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081B1 -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 Return - Google Patents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 Retu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081B1
KR101926081B1 KR1020180053220A KR20180053220A KR101926081B1 KR 101926081 B1 KR101926081 B1 KR 101926081B1 KR 1020180053220 A KR1020180053220 A KR 1020180053220A KR 20180053220 A KR20180053220 A KR 20180053220A KR 101926081 B1 KR101926081 B1 KR 10192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luminum
module
recovery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케이지
이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케이지, 이규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케이지
Priority to KR102018005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0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0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1/00Obtaining aluminium
    • C22B21/0084Obtaining aluminium melting and handling molten aluminium
    • C22B21/0092Remelting scrap, skimmings or any secondary source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1/00Obtaining aluminium
    • C22B21/0007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or any other metal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4Working-up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02P10/2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which enables a cooling material to be automatically inputted in a process of recovering aluminum from dross. The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comprises: a recovery module (12) in which dross is inputted for aluminum to be separated; a cooling material forming module (11) in which treated remnants treated in the recovery module (12) are cooled to be treated; a conveyor means (14) transmitting a cooling material generated in the cooling material forming module (11) to the recovery module (12); and an input hopper (143) supplying the transferred cooling material to the recovery module (12).

Description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 Retur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본 발명은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드로스로부터 알루미늄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냉재가 자동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uminum recovering apparatus of a cold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uminum recovering apparatus of a cold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introducing a cold material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aluminum from a dross.

알루미늄의 용해 공정에서 발생하는 드로스(Dross)는 알루미늄을 녹이는 과정에서 용탕 표면에 산화물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알루미늄 드로스는 5 내지 60 %의 알루미늄을 비롯하여 알루미나, 알루미늄 질화물, 알루미늄 염화물, 알루미늄 합금 성분의 금속, MgF2, MgO 또는 다른 금속 성분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드로스는 공정 조건에 따라 다양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금속 성분으로 인하여 처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드로스를 재활용하거나, 다양한 금속 성분을 회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을 회수하는 장치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02279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용량으로부터 드로스 처리기로 투입하여 드로스로부터 알루미늄을 회수하기 위한 드로스 처리용 발열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하여 드로스 처리기로 이송된 드로스로부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회수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393109호는 알루미늄 스크랩을 이용하여 지금을 주조할 때 알루미늄 드로스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이를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다양한 형태의 드로스로부터 효율적으로 알루미늄을 회수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The dross generated in the dissolving process of aluminum can be formed into an oxid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molten metal in the process of melting aluminum. The aluminum dross includes alumina, aluminum nitride, aluminum chloride, metal of the aluminum alloy component, MgF 2 , MgO or other metal components, including 5 to 60% of aluminum. Aluminum dross may contain various components depending on process conditions, and it is difficult to process due to the various metal components contained therein.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a technique of recycling aluminum dross or recovering various metal components has been developed, and in particular, an apparatus for recovering aluminum is known in the field.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2279 discloses a heat flux for dross treatment for recovering aluminum from a dross into a dross processor from an aluminum or aluminum alloy capacity and a dross transferred to the dross processor using the flux A method for recovering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is disclosed. 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3109 discloses a method for reducing the occurrence of aluminum dross and casting it by using aluminum scrap and recycling it. However,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recovering aluminum from various types of dross.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02279호(2012년09월18일 공개) 드로스로부터 알루미늄을 회수하기 위한 드로스 처리용 발열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하여 드로스 처리기로 이송된 드로스로부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회수하는 방법Prior Ar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2279 (published on September 18, 2012) From heat flux for dross treatment for recovering aluminum from a dross and dross transferred to a dross processor using the flux Method for recovering aluminum or aluminum alloy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393109호(2014년05월13일 공고) 알루미늄 드로스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Prior Art 2: Patent Registration No. 10-1393109 (Published on May 13, 2014)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aluminum dross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 회수 과정에서 요구되는 냉재가 컨베이어를 통하여 자동으로 투입되어 회수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luminum recovering apparatus of a cold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for automatically introducing a coolant required in an aluminum recovery process through a conveyo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 recovery process.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는 드로스가 투입되어 알루미늄이 분리되는 회수 모듈; 회수 모듈에서 처리되고 남은 처리 잔여물이 냉각이 되어 처리되는 냉재 형성 모듈; 냉재 형성 모듈로부터 생성된 냉재를 회수 모듈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수단; 및 이송된 냉재를 회수 모듈로 공급하는 투입 호퍼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um recovery device of the cold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includes a collection module in which a dross is inserted and aluminum is separated; A cold forming module in which the processing residue remaining in the recovery module is cooled and processed; A conveyor means for conveying the cold material generated from the cold material forming module to the collection module; And a feed hopper for feeding the conveyed cool material to the collection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재 형성 모듈은 처리 잔여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 냉각 유닛에서 냉각된 드로스를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 형태로 만드는 킬른; 및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 유닛; 및 그래뉼 형태의 입자를 컨베이어 수단에 위치시키는 이송 공급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forming module comprises a cooling unit for cooling the process residue; A kiln that makes the droplets cooled in the cooling unit into different sized particles; And a sorting unit for sorting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And a conveyance supply unit for positioning the granular type of particles in the conveyor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수 모듈은 투입 호퍼로부터 이송된 냉재를 저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회수 유닛으로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yet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lection module further comprises a supply conditioning unit for storing the coolant transferred from the input hopper and regulating the supply to the at least one collec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냉재 형성 모듈로 처리 잔여물을 공급하는 반전 유닛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inversion unit for supplying the process residue to the cold formed material forming module.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회수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드로스로부터 알루미늄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는 알루미늄 회수 과정에서 요구되는 냉재가 자동으로 리턴이 되어 투입이 되는 것에 의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는 적절한 설계 변경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회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aluminum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and recover aluminum from various types of dross. Th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cess efficiency by automatically returning the coolant required for the aluminum recovery process and inputting the coolant. Also, th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covery devices by appropriate design change.

