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856B1 - 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 - Google Patents

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856B1
KR101924856B1 KR1020170081771A KR20170081771A KR101924856B1 KR 101924856 B1 KR101924856 B1 KR 101924856B1 KR 1020170081771 A KR1020170081771 A KR 1020170081771A KR 20170081771 A KR20170081771 A KR 20170081771A KR 101924856 B1 KR101924856 B1 KR 101924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extending portion
outer frame
engaging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영준
주민진
Original Assignee
주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준 filed Critical 주영준
Priority to KR102017008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8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8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5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adjustable, e.g. for accommodating panes of various thickness, or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the clamping force on the p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rame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 window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 connecting body including a rim forming a hollow square, an extending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opposite to the connecting body, a first latching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from a middle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distal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an outer frame coupled to one side of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latch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body and extending in a protrusion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a structure frame including a pair of coupling ends coupled to both sides of a second coupl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second latch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latching portion, and a bonding portion integrally coupled to a coupling extension formed when the pair of coupling ends meet and attached to one side of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thereby forming a cross section.

Description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

본 발명은 창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window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주택, 아파트 등의 건축물의 창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호는 창호의 프레임 내측에 끼워진 유리에 의해 채광과 조망을 확보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소음 차단, 실외의 한기나 열기 등의 실내 유입 최소화 등의 작용을 하게 된다.The windows installed on windows and verandas of buildings such as houses, apartments, etc. are secured by the glass fitted inside the frames of the windows, while securing lighting and view, while minimizing noise from the outside, minimizing indoor influx .

창호는 그 재질에 따라 알루미늄이나 철재로 형성된 금속제 창호와, 전통 건축에서 주로 사용되는 목재 창호와, 주로 PVC계열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합성수지 창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알루미늄, 단열재, PVC, 목재 등을 혼합 사용한 복합창호도 볼 수 있으며, 알루미늄과 단열재를 혼용하여 제작한 알루미늄 단열창 또한 널리 사용되는 창호의 형태이다.Depending on the material, the window can be classified into a metal window made of aluminum or steel, a wood window mainly used in a traditional building, and a synthetic window window made of a PVC-based synthetic resin. Aluminum, insulation, PVC, wood, and other composite windows can be seen. Aluminum insulation windows made of aluminum and insulation are also widely used windows.

그 중에서 알루미늄 창호는 우수한 생산성과 경량으로 인한 취급 및 시공의 용이성으로 인해 창호 프레임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 알루미늄 창호의 일례가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4444호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요홈부를 구비한 도어 샤시에 직접 유리가 끼워지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순 알루미늄 창호에 해당한다. 단순 알루미늄 창호는 단열성능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는데, 이러한 점을 개선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975604호에서는 알루미늄과 PVC재질의 단열부재를 혼합하여 형성한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창호를 개시하고 있다.Among them, aluminum window frames are widely used as material for window frames due to their excellent productivity and ease of handling and construction due to their light weight. One example of conventional aluminum window frame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124444 . The above-mentioned patent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glass is directly fitted into a door chassis having a recess, which corresponds to a simple aluminum window. A simple aluminum window has disadvantages in terms of heat insul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975604 discloses an aluminum window with improve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formed by mixing aluminum and a heat insulating member made of PVC.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알루미늄 창호는 단열성능은 개선되지만,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부재들이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유리가 알루미늄 부재들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However, although the aluminum window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is improved in heat insulation perform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aluminum window frame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glass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aluminum members.

