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378B1 -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378B1
KR101927378B1 KR1020180026373A KR20180026373A KR101927378B1 KR 101927378 B1 KR101927378 B1 KR 101927378B1 KR 1020180026373 A KR1020180026373 A KR 1020180026373A KR 20180026373 A KR20180026373 A KR 20180026373A KR 101927378 B1 KR101927378 B1 KR 10192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gas
unit
exhaust gas
mix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최윤수
오문세
김경민
유지혜
이영재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8002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378B1/ko
Priority to PCT/KR2018/013429 priority patent/WO2019172501A1/ko
Priority to JP2020571321A priority patent/JP7109601B2/ja
Priority to US16/977,961 priority patent/US2021005301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9Integrated processes (Diffusion and at least one other process, e.g. adsorption,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18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5/00Compounds of magnesium
    • C01F5/24Magnesium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4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gas, e.g. bio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3/00Combinations of bioreactors or fermenters with other apparatus
    • C12M43/04Bioreactors or fermenters combined with combustion devices or plants, e.g. for carbon dioxide remov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22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9Biological synthesis; Biological pur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를 고농도 농축가스로 포집하고, 제1 처리가스를 분리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에서 포집된 고농도의 상기 농축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고, 제2 처리가스를 배출하는 광물화 공정부, 상기 제1 처리가스와 제2 처리가스를 수용하여,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기설정된 농도가 되도록 제1 처리가스 및 제2 처리가스를 혼합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혼합된 제3 처리가스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광배양 공정을 수행하는 광배양 공정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 상기 광물화 공정부, 상기 혼합탱크 및 상기 광배양 공정부로 공급 및 배출되는 가스 유량 및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CARBON DIOXIDE CAPTURING AND RESOURCEIZATION SYSTEM IN EXHAUST GAS}
실시예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의 자원화 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 각각의 공정의 효율을 고려하여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이산화탄소의 대기 중 농도증가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데, 대기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는 원인 중 가장 큰 원인은 에너지 산업에서 사용되는 석탄, 석유, 액화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의 사용이다.
산업화가 시작된 19세기 초반부터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이산화질소, 할로카본 등의 온실 가스 농도가 증가하게 되었고 20세기 중반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배출 및 처리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다.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에서 열린 환경과 개발에 관한 UN회의를 통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으며, 선진국들은 2010년 지구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2% 감축하기로 합의하는 등 온실가스 저감 방안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현상을 야기하는 온실가스 중 80% 정도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의 처리는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배출된 이산화탄소 성분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로 이산화탄소 분리막 포집 기술, 이산화탄소 광물화 기술 및 미세조류를 이용한 광배양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기술들은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시스템 설치비, 이산화탄소 처리량, 단위면적당 낮은 이산화탄소 저감률 등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실시예는 이산화탄소의 자원화 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 각각의 공정의 효율을 고려하여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를 연계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농축가스로 포집하고, 제1 처리가스를 분리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에서 포집된 고농도의 상기 농축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고, 제2 처리가스를 배출하는 광물화 공정부; 상기 제1 처리가스와 제2 처리가스를 수용하여,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기설정된 농도가 되도록 제1 처리가스 및 제2 처리가스를 혼합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혼합된 제3 처리가스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광배양 공정을 수행하는 광배양 공정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 상기 광물화 공정부, 상기 혼합탱크 및 상기 광배양 공정부로 공급 및 배출되는 가스 유량 및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3 처리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3~7%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처리가스의 유입양을 조절하여 상기 혼합탱크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축가스는 액화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이를 분배하는 배기가스 유입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로부터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광배양 공정을 수행하고, 제4 처리가스를 배출하는 광배양 공정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의 배기가스와 상기 제4 처리가스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에서 혼합된 제5 처리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제5 처리가스 내부에 함유된 이산화탄소를 고농도의 농축가스로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에서 포집된 상기 농축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고, 제6 처리가스를 배출하는 광물화 공정부; 및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 상기 광배양 공정부, 상기 혼합탱크,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 및 상기 광물화 공정부로 공급 및 배출되는 가스 유량 및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6 처리가스는 상기 혼합탱크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배양 공정부의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를 통해 상기 광배양 공정부로 공급되는 상기 배기가스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혼합탱크 내부의 혼합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8~10%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축가스는 액화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자원화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분리막 포집 기술, 이산화탄소 광물화 기술 및 미세조류를 이용한 광배양 기술의 문제점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이산화탄소 포집부로 막분리 공정이 사용되는 경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실제 동작을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의 실제 동작을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 요소도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포집부(100), 광물화 공정부(200), 광배양 공정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분리막 포집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부지가 협소하고 가격이 비싼 도심에 위치한 발전소의 이산화탄소 포집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분리막 포집 기술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저장시 부지 확보가 어렵고,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이산화탄소를 농축처리하여 광물화하는 기술로, 이산화탄소를 고속으로 대량처리하고 반영구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저감률의 극대화를 위해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공급원이 필요하다.