도 1은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에서 냉재의 자동 리턴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에 적용되는 금속 회수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에 적용되는 회수 알루미늄의 처리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of a cold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turn structure of the cold material in th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metal recovery device applied to th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covered aluminum treating structure applied to the recov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은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of a cold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는 드로스가 투입되어 알루미늄이 분리되는 회수 모듈(12); 회수 모듈(12)에서 처리되고 남은 처리 잔여물이 냉각이 되어 처리되는 냉재 형성 모듈(11); 냉재 형성 모듈(11)로부터 생성된 냉재를 회수 모듈(12)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수단(14); 및 이송된 냉재를 회수 모듈(12)로 공급하는 투입 호퍼(14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aluminum recovery apparatus of the cold material automatic return structure includes a collection module 12 in which a draw is inserted and aluminum is separated; A cold forming module 11 in which the processing residue remaining in the recovery module 12 is cooled and processed; Conveyor means (14) for conveying the cold material produced from the cold material forming module (11) to the collection module (12); And a feed hopper 143 for feeding the conveyed cool material to the collection module 12. [

드로스는 용해로(161)에서 수거 수단(162)에 의하여 수거되어 지게차와 같은 이동 수단에 의하여 회수 모듈(12)로 이동될 수 있다. 수거된 드로스는 도가니(C)에 수용되어 회수 모듈(12)에 위치될 수 있고, 회수 모듈(12)에서 알루미늄 산화물로부터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반응열로 분리시키는 예를 들어 테르밋 반응과 같은 분해 반응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분리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은 회수 모듈(12)의 아래쪽에 배치된 회수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회수된 처리 잔여물이 수용된 도가니는 도가니 이송 수단(132)에 의하여 냉재 형성 모듈(11)로 투입될 수 있다. 냉재 형성 모듈(11)에서 처리 잔여물이 냉각이 될 수 있고, 냉각이 된 처리 잔여물은 선별 스크린을 통과하면서 입도에 따라 분리될 수 있고, 냉재로 사용되기 위하여 그래뉼이 선별될 수 있다. 그래뉼 또는 분말 형태로 만들어진 드로스 잔여 처리물이 냉재로 사용될 수 있고 컨베이어 수단(14)에 의하여 회수 모듈(12)로 이송되어 투입될 수 있다. The dross may be collected by the collection means 162 at the melting furnace 161 and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module 12 by a moving means such as a forklift. The collected dross may be contained in the crucible C and placed in the collection module 12 and separated from the aluminum oxide in the collection module 12 by a decomposition reaction such as a thermite reaction in which the aluminum or aluminum alloy is separated into reaction heat Can be separated. The aluminum or aluminum alloy thus separated may be stored in a recovery storage unit disposed under the recovery module 12. The crucible containing the process residue from which aluminum or aluminum alloy is recovered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d forming module 11 by the crucible transfer means 132. In the cold forming module 11, the process residues can be cooled, and the cooled process residues can be sorted according to their particle size as they pass through the screen, and the granules can be screened for use as a coolant. The residual dross treated in the form of granules or powder can be used as a cold material and conveyed to the collection module 12 by the conveyor means 14 to be introduced.

