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241B1 - friction draft gear of wire rope for outer wall - Google Patents
friction draft gear of wire rope for outer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7241B1 KR101927241B1 KR1020180104638A KR20180104638A KR101927241B1 KR 101927241 B1 KR101927241 B1 KR 101927241B1 KR 1020180104638 A KR1020180104638 A KR 1020180104638A KR 20180104638 A KR20180104638 A KR 20180104638A KR 101927241 B1 KR101927241 B1 KR 1019272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wire rope
- wall
- support
- suppor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층 건물의 외벽면을 세정하거나, 누수부위 등을 보수작업하기 위해 작업자가 걸터 앉는 작업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어로프를 작업 종료후 옥상에서 견인하여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한,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l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a wire rope in which a work table on which a worker sits is detachably fixed for cleaning an outer wall surface of a high- To a wire rope pulling device for an outer wall.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s set forth in this sec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to be included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 등의 고층 건물 외벽면의 세정작업, 도장작업, 누수부위 보수작업시 등에는 건물 옥상의 난간대에 고정시킨 와이어로프에 작업자가 걸터 앉는 작업대를 메달아 승강시켜 작업하는 원시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작업부위에 따라 작업자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난간대에 로프 고정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Generally, when cleaning the exterior wall of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an apartment, or the like, a repair work, a repair work on a leaking area, etc., a worker who sits on a wire rope secured to a rooftop of a building roof, Method is used. At this time, the rope fixing position can be changed quickly on the railing for changing the worker position according to the work area, which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work time.
이와 반면에, 옥상 난간대에 고정된 와이어로프에 고정된 작업대에 작업자가 걸터 앉아 소정의 작업을 종료한 후, 사용자(또 다른 작업자를 말함)가 옥상에서 와이어로프를 직접 견인하여 끌어올리게 되므로 많은 힘이 요구되어 피로도가 가중된다. 또한 옥상 위의 작업자가 와이어로프를 견인하는 도중에 부주의로 인해 로프를 놓칠 경우 건물 주변에서 통행하는 사람 또는 작업자가 와이어로프에 의해 크게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operator completes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hanging on a workbench fixed to a wire rope fixed on a rooftop railroad, a user (another worker) pulls the wire rope directly from the roof and pulls it up, The fatigue is increased. In addition, when a rope is inadvertently missed while a worker on the roof is pulling the wire rop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afety accident can be caused that a person or an operator passing around the building may be seriously injured by the wire rope.
한편, 복수의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곤도라장치를 이용하여 작업하되, 곤도라장치는 곤도라의 좌우측에 배치된 와이어로 현수지지하고, 옥상에 설치되는 윈치 등의 승강장치에 의해 와이어를 적절하게 감기와 풀기를 반복하여 작업자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종료 후 옥상에서 윈치에 의해 와이어를 쉽게 견인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operators work by using a gonadal apparatus capable of boarding, in which the gonadal apparatus is suspendably supported by wire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onad, and the wire is appropriately wound and raised by a lifting device such as a winch It is possible to raise and lower the operator by repeating the unfolding. At this time, after the work is finished, the wire can be easily pulled by the winch on the roof,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이와 반면에, 곤도라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중량체의 윈치장치를 옥상에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기중기(크레인)를 사용하여 사전에 옮겨야 되므로 별도의 운반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gondola device, since the winch device of the weight is lifted up on the roof by using a crane (cran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transportation cost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 0040386호에 벽면승강 곤도라장치가 게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40386 discloses a wall-lifting gondola device.