또한, 광배양 공정부(300)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바이오매스화 하는 기술로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전환을 통한 아스타잔틴, 베타카로틴, 오메가3, CGF등 고부가가치의 유용한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미세조류를 이용한 광배양 공정은 광합성 효율의 한계로 인해 단위면적당 낮은 이산화탄소 저감률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은 각각의 구성요소의 단점을 최소화하고 장점을 부각하는 구조에 특징이 존재한다.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배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생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분리막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기술과 분리막 공정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구분 처리시간 건설비 운영비 포집단가 부지면적
CCS공정 2~3분 11억원 1.5억/년 $80/tCO2 500~800m2
분리막공정 15~20초 9억원 0.8억/년 $40/tCo2 80~100m2
분리막 포집 공정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경우, 처리시간과 처리비용에서 이득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부지면적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배기가스를 다양한 재질의 중공사막(hollow fiber) 모듈에 유입시켜 통화하는 경우, 다양한 기체 성분들(N2, O2, CO2 등)이 투과속도 차이에 의해 빠른 속도로 포집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인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로 막분리 공정이 사용되는 경우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표 2는 기체의 상대적인 투과속도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112018022577163-pat00001
도 2와 표 2를 병행참조하면, 배기가스가 분리막으로 공급되면, 상대적 투과속도가 빠른 이산화탄소가 먼저 배출되며, 느린 질소기체가 나중에 포집되게 된다. 막분리공정을 이용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포집할 수 있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자연산 광물 또는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무기계 산업부산물(inorganic industrial waste)과 반응시켜 새로운 광물로 합성시키는 기술이다.
일실시예로, 광물화 공정부(200)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가 건축부산물(슬래그, 폐콘크리트)내 Ca, Mg 성분과 광물화 반응을 통해 CaCO3, MgCO3 와 탄산염을 생산하여 이산화탄소를 영구적으로 고체화할 수 있다.
생성된 탄산염은 안정하여 물에 잘 녹지 않으며, 대기 중으로 이산화탄소 방출이 불가능해 환경적으로도 해가 없으며, 이산화탄소를 영구적으로 저장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광배양 공정부(300)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고정화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식물성 플랑크톤인 미세조류는 태양을 에너지원으로 하며,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하는 광합성 작용을 하며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정화하는 것은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광합성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태양 에너지를 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기 위해 투입해야 하는 에너지 소모량이 매우 작은 장점이 존재한다.
