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464B1 -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464B1
KR101929464B1 KR1020170075921A KR20170075921A KR101929464B1 KR 101929464 B1 KR101929464 B1 KR 101929464B1 KR 1020170075921 A KR1020170075921 A KR 1020170075921A KR 20170075921 A KR20170075921 A KR 20170075921A KR 101929464 B1 KR101929464 B1 KR 101929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bluetooth device
information data
master device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내진
Original Assignee
에이브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브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브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5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서 1:N 방식으로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되는 마스터 기기, 상기 무선 통신망 내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의 슬레이브(slave)기기로 동작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기기,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와 이격되어 채널의 통신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로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식별정보 데이터와 거리정보 및 위치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저장부 및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알람 또는 LED 깜박거림을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스터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Vibration system for bluetooth equipment with portable terminal upon disconnecting and th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N 방식으로 블루투스 기기들과 일정거리 이격시 신호를 출력하는 마스터 기기에 부착되는 마스터 기기를 사용해 상기 마스터 기기와 연결된 블루투스 기기에 알람이나 진동이나 LED 깜박거림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의 위치파악이 가능한 것이 가능한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무선통신과 관련된 기술 분야의 개발은 저 비용, 저 전력의 무선장치 또는 무선링크를 이용한 기술에 커다란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무선통신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 및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자 및 통신 분야의 기기들은 점차 소형화 및 휴대용으로 변화되고, 이러한 기기 간의 통신 방법으로도 복잡한 케이블 연결을 통한 방법보다는 무선통신 방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무선통신 방법 가운데 '블루투스(BLUE-TOOTH)'는 소비전력도 낮으며 통신 가능범위도 넓어 종래의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보다 효율적인 기술이고, 특히 음성과 데이터 네트워킹 제공을 위해 널리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은 호스트의 제어 명령에 따른 블루투스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른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위해 비트열로 이루어진 메시지를 RF 신호로 변/복조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기저대역 처리부를 통해 변조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블루투스 표준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무선주파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은 호스트에서 HCI 명령어를 통해 블루투스 모듈로 조회과정 수행을 명령함으로써 블루투스 모듈에서 조회 신호를 RF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전송된 조회신호에 대한 다른 블루투스 기기의 조회스캔/응답으로 주변 블루투스 기기의 어드레스를 수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집된 주변 블루투스 기기의 어드레스는 HCI 패킷을 통해 호스트로 전송되고, 수신된 주변 블루투스 기기의 어드레스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블루투스 기기가 선택되면 해당 블루투스 기기와의 블루투스 통신링크 연결이 설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블루투스 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이 상기 블루투스 통신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의 위치 파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080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망에서 1:N 방식으로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되는 마스터 기기와 상기 무선 통신망 내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의 슬레이브(slave)기기로 동작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기기를 통해 일정거리 이격시 통신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와 이격되어 채널의 통신신호를 전송하고 알람 또는 LED 깜박거림을 출력하여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를 통해 신호를 더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 기간마다 서로 동기해서 신호를 서로 더 주고받아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들은 해당 블루투스 기기와 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마스터 기기에 의해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무선 통신망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라도 근거리에 이격된 블루투스 기기에 의해 상기 찾고자 하는 해당 블루투스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 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서 1:N 방식으로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되는 마스터 기기, 상기 무선 통신망 내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의 슬레이브(slave)기기로 동작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기기,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와 이격되어 채널의 통신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로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식별정보 데이터와 거리정보 및 위치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저장부 및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알람 또는 LED 깜박거림을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식별정보데이터는 상기 마스터 기기와 통신되는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에 부여된 서로 다른 ID 정보 데이터이다.
상기 마스터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페어링되되, 상기 마스터 기기에 터치 또는 클릭 가능한 아이콘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와 무선 통신망 내에서 페어링되어 통신신호를 주고받아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를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알람 또는 LED 깜박거림을 출력하고 제어하는 블루투스기기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LED 또는/및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의 아이콘이 선택되어 송수신부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들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간에 무선 통신부를 통해 서로 통신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서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여 일정 기간마다 서로 동기해서 통신신호를 서로 더 주고받아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들은 다른 블루투스 기기의 거리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각각의 ID정보데이터와 거리정보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되, 상기 ID정보데이터와 거리정보데이터를 통해 각각의 블루투스기기가 어떠한 블루투스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마스터 기기는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에 해당하는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에 전송하되, 상기 ID정보데이터를 전송받은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가 본인의 블루투스 기기 ID정보데이터와 같은 경우, 상기 블루투스기기는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에 의해 스피커나 LED에 의해 상기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이 출력된다.
