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864B1 -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864B1
KR101927864B1 KR1020180054817A KR20180054817A KR101927864B1 KR 101927864 B1 KR101927864 B1 KR 101927864B1 KR 1020180054817 A KR1020180054817 A KR 1020180054817A KR 20180054817 A KR20180054817 A KR 20180054817A KR 101927864 B1 KR101927864 B1 KR 101927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beta
silk
silk protei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3622A (en
Inventor
진형준
조세연
윤영수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864B1/en
Publication of KR2018005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6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8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Nanoonions; Nanoscrolls; Nanohorns; Nanocones; Nano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90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C07K14/4351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arachnidae
    • C07K14/4351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arachnidae from spi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C07K14/4356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insects
    • C07K14/4358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insects from silkwor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베타 시트 구조를 포함하거나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을 이용하여 탄소 물질을 제조한다. 상기 베타 시트 구조는 열이 가해짐에 따라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화 과정이 단순하고, 종래와 달리, 촉매나 유기용매의 사용이 없는 친환경적 탄소 물질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베타 시트 함량 조절을 통하여 탄소 물질의 다양한 형태와 미세 구조를 조절할 수 있다. A carbon material is prepared using a carbon precursor or protein that includes a beta sheet structure or that can form a beta sheet structure by crystallization. The beta sheet structure can be converted to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as heat is applied. Accordingly, the carbonization process is simple a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arbon material without using a catalyst or an organic solvent. In addition, various shapes and microstructures of the carbon material can be controlled through beta-sheet content control.

Description

단백질로부터 유도된 탄소 물질 및 그 제조 방법{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Carbon materials derived from protein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본 명세서는 단백질을 이용한 탄소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단백질의 특정 2차 구조인 베타 시트로부터 유도된 탄소 물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material using a protein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carbon materi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rbon material derived from a beta-sheet, which is a specific secondary structure of a protei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탄소 물질을 유기 고분자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고분자는 열을 가하면 다음과 같은 세가지 형태의 열분해 거동을 나타내게 된다. Carbon materials can be produced from organic polymers. Generally, organic polymers show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pyrolysis behavior when heat is applied.

즉, 탄소-탄소 결합이 절단되면서 저분자량체 혹은 수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메탄, 에탄, 또는 에틸렌 형태의 가스들로 방출되는 경우가 있거나, 열에 안정적인 고리 분자 구조를 지닌 고분자의 경우 고리 분자들이 메조상을 거쳐 탄소체로 전환(코크, coke type)되는 경우가 있다. 또는, 고분자 체인이 열에 의하여 안정한 공명 혹은 고리 구조를 형성하여 탄소체로 전환되는 경우(차르, char type)가 있다. That is, when the carbon-carbon bond is cleaved, it may be released as a low molecular weight substance or hydrogen,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methane, ethane, or ethylene type gas. In the case of a polymer having a thermostable cyclic molecular structure, (Coke type) to the carbon body through the catalyst. Alternatively, there is a case in which a polymer chain is converted into a carbon body by forming a resonance or ring structure stable by heat (char type).

Omenetto, F. G. & Kaplan, D. L. New opportunities for an ancient material. Science 329, 528-531 (2010).Omenetto, F. G. & Kaplan, D. L. New opportunities for an ancient material. Science 329, 528-531 (2010).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일측면에서, 탄화 과정이 단순하고, 종래의 유기 분자를 이용하여 탄소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과 달리, 촉매나 유기용매의 사용이 없는 친환경적 탄소 물질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소 물질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arbon material that is simple in carbonization process a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for producing a carbon material using organic molecules, without using a catalyst or an organic solvent Thereby providing the carbon material.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서는, 다른 일측면에서, 용액 공정 및 결정화를 통한 베타 시트 함량 조절을 통하여 탄소 물질의 다양한 형태와 미세 구조를 조절할 수 있는 탄소 물질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소 물질을 제공한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asp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bon material capable of controlling various shapes and microstructures of the carbon material through a solution process and controlling the beta-sheet content through crystallization, and a carbon material produced therefrom do.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탄소 전구체로서, 베타 시트 구조를 포함하거나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단백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타 시트 구조는 열이 가해짐에 따라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것 특징으로 하는 탄소 전구체를 제공한다.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precursor includes a protein capable of forming a beta-sheet structure by incorporating or crystallizing a beta-sheet structure, wherein the beta-sheet structure is formed by sp 2 hybridization The carbon precursor can be converted into a resonance structure.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탄소 물질로서, 베타 시트 구조가 전환된 sp 2 혼성 공명 구조를 포함하는 탄소 물질을 제공한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arbonaceous material comprising a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with a converted beta-sheet structure as the carbonaceous material.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단백질로부터 유도된 탄소 물질로서, 상기 단백질은 베타 시트 구조를 포함하거나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열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베타 시트 구조가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것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을 제공한다.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bon material derived from a protein, wherein the protein comprises a beta-sheet structure or is capable of forming a beta-sheet structure by crystallization, and the beta-sheet structure Lt; RTI ID = 0.0 & gt; sp2 < / RTI > hybrid resonance structure.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또한, 단백질을 탄화하여 탄소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백질은 베타 시트 구조를 포함하거나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탄화 시 상기 베타 시트 구조가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carbon material by carbonizing a protein, wherein the protein comprises a beta-sheet structure or is capable of forming a beta-sheet structure by crystallization, And the sheet structure can be converted into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의하면, 베타 시트 구조를 가지거나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을 이용하여 저가로 용이하게 탄소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탄소 전구체 제조는 예컨대 수용액 공정만으로 가능하다.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bon material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a low cost using a carbon precursor or a protein having a beta-sheet structure or capable of forming a beta-sheet structure by crystallization. Further, such a carbon precursor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process alone.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탄소 물질 제조 과정은 탄화 과정이 단순하고, 종래의 유기 분자를 이용하여 탄소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과 달리, 촉매나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친환경적 공법이라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arbon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the carbonization process, an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ducing a carbon material using organic molecules, it is possible to us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There is an advantage of construc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의하면, 용액 공정 및 결정화를 통한 베타 시트 함량 조절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와 미세구조를 지닌 탄소 물질들의 제조가 가능하다. Further,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carbon materials having various shapes and microstructures by controlling the beta sheet content through solution processing and crystallizat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라 제조된 탄소 물질은 전자섬유, 투명전극, 에너지 저장소자, 생체전기재료, 의료용 등을 포함하여 탄소 물질이 적용되는 제반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The carbon material prepare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where carbon materials are applied, including electronic fibers, transparent electrodes, energy storage elements, bioelectrical materials, medical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크 단백질의 열 분해 거동을 나타내는 사진 및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a)는 무당거미 실크 단백질 섬유 사진이고, 이를 800 ℃에서 열처리한 사진 (b) 및 2,800℃에서 열처리 한 사진(c)이다. 또한, 도 1에서 (d)는 800℃ 및 (e)는 2,800℃에서 각각 열처리 한 무당거미 실크 단백질 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도 1에서 (f)는 누에고치로부터 얻은 실크 단백질 섬유와 이를 (g) 800℃와 (h) 2,800℃에서 열처리 한 사진들이다. 또한, 도 1에서 (i) 800℃와 (j) 2,800℃에서 열처리 한 누에 실크 단백질 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또한, 도 1에 800℃에서 열처리한 무당거미(주황색)와 누에(남색) 실크 단백질의 (k) 라만분광 결과 및 (l) 엑스선회전분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고, 또한 (m) 질소분위기하에서 분당 10℃로 승온한 무당거미(주황색)와 누에(남색) 실크 단백질의 열중량분석 곡선, (n) 250~350℃의 범위에서 열처리한 누에 실크 단백질 시료와 순수 누에 실크 단백질 시료의 퓨리에변환적외선 분광 곡선이 표시되어 있다. 단위 막대 길이는 각각 a-c는 5 mm, d,e는 2㎛, f-h는 5 mm, i,j는 2㎛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 1에서 열분해 과정에서 나타나는 베타시트가 풍부한 단백질의 구조·화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a) 250-350℃에서 60분간 열처리 한 실크 단백질의 푸리에변환적외선 곡선 (아마이드 I 영역)[각각의 스펙트럼은 흡광 모드로 32번 스캔하여 측정하였음], (b) 250-350℃에서 열처리 한 실크 단백질의 엑스선회절분석 결과이고[여기서, 9.34°, 20.80°, 그리고 25.78°에서 (010), (210), 그리고 (002)면에 해당하는 베타 시트 결정 피크들이 관찰됨], (c) 250-350℃에서 열처리 한 실크 단백질의 엑스선광전자분광곡선의 질소 1s 스펙트럼이다[399.7 eV는 O=C-N, 399 eV는 C-N, 402-405 eV는 N-옥사이드(N-oxide), 400.5 eV는 피리도닉 질소(pyridonic N), 398.1eV 은 피리디닉 질소(pyridinic N)에 의해 나타나는 피크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백질 기반 탄소의 미세구조 형성과 발달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a,b) 350 ℃로 열처리 한 실크 단백질의 원자단위 투과전자현미경(Atomic-scale TEM) 사진들이고[단위막대 길이는 2 nm], 실크 단백질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c) 라만 분광과 (d) 엑스선회절분석 결과, (e) 2,800℃로 열처리 한 실크 단백질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처리에 의한 베타 시트에서 탄소기본단위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a) 인접한 단백질 사슬들 간의 수소 결합으로 이루어진 베타시트 구조, (b) 열에 의한 베타시트 구조의 고리화 반응, 및 (c) 350℃의 열처리에 의하여 적층된 탄소기본단위로 전환된 베타시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 섬유의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 및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a) 는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 섬유의 직경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5에서 (b)는 순수 실크 단백질 섬유 투과주사현미경 사진이고, 각각 (c) 350℃, (d) 400℃, (e) 600℃, (f) 800℃, (g) 1000℃, (h) 1200℃, (i) 1400℃, (j) 1600℃, (k) 2300℃, and (l) 2800℃에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 섬유의 투과주사현미경 사진들이다. 단위막대 길이는 20㎛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승온 속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승온 속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의 (a) 열중량분석과 (b) 시차주사열량측정 결과, (c) 단백질의 열분해와 고리화에 따른 에너지 분포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의 전기 전도도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a) 전기 전도성 측정을 위해 사용된 장치의 사진과 그 모식도를 나타내고, (b) 실크 단백질 섬유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전류-전압 곡선 및 (c)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 섬유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누에 및 무당 거미 실크 단백질의 온도에 따른 인시츄 측정을 통한 전도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8은, (a) 누에와 (b) 무당거미 실크 단백질 섬유의 전도도를 각각 나타내며 250℃부터 섬유 색상의 변화가 관찰된다. 단위 막대 길이는 100㎛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타시트 구조의 탄소 구조로의 전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 (a)는 무정형영역과 베타시트 결정으로 구성된 실크 단백질 섬유의 구조와 탄소체로의 전이에 따른 탄소기본단위 형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b)는 350℃에서 열처리된 실크 단백질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단위 막대 길이는 10 nm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400~2800℃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의 라만 스펙트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들로서, 구체적으로 (a) 400℃, (b) 600℃, (c) 800℃, (d) 1000℃, (e) 1400℃, (f) 1600℃, (g) 2300℃, 그리고 (h) 2800℃에서의 사진이다. 단위막대 길이는 10 nm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800℃까지의 열처리에 따른 실크 단백질 기반 탄소체의 미세 구조 발달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크 단백질 기반 탄소 물질의 전기 수송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구체적으로, 600~2,800℃에서 열처리 된 (a,b) 누에와 (c) 무당거미 실크 단백질의 전류-전압 곡선 및 (d) 열처리 온도에 따른 누에(원)와 무당거미(삼각형) 실크의 전도도 그래프이다.
도 14는 (a) 콩(비교예1), (b) 계란 흰자(비교예2), (c) 양모(비교예3), (d) 닭가슴살(실시예2)의 열중량분석 결과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 실험 2에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를 만들고 이를 탄화하여 나노 섬유 형태의 탄소 물질을 제조한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a)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재생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 제조 모식도, (b) 제조된 재생실크 단백질 나노섬유의 투과주사현미경 사진 및 (c) 800℃에서의 열처리를 통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형태 탄소체의 투과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단위막대 길이는 100 ㎛이다.
도 16은 본 발명 실험 2에서 나노 섬유로 재생된 실크 단백질을 메탄올로 결정화한 것과 결정화하기 전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험 2에서 나노 섬유로 재생된 실크 단백질의 결정화에 따른 탄화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및 사진이다. 즉, 도 17은 (a) 결정화된 재생실크(붉은색)와 결정화 처리하지 않은 재생실크(검정색)의 열중량분석 결과 및 2,800 ℃에서 열처리한 결정화된 재생실크(붉은색)와 결정화 처리하지 않은 재생실크(검정색)의 (b) 라만분광분석과 (c) 엑스선회절분석 결과, 그리고 2,800℃에서 열처리한 (d) 결정화된 재생실크와 (e) 결정화 처리하지 않은 재생실크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단위 막대 길이는 10 nm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험 2에서 재생 실크 단백질을 이용한 박막 형태의 탄소구조체 제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a)는 수용액공정을 통한 실크 박막 제조 공정 모식도이고, (b-g)는 각각 1000, 3000, 그리고 7000 rpm의 회전 속도로 제조된 실크 단백질 박막을 800℃에서 열처리 한 현미경 사진들이며, 단위 막대 길이는 10㎛이다. 또한, (h)는 실크 단백질 기반 탄소 박막의 투과전자현미경과 (i) 원자력간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e, AFM) 사진들이다. 단위막대 길이는 25 ㎛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험 2에서 실크 단백질을 이용한 3차원 탄소 나노스피어제조 공정 개략도 및 투과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단위막대 길이는 500 nm이다.
도 20은 본 실험 3에서 (a) 실크 단백질 섬유와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들의 FTIR 아마이드 Ⅰ 영역을 나타내고, 또한, 디콘볼루션을 통한 천연 실크 단백질 섬유의 베타 시트 함량 분석 결과(b), 결정화하지 않은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의 베타 시트 함량 분석 결과(c), 그리고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을 물(d), 에탄올(e), 메탄올(f)로 결정화한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의 베타 시트 함량 분석 결과이다.
도 21은 본 실험 4에서 결정화 처리한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실험 2에서 얻어진 결정화 처리한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을 연신 한 후 2300℃까지 열처리하여 그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hotograph and graph show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behavior of silk proteins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 (a) is a silk spider silk protein fiber photograph, which is a photograph (b) after heat treatment at 800 ° C. and a photograph (c) after heat treatment at 2,800 ° C. 1 (d) is 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of the silk spider silk protein fiber heat-treated at 800 ° C and (e) at 2,800 ° C, respectively. In FIG. 1 (f), the silk protein fibers obtained from the silkworm cocoons and (g) the images obtained by heat treatment at 800 ° C and (h) 2,800 ° C. Also, FIG. 1 shows SEM photographs of silk protein fibers heat-treated at (i) 800 ° C and (j) 2,800 ° C.
1 shows the results of (k) Raman spectroscopy of the silkworm spider (orange) heat treated at 800 ° C (orange) and silk silk protein (k) (N)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of silk protein samples annealed at 250 to 350 ° C and pure silk protein silk protein samples at a temperature ranging from 250 ° C to 350 ° C; (c) a thermogravimetric analysis curve of silkworm spider (orange) Curves are shown. The unit bar lengths are 5 mm for ac, 2 μm for d and e, 5 mm for fh, and 2 μm for i and j.
FIG. 2 is a graph showing a structural and chemical change of a protein rich in beta-sheet in a pyrolysis process in Exper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Specifically, FIG. 2 (a) shows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curve (amide I region) of a silk protein heat-treated at 250-350 ° C for 60 minutes (each spectrum was measured by scanning 32 times in an absorption mode) The results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the silk proteins annealed at 250-350 ° C [here, the beta sheet crystal peaks corresponding to (010), (210) and (002) planes at 9.34 °, 20.80 ° and 25.78 ° are observed (399.7 eV for O = CN, 399 eV for CN, 402-405 eV for N-oxide), and (c) a 1 s spectrum of the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of the silk protein annealed at 250-350 ° C ), 400.5 eV is the peak indicated by pyridonic nitrogen, and 398.1 eV is the peak indicated by pyridinic nitrogen.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microstructur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rotein-based carbon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b) are the atomic-scale TEM photographs of the silk proteins annealed at 350 ° C. (unit bar length is 2 nm), and (c ) Raman spectroscopy and (d) X-ray diffraction analysis. (E)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the silk protein annealed at 2,800 ℃.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version of a beta sheet to a carbon base unit by heat treatment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 FIG. 4, (a) a beta-sheet structure composed of hydrogen bonds between adjacent protein chains, (b) a cyclization reaction of heat-induced betatheath structure, and (c) Lt; RTI ID = 0.0 > a < / RTI >
Figure 5 is a photograph and graph showing changes in silk protein fiber with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5 (a) is a graph showing the diameter change of the silk protein fiber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D) 400 ° C, (e) 600 ° C, (f) 800 ° C, (g) 1000 ° C, (h) Transmission scanning micrographs of silk protein fibers heat treated at 1200 ° C, (i) 1400 ° C, (j) 1600 ° C, (k) 2300 ° C, and (l) 2800 ° C. The unit bar length is 20 占 퐉.
FIG. 6 is a graph showing silk prote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heating rate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Specifically, FIG. 6 shows the results of (a)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b)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results, and (c) thermal decomposition and cyclization of proteins.
7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of silk proteins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7 shows photographs of a devic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schematic diagram thereof, (b) a current-voltage curve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of the silk protein fiber, and (c) It show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protein fiber.
Figure 8 shows the conductivity through in situ measurement of silkworm silk protein silkworm silk protein according to temperature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8 shows the conductivities of (a) silkworm and (b) silkworm silk protein fiber, respectively, and a change in fiber color was observed at 250 ° C. The unit rod length is 100 탆.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transition to a carbon structure of a beta sheet structure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9 (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ilk protein fiber composed of the amorphous region and the beta-sheet crystal and the formation of the carbon base unit according to the transition to the carbon body, (b) It is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 of protein. The unit bar length is 10 nm.
Figure 10 is a Raman spectra of silk proteins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of 400-2800 ° C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400 ° C., (b) 600 ° C., (c) 800 ° C., (d) 1000 ° C., and (c) the temperature of the silk protein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 1400 ° C, (f) 1600 ° C, (g) 2300 ° C, and (h) 2800 ° C. The unit bar length is 10 nm.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icrostructure development of a silk protein-based carbon body according to a heat treatment up to 2,800 ° C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a silk protein-based carbon material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a silkworm silk protein (a, b) heat treated at 600 to 2,800 ° C. Current-voltage curve, and (d) heat treatment temperature of the silk spider (silk) silk.
14 shows the results of thermogravimetric analysis of (a) soybean (Comparative Example 1), (b) egg white (Comparative Example 2), (c) wool (Comparative Example 3), (d) chicken breasts (Example 2) Fig.
FIG. 1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preparing a nanofiber carbon material by making a silk protein nanofiber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in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rbonizing it. Specifically, (a)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oduction of regenerated silk protein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b) a transmission scanning microscope photograph of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nanofiber prepared, and (c) a nanofiber type carbonaceous body prepared through heat treatment at 800 ° C. ≪ / RTI > The unit rod length is 100 占 퐉.
FIG. 16 shows the FTIR spectrum analysis results of the crystallization of the silk protein regenerated with the nanofibers in methanol and crystallization in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graph and a photograph showing carbonization behavior according to crystallization of silk protein regenerated with nanofibers in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17 shows the results of thermogravimetric analysis of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red) and regenerated silk (black) without crystallization, and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heat-treated at 2,800 ° C (red) (B) Raman spectroscopic analysis of regenerated silk (black), (c) X-ray diffraction analysis, (c)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heat-treated at 2,800 ° C, and (e) . The unit bar length is 10 nm.
FIG. 18 is a schematic view of a process for producing a thin film carbon structure using a regenerated silk protein in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8 (a) is a schematic view of a process for producing a silk thin film through an aqueous solution process, , And 7000 rpm, respectively, and the unit bar length is 10 ㎛. (H) are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of silk protein-based carbon thin films and (i) Atomic Force Microscope (AFM) photographs. The unit rod length is 25 占 퐉.
FIG. 1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view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ree-dimensional carbon nanosphere using silk protei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s. The unit rod length is 500 nm.
20 shows the FTIR amide I region of (a) silk protein fiber and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in Experiment 3, and (b) the result of beta-sheet content analysis of natural silk protein fiber through deconvolution, (C) analysis of the beta-sheet content of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and beta sheet content analysis of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obtained by crystallizing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with water (d), ethanol (e) and methanol (f).
21 is a result of heat treatment up to 2300 캜 after stretching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crystallized in Experiment 4 (the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obtained in Experiment 2) and confirming the effect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용액 공정(solution process)이란 기체와 액체의 경계면이 가진 평탄화(leveling) 능력을 활용하여 액체 상태의 재료를 가지고 평탄한 표면을 지닌 물질을 제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 solution process means a process for producing a material having a flat surface with a liquid material by utilizing the leveling ability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gas and the liquid.

