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56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568B1
KR101925568B1 KR1020170060822A KR20170060822A KR101925568B1 KR 101925568 B1 KR101925568 B1 KR 101925568B1 KR 1020170060822 A KR1020170060822 A KR 1020170060822A KR 20170060822 A KR20170060822 A KR 20170060822A KR 101925568 B1 KR101925568 B1 KR 10192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euse
base station
boundary
terminal
prob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1418A (en
Inventor
장석호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11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4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와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초 정보 획득부와,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기지국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중단 확률(outage probability)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확률 정보 획득부와,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 중 소정의 타겟 중단 확률을 달성함에 있어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과 다른 제2 주파수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면, 변경을 기초로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on a signal-to- For each of the case of apply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to the base station at the transmission rate and the case of applying the partial frequency reuse to the base station, the outage probability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varying according to the signal- A first frequency reuse scheme having a lower signal-to-noise ratio in achieving a predetermined target disruption probability dur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is a second frequency reuse scheme different from the first frequency reuse scheme, Metho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undary is determined based on the change And a control unit.

Figure 112017046713283-pat00044
Figure 112017046713283-pat00044

Description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 [0002]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기지국의 셀 내에서 기지국의 전송 전력이 달라짐에 따라 셀 내의 단말이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a cellular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a cellular network, in which a terminal in a cell efficiently uses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dary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 cellular network that determines a direction in which a boundary that divides frequency reuse regions is moved.

3G 이후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존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데, 그에 따라 심벌 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을 유발하는 다중 경로 지연(multipath delay)이 문제가 되고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은 전술한 ISI를 감쇄시키기 위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fter 3G requires a higher data rate than the conventional one, a multipath delay causing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is a proble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technique for attenuating the above-mentioned ISI.

이러한 OFDM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벌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벌로 변환 뒤 이들을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전송하는데, 이러한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갖는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전송되는 심벌의 간격은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ISI는 최소화될 수 있다.Briefly, with respect to OFDM, OFDM converts serial data symbols into N parallel data symbols, carries them on separate N subcarriers, and the subcarriers have orthogonality in the frequency dimension. Each orthogonal channel experiences mutually independent frequency selective fading, and the spacing of transmitted symbols becomes longer. Accordingly, the ISI can be minimized.

한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cell)이란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을 작은 구역으로 세분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셀의 중심부에는 기지국이 설치된다. In the meantime, a ce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ans that an area where a communication service is provided is divided into small areas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frequency. Generally, a base station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such a cell.

다중 셀 환경에서의 OFDM 시스템에서, 인접하는 셀은 동일한 부반송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는 사용자들에게 간섭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셀간 간섭(inter-cell interference)이라고 지칭된다.In an OFDM system in a multi-cell environment, neighboring cells can use the same subcarrier. However, this can cause interference to users. This interference is referred to as inter-cell interference.

전술한 셀간 간섭은 부분 주파수 재사용(partial frequency reuse)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의 전송 전력이 달라짐에 따라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달라지게 된다. 기존에는 이러한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이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셀 내 모든 지역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또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함에 따라 중단 확률이 낮아지는 경계를 직접 찾아야 하였다. The above-described inter-cell interference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partial frequency reuse. At this time, a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changes, the boundaries for distinguishing each frequency reuse region are changed so as to efficiently use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it is necessary to directly find the boundary where the probability of stopping is lowered by apply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or partial frequency reuse in all areas of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이 달라짐에 따라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a boundary for dividing each frequency reuse region is moved so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efficiently used a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is changed .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기지국의 셀(cell)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영역(full frequency reuse)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 영역(partial frequency reuse) 간 최적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는,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초 정보 획득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상기 기지국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중단 확률(outage probability)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확률 정보 획득부와, 소정의 타겟 중단 확률을 달성함에 있어,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및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중 상기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상기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과 다른 제2 주파수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면, 상기 변경을 기초로 상기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boundary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an optimal boundary moves between a full frequency reuse region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region in a cell of a base station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includes a bas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at obtains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on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mobile station; And for applying the partial frequency reuse, the probability of acquiring the information on the outage probability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signal-to-noise ratio at the terminal, An information acquiring section for acquiring a target stop probability; When the first frequency reuse scheme having a lower signal-to-noise ratio during use and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changed to a second frequency reuse scheme different from the first frequency reuse schem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undary is determined based on the change And a control unit.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전체 주파수 재사용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부분 주파수 재사용인 경우, 상기 경계가 상기 셀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first frequency reuse method is full frequency reuse and the second frequency reuse method is partial frequency reuse,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at the boundary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cel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부분 주파수 재사용이고 상기 제2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전체 주파수 재사용인 경우, 상기 경계가 상기 셀의 가장자리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boundary moves toward the edge of the cell when the first frequency reuse method is partial frequency reuse and the second frequency reuse method is all frequency reuse.

