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464B1 -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채널 선택 - Google Patents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채널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464B1
KR101928464B1 KR1020187010219A KR20187010219A KR101928464B1 KR 101928464 B1 KR101928464 B1 KR 101928464B1 KR 1020187010219 A KR1020187010219 A KR 1020187010219A KR 20187010219 A KR20187010219 A KR 20187010219A KR 101928464 B1 KR101928464 B1 KR 101928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hreshold
interference level
available channels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615A (ko
Inventor
희춘 이
아쿨라 아니쉬 레디
아메드 카멜 산데크
타메르 아델 카도우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5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04W72/0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채널 선택을 위한 기술들이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 트랜시버들은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고,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복수의 채널들 중 제 1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 1 채널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Description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채널 선택
[0001]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 등 간의 공존에 관한 것이다.
[0002]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등)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이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들은 종종,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제공되는 LTE(Long Term Evolution), 3GPP2(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 의해 제공되는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 의해 제공되는 802.11 등과 같은 규격들에 맞춰 전개된다.
[0003]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매크로 셀” 액세스 포인트들은 소정의 지리적 영역에 걸친 매우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연결성 및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매크로 네트워크 전개는 지리적 영역에 걸쳐 양호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주의 깊게 계획, 설계, 및 구현된다. 주거용 주택 및 사무실 빌딩들과 같이 실내 또는 다른 특정 지리적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부가적인 "소형 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비인가(unlicensed)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상에서 동작하는 10m 내지 2km의 범위를 갖는) 저-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이 종래의 매크로 네트워크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소형 셀 액세스 포인트들은 또한, 점진적인 용량 증가, 더 풍부한 사용자 경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0004] 소형 셀 LTE 동작들은, 예를 들어,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들에 의해 사용되는 U-NII(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대역과 같은 비인가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확장된다. 소형 셀 LTE 동작들의 이러한 확장은 스펙트럼 효율 및 그에 따른 LTE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통상적으로 동일한 비인가 대역들, 특히, "Wi-Fi"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IEEE 802.11 WLAN 기술들을 활용하는 다른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의 동작들을 침해할 수 있다.
[0005] 다음의 요약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의 설명을 단지 보조하도록 제공된 개요이며, 양상들의 제한이 아니라 그들의 예시를 위해서만 제공된다.
[0006] 일 예에서,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데이터, 명령 또는 이들의 결합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 트랜시버들은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은 제 1 채널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고,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 1 채널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0007] 다른 예에서,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통신 방법은, 예를 들어,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을 포함한다. 통신 방법은 추가로,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채널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0008] 다른 예에서, 다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은 제 1 채널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는 추가로,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는 또한,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채널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0009]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코드 ―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을 포함함 ― ,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채널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0010]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의 설명을 보조하도록 제시되며, 양상들의 제한이 아니라 그들의 예시를 위해서만 제공된다.
[0011] 도 1은 액세스 단말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0012] 도 2는 본 개시의 양상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단말이 동작할 수 있는 더 넓은 무선 환경의 예를 예시한다.
[0013] 도 3은 본 개시의 양상에 따라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채널 선택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0014] 도 4는 도 3의 방법의 소정의 양상들의 예시적인 구현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다.
[0015] 도 5는 도 3의 방법의 소정의 양상들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다.
[0016] 도 6은 도 3의 방법의 소정의 양상들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다.
[0017] 도 7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표현되는 예시적인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예시한다.
[0018]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의 채널 선택 방식에 관한 것이다. 공유된 통신 매체와 관련하여, 1차-RAT는, 간섭을 측정하는 디바이스와 공유된 통신 매체 상의 다른 디바이스 간의 실질적인 통신을 위해 지정된 라디오 액세스 기술과 관련될 수 있다. 2차-RAT라는 용어는 임의의 다른 라디오 액세스 기술일 수 있고, 일부 예들에서, 1차-RAT 트랜시버와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 코로케이팅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채널 선택을 보조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2차-RAT를 사용하여 간섭을 측정하는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들로 제한된 통신들이 발생할 수 있다.
[0019] 소정의 양상들에 따라,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중 하나는,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해 결정된 간섭 레벨에 기초하여 1차 -RAT 트랜시버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은 제 1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가질 수 있어서, 어떠한 클린(clean) 채널들(낮은 간섭, 예를 들어, -82dBm 이하를 갖는 채널들)도 이용 가능하지 않다. 어떠한 클린 채널도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검출 시에, 동작 채널로서 단순히 가장 낮은 간섭 레벨을 갖는 채널을 선택하기 보다는, 더 높은 간섭 레벨을 갖는 다른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종래의 기술들과는 대조적으로, 더 높은 간섭 레벨을 갖는 채널을 선택하는 것은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선택된 채널에 관한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20] 예를 들어,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2 임계치(예를 들어, -62dBm)를 초과하는 2차-RAT 트랜시버(예를 들어, WLAN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것과, 제 1 임계치와 제 2 임계치 사이의(예를 들어, -62dBm 내지 -82dBm) 2차-RAT 트랜시버를 갖는 것 간에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21] 2차-RAT 트랜시버가 1차 RAT 트랜시버(예를 들어, LTE 비인가 주파수 대역 소형 셀)의 제 2 임계치를 초과하는 하나의 경우에, 2차 RAT는 공존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여 1차 RAT 송신들 동안 송신을 중지할 수 있다. 이 시나리오에서, 1차 및 2차-RAT 트랜시버들 둘 모두는 각각 간섭이 없는 시간의 약 50%를 얻을 수 있다(예를 들어, 1차-RAT 트랜시버는 2차-RAT 트랜시버가 시간의 50% 동안 송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공존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음).
