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637B1 - Method for controlling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le commu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le commu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637B1
KR101926637B1 KR1020160114570A KR20160114570A KR101926637B1 KR 101926637 B1 KR101926637 B1 KR 101926637B1 KR 1020160114570 A KR1020160114570 A KR 1020160114570A KR 20160114570 A KR20160114570 A KR 20160114570A KR 101926637 B1 KR101926637 B1 KR 101926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ission
terminal
heterogeneous
compa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7231A (en
Inventor
한민규
안영희
여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니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니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니셀
Priority to KR1020160114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637B1/en
Publication of KR2018002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3Protocol definition or spec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6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transport layer [OSI layer 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단말기에서 생성된 미션 데이터를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션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기종 디바이스간에 호환을 위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는, 헤더 데이터, 서브 헤더 데이터 및 바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기종 디바이스간에 호환을 위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가 타 단말기에서 대응되는 구조의 좌표, 회전, 스케일을 갖게 해석 및 출력되도록 멀티 미디어인 오브젝트의 현재 화면에서의 좌표의 상대값을 나타내는 정보인 오브젝트 좌표 데이터, 오브젝트 위치 데이터, 오브젝트 회전 데이터, 오브젝트 트랜지션 데이터를 상기 서브 헤더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mission data generated at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server; Generating response data for the mission data; Converting the response data to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for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transmitting the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o the server, wherein the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includes header data, subheader data, and body data, Wherein the step of converting the response data into the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the response data from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storing object coordinate data, object position data, object rotation data, and object transition data, which are information indicating relative values of coordinates, in the subheader data; About The.

Figure R1020160114570
Figure R1020160114570

Description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LE COMMU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 control method in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nd a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of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 control method in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nd a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of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ll be.

최근에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및 구성품을 구비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많은 동작들을 행할 수 있게 구성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s configured to have various kinds of sensors and components, and is configured to perform many operations accordingly.

또한, 많은 창업자들이 스마트폰용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있어, 게임, 운동, 영화, 학습 등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many entrepreneurs are developing programs for smartphones, making them more versatile for games, sports, movies, and learning.

이중에서도 학교의 주5일 수업제의 전면시행에 따른 교과 외 학습활동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학교 외부에서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체험학습(예를 들어, 봉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학생들의 체험 학습 내지 봉사활동의 결과가 내신 및 대학 입학 학력 평가에 반영되는 흐름에서 이러한 체험학습에 대한 활동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개발이 더 요청되고 있다.As the necessity of extra-curricular learning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5-day weekly school system of schools is emerging, the need for creative and diverse forms of experiential learning outside the school (for example, servic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and system for systematically recording and managing the activities of experiential learning in the flow of experience and volunteer activities reflected in the 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admissions.

이에 따라, 한국특허 공개 10-2015-0000262 "체험활동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5-0000262 "Experience Activ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그런데, 체험 학습을 도와주는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조율의 운영 프로그램으로 구동되고 있으며, 이들간에는 화면 기준 좌표계가 상이하여 화면을 공유할 경우 문제가 발생하여 실시간 미션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However, mobile terminals that support experiential learning are driven by a variety of coordinated operation programs, and there is a problem when a screen is shared because the screen reference coordinate system is different therebetween, so that real-time mission synchronization is not perform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기종간의 결과물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capable of real-time sharing of different kinds of results, a control method in a mission- And a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외부 단말기에서 생성된 미션 데이터를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션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기종 디바이스간에 호환을 위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는, 헤더 데이터, 서브 헤더 데이터 및 바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기종 디바이스간에 호환을 위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가 타 단말기에서 대응되는 구조의 좌표, 회전, 스케일을 갖게 해석 및 출력되도록 멀티 미디어인 오브젝트의 현재 화면에서의 좌표의 상대값을 나타내는 정보인 오브젝트 좌표 데이터, 오브젝트 위치 데이터, 오브젝트 회전 데이터, 오브젝트 트랜지션 데이터를 상기 서브 헤더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mission data generated by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server; Generating response data for the mission data; Converting the response data to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for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transmitting the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o the server,
Wherein the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includes header data, subheader data, and body data, and the step of converting the response data to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for compatibility between the heterogeneous devices comprises: Object coordinate data, object position data, object rotation data, object data, which is information indicating a relative value of coordinates on the current screen of the object which is a multimedia object, such that data is interpreted and output with coordinates, And including transition data in the subheader data.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헤더 데이터는, 단말기 아이디 데이터, 시퀀스 데이터, 오브젝트 타입 데이터 및 타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ader data may include terminal ID data, sequence data, object type data, and time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DPI를 기준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단말기와, Pixel을 기준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단말기 간의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의 오브젝트 호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 미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함으로써, 미션 참여형 게임 또는 참여 학습이 간으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bjects compatible with images such as images, texts, moving images, and the like between a terminal that sets a coordinate based on a DPI and a terminal that sets coordinates based on a pixel are made compatible, By synchronizing the mission data in real tim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mission-participating game or participatory learning is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응답 데이터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10 내지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단말기에서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통신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among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in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to 9 are diagrams showing data structures of response data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6 illustrate operations in a terminal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method in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nd a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of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미션 데이터(체험 학습 진행을 위한)를 처리하는 통신 시스템은, 미션 단말기(10), 미션을 실행하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 그리고, 미션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 호환 작업을 하는 통신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 a communication system for processing mission data (for experiential learning progres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ssion terminal 10, a first terminal 100 executing a mission, 2 terminal 200, and a communication server 300 that processes mission data and performs data compatibility work.