기지국의 셀(cell)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영역(full frequency reuse)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 영역(partial frequency reuse) 간 최적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는,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초 정보 획득부와, 상기 기지국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제1 중단 확률(outage probability) 및 상기 기지국에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제2 중단 확률을 획득하는 확률 정보 획득부와, 상기 제1 중단 확률 및 상기 제2 중단 확률의 교점인 기준 중단 확률이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초로 상기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boundary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an optimal boundary moves between a full frequency reuse region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region in a cell of a base station The moving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includes a bas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at obtains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a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on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A first outage probability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scriber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changes depending on a signal-to-noise ratio at the subscriber station, and a second outage probability that changes according to a signal-to-noise ratio at the subscriber station when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to the base station. A probability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a second probability of interruption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This portion and the first stop probability and the probability of intersection between the reference stop and the second stop probability and a controll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undary on the basis of the direction of travel, as the data transfer rate changes.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기준 중단 확률이 높아지면 상기 경계가 상기 셀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at the boundary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cell when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increases as the data transmission rate change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기준 중단 확률이 낮아지면 상기 경계가 상기 셀의 가장자리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at the boundary moves toward the edge of the cell when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decreases as the data transmission rate changes.

기지국의 셀(cell)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영역(full frequency reuse)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 영역(partial frequency reuse) 간 최적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은,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상기 기지국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중단 확률(outage probability)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및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중 소정의 타겟 중단 확률을 달성함에 있어 상기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상기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과 다른 제2 주파수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면, 상기 변경을 기초로 상기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boundary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an optimal boundary moves between a full frequency reuse region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region in a cell of a base station A method for determining a movement direction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on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applying a full frequency reuse to the base station Obtaining information on an outage probability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signal-to-noise ratio at the terminal, is to be interrupted for each of cases of applying the partial frequency reuse, The total frequency reuse and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f as there the signal-to-noise ratio is lower the first frequency reuse scheme is changed to a first frequency reuse scheme and other second frequency reuse scheme,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undary on the basis of the change.

기지국의 셀(cell)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영역(full frequency reuse)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 영역(partial frequency reuse) 간 최적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은,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제1 중단 확률(outage probability) 및 상기 기지국에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제2 중단 확률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중단 확률 및 상기 제2 중단 확률의 교점인 기준 중단 확률이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초로 상기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boundary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an optimal boundary moves between a full frequency reuse region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region in a cell of a base station A method for determining a movement direction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on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and, when apply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to the base station, A first stop probability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hanges depending on a signal-to-noise ratio and an outage probability which varies according to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when parti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to the base station; Obtaining a second interruption probability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s will be interrupted; And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reference stop probability of the second stop probability and a step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undary on the basis of the direction of travel, as the data transfer rate chang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전송 전력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셀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또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함에 따라 중단 확률이 낮아지는 경계를 조사하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adaptively based on a data transmission rate that varies depending on a transmission power of a base station, Can be determined. Therefore, by apply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or partial frequency reuse in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ange in which the stop probability is lower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가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의 셀 내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 영역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지국의 전송 전력이 달라져 단말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함에 따라 단말에 작용하는 중단 확률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변함에 따라 중단 확률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함에 따라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이동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pplied.
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ntire frequency reuse region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region in a cell of a base sta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for explaining how the probability of interruption acting on a mobile station changes a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changes and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mobile station changes.
FIG. 5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probability of a stoppage of a base station as a data transmission rate is changed over a threshold value.
FIG. 6A and FIG. 6B conceptually illustrate the movement of a boundary for distinguishing each frequency reuse region so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efficiently used as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base station change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be omitted unless otherwise described in order to describ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are mere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In other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lso, while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as discrete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Also, to the extent that the inclusion of certain elements is merely an indication of the presence of that element as an open-ended express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ny additional elements.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Also, the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other features between configurations.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가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to which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 기지국(200), 단말(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에만 한정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includes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a base station 200, a terminal 300, and a network 400 in a cellular network. However,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the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not construed to be limi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shown in FIG.