[0022] 2차-RAT 트랜시버가 제 1 임계치와, 1차 RAT 트랜시버의 제 2 임계치 사이의 범위에 있는 다른 경우에, 2차-RAT 트랜시버는 100%의 시간을 얻을 수 있다(그러나 시간의 50%는 그의 공존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1차 RAT 트랜시버로부터의 간섭을 포함할 수 있음). 2차-RAT 트랜시버가 이 시나리오에서 간섭 없는 50%의 시간을 갖지만, 2차-RAT 트랜시버 레이트 제어는 장애(hindrance)로서 작용하고 (예를 들어, 송신 레이트를 부적절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방식으로 50%의 간섭 없는 시간의 사용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되고 아래에서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일부 조건들 하에서, 종래의 기술들과는 대조적으로, 더 높은 간섭 레벨을 갖는 채널을 선택하는 것은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선택된 채널에 관한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23]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들만을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예들에 관한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제공된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대안적인 양상들이 고안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개시의 잘-알려진 양상들은, 더 관련있는 세부사항들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0024] 추가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정보 및 신호들은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 및 기법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아래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부분적으로 의존하고, 요구되는 설계에 부분적으로 의존하고, 대응하는 기술에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그러한 식으로,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0025] 추가로, 많은 양상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관점들에서 설명된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예를 들어,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 둘 모두의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양상들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양상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26] 도 1은 액세스 단말(AT; Access Terminal)(120)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이트(AP; Access Point)(110)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예시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액세스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라는 용어들은 임의의 특정 RAT(Radio Access Technology)로 특정되거나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들은 사용자가,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모바일 전화, 라우터, 개인용 컴퓨터, 서버,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IOT(Internet of Things)/IOE(Internet of Everything) 가능 디바이스, 비히클-내(in-vehicle) 통신 디바이스 등) 상에서 통신하도록 허용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상이한 RAT 환경들에서, UD(User Device), MS(Mobile Station), STA(Subscriber Station), UE(User Equipment) 등으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가 전개되는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는 하나 또는 여러 RAT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BS(Base Station), 네트워크 노드, NodeB, 이볼브드 NodeB(eNB) 등으로서 대안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소형 셀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할 수 있다. "소형 셀"은 일반적으로 펨토 셀들, 피코 셀들, 마이크로 셀들, WLAN AP들, 다른 소형 커버리지 영역 AP들 등을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들로서 지칭될 수 있는 저-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의 클래스를 지칭한다. 소형 셀들은, 시골 환경에서 인근 또는 수 평방 마일 내의 몇개의 블록들을 커버할 수 있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를 보완하고, 그리하여 개선된 시그널링, 증분적 용량 성장, 보다 풍부한 사용자 경험 등을 유도하도록 전개될 수 있다.
[0027] 도 1의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은 각각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RAT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통신 디바이스들(112 및 122)로 표현됨)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들(112 및 122)은 지정된 RAT에 따라, 신호들 또는 시그널링(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등)를 송신 및 인코딩하고, 역으로, 신호들(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파일롯들 등)을 수신 및 디코딩하기 위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은 각각 일반적으로, 그의 각자의 통신 디바이스들(112, 122)의 동작을 제어(예를 들어, 지향, 수정, 인에이블링, 디스에이블링 등)하기 위해 통신 제어기(통신 제어기들(114 및 124)로 표현됨)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기들(114 및 124)은 각각의 호스트 시스템 기능성(프로세싱 시스템들(116 및 126) 및 프로세싱 시스템들(116 및 126)에 각각 커플링되고 데이터, 명령들, 또는 이들의 결합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컴포넌트들(118 및 128)의 로서 예시됨)의 지시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통신 제어기들(114 및 124)은 각각의 호스트 시스템 기능성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0028] 예시된 통신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액세스 단말(120)은 제 1 채널(130A) 또는 제 2 채널(130B)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110)와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고, 신호들은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들, 연관된 제어 시그널링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채널(130A) 및 제 2 채널(130B)은 다른 통신들뿐만 아니라 다른 RAT들과 공유될 수 있는 통신 매체(132)로서 도 1에서 예로서 도시된 관심의 통신 매체를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매체는, 통신 매체(132)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과 같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기/수신기 쌍들 사이의 통신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주파수, 시간 및/또는 공간 통신 자원들(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캐리어들에 걸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을 포함함)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채널들이 통신 매체(132)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도 1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다수의 채널들이 제 1 채널(130A) 및 제 2 채널(130B)에 의해 표현되지만, 사실상 통신 매체(132)에 임의의 수(예를 들어, 2개 미만, 또는 2개 초과)의 채널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매체(132)의 채널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동작 RAT, 동작 주파수(또는 주파수들), 또는 임의의 다른 특성에 기초하여 서로 구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0029] 예로서, 통신 매체(132)는 다른 RAT들과 공유되는 비인가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은, 이들이 전개되는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RAT들에 따라 제 1 채널(130A) 또는 제 2 채널(130B)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이들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OFDMA(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SC-FDMA(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 등의 상이한 변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인가(licensed) 주파수 대역이 (예를 들어, 미국의 연방 통신위원회(FCC)와 같은 정부 기관에 의해) 그러한 통신들에 대해 예약되지만,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소형 셀 액세스 포인트들을 이용하는 것들은 동작들을 비인가 주파수 대역들, 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들, 특히 "Wi-Fi"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IEEE 802.11 WLAN 기술들에 사용되는 U-NII(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대역으로 확장시킨다.
[0030] 도 1의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10)의 통신 디바이스(112)는, 하나의 RAT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1차 -RAT 트랜시버(140) 및 다른 RAT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2차-RAT 트랜시버(142)를 포함하는 각자의 RAT들에 따라 동작하는 2개의 코로케이팅된 트랜시버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트랜시버"는 송신기 회로, 수신기 회로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설계들에서 송신 및 수신 기능성들 둘 모두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완전한(full) 통신을 제공할 필요가 없을 때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 기능성 수신기 회로(예를 들어, WLAN 칩 또는 단순히 저-레벨 스니핑을 제공하는 유사한 회로)가 일부 설계들에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코-로케이팅된"(예를 들어, 라디오들, 액세스 포인트들, 트랜시버들 등)이란 용어는 다양한 어레인지먼트들 중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하우징에 있는 컴포넌트들; 동일한 프로세서에 의해 호스팅되는 컴포넌트들; 서로 정의된 거리 내에 있는 컴포넌트들; 및/또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이더넷 스위치)(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필요한 컴포넌트간 통신(예를 들어, 메시징)의 레이턴시 요건들을 충족함)를 통해 연결된 컴포넌트들이 있다.