즉, 상기 등록특허의 알루미늄 창호는 미리 설정된 두께의 유리와 결합되어서만 사용될 수 있으며, 두께가 다른 유리와 결합되어 사용되려면 전체적인 설계가 새롭게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That is, the aluminum window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can be used only in combination with the glas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whole design must be newly made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glass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4444호(2013.11.14.공개)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도어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124444 (published on November 14, 2013) "Sliding window installation structure including a door guide frame of detachable and detachable segment structure" 등록특허공보 제10-0975604호(2010.08.17.공고) "단열성능이 개선된 알루미늄 프로젝트 및 풀다운 창호 샤시구조체"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75604 (Announcement 2010.08.17) "Aluminum project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and pull-down window chassis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유리에 경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that can economically cope with various sizes of gla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창호 프레임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문틀 또는 창문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or window frame structure that can easily accommodate window frame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진 기능이 향상된 창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vibration damping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건한 구조와 향상된 미관이 공존하는 창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structure in which a robust structure and an improved aesthetic appearance coexi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 개선된 창호 구조는, 중공의 사각형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포함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중간에서 상기 연장부에 수직인 양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서 상기 연장부에 수직인 양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부를 구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1 걸림부와 상기 연결본체 사이에 형성된 제1 결합요홈부에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외관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제2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결합요홈부에 양측에서 결합된 한 쌍의 결합단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단부가 하나로 만나서 형성된 결합연장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횡단면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ssembly compatible improved wind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body including a rim forming a hollow square, an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connection body,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at a distal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 outer fram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engaging and recess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body and exten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a pair of engagement ends joined at both sides to a second engagement recess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linking member and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a coupling extension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ir of engagement ends, And a joining portion join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having a cross-section formed therein.

이때, 상기 외관 프레임은 그 횡단면에서 제1 변의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1 변에 인접한 제2 변의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1 변의 제1 개방부와 상기 제2 변의 제2 개방부가 상호 인접하게 위치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변의 말단부가 상기 제1 결합요홈부의 상기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frame is opened at one side of the first side in the transverse section thereof, one side of the second side adjacent to the first side is opened, and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opening of the second side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distal end of the first side may be coupled to the one side of the first engagement concave portion.

더욱이,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단부는, 상기 제2 결합요홈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말단결합부와, 상기 각 말단결합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말단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연장부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와 제2 말단연장부를 연결하는 말단연결부와, 상기 제1 말단연장부 및 상기 말단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접합부는, 상기 가로 연장부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되 일측에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합되는 세로연장접합부와, 상기 세로연장접합부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접합되는 접합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engagement end of the structural fram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end engagement portion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engagement recess portion, first and second end engagement portions extending from the end engagement portions in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of the structural frame comprises a distal end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distal end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distal end extension portion and a distal end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distal extension portion and the distal end connection portion in a projecting direction Wherein the joining portion of the structural frame extends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at an end of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A longitudinally extending abutment portion joined to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abutment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nsversely extending portion at a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abutment portion, It may comprise a bonding end to be bond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frame.

이와 달리,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단부는, 상기 제2 결합요홈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말단결합부와, 상기 각 말단결합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말단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연장부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와 제2 말단연장부를 연결하는 말단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 및 상기 말단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와, 상기 가로 연장부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되 일측에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합되는 세로연장접합부와, 상기 세로연장접합부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engagement end of the structural fram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end engagement portions, respectively, coupled to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engagement recess portion, and first and second end engagement portions, Wherein the engagement extension of the structural frame comprises a distal end connection connecting the first end extension and the second end extension, wherein the junction of the structural frame comprises a first end extension And extending from the end connec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at a distal end of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A longitudinally extending joint portion join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t one side thereof; And a closure end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 특성이 향상된 창호 구조에 의하면, 단일창, 이중창에 따른 유리의 두께 차이, 이중창의 유리 사이의 단열공간의 광협에 따른 이중창 유리 두께의 차이에 따른 다양한 두께의 유리에 맞는 창호 프레임을 비교적 용이하게 경제적으로 구비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indow structure having improved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ndow structure having various thickness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double pane glass according to the single window, the thickness difference of the double pane window,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easily and economically provide the window frame that is suitable for the window frame.

또한, 다양한 두께의 창호 프레임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문틀 또는 창문틀을 경제적으로 구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door frame or a window frame which can easily correspond to a window frame of various thicknesses can be economically provided.