회수 모듈(12)에서 드로스를 처리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도가니(C)의 내부가 높은 온도로 유지되면서 이와 동시에 과열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과열 방지를 위하여 냉재가 투입될 수 있고, 냉재는 냉재 형성 모듈(11)에서 냉각이 되어 그래뉼 또는 분말 형태로 만들어진 냉각 소재가 될 수 있다. 냉재 형성 모듈(11)에 냉각에 의하여 형성되어 선별된 그래뉼 형태의 냉재가 이송 공급 유닛(141)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회수 모듈(12)이 작동되면 컨베이어 수단(14)을 통하여 냉재가 공급될 수 있다. 냉재 형성 모듈(11)에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입자가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20 내지 30 메시(mesh)와 같은 미분, 2 내지 8 메시의 그래뉼 및 파쇄되지 않은 덩어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 It is necessary that the inside of the crucible C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aluminum or aluminum alloy by treating the dross with the recovery module 12, and at the same time, overheating must be prevented. In order to prevent such overheating, a coolant may be introduced, and the coolant may be cooled in the coolant forming module 11 to become a cooling material made of granules or powder. The granular cold material formed by cooling and selected in the cold material forming module 11 may be discharged to the feed supply unit 141. [ When the recovery module 12 is operated, the cold material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nveyor means 14. [ Particles of various sizes can be made in the cold forming module 11, for example, fine particles such as 20 to 30 meshes, granules of 2 to 8 meshes and unbroken lumps can be made.

냉재 형성 모듈(11)에 미분, 그래뉼 및 덩어리의 배출 수단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 미분 저장 유닛(142), 이송 공급 유닛(141) 및 배출 컨베이어(112)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 컨베이어(112)의 이송 경로에 예를 들어 마그네틱 분리기와 같은 분리기(113)가 설치되어 금속 성분 또는 이와 유사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컨베이어(112)를 통하여 이송된 냉각 소재는 보관 수단에 보관이 되어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다. The cold material forming module 11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discharging fine particles, granules and lumps and may be transferred to the differential storing unit 142, the feed supply unit 141 and the discharge conveyor 112, respectively. A separator 113, for example a magnetic separator, may be installed in the transport path of the discharge conveyor 112 to remove metal or similar foreign matter. And the cooling material conveyed through the discharge conveyor 112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appropriately processed.

냉재 형성 모듈(11)에 이송 공급 유닛(141)이 설치될 수 있고, 냉재 형성 모듈(11)에서 냉각이 되어 선별이 된 그래뉼 형태의 냉재가 이송 공급 유닛(14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 공급 유닛(141)은 냉재를 저장하고 정해진 양으로 컨베이어 수단(14)에 공급할 수 있다. 컨베이어 수단(14)을 통하여 이송된 냉재는 투입 호퍼(143)로 공급될 수 있고, 이후 공급 조절 유닛(123)에 저장될 수 있다. 공급 조절 유닛(123)에 저장된 냉재의 양에 대한 정보가 투입 호퍼(143)로 전송될 수 있고, 투입 호퍼(143)는 저장 정보를 이송 공급 유닛(141)로 전송하여 투입 호퍼(143)로 공급되는 냉재의 양이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급 조절 유닛(123)에 의하여 회수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회수 유닛(121, 122)으로 냉재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재가 컨베이어 수단(14)을 통하여 자동으로 공급되면서 회수 유닛(121, 122)으로 투입되는 양이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알루미늄 회수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회수 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feed supply unit 141 may be installed in the coolant forming module 11 and the granular coolant cooled and selected in the coolant forming module 11 may be moved to the feed and supply unit 141. [ The conveyance supply unit 141 can store the cold material and supply it to the conveyor means 14 in a predetermined amount. The cold material conveyed through the conveyor means 14 may be supplied to the feed hopper 143 and then stored in the feed control unit 123.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the cold material stored in the supply control unit 123 can be transmitted to the input hopper 143 and the input hopper 143 transmits the storage information to the feed supply unit 141 and supplies it to the input hopper 143 Allow the amount of coolant to be regulated. And the supply control unit 123 can supply the coolant to at least one recovery unit 121, 122 as needed during the recovery process. The amount of coolant is automatically supplied through the conveyor means 14 and the amount of the coolant is supplied to the collection units 121 and 122 so that the collection proces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while automating the aluminum collection process.