[0031] 1차-RAT 트랜시버(140) 및 2차-RAT 트랜시버(142)는 상이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고 상이한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제 1-RAT 트랜시버(140)는 제 1 채널(130A) 및/또는 제 2 채널(130B) 상에서 액세스 단말(120)과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LTE(Long-Term Evolution) 기술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반면에, 2차-RAT 트랜시버(142)는 LTE 통신들에 의해 간섭받거나 이를 간섭할 수 있는 통신 매체(132) 상의 WLAN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WLAN 기술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2차-RAT 트랜시버(142)는 대응하는 BSS(Basic Service Set)에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완전한 WLAN AP로서 역할을 할 수 있거나 역할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2차-RAT 트랜시버(142)는 전체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20)의 통신 디바이스(122)는 일부 설계들에서, 1차-RAT 트랜시버(150) 및 2차-RAT 트랜시버(152)의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1차-RAT 트랜시버 및/또는 2차-RAT 트랜시버 기능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듀얼-트랜시버 기능성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 및/또는 액세스 단말(120)은 예시된 구성들로 제한되지 않고 통신 디바이스들의 다른 알려진 컴포넌트들이 액세스 포인트(110) 및/또는 액세스 단말(120)에 포함될 수 있지만 도면들의 불필요한 복잡성을 회피하기 위해 예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알려진 컴포넌트들은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단거리 라디오 시스템(예를 들어, Bluetooth®), 위성 포지션 시스템 수신기(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소프트 또는 하드 키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0032] 도 2는 본 개시의 양상에 따라, 도 1의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이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환경(200)의 예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은 복수의 다른 노드들(220, 230 및 240)(도 2에서 "ND"로서 표시됨)과 무선 환경(200)을 공유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노드"라는 용어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노드들(220, 230 및 240)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액세스 포인트이지만, "노드"라는 용어는 또한 액세스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노드들(220, 230 및 240)은 또한 특정 운영자와 연관될 수 있다. 노드들(220 및 230)은 공통 운영자(도 2에서 "OP-1"로서 표시됨)와 연관될 수 있는 반면에, 노드(240)는 상이한 운영자(도 2에서 "OP-2"로서 표시됨)와 연관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은 또한, 이하, 액세스 단말들(250 및 260)로서 지칭되는 복수의 다른 액세스 단말들(도 2에서 "AT"로서 표시됨)과 무선 환경(200)을 공유한다.
[0033] 도 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1차 RAT에 따라 액세스 단말(120)과 통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다른 노드들의 부재 시에 액세스 포인트(110)는 1차 RAT를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120)과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1차 RAT를 사용한, 액세스 포인트(110)와 액세스 단말(120) 간의 통신 매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환경(200)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공유될 수 있다.
[0034] 예를 들어, 노드들(220, 230 및 240)에 의해 각각 채널들(220A, 230A 및 240A)을 통한 신호들의 2차-RAT 송신은 공유된 통신 매체(예를 들어, 통신 매체(132)) 내에서 간섭을 야기할 수 있거나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시나리오에서, 노드(220)는 (예를 들어, 채널(220A)을 통해 신호들을 또한 송신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250)과 통신하기 위해) 통신 매체(132)를 침해하는 특정 채널(220A) 상에서 2차-RAT 통신들을 수행한다. 그러나, 노드(220)로부터 액세스 단말(250)로의 송신의 결과로서, 간섭 레벨이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통신 매체(132)를 분석하고 액세스 단말(250)과 통신하기 위해 노드(220)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220A)이 이용 가능한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상의 간섭을 증가시켰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초기 채널 선택 시 또는 채널 재선택 동안 모든 이용 가능한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을 스캐닝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0035] 유사하게, 노드(230) 및 노드(240)는 채널들(230A 및 240A) 상에서 1차-RAT 또는 2차-RAT 통신들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상의 간섭 레벨은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추가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이 다른 노드들(예를 들어, 노드들(230 및 240)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야기된 증가된 간섭과 관련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채널들 및 연관된 신호들이 일반적으로 선형인 것으로 예시되지만, 송신들은 일반적으로 넓은 각도(일반적으로 360도까지)로 분산되어서, 시그널링 에너지 및 연관된 간섭은 선형 경로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36] 액세스 포인트(110)의 관점에서, 충분히 낮은 간섭 레벨을 갖는 채널(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은 클린 채널(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로서 지칭될 수 있다. 클린 채널(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은 제 1 임계치보다 작은 간섭을 갖는 채널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제 1 임계치는 시스템 설계, 무선 액세스 기술 및/또는 구현에 의존하여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임계치는 약 -82dBm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 예에서, -82dBm보다 작은 간섭 레벨을 갖는 채널(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은 클린 채널로서 지칭될 것이다.