본 명세서에서 결정화란 베타 시트를 가지는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을 용매에 용해하여 무정형 구조로 만든 후 이를 다시 베타 시트를 포함하는 결정 구조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crystallization refers to dissolving a carbon precursor or protein having a beta sheet in a solvent to make the amorphous structure and then making it into a crystal structure including a beta-sheet.

본 명세서에서 베타 시트 함량은 FTIR의 아마이드 I 영역 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베타 시트 함량 측정 방법은 FTRI과 XRD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Beta-sheet content can be measured herein using amide I region analysis of FTIR. For reference, there is a method of measuring beta-sheet content using FTRI and XRD.

본 명세서에서 단백질이란 단백질뿐만 아니라 유사 단백질도 포함하도록 정의된다.In this specification, a protein is defined to include not only a protein but also a similar protein.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일측면에서, 탄소 전구체로서, 베타 시트 구조를 포함하거나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구조가 형성된 단백질이고, 상기 베타 시트 구조는 열이 가해짐에 따라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탄소 전구체를 제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the carbon precursor includes a beta-sheet structure or a beta-sheet structure formed by crystallization, and the beta-sheet structure is a sp 2 hybrid resonance Lt; RTI ID = 0.0 > structure. ≪ / RTI >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다른 일 측면에서, 탄소 물질로서, 베타 시트 구조가 전환된 sp 2 혼성 공명 구조를 포함하는 탄소 물질을 제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aspect, there is provided a carbon material comprising a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in which a beta sheet structure is converted, as the carbon material.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또한 다른 일측면에서, 단백질이 탄화된 탄소 물질로서, 상기 단백질은 베타 시트 (β-sheet)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β-sheet)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단백질이며, 탄화 시 상기 베타 시트 구조가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탄소 물질을 제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yet another aspect, the protein is a carbonized carbon material, wherein the protein comprises a beta-sheet structure or is crystallized to form a beta-sheet structure Which is a protein capable of converting the beta sheet structure into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upon carboniza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베타 시트 구조는 예컨대 300~350℃의 온도에서 탄소의 기본구조단위인 sp 2 혼성 공명 구조 (이른바 파이로프로페인 형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해당 단백질은 고리화 구조를 형성하여 열적 안정화될 수 있다. 이후 탄소 구조체의 흑연화 온도에 이르는 열처리를 통해 베타 시트로부터 생성된 탄소기본단위들은 예컨대 하드카본 형태의 의사 흑연 구조로 성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베타 시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단백질을 탄소 전구체로 이용하면 열처리에 의하여 사라지지 않도록 하면서 탄소체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uch a beta-sheet structure is converted to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so-called pyropropein type) which is a basic structural unit of carbon at a temperature of, for example, 300 to 350 ° C. Accordingly, the protein can form a cyclized structure and be thermally stabilized. Thereafter, the carbon base units generated from the beta sheet through the heat treatment to the graphitization temperature of the carbon structure grow to a pseudo-graphite structure of, for example, a hard carbon type. When a protein capable of forming a beta-sheet structure is used as a carbon precursor, a carbon body can be effectively formed without being disappeared by heat treatment.