미션 단말기(10),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는 각각 상이한 운영 프로그램으로 운영될 수 있다. 즉 iOS나 안드로이드 iOS/PAD, 안드로이드 패드, Window Mobile 등의 운영 프로그램이 동작되며, 이하에서 이기종 디바이스 또는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란, 운영 프로그램이 상이하거나 화면 좌표계(pixel 좌표계 또는 dpi 좌표계)가 상이한 것을 의미한다. The mission terminal 10,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ay each be operated with a different operating program. In other words, operating programs such as iOS and Android iOS / PAD, Android pad, Window Mobile and the like are operated. Hereinafter, a heterogeneous device or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ans that the operating program is different or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pixel coordinate system or dpi coordinate system) is different do.

미션 단말기(10)는 체험학습 운영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 교사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이다. 일반적인 스마트폰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서버(300)로 미션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로 미션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서버(3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로부터 미션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미션 단말기(10)에 미션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의 체험학습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mission terminal 10 is a terminal held by a teacher in operating an experiential learning operation program.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general smart phone and transmits mission data to the server 300 and broadcasts miss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server 300 receives data including response data for the mission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miss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n real time.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종 단말기로서, 체험학습 프로그램에서 학생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이다. 미션 단말기(10) 또는 통신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미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미션을 수행(예컨대, 이미지 저장, 텍스트 데이터 입력, 동영상 저장, 필기 입력등)하여 이루어진 응답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신 서버(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들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re heterogeneous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and are terminals held by the student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E.g., image storage, text data input, moving image storage, handwriting input, etc.) by receiving the mission data received from the mission terminal 10 or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and transmitting the response data to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data to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Th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nd FIGS. 10 to 16. FIG.