공급 조절 유닛(123)에 의하여 공급이 된 이후 잔여 냉재는 잔여 냉재 저장 수단(124)으로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고 이후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재 형성 모듈(11) 또는 회수 모듈(12)에서 발생되는 기체 형태의 이물질 또는 수분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냉재 형성 모듈(11) 또는 회수 모듈(12)에 배출 도관이 연결되어 기체 도관(GL)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재 형성 모듈(11) 또는 회수 모듈(12)에서 발생된 입자 형태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기체가 기체 도관(GL)을 통하여 백 필터 모듈(17)로 유도되어 필터 유닛(171)에 의하여 필터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링이 된 이물질은 집진 유닛(172)에 수거될 수 있다. 백 필터 모듈(17)을 경유하여 정화가 된 기체는 배출 펌프 또는 팬이 설치된 배출 유닛(18)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fter being supplied by the supply regulating unit 123, the remaining cold material can be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the remaining cold material storage means 124 and then suitably processed. And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gaseous foreign matter or moisture generated in the cold forming module 11 or the recovery module 12. To this end, a discharge conduit may be connected to the cold forming module 11 or the collecting module 12 and connected to the gas conduit GL. The gas containing impurities in the form of particles generated in the cool material forming module 11 or the collecting module 12 is guided to the bag filter module 17 through the gas conduit GL and is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71 . And the filtered foreign matter can b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172. [ The gas purified through the bag filter module 17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 discharge unit 18 provided with a discharge pump or a fan.

냉재를 공급하는 냉재 형성 모듈(11)은 처리 잔여물을 입자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냉재 형성 모듈(11)을 냉각시켜야 한다. 냉각은 냉각수의 순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냉각수의 순환을 위한 냉각 모듈(15)이 설치될 수 있다. 냉각 모듈(15)은 냉각수의 냉각의 순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펌프 또는 위한 열 교환 수단을 가질 수 있고, 냉매 도관(CL)을 따라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저온의 냉매가 냉재 형성 모듈(11)로 공급되어 회수 모듈(12)에서 분리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냉재 형성 모듈(11)로 투입되면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이 될 수 있다. 냉각수는 유동 조절 펌프를 포함하는 순환 유닛(151)에 의하여 유동이 조절되어 냉각 모듈(15)로 유도되어 순환될 수 있다. The cool material forming module 11 for supplying the cool material should cool the cool material forming module 11 to make the process residue into a particle form. The cooling can be performed by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and the cooling module 15 for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can be installed. The cooling module 15 may have at least one pump or heat exchange means for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cooling, and may circulate cooling water along the refrigerant conduit CL. When the low temperature coolant is supplied to the coolant forming module 11 and the aluminum or aluminum alloy separated from the collection module 12 is supplied to the coolant forming module 11, the coolant can be cooled by the coolant. The cooling water can be regulated in flow by the circulation unit 151 including the flow regulating pump and guided to the cooling module 15 for circulation.

알루미늄 회수 장치는 다양한 기체 배출 수단 또는 냉매 순환 수단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는 제한되지 않는다. The aluminum recovery apparatus may have various gas discharge means or refrigerant circulation means and the embodiment shown is not limi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에서 냉재의 자동 리턴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the automatic return structure of the cold material in th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냉재 형성 모듈(11)은 처리 잔여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24); 냉각 유닛(24)에서 냉각된 드로스를 입자 상태로 만드는 킬른(231); 입자 상태로 만들어진 드로스로부터 그래뉼 형태를 선별하여 컨베이어 수단(14)에 위치시키는 이송 공급 유닛(14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cold forming module 11 comprises a cooling unit 24 for cooling the process residue; A kiln 231 for making the dross cooled in the cooling unit 24 into a particle state; And a conveyance supply unit 141 for sorting the granule form from the dross made in the particle state and placing it on the conveyor means 14.

도가니 이송 수단(132)에 의하여 반전 유닛(131)으로 이송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회수된 잔여 처리물이 수용된 도가니(C)가 냉재 회수 모듈(11)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반전 유닛(131)에 의하여 처리 잔여물은 냉재 형성 모듈로 투입이 될 수 있고, 처리 잔여물은 실린더 형상의 냉재 형성 모듈의 입구에 설치된 주입 호퍼(22)를 통하여 냉재 형성 모듈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냉재 형성 모듈은 처리 잔여물의 냉각을 위한 킬른(231); 킬른(231)에서 냉각된 잔여물을 서로 다른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입자로 선별하는 선별 유닛(232); 및 킬른(231)의 둘레 면을 감싸는 냉각 유닛(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rucible C in which the aluminum or aluminum alloy transferred to the inversion unit 131 by the crucible transfer means 132 is recovered can be transferred to the cold material collection module 11. [ The process remainder may then be input to the cold forming module by the inverting unit 131 and the process remaind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ld forming module through the feed hopper 22 provided at the inlet of the cylinder- . The cold forming module includes a kiln (231) for cooling the process residue; A sorting unit 232 for sorting the cooled residue in the kiln 231 into particles having diameters of different sizes; And a cooling unit 24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kiln 231.