먼저, 단말(300)은 기지국(200)에 할당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특정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고 기지국(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200)은 주파수 재사용 영역 및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300)과 기지국(200), 그리고 기지국(200)에 의하여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셀(210)은 이동 통신 분야에서 자명한 개념이므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rst, the terminal 300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200 using a frequency allocated to the base station 200 at a specific data transmission rate. 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200 can change the frequency reuse area and the data transmission rate. Here, since the terminal 300,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cell 210 provided with the communication service by the base station 200 are self-explanatory concept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fiel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셀(210) 중에서 단말(300)이 속해 있는 셀은 서빙 셀이라고 지칭되며, 이러한 서빙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이라고 지칭된다. 아울러, 서빙 셀에 인접해 있는 셀은 인접 셀이라고 지칭되며, 이러한 인접 셀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이라고 지칭된다.In the cell 210, a cell to which the UE 300 belongs is called a serving cell, and a base station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to such a serving cell is called a serving base station. In addition, a cell adjacent to a serving cell is referred to as a neighboring cell, and a base station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to such a neighboring cell is referred to as a neighboring base station.

한편, FFR(fractional frequency reuse) 방식에 의하면, 기지국(200)의 셀(210) 내에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full frequency reuse) 영역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partial frequency reuse) 영역으로 나뉘어 진다. 도 2는 기지국(200)의 셀(210) 내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 영역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Nf는 주파수를 재사용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Nf가 3이면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을 3등분하여 부분 주파수를 재사용한다는 의미이며, Nf가 1이면 전체 주파수를 재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scheme, the cell 210 of the base station 200 is divided into a full frequency reuse region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region. 2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n entire frequency reuse area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area in a cell 210 of the base station 200. As shown in FIG. In FIG. 2, Nf denotes a frequency reuse degree. When Nf is 3, it means that the partial frequency is reused by dividing the entire frequency spectrum into three parts. If Nf is 1, it means that the entire frequency is reus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기지국(200)에 의해 3개의 셀(210)이 존재한다고 할 때 FFR(fractional frequency reuse) 방식에 의하면, 서빙 셀의 중심에 단말(300)이 위치하는 경우 단말(300)이 인접 기지국과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혼선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서빙 셀의 중심 부근에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방식을 적용하지만, 단말(300)의 위치가 인접 기지국과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단말(300)과 서빙 기지국간의 통신이 중단될 확률인 중단 확률(Outage Probability)이 증가하기 때문에 서빙 셀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식을 적용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ree cells 210 are present by three base stations 200, according to a fractional frequency reuse (FFR) scheme, when a terminal 30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a serving cell The entire frequency reuse scheme is applied near the center of the serving cell because the possibility of a crosstalk failure is small because the UE 300 is locally spaced from the adjacent base station. However, as the position of the UE 300 approaches the adjacent base station, 300 and the serving base station increases, the partial frequency reuse method is applied to the edge of the serving cell.

따라서 셀(210) 내의 단말에 작용하는 중단 확률이 최대한 감소하도록, 셀(210)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영역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영역의 경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이 달라지면 신호 대 잡음비에 따른 중단 확률의 변화도 달라지기 때문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영역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영역의 경계도 달라져야 단말(300)에 작용하는 중단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fine the boundary between the area to which the entire frequency reuse is applied and the area to which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in the cell 210 so that the probability of interruption acting on the terminal in the cell 210 is minimized. However, i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is changed, the change of the stop probability depending on the signal-to-noise ratio also changes. Therefore, the boundary between the area to which the entire frequency reuse is applied and the area to which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must also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interruption.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는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이 달라질 때, 단말(300)에 작용하는 중단 확률을 감소시키도록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영역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영역의 경계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을 판별한다. 이때 모든 기지국(200)은 전송 전력이 달라지는 비율이 동일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is changed,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in the cellular network applies a partial frequency reuse area and an area for apply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interruption acting on the terminal 3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undary of the region to be moved should be moved. At this time, all base stations 200 may have the same ratio of transmission power.

