3 ON", "4 OFF", or an operation switch attached to each receptacle terminal may be used as the control unit 150. At this time, And then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or a blocking command to the Triac unit 158 and / or the relay 130.

입력부(160)에 적외선(IR)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IR)는 주로 PIR 센서를 사용하며, 입력부(160)의 적외선(IR) 센서에 의해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에 물체 또는 인체가 감지되면, 이 신호를 제어부(150)의 CPU에 의해 릴레이(130)를 ON 시키며 콘센트 단자(140)로 전원을 인가하여 소비자가 대기값을 가진 전기 제품을 사용하게 되며, When an infrared (IR) sensor is used for the input unit 160, the infrared sensor IR mainly uses a PIR sensor and the infrared (IR) sensor of the input unit 160 detects an object or a human body The relay 130 is turned on by the CPU of the controller 150 and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outlet terminal 140 so that the consumer uses the electric appliance having the standby value,

입력부(160)의 적외선(IR, PIR) 센서에 의해 탐지 거리내에서 물체 및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릴레이(130)를 OFF하여 해당 콘센트 단자의 전원을 차단한다.If an object or a human body is not detected within the detection distance by the infrared (IR, PIR) sensor of the input unit 160, the relay 130 is turned off to cut off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receptacle terminal.

그러나, 본 발명의 입력부(160)는 적외선 센서(IR), RF 또는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무선 리모콘, 사용자의 음성 명령 인식, 별도의 콘센트 단자마다 부착된 ON/OFF 조작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input unit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n infrared sensor (IR),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using RF or Bluetooth, a user's voice command recognition, and an ON / OFF operation switch attached to each outlet terminal.

입력부(160)에서 적외선(IR)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입력부(160)의 적외선(IR) 센서는 주로 PIR 센서(인체 감지 센서)를 사용하며,When an infrared (IR) sensor is used in the input unit 160, the infrared (IR) sensor of the input unit 160 mainly uses a PIR sensor (human body sensor)

적외선(IR) 센서에 의해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에 물체 및 인체가 감지되면, 이 신호를 제어부(150)의 CPU에 의해 릴레이(130)를 ON 시키고 콘센트 단자(140)로 전원을 인가하여 소비자가 대기값을 가진 전기 제품을 사용하게 된다. When an object and a human body are detected by an infrared (IR) sensor, the CPU of the control unit 150 turns on the relay 130 and supplies power to the outlet terminal 140, Electric appliances having a value of "

입력부(160)의 적외선(IR) 센서에 의해 물체 및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릴레이(130)를 OFF하여 콘센트 전원을 차단한다. If the object and the human body are not detected by the infrared (IR) sensor of the input unit 160, the relay 130 is turned off to shut off the power to the outlet.

입력부(160)에 음성 인식부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 인식(예, 3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콘센트 단자의 경우, "1번 ON, 2번 OFF, 3번 ON")을 특정 단어들이 포함된 음성 데이터 만을 한정하여 음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When a voice recognition unit is provided in the input unit 160 and a user recognizes a voice command (e.g., "1 ON, 2 OFF, 3 ON" in the case of an outlet terminal having three terminals) So as to recognize the voice.

이 경우, 전체 음성 인식부는 소형 마이크와 증폭기와 필터부와 ADC와 연결되는 음성인식부가 구비되며, In this case, the entire voice recognition unit includes a small microphone, an amplifier, a filter unit,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connected to the ADC,

음성 인식부는 입력부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사람의 음성 신호를 추출하도록 4kHz 이하로 저역통과 필터링(LPF), A/D변환, 8kHz 표본화(8kHz Sampling), 12bit 비트율로 양자화된 후 N개의 표본으로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알고리즘에 의해 HMM 신호처리 과정으로부터 추출된 특징 벡터를 사용하여 음성인식의 기본 단위인 단어(word), 음소(phone), 음절(syllable)의 인식 단위를 구분하여 음성이 변환된 인식 문자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음성 인식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MM(Hidden Markov Model) 확률 모델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The speech recognition unit performs low pass filtering (LPF), A / D conversion, 8 kHz sampling (8 kHz sampling) at a frequency of 4 kHz or less and quantization with a 12 bit rate so as to extract a human voice signal by receiving an analog voice signal from a microphone provided in an input unit A speech signal sampled with N samples is subjected to speech recognition using a feature vector extracted from an HMM signal processing process by a voice recognition algorithm to generate a word, a phoneme, a syllable,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character to the control unit. The speech recognition unit uses HMM (Hidden Markov Model) probability model algorith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성 인식부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공 지능과 음향학, 자연어처리에 사용되는 HMM(Hidden Markov Model) 확률 모델, 동적 정합법(dynamic matching), 벡터 양자화(Vector Quantization), MSVQ(Multi Swction Vector Quantization) 중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The speech recognition unit is not limited to the HMM, but may be a HMM (Hidden Markov Model) probability model us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coustic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dynamic matching, vector quantization, and MSVQ (Multi Swing Vector Quantization) Any one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can be used.