한편, 외부의 강한 충격을 창호 자체에서 상당 부분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리의 파손에 따른 경제적 손실과 유리 파손에 의한 2차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a strong external impact can be absorbed to a considerable extent in the window itself,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economic loss due to the glass breakage and the secondary damage due to the glass breakage.

나아가, 개선된 조립호환성과 알미늄 창호의 구조강성을 유지하면서 외관이 더욱 개선된 창호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ndow with improved appearance while maintaining the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nd the structural stiffness of the aluminum wind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에서 연결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외관 프레임 및 구조 프레임이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창호가 창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ng member in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joining an exterior frame and a structural frame of a window structure having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nnecting memb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process of joining a window of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to a window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에서 연결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외관 프레임 및 구조 프레임이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창호가 창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member in a window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process of joining an outer frame and a structural frame of a window structure having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nnecting member.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indow structure improved in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joining a window of a window structure improved in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window frame will be.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10)는, 크게 연결부재(100), 외관 프레임(200), 그리고 구조 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indow structure 10 with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100, an outer frame 200, and a frame 300.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관 프레임(200)과 연결부재(100)에 의해 형성되는 요홈부 형상의 공간에는 창호용 유리(G)가 조립될 수 있다. 유리(G)와 외관 프레임(200)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은 통상적으로 실리콘으로 접합 및 마감처리한다.1, a window glass G may be assembled in a recessed space formed by the outer frame 200 and the connecting member 1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The corner portions where the glass G and the outer frame 200 meet are typically bonded and finished with silicone.

연결부재(1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본체(110), 연장부(120), 제1 걸림부(130), 제2 걸림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he connecting member 100 includes a connecting body 110, an extension 120, a first latching part 130, and a second latching part 140.

연결본체(110)는 연결부재(100)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공의 사각형 형상, 즉 속은 비어 있고 테두리만 있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본체(1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열재로서 기능하는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 효과 중 하나인 제진 특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necting body 110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member 100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f a hollow shap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at is, a hollow shape with a hollow and only a rim. The connecting body 110 functions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as described later, and is a component directl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본체(110)의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연장부(120)가 돌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장부(120)는 연결본체(110)의 좌우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The extension 120 protrudes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connection body 1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xtensions 120 are each project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onnecting body 110.

각 연장부(120)의 중간에는 상기 연장부(120)에 수직이며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걸림부(13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부(130)와 연결본체(110)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관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제1 결합요홈부(135)가 형성된다.A pair of first engaging portions 130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s 120 and facing each other is formed in the middle of each extending portion 120. The first engaging recess 13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art 130 and the connecting body 110 to engage the outer frame 200 as described later.

각 연장부(120)의 말단에는 상기 연장부(120)에 수직이며 상기 제1 걸림부(130)가 돌출된 상기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 걸림부(140)가 또한 형성된다. 이로써,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부(130)와 제2 걸림부(140) 사이에 제2 결합요홈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second engaging portions 140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120 and protruding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0 ar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each extending portion 120 do. Thus, the second engagement recessed portion 145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130 and 140 protruded in the same direc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100)는 폴리아미드 또는 유리섬유 강화된 폴리아미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polyamide or glass fiber reinforced polyamide.

폴리아미드는 기계적 성능과 내유성(耐油性), 내열성(耐熱性)이 우수하고 난연성이 있으므로, 오염과 화재에 강하여 창호를 구성하는 재료로 매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표면경도가 커서 금속부재와의 결합시에 표면이 쉽게 손상되지 않으며, 마찰계수가 작은 자기윤활성 수지이므로 금속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슬라이드 삽입할 때에(도 2 참조),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금속부재와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Since polyamide has excellent mechanical performance, oil resistance (oi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flame retardancy, it is said to be very suitable as a material constituting a window by being resistant to pollution and fire. Further, since the surface hardness is large and the surface is not easily damaged at the time of bonding with the metal member, and because the self-lubricating resin has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slide is inserted for engagement with the metal member (see FIG. 2)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tal member can be assembled smoothly smoothly.