서버(300)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응답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계층화시키고 병합시켜서 팀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및 미션 단말기(10)를 동기화시켜서, 체험학습을 진행함에 있어 팀이 현동하여 미션을 풀어가는 기능을 한다.The server 300 generates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by layering and merging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including the respons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mission terminal 10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to perform the experiential learning.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300)는 우선 미션 데이터를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에 각각 전송한다(S31, S32). 이 미션 데이터는 체험학습을 위한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전술한 미션 단말기(10)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서버(300)가 수신하여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에는 수행하여야 할 미션이 표시된 미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학생들은 이를 보고 응답 데이터를 각각 생성한다(S11, S21). 이러한 응답 데이터로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및 음성 데이터 또는 선분데이터(필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말기 제어부에서는 응답 데이터를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와 제 2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는 화면 좌표계가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가 상이하므로, 공통된 좌표계로 표시되는 응답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에 대한 예시는 도 5내지 도 9에서 설명하도록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들은 통신 서버(300)로 전송된다(S12, S22). 통신 서버(30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제 1 및 제 2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계층화하고 병합시켜서 팀 캔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S33), 이를 이용하여 팀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한다(S34). 생성된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는 제 1 및 제 2 단말기(200)로 각각 전송됨으로써,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에는 각각 자신의 응답 데이터 뿐 아니라 팀원의 응답 데이터가 표시되게 된다(동기화되게 된다)(S35, S36, S13, S23). 이러한 팀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는 미션 단말기(10)에도 전송되어서, 제 1단말기, 제 2 단말기(200) 및 미션 단말기(10)가 모두 동기화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동기화되게 되면,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즉, 오브젝트의 변경 입력 신호), 타 단말기에도 오브젝트의 변경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among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server 300 first transmits mission data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respectively (S31 and S32). The mission data includes contents for experiential learning. The server 300 receives the data generated by the mission terminal 1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ission data indicating a mission to be perform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tudents generate and generate response data, respectively (S11, S21). Such response data may include text data, image data, moving image and voice data, or segment data (handwritten data). Each terminal control unit converts response data into first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and second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Since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is different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is used for converting into response data represented by a common coordinate system. An example of the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IG. Thes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ar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S12, S22).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generates team canvas data by layering and merging the first and second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n step S33, To generate metadata of the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S34). The generated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0 so that not only the response data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but also the response data of the team members are displayed (Synchronized) (S35, S36, S13, S23). The metadata of the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is also transmitted to the mission terminal 10 so that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mission terminal 10 are all synchronized. In this manner, when a user input signal is generated in any one of the terminals (that is, a change input signal of the object), the object is changed in real time to the other terminal.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에서의 동작인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which is an operation i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설명되는 동작은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에서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s described in FIG. 3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팀 미션 체험 앱을 저장하고 실행을 한다(S41). 여기서 팀 미션 체험 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체험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앱일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외부 단말기(미션 단말기(10)) 또는 서버(300)로부터 미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42). 이 상태에서 학생들은 제 1 단말기(100)를 통해 응답 데이터를 생성한다(S43). 응답 데이터는 예컨대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음성 데이터 또는 필기 입력 데이터(이들을 오브젝트라 할 수 있다) 등이 될 수 있다. 그 다음, 이들 오브젝트의 서브 헤더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서브 헤더 데이터로서, 상대 좌표 정보 및 회전 정보, 그리고 오브젝트 스케일 데이터 정보 등을 생성한다(S44, S45, S46). 이러한 서브 헤더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화면 좌표계를 나타내는 인자들이다. 이렇게 서브 헤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전송한다(S47, S48). 이들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의 예를 도 5 내지 9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3, the team mission experience app is stored and executed (S41). Here, the team mission experience app may be an app for conducting experiential learning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the miss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mission terminal 10) or the server 30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42). In this state, the students generate response data through the first terminal 100 (S43). The response data may be, for example, an image obtained through a camera module, text input through a user input unit, voice data, or handwriting input data (these may be objects). Then, subheader data of these objects is generated. Relative coordinate information, rotation information, and object scale data information as the subheader data (S44, S45, S46). These subheader data are parameters indicating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of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ubheader data is generated, and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is generated using the generated subheader data and transmitted (S47, S48). Examples of thes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이하에서는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로부터 획득된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는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3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er 300 compatible with the heterogeneous devices using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acquir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do.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300)에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로 부터 각각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S5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는, 헤더 데이터와, 서브헤더 데이터, 그리고 바디로 구성되며, 여기서 서브 헤더 데이터는 화면 좌표계에 관련된 정보이다. 이 서브 헤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팀 캔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S52). 팀 캔버스 데이터는 상기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에 대한 계층화 및 병합단계를 거쳐서 생성된다. 그 다음, 캐싱 모듈을 위한 푸쉬 방식으로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및 이동 통신 서버(300)를 동기화한다. 즉, 생성된 팀 캔버스 데이터에 캐싱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캔싱데이터가 있으면, 캐싱 모듈과 통신하여 멀티 미디어 오브젝트를 수집하고, 캐싱데이터가 없으면, 캐싱 데이터를 서버(300)에서 생성하여 멀티 미디어 오브젝트를 수집한다(S53, S54, S55). 그리고 캐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한 멀티 미디어 오브젝트(즉, 응답 데이터)를 팀 캔버스 데이터에 대한 계층화 및 병합단계를 거쳐서 팀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여 동기화를 진행하게 된다.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in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er 300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respectively (S51).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is composed of header data, subheader data, and a body, wherein the subheader data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The team canvas data is generated using the subheader data (S52). Team canvas data is generated through layering and merging of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hen,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er 300 are synchronized in a push manner for the caching module.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caching data exists in the generated team canvas data. If there is the caching data, the multimedia object is collected by communicating with the caching module. If there is no caching data, the caching data is generated in the server 300, (S53, S54, and S55). Then, the multimedia data object (i.e., response data) acquired using the caching data is layered and merged with the team canvas data to generate the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and the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is transmitted and synchronized.