반면에, 상기 마스터 기기는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에 해당하는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에 전송하되, 상기 ID정보데이터를 전송받은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가 본인의 블루투스 기기 ID정보데이터와 다른 경우,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상기 ID정보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 중 상기 ID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해당 블루투스 기기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에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기 거리별로 상기 각각의 아이콘에 구비된 LED에 다른 색의 빛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거리의 구분을 전파의 세기로 환산하여 확인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와 더 연결되어 동작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부착가능한 칩 형태나 삽입가능한 핀 형태나 카드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어, 지갑, 신용카드, 키, 시계, 리모컨, 헤드셋, 안경 중 하나 이상의 물건에 사용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 가능한 블루투스 기기를 사용한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기기는 휴대 단말기로 대체되어 어플로 구현 가능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는 송수신부를 통해 별도의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어플을 다운받고, 상기 어플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와 페어링 된다.
또한, 마스터 기기와 블루투스 기기가 작동되는 방법 단계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가 무선 통신망 내에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마스터 기기에 구비된 블루투스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터치 또는 클릭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터치 또는 클릭된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한 블루투스 기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 중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와 본인의 ID정보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에 내장된 스피커나 LED중 하나 이상에 알람이나 깜빡거림의 형태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기기의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마스터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가 일정거리 내에 이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마스터 기기에 구비된 블루투스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터치 또는 클릭된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한 블루투스 기기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기기증 중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와 본인의 ID정보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 중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의 해당 블루투스기기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로 상기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기기에 내장된 스피커나 LED중 하나 이상에 알람이나 깜빡거림의 형태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기기의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를 통해 신호를 더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 기간마다 서로 동기해서 신호를 서로 더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마스터 기기에 의해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일정거리보다 더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경우라도 근거리에 이격된 블루투스 기기에 의해 상기 찾고자 하는 해당 블루투스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쉽게 위치 파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블루투스 기기에 부착되는 칩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 전송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에 부착되는 복수의 칩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 전송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블루투스 기기에 부착되는 칩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 전송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블루투스 기기에 부착되는 칩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 전송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기에 부착되는 복수의 칩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 전송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블루투스 기기에 부착되는 칩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 전송 흐름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망에서 1:N 방식으로 블루투스 기기(200)와 통신되는 마스터 기기(100), 상기 무선 통신망(300) 내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100)의 슬레이브(slave)기기로 동작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기기(2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는 상기 마스터 기기(100)와 이격되어 채널의 통신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로 구성되고,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는 부착가능한 칩 형태나 삽입가능한 핀 형태나 카드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어, 지갑, 신용카드, 키, 시계, 리모컨, 헤드셋, 안경 중 하나 이상의 물건에 사용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 데이터를 통해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마스터 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210), 상기 알람 또는 LED 깜박거림을 출력하고 제어하는 블루투스기기 제어부(230)가 포함되어 구비되고,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230)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LED(240) 또는/및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동작되는 스피커(2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의 아이콘이 선택되어 송수신부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형태를 가진다.
반면에, 상기 마스터 기기(100)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식별정보 데이터와 거리정보 및 위치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120),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송수신부(130) 및 상기 송수신부와 저장부 및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알람 또는 LED 깜박거림을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와 더 연결되어 동작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의 식별이 가능한 식별정보데이터는 상기 마스터 기기와 통신되는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200)에 부여된 서로 다른 ID 정보데이터로 숫자나 문자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된다.
더불어, 상기 마스터 기기(100)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는 페어링되되, 상기 마스터 기기에 터치 또는 클릭 가능한 아이콘(140)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200)와 무선 통신망(300) 내에서 페어링되어 통신신호를 주고받아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마스터 기기(100)는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200)에 해당하는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300)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200)에 전송하되, 상기 ID정보데이터를 전송받은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가 본인의 블루투스 기기 ID정보데이터와 같은 경우, 상기 블루투스기기는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230)에 의해 스피커나 LED에 상기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마스터 기기(100)는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200)에 해당하는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300)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에 전송하되, 상기 ID정보데이터를 전송받은 블루투스 기기(200)는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가 본인의 블루투스 기기 ID정보데이터와 다른 경우,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상기 ID정보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 중 상기 ID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해당 블루투스 기기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에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제어부(110)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가 상기 마스터 기기(100)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기 거리별로 상기 각각의 아이콘에 구비된 LED에 다른 색의 빛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의 거리의 구분을 전파의 세기로 환산하여 확인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터 기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200)를 의미하는 아이콘(140) 중에 상기 마스터 기기와 근거리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200)일수록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를 의미하는 아이콘에 내장된 LED에 선명한 빛이 표시되고, 상기 마스터 기기와 먼거리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일수록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를 의미하는 아이콘(140)에 내장된 LED에 투명한 색이 깜박거리게 함으로써 거리 구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ID 정보 데이터가 숫자형식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에 제1 블루투스 기기(201)의 식별번호인 ID는 001, 제2 블루투스 기기(202)의 식별번호인 ID는 002, 제3 블루투스 기기(203)의 식별번호인 ID는 003, 제4 블루투스 기기(204)의 식별번호인 ID는 004, 제5 블루투스 기기(205)의 식별번호인 ID는 005, 제6 블루투스 기기(206)의 식별번호인 ID는 006으로 분류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망(300) 내에 위치한 제1 및 제3 블루투스 기기(201,203)와 상기 마스터 기기(100)는 직접적으로 통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 기기(100)는 송수신부(130) 및 제어부(110)를 통해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 기기들(200)의 ID정보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있다.