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고층 건물의 외벽면을 세정하거나 또는 보수작업하기 위해 작업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어로프를 옥상에서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와 관련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 rope pulling apparatus for an outer wall which is capable of quickly pulling a wire rope detachably fixed on a work table for cleaning or repairing the outer wall surface of a high- Lt; / RTI >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고층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난간대(난간파이프)에 견인장치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한,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와 관련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rope pulling device for an outer wall, which enables a pulling device to be easily detached from a railing (railing pipe) provided on the roof of a high-rise building.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건물 옥상의 난간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작업자가 앉는 작업대가 고정되는 와이어로프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장치에 적용되고,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ulling device for pulling a wire rope which is detachably fixed to a railing of a building roof and on which a workbench on which a worker sits is fixed,
상기 난간대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호형태의 제1지지편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프레임;A first frame having an arc-shaped first support piece, which is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lancer,
상기 제1프레임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를 견인시 지지하는 제1회전롤러;A first rotating roller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supporting the wire rope when towed;
일단이 힌지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난간대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호형태의 제2지지편이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프레임;A second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frame by a hinge and having an arc-shaped second support piece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lancer to be movable therein;
상기 제2프레임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를 견인시 지지하는 제2회전롤러;A second rotating roller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supporting the wire rope when towed;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연장편에 상기 제2프레임 타단에 형성되는 제2연장편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1로커;A first rocker detachably fixing a second extens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to a first extens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상기 제2프레임의 제2연장편을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편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난간대 외주연에 상기 제1,2지지편을 밀착시켜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2로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를 제공한다.A second frame extending through the second elongated portion of the second frame to movably support the second supporting piece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frame for detachabl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iec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lancer, A wire rope pulling device for an outer wall is provided.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고층 건물의 외벽면을 세정하거나 또는 보수작업하기 위해 작업자가 걸터 앉는 작업대가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와이어로프를 옥상에서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게 견인하게 되므로 작업로프를 끌어당기는 사용자 피로도를 줄이고(종래에 비해 1/3의 힘을 이용하여 견인할 수 있다), 안전성 및 실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work rope to which the worker sitting on the worker sits to detachably fix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high-rise building or to repair work is rapidly pulled from the roof with a small force, the user fatigue pulling the work rope is reduced It can be pulled by using a force of 1/3 compared with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safety and practicality can be ensured.
또한, 고층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난간대에 견인장치를 원터치방식으로 탈착시킬 수 있어 견인장치의 클램핑위치를 옮길 경우 작업시간 단축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ach the pulling device on the rooftop of a high-rise building in a one-touch manner, thereby reducing the work time and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when shifting the clamping position of the pulling device.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체결전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rope pulling apparatus for an outer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traction device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view of the traction device shown in Fig. 1 before fastening,