또한, 실크 단백질과 같이 베타 시트를 형성할 수 있는 단백질 기반 물질을 이용하여 용액을 만들고 이를 전기 방사, 스핀 코팅, 템플레이팅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용액 공정을 수행하여 예컨대 섬유 형태와 같은 1차원, 예컨대 필름 형태와 같은 2차원, 그리고 예컨대 스피어나 스캐폴드 형태와 같은 3차원 형태와 같은 재생 실크 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베타 시트 함량 조절을 통해 다양한 형태와 미세구조를 지닌 탄소 물질들의 제조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 solution is prepared by using a protein-based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beta sheet such as a silk protein, and the solution is subjected to a solution process such as electrospinning, spin coating, or templating to form a one-dimensional A regenerated silk protein such as a two-dimensional such as a film form, and a three-dimensional form such as a sphere or a scaffold form can be produced. In addition, beta-sheet content control enables the production of carbon materials with various shapes and microstructures.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단백질은 GX의 반복 단위 [G는 글리신, X는 알라닌(A), 세린(S), 또는 테로닌(Threonine)(Y)]를 포함하는 단백질이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ein is a protein comprising a repeating unit of GX (G is glycine, X is alanine (A), serine (S), or threonine (Y)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단백질은 특히 글리신(G)과 알라닌(A)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으로서, GA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단백질이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ein is a protein comprising glycine (G) and alanine (A) as a major component, and comprising a repeating unit of GA.

이러한 단백질은 예컨대 실크 단백질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누에 실크 또는 무당 거미 실크 단백질일 수 있다. Such a protein can be, for example, a silk protein, more specifically silk or silkworm spider silk protein.

관련하여, 누에 실크를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은 글리신(G) (43%), 알라닌 (A) (30%), 그리고 세린 (S) (12%)이다. 누에 실크는 light chain (Mw ~25 kDa, ~220 개의 아미노산)과 heavy chain (Mw ~390 kDa, ~5362 개의 아미노산)이 1:1 비율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light chain의 아미노산들은 특별한 반복 서열을 지니지 않고, heavy chain은 반복된 서열을 통하여 베타 시트와 같은 결정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과 특정한 반복서열 없이 상기 결정 영역을 연결하는 링커(linker) 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In relation to this, the main amino acids constituting silk silk are glycine (G) (43%), alanine (A) (30%) and serine (S) (12%). Silkworm silk is composed of light chains (Mw ~ 25 kDa, ~ 220 amino acids) and heavy chains (Mw ~ 390 kDa, ~ 5362 amino acids) in a 1: 1 ratio. Here, the amino acids of the light chain do not have a specific repeating sequence, and the heavy chain forms a linker structure connecting the crystal region with a portion constituting a crystal region such as a beta sheet and a specific repeating sequence through a repeated sequence .

상기 결정 영역은 평균 381개의 아미노산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GX의 반복 단위를 갖는다. 여기서, X는 알라닌(A), 세린(S), 테로닌(Threonine)(Y)이며 GA, GS, 그리고 GY가 각각 57, 20, 그리고 9%의 조성비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영역은 GAGAGS, GAGAGY, GAGAGA or GAGYGA의 헥사펩티드(hexapeptide)와 GAAS or GAGS의 테트라펩티드(tetrapeptide)가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링커(linker) 부분은 42-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별한 반복 서열을 지니지 않는다. The determined region is linked with an average of 381 amino acids and has repeating units of GX. Here, X is alanine (A), serine (S), threonine (Y), and GA, GS, and GY have composition ratios of 57, 20, and 9%,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crystal reg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hexapeptide of GAGAGS, GAGAGY, GAGAGA or GAGYGA is repeatedly connected to a tetrapeptide of GAAS or GAGS. The linker portion consists of 42-44 amino acids and does not have a particular repeat sequence.

한편, 무당거미는 실샘부에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을 지니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특성이 다른 실(fiber)을 생산하여 집을 짓는데, 이때 거미집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거미줄을 드래그라인(dragline)이라 한다. 이 드래그 라인(dragline)은 두 종류의 유사 단백질인 major ampullate spidroin1 (MaSp1)과 major ampullate spidroin2 (MaSp2)로 구성되어 있다. MaSp1과 MaSp2는 80% 이상이 G와 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거미종과 분석방법에 따라 200-720 kDa의 분자량을 지닌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MaSp1은 (A)n, GA, 그리고 GGX [X는 알라닌(A), 세린(S), 테로닌(Threonine)(Y)]의 반복 서열을, MaSp2는 GPGXX/GPGGX, GA 그리고 (A)n의 반복 서열을 지닌다. 여기서, (A)n, GA은 베타시트 결정구조를 형성하며 GGX 반복서열은 알파헬릭스 구조를 그리고 GPGXX/GPGGX는 베타턴과 같은 엘라스틱한 구조를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ushroom spider has various kinds of protein in the fountain spindle, and produces a fiber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spider web used to form the basic skeleton of the spider web is called a dragline . This dragline consists of two similar proteins, major ampullate spidroin1 (MaSp1) and major ampullate spidroin2 (MaSp2). More than 80% of MaSp1 and MaSp2 are composed of G and A and have been reported to have molecular weights of 200-720 kDa depending on the spider species and assay method. MaSp1 is a repetitive sequence of (A) n, GA, and GGX [X is alanine (A), serine (S), threonine (Y)], MaSp2 is a repetitive sequence of GPGXX / GPGGX, Lt; / RTI > Here, (A) n and GA form a beta-sheet crystal structure, the GGX repeating sequence forms an alpha helical structure, and the GPGXX / GPGGX forms an elastic structure such as a beta tur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의 베타 시트 함량은, 탄화 수율의 측면에서, 30중량% 이상, 또는 40 중량% 이상 또는 5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32.3중량% 내지 47 중량%일 수 있다.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를 형성할 수 있는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의 경우 베타 시트 함량은 결정화된 후의 베타 시트 함량을 의미한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eta-sheet content of the carbon precursor or protein may be at least 30 wt.%, Or at least 40 wt.%, Or at least 50 wt.%, In terms of hydrocarbon yield. Specifically, it may be, for example, 32.3 to 47% by weight. For carbon precursors or proteins that can form a beta sheet by crystallization, the beta sheet content refers to the beta sheet content after crystallizatio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은 특히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함량이 조절된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arbon precursor or protein may be a carbon precursor or protein, in particular, whose beta-sheet content is controlled by crystallizatio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은, 탄화 수율의 측면에서, 특히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함량이 30% 이상, 또는 40% 이상으로 조절된 탄소 전구체 또는 단백질일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arbon precursor or protein may be a carbon precursor or protein whose beta sheet content is controlled to 30% or more, or 40% or more, in terms of the yield of carbonization, particularly by crystallizatio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물질은 2.5Å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육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육각 구조는 단백질의 아마이드 결합이 고리화에 의하여 육각 구조로 전환된 것이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arbon material may include a hexagonal structure having a size of less than or equal to 2.5 angstroms. In the hexagonal structure, the amide bond of the protein is converted to a hexagonal structure by cyclizatio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물질은 유사 흑연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arbon material has a pseudo-graphite structur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물질에서 베타 시트 구조로부터 형성된 탄소 단위체들이 섬유 축 방향을 따라 분포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arbon units formed from the beta sheet structure in the carbon material may be distributed along the fiber axis directio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물질은 1차원 형태, 2차원 형태 또는 3차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arbon material may have a one-dimensional form, a two-dimensional form, or a three-dimensional form.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 물질은 탄소 나노 섬유, 박막형 탄소 구조체, 탄소 나노 스피어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arbon material may be a carbon nanofiber, a thin film carbon structure, or a carbon nanosphere.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또 다른 일측면에서, 단백질을 탄화하여 탄소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백질은 베타 시트 (β-sheet) 구조를 포함하거나 또는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β-sheet)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단백질이며, 탄화 시 상기 베타 시트 구조가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asp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arbonizing a protein to produce a carbonaceous material, wherein the protein comprises a beta-sheet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arbon material, which is a protein capable of forming a s-shaped structure and capable of converting the beta-sheet structure into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upon carbonization.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베타 시트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을 용액화하되 단백질의 베타 시트 구조를 무정형 구조로 바꾸는 용액화 단계; 용액화된 단백질을 이용하여 예컨대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의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중 또는 성형 후 단백질의 무정형 구조를 결정화하여 베타 시트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결정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comprises: a solubilization step of solubilizing a protein having a beta-sheet structure into a beta-sheet structure of the protein into an amorphous structure; Shaping the solution to have, for example, a one-dimensional,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hape using the solubilized protein; And a crystallization treatment step of crystallizing the amorphous structure of the protein during or after the molding so as to have a beta sheet structure.

이때, 상기 용액화 단계에서 상기 단백질의 2차 구조를 무정형 구조로 바꾸는 화학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solubilization step, a chemical treatment for converting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protein into an amorphous structure can be performed.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상기 화학적 처리는 예컨대 브롬화리튬, 티오시안화리튬 또는 염화칼슘 등의 염 용액에 단백질을 용해한 후 탈염하는 것일 수 있다.In a non-limiting example, the chemical treatment may be to dissolve the protein in a salt solution such as lithium bromide, lithium thiocyanate, or calcium chloride, followed by desalting.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결정화 처리는 예컨대 가열을 하거나, 압력을 가하는 것과 같이 에너지를 가하거나, 또는 pH 7 미만의 산성 물질로 처리하거나, 또는 탈수 효과를 가진 용매, 예컨대 메탄올이나 글리세롤, 프로판올, 아세톤 등과 같은 친수성 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energy, such as, for example, by heating or applying pressure, or by treating with an acidic material having a pH of less than 7, or by using a solvent having dehydrating effect such as methanol, glycerol, A hydrophilic polar solvent such as acetone may be used.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특히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결정화 후 베타 시트의 함량이 높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In a non-limiting example, the use of methanol in particular is preferred in that the content of beta-sheet is high after crystallization.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결정화 처리는 단백질 용액에 실리카를 넣고 실크 단백질이 실리카 표면의 하이드록시기들과 수소결합을 통해 베타 시트 구조를 형성하도록 결정화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In a non-limiting example,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may be by placing silica in a protein solution and crystallizing the silk protein to form a beta sheet structure through hydrogen bonds with hydroxyl groups on the silica surface.

이하 실크 단백질 섬유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더욱 상술한다. Hereinafter, the silk protein fiber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in detail, for example.

예컨대 실크 단백질 섬유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우선 용액화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베타시트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단백질 사슬간의 수소결합을 파괴하기 위하여 예컨대 고농도 브롬화리튬 용액(9.3 M lithium bromide solution)에 넣고 60℃에서 6시간 동안 용해시킨 후, 투석막을 이용하여 탈염하면 순수한 실크 단백질 수용액을 얻을 수 있다. 브롬화리튬 대신 티오시안화리튬(LiSCN) 혹은 염화칼슘(CaCl2)등의 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prepare various types of materials from silk protein fibers, a solubilization process must first be carried out. For this purpose, in order to destroy the hydrogen bond between the protein chains forming the beta-sheet structure, the solution is put into a high-concentration lithium bromide solution (9.3 M lithium bromide solution) and dissolved at 60 ° C. for 6 hours. After desalting using a dialysis membrane, A protein aqueous solution can be obtained. Instead of lithium bromide, a salt such as lithium thiocyanide (LiSCN) or calcium chloride (CaCl 2 ) may be used.

이렇게 얻어진 실크 단백질 수용액을 이용하여 전기방사, 스핀코팅(spin coating), 그리고 템플레이팅(templating) 등과 같은 방식으로 섬유, 필름, 그리고 중공스피어 형태 등의 재생 실크 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다. The obtained silk protein aqueous solution can be used to prepare regenerated silk proteins such as fibers, films, and hollow spheres in a manner such as electrospinning, spin coating, and templating.

이와 같이 단백질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은 액상의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공정이 간단하고, 저가의 장비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실크 단백질의 경우 수용액 상태로 이용이 가능하며 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재료의 이용효율이 높다. Since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protein solution uses the liquid material, the process is simple and the cost can be reduced because the low-priced equipment can be utilized. Especially, silk protein is available as an aqueous solution and it is eco-friendly because it has almost no byproduct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and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material is high.

한편, 위 과정만을 거친 재생 실크 단백질 물질의 2차 구조는 무정형 구조이며 수용액에 쉽게 다시 용해된다. 따라서 전술한 결정화 공정을 통해 베타 시트 구조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material only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amorphous and easily dissolves again in aqueous sol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beta-sheet structure through the above-described crystallization process.