이때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는 전송 전력의 변화가 데이터 전송 속도의 변화와 비례한다는 특징에 기초하여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한다. At this time,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the cellular network classifies each frequency reuse area so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efficiently us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that the change in the transmission power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the data transmission r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undary moves.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기지국(200)과 연결된다. 네트워크(400)는 LAN과 같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400)이거나 또는 CDMA, 3G, 4G, LTE-A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400)이거나 일 수 있다. 다만,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가 이러한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기지국(200)과 연결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각각의 기지국(20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the cellular network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200 via the network 400. [ The network 400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400, such as a LA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such as CDMA, 3G, 4G, LTE-A, or the like. However,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the cellular network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the network 400,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in the cellular network may be embodied to be included in each base station 200, unlike the one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는 기초 정보 획득부(110), 확률 정보 획득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러한 주파수 할당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들은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the cellular network includes a bas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a probability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5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In addition, such a frequency allocation device and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included therein can be implemented by a memory for storing an instruction programmed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below, and a microprocessor for executing such an instruction.

기초 정보 획득부(110)는 중단 확률을 산출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초 정보 획득부(110)는 단말(300)과 기지국(200) 사이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 속도의 변화는 기지국(200)에서의 전송 전력의 변화에 비례하므로, 단말(300)의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화를 획득하여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기지국(200)이나 단말(300)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The bas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obtains basic information for calculating the termination prob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bas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obtains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at which data is transmitted between the terminal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At this time, since the change of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 o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hange of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by acquiring the change of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terminal 300. Thi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or example, from the base station 200 or the terminal 300 and acquired.

또한 기초 정보 획득부(110)는 단말(300)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300)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는, 서빙 셀(210) 내에 있는 단말(300)이 서빙 셀(210) 및 인접 셀(210)로부터 받는 신호 및 노이즈를 기초로 산출된다. 이러한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기지국(200)이나 단말(300)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bas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110 obtains information on the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300. [ The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300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signal and noise received from the serving cell 210 and the adjacent cell 210 by the terminal 300 in the serving cell 210. [ Information on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obtained, for example, from the base station 200 or the terminal 300. [

확률 정보 획득부(130)는 신호 대 잡음비가 변화함에 따라서 그 값이 변하는 중단 확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확률 정보 획득부(130)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달라진 경우, 변화된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의 중단 확률에 대한 정보도 추가로 획득한다.The probability information acquiring unit 130 acquires information on an abort probability at which the value changes as the signal-to-noise ratio changes. The probability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further obtains information on the probability of interruption at the changed data transmission rate when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changed.

이때 신호 대 잡음비가 변화함에 따라서 변하는 중단 확률은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op probability vary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1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1

여기서, r은 도 4에서 그래프의 가로축인 신호 대 잡음비이다. Nf는 앞서 도 2와 함께 설명한 주파수 재사용 인자로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인 경우의 Nf는 값이 1이고 부분 주파수 재사용인 경우의 Nf의 값은 1보다 크다. R은 해당 기지국(200)과 단말(300)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2
는 단말(300)이 서빙 셀(210)의 기지국(200)을 기준으로 갖는 위치를 정규화한 파라미터이며,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3
는 단말(300)이 각각의 인접 셀(21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세기가 인접 셀(210)의 기지국(20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감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Ncell은 모든 기지국(200)의 개수를 나타내고, W는 서빙 셀(210)의 기지국(200)이 지원하는 대역폭을 나타낸다. 여기서 수학식 1, 즉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중단 확률에 대한 수식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를 도출하는 과정 및 해당 수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r is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in Fig. Nf is the frequency reuse facto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value of Nf in case of full frequency reuse is greater than 1 when the value is 1 and partial frequency reuse. R represents the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terminal 300.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2
Is a parameter obtained by normaliz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300 with respect to the base station 200 of the serving cell 210,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3
Is a parameter indicating the degree to which the terminal 300 attenuates the signal strength received from each neighboring cell 210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200 of the adjacent cell 210. [ Ncell represents the number of all base stations 200 and W represents the bandwidth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 200 of the serving cell 210. [ Here, the formula for the stop probability varying according to Equation (1), i.e., the signal-to-noise ratio, is a known techniqu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and deriv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이 달라져 단말(300)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함에 따라 단말(300)에 작용하는 중단 확률이 달라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전체 주파수 재사용에서의 중단 확률은 수학식 1의 Nf에 1을 대입하면 도출되고, 부분 주파수 재사용에서의 중단 확률은 수학식 1의 Nf에 1을 초과하는 해당 값을 대입하면 된다. 도 4의 f는 Nf에 1을 대입하였을 때 수학식 1로부터 도출된 수식에 의해 그려진 것이며, p는 Nf에 1을 초과하는 값을 대입하였을 때 수학식 1로부터 도출된 수식에 의해 그려진 것이다. 이때 도 4의 왼쪽의 그래프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R1로 대입한 것이며, 오른쪽의 그래프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R2로 대입한 것으로서, 이때 R2는 R1보다 큰 전송 속도를 가진다. 4 is a graph for explaining how the probability of interruption acting on the terminal 300 changes a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changes and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terminal 300 changes. On the other hand, the stop probability in the entire frequency reuse is derived by substituting 1 into Nf in Equation (1), and the stop probability in the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obtained by substituting a corresponding value exceeding 1 in Nf in Equation (1). 4, f is drawn by the formula derived from Equation (1) when 1 is substituted for Nf, and p is drawn by the formula derived from Equation (1) when a value exceeding 1 is assigned to Nf. At this time, the graph on the left side of FIG. 4 shows the data transmission rate as R1, and the graph on the right shows the data transmission rate as R2, where R2 has a transmission rate higher than R1.