미세조류는 식물에 비해 성장속도가 빠르고, 1세대 바이오연료인 콩,옥수수, 유채씨 등에 비하여 단위면적당 바이오매스 생산성이 20-100배 이상 높은 특징을 가지고, 해상이나 황무지를 통해 대량 배양이 가능하며, 하수, 해수 폐수 등 다양한 수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화력발전소와 같은 탄소 배출원에서 나오는 연소 배기가스를 직접적으로 세포 배양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미세조류 공정의 경우, 이산화탄소를 바이오디젤, 바이오폴리머, 의약품, 건강식품, 천연색소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물질로 전환이 가능하고, 태양광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에너지 투입이 없어 저비용의 경제성을 갖춘 친환경 공정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광배양에 사용가능한 미세조류로는 네클로리스(Neochloris sp.), 클로렐라(Chlorella sp.), 클로로코쿰(Chlorococcum sp.), 스피루리나(Spirulina sp.), 헤마토코쿠스(Haematococcus sp.), 네오스폰지오코쿰(Neospongiococcum sp.),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sp.), 두나리엘라(Dunaliella sp.), Thaustochytrids 등을 예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는 능력을 가지는 미세조류라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제어부(400)는 이산화탄소 포집부(100), 광물화 공정부(200) 및 광배양 공정부(300)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및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제어하며, 전체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스템 전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는 도 1의 시스템의 실제 동작을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은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를 고농도로 농축가스(G)로 포집하고, 제1 처리가스(G1)를 분리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100),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100)에서 포집된 고농도의 상기 농축가스(G)를 공급받아 상기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고, 제2 처리가스(G2)를 배출하는 광물화 공정부(200), 상기 제1 처리가스(G1)와 제2 처리가스(G2)를 수용하여,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기설정된 농도가 되도록 제1 처리가스(G1) 및 제2 처리가스(G2)를 혼합하는 혼합탱크(500), 상기 혼합탱크(500)로부터 미세조류가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혼합된 제3 처리가스(G3)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광배양 공정을 수행하는 광배양 공정부(300) 및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100), 상기 광물화 공정부(200), 상기 혼합탱크(500) 및 상기 광배양 공정부(300)로 공급 및 배출되는 가스 유량 및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유입되는 배기가스에서 분리막 공정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게 된다. 이후, 농축가스(G)는 광물화 공정부(200)로 공급되며, 제1 처리가스(G1)는 혼합탱크(500)로 유입되게 된다. 농축가스(G)는 액화된 상태의 액화 탄산으로 광물화 공정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고농도의 농축가스(G)를 이용하여 고칼슘재 및 골재 등 다양한 종류의 광물을 생산할 수 있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70~80%의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광물을 생산하고 남은 제2 처리가스(G2)를 혼합탱크(500)로 공급할 수 있다.
혼합탱크(500)는 제1 처리가스(G1)와 제2 처리가스(G2)를 공급받아 혼합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광배양 공정부(300)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혼합탱크(500)를 통해 광배양 공정부(300)로 공급되는 제3 처리가스(G3)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3 처리가스(G3)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3~7%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고농도를 가지는 제2 처리가스(G2)는 혼합탱크(500)로 그대로 유입하고, 제1 처리가스(G1)의 유입양을 조절하여 혼합탱크(500) 내 이산화탄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필요한 농도에 따라 제1 처리가스(G1)가 혼합탱크(500)로 유입되는 양을 결정하고 남는 저농도의 제1 처리가스(G1)를 대기 중으로 방출할 수 있다.
광배양 공정부(300)는 최적의 비율로 조절된 제3 처리가스(G3)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한 광배양 공정을 실시하며, 처리 후 가스를 대기로 방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8%이며 400m3/hr의 유량이 공급되는 경우, 이산화탄소 포집부(100)의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이 90%라 할 때, 40m3/hr의 유량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90%인 농축가스(G)가 광물화 공정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 처리가스(G1)는 360m3/hr의 유량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1%인 상태로 혼합탱크(500)로 유입될 수 있다.
광물화 공정부(200)에서 사용되는 광물화 반응장치의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이 80%라 할 때, 이산화탄소 농도가 90%인 농축가스(G)를 통해 광물을 생산하며, 제2 처리가스(G2)는 40m3/hr의 용량이며,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8%인 상태로 혼합탱크(500)로 공급될 수 있다.
광배양 공정부(300)로 공급되는 제3 처리가스(G3)의 최적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5%라 할때, 제어부(400)는 혼합탱크(500)로부터 공급되는 제3 처리가스(G3)의 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이산화탄소 함유량이 높은 제2 처리가스(G2)는 혼합탱크(500)로 그대로 유입하며, 제1 처리가스(G1)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혼합탱크(500)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2 처리가스(G2)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8%이며,40m3/hr의 유량으로 공급되는 경우, 360m3/hr이며 이산화탄소 농도가 1%로 공급되는 제1 처리가스(G1)의 공급양 중 240m3/hr을 대기로 방출하게 되며, 120m3/hr를 혼합탱크(500)로 공급하도록 조절하여 제3 처리가스(G3)의 농도를 5%로 조절할 수 있다.