이러한 결정화 처리 조건에 따라 베타 시트를 포함하는 결정구조 조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베타시트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열처리하면 베타시트 부분을 중심으로 탄소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형성되는 탄소 물질의 미세 구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the composition of the crystal structure including the beta-sheet may be different, and the content of the beta-sheet can be controlled by using it. When the carbon material is heat-treated, carbonization proceeds around the beta-sheet portion, so that the microstructure of the carbon material to be formed can be controlled.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는 250℃ 이상, 또는 28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열처리는 250℃ 이상 2800℃ 이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250 占 폚 or higher, or 280 占 폚 or higher, and preferably 300 占 폚 or higher. For example, the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at 250 ° C or higher and 2800 ° C or lower.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단백질을 250~350℃에서 1차 열처리 하여 sp 2 혼성 공명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열처리된 단백질을 추가로 흑연화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ethod comprises contacting the protein with 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at 250 to 350 ° C to form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And further heat treating the primary heat treated protein to a graphitization temperatur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1차 열처리 시 승온 속도는, 열적 안정화의 측면에서, 분당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승온 속도는 분당 2-20℃ 일 수 있다. 열적 안정화의 측면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승온 속도는 분당 5℃ 이하이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rate of temperature rise in the primary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20 DEG C or less per minute in terms of thermal stabilization. For example, the rate of temperature increase may be 2-20 ° C per minute. From the viewpoint of thermal stabilization, the temperature raising rate is more preferably 5 DEG C or less per minute.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열처리 전 연신하는 과정을 수행하면 보다 발달된 그래파이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a more advanced graphite structure can be formed by performing the pre-annealing process.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결정화 처리된 단백질은 탄화 수율이 30% 이상이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rystallized protein has a carbonization yield of 30% or greater.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실크 단백질의 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of silk protein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실험 1][Experiment 1]

재료material

대한민국의 울진 농원에서 구입한 누에고치를 100℃의 0.02 몰 탄산나트륨(Na2CO3, 99%, OCI Co) 수용액에서 25분 동안 가열하여 실크 단백질을 감싸고 있는 세리신(sericin)과 기타 불순물들을 제거하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여러 차례 세척하였다. Silkworm purchased from Uljin Farm in Korea was heated in an aqueous solution of 0.02 molar sodium carbonate (Na 2 CO 3 , 99%, OCI Co) at 100 ° C for 25 minutes to remove sericin and other impurities surrounding the silk protein And washed several times with distilled water.

참고로, 실크 섬유는 실크 피브로인과 세리신이라는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크 단백질은 섬유 내부에 있는 두 가닥의 섬유상인 실크 피브로인이다. 순수한 실크 피브로인을 얻기 위해서 외부의 세리신과 기타 이물질들을 제거해야 한다(정련 공정). 세리신의 경우 알카리 용액에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저가의 알카리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탄산 나트륨을 사용하였다. For reference, silk fibers are composed of two components, silk fibroin and sericin, and silk protein is a silk fibroin in the form of two strands in the fiber interior. In order to obtain pure silk fibroin, sericin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must be removed (refining process). In the case of sericin, sodium carbonate was used to make a low - cost alkaline solution because it is easily dissolved in an alkaline solution.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얻어진 섬유질 물질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무당거미 거미줄은 인하대학교 캠퍼스(대한민국)에서 수집하였다.After drying at room temperature for 72 hours, the fibrous material obtained was used in the experiment. The silkworm spider web was collected from Inha University campus (Korea).

열처리Heat treatment

250-350 ℃에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 시료들(실시예 1)은 열중량분석기 (NETZSCH STA 409 PC Luxx simultaneous thermal analyser, 독일)를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Silk protein samples heat-treated at 250-350 ° C (Example 1) were prepared using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NETZSCH STA 409 PC Luxx simultaneous thermal analyzer, Germany).

약 20 mg의 실크 단백질 섬유를 질소 분위기하에서 5℃ min-1의 속도로 목표 온도까지 가열하였다. 400-1600℃에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 시료들은 알루미나 퍼니스(alumina furnace)에서 제조되었다. Approximately 20 mg of silk protein fiber was heated to the target temperature at a rate of 5 ° C min -1 under a nitrogen atmosphere. Silk protein samples heat treated at 400-1600 ℃ were prepared in an alumina furnace.

150℃에서 2시간의 수분제거 공정을 거친 후, 분당 5℃의 속도로 승온하여 최종온도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 하였다. After being subjected to a moisture removal step at 150 ° C for 2 hours, the temperature was raised at a rate of 5 ° C / min an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final temperature for 1 hour.

2,3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 시료들은 흑연 퍼니스(graphitization furnace, ThermVac,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흑연 퍼니스에 시료를 넣은 후에 1800℃까지는 분당 10℃로, 2300℃까지는 분당 5℃로, 그리고 2,800℃까지는 분당 3℃로 승온하였다. 400℃ 이후 시료들의 열처리에는 아르곤 가스가 사용되었다. (최소 순도, 99.9990%; 가스 유량, 100 cm3 min-1)Silk protein samples heat treated at temperatures above 2,300 ℃ were made using a graphitization furnace (ThermVac, Korea). After putting the sample in the graphite furnace,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0 ° C per minute up to 1800 ° C, to 5 ° C per minute up to 2300 ° C and to 3 ° C per minute up to 2,800 ° C. Argon gas was used for the heat treatment of samples after 400 ℃. (Minimum purity, 99.9990%; gas flow rate, 100 cm 3 min -1 )

열 전이 과정 분석(Thermal transition analyses) 방법Thermal transition analysis method

브로민화 칼륨(KBr) 디스크 방법을 이용하여 500-4,000 cm-1에서의 푸리에변환적외선 분석(VERTEX 80v, Bruker Optics, 독일) 스펙트럼을 구하였다.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VERTEX 80v, Bruker Optics, Germany) spectra were obtained at 500-4,000 cm -1 using a potassium bromate (KBr) disk method.

엑스선회절 분석(Rigaku DMAX 2500)은 Cu-K α 방사선 (wavelength λ = 0.154 nm)을 이용하여 40 kV와 100 mA 초 건에서 초당 0.02° 스캔 속도로 측정하였다. X-ray diffraction analysis (Rigaku DMAX 2500) was performed at a scan rate of 0.02 ° per second at 40 kV and 100 mA gun using Cu-K α radiation (wavelength λ = 0.154 nm).

탄소 구조 분석 방법Carbon structure analysis method

엑스선회절분석, 라만분광분석, 그리고 투과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실크 단백질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탄소 미세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시료를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고정시킨 후, 파장이 514.5 nm인 레이저를 사용하여 800-3,500 cm-1 범위에서 라만 분석을 수행하였다. The changes of carbon microstructure according to heat treatment temperature of silk protein were analyzed by X - ray diffraction analysis, Raman spect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fter the sample was fixed on the slide glass using an adhesive tape, Raman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range of 800-3,500 cm -1 using a laser having a wavelength of 514.5 nm.

100배 대물 렌즈를 사용하여 시료에 초점을 맞춘 후, 10초간 3번 측정하였다. After focusing on the sample using a 100x objective lens, it was measured three times for 10 seconds.

투과전자현미경 (FE-TEM, JEM2100F, JEOL, 일본) 시료 제조를 위해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 기반 탄소 물질을 분말 형태로 제조하고 에탄올에 분산시켰다. 분산된 용액을 격자무늬의 구리판 위에 수 방울 떨어 뜨려 투과주사현미경 시료를 준비하였다.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E-TEM, JEM2100F, JEOL, Japan) Silk protein-based carbon materials heat-treated for preparation of samples were prepared in powder form and dispersed in ethanol. A dispersed solution was dropped on the copper plate of the lattice pattern to prepare a sample of a transmission scanning microscope.

실크 단백질의 열분해 거동 결과Pyrolysis behavior of silk protei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크 단백질 섬유는 2,800℃까지의 열처리에 의하여 사라지지 않고 탄소체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5, it can be seen that the silk protein fibers are not disappeared by the heat treatment up to 2,800 ° C., but are converted to carbon bodies.

또한, 도 1에서 라만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탄소 특성 피크인 G (~1,580 cm-1), D (~1,350 cm-1) 밴드의 생성과 엑스선회절분석 그래프의 흑연 피크(2θ=24)는 실크 단백질이 열에 의하여 탄소 구조로 전환 되었음을 확인시켜준다(도 1의 k 및 l 참조). In addition, graphical peaks (2? = 24) of the carbon characteristic peaks G (~ 1,580 cm -1 ) and D (~ 1,350 cm -1 ) bands appearing in the Raman spectrum in FIG. 1 and graphs of the X- (See k and l in Fig. 1).

비록 길이와 직경이 감소되었지만 섬유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무당거미와 누에실크 단백질 섬유의 그림을 통하여 실크 단백질이 메조상을 지니지 않는 차르 형태의 탄소 전구체임을 확인할 수 있다(도 1의 a 내지 j 참조 및 도 5 참조). Although the length and diameter were reduc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ilk protein was a char-shaped carbon precursor having no meso phase through the picture of silk spider and silk protein fiber retaining the fiber form (see a to j in FIG. 1) And Fig. 5).

이와 같은 실크 단백질의 열분해 거동은 탄화되지 않는 콩, 달걀, 양모, 그리고 나일론 6와 같이 단백질이 풍부하거나 아마이드 결합으로 구성된 다른 고분자의 열분해 거동과 구분된다. The pyrolysis behavior of such silk proteins is distinguished from pyrolysis behavior of non-carbonated beans, eggs, wool, and other polymers composed of amide bonds, rich in proteins such as nylon 6.

그러나 실크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베타시트 구조가 풍부한 닭가슴살의 경우 열에 의하여 탄소화되는 거동을 보여준다.However, as with the silk protein, the chicken breast, which is rich in beta-sheet structure, shows the behavior of carbonization by heat.

참고로, 도 14는 (a) 콩(비교예1), (b) 계란 흰자(비교예2), (c) 양모(비교예3), (d) 닭가슴살(실시예2)의 열중량분석 결과 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e) 800℃에서 열처리 하기 전(좌)과 후(우)의 닭가슴살 사진을 함께 나타낸다. 또한, 도 14에는 800℃에서 열처리한 닭가슴살의 라만 결과(f)와 엑스선 회절분석 결과(g)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1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mogravimetric weight of the chicken breast (Example 2) (a), soybean (Comparative Example 1), egg white (Comparative Example 2), (c) Analysis results, and the like. Fig. 14 (e) shows photographs of chicken breasts before (left) and after (right) heat treatment at 800 ° C. Fig. 14 also shows Raman results (f)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results (g) of the chicken breast heat-treated at 800 ° C.

도 14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닭가슴살의 경우, 콩, 계란 흰자, 양모와 달리, 800℃까지의 고온 열처리에도 불구하고 열화되어 사라지지 않고 탄화되어 25 중량% 가량 남아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4, unlike soybean, egg white and wool, chicken breast was deteriorated despite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up to 800 ° C. and was carbonized without being disappea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remained about 25% by weight.

이는 베타시트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베타 시트를 가지는 단백질의 경우 주쇄에 고리 구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열에 의하여 단백질 분자들이 공명 구조로 전환되어 열에 의하여 사라지지 않게 된다. This is attributed to the beta sheet. In the case of a protein having a beta sheet, protein molecules are converted into a resonance structure by heat and are not lost by heat even though the protein has no ring structure in the main chain.

탄화 수율의 측면에서 예컨대 800℃ 이후에 적어도 2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남아 있어야 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실크 단백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결정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at least 25 wt% or more, preferably 30% or more after 800 ° C in terms of the yield of carbonization. In this respect, it is preferable to use a silk protein and also to carry out a crystallization treatment.

한편,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결과를 보면(도 1의 m 참조), 250℃ 부근에서 실크 단백질의 열분해가 시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학적 구조의 변화는 300~350℃ 범위에서 발생되는 것을 푸리에변환적외선 분석(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m 참조). 이 구간에서 단백질 고유의 특성 피크인 아마이드 I, II, 그리고 III (1620, 1520, 그리고 1230 cm- 1)가 사라지고 고리화합물의 특성 피크 (~1590 cm-1)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results (refer to m in FIG. 1) shows that pyrolysis of the silk protein begins at about 250 ° C., and the change in the chemical structure occurs in the range of 300 to 350 ° C. Can be confirm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ee m in FIG. 1). Characteristic peaks of amide of proteins unique in this region I, II, and III (1620, 1520, and 1230 cm - 1) disappears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peak of the cyclic compound (~ 1590 cm -1) to view appears.