4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traction device shown in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ire rope pulling apparatus for an outer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는1 to 4, an outer wall wire rope pu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고층 건물의 옥상의 난간대(10)(난간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작업자가 걸터 앉는 작업대(23)가 고정되는 와이어로프(13)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장치(A)에 적용되고,Is applied to a towing device (A) for pulling a wire rope (13) to be detachably fixed to a rooftop railing (10) (railing pipe) of a high-rise building and to which a workbench (23)
난간대(10)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호 형태의 제1지지편(11)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프레임(12);A first frame (12) having an inner side surface formed with a first support piece (11) in the form of an arc and supported in tight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ilblock (10);
제1프레임(12)의 외측면에 회전자재토록 장착되고, 옥상에서 와이어로프(13)를 견인시 지지하는 제1회전롤러(14);A first rotating
일단이 힌지(15)(경첩을 말함)에 의해 제1프레임(12)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난간대(10)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호 형태의 제2지지편(16)이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프레임(17);A second supporting
제2프레임(17)의 외측면에 회전자재토록 장착되고, 옥상에서 와이어로프(13)를 견인시 지지하는 제2회전롤러(18);A second rotating
제1프레임(12)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연장편(19)에 제2프레임(17) 타단에 형성되는 제2연장편(20)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1로커(21);A
제2프레임(17)의 제2연장편(20)을 관통하여 제2지지편(16)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난간대(10) 외주연에 제1,2지지편(11,16)을 밀착시켜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2로커(22);를 구비한다.The second supporting
전술한 제1로커(21)는 제2프레임(17)의 제2연장편(20)에 형성된 관통공(20a)을 관통하고, 외측단에 로드(rod) 형태의 제1손잡이(21a)가 형성되는 볼트형태의 제1체결부재(21b)와, 제1프레임(12)의 제1연장편(19) 외측면에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21b)가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전술한 제2로커(22)는 내측단이 제2프레임(17)의 제2연장편(20)을 관통하여 제2지지편(16)에 연결되고 외측단에 로드(rod) 형태의 제2손잡이(22a)가 형성되는 볼트형태의 제2체결부재(22b)와, 제2프레임(17)의 제2연장편(20)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2체결부재(22b)가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제1,2손잡이(21a,22a)를 파지할 경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립(grip)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제1,2손잡이(21a,22a) 의 외주연이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2손잡이(21a,22a)의 외주연에 너얼링(knurling)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and
전술한 제1,2지지편(11,16)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난간대(10) 외주연에 제1,2지지편(11,16)을 밀착시켜 고정시킬 경우 난간대(10)로부터 제1,2지지편(11,16)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2패드(26,27)(일 예로서, 고무재가 사용될 수 있음);를 더 구비한다.When the first and
전술한 제1,2지지편(11,16) 및 제1,2프레임(12,17)은 내부식성 및 내구성을 갖도록 스테인레스스틸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도면중 미 설명부호 23은 와이어로프(13)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층 건물의 외벽면을 세정하거나, 도장하거나 또는 누수 보수작업시 작업자가 걸터 앉는 작업대 이고,In the drawing,
28은 제1체결부재(21b)에 형성되고, 제1연장편(19)에 제2연장편(20)을 밀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해 제1체결부재(21b)를 제1너트(24)에 나사결합시켜 체결할 경우, 제1체결부재(21b)가 축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이다.28 is formed on the first fastening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using a wire rope pulling apparatus for an outer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로커(21) 및 제2로커(22)의 로킹상태를 해제시켜 제1프레임(12) 및 제2프레임(17)을 힌지(15)를 중심축으로 하여 벌린 후, 고층 건물의 옥상 난간에 설치된 난간대(10) 외주연에 제1지지편(11) 및 제2지지편(16)을 밀착시킨다.The first and
이때, 제1,2지지편(11,16) 내주연에 형성된 제1,2패드(26,27)에 의해 난간대(10)로부터 제1,2지지편(11,16)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전술한 제1로커(21)의 로킹에 의해 제1프레임(12)에 대해 제2프레임(17)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제1로커(21)의 제1손잡이(21a)를 파지하여 제1체결부재(21b)를 제2프레임(17)의 제2연장편(20)에 형성된 관통공(20a)을 통과시킨 후, 제1프레임(12)의 제1연장편(19) 외측면에 형성된 제1너트(24)에 나사결합시켜 체결한다.The
따라서, 제1,2프레임(12,17)의 제1,2지지편(11,16)이 난간대(10) 외측면에 밀착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and
전술한 제2로커(22)의 로킹에 의해 난간대(10) 외주연에 밀착된 제1,2지지편(11,16)을 고정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fix the first and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로커(22)의 제2손잡이(22a)를 파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2프레임(17)의 제2연장편(20) 외측면에 형성된 제2너트(25)에 나사결합된 제2로커(22)의 제2체결부재(22b)가 축방향으로 전진이동하게 된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체결부재(22b)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체결부재(22b) 내측단에 연결된 제2지지편(16)을 난간대(10)에 대해 가압하게 되므로 난간대(10) 외주연에 밀착된 제1,2지지편(11,16)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The second supporting