이하에서는, 상술한 공통된 화면 좌표계를 구비하여 이종 디바이스간 호환가능하게 하는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data structure of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mmon screen coordinate system to make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ig.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들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의 헤더 데이터를 예시한다.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는 헤더 데이타, 서브 헤더 데이터 및 바디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더 데이타는 기본적으로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의 아이디 및 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구성되며, 서브 헤더 데이터는 화면 좌표 정보와 오브젝특 특성 정보를 포함하며, 바디 데이터에는 오브젝트 데이터가 포함된다. 5 to 9 illustrate data structures of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header data of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includes header data, subheader data, and body data. The header data is basically composed of data indicating the ID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he subheader data includes screen coordinate information and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body data includes object data.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아, 헤더 데이터는, 캔버스 아이디 정보, 유저 아이디 정보(단말기 아이디 정보), 시퀀스 정보, 오브젝트 종류 정보 및 타임 스템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캔버스 아이디 정보는 통신 서버(300)에서 생성되는 팀 캔버스 데이터의 아이디 정보로서, 통신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 생성시 바로 팀 캔버스 아이디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 아이디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를 구별하기 위한 정보이고, 시퀀스 정보는 캔버스에 그린 순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오브젝트 종류 정보는, 오브젝트가 선인지, 글자인지, 이미지인지 등을 구별하기 위한 정보이다.As shown in FIG. 5, the header data includes canvas ID information, user ID information (terminal ID information), sequence information, object type information, and time stamp information. Here, the canvas ID information is the ID information of the team canvas data generated by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and when receiving the canvas ID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generates the team canvas ID immediately upon generating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he user ID is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The sequen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 pure number drawn on the canvas. The object type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object is a line, And the like.

도 6 내지 도 9는 서브 헤더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도 6의 경우, 오브젝트가 텍스트인 경우이다. 여기서 ponit_x 및 point_y(11)는 좌표의 상대값을 나타내는 정보로로서, 오브젝트 좌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정보들은 예컨대 font_name 등은 오브젝트의 아이디 또는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12)이다. 6 to 9 show the structure of subheader data. In the case of FIG. 6, the object is a text. Here, ponit_x and point_y (11) are information indicating relative values of coordinates, and can be referred to as object coordinate data. The remaining information is, for example, font_name or the like, which is information 12 indicating the ID or characteristic of the object.

도 7은 오브젝트가 이미지인 경우이다. 여기서 ponit_x 및 point_y(21)의 상대값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오브젝트 좌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즉 ponit_x 및 point_y(21)는 디스플레이 일측 및 타측의 전체 길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로서, 서브 헤더 데이터는 새로운 좌표계 정보를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width와 height(22)는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한다. 그리고, trans_a 내지 cy(24) 등은 이미지의 회전, 스케일, 변이 등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오브젝트 회전 데이터, 오브젝트 스케일 데이터 및 오브젝트 트랜지셔션 데이터에 해당한다. 또한 여기에는 오브젝트 아이디와 이미지 경로 정보(23)가 포함된다. 7 shows a case where the object is an image. Here,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relative values of ponit_x and point_y (21) can be referred to as object coordinate data. In other words, ponit_x and point_y (21) are coordinates indicating positions relative to the entire lengt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and the subheader data includes new coordinate system information. The width and height (22) correspond to information indica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object. The trans_a to cy (24) and the like correspond to the object rotation data, the object scale data, and the object transient data, which indicate the rotation, scale, and variation of the image. Also, an object ID and image path information 23 are included.

도 8은, 오브젝트가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인 경우이다. 여기서 ponit_x 및 point_y(31)는 좌표의 상대값을 나타내는 정보로로서, 오브젝트 좌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width와 height(32)는 오브젝트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한다. 그리고, trans_a 내지 cy(34) 등은 이미지의 회전, 스케일, 변이 등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오브젝트 회전 데이터, 오브젝트 스케일 데이터 및 오브젝트 트랜지션 데이터에 해당한다. 8 shows a case where the object is audio / video data. Here, ponit_x and point_y (31) are information indicating relative values of coordinates and can be referred to as object coordinate data. The width and height (32) correspond to information indicat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object. The trans_a to cy (34) and the like correspond to the object rotation data, the object scale data, and the object transition data, which indicate the rotation, scale and variation of the image.