아울러, R+는 중단 확률이 특정 값에 수렴하기 시작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R+ 이상의 값을 가지면, 도 5의 오른쪽 그래프와 같이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사용하였을 때, 특정 중단 확률 이하로 중단 확률을 낮출 수 없게 된다. R + is a data transmission rate at which the interruption probability starts to converge to a specific value. When the data transmission rate has a value of R + or more, when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are used as shown in the right graph of FIG. 5, The probability of interruption can not be lowered.

도 4를 참조하면, 전체 주파수 재사용일 때 중단 확률이 변화하는 정도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일 때 중단 확률이 변화하는 정도와 서로 상이하다. 예컨대, 신호 대 잡음비가 증가할 때 중단 확률이 감소하는 정도에 있어서, 감소하는 비율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분 주파수 재분배의 경우(p)가 전체 주파수 재분배의 경우(f)보다 크다.Referring to FIG. 4,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top probability when the entire frequency reuse is different from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top probability when the partial frequency reuse occurs. For example, as to the degree to which the probability of interruption decreases when the signal-to-noise ratio increases, the decreasing rate is larger than in the case of partial frequency redistribution (p), as shown in FIG.

제어부(150)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달라짐에 따라 변하는 중단 확률을 기초로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한다.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undary for distinguishing each frequency reuse region so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the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efficiently used based on the stop probability that varies as the data transmission rate varies.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 중 소정의 타겟 중단 확률을 달성함에 있어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제1 주파수 재사용 방식과 상이한 제2 주파수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는 형태를 기초로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target stopping probability dur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the controller 1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irst frequency reuse method in which the first frequency reuse method having a lower signal- 2 frequency reuse metho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undary can be determined.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4
)을 달성함에 있어, R1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f)이 부분 주파수 재사용(p)에 비해 낮은 SNR 값에서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5
)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전체 주파수 재사용이 부분 주파수 재사용에 비해 유리하다. Referring again to FIG. 4,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4
), At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R1, the total frequency reuse (f) is lower than the partial frequency reuse (p) at the target SNR value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5
), The total frequency reuse is more advantageous than partial frequency reuse.

이때 R1에서 R2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아진 경우, 동일한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6
)을 달성함에 있어, R2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p)이 전체 주파수 재사용(f)에 비해 낮은 SNR 값에서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7
)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부분 주파수 재사용이 전체 주파수 재사용에 비해 유리하다.At this time, when the data transmission rate from R1 to R2 is increased, the same target stop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6
), At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R2, the partial frequency reuse (p) is lower than the total frequency reuse (f) at the target SNR value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7
), Partial frequency reuse is more advantageous than overall frequency reuse.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였을 때, 가령 단말(300)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된 경우, 단말(300)에서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다가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것이 특정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8
)을 달성함에 있어 SNR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If the data rate is increased while the terminal 300 exists in the same position, the terminal 300 applies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applies the partial frequency reuse,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8
) Is advantageous because the SNR can be reduced.

이를 셀(210)의 관점에서 도 6a 및 도 6b와 함께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기지국(200)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함에 따라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이동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in view of the cell 210. FIG. FIGS. 6A and 6B conceptually illustrate the movement of a boundary that divides each frequency reuse region so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efficiently used as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base station 200 changes.

도 6a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이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9
이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R1일 때, 기지국(200)으로부터 Ds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에 단말(300)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300)에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이 적용되는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도 6b와 같이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이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0
보다 큰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1
가 되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R2가 되면, 부분 주파수 재사용이 유리하므로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를 셀(210)의 중심 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Referring to FIG. 6A, whe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is
Figure 112017046713283-pat00009
And a data transmission rate is R1 and a terminal 300 is located at a distance of Ds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200, it is assumed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30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B,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0
Bigger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1
When the data transmission rate becomes R 2,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advantageous. Therefore, the boundary for dividing each frequency reuse region must be shifted to the center of the cell 210 so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efficiently used.