실크 단백질의 구조적 화학적 전이 특성Structural and Chemical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Silk Proteins

보다 자세한 관찰을 위하여, 250~350℃에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의 푸리에변환적외선 분석 결과의 아마이드 I 영역 (1700-1600 cm-1)을 도 2a에 나타내었다. 250℃에서 300℃로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1629 cm- 1와 ~1700 cm-1에 존재하는 베타시트 특성 피크들의 상대적인 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도 2a 참조). For further observation, the amide I region (1700-1600 cm < -1 > ) of the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alysis of the silk protein annealed at 250-350 ° C is shown in Fig. Can be confirmed that the relative intensity increase in beta-sheet characteristic peaks present in 1 and ~ 1700 cm -1 (see Fig. 2a) - at 250 ℃ to 300 ℃ ~ 1629 cm with increas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실크 단백질의 무정형 혹은 알파헬릭스 구조가 베타시트 구조로 전환되면서 나타나게 된다. This phenomenon generally occurs when the amorphous or alpha helix structure of the silk protein is converted to a beta sheet structure.

그러나 앞의 열중량분석 결과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도 1의 a,e 참조) 이 구간은 실크 단백질의 급격한 무게 감소가 발생하는 구간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 피크의 변화는 250~300℃ 구간에서 무정형 혹은 알파헬릭스 구조를 지닌 단백질 체인들의 열분해가 베타시트 구조를 지니고 있는 단백질 체인들에 비하여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rmogravimetric analysis (see a and e in FIG. 1), this region is a region where a sudden weight reduction of the silk protein occurs.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hange of characteristic peaks progressed more actively than the protein chains having the beta-sheet structure in the protein chains having amorphous or alpha-helix structure at 250-300 ° C range.

도 2b의 엑스선회절분석 결과 또한 이를 뒷받침 한다. 즉, 9.6, 19.8, 그리고 24.2˚ 부근에서 나타나는 실크 단백질의 베타시트의 (100), (210), 그리고 (002) 결정면 피크들이 250℃에서 300℃로 갈수록 보다 확연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results of FIG. 2B also support this. That is, the (100), (210), and (002) crystal plane peaks of the beta sheet of the silk protein appearing at around 9.6, 19.8 and 24.2 ° are more apparent from 250 ° C to 300 ° C.

이러한 베타시트 관련 피크들은 300℃ 이후 서서히 감소 되며 350℃가 되면 완전히 사라져 버리는 것을 푸리에변환적외선과 엑스선회절분석 결과를 통하여 확인 할 수 있다(도 2a 및 2b 참조). 이는 300℃ 이전까지 열에 안정하던 베타시트 구조가 이후의 온도에서 서서히 구조가 파괴되어지기 시작하여 350℃가 되면 완전히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se beta-sheet-related peaks are gradually reduced after 300 ° C and disappear completely at 350 ° C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results (see FIGS. 2a and 2b). This means that the beta-sheet structure, which was stable to the temperature before 300 ° C, began to be gradually destroyed at a later temperature and completely disappeared at 350 ° C.

한편, 도 2c는 250~350℃에서의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의 화학적 변화와 350℃에서 새로운 고리 화합물의 형성을 보여주는 엑스선광전자분광법(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의 N 1s결과이다. Meanwhile, FIG. 2C shows N 1 s of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showing the chemical change of the silk protein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t 250-350 ° C. and the formation of a new ring compound at 350 ° C.

도 2c에서 알 수 있듯이, 250℃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 시료의 경우 결합에너지 399.7 eV와 399.0 eV에서 피크들이 관찰되었다. 이는 질소가 아마이드 결합을 통하여 O=C-N과 C-N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열처리 하지 않은 순수 실크 단백질의 엑스선광전자분광 결과와 거의 유사한 값을 지니고 있다. 즉, 250℃ 이하의 온도에서는 실크 단백질의 화학적 구조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280 ℃에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 시료의 경우 아마이드 본드에 해당하는 두 개의 피크를 여전히 지니고 있으나 O=C-N결합의 상대적인 세기는 감소하였다. 이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약한 아마이드의 C-N결합이 끊어짐에 의해 발생하였다. As can be seen from FIG. 2C, peaks were observed at binding energies 399.7 eV and 399.0 eV for the silk protein samples heat-treated at 250 ° C. This shows that nitrogen exists in the form of O = C-N and C-N through amide bonds and has almost the same value as the result of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of pure silk protein without heat treatment. That is, it means that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silk protein at a temperature of 250 ° C or lower. Silk protein samples heat-treated at 280 ℃ still had two peaks corresponding to the amide bond, but the relative intensity of O = C-N bonds decreased. This was caused by the breakdown of the C-N bond of the amide having relatively low bonding strength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그러나 이 구간에서도 새로운 결합의 형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300~340℃에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 시료들의 경우 399.5 eV에 해당하는 아마이드 결합 피크와 함께 402~405 eV에서의 질소산화물 피크가 관찰되었다. 즉 300~340℃의 온도에서도 여전히 아마이드 사슬이 존재함과 동시에 새로운 화학 결합이 생성 되었음을 의미한다. However, no new bond formation was found in this section. However, in the silk protein samples heat treated at 300 ~ 340 ℃, nitrogen oxide peak at 402 ~ 405 eV was observed with amide bond peak corresponding to 399.5 eV. That is, at a temperature of 300 to 340 ° C., the amide chain is still present and a new chemical bond is formed.

350℃에서 열처리한 시료의 경우 아마이드 피크가 완전히 사라지게 되고 398.1과 400.5 eV에 해당하는 피리디닉과 피리도닉 질소가 관찰되었다. 이는 350 ℃ 단백질의 아마이드 결합이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고리형태의 새로운 화학 구조가 형성 되었음을 의미한다. In the samples annealed at 350 ℃, the amide peak completely disappeared and pyridonic and pyridonic nitrogen corresponding to 398.1 and 400.5 eV were observed. This means that the amide bond of the 350 ° C protein was completely destroyed and at the same time a new chemical structure in the form of a ring was formed.

이상의 퓨리에 변환적외선분광분석, 엑스선회절분석, 엑스선광전자분석 결과들은 베타시트가 풍부한 단백질이 열에 안정한 고리 화합물 구조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며, 실제로 350℃에서 한 시간 동안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의 경우 불에 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analysis,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alysis show that the beta-sheet-rich protein has been converted to a thermostable cyclic compound structure, and the silk proteins annealed at 350 ° C for one hour do not burn can confirm.

선형 고분자의 주쇄가 고리 구조로 전환되는 반응은 발열반응에 해당한다. 그러나 실크 단백질의 시차주사열량측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곡선은 250~350℃ 구간에서 발열이 아닌 흡열반응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도 6 참조). 그러나 이는 고리 구조로의 변환(발열반응)과 동시에 단백질의 분해반응(흡열반응)이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큰 에너지 값을 보이는 흡혈반응에 발열반응이 흡수되어 버린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도 6 참조).The reaction of the backbone of the linear polymer to the ring structure corresponds to an exothermic reaction. However,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curve of the silk protein shows that there was an endothermic reaction, not a fever, at 250-350 ° C (see FIG. 6). Howev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since the decomposition reaction (endothermic reaction) of the protein occurs simultaneously with the conversion to the ring structure (exothermic reaction), the exothermic reaction is absorbed in the vodular reaction exhibiting a larger energy value Reference).

이를 보다 상술하면, 도 6은 2, 5, 10, 그리고 20℃ min-1로 승온 속도를 다르게 한 실크 단백질의 열중량분석(도 6a)과 시차주사열량분석(도 6b)을 보여준다. More specifically, FIG. 6 shows thermogravimetric analysis (FIG. 6A)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FIG. 6B) of silk proteins with different heating rates at 2, 5, 10 and 20 ° C. min -1 .

열중량분석 곡선 초기에 나타나는 5 wt.% 가량의 질량감소는 실크 단백질이 보유하고 있는 수분의 증발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어지며, 본격적인 열분해거동은 250℃부근에서 시작되었다. 모든 곡선이 250 에서 350℃ 부근의 급격한 무게감소 구간과 이후의 지속적인 질량감소 구간을 나타내었다. 800℃에서의 최종 탄화 수율은 2, 5, 10, 그리고 20℃ min-1에서 각각 34.8, 33.3, 28.1, 그리고 26.1 wt.%로 승온 속도가 빠를수록 낮은 탄화 수율을 보여주었다. 이는 승온 속도가 빠를수록 보다 많은 단백질 분자들이 고리화 거동을 통한 열적 안정화를 이루지 못하고 절단되어 가스 형태로 방출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1차 열처리 시 승온 속도가 20℃ min-1을 넘게 되면 열적 안정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탄화 수율이 매우 저조해질 수 있다.The mass loss of 5 wt.% At the beginning of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was interpreted as the evaporation of water contained in the silk protein, and the pyrolysis behavior started at around 250 ℃. All the curves showed a steep weight reduction period of 250 to 350 ° C and a continuous mass reduction period thereafter. The final carbonization yields at 800 ℃ were 34.8, 33.3, 28.1, and 26.1 wt.% At 2, 5, 10, and 20 ℃ min -1 , respectively.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the more protein molecules could not be thermally stabilized by the cyclization behavior, but were cut off and released into gas form. If the heating rate exceeds 20 ° C min -1 during the first heat treatment, the thermal stability is hardly achieved and the yield of carbonization may be very low.

실크 단백질 시료의 시차주사열량 분석 결과 또한 이를 뒷받침 한다. 고분자가 열에 의하여 공유 결합이 끊어지고 가스형태 전환되는 것은 흡열반응이며, 열에 안정한 고리 구조를 형성하는 고리화 반응은 발열 반응에 해당한다. 도 6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승온 속도가 느릴수록 흡열반응 피크의 세기가 감소한다. 이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발성 가스형태로 전환되는 열분해 거동과 안정한 고리구조로 전환되는 고리화 반응이 동시에 발생하는 온도 구간에서 승온 속도를 천천히 할수록 보다 많은 고리화 반응이 발생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적은 흡열반응이 있는 것처럼 표시되는 것이다.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results of silk protein samples are also supported. It is an endothermic reaction that the polymer is covalently bonded and converted into gas by heat, and the cyclization reaction, which forms a heat stable ring structure, corresponds to an exothermic reaction. As can be seen from FIG. 6B, the slower the heating rate is, the more the intensity of the endothermic reaction peak decreases. As shown in FIG. 6C, as the pyrolysis behavior, which is converted into the volatile gas form, and the cyclization reaction, which is converted to the stable cyclic structure, occur at the same time, the more the cyclization reaction occurs, It is displayed as if there is a low endothermic reaction.

한편, 320℃와 350℃에서의 열처리에 의한 큰 폭의 전기전도성 증가는 고리 구조 형성으로 인한 공명 구조의 형성을 뒷받침 해준다 (도 7 및 8 참조).On the other hand, a large in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due to the heat treatment at 320 ° C and 350 ° C supports the formation of the resonance structure due to the ring structure formation (see FIGS. 7 and 8).

보다 상술하면, 도 7a는 고온에서의 전류-전압 특성 측정을 위해 사용된 측정 장치의 사진과 그 모식도이다. 백금을 신호선으로 사용되었고 시료와 접속되는 부분은 금 와이어를 사용하여 연결하였으며 시료를 알루미늄 기판 사이에 올려 측정 하였다. 도 7b는 250~ 400℃ 범위에서 열처리에 따른 누에 실크 단백질 섬유의 전류-전압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More specifically, FIG. 7A is a photograph and a schematic diagram of a measuring apparatus used for measurement of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 at a high temperature. Platinum was used as a signal line, and the part connected to the sample was connected using a gold wire. The sample was placed between aluminum substrates and measured. FIG. 7b shows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of silk protein silk fiber after heat treatment in the range of 250 to 400 ° C.

이러한 전류-전압 특성에는 일반적인 이단자법(two-probe method)이 이용되었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1.0 V 전압에서의 전류 측정을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의 전도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도 7c 참조). A typical two-probe method was used for this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increased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current measurement at 1.0 V voltage confirmed the change in the conductivity of the silk protein with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see FIG. 7C).