[0037] 액세스 포인트(110)의 관점에서, 비교적 높은 레벨의 간섭을 야기하는 노드는 근접 노드(proximate node)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노드는 근접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간섭량을 야기하는 노드일 수 있다. 도 2는 별개의 근접 노드들(즉, 노드들(220 및 230))을 근접하지 않은 노드들(즉, 노드(240))로부터 분리시키는 근접도 경계(proximity boundary)(280)를 도시한다. 근접 노드들(220 및 230)은 근접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간섭량을 야기하는 반면에, 노드(240)는 근접도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간섭량을 야기한다. 근접은 근접 노드들이 액세스 포인트(110)에 물리적으로 더 가깝다는 것을 반드시 추론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38] 근접도 임계치는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근접도 임계치는 이용 가능한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서 클린 채널을 결정하기 위해 위에서 논의된 제 1 임계치보다 크게 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도 임계치는 2차-RAT 동작들을 수행하는 노드들과 연관된 알려진 공존 메커니즘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노드들(220 및 230)은 간섭이 -42dBm을 초과하는 경우 간섭 완화 기술을 수행하도록 일반적으로 구성된 WLAN 액세스 포인트들일 수 있다. 따라서, 근접도 임계치는 약 -42dBm로 세팅될 수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특정 노드에 의해 야기된 것을 포함하는 간섭량이 주어진 채널(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상의 총 간섭을 -42dBm 이상으로 증가시킨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근접 노드로서 특정 노드를 식별한다.
[0039] 간섭 레벨은 임의의 적합한 측정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는 간섭의 측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스캐닝함으로써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스캐닝은 액세스 포인트(110)와 연관된 임의의 트랜시버(또는 트랜시버들의 그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0] 액세스 포인트(110)는 일반 시그널링 에너지 및/또는 정보(예를 들어, 운영자 정보)에 대한 무선 환경(200)에서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LTE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는 WLAN-특정 시그널링 에너지 및/또는 특정 정보(예를 들어, WLAN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에 대한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WLAN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0041] 다른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대한 채널 측정 리포트를 수신함으로써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측정 리포트는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0), 또는 무선 환경(200) 내의 또는 무선 환경(200)을 모니터링하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0042] 본 개시의 양상에 따른 통신 방법은,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기초하여,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고,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고,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제 1 채널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가짐)을 선택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43] 도 3은 본 개시의 양상에 따른 통신 방법(300)을 예시한다. 통신 방법(300)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10)의 1차-RAT 트랜시버(140), 2차-RAT 트랜시버(142), 통신 제어기(114), 프로세싱 시스템(116) 및/또는 메모리 컴포넌트(118)와 유사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 목적으로, 통신 방법(300)은 그것이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디바이스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의 결합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44] 31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통신 매체(132)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며,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13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통신 매체(132) 내의 채널들 전부 또는 그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매체(132)가 U-NII 대역을 포함하는 경우, U-NII 대역의 각각의 모든 채널이 이용 가능한 채널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이용 가능한 채널들로부터 배제될 수 있고 따라서 반드시 모니터링될 필요는 없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이 있을 수 있다. 310에서의 모니터링은, 예를 들어, 1차-RAT 트랜시버(140) 및/또는 2차-RAT 트랜시버(142)와 유사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5] 32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을 결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일반적인 시그널링 에너지 및/또는 정보에 대한 통신 매체에서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LTE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는 WLAN-특정 시그널링 에너지 및/또는 정보에 대한 통신 매체에서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WLAN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320에서의 결정은, 예를 들어, 1차-RAT 트랜시버(140) 및 2차-RAT 트랜시버(142)와 유사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6] 33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예를 들어, 채널(130A), 채널(130B) 등)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이 각각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 1 임계치는 다양한 시스템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고, 클린하지 않은 채널들로부터 클린 채널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이 제 1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어떠한 클린 채널들도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임계치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82dBm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중 어느 채널들이 제 1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을 제 1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330에서의 결정은, 예를 들어, 1차-RAT 트랜시버(140) 및 2차-RAT 트랜시버(142)와 유사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330에서의 결정은,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116) 및 메모리 컴포넌트(118)와 유사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을 저장하고 추가로 프로세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47] 34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한다. 트리거링 조건은 2차 RAT에 따라 동작되는 공통 운영자와 관련된 근접 노드들의 존재와 관련될 수 있다. 도 4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링 조건은 액세스 포인트(110)에 인접한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둘 또는 그 초과의 노드들이 존재하는지와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도 5와 관련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링 조건은, 통신 방법(300)이 실내에서 수행되는지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110)가 실내에서 전개되는지에 관련될 수 있다. 340에서의 결정은, 예를 들어, 1차-RAT 트랜시버(140) 및 2차-RAT 트랜시버(142)와 유사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330에서의 결정은,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116) 및 메모리 컴포넌트(118)와 유사한 프로세싱 시스템 및 메모리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8] 35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340에서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하며, 제 1 채널(130A)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제 2 임계치는 시스템 설계, 라디오 액세스 기술 및/또는 구현 세부사항들과 같은 다양한 팩터들에 의존하여 변동될 수 있다. 350에서의 선택은, 예를 들어, 1차-RAT 트랜시버(140) 및 2차-RAT 트랜시버(142)와 유사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330에서의 결정은,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116) 및 메모리 컴포넌트(118)와 유사한 프로세싱 시스템 및 메모리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9] 통신 방법(300)의 일 예에서, 제 1 채널(130A) 및 제 2 채널(130B) 둘 모두가 (320에서) 제 1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들을 갖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채널(130A)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가질 수 있고 제 2 채널(130B)은 제 2 임계치보다 낮은 간섭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 예에서,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110)가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2 채널(130B)이 더 낮은 간섭 레벨을 갖더라도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한다.
[0050] 특히, 노드들(220 및 230)은 WLAN 액세스 포인트들일 수 있고, 제 2 임계치는 동작 채널(예를 들어, 제 1 채널(130A) 또는 제 2 채널(130B))상의 높은 간섭 레벨에 대한 노드들(220 및 230)의 예측된 응답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들(220 및 230)은, 동작 채널 상의 간섭 레벨이 -62dBm보다 크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동작 채널 상의 동작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임계치는 약 -62dBm으로 세팅될 수 있다.