따라서 제어부(150)는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2
)을 달성함에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하여 전체 주파수 재사용보다 부분 주파수 재사용이 유리해지는 경우 경계가 셀(210)의 중심 쪽으로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arget stop probability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2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oundary must move toward the center of the cell 210 when the data transmission speed changes and the partial frequency reuse becomes more advantageous than the entire frequency reuse.

또한 제어부(150)는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3
)을 달성함에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하여 부분 주파수 재사용보다 전체 주파수 재사용이 유리해지는 경우 최적의 경계가 셀(210)의 가장자리 쪽으로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stop probability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3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ptimal boundary should move toward the edge of the cell 210 when the data transmission speed changes and the entire frequency reuse becomes more advantageous than the partial frequency reuse.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신호 대비 잡음비가 변화함에 따라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경우 단말(300)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중단 확률(이하, '제1 중단 확률')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경우 단말(300)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중단 확률(이하, '제2 중단 확률')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교점인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4
)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기초로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determine a stop probab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top probability') that varies according to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UE 300 when the entire frequency reuse is applied as the SNR changes, ) And partial stopping probabil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top probability')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300 when parti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4
) As the data transmission speed chang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undary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동일한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제1 중단 확률과 제2 중단 확률이 만나는 기준 중단 확률은 수학식 1의 Nf에 1을 대입한 값과 수학식 1의 Nf에 1을 초과하는 n을 대입한 후 연립하여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한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5
)은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at which the first interruption probability and the second interruption probability meet at the same data transfer rate is obtained by substituting a value obtained by substituting 1 into Nf in the expression (1) and n exceeding 1 in the expression (1) . Therefore,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5
) ≪ / RTI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6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6

이때 수학식 2를 구성하는 각 인자는 수학식 1의 인자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At this time, each factor constituting Equation (2) is the same as the factor of Equation (1), so that redundant explanation is omitted.

한편, 수학식 2를 참조하면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7
은 데이터 전송 속도 R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함수로서, R이 R+ 미만일 때 R이 증가하면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8
의 값도 증가하며, R이 감소하면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9
의 값도 감소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Equation (2)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7
Is a function of increasing or de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data transmission rate R. When R is less than R + and R is increased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8
Is also increased, and when R decreases
Figure 112017046713283-pat00019
Is also decreased.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0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1
)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중단 확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f)이 유리하며,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2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3
) 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중단 확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p)이 유리하다. Referring again to FIG. 4,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0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1
),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entire frequency reuse (f) and the reference break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2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3
, Partial frequency reuse (p) is advantageous in order to achieve a halt probability with a lower value.

이때 수학식 2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가 올라갈수록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4
)은 커진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속도가 R1인 경우의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5
)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R2인 경우의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6
)이 더 크다. 따라서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7
)을 달성함에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커질수록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8
)이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9
)보다 커지게 되므로 부분 주파수 재사용이 유리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작아질수록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0
)이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1
)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전체 주파수 재사용이 유리하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Equation (2), as the data transmission rate increases,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4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R1,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5
) ≪ / RTI > when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R2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6
) Is larger. Therefore,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7
), The greater the data transmission rate, the more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8
) Is the target stop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29
), It is advantageous to reuse the partial frequency, and as the data transmission speed becomes smaller,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0
) Is the target stop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1
), So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is advantageous.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였을 때, 가령 단말(300)이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면서 기지국(200)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단말(300)에서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다가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하는 것이 특정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2
)을 달성함에 있어 SNR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When the data rate of the base station 200 increases while the terminal 300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based on this fact,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300 applies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applies the partial frequency reuse. Target drop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2
) Is advantageous because the SNR can be reduced.

이를 셀(210)의 관점에서 도 6a 및 도 6b와 함께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6a를 다시 참조할 때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이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3
이면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R1일 때, 기지국(200)으로부터 Ds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에 단말(300)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단말(300)에는 전체 주파수 재사용이 적용되는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도 6b와 같이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이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4
보다 큰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5
가 되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R2가 되면, 부분 주파수 재사용이 유리하므로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를 셀(210)의 중심 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Referring to FIGS. 6A and 6B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ell 210, referring to FIG. 6A again,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3
And a data transmission rate is R1 and a terminal 300 is located at a distance of Ds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200, it is assumed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300.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B,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4
Bigger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5
When the data transmission rate becomes R 2,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advantageous. Therefore, the boundary for dividing each frequency reuse region must be shifted to the center of the cell 210 so that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efficiently used.