주입 호퍼(22)를 통하여 투입된 잔여물은 킬른(231)에서 냉매 도관(CL)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다. 냉각수는 킬른(231)을 감싸는 냉각 유닛(24)으로 공급될 수 있고, 냉각 유닛(24)에 의하여 킬른(231) 내부의 드로스가 냉각이 되면서 입자로 만들어질 수 있다. 냉각 유닛(24)은 킬른(231)의 둘레 면을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킬른(231)의 내부에서 냉각이 된 드로스는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차례대로 미분, 그래뉼 및 덩어리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미분 및 그래뉼은 각각 이송 스크류(251, 252)를 통하여 발생되는 이물질이 배출되어 이송 스크류(251)와 같은 유도 공급 수단을 통하여 미분 저장 유닛(142) 및 이송 공급 유닛(141)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덩어리는 배출 컨베이어(112)를 통하여 배출되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그래뉼 형상의 입자는 이송 스크류(252)에 의하여 이송 공급 유닛(141)으로 이송되어 냉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송 공급 유닛(141)은 냉재를 정해진 양으로 컨베이어 수단(14)에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수단을 가질 수 있고, 이후 냉재는 컨베이어 수단(14)에 의하여 투입 호퍼(143)로 유도되어 공급 조절 유닛(123)에 저장될 수 있다. 회수 유닛(121, 122)은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한 쌍의 회수 유닛(121, 122)이 배치되어 각각 투입 도관(211, 212)에 의하여 공급 조절 유닛(123)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회수 유닛(121, 122)의 내부 온도가 조절되기 위하여 투입 도관(211, 212)을 통하여 냉재가 투입될 수 있다. The remainder introduced through the injection hopper 22 can be cooled by the cool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refrigerant conduit CL in the kiln 231. The cooling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cooling unit 24 surrounding the kiln 231 and the cooling unit 24 may be made of particles as the dross inside the kiln 231 is cooled. The cooling unit 24 may have a structure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kiln 2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rowns cooled in the interior of the kiln 231 can be made in the form of fine powders, granules and lumps, as described above. The fine particles and the granules may be discharged to the differential storing unit 142 and the feed feeding unit 141 through the feed screws 251 and 252 through the induction feeding means such as the feed screw 251 . And the lumps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conveyor 112 and processed. The granular particles can be conveyed to the conveyance supply unit 141 by the conveying screw 252 and applied as a coolant. The conveyance supply unit 141 may have a loading means capable of loading the cold material into the conveyor means 14 in a predetermined amount and then the cold material is guided to the input hopper 143 by the conveyor means 14, (123) < / RTI > The recovery units 121 and 122 may be at least one and a pair of recovery units 121 and 122 may be disposed and connected to the supply control unit 123 by the input conduits 211 and 212 respectively. The coolant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onduits 211 and 212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s of the respective recovery units 121 and 122.

회수 유닛(121, 122)은 선택적으로 작동되거나 동시에 작동될 수 있고, 공급 조절 유닛(123)에 저장된 냉재는 각각의 회수 유닛(121, 122)의 작동을 탐지하여 독립적으로 투입 도관(211, 212)을 통하여 냉재가 공급될 수 있다. The recovery units 121 and 122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or simultaneously operated and the coolant stored in the supply control unit 123 can detect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recovery units 121 and 122 and independen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let conduits 211 and 212 The coolant may be suppli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냉재 형성 모듈은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 잔여물로부터 다양한 형상의 냉재를 만들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ld forming module can make various forms of cold material from the process residues in a variety of way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에 적용되는 금속 회수 기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metal recovery device applied to th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수단(14)에 의하여 이송된 냉재가 투입 호퍼(143)로 이송되고, 투입 호퍼(143)는 공급 조절 유닛(123)으로 냉재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입 도관(211, 212)을 통하여 회수 유닛(121, 122)으로 냉재가 공급될 수 있고, 투입 도관(211, 212)에 조절 밸브(213)가 설치되어 회수 유닛(121, 122)으로 냉재의 공급이 조절될 수 있다. 공급 조절 유닛(123)의 내부에 투입 호퍼(143)로부터 공급되는 냉재를 공급 조절 유닛(123)의 아래쪽으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센서(33)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리미트 센서(33)가 설치되어 냉재의 공급 상태가 확인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14)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재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3, the cold material conveyed by the conveyor means 14 is conveyed to the feed hopper 143, and the feed hopper 143 can supply the cold material to the feed control unit 123. [ The coolant can be supplied to the recovery units 121 and 122 through the inlet conduits 211 and 212 and the control valve 213 is installed in the inlet conduits 211 and 212 to cool the coolant Can be controlled. At least one limit sensor 33 for guiding the coolant supplied from the input hopper 143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ly control unit 123 may be installed in the supply control unit 123. [ For example, two limit sensors 33 may be provided to check the supply condition of the coolant, whereby the amount of coolant supplied through the conveyor means 14 can be adjusted.