실크 단백질 섬유를 250℃에서 열처리 했을 때 1.4 x 10-4 Scm-1, 열처리 하지 않은 실크 단백질 섬유의 경우는 2.7 x 10- Scm-1의 전도도가 측정 되었다. 250~320℃의 열처리 구간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던 전도도는(320℃에서의 전도도는 3.3 x 10-4 Scm-1), 350℃에서 1.2 x 10-3 Scm- 1 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320℃에서의 전도도 대비 3배 증가한 값이다. The conductivity of silk protein fiber was measured to be 1.4 x 10 -4 Scm -1 when heat treated at 250 ° C and 2.7 x 10 - Scm -1 for untreated silk protein fiber. Conductivity was gradually increased in the heat treatment zone of 250 ~ 320 ℃ is (conductivity at 320 ℃ is 3.3 x 10 -4 Scm -1), in 350 ℃ 1.2 x 10 -3 Scm - it was rapidly increased to 1. The This is a value three times higher than the conductivity at 320 ° C.

도 8a 및 8b는 각각의 전류-전압 곡선으로부터 얻은 누에와 무당거미 실크 단백질 섬유의 전도도를 나타낸다. 두 실크 단백질 섬유 모두 250℃ 부근에서 색상이 변하기 시작하며 350℃ 부근에서 큰폭의 전도도 상승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s 8a and 8b show the conductivity of silkworm silk protein fibers obtained from each current-voltage curve. Both of the silk protein fibers start to change color at around 250 ° C, and a large increase in conductivity is observed at around 350 ° C.

실크 단백질로부터 얻은 탄소의 구조 발달Structural evolution of carbon from silk protein

350℃에서 열처리된 실크 단백질의 미세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350℃에서 열처리된 실크 단백질 시료에서 단백질의 아마이드 결합이 고리화에 의하여 ~2.5 Å의 크기를 지닌 육각 구조로 전환되었음을 고해상도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하여 확인하였다(그림 3a). Microstructure analysis of heat treated silk protein at 350 ℃ was performed. A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Fig. 3a) showed that the amide bond of the protein in the silk protein sample annealed at 350 ° C was converted to a hexagonal structure with a size of ~ 2.5 Å by cyclization.

또한, 섬유 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있는 베타시트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탄소기본단위체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3b, 도 9 참조).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carbon base unit is formed in a form similar to that of the beta sheet aligned along the fiber axis direction (see FIG. 3B and FIG. 9).

더욱 상술하면, 펩타이드 결합을 통하여 이루어진 단백질 메인 체인은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자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특히 수소결합, 반데르바알스힘과 같은 분자간력을 통하여 알파헬릭스, 베타시트, 베타턴이나 루프 같은 2차 구조를 형성한다. 실크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GX 특히 GA 단위체가 반복적으로 연결된 아미노산 서열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접한 단백질 체인간 수평적 수소결합 통한 베타시트가 풍부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메틸기나 수소원자 같이 크기가 작으며 소수성의 관능 기를 지니고 있는 GA 반복단위로 인하여 평면구조의 베타시트가 3차원적으로 적층된 나노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since the protein main chain made through the peptide bond is a rotatable structure, various molecular structures can be achieved. It forms a secondary structure such as an alpha helix, a beta sheet, a betaturn or a loop through intermolecular forces such as hydrogen bonding and van der Waalshim. Silk proteins generally have an amino acid sequence in which GX, especially GA units, are repeatedly linked, resulting in a structure rich in betasheets through the human horizontal hydrogen bonding of adjacent protein bodies. Also, the GA repeating unit, which is small in size like a methyl group or a hydrogen atom and has a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forms a three-dimensionally stacked nano structure of a planar beta sheet.

실크 단백질의 베타시트 결정구조는 시트구조와 수직된 방향으로 배향되어있는 아미노산의 관능기, 단백질 체인간의 수소결합, 그리고 아미노산의 펩타이드 결합 방향을 각각 x-, y-, 그리고 z-축으로 가지는 직방정계의 형태를 지니며, 이때 각 격자 간격은 a = 0.938 nm, b = 0.949 nm, and c = 0.698 nm 이다. The beta-sheet crystal structure of the silk protei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unctional groups of the amino acid align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heet structure, the hydrogen bonds between the protein chains, and the peaks of the amino acid peptides are in the x-, y-, and z- Where the lattice spacing is a = 0.938 nm, b = 0.949 nm, and c = 0.698 nm.

실크 단백질 섬유는 이처럼 강직한 베타시트 구조가 부드러운 무정형 매트릭스내부에 섬유 축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코폴리머 형태의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베타시트 구조로부터 형성된 육각 구조 탄소 기본 단위체들 또한 섬유 축 방향을 따라 분포하게 된다. The silk protein fibers have a structure of a copolymer type in which the rigid beta sheet structure is uniformly dispersed in the fiber axis direction inside a soft amorphous matrix. Therefore, hexagonal carbon base units formed from such a beta sheet structure are also distributed along the fiber axis direction.

한편, 상술한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결과는 탄소기본단위체들이 베타시트로부터 350℃의 열처리에 의하여 형성되었음을 뒷받침 한다. 350℃에서 열처리한 실크 단백질의 라만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두 개의 탄소 특성 피크, G (~1,580 cm- 1)밴드와 D (~1,350 cm- 1)밴드 그리고 엑스선 회절분석 그래프의 흑연 피크(2θ=24.7)는 실크 단백질이 열에 의하여 0.38 nm의 (002) 면간 간격과 1.6nm의 평면 크기를 지닌 탄소기본단위체를 지닌 탄소 물질으로 전환 되었음을 확인시켜준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results support that the carbon base units were formed from the beta sheet by heat treatment at 350 ° C. Two carbon characteristic peaks, G (~ 1,580 cm - 1 ) and D (~ 1,350 cm - 1 ) bands and graphite peaks (2θ = 24.7) in the Raman spectra of heat treated silk protein at 350 ℃, Confirms that the silk protein has been converted by heat to a carbonaceous material with a carbon base unit with a (002) interplanar spacing of 0.38 nm and a planar size of 1.6 nm.

이후 실크 단백질의 열처리에 의하여 형성된 탄소 물질을 파이로프로테인으로 명명할 수 있다. 이후의 2,800℃ 까지의 열처리에 의하여 파이로프로테인은 의사 흑연과 같은 미세구조를 지닌 하드카본 형태로 발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c 및 3d 참조, 도 10 내지 12 참조).The carbon material formed by the heat treatment of the silk protein can be named as pyro-prote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to 2,800 ° C confirmed that the pyro-protein developed in the form of hard carbon having a microstructure such as pseudo-graphite (see FIGS. 3c and 3d, see FIGS. 10 to 12).

보다 상술하면, 실크 단백질로부터 얻어진 탄소체의 미세구조 관찰을 위하여 라만분광 곡선의 1차 영역 (1100-1800 cm- 1)의 G밴드와 D밴드를 분리하여 도 10에 나타내었다. To be more described above, the first region of the Raman spectral curve for the observed microstructure of the carbon body obtained from the silk protein-shown in Figure 10 by removing the G band and D band (1100-1800 cm 1).

400℃에서 열처리한 시료에서 나타나는 탄소의 특성 피크인 G밴드와 D밴드는 실크 단백질이 탄소 물질로 전환 되었음을 확인시켜주며, 대략 2 nm정도의 크기를 지닌 탄소 결정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2.6의 값을 보이는 D밴드 대비 G밴드 비율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이러한 탄소 결정의 크기는 800℃ 까지 유지되며 1,000℃가 되면 D밴드 대비 G밴드 비율이 감소하고 두 밴드가 확연히 분리된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데 이는 온도가 상승함에 산소나 질소 같은 이종원소들이 제거(아래 표 1의 XPS 결과 참조)되면서 sp 2 탄소 구조가 발달되기 때문이다. The G-band and the D-band, which are characteristic peaks of the carbon in the sample annealed at 400 ° C, confirm that the silk protein has been converted to a carbon material and are composed of carbon crystals having a size of about 2 nm. And the ratio of D band to G band. The size of the carbon crystal is maintained at 800 ° C., and when the temperature is 1,000 ° C., the ratio of the G band to the D band is decreased and the two bands are clearly separated. This is because when the temperature rises, see XPS results in Table 1) as is because the carbon sp 2 structure is developed.

표 1은 광전자분광분석(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을 통한 열처리 온도에 따른 실크 단백질 기반 탄소체의 탄소, 산소, 그리고 질소의 함량 변화 분석 결과이다.Table 1 shows the carbon, oxygen, and nitrogen content changes of the silk protein-based carbon bodies according to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through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Figure 112018047018508-pat00001
Figure 112018047018508-pat00001

한편, 1,000℃ 이후 탄소 결정구조는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800℃에서 16 nm의 크기를 지닌 탄소 결정 구조를 보여준다. On the other hand, after 1,000 ℃, the carbon crystal structure continuously grows and shows a carbon crystal structure with a size of 16 nm at 2,800 ° C.

열처리 온도를 파이로프로테인 뒤에 붙여 명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파이로프로테인-400은 실크 단백질을 400℃에서 한시간동안 열처리한 시료이다. 라만분광분석 결과 나타나는 파이로프로테인-400, 600, 800의 G밴드 대비 D밴드의 비율은 ~2.6으로, 이는 400~1,000℃의 열처리에 의하여 파이로프로테인이 ~2 nm 의 크기를 지닌 탄소결정들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Heat treatment temperature should be named after pyrotein. For example, pyro-protein-400 is a sample which is heat-treated at 400 ° C for one hour. The ratio of the D band to the G band of the pyro-proteins-400, 600, and 800 as a result of Raman spectroscopic analysis is ~2.6, which indicates that the pyro-protein by the heat treatment at 400 ~ Respectively.

열처리온도가 1,000~2,300℃인 구간에서 G밴드와 D밴드는 점점 확연하게 구분되며 G밴드 대비 D밴드의 비율이 감소된다. 이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결정들이 결합되면서 탄소구조가 발달되기 때문이다. I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range of 1,000 ~ 2,300 ℃, the G band and the D band become more distinct and the ratio of the D band to the G band is decreased. This is because the carbon structure is developed as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increased.

특히, 파이로프로테인-2,300의 경우 라만분광분석의 2,691 cm-1 부근에서 관찰되는 2D 피크를 통하여 탄소평면들이 적층되면서 3차원적 구조가 형성 되었음을 보여준다. 파이로프로테인-2,800의 경우 면간 간격 0.338 nm와 16 nm의 크기를 지닌 탄소 결정을 지닌 의사흑연 구조로 성장하였음을 보여주며, 2,699 cm-1로 이동한 2D 밴드는 적층 구조의 발달을 보여준다(도 3c 및 3d). In particular, pyro-protein-2,300 show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med by stacking carbon planes through 2D peaks observed at around 2,691 cm -1 in Raman spectroscopic analysis. The pyro-protein -2,800 shows a pseudo-graphite structure with carbon crystals of 0.338 nm and 16 nm in interplanar spacing. The 2D band shifted to 2,699 cm -1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laminate structure 3c and 3d).

참고로, 흑연 구조는 sp2 혼성궤도를 지닌 탄소 여섯 개로 이루어진 육각고리들에 의하여 형성된 2차원 평면 구조가 6.696Å의 c값(층간 간격의 2배)을 가지며 적층되어 있는 구조이다. 의사 흑연(pseudo graphite) 구조란, 흑연 구조와 유사하지만, sp3 궤도를 지닌 탄소들이 존재하며 (이로 인하여 완전한 평면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c값이 6.696Å 보다 큰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For reference, the graphit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e two-dimensional planar structure formed by six hexagonal rings having sp 2 hybrid orbits has a c value of 6.696 Å (double the interlayer spacing). A pseudo graphite structure is similar to a graphite structure, but has carbons with an sp 3 orbital (thereby preventing formation of a perfect planar structure) and has a structure with a c value of greater than 6.696 Å.

이와 같은 흑연구조의 발달로 인하여 파이로프로테인-2,800의 경우 ~1,600 Scm-1의 높은 전도성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이 베타시트로부터 형성되는 실크 단백질의 탄화 거동을 이용하여 나노섬유, 박막, 나노스피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실크 단백질 전구체를 제조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구조와 형태가 제어된 나노탄소 물질 제조가 가능하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such graphite structures, pyro-protein-2,800 has a high conductivity of ~ 1,600 Scm -1 . As described above, various types of silk protein precursors such as nanofibers, thin films, nanospheres and the like can be prepared and heat-treated using the carbonization behavior of the silk protein formed from the beta-shee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nano carbon materials whose structure and shape are controlled.

