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785B1 -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785B1
KR101925785B1 KR1020170036288A KR20170036288A KR101925785B1 KR 101925785 B1 KR101925785 B1 KR 101925785B1 KR 1020170036288 A KR1020170036288 A KR 1020170036288A KR 20170036288 A KR20170036288 A KR 20170036288A KR 101925785 B1 KR101925785 B1 KR 10192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sh information
block
hash
search
sear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659A (ko
Inventor
정제창
허정환
이정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03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7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은,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화면 내 블록의 각도(Angle), DC 값, 그라디언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시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을 탐색하는 단계; (c)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이 탐색되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인접거리만큼 범위를 확장하여,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을 탐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탐색 결과에 근거하여 블록 벡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METHOD FOR ENCODING IMAGE ABOUT INTRA PREDICTION BASED ON HASH INFORMATION}
본 발명은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면 내 예측의 방법으로 제시된 화면 내 블록 카피 기술(Intra Block copy)은, 크게 지역적 블록 벡터 탐색과 전역적 블록 벡터 탐색을 통해 블록 벡터를 탐색한다.
도 1은 기존 화면 내 블록 카피 기술의 지역적 블록 백터 탐색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역적 블록 벡터 탐색의 경우, 현재 코딩 유닛(CU: Coding Unit)을 기반으로, 현재 코딩 트리 유닛(CTU: Coding Tree Unit)과 좌측 코딩 트리 유닛의 복호화 된 화면 영역에서,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2차원 탐색을 수행한다.
한편, 전역적 블록 벡터 탐색의 경우, 빠른 지역 탐색을 위해 해시 정보 기반 탐색 방법이 제안되었다.
도 2는 기존의 해시 정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해시 정보 기반 화면 내 예측 기술에서는 해시 정보를 구성하는 요소로 현재 코딩 유닛을 4등분하고, 각 부분의 DC값과 현재 코딩 유닛의 그라디언트(Gradient) 값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정보를 사용하여 DC 값들은 각 최상위 3비트들을, 그라디언트 값은 최상위 4비트를 사용하여 총 16자리 해시 정보(총 16비트)를 사용하고, 정확하게 해시 정보가 일치하는 코딩 유닛에 대하여 RD-비용 값을 비교하여,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해시 정보 기반의 블록 벡터 탐색 방법이 갖는 의미를 고려했을 때, 코딩 유닛의 4등분 된 각 영역의 DC 값과 그라디언트 값만으로는 해당 블록이 갖는 무늬를 요약하기에 부족함이 있다.
이에 따라, 블록의 무늬를 요약할 수 있는 추가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해시 정보를 구성한다면 더 효과적으로 블록 벡터 탐색이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DC1 상황을 가정하여 해시 정보 내 양자화 오차로 인한 해시 불일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과 같이 기존에 DC 값이나 그라디언트 값의 차이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양자화 오차에 의하여 다른 해시 정보로 판단되어 탐색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해시 정보를 기반으로 전역적 블록 벡터를 탐색할 때, 해시 정보 자체적으로 양자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차는 특히 스크린 컨텐츠 영상에서 빈번히 일어나며, 화면 내 블록 카피 기술이 최초에 HEVC 표준에서 스크린 컨텐츠 영상 압축을 위해 포함된 것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블록의 각도 값을 해시정보로 이용하고, 인접 거리의 해시를 탐색하여 최적의 블록 벡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화면 내 블록의 각도(Angle), DC 값, 그라디언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시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을 탐색하는 단계; (c)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이 탐색되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인접거리만큼 범위를 확장하여,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을 탐색하는 단계; 및 (d) 상기 탐색 결과에 근거하여 블록 벡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상기 화면 내 블록의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7028514024-pat00001