예를 들면, 음성 인식부는 마이크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사람의 음성 신호를 추출하도록 4kHz 이하로 저역통과 필터링(LPF)하는 단계; 4kHz 이하로 저역통과 필터링 된 음성 신호를 A/D 변환하고 8kHz 표본화(8kHz Sampling) 및 12 bit 양자화 비트수로 양자화하는 단계; 입력된 음성이 DC 성분을 포함한 저주파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H(z)=1-az-1, (0≤a≤1)(여기서, a는 preemphasis 파라미터의 일반적인 값으로 0.95를 사용하며, 고주파 스펙트럼의 크기에 대하여 20dB이상의 증폭) FIR 필터에 의해 DC 성분을 포함한 저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고주파 성분의 포만트(formant)가 저주파 성분의 포만트(formant)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에너지 분포를 가지므로 고주파 성분의 포만트를 강조하여 전 대역의 포만트에 대하여 고른 에너지 분포를 얻기 위해 Equal-loudness 곡선에 따라 고역 강조(Pre-emphasis)를 실시하는 단계; 연속된 음성 분석 프레임에서 N개의 표본으로 샘플링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고,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를 사용하여 N개의 표본으로 샘플링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양 끝점에서 급격한 변화를 제거하는 단계;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변환/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변환을 사용하여 N개의 표본으로 샘플링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며, 사람의 청각 구조에 기초하는 음성 특징의 특징 벡터 인 켑스트럼 계수(Cepstral coefficient), 사람의 청각 구조와 인접한 여러개의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etr)들의 Mel filter bank를 구성됐다면 음성출력 신호의 크기에 제곱의 logarithm(log(││)2)에 의해 생성된 log 에너지, 임계 구간(critical band)을 분해한 후, Mel filter bank에서 얻어진 음성출력 신호의 크기에 제곱의 logarithm을 구하고, 필터링과 inverse DFT를 수행하여 생성된 특징 벡터를 추출하여 단어 또는 음소 단위로 음성을 인식한다.For example, the speech recognition unit may include a step of performing low-pass filtering (LPF) at 4 kHz or less to extract an analog speech signal from a microphone and extract a human speech signal; A / D-converting the low-pass filtered speech signal to 4 kHz or less and quantizing the speech signal into 8 kHz sampling (8 kHz sampling) and 12 bit quantization bit number; Since the input speech includes a low frequency signal including a DC component, H (z) = 1-az -1 , (0? A? 1 ) (where a is a general value of the preemphasis parameter of 0.95, Th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 frequency component because the formant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has a relatively smaller energy distribution than the formant of the low frequency component. Emphasizing the formant and performing a high-emphasis according to an equal-loudness curve to obtain an even energy distribution for the formants of all bands; Extracting speech signals sampled with N samples in a continuous speech analysis frame and removing abrupt changes at both end points of the frequency spectrum of the speech signal sampled with N samples using a Hamming Window; The frequency spectrum of the speech signal sampled by N samples is analyzed using a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transformation, and the frequency spectrum of the speech characteristic, Cepstral coefficient, if constructed of a Mel filter bank of several band-pass filets that are adjacent to the human auditory structure, can be represented by the logarithm of the square of the magnitude of the voice output signal (log (||) 2 ) log energy and critical band are extracted, the logarithm of the square of the voice output signal obtained from the Mel filter bank is obtained, the filtering and inverse DFT are performed, and the generated characteristic vector is extracted in units of words or phonemes And recognizes the voice.

음성 신호의 특징 파라미터 추출 방법은 켑스트럼 계수(Cepstrum coefficient), LSF(Line Spectrum Frequency), 주파수 대역별(Filter Bank) 에너지(사람의 청각 구조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의 크기의 제곱의 log 에너지-logarithm dynamic 압축 과정을 통해 크기 성분은 살리고 위상(phase) 성분은 버림)에 의한 특징 벡터를 사용한다. HMM(Hidden Markov Model)을 사용하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경우, 음성 신호의 특징 벡터는 HMM 신호처리 과정에서 추출된 특징벡터 Y를 사용하여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The characteristic parameter extraction method of the speech signal is based on Cepstrum coefficient, LSF (Line Spectrum Frequency), Filter Bank energy (log energy of square of voice signal size based on human auditory structure - logarithm dynamic The feature vector is used by the compression process to save the magnitude component and discard the phase component. In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HMM (Hidden Markov Model), the feature vector of the speech signal can be recognized using the feature vector Y extracted from the HMM signal processing.