광배양 공정부(300)가 30%의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을 가지는 경우, 대기 중으로160m3/hr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3.5%인 가스가 방출된다.
전체 공정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제1 처리가스(G1)와 광배양 공정부(300)에서 방출되는 가스를 합하면, 전체 방출되는 방출가스는 400m3/hr 유량 및 이산화탄소 농도 2%인 상태로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도 4은 도 1의 시스템의 실제 동작을 나타내는 제2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이를 분배하는 배기가스 유입부(600),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600)로부터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광배양 공정을 수행하고, 제4 처리가스(G4)를 배출하는 광배양 공정부(300),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600)의 배기가스와 상기 제4 처리가스(G4)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탱크(500), 상기 혼합탱크(500)에서 혼합된 제5 처리가스(G5)를 공급받아, 상기 제5 처리가스(G5) 내부에 함유된 이산화탄소를 고농도의 농축가스(G)로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100),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100)에서 포집된 상기 농축가스(G)를 공급받아 상기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고, 제6 처리가스를 배출하는 광물화 공정부(200) 및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600), 상기 광배양 공정부(300), 상기 혼합탱크(500),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100) 및 상기 광물화 공정부(200)로 공급 및 배출되는 가스 유량 및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6 처리가스는 상기 혼합탱크(500)로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배기가스 유입부(600)는 산업설비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광배양 공정부(300)와 혼합탱크(500)로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광배양 공정부(300)의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을 고려하여 혼합탱크(500)에서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농도를 고려하여 광배양 공정부(300)로 주입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광물화 반응부를 통해 혼합탱크(500)로 공급되는 제5 처리가스(G5)의 농도까지 함께 고려하여 광배양 공정부(300)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광배양 공정부(300)는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한 광배양 공정을 실시하여 바이오매스를 생산할 수 있으며, 처리된 제4 처리가스(G4)는 혼합탱크(500)로 주입될 수 있다.
혼합탱크(500)는 배기가스 유입부(600)로부터 공급받은 배기가스, 제4 처리가스(G4) 및 광물화 반응부로부터 공급되는 제5 처리가스(G5)를 혼합하며, 혼합가스는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로 공급될 수 있다. 혼합가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8~10%로 공급되도록 제어부(4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혼합탱크(500)로부터 유입되는 혼합가스에서 분리막 공정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게 된다. 이후, 농축가스(G)는 광물화 공정부(200)로 공급되며, 처리된 가스는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농축가스(G)는 액화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로부터 농축가스(G)를 공급받아 고칼슘재 및 골재 등 다양한 종류의 광물을 생산할 수 았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70~80%의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광물을 생산하고 남은 제2 처리가스(G2)를 혼합탱크(500)로 공급할 수 있다. 광물화 공정부(200)는 이산화탄소 포집부(100)에서 공급되는 농축가스(G)를 처리한 후, 제5 처리가스(G5)를 혼합탱크(500)로 유입시키며, 혼합탱크(500)는 제5 처리가스(G5)를 재혼합하여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로 공급하는 순환과정을 형성하게 된다.
일실시예로, 배기가스 유입부(600)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8%이며 400m3/hr의 유량이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이 30%인 광배양 공정부(300)로 100m3/hr의 유량을 공급하고, 나머지 300m3/hr을 혼합탱크(500)로 공급할 수 있다.
광배양 공정부(300)는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 농도 5.5%이고, 100m3/hr인 제4 처리가스(G4)를 혼합탱크(500)로 공급하게 된다.