또한 여기에는, 썸네일 이미지 경로와 비디오 경로(33-1,33-2)가 포함된다. This also includes a thumbnail image path and video paths 33-1 and 33-2.

도 9는 오브젝트가 선인 경우이다(예컨대 필기 입력등. 여기서 ponit_x 및 point_y(31)는 좌표의 상대값을 나타내는 정보로로서, pen_color는 선색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의 특성을 나타낸다.9 shows a case where an object is a line (for example, handwriting input, etc. Here, ponit_x and point_y (31) are information indicating relative values of coordinates, and pen_color indicates the characteristic of an object representing a color.

이하에서는, 상술한 동작 및 제어방법이 적용된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을 도 10 내지 도 16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in a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a heterogeneous device to whic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to FIG.

도 10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단말기에서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미션 데이터를 미션 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제 1 단말기(100)의 미션 수행 화면(40)이다. 즉, 미션 데이터를 수신한 제 1 단말기(100)는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특정 명령어를 입력하면 도 11의 화면으로 화면 전환된다. 도 11은 미션 이행 화면이다. 이 미션 이행 화면에는 4개의 미션 블록(51~54)이 포함된다. 본 예에서는 미션 블록이 4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미션 블록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미션 블록은 각팀이 이행하여야 할 미션을 나타낸다. 예컨데 제 1블록(51)은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블록(52)은 제 2 단말기(200)가, 제 3 블록(53)은 제 3 단말기가, 제 4 블록(54)은 제 4 단말기가 이해하여야할 미션이 표시된다. 10 to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in a terminal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mission execution screen 40 of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ing mission data from the mission terminal 10. That is,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ing the mission data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Then, when the user inputs a specific comman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screen of FIG. 11 is a mission execution screen. The mission transfer screen includes four mission blocks 51 to 54. In this example, the number of mission blocks is fo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wo or more mission blocks may be included. Each mission block represents a mission that each team must fulfill. For example, the first block 51 is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cond block 52 is the second terminal 200, the third block 53 is the third terminal, the fourth block 54 is A mission to be understood by the fourth terminal is displayed.

이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하여야 할 미션을 실행한다. 예컨대,안드로이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여 올리거나, 또는 동영상을 올릴 수 있다. 이렇게 다수의 단말기에서 이행되는 미션들은 실시간으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표시되게 되며, 실시간 동기화를 거쳐 도 14와 같이 팀협동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즉, 학생 단말기 또는 수행 단말기) 뿐만 아니라 미션 단말기에도 도 14와 같은 화면이 동기화되므로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executes the mission to be performed by himself / herself. For example, an Android phone can be used to photograph and upload an image, or upload a moving image. The missions execut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displayed in real time as shown in FIG. 12 and FIG. 13, and the team cooperative missions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14 through real time synchronizati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4 is synchronized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e., the student terminal or the executing terminal) as well as the mission terminal, so that it can be confirmed.

한편 도 15 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와 본 발명에 따른 경우의 화면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dpi 단위를 사용하는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pixel 단위를 사용한 제 2 단말기와 동기화 했을 경우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기화했을 경우이다. 도 15에서는, 응답 데이터들의 해석이 서로 상이하여 크기와 회전 정보, 원좌표값의 정보 왜곡으로 디스플레이상에서 잘려서 보이거나 크기가 변형되며, 도 16에서는 응답 데이터의 표시가 정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15 and 16 illustrate a general case n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reen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shows a case where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using the dpi unit is synchronized with the second terminal using the pixel unit, and FIG. 16 shows a case where the information is synchronized using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n FIG. 15,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ponse data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ize, the rot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distortion of the circle coordinate value are cut off or deformed on the display, and the response data is displayed properly in FIG.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동작을 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통신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operate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통신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통신 시스템은 크게 단말기(100)와 통신 서버(300)로 구성된다.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communication system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rminal 100 and a communication server 300.

여기서 단말기(100)는 상술한 제 1 단말기(100) 또는 제 2 단말기(200)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100 may be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user input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memory 140, and a controller 150.