각각의 회수 유닛(121)은 드로스가 수용된 도가니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311); 고정 프레임(311)의 위쪽에 배치되는 압입기(321); 압입기(321)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고정 프레임(311)에 고정된 도가니의 내부에 배치되는 와류 형성 유닛(322); 및 압입기(321)와 와류 형성 유닛(322)을 연결시키는 회전 축(32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축(323)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와류 형성 유닛(322)은 드로스가 수용된 도가니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가니의 내부에서 알루미늄이 용융이 되면서 혼합이 되고 이후 다시 고체 형태로 만들어져 도가니의 아래쪽으로 침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회수 저장 유닛(312)에 회수가 되어 용해로로 이송되어 알루미늄의 제련에 사용될 수 있다.Each recovery unit 121 includes a fixed frame 311 to which a crucible containing dross is fixed; A presser 321 disposed above the stationary frame 311; A vortex forming unit 322 disposed inside the crucible fixed to the fixed frame 311 while being rotated by the indenter 321; And an axis of rotation 323 connecting the indentifier 321 and the vortex forming unit 322. The rotating shaft 323 can have a length adjustable structure and the vortex forming unit 322 can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rotatable within the crucible accommodating the dross. Inside the crucible, aluminum is melted and mixed and then solidified to form a precipitate down the crucible. And recovered in the recovery storage unit 312 and transferred to the melting furnace to be used for the smelting of aluminum.

각각의 회수 유닛(121, 122)에 압입기(321)가 설치될 수 있고, 압입기(321)는 선택적으로 작동되거나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압입기(321)의 작동을 위하여 냉재 형성 모듈의 냉각 유닛의 작동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재 형성 모듈에서 냉각 유닛의 작동이 확인되면 이후 압입기(321)가 작동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회수 유닛(121, 122) 또는 킬른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The indentifier 321 may be installed in each of the collection units 121 and 122 and the indentifier 321 may be selectively operated or simultaneously operat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oling unit of the cold forming module for the operation of the indentifier 321 can be confirmed. Specifically, if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unit in the cold forming module is confirmed, then the indentifier 321 can be operated, whereby damage to the recovery unit 121, 122 or the kiln can be prevented.

회수 유닛(121, 122), 투입 호퍼(143) 또는 공급 조절 유닛(123)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체 형태의 이물질은 배출 유도 도관(EL1, EL2, EL3)을 통하여 기체 도관(GL)으로 유도될 수 있다. 회수 유닛(121, 122)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Foreign substances in the form of gas generated inside the recovery units 121 and 122, the input hopper 143 or the supply control unit 123 are led to the gas conduit GL through the discharge induction conduits EL1, EL2 and EL3 . The recovery units 121 and 122 can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에 적용되는 회수 알루미늄의 처리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recovered aluminum treating structure applied to the recov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반전 유닛(131)은 회전 조절 축(411) 및 회전 조절 축(411)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도가니(C)를 고정하여 회전되는 반전 날개(412)를 포함할 수 있다. 반전 유닛(131)은 수용 하우징(4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수용 하우징(421)에 기체 도관과 연결되는 배출 유도 도관(EL4)이 설치될 수 있다. 4, the reversing unit 131 may include a reversing blade 412 that is rotated by fixing the crucible C while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 adjusting shaft 411 and the rotation adjusting shaft 411. The inverting unit 131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using 421 and the discharge inducing conduit EL4 connected to the gas conduit in the receiving housing 421 may be provided.