또한, 폴리아미드는 필요한 물성에 따라서 단단하게 만들 수도 있고, 유연하게 만들 수도 있으므로, 창호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연결부재(100)에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투명하게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미감적 효과를 위해 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Also, since the polyamide can be made hard or flexible according to the required physical properties, the mechanical properties required for the connecting member 10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window frame. In addition,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in a transparent manner, it may be used for an aesthetic effect.

연결부재(100)는 통상적인 폴리아미드가 아닌 유리섬유 강화된 폴리아미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강화 폴리아미드는 흡수성이 낮아 치수와 물성의 변화가 작고, 열팽창율과 성형수축도 적으며, 내피로성과 내열노화 및 내후성이 양호하여 고강성의 구조체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환경에 시공되거나 비교적 정밀한 치수가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연결부재(100)를 강화 폴리아미드로 형성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necting member 100 may be formed of a glass fiber reinforced polyamide rather than a conventional polyamide. Reinforced polyamide has low water absorption, small changes in dimensional and physical properties, less thermal expansion rate and less molding shrinkage, and can be used as a structural part with high rigidity due to good resistance to endothelium, heat aging and weatherability. Therefore, in an environment where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is required or a relatively precise dimension is required, the connection member 100 may be formed of reinforced polyamide.

상기 외관 프레임(200)은 상기 연결부재(100)의 제1 걸림부(130)와 상기 연결본체(110) 사이에 형성된 제1 결합요홈부(135)에 일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120)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된다.The outer frame 200 is coupled at one side to a first coupling recessed portion 135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0 of the coupling member 100 and the coupling body 110, As shown in Fi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구체적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2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횡단면에서 제1 변(205a)의 일측이 개방된 제1 개방부(210a)와, 상기 제1 변(205a)에 인접한 제2 변(205b)의 일측이 개방된 제2 개방부(210b)를 가진다. 상기 제1 개방부(210a)와 제2 개방부(210b)는 상호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외관 프레임(2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의 일부분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변(205a)의 말단부가 상기 제1 결합요홈부(135)의 상기 일측에 결합된다.1, the outer frame 200 includes a first opening 210a on one side of the first side 205a and a second opening 210b on the second side adjacent to the first side 205a, And a second opening 210b on one side of the side 205b. The first opening 210a and the second opening 210b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uter frame 200 is formed as a part of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And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ide 205a is coupled to the one side of the first engagement recessed portion 135. [

외관 프레임(200)은 미려한 외관을 위해 빛 반사와 광택이 좋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200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with good light reflection and gloss for a beautiful appearance.

구조 프레임(300)은 한 쌍의 결합단부(310)와 접합부(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결합단부(310)는 상기 연결부재(100)의 제2 걸림부(140)와 상기 제1 걸림부(130) 사이에 형성된 제2 결합요홈부(145)에 양측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합부(330)는 상기 외관 프레임(200)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결합단부(310)가 하나로 만나서 형성된 결합연장부(320)와 일체로 결합된다.The structural frame 300 comprises a pair of engagement ends 310 and a joint 330. The pair of engagement ends 310 are coupled to the second engagement recessed portion 145 formed betwee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40 of the connection member 100 and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0 at both sides do. The joining part 33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0 a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oupling extension part 320 formed by the coupling end 310 in one.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 프레임(300)의 상기 한 쌍의 결합단부(310)는, 상기 제2 결합요홈부(145)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말단결합부(311a, 311b)와, 상기 각 말단결합부(311a, 311b)에서 상기 연장부(120)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말단연장부(313a, 313b)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coupling ends 310 of the structural frame 300 include first and second end coupling portions 311a and 311b And first and second terminal extension parts 313a and 313b exten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120 at the respective terminal fitting parts 311a and 311b.

상기 구조 프레임(300)의 상기 결합연장부(320)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313a)와 제2 말단연장부(313b)를 연결하는 말단연결부(321)와, 상기 제1 말단연장부(313a) 및 상기 말단연결부(321)로부터 상기 연장부(120)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323)를 포함한다.The coupling extension 320 of the structure frame 300 includes an end connection portion 321 connecting the first end extension 313a and the second end extension 313b, And a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323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connecting portion 321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120.