통신부(110)는, 통신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미션 데이터,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 및 팀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mission data,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and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사용자 입력부(120)는, 본 발명에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키버튼,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이 경우 디스플레이부 기능을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자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미션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input unit 120 is for generating response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 button, a keypad, or a touch screen (in this case, serving as a display unit). The learner can generate response data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0. [

디스플레이부(130)는, 미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사용자 입력부에서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기능도 구비하게 된다. The display unit 130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mission data, and is a component for display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user input unit. When the display unit 13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function of the user input unit is also provided.

메모리(140)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은 이종 단말기, 즉 운영 프로그램이 상이한 단말기간의 오브젝트 호환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모리에는 iOS 또는 안드로이드 등의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그 종류에 상관이 없이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memory 140 is a component for storing an operation program for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various data.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object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terminals, that is, terminals whose operating programs are different. Therefore, an operating program such as iOS or Android i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type.

제어부(150)는 단말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 미디어 오브젝트 분석부(151), 상대 좌표 해석 모듈(153), 회전 정보 해석 모듈(155), 및 멀티 미디어 데이터 처리부(1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elative coordinate analysis module 153, the rotation information analysis module 155, and the multimedia data processing unit 157.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미션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타기종과 호환가능하도록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오브젝트의 화면 좌표를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대 좌표 데이터, 회전 정보등을 생성하여 이들을 서브 헤더 데이터로 하여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서버(300)에서 전송되는 팀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에 의해 타 단말기(즉, 제 2 단말기 :200) 및 통신 서버(300)와 동기화 되어서, 디스플레이부(130)에는 타단말기(200)의 응답 데이터가 화면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50 converts the response data for the mission data into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so as to be compatible with other models. Relative coordinate data, rot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generated to precisely coordinate the screen of the object, and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is generated using these as subheader data, and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is synchronized with other terminals (i.e.,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by the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al time.

통신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데이터 베이스(320), 캐싱 모듈(330), 및 서버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server 300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 a database 320, a caching module 330, and a server control unit 340.

서버 통신부(310)는, 미션 단말기(10) 및 상기 단말기(1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션 단말기(10)로 부터 미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100)와는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 및 팀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기능을 한다.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mission terminal 10 and the terminal 100 and receives mission data from the mission terminal 10 and transmits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And the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데이터 베이스(320)는, 각종 자료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아이디 정보, 팀 아이디 정보(캔버스 통합 아이디), 미션 단말기(10)의 아이디 정보등의 회원 정보를 저장할 뿐 아니라, 미션 데이터의 데이터 베이스 정보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The database 320 is a kind of memory for storing various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member information such as the ID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team ID information (canvas integration ID), the ID information of the mission terminal 10, but also the database information of the mission data is stored.

캐싱 모듈(330)은 이동 통신 단말기들간의 동기화 과정에 있어서, 시스템의 과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푸쉬 방식으로 캐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에서 멀티 미디어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에 전송되어서 멀티 미디어 오브젝트의 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The caching module 330 functions to generate a multimedia object in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using caching data in a push method in order to reduce the overload of the system in the synchronization process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metadata of the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synchronization of the multimedia objects is performed.

서버 제어부(340)는, 멀티 미디어 오브젝트 분석부(341), 동기화부(343), 데이터 캐싱부(345), 및 캔버스 정합부(34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버 제어부(340)는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중접시켜 팀 캔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팀 캔버스데이터에 멀티 미디어 오브젝트를 결합하여 팀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하여 동기화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The server control unit 340 may include a multimedia object analyzer 341, a synchronization unit 343, a data caching unit 345, and a canvas matching unit 347. That is, the server control unit 340 generates team canvas data by concatenating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combines the multimedia object with the team canvas data to generate team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 to perform synchronization.

이 때,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의 서브 헤더 데이터에는 화면 좌표계 관련 데이터, 즉, 오브젝트 좌표 데이터, 오브젝트 위치 데이터, 오브젝트 회전 데이터, 오브젝트 스케일 데이터, 및 오브젝트 트랜지션 데이터를 포함하게 되며, 이들로 인해 이기종간에도 화면 좌표계가 동일하게 되어서, 오브젝트의 호환이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subheader data of the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includes data related to the screen coordinate system, that is, object coordinate data, object position data, object rotation data, object scale data, and object transition data,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screen becomes the same, and the compatibility of the objects becomes possible.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DPI를 기준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단말기와, Pixel을 기준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단말기 간의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등의 오브젝트 호환이 이루어지게 되어서, 이기종 단말기 사이에서도 미션 참여형 게임 또는 참여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bjects compatible with images such as images, texts, moving images, and the like between a terminal for setting coordinates based on DPI and a terminal for setting coordinates based on a Pixel are made compatible, It is possible to participate in a mission-participating game or participation learning among heterogeneous terminals.