도가니(C)는 도가니 이동 수단(132)에 의하여 반전 유닛(131)으로 이동되거나, 회수 모듈로부터 반전 유닛(131)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하우징(421)은 회수 모듈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회수되어 처리 잔여물이 수용된 도가니(C)가 수용 하우징(421)의 내부로 이동되어 반전 날개(412)에 적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회전 조절 축(411)이 회전되면서 반전 날개(412)에 고정된 도가니(C)에 수용된 처리 잔여물이 주입 호퍼(22)로 공급될 수 있다. The crucible C can be moved to the inversion unit 131 by the crucible moving means 132 or to the inversion unit 131 from the collection module. Specifically, the receiving housing 421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module, and the aluminum or aluminum alloy is recovered and the crucible C containing the processing residue is moved into the receiving housing 421 and loaded on the reversing blades 412 And can be fixed. Thereafter, while the rotation adjusting shaft 411 is rotated, the processing residue contained in the crucible C fixed to the inverting blade 412 can be supplied to the injection hopper 22.

처리 잔여물은 다양한 방법으로 냉재 형성 모듈(11)로 공급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process residues may be supplied to the cold forming module 11 in various way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회수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드로스로부터 알루미늄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는 알루미늄 회수 과정에서 요구되는 냉재가 자동으로 리턴이 되어 투입이 되는 것에 의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수 장치는 적절한 설계 변경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회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aluminum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and recover aluminum from various types of dross. Th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cess efficiency by automatically returning the coolant required for the aluminum recovery process and inputting the coolant. Also, th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covery devices by appropriate design change.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1: 냉재 형성 모듈 12: 회수 모듈
14: 컨베이어 수단 15: 냉각 모듈
17: 백 필터 모듈 18: 배출 유닛
22: 주입 호퍼 24: 냉각 유닛
33: 리미트 센서 112: 배출 컨베이어
113: 분리기 121, 122: 회수 유닛
123: 공급 조절 유닛 124: 잔여 냉재 저장 수단
131: 반전 유닛 132: 도가니 이송 수단
141: 이송 공급 유닛 142: 미분 저장 유닛
143: 투입 호퍼 151: 순환 유닛
161: 용해로 162: 수거 수단
171: 필터 유닛 172: 집진 유닛
211, 212: 투입 도관 213: 조절 밸브
231: 킬른 232: 선별 유닛
251, 252: 이송 스크류 311: 고정 프레임
312: 회수 저장 유닛 321: 압입기
322: 와류 형성 유닛 323: 회전 축
411: 회전 조절 축 412: 반전 날개
421: 수용 하우징 C: 도가니
CL: 냉매 도관 EL1, EL2, EL3, EL4: 배출 유도 도관
GL: 기체 도관
11: cool material forming module 12: recovery module
14: conveyor means 15: cooling module
17: bag filter module 18: exhaust unit
22: Feed hopper 24: Cooling unit
33: Limit sensor 112: Discharge conveyor
113: separator 121, 122: recovery unit
123: Supply control unit 124: Remaining cold material storage means
131: inverting unit 132: furnace conveying means
141: Feed supply unit 142: Differential storage unit
143: Feed hopper 151: Circulation unit
161: melting furnace 162: collection means
171: filter unit 172: dust collecting unit
211, 212: input conduit 213: regulating valve
231: Kiln 232: Screening unit
251, 252: Feed screw 311: Fixing frame
312: recovery storage unit 321:
322: vortex forming unit 323:
411: rotation adjusting shaft 412: inverting wing
421: Receiving housing C: Crucible
CL: refrigerant conduits EL1, EL2, EL3, EL4: discharge inducing conduit
GL: Gas conduit

Claims (4)