마지막으로, 상기 구조 프레임(300)의 상기 접합부(330)는, 상기 가로 연장부(323)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323)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200)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되 일측에서 상기 외관 프레임(200)의 내면에 접합되는 세로연장접합부(325)를 포함한다.The joining portion 330 of the structural frame 300 extends from the distal end of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323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323 And a longitudinally extended joint portion 325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0 at one side.

상기 접합부(330)는 또한, 상기 세로연장접합부(325)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323)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관 프레임(200)의 내면 일측에 접합되는 접합단부(327)를 포함한다.The joining portion 330 further includes a joining end portion 327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elongate extended joining portion 325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323 and join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0 do.

구조 프레임(300)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의 구조 강성을 형성하는 기반으로서,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알루미늄의 경우 급격한 산화 반응으로 인하여 표면에 피막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부식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지만 외관의 빛반사를 저감시켜 색상이나 질감이 다소 탁하게 보일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외관 프레임)을 알루미늄(구조 프레임)에 접합시켜 창호 외측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만 보이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 structural frame 300 may be formed of aluminum which is light and strong in strength as a basis for form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wind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aluminum, a film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due to a rapid oxidation reaction, which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corrosion, but the light reflection of the appearance is reduced, so that the color or texture may appear to be somewhat haz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tainless steel (outer frame) is bonded to aluminum (structural frame) so that only stainless steel is visible outside the window.

알루미늄 재질의 구조 프레임(300)과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외관 프레임(200)의 접합은 접착제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joining of the structural frame 300 made of aluminum and the outer frame 200 made of stainless steel can be carried out by an adhesive. Alternatively, the joining may be carried out by spot welding.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는,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스틸의 두 가지 금속재료가 결합되어 구조강성과 외관 향상을 동시에 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ndow structure having improved assembly compat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wo metal materials, such as aluminum and stainless steel, are combined to simultaneously improve the structural rigidity and appearance.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에서는 한 쌍의 금속부재는 그대로 두고 연결부재(100)를 여러 다른 길이로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시공 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 스틸의 복합 소재로 이루어지는 금속 부재는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창호에 끼워지는 유리의 종류에 따라(단일창, 이중창, 삼중창 등) 연결부재(100)만을 바꿔서 조립하면 서로 다른 두께의 유리에 맞는 창호를 쉽게 만들어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리 사이 간격이 다르게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이중창, 삼중창에도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wind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10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lengths with the pair of metal members intact,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construction environments. That is, when a metal member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of aluminum and stainless steel is used in the same manner and only the connecting member 100 is assembled alternately according to the kind of glass (single window, double wind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window that is suitable for the us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kinds of double windows and triple windows formed with different glass gaps.

한편, 한 쌍의 금속부재를 폴리아미드 재질의 연결부재(100)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부재(100)에 의해 제진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하나의 금속부재에 전달된 충격이 다른 금속부재 및 유리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양쪽 금속부재 모두에 전달된 충격이 유리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ir of metal members is configured to be coupled by the connecting member 100 made of polyamide, the connecting member 100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That 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mpact transmitted to one metal memb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ther metal member and the glass, and the effect that the impact transmitted to both metal members can be transmitted to the glass can be reduced or block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는 유리를 포함하는 창호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창호가 끼워지는 창틀 또는 문틀에도 적용가능하다. 창틀 또는 문틀로서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In addition, the wind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to a window including glass but also to a window frame or a door frame in which the window is inserted. An embodiment of the window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used as a window frame or a door frame is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00)와 외관 프레임(200)은 상기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부 차이를 제외하고는 유사하다. 구조 프레임(300)도 결합단부(310)와 결합연장부(320), 그리고 접합부(330)으로 이루어지는 점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그 세부 구성에서는 차이가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connecting member 100 and the outer frame 200 are similar except for some differences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structure frame 300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1 in that it also includes the joint end 310, the coupling extension 320, and the joint 330,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tailed configuration.