따라서,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A)를 고층 건물의 옥상 난간에 설치된 난간대(10)에 고정하는 작업이 종료된다.Thus, the work of fixing the outer wall wire rope towing device A to the
한편, 난간대(10)로부터 와이어로프 견인장치(A)를 분리하는 것은, 난간대(10)에 와이어로프 견인장치(A)를 고정하는 순서와 역순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of the wire rope towing device A from the
전술한 와이어로프 견인장치(A)를 난간대(10)에 설치함에 따라 일단이 고층 건물의 옥상 일측에 고정된 와이어로프(13) 타단을 제1,2회전롤러(14,18)를 통과시켜 지면에 거의 닿도록 하강시킨다.When the wire rope pulling apparatus A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이때, 작업자가 걸터 앉는 작업대(23)를 옥상 난간으로부터 지면쪽으로 조금씩 하강 가능하도록 와이어로프(13)에 고정하되 작업대(23)를 와이어로프(13)를 따라 조금씩 하강 가능하게 고정하는 기술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echnique for fixing the work table 23 to the
따라서, 작업대(23)에 걸터 앉은 작업자가 와이어로프(13)를 따라 조금씩 하강하면서 고층 건물의 외벽면을 세정하거나, 누수부위 등을 보수작업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worker who sits on the work table 23 descends little by little along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대(23)에 걸터 앉아 와이어로프(13)를 따라 조금씩 하강하면서 고층 건물 외벽면의 소정작업을 종료한 경우 지상에서 와이어로프(13)로부터 작업대(23)를 분리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고층 건물의 외벽면 작업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옥상에서 와이어로프(13)를 견인하여 끌어올리게 될 경우 제1,2회전롤러(14,18)에 의해 쉽게 견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옥상에 위치한 작업자가 일단이 옥상 임의위치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에 거의 닿은 상태(일 예로서, 와이어로프(13)의 길이는 100∼ 200m 임)의 와이어로프(13)(이때 작업대(23)는 와이어로프(13)로부터 분리된 상태임)를 견인하여 끌어올릴 경우, 제1,2프레임(12,17)에 회전자재토록 장착된 제1,2회전롤러(14,18)를 통과시켜 견인하게 된다.The
이로 인해, 와이어로프(13)와 제1,2회전롤러(14,18)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에 따라 중량체의 와이어로프(13)를 쉽게 견인할 수 있게 된다.This minimizes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따라서, 작업자가 옥상에서 중량체의 와이어로프(13)를 제1,2회전롤러(14,18)를 통과시켜 견인함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쉽게 견인시켜 끌어올릴 수 있어 작업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worker pulls the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ure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난간대
11; 제1지지편
12; 제1프레임
13; 와이어로프
14; 제1회전롤러
15; 힌지
16; 제2지지편
17; 제2프레임
18; 제2회전롤러
19; 제1연장편
20; 제2연장편
21; 제1로커
22; 제2로커
23; 작업대
24; 제1너트
25; 제2너트
26; 제1패드
27; 제2패드
28; 스토퍼(stopper)10; Railing
11; The first supporting piece
12; The first frame
13; Wire rope
14; The first rotating roller
15; Hinge
16; The second support piece
17; The second frame
18; The second rotating roller
19; The first extension
20; The second extension
21; The first locker
22; The second locker
23; bench
24; The first nut
25; The second nut
26; The first pad
27; The second pad
28; Stopper
Claims (2)
상기 난간대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호형태의 제1지지편이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를 견인시 지지하는 제1회전롤러;
일단이 힌지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난간대 외주연에 밀착지지되는 호형태의 제2지지편이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로프를 견인시 지지하는 제2회전롤러;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연장편에 상기 제2프레임 타단에 형성되는 제2연장편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1로커;
상기 제2프레임의 제2연장편을 관통하여 상기 제2지지편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난간대 외주연에 상기 제1,2지지편을 밀착시켜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2로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ulling device for pulling a wire rope which is detachably fixed to a railing of a building roof and on which a workbench on which a worker sits is fixed,
A first frame having an arc-shaped first support piece, which is suppor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lancer,
A first rotating roller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supporting the wire rope when towed;
A second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frame by a hinge and having an arc-shaped second support piece closely contacted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lancer to be movable therein;
A second rotating roller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supporting the wire rope when towed;
A first rocker detachably fixing a second extens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rame to a first extensio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ame;
A second frame extending through the second elongated portion of the second frame to movably support the second supporting piece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econd frame for detachably fix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iece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lancer, A wire rope pulling device for an outer wall.