이때, 상기 마스터 기기(100)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는 무선 통신망(30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페어링이 가능하되, 상기 페어링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상기 마스터 기기(100)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 사이의 거리가 150M 내에 존재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터 기기(100)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 사이의 거리가 150M 이상 차이 나는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이 어렵다.
또한, 상기 마스터 기기(100)에 터치 또는 클릭 가능한 아이콘(140)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터치 또는 클릭 가능한 복수의 아이콘(140)은 상기 마스터 기기(100)에 터치스크린이나 버튼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된다.
더불어, 상기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200)들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간에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서로 통신 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서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여 일정 기간마다 서로 동기해서 상기 통신신호를 서로 더 주고받아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들은 다른 블루투스 기기의 거리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각각의 ID정보데이터와 거리정보데이터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220)의 상기 ID정보데이터와 거리정보데이터를 통해 각각의 블루투스기기가 어떠한 블루투스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제5 블루투스 기기(205)는 제3(203) 및 제6 블루투스 기기(206)와 연결가능하도록 설정되어있어, 상기 마스터 기기(100)가 제3 블루투스 기기(203)를 찾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5 블루투스 기기(205)를 통해 상기 제3 블루투스 기기로 신호가 전송되어 상기 제3 블루투스 기기(203)에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이 출력된다.
그러나, 제1 블루투스 기기(201)의 경우 상기 제3(203) 및 제6 블루투스 기기(206)와 연결가능하도록 설정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마스터 기기(100)가 제3 블루투스 기기(203)를 찾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블루투스 기기는 제3 블루투스 기기로 통신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이처럼,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200)는 어떠한 블루투스 기기와 연결 가능한지 여부가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230)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있다.
또한, 도 3의 경우, 상기 찾고자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마스터 기기(100)는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200)에 해당하는 ID정보데이터(001)를 무선통신망(300) 내에 위치한 제1 및 제5 블루투스 기기(201,205)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ID정보데이터(001)를 전송받은 제1 및 제5 블루투스 기기(201,205)는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001)가 본인의 블루투스 기기 ID정보데이터(001,005)와 같은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와 일치하는 상기 제1 블루투스 기기(201)의 스피커(250)나 LED(240)에 의해 상기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이 출력된다.
반면 도 4의 경우, 상기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마스터 기기는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에 해당하는 ID정보데이터(006)를 무선통신망(300) 내에 위치한 제1 및 제5 블루투스 기기(201,205)에 전송한다.
그 후, 상기 ID정보데이터(006)를 전송받은 제1 및 제5 블루투스 기기(201,205)는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006)가 본인의 블루투스 기기 ID정보데이터(001,005)와 다른 경우, 상기 마스터 기기(100)로부터 상기 ID정보데이터(006)를 전송받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201,205) 중 상기 ID정보데이터(006)에 해당하는 해당 블루투스 기기(206)와 연결가능하도록 설정된 제5 블루투스 기기(205)는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206)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206)에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기기(200)들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가 작동되는 방법 단계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터 기기와 블루투스 기기가 작동되는 방법 단계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가 무선 통신망 내에 이격되어 있는 경우로써, 상기 마스터 기기에 구비된 블루투스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터치 또는 클릭되는 단계(S510),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터치 또는 클릭된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한 블루투스 기기들로 전송하는 단계(S520),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 중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와 본인의 ID정보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S530),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에 내장된 스피커나 LED중 하나 이상에 알람이나 깜빡거림의 형태로 출력되는 단계(S540)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기기의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가 일정거리 내에 이격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써 상기 마스터 기기에 구비된 블루투스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터치 또는 클릭되는 단계(S610), 상기 마스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터치 또는 클릭된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한 블루투스 기기들로 전송하는 단계(S620), 상기 블루투스 기기증 중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와 본인의 ID정보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S630),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 중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의 해당 블루투스기기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로 상기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640), 상기 블루투스기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기기에 내장된 스피커나 LED중 하나 이상에 알람이나 깜빡거림의 형태로 출력되는 단계(S650)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기기의 위치파악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마스터 기기 110 : 마스터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송수신부
140 : 아이콘 200 : 블루투스 기기
210 : 무선 통신부 220 : 메모리부
230 : 블루투스기기 제어부 240 : LED
250 : 스피커 300 : 무선 통신망

Claims (10)

  1. 무선 통신망에서 1:N 방식으로 블루투스 기기와 통신되는 마스터 기기;