즉, 상기 구조 프레임(300)의 상기 결합단부(310)는, 상기 제2 결합요홈부(145)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말단결합부(311a, 311b)와, 상기 각 말단결합부(311a, 311b)에서 상기 연장부(120)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말단연장부(313a, 3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the coupling end 310 of the structure frame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end coupling portions 311a and 311b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coupling hollow groove portion 145, And first and second terminal extension parts 313a and 313b extending in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extension part 120 at the coupling parts 311a and 311b.

이에 따라 상기 구조 프레임(300)의 상기 결합연장부(320)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313a)와 제2 말단연장부(313b)를 연결하는 말단연결부(321)로 이루어진다.The coupling extension portion 320 of the structural frame 300 includes an end connection portion 321 connecting the first end extension portion 313a and the second end extension portion 313b.

또한, 상기 구조 프레임(300)의 접합부(330)는 가로 연장부(323), 세로연장접합부(325) 및 마감단부(327)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로 연장부(323)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313a) 및 상기 말단연결부(321)로부터 상기 연장부(120)의 돌출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200)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로 연장부(323)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관 프레임(200)의 내면에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joining portion 330 of the structural frame 300 includes a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323, a longitudinally extending connecting portion 325 and a finishing end portion 327.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323 includes a first end extension And extend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part (120) protrudes from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311)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art (321). At least a part of the lateral extension 323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0.

상기 세로연장접합부(325)는 상기 가로 연장부(323)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323)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200)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되 일측에서 상기 외관 프레임(200)의 내면에 접합되도록 구성된다.The longitudinal extension portion 325 extends from the end of the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323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323, As shown in Fig.

상기 마감단부(327)는 상기 세로연장접합부(325)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323)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The finishing end portion 327 is configured to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323 at the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connecting portion 325.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의 구조 프레임(300)의 일부인 상기 가로 연장부(323) 또는 세로연장접합부(325)를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외관 프레임(200)과 접합할 때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스폿 용접에 의해 접합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nsversely extending portion 323 or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portion 325, which is a part of the structural frame 300 made of aluminum, is bonded to the outer frame 200 made of stainless steel, an adhesive may be used, The bonding may be performed by spot welding.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접합부(330)와 외관 프레임(200)이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접합부(330)의 구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시이며, 상기 접합부(330)가 상기 외관 프레임(200)과 이격되어 있음을 도시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330)와 외관 프레임(200)은 접촉부위 전체에 대하여 접합이 실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접합강도를 고려하여 접촉부위 중 일부에 대해서만 접합이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에 그 일례를 나타내었으며, 접합부(330)와 외관 프레임(200) 사이에 접합이 실시된 부위를 직선(L)으로 나타내고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4, the joint 330 and the outer frame 200 are shown a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joint 33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joint 330 is not show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rame 200. The joining part 330 and the outer frame 200 are not necessarily bonded to each other at the entire contact area but may be bonded only to a part of the contact area in consideration of necessary bonding strength. FIG. 1 shows an example thereof, and a straight line L indicates a portion where the joining portion 330 and the outer frame 200 are joined.

도 5는 이와 같이 형성되어 창틀 또는 문틀로 사용되는 도 4의 실시예의 창호 구조에 도 1의 실시예의 창호가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window of the embodiment of Fig. 1 is fitted to the window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Fig. 4, which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used as a window frame or a door frame.