[0051] 일 예에서, 노드(220)는 제 1 채널(130A) 상의 간섭 레벨이 제 2 임계치보다 크도록(예를 들어, -62dBm 초과) 제 1 채널(130A) 상에서 동작하고, 노드(230)는 제 2 채널(130B) 상의 간섭 레벨이 제 2 임계치보다 낮도록(예를 들어, -82 dBm와 -62 dBm 사이) 제 2 채널(130B) 상에서 동작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하거나 동작 채널로서 제 2 채널(130B)을 선택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0052] 액세스 포인트(110)가 제 1 채널(130A)을 선택(그리고 제 1 채널(130A) 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노드(220)는 제 1 채널(130A) 상에서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경험할 수 있다.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에 대한 응답으로 노드(220)가 제 1 채널(130A) 상의 동작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1 채널(130A)을 선택(그리고 제 1 채널(130A) 상에서 동작)함으로써 노드(220)가 제 1 채널(130A) 상의 동작들을 감소시키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10)는 불연속 송신 통신 방식의 활성화된 기간 동안 제 1 채널(130A)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활성화된 기간들 동안, 노드(220)는 제 1 채널(130A) 상의 동작들을 감소시킬 것이다. 또한, 불연속 송신 통신 방식의 비활성화된 기간 동안, 노드(220)는 제 1 채널(130A) 상의 동작들을 다시 지속(re-continue)할 수 있다.
[0053]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110)가 제 2 채널(130B)을 선택(그리고 제 2 채널(130B) 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노드(230)는 제 1 임계치와 제 2 임계치 사이에 있는 제 2 채널(130B) 상의 간섭 레벨들을 경험할 것이다. 노드(230)는 노드(220)와 마찬가지로, 동작 채널이 제 2 임계치 초과의 간섭 레벨들을 갖는다는 결정에 대한 응답으로 동작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노드(230)는 제 2 임계치 초과의 간섭 레벨들을 경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제 2 채널(130B) 상의 동작들을 감소시키지 않을 것이다. 그 결과,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2 채널(130B)을 선택(그리고 제 2 채널(130B) 상에서 동작)함으로써 노드(230)가 제 2 채널(130B) 상의 동작들을 감소시키게 할 수 없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110)가 제 2 채널(130B) 상에서 (예를 들어, 불연속 송신 통신 방식의 활성화된 기간 동안) 동작할 때, 노드(230)는 예를 들어, 레이트 제어로 인해 제 2 채널(130B)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0054] 따라서, 이 예에서 기술된 상황들 하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더 낮은 간섭 레벨(예를 들어, -82 dBm와 -62 dBm 사이의 간섭 레벨)을 갖는 제 2 채널(130B)보다는, 더 큰 간섭 레벨(예를 들어, -62dBm 초과의 간섭 레벨)을 갖는 제 1 채널(130A)을 선택할 수 있다.
[0055]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방법(300)의 소정의 양상들의 예시적인 구현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다. 이 구현에서, 330에서의 결정 및 340에서의 결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들이 도시된다. 예시 목적으로, 도 4의 방법은 그것이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디바이스들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56] 도 3의 앞선 설명에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310에서) 통신 매체(132)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130A)을 포함함)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고, (320에서)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을 결정한다. 간결함을 위해, 310 및 320의 설명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0057] 도 3의 앞선 설명에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330에서,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각각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한다. 330에서의 결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들(330a 및 330b로서 도 3에서 라벨링됨)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0058] 330a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간섭 레벨들을 제 1 임계치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32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1 채널(130A)에 대한 제 1 간섭 레벨 및 제 2 채널(130B)에 대한 제 2 간섭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330a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1 간섭 레벨 및 제 2 간섭 레벨을 제 1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0059] 330b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각각의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큰지를 결정한다. 각각의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330b에서 '아니오'), 방법은 335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가 제 1 임계치 미만의 간섭 레벨을 갖는 클린 채널인 경우, 방법은 335으로 진행된다. 335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동작 채널로서 클린 채널을 선택한다.
[0060] 각각의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큰 경우(330b에서 '예'), 방법은 340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중 어느 것도 제 1 임계치 미만의 간섭 레벨을 갖는 클린 채널이 아닌 경우, 방법은 트리거링 조건의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도록 340으로 진행된다.
[0061] 일 예에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U-NII 스펙트럼의 각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110)가 330a 및 330b에서, U-NII 스펙트럼의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클린 채널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10)는 335에서, 1차-RAT 동작들을 위해 클린 채널을 선택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110)가 330a 및 330b에서, U-NII 스펙트럼에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중 어느 것도 클린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10)는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도록 340으로 진행될 것이다.
[0062] 도 3의 앞선 설명에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340에서,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한다. 340에서의 결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들(340a, 340b, 및 340c로서 도 4에서 라벨링됨)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0063] 340a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근접도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을 식별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근접도 임계치는 다양하게 세팅될 수 있고 근접 노드는, 임의의 이용 가능 채널 상의 간섭 레벨이 근접도 임계치를 초과하게 하는 노드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2의 설명으로부터 예를 다시 참조하면, 노드들(220 및 230)은, 이들 둘 모두가 -42dBm보다 큰 간섭 레벨들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과 연관된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근접 노드들로서 각각 식별될 수 있다.
[0064] 340b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각각의 근접 노드의 운영자를 식별한다. 일 예에서, 근접 노드는 WLAN 액세스 포인트이고, 운영자는 WLAN 액세스 포인트의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일 예에서, 이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110)의 2차-RAT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0065] 340c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하나 또는 더 적은 근접 노드들이 공통 운영자와 연관되는 경우(340c에서 '아니오'), 도 4의 방법은 345로 진행된다. 345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들을 갖는 채널들을 회피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10)는 회피된 채널이 아닌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채널을 회피할 수 있다.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이 공통 운영자와 연관되는 경우(340c에서 '예'), 도 4의 방법은 350으로 진행된다.