따라서 제어부(150)는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6
)을 달성함에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하여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7
)이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8
)보다 높아지면 경계가 셀(210)의 중심 쪽으로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arget stop probability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6
), The data transfer rate changes and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7
) Is the target stop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8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oundary must move toward the center of the cell 210. [

또한 제어부(150)는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9
)을 달성함에 있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하여 기준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40
)이 타겟 중단 확률(
Figure 112017046713283-pat00041
)보다 낮아지면 경계가 셀(210)의 가장자리 쪽으로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stop probability
Figure 112017046713283-pat00039
), The data transfer rate changes and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40
) Is the target stop probability (
Figure 112017046713283-pat00041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oundary must move toward the edge of the cell 210. [

즉, 데이터 전송 속도의 변화는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의 변화에 비례하므로,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hange in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can be efficiently used based on the data transmission rat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undary dividing each frequency reuse region moves can be determined.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의 각 단계는 도 3을 통해 설명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이동방향 판별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므로, 이러한 이동방향 판별 방법이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Each step of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in the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FIG. 7 can be performed by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the cellular networ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ince each step is exemplarily shown, this method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Each step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7을 참조하면, 단말(300)과 기지국(200)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 및 단말(300)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10)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tep S710 of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data transmission speed between the terminal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300 is performed.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인 경우와 부분 주파수 재사용인 경우 각각에 대한 제1 중단 확률 및 제2 중단 확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720)가 수행된다.Next, step S720 of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first stop probability and the second stop probability for the case of full frequency reuse and the case of partial frequency reuse at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performed.

다음으로, 기준 중단 확률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변화하는 방향을 기초로 최적의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단계(S730)가 수행된다Next, a step S730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timum boundary moves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interruption probability changes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performed

이때 각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detailed operation method of each step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in the cellular network described in FIGS. 1 to 6,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른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의 각 단계는 도 3을 통해 설명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이동방향 판별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이므로, 이러한 이동방향 판별 방법이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in a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ach step of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in the cellular network according to FIG. 8 can be performed by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100 in the cellular networ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t this time, Since each step is exemplarily shown, this method of determining the moving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Each step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8을 참조하면, 단말(300)과 기지국(200)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 및 단말(300)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810)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8, step S810 of obtaining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the terminal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and information on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300 is performed.

다음으로, 전체 주파수 재사용인 경우와 부분 주파수 재사용인 경우 각각에 대한 중단 확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820)가 수행된다.Next, a step S820 of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interruption probabilities for the entire frequency reuse case and the partial frequency reuse case is performed.

다음으로, 소정의 타겟 중단 확률을 달성함에 있어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변경되는 방향을 기초로 최적의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단계(S830)가 수행된다Next, in order to achieve a predetermined target stop probability, step S830 of discriminat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optimal boundary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equency reuse method with a lower signal-to-noise ratio is changed is performed

이때 각 단계의 구체적인 수행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10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detailed operation method of each step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100 in the cellular network described in FIGS. 1 to 6,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200)의 전송 전력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전체 주파수 재사용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 재사용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경계의 이동방향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셀(210)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또는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함에 따라 중단 확률이 낮아지는 경계를 조사하는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셀(210) 내에서 FFR 방식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기지국(200)으로 하여금 판별된 방향으로 경계를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partial frequency reuse adaptively based on the data transmission rat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200,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sinc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undary can be predict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ange of searching the boundary where the stop probability is lowered by apply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or partial frequency reuse in the cell 210, The base station 200 can reset the boundary in the determined direction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FFR schem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eans.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hardware implement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a procedure or a func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a memory unit and driven by the processor. The memory unit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can exchange data with the processor by various known means.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0: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
110: 기초 정보 획득부
130: 확률 정보 획득부
150: 제어부
200: 기지국
210: 셀
300: 단말
400: 네트워크
100: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iscriminator in a cellular network
110: bas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130: probability information obtaining unit
150:
200: base station
210: cell
300: terminal
400: Network

Claims (10)