    상기 무선 통신망 내에서 상기 마스터 기기의 슬레이브(slave)기기로 동작되는 복수의 블루투스 기기;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마스터 기기와 이격되어 채널의 통신신호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기기로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 기기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식별정보 데이터와 거리정보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저장부 및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알람 또는 LED 깜박거림을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식별이 가능한 식별정보데이터는,
    상기 마스터 기기와 통신되는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에 부여된 서로 다른 ID 정보 데이터이고
    상기 마스터 기기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페어링되되,
    상기 마스터 기기에 터치 또는 클릭 가능한 아이콘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와 무선 통신망 내에서 페어링되어 통신신호를 주고받아 위치파악이 가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들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간에 무선 통신부를 통해 서로 통신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서로 통신신호를 송수신하여 일정 기간마다 서로 동기해서 통신신호를 서로 더 주고받아 상기 각각의 블루투스 기기들은 다른 블루투스 기기의 거리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 각각의 ID정보데이터와 거리정보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하여, 상기 ID정보데이터와 거리정보데이터를 통해 각각의 블루투스기기들은 어떠한 블루투스기기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함에 따라
    상기 마스터 기기는 찾고자 하는 블루투스 기기에 해당하는 ID정보데이터를 무선통신망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기기에 전송하되, 상기 ID정보데이터를 전송받은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전송받은 ID정보데이터가 본인의 블루투스 기기 ID정보데이터와 다른 경우,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상기 ID정보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블루투스 기기들 중 상기 ID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해당 블루투스 기기와 연결되는 블루투스 기기는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해당 블루투스 기기에 알람이나 LED 깜박거림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가 상기 마스터 기기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기 거리별로,
    상기 각각의 아이콘에 구비된 LED에 다른 색의 빛이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기의 거리의 구분을 전파의 세기로 환산하여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는,
    부착가능한 칩 형태나 삽입가능한 핀 형태나 카드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어,
    지갑, 신용카드, 키, 시계, 리모컨, 헤드셋, 안경 중 하나 이상의 물건에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시스템.
  10. 삭제
KR1020170075921A 2017-06-15 2017-06-15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KR101929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21A KR101929464B1 (ko) 2017-06-15 2017-06-15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21A KR101929464B1 (ko) 2017-06-15 2017-06-15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464B1 true KR101929464B1 (ko) 2018-12-17

Family

ID=6500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921A KR101929464B1 (ko) 2017-06-15 2017-06-15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4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435A (ja) * 2008-06-06 2009-12-17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接続制御方法
US20140173439A1 (en) * 2012-09-12 2014-06-19 ACCO Brands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435A (ja) * 2008-06-06 2009-12-17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接続制御方法
US20140173439A1 (en) * 2012-09-12 2014-06-19 ACCO Brands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297B1 (ko)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736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10429985B2 (en) Touch terminal, a near-field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of the touch terminal
US20080125040A1 (en) Location discovery using bluetooth
KR101174168B1 (ko) IrDA를 이용한 블루투스 기기의 페어링 방법과 이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201842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electric quantity of bluetooth earphone o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N111343621A (zh) 运行应用的方法和设备
US20080003945A1 (en) Interoperation of Terminals
KR20110028056A (ko)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및 시스템
US20110136441A1 (en)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of peripheral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17186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0563713B1 (ko) 블루투스 장치에서의 블루투스 무선통신 관리방법
WO2009026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device selection b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302169A1 (en) Bluetooth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900227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etection of a bluetooth device
KR20090047144A (ko)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통신 방법
KR101929464B1 (ko) 마스터 기기와 이격시 경보하는 블루투스 기기 시스템
CN202906954U (zh) 一种远距离语音遥控系统
US20040097193A1 (en) Radio system, radio device, radio connection method, program, and medium
EP3136744B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home network system
JPWO2015137105A1 (ja) 通信回路、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386292B1 (ko) 무선 랜 카드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통신방법
KR20020048170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미아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45198B1 (ko) 복수의 무선 통신 장치 중 특정 장치를 식별하는 단말 장치
JP2006099765A (ja) データ伝達のための方法およびそれに従って動作する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