[0066] 도 3의 앞선 설명에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350에서, 340에서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하며, 제 1 채널(130A)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간결함을 위해, 350의 설명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0067] 채널이 (335, 345, 또는 350에서와 같이) 동작 채널로서 회피되거나 선택된 후에, 도 4의 방법은 종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4의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110)가 1차 RAT를 사용하여 선택된 채널 상에서 동작하는 360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10)는 선택된 동작 채널을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120)에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0068] 도 5는 도 3의 예시적인 방법(300)의 소정의 양상들의 예시적인 구현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다. 도 5와 도 4간의 유일한 차이는, 340에서의 결정이 특정 동작들의 대안적인 세트(340a, 340b 및 340c 보다는 340x 및 340y)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예시 목적으로, 도 5의 방법은 그것이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디바이스들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69] 도 3 및 도 4의 앞선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310에서) 통신 매체(132)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130A)을 포함함)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고, (320에서)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들을 결정하고, (330a에서) 간섭 레벨들을 제 1 임계치와 비교하고, (330b에서) 각각의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큰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335에서) (330b에서의 결정의 결과에 의존하여) 동작 채널로서 클린 채널을 선택한다. 간결함을 위해, 310, 320, 330a, 330b, 및 335의 설명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0070] 도 5의 방법은,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각각의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큰 경우(330b에서 '예'), 340으로 진행된다.
[0071] 340x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액세스 포인트(110)가 전개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결정들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10)는 340x에서 도 5의 방법이 수행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예를 들어, 알려진 로케이팅 기술들을 사용하여(예를 들어, GPS, 가시적인 노드 등을 사용하여)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이러한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는 그의 위치가 선험적으로 알려지도록 설치 시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는, 설치 시에 액세스 포인트(110)의 메모리 컴포넌트(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컴포넌트(118))에 기록될 수 있다.
[0072] 340y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액세스 포인트(110)가 실내에 전개되는지를 결정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는 (340y에서) 도 5의 방법이 실내에서 수행되는지를 결정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전술한 로케이팅 기술들을 사용하여 이러한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는, 액세스 포인트(110)가 실내에 전개되었음을 액세스 포인트(110)가 선험적으로 알도록 설치 시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1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 컴포넌트(118)와 유사한) 액세스 포인트(110)의 메모리 컴포넌트에 기록될 수 있다.
[0073] 340y에서, 액세스 포인트(110)가 실내에 전개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도 5의 340y에서 '아니오'), 방법은 345로 진행된다. 340y에서, 액세스 포인트(110)가 실내에 전개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도 5의 340y에서 '예'), 방법은 350으로 진행된다. 345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도 3 및 도 4의 앞선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들을 갖는 채널들을 회피한다. 35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도 3 및 도 4의 앞선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하며, 제 1 채널(130A)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36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도 3 및 도 4의 앞선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1차 RAT를 사용하여 선택된 채널 상에서 동작한다. 간결함을 위해, 345, 350 및 360의 설명들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0074] 도 6은 도 3의 예시적인 방법(300)의 소정의 양상들의 예시적인 구현을 보다 상세히 예시한다. 이 구현에서, 350에서의 선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들이 도시된다. 예시 목적으로, 도 6의 방법은 그것이 액세스 포인트(1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디바이스들이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75] 도 3의 앞선 설명에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는 350에서, 340에서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하며, 제 1 채널(130A)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350에서의 선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동작들(350a, 350b, 350c, 및 350d로서 도 6에서 라벨링됨)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0076] 350a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하나 또는 그 초과 트랜시버들 중 하나(예를 들어, 1차-RAT 트랜시버(140))에 의해 사용되는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예를 들어, LTE)에 따라 동작되는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예를 들어, 노드들(220, 230 및 240)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식별한다. 상이한 운영자는 350a에서의 식별을 수행하는 운영자와 상이한 운영자일 수 있다.
[0077] 350b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중 제 2 채널(예를 들어, 제 2 채널(130B))이 상이한 운용자를 갖는 노드와 연관되고 제 2 채널(130B)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고 결정한다.
[0078] 350c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동작 채널로서 제 2 채널(130B)을 선택하는 것을 회피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예를 들어, 동작 채널로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로부터 상이한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제 2 채널(130B)을 회피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 1 채널(130A)을 선택함으로써 제 2 채널(130B)을 회피함). 액세스 포인트(110)는, 제 2 채널(130B)이 그렇지 않고, 동작 채널로서 선택에 대한 기준에 맞는 경우에도 동작 채널로서 선택 또는 후보로서 제 2 채널(130B)을 회피할 수 있다.
[0079] 350d에서, 액세스 포인트(110)는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하며, 제 1 채널(130A)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
[0080] 일 예에서, 제 1 채널(130A) 및 제 2 채널(130B) 둘 모두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들을 갖는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어느 채널이든 동작 채널로서 선택을 위한 후보가 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110)는 2개의 채널들 중 어느 것이 선택되는지에 무관심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채널(130B)이 350c에서 동작 채널을 위한 후보로서 회피되는 경우, 제 2 채널(130B)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 상에서 동작하거나 상이한 운용자를 갖는 노드와 연관되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110)는 350d에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할 것이다.
[0081] 편의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110) 및 액세스 단말(120)은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들에 따라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다. 그러나, 예시된 블록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1의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ASIC들(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음)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회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회로는, 이러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회로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또는 실행 가능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컴포넌트를 사용하고 그리고/또는 포함할 수 있다.
[0082] 도 7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표현된 액세스 포인트(110)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 장치(700)의 대안적인 예시를 제공한다.
[0083]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130A)을 포함함)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듈(71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112)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모듈(72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114) 등)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큰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73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114) 등)에 대응할 수 있다.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듈(74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114)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충족되는 트리거링 조건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제 1 채널(130A)은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가짐)을 선택하기 위한 모듈(750)은 적어도 일부 양상들에서, 예를 들어,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114) 등)에 대응할 수 있다.