기지국의 셀(cell)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영역(full frequency reuse)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 영역(partial frequency reuse) 간 최적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초 정보 획득부와,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상기 기지국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중단 확률(outage probability)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확률 정보 획득부와,
소정의 타겟 중단 확률을 달성함에 있어,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및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중 상기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방식에서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었는지 아니면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식에서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an optimal boundary moves between a full frequency reuse region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region in a cell of a base station,
A basic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a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on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Wherein, when the tot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to the base station and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to the base station at the data transmission rate, an interruption probability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which varies according to a signal- a probability information obtaining unit that obtains information on an outage probability,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achieving a predetermined target interruption probability, whether the frequency reuse scheme with the lower signal-to-noise ratio during the entire frequency reuse and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changed from the overall frequency reuse scheme to the partial frequency reuse schem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ntire frequency reuse scheme has been changed to the entire frequency reuse scheme and for determin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boundary based on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in a cellular networ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방식에서 상기 부분 주파주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면, 상기 경계가 상기 셀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f the frequency reuse scheme having a lower signal-to-noise ratio is changed from the entire frequency reuse scheme to the partial reuse reuse scheme, it is determined that the boundary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cell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in a cellular networ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식에서 상기 전체 주파주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면, 상기 경계가 상기 셀의 가장자리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f the frequency reusing scheme having a lower signal-to-noise ratio is changed from the partial frequency reuse scheme to the entire dominant reuse reuse scheme, it is determined that the boundary moves toward the edge of the cell
A boundary movement direction determination device in a cellular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지국의 셀(cell) 내에서 전체 주파수 재사용 영역(full frequency reuse)과 부분 주파수 재사용 영역(partial frequency reuse) 간 최적 경계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에서 상기 기지국에 전체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및 부분 주파수 재사용을 적용시키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말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변화하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통신이 중단될 중단 확률(outage probability)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및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중 소정의 타겟 중단 확률을 달성함에 있어 상기 신호 대 잡음비가 더 낮은 주파수 재사용 방식이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방식에서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었는지 아니면 상기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식에서 상기 전체 주파수 재사용 방식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경계의 이동방향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경계 이동방향 판별 방법.
A method for determining a direction in which an optimal boundary moves between a full frequency reuse region and a partial frequency reuse region in a cell of a base station,
Acquiring information on a data transmission rate between a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on a signal-to-noise ratio in the terminal;
Wherein, when the tot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to the base station and the partial frequency reuse is applied to the base station at the data transmission rate, an interruption probability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which varies according to a signal- obtaining information on an outage probability of the user,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frequency reuse scheme having a lower signal-to-noise ratio is changed from the overall frequency reuse scheme to the partial frequency reuse schem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entire frequency reuse method has been changed;
And determin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boundary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A method for determin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s in a cellular network.
삭제delete 제7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15.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of claim 7. 제7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3. A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of claim 7.
KR1020170060822A 2017-03-31 2017-05-17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 KR1019255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983 2017-03-31
KR20170041983 2017-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418A KR20180111418A (en) 2018-10-11
KR101925568B1 true KR101925568B1 (en) 2018-12-06

Family

ID=6386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822A KR101925568B1 (en) 2017-03-31 2017-05-17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5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261B1 (en) * 2018-12-27 2021-04-0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9844A (en) * 2012-05-14 2013-11-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9844A (en) * 2012-05-14 2013-11-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ull and Partial Frequency Reuses for the Layered Bitstream Transmission", Seok-Ho Chang 외 3인, Information Theory & Applications Workshop (2016.02.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418A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21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ly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175594B2 (en) Active set management with hotspot carriers
US8954009B2 (en) Autonomous femto node carrier frequency selection
US99243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network capacity of cell sites in a wireless network
CN108141333B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handling signal measur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407944B1 (en) Conges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KR20100106533A (en) Communication handover management
EP2761912A1 (en) Inter-system interference in communications
KR20060045305A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esour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US20130188608A1 (en) Network Node And Method For Virtual Soft Handoff Operation
JP6411357B2 (en)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user equipment
CN114223172B (en) Position assisted cross link interference measurement
JP2016507989A (en) Managing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information on scheduling performance requirements
US201303084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plink interference in heterogeneous networks
KR1019255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boundary movement direction in cellular network
CN102111887B (en) Method for adjusting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resource density and base station
TW201446063A (en) Control signalling
US1157605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network optimization
CN102883450B (en) Method, equipment system for configuring flexible subframes
CN111788844A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WO2018108851A1 (en) Adap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wireless access point
CN107409326B (en) Customer premises equipment,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8251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US20140016588A1 (en)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Allocating a Component Carrier to a Cel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656095B2 (en)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base st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