상기와 같이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method of the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atible with the heterogeneous devices, the control method in the mission-participa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er compatible with the heterogeneous devices, and the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of synchronizing the mission data between the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embodiments and the methods of the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 미션 단말기
100 :제 1 단말기
200 : 제 2 단말기
300 : 통신 서버
10: mission terminal
100: First terminal
200: second terminal
300: communication server

Claims (11)

외부 단말기에서 생성된 미션 데이터를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션 데이터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기종 디바이스간에 호환을 위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는, 헤더 데이터, 서브 헤더 데이터 및 바디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기종 디바이스간에 호환을 위해 상기 응답 데이터를 제 1 멀티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메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데이터가 타 단말기에서 대응되는 구조의 좌표, 회전, 스케일을 갖게 해석 및 출력되도록 멀티 미디어인 오브젝트의 현재 화면에서의 좌표의 상대값을 나타내는 정보인 오브젝트 좌표 데이터, 오브젝트 위치 데이터, 오브젝트 회전 데이터, 오브젝트 트랜지션 데이터를 상기 서브 헤더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Receiving mission data generated by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server;
Generating response data for the mission data;
Converting the response data to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for compatibility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And transmitting the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to the server,
The first multimedia transmission protocol metadata includes header data, subheader data, and body data,
Wherein the converting the response data to first multimedia transport protocol metadata for compatibility between the heterogeneous devices comprises:
Object coordinate data, object position data, and object rotation data, which are information indicating a relative value of coordinates on the current screen of the object, which is a multimedia object, such that the response data is interpreted and output so as to have coordinates, And including the object transition data in the subheader dat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데이터는,
단말기 아이디 데이터, 시퀀스 데이터, 오브젝트 타입 데이터 및 타임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er data includes:
A terminal ID data, sequence data, object type data, and time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14570A 2016-09-06 2016-09-06 Method for controlling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le commu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 KR101926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70A KR101926637B1 (en) 2016-09-06 2016-09-06 Method for controlling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le commu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70A KR101926637B1 (en) 2016-09-06 2016-09-06 Method for controlling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le commu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31A KR20180027231A (en) 2018-03-14
KR101926637B1 true KR101926637B1 (en) 2018-12-11

Family

ID=6166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70A KR101926637B1 (en) 2016-09-06 2016-09-06 Method for controlling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le commu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63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67B1 (en) * 2007-12-24 2009-06-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ynchonizing contents, server applied to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7159B2 (en) * 1994-01-27 2004-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Collaborative work support system
KR100809641B1 (en) * 2006-04-27 2008-03-05 한국방송공사 Method for exchanging contents between heterogeneous system and contents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274426B1 (en) * 2006-09-12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nference using white board service
KR100829810B1 (en) * 2006-09-15 2008-05-19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Game Object Information In Online Game
KR101407939B1 (en) * 2012-08-10 2014-06-1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Method of providing drawing conference service based on touch ev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rawing conference progra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67B1 (en) * 2007-12-24 2009-06-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ynchonizing contents, server applied to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31A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68674B (en) Screen casting annotation method and system
US11158057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cessing document
US20090257730A1 (en) Video server, video client devic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9727298A (en) Poster gen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8959164B (en) Server device,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mputer system and data integration method thereof
CN106843797A (en) The edit methods and device of a kind of image file
CN106462567A (en) Augmented data view
CN105653510A (en) Electronic homework corr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2312217A (en) Image edit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352600A (en) Large screen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WO2023016107A1 (en) Remote intera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8986117B (en) Video image segmentation method and device
CN104571782A (en) Remote control method, system, controlling terminal and controlled terminal
CN106027814A (en) Information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nd server
KR10192663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ile terminal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method for controlling in mission participation type moble commuication server being compatible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and smart experience learning method for synchronizing mission data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terminals
CN110418180B (en) Grouping-based screen projection display method and system and central control equipment
CN106326476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11766998B (en) Data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4025147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VR teaching,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245193A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0072615U (en) Immersive training system and wearable equipment
CN103336649A (en) Feedback window image sharing method and device among terminals
CN108108138B (en) Intelligent pen box,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241794B (en) Rectangular scene pla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5100826A (en) Pictur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