참고로, 도 4는 열처리에 의해 단백질의 베타시트 구조가 파이로프로테인 전환되는 메커니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2가닥 이상의 인접한 단백질 사슬간의 수소결합들로 이루어진 베타시트 구조가 300℃ 이상의 온도에서 고리화 혹은 가교 반응을 통하여 고리 구조로 전이되면서 탄소기본단위들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실크 단백질의 베타시트는 글리신과 알라닌과 같이 작은 관능기들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반데르바알스(van der Waals interactions) 같은 소수성 물리적 결합을 통하여 적층된 구조를 지니고 있어 탄화과정을 통하여 적층된 탄소 결정 구조 형성하게 된다. For reference, FIG. 4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mechanism in which the beta-sheet structure of the protein is converted to pyro-protein by heat treatment. A beta-sheet structure composed of hydrogen bonds between two or more adjacent protein chains is transferred to the ring structure through cyclization or crosslinking reaction at a temperature of 300 ° C or higher to form carbon basic units. In addition, since the beta-sheet of silk protein has small functional groups such as glycine and alanine, it has a laminated structure through hydrophobic physical bonds such as van der Waals interactions, Respectively.

[실험 2][Experiment 2]

실험 2에서는 재생 실크 단백질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 형태의 탄소체, 박막 형태의 탄소 구조체, 3차원 탄소 나노 스피어를 각각 제조하였다.In Experiment 2, nanofiber carbon bodies, thin film carbon structures and three - dimensional carbon nanospheres were prepared using regenerated silk proteins.

도 15는 본 발명 실험 2에서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를 만들고 이를 탄화하여 나노 섬유 형태의 탄소 물질을 제조한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a)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재생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 제조 모식도, (b) 제조된 재생실크 단백질 나노섬유의 투과주사현미경 사진 및 (c) 800℃에서의 열처리를 통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형태 탄소체의 투과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단위막대 길이는 100 ㎛이다.FIG. 1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preparing a nanofiber carbon material by making a silk protein nanofiber using an electrospinning method in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rbonizing it. Specifically, (a)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oduction of regenerated silk protein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b) a transmission scanning microscope photograph of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nanofiber prepared, and (c) a nanofiber type carbonaceous body prepared through heat treatment at 800 ° C. ≪ / RTI > The unit rod length is 100 占 퐉.

우선 실험 1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실크 단백질 수용액을 동결건조하고 이를 포름산에 10~20 중량%로 용해 시킨 후, 전기방사하여 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First, the silk protein aqueous solution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1 was lyophilized and dissolved in formic acid in an amount of 10 to 20% by weight, followed by electrospinning to prepare silk protein nanofiber.

참고로, 전기방사란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초극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1~200 poise의 충분한 점도를 지닌 고분자 용액을 실린지 펌프를 통하여 밀어내면 바늘 끝부분에서 중력과 표면장력 사이에 평형을 이루며 반구형 방울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표면장력보다 높은 전기장을 가하게 되면 방울 표면에 전하가 유도되면서 고분자 방울은 테일러 콘(Tayler cone)이라는 원추형 모양을 지니게 되고 그 끝에서 고분자 용액의 제트(jet)가 방출된다. 이 제트는 집전판(collector)을 향하여 날라가면서 용매가 증발하거나 고화되어 섬유화되어 쌓이게 된다. For reference, electrospinning is a method of producing ultrafine fibers by using an electric force. When a polymer solution having a sufficient viscosity of 1 to 200 poises is pushed through a syringe pump, an equilibrium between gravity and surface tension at the tip of the needle To form hemispherical droplets. At this time, when an electric field higher than the surface tension is applied, the charge is induced on the surface of the droplet, and the polymer droplet has a conical shape called a Tayler cone, and a jet of the polymer solution is discharged at the tip. The jet flows toward the collector and the solvent evaporates or solidifies and becomes fibrous.

본 실험 2의 전기 방사에서 가해진 전압은 15 kV, 바늘과 집전체와의 간격은 15 cm, 상대 습도는 40% 이하였다.In the experiment 2, the applied voltage was 15 kV, the gap between the needle and the current collector was 15 cm,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40% or less.

재생된 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의 경우 무정형의 이차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쉽게 물에 용해된다. 따라서 활용을 위해 결정화 공정이 필요하며, 메탄올을 이용하여 결정화 처리 하였다. Regenerated silk protein nanofibers have an amorphous secondary structure and are readily soluble in water. Therefore, a crystallization process is required for utilization, and crystallization is performed using methanol.

도 16은 나노 섬유로 재생된 실크 단백질을 메탄올로 결정화한 것과 결정화하기 전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이다. 도 16에서 메탄올로 결정화한 것은 crystalized RSF로 표시되어 있고 결정화하지 않은 것은 as prepared RSF로 표시되어 있다.FIG. 16 shows the result of FTIR spectroscopic analysis before crystallization of the silk protein regenerated with nanofibers into methanol and crystallization. In Fig. 16, crystallized with methanol is indicated as crystalized RSF and non-crystallized is indicated as prepared RSF.

실크 단백질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나노 섬유의 경우 1652 cm-1 부근에서의 전형적인 무정형 구조의 특성 피크가 나타난다(도 16의 아래 쪽 검정색 그래프). 그러나 이를 메탄올 처리하게 되면 1627 cm-1과 1700 cm- 1부근에서의 베타시트 특성 피크가 나타나게 되고, 이를 통하여 나노 섬유 내부에 베타시트 구조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도 16의 위쪽 붉은색 그래프). In the case of the nanofibers prepared using the silk protein solution, characteristic peaks of a typical amorphous structure are observed at around 1652 cm -1 (lower black graph in FIG. 16). However, when this process methanol to 1627 cm -1 and 1700 cm - and displayed a characteristic peak in the vicinity of the beta sheet 1,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beta-sheet structure within the nanofibers formed by (red top graph of Fig. 16) .

도 17은 본 발명의 실험 2에서 나노 섬유로 재생된 실크 단백질의 결정화에 따른 탄화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및 사진이다. 즉, 도 17은 (a) 결정화된 재생실크(붉은색)와 결정화 처리하지 않은 재생실크(검정색)의 열중량분석 결과 및 2,800℃ 에서 열처리한 결정화된 재생실크(붉은색)와 결정화 처리하지 않은 재생실크(검정색)의 (b) 라만분광분석과 (c) 엑스선회절분석 결과, 그리고 2,800℃에서 열처리한 (d) 결정화된 재생실크와 (e) 결정화 처리 하지 않은 재생실크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단위 막대 길이는 10 nm이다.17 is a graph and a photograph showing carbonization behavior according to crystallization of silk protein regenerated with nanofibers in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17 shows the results of thermogravimetric analysis of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red) and regenerated silk (black) without crystallization, and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heat-treated at 2,800 ° C (red) (B) Raman spectroscopic analysis of regenerated silk (black), (c) X-ray diffraction analysis, (c)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heat-treated at 2,800 ° C, and (e) . The unit bar length is 10 nm.

도 17(a)의 열중량분석 결과 결정화 처리를 통하여 베타시트 구조를 형성시킨 나노 섬유가 결정화 처리를 하지 않아 무정형 구조인 나노 섬유 대비 월등히 높은 탄화 수율 (32.48% vs. 19.21%)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2800℃에서의 열처리 결과 보다 우수한 흑연화 거동을 보여주고 있다[도 17(b)-(e) 참조]. 무정형 구조의 실크 단백질 역시 탄소체로 일부 전환되지만 이는 200℃ 부근에서 무정형 구조의 일부가 베타시트로 전환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30% (Remaining mass) 이상의 높은 탄화 수율을 얻으려면, 결정화 처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정화 처리를 통하여 베타 시트 함량을 높일 수 있고 이는 단백질의 열적 전이(탄소체로의 전환)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As a result of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shown in Fig. 17 (a), it was found that the nanofiber formed with the beta-sheet structure through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arbonization yield (32.48% vs. 19.21%) than the amorphous nanofiber without crystallization treatment . In addition, the graphitization behavior is superior to the result of the heat treatment at 2800 ° C (see FIGS. 17 (b) - (e)). The amorphous silk protein is also partially converted to carbon, which is interpreted as a part of the amorphous structure is converted to beta-sheet at around 200 ° C. However, in order to obtain a high carbonization yield of 30% (Remaining mass) or more, crystallization treatment is required. The crystallization process can increase the beta-sheet conten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hermal transfer (conversion to carbon form) of the protein.

도 18은 본 발명의 실험 2에서 재생 실크 단백질을 이용한 박막 형태의 탄소구조체 제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a)는 수용액공정을 통한 실크 박막 제조 공정 모식도이고, (b-g)는 각각 1000, 3000, 그리고 7000 rpm의 회전 속도로 제조된 실크 단백질 박막을 800℃에서 열처리 한 현미경 사진들이다. 단위 막대 길이는 10㎛이다. 또한, (h)는 실크 단백질 기반 탄소 박막의 투과전자현미경과 (i) 원자력간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e, AFM) 사진들이다. 단위막대 길이는 25 ㎛이다.FIG. 18 is a schematic view of a process for producing a thin film carbon structure using a regenerated silk protein in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8 (a) is a schematic view of a process for producing a silk thin film through an aqueous solution process, , And a silk protein thin film prepared at a rotation speed of 7000 rpm were thermally treated at 800 ° C. The unit rod length is 10 mu m. (H) are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s of silk protein-based carbon thin films and (i) Atomic Force Microscope (AFM) photographs. The unit rod length is 25 占 퐉.

스핀코팅은 기판위에 용액을 떨어뜨린 후 회전하는 기판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박막의 두께를 기판의 회전 각속도를 조절하여 간단히 제어할 수 있다. 본 실험 2에서는 1,000-7,000 rpm의 속도로 회전 각속도를 조절하여 두께가 다른 실크 박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800℃에서 탄화하여 ~190 nm의 두께와 ~0.9 nm의 거칠기(roughness)를 지닌 탄소 막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때 박막을 제조하고 결정화 처리에 따른 탄소 박막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는데 결정화 처리 하지 않은 무정형 구조의 실크 박막은 800℃에서의 열처리에 의하여 탄화되지 않음을 도 18의 (b)-(d)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Spin coating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film by using centrifugal force of a rotating substrate after dropping a solution on the substrate, and the thickness of the thin film can be easily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of the substrate. In this experiment 2, silk thin films with different thicknesses were prepar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at a rate of 1,000-7,000 rpm. The silk thin films were carbonized at 800 ° C to produce a carbon film having a thickness of ~ 190 nm and a roughness of ~ 0.9 nm Could. At this time, a thin film was formed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a carbon thin film was formed by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The silk thin film of the amorphous structure without crystallization was confirmed to be carbonized by the heat treatment at 800 ° C. .

도 19는 본 발명의 실험 2에서 실크 단백질을 이용한 3차원 탄소 나노스피어제조 공정 개략도 및 투과전자현미경 사진들이다. 단위막대 길이는 500 nm이다.FIG. 1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hematic view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ree-dimensional carbon nanosphere using silk protei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s. The unit rod length is 500 nm.

도 19에서는 실크 단백질 수용액을 사용하여 템플레이팅 기법으로 중공나노탄소 스피어를 제조하였다. 실크 단백질 수용액에 나노 스피어 예컨대 실리카 나노 스피어를 넣게 되면 실크 단백질이 실리카 표면의 하이드록시기들과 수소결합을 통하여 결합되며 베타시트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세척하면 무정형 실크 단백질들은 씻겨져 나가게 되고, 이렇게 실크 단백질이 코팅된 실리카를 800℃로 열처리 한 후, 불산을 이용하여 실리카를 제거하면 중공나노스피어 형태의 탄소체를 제조 할 수 있다. 19, hollow nanocarbon spheres were prepared by a template technique using a silk protein aqueous solution. When a nano-sphere, such as a silica nanosphere, is added to an aqueous silk protein solution, a silk protein binds to the hydroxyl groups on the surface of the silica through a hydrogen bond to form a beta-sheet structure. The amorphous silk proteins are washed out by the washing, and the silica coated with the silk protein is heat-treated at 800 ° C., and then the silica is removed by using hydrofluoric acid, so that a carbon nano-spherical carbon body can be produced.