표시부(156)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56)는 LED, 램프와 같은 다양한 발광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6 visually displays the status of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56 may be formed of various light emitting means such as LEDs and lamps.

경고부저(154)는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외부 장치의 과부하 상태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경고부저(154)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작업중에도 절전 콘센트(100)가 과부하 상태임을 알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한다.The warning buzzer 154 outputs the overload state of the external apparatus to the sound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using the warning buzzer 154,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power saving outlet 100 is in an overload state even during another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사용예)(Example of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사용예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using a standby power saving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사용자는 콘센트 단자(140)에 외부 장치의 플러그를 연결한다. 이때 외부 장치의 전원은 오프(off) 상태로 둔다. 이때,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는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에 삽입되었음을 제어부(150)에 알리고, 상태 감지부(110)는 Triac 부(158)를 ON 시키어 외부 장치의 사용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이 전류 소모량 정보는 저장부(152)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부(152)는 필요에 따라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착된 마다 대기절력 절전 콘센트(100)의 콘센트 단자에 고유의 장치 ID를 부여하여, 다양한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콘센트 단자(140)에 삽입될 때마다 반복됨에 유의한다. 더불어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로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를 조작하지 않고도, 다양한 외부 장치의 대기 상태 전류 소모량이 자동적으로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에서 데이터화되어 종래 기술에 비해 사용이 편리해 진다.First, the user connects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t this time, the power of the external device is turned off. At this time,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145 notifies the control unit 150 that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tandby power saving socket, and the state detecting unit 110 turns on the triac unit 158, And transmits the measured current consumption amount to the control unit 150.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52 may assign a unique device ID to the receptacle terminal of the atmospheric power saving receptacle 100 whenever a plug of the external apparatus is inserted, if necessary, so that various external apparatus plugs can be used. Note that this operation is repeated each time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of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standby state current consumption amount of various external apparatuses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data in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without the need for the user to separately operate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so that the use is easier than in the prior art.

다음으로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사용한다. 이때에는 외부 장치의 사용에 따른 전류 소모량이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보다 큰 상태임을 상태 감지부(110)가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150)는 Triac 부(158)와 릴레이(130)를 통해 전원이 콘센트 단자(140)로 계속 공급되도록 한다.Next, the user uses the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state sensing unit 110 senses that the current consumed by the use of the external device is larger than the current consumed in the standby state. Based on this,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triac unit 158 and the relay 130 So that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outlet terminal 140.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오프(off) 상태로 하면, 상태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전류 소모량을 기반으로 제어부(150)는 외부 장치가 사용대기 상태임을 판단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150)는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릴레이(130)가 전원 연결을 차단하도록 한다.When the user turns off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tandby state based on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measured by the state sensing unit 110. [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causes the relay 130 to cut off the power connec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이후, 사용자가 외부 장치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물체 감지 센서부(157)를 사용하거나 입력부(160)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를 온(on) 상태로 바꾸게 되면, 상태 감지부(110) 또는 제어부(150)가 이를 감지하여 Triac 부(158)와 릴레이(130) ON하여 외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of the external device, changes the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on state using the object detection sensor unit 157 or the input unit 160, the state detection unit 110 or the control unit 150 senses this and turns on the triac unit 158 and the relay 130 to supply power to the external device.

도 3a 및 3b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의 제품 사진[2구(일반), 4구(일반)]이다. (주)제일전기통신은 실제로 연구개발하여 품질시험 인증을 받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제품 사진 - 2구, 4구를 다음과 같이 첨부하였다.FIGS. 3A and 3B are photographs of products [two-socket (general), four-socket (general)] of the standby power saving socket. Cheil Electronics Co., Ltd. has been awarded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product photo, which was actually developed by research and development.

도 4a는 전기용품 안전 인증서(J-200S)16A 250V, 도 4b는 [인공지능] 전자파적합성 시험성적서이다. Fig. 4A shows the electrical appliance safety certificate (J-200S) 16A 250V, and Fig. 4B shows the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st report of [AI].