[0084] 도 7의 모듈들(710 내지 750)의 기능성은, 본원의 교시들에 부합하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성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기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성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집적 회로들(예를 들어, ASIC)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논의된 바와 같이, 집적 회로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른 관련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일부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모듈들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상이한 서브세트들로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상이한 서브세트들로,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집적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주어진 서브세트는, 1개 초과의 모듈에 대한 기능성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0085] 부가적으로, 도 7에 의해 표현된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 뿐만 아니라 본원에 설명된 다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수단은 또한,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대응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컴포넌트들을 "위한 모듈"과 함께 위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또한, 유사하게 지정된 기능성을 "위한 코드"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그러한 수단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집적 회로들, 또는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은 다른 적합한 구조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0086] “제 1”, “제 2”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하는 본원에서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일반적으로, 그 엘리먼트들의 양 또는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지정들은 2개 또는 그 초과의 엘리먼트들 또는 엘리먼트의 인스턴스(instance)들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에 대한 참조는, 2개의 엘리먼트들만이 거기에서 이용될 수 있거나 제 1 엘리먼트가 제 2 엘리먼트에 임의의 방식으로 선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엘리먼트들의 세트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설명 또는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B, 또는 C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또는 "A, B, 및 C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용어는, "A 또는 B 또는 C 또는 이들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결합"을 의미한다.
[0087] 위의 설명들 및 서술들의 관점에서, 본원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지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 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관점들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0088] 따라서, 예를 들어, 장치 또는 장치의 임의의 컴포넌트는, 본원에 교시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또는 동작 가능하게 이루어지거나 또는 적응)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장치 또는 컴포넌트가 그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장치 또는 컴포넌트들 제조(예를 들어, 제작)함으로써; 장치 또는 컴포넌트가 그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장치 또는 컴포넌트를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구현 기술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집적 회로는 필수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집적 회로는, 필수 기능성을 지원하도록 제조될 수 있고, 그 후에, 필수 기능성을 제공하도록(예를 들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 회로는, 필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0089] 또한, 본원에서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ROM(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인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비-일시적인"이란 용어는 임의의 물리적 저장 매체 또는 메모리를 배제하지 않고, 특히 동적 메모리(예를 들어, RAM)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체가 일시적인 전파 신호로서 해석될 수 있는 해석만을 배제한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캐시 메모리).
[0090] 따라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소정의 양상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코드 ― 복수의 이용 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130A) 및 제 2 채널(130B)을 포함함 ― ,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용 가능 채널들 각각에 대한 대응하는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제 1 채널(130A)의 제 1 간섭 레벨이 제 2 채널(130B)에 대한 제 2 간섭 레벨보다 크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코드, 및 동작 채널로서 제 1 채널(130A)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지될 것이다.
[0091] 앞선 개시는 다양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나타내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된 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구체적으로 예시된 예들에 단독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본원에 설명된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소정의 양상들이 단수로 설명되거나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30)

  1. 통신 장치로서,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 ―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을 포함함 ―;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고,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1차(primary)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상기 제 1 채널을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더 높은 간섭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치는 82dBm과 동일한,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치는 62dBm과 동일한,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가 상기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2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따라 동작되는,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근접도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각각 갖는 근접 노드들을 식별하고; 그리고
    각각의 근접 노드의 운영자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도 임계치는 42dBm과 동일한,
    통신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상기 통신 장치가 실내에서 전개되는 것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 중 하나에 의해 사용되는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따라 동작되는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를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중 제 2 채널이 상기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와 연관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채널이 상기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동작 채널로서 상기 제 2 채널의 선택을 회피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은,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스캐닝하는 것,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대한 채널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것,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의해 상기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은, 비인가(unlicensed) 대역에서 동작하고 그리고 일반(general) 시그널링 에너지에 대한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LTE(long-term evolution) 트랜시버,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특정 시그널링 에너지에 대한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WLAN 트랜시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 통신 방법으로서,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을 포함함 ―;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상기 제 1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더 높은 간섭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임계치는 82dBm과 동일한,
    통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임계치는 62dBm과 동일한,
    통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2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따라 동작되는,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는:
    근접도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각각 갖는 근접 노드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각각의 근접 노드의 운영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도 임계치는 42dBm과 동일한,
    통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방법이 실내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따라 동작되는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중 제 2 채널이 상기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와 연관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채널이 상기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채널로서 상기 제 2 채널의 선택을 회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스캐닝하는 단계,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대한 채널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일반적 시그널링 에너지에 대한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WLAN-특정 시그널링 에너지에 대한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1. 통신 장치로서,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을 포함함 ―;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상기 제 1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더 높은 간섭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
    통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2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따라 동작되는,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근접도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각각 갖는 근접 노드들을 식별하고; 그리고