상기 제1,2지지편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난간대 외주연에 상기 제1,2지지편을 밀착시켜 고정시킬 경우 상기 난간대로부터 상기 제1,2지지편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2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용 와이어로프 견인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ece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eces,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eces are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rail, 2 wire rope pulling apparatus for an outer wa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638A KR101927241B1 (en) | 2018-09-03 | 2018-09-03 | friction draft gear of wire rope for outer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4638A KR101927241B1 (en) | 2018-09-03 | 2018-09-03 | friction draft gear of wire rope for outer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7241B1 true KR101927241B1 (en) | 2018-12-11 |
Family
ID=6467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4638A KR101927241B1 (en) | 2018-09-03 | 2018-09-03 | friction draft gear of wire rope for outer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724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3811B1 (en) * | 2021-05-21 | 2021-08-25 | 김대웅 | supporting apparatus |
GB2595254A (en) * | 2020-05-19 | 2021-11-24 | Terlok Ltd | Lifting assembly |
KR200498340Y1 (en) * | 2024-02-28 | 2024-09-06 | 오동민 | Movable Rope Pulling-up Machin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2980B1 (en) | 2014-02-20 | 2014-12-15 | 한국기계연구원 | Weight clamping type Gondola Hanger for Building facade maintenance |
US20150239717A1 (en) | 2014-02-26 | 2015-08-27 | John Hayes | Wall Mountable Pulley Device |
-
2018
- 2018-09-03 KR KR1020180104638A patent/KR10192724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2980B1 (en) | 2014-02-20 | 2014-12-15 | 한국기계연구원 | Weight clamping type Gondola Hanger for Building facade maintenance |
US20150239717A1 (en) | 2014-02-26 | 2015-08-27 | John Hayes | Wall Mountable Pulley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95254A (en) * | 2020-05-19 | 2021-11-24 | Terlok Ltd | Lifting assembly |
GB2595254B (en) * | 2020-05-19 | 2023-06-21 | Terlok Ltd | Lifting assembly |
KR102293811B1 (en) * | 2021-05-21 | 2021-08-25 | 김대웅 | supporting apparatus |
KR200498340Y1 (en) * | 2024-02-28 | 2024-09-06 | 오동민 | Movable Rope Pulling-up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7241B1 (en) | friction draft gear of wire rope for outer wall | |
KR100991201B1 (en) | Elbow clamping equipment for elbow pipe automatic welding equipment | |
CA2293982C (en) | Support for mounting a tool on a pipe | |
US5020183A (en) | Cleaning apparatus for a process vessel | |
GB2585315A (en) | Adjustable tool support clamp | |
CA2445019A1 (en) | Mobile scaffolding brake | |
BRPI0601516A (en) | marine pipe disposal system for laying offshore pipe, method for laying offshore pipe, lifting device, method for lifting a load, and method for connecting a first object and a second object to a connection | |
US10238899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 operator from a building | |
KR100965938B1 (en) | Manhole lifter | |
US20240217788A1 (en) | Line roller assembly | |
DE102013113238A1 (en) | Luminaire device for a vehicle lift | |
CN209793300U (en) | Steel construction surface rust cleaning device | |
WO1987001426A1 (en) | Pipe-laying tool | |
US2310255A (en) | Pipe handling equipment | |
RU138511U1 (en) | ELECTRIC SUPPORT JACK | |
CN213595162U (en) | Portable building material clamping device | |
CN218078499U (en) | Hand-held auxiliary spraying device for dye penetrant inspection agent | |
KR20160108012A (en) | Heavy clamp device | |
GB2182898A (en) | A robot | |
CN217078716U (en) | Auxiliary connecting tool for longitudinal bars of reinforcement cage | |
CN209907995U (en) | Intelligent outer wall cleaning equipment for building | |
CN204609749U (en) | Multifunctional mobile maintenance platform | |
CN216207785U (en) | Oil sampling device of large power transformer | |
CN111781205B (en) | Boats and ships raw and other materials verifying attachment | |
KR200456519Y1 (en) | Guiding Apparatus for Pulling U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