본사가 연구개발한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제품은 전기용품 안전 인증서(J-200S)16A 250V, 및 [인공지능] 전자파적합성 시험성적서를 첨부하였다. Attached to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product which our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developed, is the electrical appliances safety certificate (J-200S) 16A 250V, and [AI]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test repo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절전 콘센트 110: 상태 감지부
120: 전원 변환부 130: 릴레이
140: 콘센트 단자 145: 플러그 삽입 감지부
150: 제어부 152: 저장부
154: 경고부저 156: 표시부
157: 물체 감지 센서부 158: Triac 스위칭부
160: 입력부
100: power saving outlet 110: state detection unit
120: power conversion unit 130: relay
140: Outlet terminal 145: Plug inserting part
150: control unit 152:
154: Warning buzzer 156:
157: Object detection sensor unit 158: Triac switching unit
160:

Claims (7)

가정용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변환부(120);
콘센트 단자(140)에 연결된 외부 장치의 소모 전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전달하는 상태 감지부(110);
제어부(150)의 연결 명령에 따라 가정용 전원이 콘센트 단자(140)로 제공되도록 전기적 연결 경로를 제공하는 릴레이(130)와 Triac 부(158);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각 콘센트 단자의 내부 밑면에서 눌려지는 누름 스위치 또는 빛감지 센서를 사용하며, 단자 삽입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
물체 감지 센서부(157);
상기 단자 삽입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상태 감지부(110)의 소모 전류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소모 전류량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외부 장치가 사용중 상태 Realy ON, 사용대기 상태 Triac부 ON, 사용시작요청 상태 또는 과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릴레이(130)와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을 전달하며, 상기 상태 정보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며, 인체를 감지하는 상기 물체 감지 센서부(157)의 감지 유무에 따라 인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상태[Triac부(158) ON], 인체가 감지되면 사용중 상태[Realy(130) ON]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및
외부 전력이 차단된 상태에도 저장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50)의 소모 전류량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52)를 포함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를 구비하며,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의 멀티 탭의 각 콘센트 단자는 장치 ID가 할당되고,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음성 인식 모드 선택 버튼, 물체 감지 센서 모드 선택 버튼을 구비하여 선택된 모드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160)는 마이크와 증폭기, 필터부와 ADC와 연결되는 음성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는 HMM(Hidden Markov Model) 확률 모델, 벡터 양자화(Vector Quantization), MSVQ(Multi Swction Vector Quantization) 중 어느 하나의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60)의 상기 사용자 동작 명령에 따라 장치 ID가 할당된 특정 콘센트 단자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130)와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전달하여 동작되도록 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A power converter 120 for converting a household power source into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A state sensing unit 110 for sensing a consumption current of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nd transmitting consumption curr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A relay 130 and a triac unit 158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so that the household power source is suppli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according to a connection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50;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145 using a push switch or a light detection sensor that is pressed by an inner bottom surface of each receptacle terminal when a plug of an external device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terminal inser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50;
An object detection sensor unit 157;
And stores the consumed current amount information of the state sensing unit 110 when th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is receiv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apparatus is in use state Realy ON, use standby state Triac unit ON, Or the overload state, generates state information,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controls to transmit the state information, and detects a human body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riac unit 158 when the human body is not det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object detection sensor unit 157 is detected or not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 And
A standby power saving socket 100 including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storage contents are not erased even when external power is shut off and a storage unit 152 in which the amount of consumed current of the controller 150 is stored,
Each outlet terminal of the multi-tap of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is assigned a device ID,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160 that receives a user's operation command in a selected mode by having a voice recognition mode selection button and an object detection mode mode selection button,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connected to the amplifier, the filter unit and the ADC, wherein the speech recognition unit recognizes any one of voice recognition (HMM) probability model, vector quantization and MSVQ (Multi Swing Vector Quantization) Algorithm,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a connection command or a shutoff command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to the specific outlet terminal to which the device ID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command of the input unit 160 Standby power saving outle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의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5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표시부(156)로 전달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156) for visually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controller (150)
And the control unit (150)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5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110)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에서 상기 단자 삽입 정보가 생성될 경우, 외부 장치의 플러그 삽입 여부에 따라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마다 상기 상태 감지부(110)와 상기 제어부(150)가 동작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에 의해 절전 상태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콘센트 단자(140)에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연결되면,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145)는 외부 장치의 플러그가 콘센트 단자에 삽입되었음을 상기 제어부(150)에 알리고, 상기 상태 감지부(110)는 외부 장치의 사용 대기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고, 이 전류 소모량 정보는 저장부(152)에 저장되며,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사용하면, 외부 장치의 사용에 따른 전류 소모량이 상기 대기 상태시의 전류 소모량보다 큰 상태임을 상기 상태 감지부(110)가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릴레이(130)를 통해 전원이 상기 콘센트 단자(140)로 계속 공급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외부 장치의 플러그를 오프 상태로 하면, 상기 상태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전류 소모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외부 장치가 상기 사용대기 상태임을 판단하여 소정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릴레이(130)가 전원 연결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lug inserting unit 145 generates the terminal inserting information, the state sensing unit 110 senses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whether a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and transmits the sensed current amount to the controller 150 The state detecting unit 110 and the controller 150 operate each time a plug of the external apparatus is inserted so that the external apparatus uses the power saving state by the standby power saving receptacle 100,
When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the plug insertion sensing part 145 informs the control part 150 that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state sensing part 110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of the external apparatus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2,
When the user uses the external device, the state sensing unit 110 senses that the current consumed by the use of the external device is larger than the current consumption during the standby state, and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relay So that the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eceptacle terminal 140 through the plug socket 130,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lug of the external devic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use standby state based on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measured by the state detection unit 110, (130) disconnects the power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60)는 기 설정된 특정 음성 데이터의 음성 인식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60)의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라 장치 ID가 할당된 특정 콘센트 단자에 대하여 상기 릴레이(130)와 상기 Triac 부(158)로 연결 명령 또는 차단 명령을 전달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unit 160 can input a user's opera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of the specific voice data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user of the input unit 160 To the relay (130) and the Triac unit (158) to a specific outlet terminal to which the device ID is assigned according to an instruction, to supply or cut off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100)는 스마트폰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USB 연결부(159)를 더 포함하는, 대기전력 절전 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ndby power saving outlet (100) further comprises a USB connection (159) connected by a USB cable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삭제delete
KR1020170059193A 2017-05-12 2017-05-12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KR101929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193A KR101929568B1 (en) 2017-05-12 2017-05-12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193A KR101929568B1 (en) 2017-05-12 2017-05-12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12A KR20180124512A (en) 2018-11-21
KR101929568B1 true KR101929568B1 (en) 2018-12-14