여기서, p(x, y)는 영상을 나눈 블록 단위(NxN 사이즈)에서 블록 내 픽셀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1부터 N(혹은 0부터 N-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w(x,y)는 분산이 1.5인 가우시안 정사각형 형렬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이 탐색되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해시정보 중 일치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부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인접거리만큼 범위를 확장하여,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일치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시정보 중 일치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부분을 순차적으로 변경한 후, 기 설정된 인접거리만큼 범위를 확장하여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일치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해시 정보의 경우, 16비트를 블록의 4분할 DC 값과 그라디언트 값을 할당하여 해시 매칭에 사용하였으나, 제안하는 블록 내 각도(Angle)와 블록의 DC 값, 그라디언트 값을 활용하여 해시 정보를 구성할 경우, 기존의 해시 정보와 마찬가지로 16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각 정보를 3비트 혹은 4비트로 할당하여 총 9비트 혹은 12비트의 해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해시 정보의 비트수가 짧아질수록, 해시 매칭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탐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시 정보 비트수가 짧아졌기 때문에 블록의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다른 요소를 수치화한 후 추가적으로 해시 정보에 포함하여, 더 정밀한 해시 탐색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무늬가 갖는 방향성과 휘도 성분(luminance-블록의 DC값) 외에도, 색차신호(chrominance) 값을 활용한 추가적인 정보 등을 활용한다면 블록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해시 구성 시 실제 값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해시 구성을 위한 양자화 작업으로 인해 매칭이 되지 않던 블록 후보들을 추가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의 해시 탐색 방법에서는 놓쳤던 예측 블록을 생성 할 수 있으므로, 부호화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기존 화면 내 블록 카피 기술의 지역적 블록 백터 탐색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기존의 해시 정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DC1 상황을 가정하여 해시 정보 내 양자화 오차로 인한 해시 불일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블록 내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해시 정보 구성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 내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방법으로 화면 내 블록 카피를 진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역적 블록 벡터 탐색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시 정보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블록이 갖는 4분할 DC 값들의 분포와 그라디언트 값을 통해 블록이 갖는 무늬를 대략적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블록의 4분할 DC 값들을 통해 블록이 갖고 있는 방향을 표현하려는 의도를 따라, 블록 내 각도(Angle)를 계산하여 해시 정보에 포함한다면, 같은 해시 정보 길이 안에서 4분할 DC 값이 차지하던 12비트를 대신할 수 있게 된다.
블록 내 각도의 경우,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7028514024-pat00002
여기서, p(x, y)는 영상을 나눈 블록 단위(NxN 사이즈)에서 블록 내 픽셀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1부터 N(혹은 0부터 N-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w(x,y)는 분산이 1.5인 가우시안 정사각형 형렬로 정의될 수 있다.
기존에 사용하는 4분할 DC 값 외에도, 블록 자체의 DC 값도 블록의 특성을 표현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블록 내 각도, 블록 DC 값, 그라디언트 값을 이용하여 해시 정보를 구성한다면, 기존의 해시 정보의 의도를 포함하면서, 더 효과적이며 구체적으로 해시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해시 구성의 양자화 오차로 인한 해시 정보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해시 탐색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DC0를 예로 들었을 때, DC0의 해시 값이 0으로 결정된 두 정보의 경우 실제 값의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같은 해시 값으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해시 정보를 기반으로 블록을 비교할 때 예측블록의 후보로 비교 대상에 포함되어, RD-비용 값을 비교하여 최종 예측 블록으로 선택될 지를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DC0의 해시 값 1과 2 사이 경계 주변에 두 값은 실제 값 차이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해시 정보를 만들기 위한 양자화 작업을 통해 다른 해시 값으로 결정된다. 이를 통해 두 값은 해시 정보를 기반으로 블록 벡터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해시 정보가 불일치하기 때문에 화면 내 예측을 위한 예측블록으로 선택될 수 없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실제 DC0, 실질적으로는 해시 정보에 포함된 블록의 무늬를 표현하는 어느 특성의 정도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해시 값으로 양자화되어 블록 벡터 탐색 간에 후보로 선택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시 구성의 양자화 오차로 인한 해시 정보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추가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해당 추가적인 알고리즘은 현재 탐색하는 해시 정보 단계에서 현재 해시 값보다 ±1의 크기를 갖는 해시 값들까지 추가적으로 해시 매칭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Angle-DC값-그라디언트값 으로 구성된 해시정보를 갖는 부호화 장치에서, 현재 블록을 앞서 복호화 된 블록들과 해시 매칭을 통해 예측 블록 후보를 찾을 때, 처음에 Angle 해시 부분이 일치하는 후보를 찾고, 그 다음 DC 값의 해시 부분이 일치하는 후보를 찾고, 그 다음 그라디언트 값 해시 부분이 일치하는 후보를 찾아, 해시정보가 완벽히 일치하는 블록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
해시 정보가 완벽하게 일치하는 블록이 존재하지 않을 때, Angle-DC 해시 부분은 일치하고, 그라디언트 해시 부분에서만 ±1 만큼 차이가 있는 블록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