연결부재(100)를 일정 크기 이상으로 길게 또는 넓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00)의 강도 보강을 위해 연결부재(100)의 연결본체(110) 내부에 보강부(도시되지 않음)를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보강부는 대향하는 면 사이를 및/또는 대향하는 모서리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onnecting member 100 is formed to be longer or wider than a predetermined size, a reinforcing portion (not shown) is add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body 110 of the connecting member 100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00 It will be possible.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inforcing rib connecting between opposing surfaces and / or between opposing corners.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 본 발명의 창호 구조 100 : 연결부재
110 : 연결본체 120 : 연장부
130 : 제1 걸림부 135 : 제1 결합요홈부
140 : 제2 걸림부 145 : 제2 결합요홈부
200 : 외관 프레임 205a : 제1 변
205b : 제2 변 210a : 제1 개방부
210b : 제2 개방부
300 : 구조 프레임 310 : 결합단부
311a, 311b : 제1 및 제2 말단결합부
313a, 313b : 제1 및 제2 말단연장부
320 : 결합연장부 321 : 말단연결부
323 : 가로 연장부 325 : 세로연장접합부
327 : 접합단부 330 : 접합부
G : 창호용 유리
10: Window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connection body 120: extension part
130: first engaging part 135: first engaging recessed part
140: second engaging portion 145: second engaging recessed portion
200: Exterior frame 205a: First side
205b: second side 210a: first opening
210b:
300: Structure frame 310: Coupling end
311a and 311b: first and second end coupling parts
313a, 313b: first and second end extensions
320: coupling extension part 321:
323: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325: longitudinally extending connecting portion
327: joining end 330: joining
G: Glass for windows

Claims (4)

삭제delete 삭제delete 중공의 사각형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포함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중간에서 상기 연장부에 수직인 양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서 상기 연장부에 수직인 양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부를 구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1 걸림부와 상기 연결본체 사이에 형성된 제1 결합요홈부에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외관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제2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결합요홈부에 양측에서 결합된 한 쌍의 결합단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단부가 하나로 만나서 형성된 결합연장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단부는,
상기 제2 결합요홈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말단결합부와, 상기 각 말단결합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말단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연장부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와 제2 말단연장부를 연결하는 말단연결부와, 상기 제1 말단연장부 및 상기 말단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접합부는,
상기 가로 연장부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되 일측에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합되는 세로연장접합부와,
상기 세로연장접합부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접합되는 접합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A connecting body including a rim forming a hollow square,
An extending portion projecting in opposite directions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connecting body,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extending portion,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at a distal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 outer fram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engaging and recess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body and exten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A pair of engagement ends joined at both sides to a second engagement recess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a coupling extension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ir of engagement ends, And a joining part which is joined 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The mating end of the structural frame
First and second end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engaging recess portion and first and second end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at the respective end engaging portions,
Wherein the coupling extension of the structural frame comprises:
A distal en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end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nd extending portion and a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extending portion and the distal end connecting portion in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joining portion of the structural frame comprises:
A longitudinally extending joint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and being join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t one side,
And a joining e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ateral extending portion at a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joining portion and join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중공의 사각형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포함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대향하는 양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중간에서 상기 연장부에 수직인 양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부, 및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서 상기 연장부에 수직인 양방향으로 돌출된 제2 걸림부를 구비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1 걸림부와 상기 연결본체 사이에 형성된 제1 결합요홈부에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된 외관 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재의 제2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 사이에 형성된 제2 결합요홈부에 양측에서 결합된 한 쌍의 결합단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단부가 하나로 만나서 형성된 결합연장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부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단부는,
상기 제2 결합요홈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말단결합부와, 상기 각 말단결합부에서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말단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결합연장부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와 제2 말단연장부를 연결하는 말단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조 프레임의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1 말단연장부 및 상기 말단연결부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돌출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와,
상기 가로 연장부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하여 연장되되 일측에서 상기 외관 프레임의 내면에 접합되는 세로연장접합부와,
상기 세로연장접합부의 말단에서 상기 가로 연장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호환성이 개선된 창호 구조.
A connecting body including a rim forming a hollow square,
An extending portion projecting in opposite directions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connecting body,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extending portion,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in bo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ortion at a distal end of the extending portion;
An outer fram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engaging and recess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body and exten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And
A pair of engagement ends joined at both sides to a second engagement recess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a coupling extension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ir of engagement ends, And a joining part which is joined 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The mating end of the structural frame
First and second end engaging portion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engaging recess portion and first and second end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at the respective end engaging portions,
Wherein the coupling extension of the structural frame comprises:
And an end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end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nd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joining portion of the structural frame comprises:
A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in the direction of proj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from the first terminal extension portion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A longitudinally extending joint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and being join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t one side,
And a finishing end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nsverse extending portion at a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joint portion.
KR1020170081771A 2017-06-28 2017-06-28 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 KR1019248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71A KR101924856B1 (en) 2017-06-28 2017-06-28 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71A KR101924856B1 (en) 2017-06-28 2017-06-28 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856B1 true KR101924856B1 (en) 2018-12-04