Family

ID=6460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193A KR101929568B1 (en) 2017-05-12 2017-05-12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5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23B1 (en) * 2018-12-27 2020-02-10 박동수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using a rotating saftety wing under plug insertion portion of respective concentric plug
KR20200124555A (en) * 2019-04-24 2020-11-03 주식회사 웰바스 Socket device having a standby power shutoff func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70807B1 (en) * 2021-10-07 2022-12-06 세계전자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monitoring service for situation de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4992A (en) * 2009-09-11 2013-02-07 チャン・ホ・キム Outlet device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5062B1 (en) * 2016-01-28 2016-12-09 주식회사 웰바스 A artificial intelligent wall outlet for automatic quiescent power cut-off and recovery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4992A (en) * 2009-09-11 2013-02-07 チャン・ホ・キム Outlet device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85062B1 (en) * 2016-01-28 2016-12-09 주식회사 웰바스 A artificial intelligent wall outlet for automatic quiescent power cut-off and recovery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12A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568B1 (en)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CN106920548B (en) Voice control device, voice control system, and voice control method
CN111294258A (en) Voic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US20140229184A1 (en) Waking other devices for additional data
US20010000534A1 (en) Voice activated switch method and apparatus
CN109920419B (en) Vo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JPWO2015029304A1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JP2003015682A (en) Speech recognition control device and speech recognition control method
CN103886236A (en) Acoustic control screen unlock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AU708133B1 (en) Voice-controlled electrical adapter
US20200202702A1 (en) Infrared remote controller based on voice control and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apparatus
KR20190059509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202585960U (en) Voice control socket
CN209168388U (en) Remote controler
CN113516975A (en) Intelligent household voice-operated switch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08601180A (en) Electric light audio-switch,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sound groove recognition technology in e
CN111243584B (en) Intelligent socket controlled by multidimensional sound signals and control method of multidimensional sound signals
CN212933302U (en) Voice interaction controller device
KR101753674B1 (en) A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CN111048092B (en) Vo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 toilet
KR102075723B1 (en) Power-saving concentric plug for standby power using a rotating saftety wing under plug insertion portion of respective concentric plug
JP2014119585A (en) Measuring apparatus
CN113470642A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voice control scene based on intelligent household APP
TW200620242A (en) A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with speech control
CN212967098U (en) Off-line voic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