이상과 같이, 실크 단백질 수용액을 이용하여 섬유, 박막, 중공스피어 형태와 같은 다양한 탄소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베타 시트를 가지는 단백질 기반 탄소체는 전자섬유, 투명전극, 에너지 저장소자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various carbon structures such as fibers, thin films, hollow spheres can be produced by using a silk protein aqueous solution. The protein-based carbon body having such a beta-sheet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 fields such as an electronic fiber,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실험 3][Experiment 3]

실험 3에서는 결정화 처리 시 용매의 차이에 따른 베타 시트 함량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 사용한 실크 단백질을 결정화 시 결정화 처리 용매로 물, 에탄올, 메탄올을 각각 사용하고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In Experiment 3,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betasheets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n the solvent during crystallization were examined. Water, ethanol and methanol were used as the crystallization solvents in the crystallization of the silk protein used in Experiment 1,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도 20은 본 실험 3에서 (a) 실크 단백질 섬유와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들의 FTIR 아마이드 Ⅰ 영역을 나타내고, 또한, 디콘볼루션을 통한 천연 실크 단백질 섬유의 베타 시트 함량 분석 결과(b), 결정화하지 않은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의 베타 시트 함량 분석 결과(c), 그리고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을 물(d), 에탄올(e), 메탄올(f)로 결정화한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의 베타 시트 함량 분석 결과이다. 20 shows the FTIR amide I region of (a) silk protein fiber and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in Experiment 3, and (b) the result of beta-sheet content analysis of natural silk protein fiber through deconvolution, (C) analysis of the beta-sheet content of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and beta sheet content analysis of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obtained by crystallizing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with water (d), ethanol (e) and methanol (f).

상술하면, 실크 단백질은 2차 구조의 종류에 따라 흡수하는 파장 영역이 미세하게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FTIR의 아마이드 Ⅰ 영역을 분석을 통하여 실크 단백질의 2차 구조 종류와 그 함량을 분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ilk protein has a different wavelength range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secondary structure. Therefore, the secondary structure type and content of the silk protein can be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the amide I region of the FTIR.

따라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크 단백질의 2차 구조에 따른 7개의 서로 다른 흡수 파장대로 실크 단백질의 아마이드 Ⅰ 영역을 디콘볼루션 하여 위의 그림에 나타내었다. (b)의 그림을 보면 천연 실크 단백질 섬유의 경우 1620, 1629, 그리고 1700 cm-1에 존재하는 베타시트 관련 흡수 영역이 전체 아마이드 Ⅰ 영역의 47%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실크 단백질 섬유를 재생하여 만든 실크 단백질 필름의 경우 전체의 12% 만이 베타시트 관련 영역이며 대부분이 무정형 혹은 헬릭스 구조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를 수증기, 에탄올, 그리고 메탄올로 결정화 처리하면 각기 17.6, 32.3, 그리고 41.2%로 베타시트 함량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Therefore, as shown in Table 2, the amide I region of the silk protein is deconvoluted at seven different absorption wavelength bands according to the secondary structure of the silk protein, and is shown in the above figure. (b), the beta-sheet-related absorption regions present at 1620, 1629, and 1700 cm -1 in natural silk protein fibers account for 47% of the total amide I reg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silk protein film made by regenerating the silk protein fiber, only 12% of the total is the beta-sheet-related region and most of them are amorphous or helix structure. And crystallized with water vapor, ethanol, and methanol, respectively, showing an increase in beta-sheet content of 17.6, 32.3, and 41.2%, respectively.

파장 (cm-1)Wavelength (cm -1 ) 파장 대 할당 2차 구조Wavelength band allocation secondary structure 1605-16151605-1615 응집 스트랜드(aggregated strands)Aggregated strands 1616-16211616-1621 베타 시트 (약)Beta sheet (approx.) 1622-16371622-1637 베타 시트(강)Beta sheet (steel) 1638-16551638-1655 랜덤 코일(random coil)Random coil 1656-16621656-1662 헬릭스(helix)Helix 1663-16961663-1696 트린스(trins)Trins 1697-17031697-1703 베타 시트 (약)Beta sheet (approx.)

[실험 4][Experiment 4]

실험 4에서는 재생 실크 단백질의 연신에 따른 탄화 거동을 살펴 보았다. In Experiment 4, carbonization behavior of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was examined by stretching.

도 21은 본 실험 4에서 결정화 처리한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실험 2에서 얻어진 결정화 처리한 재생 실크 단백질 필름)을 연신 한 후 2300℃까지 열처리하여 그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21 is a result of heat treatment up to 2300 캜 after stretching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crystallized in Experiment 4 (the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protein film obtained in Experiment 2) and confirming the effect thereof.

도 21의 위 그래프들인 엑스선회절분석 결과를 보면 25℃ 부근의 그래파이트 (002)면 피크가 24,71˚ 에서 25.36˚ 로 이동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21의 아래의 그래프들인 라만 분석 결과 또한 연신한 샘플의 G 밴드 값(1580 cm-1 부근)이 그렇지 않은 샘플에 비하여 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결정화 처리한 재생 실크 단백질을 연신함에 따라 베타시트 구조가 한쪽 방향으로 정렬되면서 보다 발달된 그래파이트 구조를 형성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The results of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shown in the graphs of FIG. 21 show that the graphite (002) plane peak near 25 ° C shifted from 24,71 ° to 25.36 °.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man analysis results of the graphs shown in the lower graph of FIG. 21 also show that the G band value of the elongated sample (around 1580 cm -1 ) is larger than that of the sample not.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beta sheet structure was aligned in one direction and the graphite structure was more developed as the crystallized regenerated silk protein was elongated.

Claims (18)

탄소 전구체로서,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구조가 형성된 재생 실크 단백질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베타 시트 구조는 열이 가해짐에 따라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재생 실크 단백질 섬유는 전기 방사된 나노 섬유이며, 베타시트 구조가 무정형 매트릭스 내부에 섬유 축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전구체.
As the carbon precursor,
And a regenerated silk protein fiber having a beta-sheet structure formed by crystallization,
The beta sheet structure can be converted into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as heat is applied,
Wherein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ber is electrospun nanofib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beta sheet structure is dispersed in a fiber axis direction inside an amorphous matrix.
단백질이 탄화된 탄소 물질로서,
상기 단백질은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β-sheet) 구조가 형성된 재생 실크 단백질 섬유로서,
탄화 시 상기 베타 시트 구조가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재생 실크 단백질 섬유는 전기 방사된 나노 섬유이며, 베타시트 구조가 무정형 매트릭스 내부에 섬유 축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As a carbon material in which a protein is carbonized,
The protein is a regenerated silk protein fiber having a β-sheet structure formed by crystallization,
When the carbonization is carried out, the beta-sheet structure can be converted into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Wherein the regenerated silk protein fiber is an electrospun nanofiber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beta sheet structure is dispersed in a fiber axis direction within an amorphous matrix.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누에 실크 또는 무당 거미 실크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tein is silk or silk spider silk protei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베타 시트 함량은, 30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eta-sheet content of the protein is at least 30% by weigh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 함량이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tein has a beta-sheet content controlled by crystalliz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물질은 유사 흑연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rbon material has a pseudo-graphite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물질은 탄소 나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rbon material is a carbon nanofi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물질은 베타시트 구조로부터 형성된 육각 구조 탄소 기본 단위체들이 섬유 축 방향을 따라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물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rbon material has hexagonal structure carbon base units formed from a beta sheet structure distributed along the fiber axis direction.
단백질을 탄화하여 탄소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베타 시트 구조를 포함하는 단백질을 용액화하되 단백질의 베타 시트 구조를 무정형 구조로 바꾸는 용액화 단계;
용액화된 실크 단백질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방사된 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를 결정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화 처리된 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는 결정화에 의하여 베타 시트(β-sheet) 구조가 형성된 것이며,
탄화 시 상기 베타 시트 구조가 sp 2 혼성 공명 구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결정화 처리된 실크 단백질 나노 섬유는 베타시트 구조가 무정형 매트릭스 내부에 섬유 축 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carbon fiber by carbonizing a protein,
A solubilization step of solubilizing a protein containing a beta-sheet structure into a beta-sheet structure of the protein into an amorphous structure;
Electrospinning a solution of the silk protein solution to form a silk protein nanofiber; And
And crystallizing the electrospun silk protein nanofibers,
The crystallized silk protein nanofiber has a β-sheet structure formed by crystallization,
When the carbonization is carried out, the beta-sheet structure can be converted into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Wherein the crystallized silk protein nanofiber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eta sheet structure is dispersed in a fiber axis direction inside an amorphous matrix.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결정화 처리는 에너지를 가하거나, 또는 pH 7미만의 산성 물질로 처리하거나, 또는 친수성 극성 용매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is carried out with an energy, or with an acidic substance having a pH of less than 7, or with a hydrophilic polar solvent.
제 9 항에 있어서,
결정화 처리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is carried out using methanol.
제 9 항에 있어서,
결정화 처리 조건을 조절하여 베타 시트 함량을 30중량%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rystallization treatment conditions are adjusted to adjust the content of the beta-sheet to 30 wt% or more.
제 9 항에 있어서,
탄화를 위한 열처리는 250℃~280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heat treatment for carbonization is performed at 250 ° C to 2800 ° C.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결정화 처리된 단백질을 250~350℃에서 1차 열처리 하여 sp 2 혼성 공명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열처리된 단백질을 추가로 흑연화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Performing a first heat treatment at 250 to 350 ° C to form an sp 2 hybrid resonance structure; And heat treating the first heat treated protein to a further graphitization temperature.
제 15 항에 있어서,
1차 열처리 시 승온 속도는, 분당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heating rate at the time of the first heat treatment is 20 DEG C or less per minute.
제 15 항에 있어서,
1차 열처리 전 연신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n performing a pre-annealing before the first heat treatment.
제 9 항에 있어서,
결정화 처리된 단백질은 탄화 수율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rystallized protein has a carbonization yield of 30% or more.
KR1020180054817A 2018-05-14 2018-05-14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927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17A KR101927864B1 (en) 2018-05-14 2018-05-14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17A KR101927864B1 (en) 2018-05-14 2018-05-14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380A Division KR101860436B1 (en) 2016-05-19 2016-05-19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622A KR20180053622A (en) 2018-05-23
KR101927864B1 true KR101927864B1 (en) 2018-12-12

Family

ID=6245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17A KR101927864B1 (en) 2018-05-14 2018-05-14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864B1 (e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ass and Bioenergy, 2015, 75, 189-200*
Macromolecular Research, 2014, 22, 5, pp. 509-5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622A (en)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48095A1 (en) Methods for producing carbon material-graphene composite films
KR100805104B1 (en) Carbonaceous material having high surface area and conductivity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im et al. Carbon nanofibers
Moon et al. Strong electrospun nanometer-diameter polyacrylonitrile carbon fiber yarns
Wei et al.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incorporated bombyx mori silk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KR101485867B1 (en) Porous carbon structure comprising polymers of intrinsic microporos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347450B2 (en) PAN-based carbon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04050764A1 (en) Composite fiber comprising wholly aromatic polyamide and carbon nanotube
Xu et al. Obtaining high mechanical performance silk fibers by feeding purified carbon nanotube/lignosulfonate composite to silkworms
CN111133671A (en) Triboelectric generato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mponents thereof
Forouharshad et al. Textile‐Compatible, Electroactive Polyvinylidene Fluoride Electrospun Mats for Energy Harvesting
CN110468465B (en) Carbon nano tube/polyimide composite carbonized fib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927864B1 (en)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860436B1 (en) Carbon materials induced from protei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030048765A (en) A ultrafine inorganic fiber,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JP6519859B2 (en)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fiber non-woven fabric
KR101927860B1 (en) Pyroprotein fiber having aligned poly-hexagonal carbon struc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Othma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loading of zinc oxide on activated carbon nanofibers
KR101005115B1 (en) Carbonized cellulose fiber with the graphite-like surface nano-layer and synthesis method thereof
Chennam et al. Synthesis of centrifugally spun polyacrylonitrile-carbon fibers
BR112020019217A2 (en) COMPOSITE CARBON MATERIAL
KR101437452B1 (en) Method for preparing hybrid carbon material
KR10139829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nanotube fiber by electrospinn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solar cell using the same
KR100874459B1 (en) Carbonaceous material having high surface area and conductivity
JP6336947B2 (en) Polyvinyl alcohol-based carbon nanofibers manufactured at low yield and high yield by electrospin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