Family

ID=6466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71A KR101924856B1 (en) 2017-06-28 2017-06-28 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85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754A (en)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Combined frame system
CN110029756A (en)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Combined frame system
CN110029755A (en)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A kind of combined frame system
CN110080437A (en) * 2019-04-26 2019-08-02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A kind of combined frame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649B1 (en) 2011-01-24 2012-05-11 임식규 Insulat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KR101331205B1 (en) 2013-07-17 2013-11-26 주식회사 윈스틸 Stainless window frame having insulation
KR101465396B1 (en) 2014-04-24 2014-11-25 장정일 Stainless stell windows frame with excellent adiabatic propert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1471088B1 (en) * 2014-06-20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Adiabatic Metal Windows
KR101546824B1 (en) * 2015-04-13 2015-08-24 임식규 Insulat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y and solidity
KR101569647B1 (en) 2015-01-19 2015-11-16 박종석 Insulation for fittings frame memb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649B1 (en) 2011-01-24 2012-05-11 임식규 Insulat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KR101331205B1 (en) 2013-07-17 2013-11-26 주식회사 윈스틸 Stainless window frame having insulation
KR101465396B1 (en) 2014-04-24 2014-11-25 장정일 Stainless stell windows frame with excellent adiabatic property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1471088B1 (en) * 2014-06-20 2014-12-08 주식회사 엠엠엘테크 Adiabatic Metal Windows
KR101569647B1 (en) 2015-01-19 2015-11-16 박종석 Insulation for fittings frame members
KR101546824B1 (en) * 2015-04-13 2015-08-24 임식규 Insulating frame for windows and doors with improved Insulation property and solid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754A (en)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Combined frame system
CN110029756A (en)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Combined frame system
CN110029755A (en) * 2019-04-26 2019-07-19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A kind of combined frame system
CN110080437A (en) * 2019-04-26 2019-08-02 湖南坚致幕墙安装设计有限公司 A kind of combined fram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477B1 (en) 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Vibration-Dampening Property
KR101924856B1 (en) Frame Window Structure with Enhanced Assembly Interchangeability
KR101789292B1 (en) Composition insulation window frame of window
KR101470536B1 (en) Frame for windows and doors with excellent adiabatic effect
KR101472311B1 (en) Curtain wall having double insulated structure
KR101697740B1 (en) Method for combining composition curtain wall
KR100770056B1 (en) Coupler for window frame which interposes reinforcement body and the structure of windows using the same
KR101698593B1 (en) Aluminum-steel complex curtain wall structure
KR101692286B1 (en) Curtain wall frame having reinforced stiffness and insulation structure
KR102273300B1 (en) Insulation structure of curtain wall with improved heat insulation property
KR101952907B1 (en) Open Curtain Wall Structure using GRP
KR102161499B1 (en) Thermal Insulation
JP6219143B2 (en) Resin window frame
KR102196153B1 (en) Window
JP3138858B2 (en) Synthetic resin sliding window
KR102347365B1 (en) Double insulated curtain wall
KR100758376B1 (en) Window for higher stories
KR20190023182A (en) Finishing material for window cover
KR101571541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windows frame
JP3216016B2 (en) Sliding window
KR101717056B1 (en) Window system for easy remodeling
KR101331142B1 (en) The window frame
JP5996366B2 (en) Synthetic resin panel frame members
KR102206073B1 (en) Finishing material for window cover
KR102662445B1 (en) window fram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