혼합탱크(500)는 배기가스 유입부(60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와 제4 처리가스(G4) 및 광물화 공정부(200)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18%이고, 40m3/hr인 제5 처리가스(G5)를 혼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가 8~10%이고, 400m3/hr인 혼합가스를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처리효율이 90%인 이산화탄소 포집부(100)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90%이고, 40m3/hr인 농축가스(G)를 광물화 반응부로 공급하고, 처리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1%, 360~400m3/hr인 가스를 대기로 방출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제1 실시예의 경우, 최종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2%로 높으나, 전체 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에너지 소모량이 낮아지는 장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도 4에 나타나는 제2 실시예의 경우, 최종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1%로 낮으나, 광물화 반응부의 순환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제1 실시예에 비해 에너지 소모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이산화탄소 포집부
200 : 광물화 공정부
300 : 광배양 공정부
400 : 제어부
500 : 혼합탱크
600 : 배기가스 유입부

Claims (8)

  1.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를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여 고농도 농축가스로 포집하고, 제1 처리가스를 분리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에서 포집된 고농도의 상기 농축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고, 제2 처리가스를 배출하는 광물화 공정부;
    상기 제1 처리가스와 제2 처리가스를 수용하여,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기설정된 농도가 되도록 제1 처리가스 및 제2 처리가스를 혼합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혼합된 제3 처리가스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광배양 공정을 수행하는 광배양 공정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 상기 광물화 공정부, 상기 혼합탱크 및 상기 광배양 공정부로 공급 및 배출되는 가스 유량 및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처리가스의 유입양을 조절하여 상기 혼합탱크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며, 상기 혼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3 처리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3~7%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가스는 액화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5.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이를 분배하는 배기가스 유입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로부터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광배양 공정을 수행하고, 제4 처리가스를 배출하는 광배양 공정부;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의 배기가스와 상기 제4 처리가스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탱크;
    상기 혼합탱크에서 혼합된 제5 처리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제5 처리가스 내부에 함유된 이산화탄소를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농축가스로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포집부;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에서 포집된 상기 농축가스를 공급받아 상기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고, 제6 처리가스를 배출하는 광물화 공정부; 및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 상기 광배양 공정부, 상기 혼합탱크,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부 및 상기 광물화 공정부로 공급 및 배출되는 가스 유량 및 이산화탄소 함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6 처리가스는 상기 혼합탱크로 주입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배양 공정부의 이산화탄소 처리효율을 고려하여 상기 배기가스 유입부를 통해 상기 광배양 공정부로 공급되는 상기 배기가스의 양을 제어하며, 상기 혼합탱크 내부의 혼합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8~10%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가스는 액화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KR1020180026373A 2018-03-06 2018-03-06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KR10192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73A KR101927378B1 (ko) 2018-03-06 2018-03-06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PCT/KR2018/013429 WO2019172501A1 (ko) 2018-03-06 2018-11-07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JP2020571321A JP7109601B2 (ja) 2018-03-06 2018-11-07 排気ガス内二酸化炭素捕集および資源化システム
US16/977,961 US20210053012A1 (en) 2018-03-06 2018-11-07 System for capturing and recycling carbon dioxide in exhaust g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373A KR101927378B1 (ko) 2018-03-06 2018-03-06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378B1 true KR101927378B1 (ko) 2018-12-10

Family

ID=6467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373A KR101927378B1 (ko) 2018-03-06 2018-03-06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53012A1 (ko)
JP (1) JP7109601B2 (ko)
KR (1) KR101927378B1 (ko)
WO (1) WO201917250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481A (ko) * 2020-04-27 2021-11-04 한국지역난방공사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20220165072A (ko) * 2021-06-07 2022-12-14 한국지역난방공사 유출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20240012706A (ko) 2022-07-21 2024-01-30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cii 산정 및 선속 조절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40012688A (ko) 2022-07-21 2024-01-30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cii 산정 및 ccs 운전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0841A1 (fr) * 2021-12-21 2023-06-23 Fermentalg Methode d’injection du co2 et elimination de l’o2 dans un reacteur a plaques