만약, 그래도 존재하지 않을 경우, Angle-그라디언트 해시 부분은 일치하고, DC 값의 해시 부분에서만 ±1 만큼 차이가 있는 블록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
그래도 존재 하지 않을 경우, DC-그라디언트 값의 해시 부분은 일치하고, Angle 해시 부분에서만 ±1 만큼 차이가 있는 블록의 존재 유무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그 범위를 늘려가며 해시 매칭을 통해 화면 내 블록 카피를 위한 비교 블록 후보를 찾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만큼 오차가 커져 부호화 효율이 없을 것을 고려하여, 해시 정보의 부분들 중 한 부분만 ±1 만큼 차이가 나는 비교 블록을 찾아보고, 없을 경우 기존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후보가 없이 전역적 탐색을 종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 내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방법으로 화면 내 블록 카피를 진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해당 구조는 기존의 부호화 방법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화면 내 블록 카피를 위해 지역적 블록 벡터와 전역적 블록 벡터를 탐색하고, 두 블록 벡터의 RD 값 비교를 통해 최적의 블록 벡터를 결정한다.
지역적 블록 벡터 탐색의 경우, 기존의 영상 부호화 방법의 지역적 블록 벡터 탐색과 마찬가지로, 도 1의 블록 벡터 탐색 범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기반으로 현재 코딩 트리 유닛과 좌측 코딩 트리 유닛의 복호화 된 화면 영역에서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2차원 탐색을 수행한다.
이어서, 전역적 블록 탐색에서 사용하는 해시 정보는 도 2와 같이 블록의 DC 값 및 그라디언트 값들을 활용하여 구성한다.
이 외에도 전역적 블록 탐색에서 사용하는 해시 정보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한 블록 내 각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블록 내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해시 정보 구성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해시 정보는 블록 내 각도, 블록의 DC값 및 그라디언트 값들을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16비트의 경우의 실시 예이고, 도 5는 12비트 또는 그 이상의 경우의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역적 블록 벡터 탐색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역적 블록 벡터 탐색의 경우, 기존의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의 전역적 블록 벡터 탐색과 마찬가지로 해시 정보를 기반으로 탐색한다.
우선, 현재 블록에 대하여 해시를 생성하고, 인접 거리 안에 있는 블록들의 해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해시를 탐색한다.
우선적으로 동일 해시를 가진 블록들을 탐색한다. 실시 예로서, 반복 탐색하여, 동일 해시의 블록을 최대 th2 번 탐색한다. 동일 해시 탐색 횟수인 th2 번을 초과하면서 모든 인접거리 해시 탐색에 실패한 경우, ±1 인접거리의 해시 탐색을 실시한다. ±1 인접거리의 해시 탐색의 경우 최대 th1 번 탐색을 실시한다. 최대 탐색 횟수를 초과하면 탐색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th1 및 th2 번의 탐색 횟수 내에서 최적의 블록을 선택하여 블록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해시 정보의 경우, 16비트를 블록의 4분할 DC 값과 그라디언트 값을 할당하여 해시 매칭에 사용하였으나, 제안하는 블록 내 각도(Angle)와 블록의 DC 값, 그라디언트 값을 활용하여 해시 정보를 구성할 경우, 기존의 해시 정보와 마찬가지로 16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각 정보를 3비트 혹은 4비트로 할당하여 총 9비트 혹은 12비트의 해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해시 정보의 비트수가 짧아질수록, 해시 매칭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탐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해시 정보 비트수가 짧아졌기 때문에 블록의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다른 요소를 수치화한 후 추가적으로 해시 정보에 포함하여, 더 정밀한 해시 탐색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무늬가 갖는 방향성과 휘도 성분(luminance-블록의 DC값) 외에도, 색차신호(chrominance) 값을 활용한 추가적인 정보 등을 활용한다면 블록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해시 구성 시 실제 값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해시 구성을 위한 양자화 작업으로 인해 매칭이 되지 않던 블록 후보들을 추가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의 해시 탐색 방법에서는 놓쳤던 예측 블록을 생성 할 수 있으므로, 부호화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화면 내 블록의 각도(Angle), DC 값, 그라디언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시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b)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을 탐색하는 단계;
    (c)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이 탐색되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인접거리만큼 범위를 확장하여,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을 탐색하는 단계; 및
    (d) 탐색 결과에 근거하여 블록 벡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시정보와 완전히 일치하는 블록이 탐색되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해시정보 중 두 개의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두 개의 부분이 일치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부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인접거리만큼 범위를 확장하여,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일치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상기 화면 내 블록의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Figure 112018010188449-pat00003