    각각의 근접 노드의 운영자를 식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통신 장치가 실내에서 전개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 중 하나에 의해 사용되는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따라 동작되는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중 제 2 채널이 상기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와 연관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채널이 상기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고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동작 채널로서 상기 제 2 채널의 선택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
  26.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통신 장치에 대한 통신 매체와 연관된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상의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코드 ―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은 제 1 채널을 포함함 ―;
    모니터링된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각각에 대한 간섭 레벨이 제 1 임계치보다 크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기초하여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대한 동작 채널로서 상기 제 1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임계치보다 더 높은 간섭 레벨에 대응하는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2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따라 동작되는,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근접도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각각 갖는 근접 노드들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각각의 근접 노드의 운영자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운영자와 연관된 상기 둘 또는 그 초과의 근접 노드들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실내에서 전개되는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따라 동작되는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
    상기 복수의 이용가능한 채널들 중 제 2 채널이 상기 상이한 운영자를 갖는 노드와 연관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채널이 상기 제 2 임계치보다 큰 간섭 레벨을 갖는다고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동작 채널로서 상기 제 2 채널의 선택을 회피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87010219A 2015-09-12 2016-09-09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채널 선택 KR101928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52,515 US9936400B2 (en) 2015-09-12 2015-09-12 Channel selection i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US14/852,515 2015-09-12
PCT/US2016/051026 WO2017044797A1 (en) 2015-09-12 2016-09-09 Channel selection i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615A KR20180051615A (ko) 2018-05-16
KR101928464B1 true KR101928464B1 (ko) 2018-12-12

Family

ID=5695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219A KR101928464B1 (ko) 2015-09-12 2016-09-09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채널 선택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36400B2 (ko)
EP (1) EP3348087B1 (ko)
JP (1) JP6432003B2 (ko)
KR (1) KR101928464B1 (ko)
CN (1) CN107950044B (ko)
TW (1) TWI641277B (ko)
WO (1) WO2017044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2110A1 (en) * 2017-08-10 2019-02-14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DEVICE THAT CAN PERFORM MULTIPLE ACCESS OPERATION WITH CARRIER LISTENING IN WIRELESS RADIO COMMUNICATIONS AND ASSOCIATED METHOD
CN109005545B (zh) * 2018-08-01 2023-04-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及终端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EP3888256A4 (en) 2018-11-27 2022-08-31 Xcom Labs, Inc. MULTIPLE INPUT AND INCOHERENT COOPERATIVE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1032841B2 (en) 2019-04-26 2021-06-08 XCOM Labs, Inc. Down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0756782B1 (en) 2019-04-26 2020-08-25 XCOM Labs, Inc. Up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0686502B1 (en)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0735057B1 (en) 2019-04-29 2020-08-04 XCOM Labs, Inc. Up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1411778B2 (en) 2019-07-12 2022-08-09 XCOM Labs, Inc. Time-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alibration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KR20230015932A (ko) 2020-05-26 2023-01-31 엑스콤 랩스 인코퍼레이티드 간섭-인식 빔포밍
CA3195885A1 (en) 2020-10-19 2022-04-28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2093988A1 (en) 2020-10-30 2022-05-05 XCOM Labs, Inc. Clustering and/or rate selec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3667A1 (en) 2004-01-08 2005-07-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scape mechanism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8548A (en) * 1989-12-19 1992-09-15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of monitoring cellular radio channels to avoid adjacent and co-channel interference
FI107668B (fi) * 1996-12-19 2001-09-14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yhteydenmyöntämiskontrolliin interferenssirajoitteisessa solukkoradioverkossa
JP3149928B2 (ja) * 1999-02-12 2001-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のチャネル選択方法及びチャネル選択装置
US7177294B2 (en) 2001-03-22 2007-02-13 Oxford Semiconductor, Inc. Collision rectif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P1257090B1 (en) * 2001-05-08 2004-11-17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LAN with dynamic frequency selection
AU2003218091A1 (en) * 2002-03-19 2003-10-08 M2 Networks, Inc. Dynamic channel selection in wireless modems
US7330697B1 (en) * 2004-04-27 2008-02-12 Piping Hot Networks Ltd. Installation technique for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7330698B1 (en) * 2004-04-27 2008-02-12 Piping Hot Networks Ltd. Intelligent spectrum management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718561B2 (en) * 2007-11-20 2014-05-06 Aruba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avoid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GB2457431A (en) * 2008-01-28 2009-08-19 Fujitsu Lab Of Europ Ltd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in a wireless network
JP5406520B2 (ja) * 2008-12-25 2014-02-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および閾値設定方法
JP5432883B2 (ja) * 2010-11-26 2014-03-05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方法
US8547867B2 (en) 2011-02-18 2013-10-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identification on configuration of LTE and BT
US8743809B2 (en) * 2011-10-07 2014-06-03 Apple Inc. Channel selection in a multiple carrie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network
EP2795953A1 (en) * 2011-12-22 2014-10-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ynamic spectrum allocation
KR20200035183A (ko) 2012-01-26 2020-04-0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Lte 공존에 대한 동적 파라미터 조절
US9749878B2 (en) 2013-07-31 2017-08-2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mmunications for two networks in a communication device
US10979203B2 (en) 2013-09-04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election to reduce interference to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rom a cellular network
US9532243B2 (en) * 2014-01-20 2016-12-27 Apple Inc. WLAN and LTE coexistence in unlicensed radio frequency bands
CN110267341B (zh) * 2014-05-15 2022-04-12 Lg 电子株式会社 在未经许可的带中控制功率
EP3266009A4 (en) * 2015-03-02 2018-06-20 Locus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ransported i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3667A1 (en) 2004-01-08 2005-07-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scape mechanism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615A (ko) 2018-05-16
TWI641277B (zh) 2018-11-11
JP2018528696A (ja) 2018-09-27
EP3348087B1 (en) 2020-06-10
EP3348087A1 (en) 2018-07-18
US20170078894A1 (en) 2017-03-16
WO2017044797A1 (en) 2017-03-16
JP6432003B2 (ja) 2018-11-28
US9936400B2 (en) 2018-04-03
CN107950044A (zh) 2018-04-20
CN107950044B (zh) 2019-10-08
TW201714474A (zh) 201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464B1 (ko) 공유된 통신 매체에서 채널 선택
US11930419B2 (en) Autonomous handover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CN108781421B (zh) 共享通信介质上的操作模式协调
EP3469825B1 (en) Preamble design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KR101911159B1 (ko) 공유된 스펙트럼에서의 채널 선택 메트릭들
US9750014B2 (en) Interlaced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CSAT) co-existence in shared spectrum
JP2017506042A (ja) 共有スペクトルにおけるキャリア感知適応送信(csat)測定
KR102201832B1 (ko) 공유되는 통신 매체 상의 공존
KR102592164B1 (ko) 공유된 통신 매체 상의 공존을 위한 운영자 식별
US9730234B2 (en) Channel selection at small cell access points based on detection of hidden nodes
US20160337061A1 (en) Access point synchronization in shared spect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