드로스가 투입되어 알루미늄이 분리되는 회수 모듈(12);
회수 모듈(12)에서 처리되고 남은 처리 잔여물이 냉각이 되어 처리되는 냉재 형성 모듈(11);
냉재 형성 모듈(11)로부터 생성된 냉재를 회수 모듈(12)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수단(14); 및
이송된 냉재를 회수 모듈(12)로 공급하는 투입 호퍼(143)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 모듈(12)은 투입 호퍼(143)로부터 이송된 냉재를 저장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회수 유닛(121, 122)으로 공급을 조절하는 공급 조절 유닛(123) 및 상기 공급 조절 유닛(123)에 의하여 공급이 된 이후 잔여 냉재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124)을 포함하고, 투입 호퍼(143)로부터 공급되는 냉재를 공급 조절 유닛(123)의 아래쪽으로 유도하는 리미트 센서(33)를 더 포함하는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
A collection module 12 into which a dross is inserted to separate aluminum;
A cold forming module 11 in which the processing residue remaining in the recovery module 12 is cooled and processed;
Conveyor means (14) for conveying the cold material produced from the cold material forming module (11) to the collection module (12); And
And a feed hopper 143 for feeding the conveyed cool material to the collection module 12,
The recovery module 12 includes a supply regulating unit 123 for regulating the supply to the at least one recovery unit 121 and 122 while storing the cold material transferred from the input hopper 143, And a limit sensor (33) including a storage means (124) for storing the remaining cold material after the supply of the cold material, and a limit sensor (33) for guiding the cold material supplied from the feed hopper (143) Aluminum recovery system with return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냉재 형성 모듈(11)은 처리 잔여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24); 냉각 유닛(24)에서 냉각된 드로스를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 형태로 만드는 킬른(231);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를 선별하는 선별 유닛(232); 및 그래뉼 형태의 입자를 냉재로서 컨베이어 수단(14)에 위치시키는 이송 공급 유닛(141)을 포함하는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cold forming module (11) comprises: a cooling unit (24) for cooling the process residue; A kiln (231) for making the droplets cooled in the cooling unit (24) into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A sorting unit 232 for sorting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And a conveyance supply unit (141) for placing the granular particles in the conveyor means (14) as a cold materia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냉재 형성 모듈(11)로 처리 잔여물을 공급하는 반전 유닛(13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전 유닛(131)은 회전 조절 축(411)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도가니(C)를 고정하여 회전되는 반전 날개(412)를 포함하는 냉재 자동 리턴 구조의 알루미늄 회수 장치.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version unit (131) for supplying a process residue to the cold material forming module (11), wherein the inversion unit (131) is rotated by a rotation control shaft (411) And an inverting blade (412) fixed and rotated.
KR1020180053220A 2018-05-09 2018-05-09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 Return KR1019260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20A KR101926081B1 (en) 2018-05-09 2018-05-09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 Retu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20A KR101926081B1 (en) 2018-05-09 2018-05-09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 Retu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081B1 true KR101926081B1 (en) 2018-12-06

Family

ID=6467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220A KR101926081B1 (en) 2018-05-09 2018-05-09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 Retu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0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742B1 (en) * 1997-05-19 1999-12-01 성명동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aluminum slag
KR101393109B1 (en) * 2013-03-06 2014-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ethod for recycling aluminium dross and system thereof
KR101444335B1 (en) * 2013-05-02 2014-11-03 주식회사 피.케이.지 Aluminum recovery apparatus from aluminum dro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2742B1 (en) * 1997-05-19 1999-12-01 성명동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aluminum slag
KR101393109B1 (en) * 2013-03-06 2014-05-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Method for recycling aluminium dross and system thereof
KR101444335B1 (en) * 2013-05-02 2014-11-03 주식회사 피.케이.지 Aluminum recovery apparatus from aluminum dro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592B1 (en) Exhaust gas process method of cement calcination equipment and process system of cement calcination equipment
KR102502960B1 (en) Method and plant for recycling white slag generated during steel manufacturing process
KR101562395B1 (en) Process method and process system of exhaust gas of cement calcination equipment
CN211872067U (en) Aluminum ash treatment system
RU2471576C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of plastic wastes
EP2511036A1 (en) Reflow furnace
KR101926081B1 (en) An Aluminum Recovery Apparatus with a Cooling Material Auto Return
CN111316056A (en) Heat recovery or purification of sand
JP5497715B2 (en) Aluminum melting system
TR201807475T4 (en) Cooling device for cooling bulk material.
JP6385618B1 (en) Aluminum mel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47762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slag
US6340378B1 (en) Method for screening hot briquetted direct reduced iron
JP4473296B2 (en) Nonferrous metal smelter operation method
US20190314780A1 (en) High temperature reaction device and graphene material production system
US5290535A (en) Process for recycling saltcake
JP20060892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ing exhaust gas in cement firing facility
KR100232742B1 (en) The processing apparatus for aluminum slag
JP2017061725A (en) Recovery device and recovery method of low melting point alloy
US4358310A (en) Dry collection of metallized fines
JP20061039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exhaust gas in cement firing equipment
KR20200133187A (en) Method for treating pourable, inorganic grain, and rotary tube suitabl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04149815A (en) Nonferrous metal scrap melting furnace
JP2008230942A (en) Method for treating cement kiln combustion gas extracted dust
JP5241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elution of heavy metals from sl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