    여기서, p(x, y)는 영상을 나눈 블록 단위(NxN 사이즈)에서 블록 내 픽셀의 위치를 의미하고, w(x,y)는 분산이 1.5인 가우시안 정사각형 형렬을 의미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상기 해시정보와 일치하는 블록이 탐색되지 않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해시정보 중 일치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부분에 대하여, 기 설정된 인접거리만큼 범위를 확장하여,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일치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시정보 중 일치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부분을 순차적으로 변경한 후, 기 설정된 인접거리만큼 범위를 확장하여 기 설정된 탐색횟수 동안 일치 여부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KR1020170036288A 2017-03-22 2017-03-22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KR101925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88A KR101925785B1 (ko) 2017-03-22 2017-03-22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88A KR101925785B1 (ko) 2017-03-22 2017-03-22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59A KR20180107659A (ko) 2018-10-02
KR101925785B1 true KR101925785B1 (ko) 2018-12-06

Family

ID=6386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88A KR101925785B1 (ko) 2017-03-22 2017-03-22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5964A1 (en) * 2019-03-11 2020-09-17 Beijing Dajia Internet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Intra block copy for screen content co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3398A2 (en) * 2015-01-29 2016-08-04 Vid Scale, Inc. Intra-block copy search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3398A2 (en) * 2015-01-29 2016-08-04 Vid Scale, Inc. Intra-block copy sear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59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31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US10284846B2 (en) Image predictive encoding and decoding device
US9167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US8855203B2 (en)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video decoding apparatus
CN110809888B (zh) 用于处理视频序列帧的编码器和解码器
US20090110070A1 (en) Image encoding device and en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device and decoding method
CN110832863B (zh) 用于处理视频序列帧的编码器、解码器、计算机程序和计算机程序产品
WO2021073066A1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
BR112021006580B1 (pt) Método de decodificação de imagem realizado por um aparelho de decodificação, método de codificação de imagem realizado por um aparelho de codificação e mídia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não transitória
BR112021014671A2 (pt) Transformada discreta de cosseno de formato adaptativo para particionamento geométrico com um número adaptativo de regiões
BR112021014667A2 (pt) Interprevisão em particionamento exponencial
KR101925785B1 (ko) 해시 정보 기반의 화면 내 예측 기술에 관한 영상 부호화 방법
Perra et al. Cloud-scale Image Compression Through Content Deduplication.
US20170201767A1 (en) Video encoding device and video encoding method
US10397566B2 (en) Image coding apparatus, image coding method, and program
CN114510990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14071138A (zh) 帧内预测编码方法、帧内预测编码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CN112055207B (zh) 时域运动矢量预测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3542768B (zh) 运动搜索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940006B2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符号化プログラム、復号装置、復号方法及び復号プログラム
Zhang et al. Feature-matching based motion prediction for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in cloud
Pinapati et al. A reversible data hiding using difference-histogram modification on multi-directional in two-dimensional histogram
US2014013377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plitting image
KR20240056566A (ko) 엔트로피 코딩에 기반한 피쳐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및 비트스트림 전송 방법
CN116074537A (zh) 编码方法、解码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