CN114602290B (zh) * 2022-03-31 2023-07-14 上海交通大学 一种两级连续矿化碳捕集系统及运行方法
CN115285994B (zh) * 2022-08-12 2023-07-25 青岛大学 一种高效低能耗船舶co2捕集-膜解吸-矿化固定系统及方法
CN116328521B (zh) * 2023-03-13 2024-01-09 中国矿业大学 一种co2矿化过程中钙离子浸取剂的制备装置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331A (ja) 2008-07-24 2010-02-04 Takenaka Komuten Co Ltd 二酸化炭素回生システム及び二酸化炭素回生方法
KR101122986B1 (ko) 2010-10-27 2012-03-12 한국환경공단 미세조류를 이용한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제거방법
KR101334822B1 (ko) 2012-12-06 2013-12-02 대한민국 이산화탄소 농도제어를 이용한 실내용 해양산성화 실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3618A1 (en) * 2010-05-20 2011-11-24 Pond Biofuels Inc. Supplying bioreactor gaseous effluent to combustion process
US20130064745A1 (en) * 2010-06-03 2013-03-14 I.D.E. Technologies Ltd. Flue gas treatment and permeate hardening
EP2728019B1 (en) * 2011-06-28 2016-08-17 González Machín, Marcelo Fabián Methods and systems for absorbing co2 and converting same into gaseous oxygen by means of microorganisms
KR101386789B1 (ko) * 2012-11-23 2014-04-21 주승연 포토바이오리액터
KR20180000427A (ko) * 2016-06-23 2018-01-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대량 저감 및 고부가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광물화-미세조류 광배양 연속식 융합 공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331A (ja) 2008-07-24 2010-02-04 Takenaka Komuten Co Ltd 二酸化炭素回生システム及び二酸化炭素回生方法
KR101122986B1 (ko) 2010-10-27 2012-03-12 한국환경공단 미세조류를 이용한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제거방법
KR101334822B1 (ko) 2012-12-06 2013-12-02 대한민국 이산화탄소 농도제어를 이용한 실내용 해양산성화 실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481A (ko) * 2020-04-27 2021-11-04 한국지역난방공사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343773B1 (ko) 2020-04-27 2021-12-28 한국지역난방공사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20220165072A (ko) * 2021-06-07 2022-12-14 한국지역난방공사 유출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2612831B1 (ko) * 2021-06-07 2023-12-13 한국지역난방공사 유출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KR20240012706A (ko) 2022-07-21 2024-01-30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cii 산정 및 선속 조절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40012688A (ko) 2022-07-21 2024-01-30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cii 산정 및 ccs 운전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6157A (ja) 2021-07-01
US20210053012A1 (en) 2021-02-25
JP7109601B2 (ja) 2022-07-29
WO2019172501A1 (ko)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378B1 (ko)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 포집 및 자원화 시스템
Molazadeh et al. The use of microalgae for coupling wastewater treatment with CO2 biofixation
Lam et al.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n microalgae-based carbon capture
Abd Rahaman et al. A review of carbon dioxide capture and utilization by membrane integrated microalgal cultivation processes
US10179895B2 (en) Device for fuel and chemical production from biomass-sequestered carbon dioxide and method therefor
US20100218507A1 (en) Sustainable Carbon Capture and Sequestration System and Methods
CN109160683A (zh) 一种具有碳氮磷资源化回用特性的污水处理系统及方法
US8690993B2 (en) Caustic scrubber system and method for biogas treatment
KR102343773B1 (ko)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Debowski et al. Zieli nski, M.; Kazimierowicz, J. Immobilized Microalgae-Based Photobioreactor for CO2 Capture (IMC-CO2PBR): Efficiency Estimation, Technological Parameters, and Prototype Concept
Méndez et al. Decarbonization potentials using photobiological systems
KR20210127833A (ko) 산업단지 미활용 폐열 및 이산화탄소 자원화 시스템
US8574888B2 (en) Biological H2S removal system and method
GB2592841A (en) Treatment of carbon dioxide containing materials with algae
KR102612831B1 (ko) 유출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도심발전소 적용 이산화탄소 컴팩트 분리막 및 탄소 자원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US20240165557A1 (en) Methods of adding feed medium into bioprocess
Corda Carbon Capture and Utilization using microalgae. Practical application in a waste incineration power plant
Sen et al. Increasing Carbon Dioxide Availability in Microalgae Cultivation Systems by Using Triethanolamine
CN116328532A (zh) 一种碳捕集生物反应池及运行方法
Juškaitė et al. Microalgae Strains Monoraphidium Griffithi and Chlorella sp. for the Carbon Dioxide Capture from Biogas
TWI243205B (en) A bioreactor for converting carbon dioxide into biomass
CA3170251A1 (en) Hydrogen biomethane process and apparatus
WO2010104562A1 (en) Device for fuel and chemical production from biomass-sequestered carbon dioxide and method therefor
CN115518519A (zh) 生活垃圾焚烧耦合微藻固碳资源化工艺及系统
Bagga Biological sequestration of carbon diox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