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71B1 - 소셜 지수를 사용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지수를 사용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71B1
KR101924471B1 KR1020120019074A KR20120019074A KR101924471B1 KR 101924471 B1 KR101924471 B1 KR 101924471B1 KR 1020120019074 A KR1020120019074 A KR 1020120019074A KR 20120019074 A KR20120019074 A KR 20120019074A KR 101924471 B1 KR101924471 B1 KR 101924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advertiser
social
index
social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432A (ko
Inventor
서미정
이일구
이건수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주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이용하여 광고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는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주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소셜 지수 산출부; 상기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노출 순위 결정부; 및 상기 광고의 과금액을 결정하고, 결정한 과금액을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과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셜 지수를 사용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CIDING EXPOSURE RANK USING SOCIAL VALUE}
본 발명은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주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소셜 지수를 이용하여 광고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노출 순위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노출되는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8796호(공개일 2009년 2월 11일)에는 광고의 품질 지수에 따라 광고의 순위를 결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광고의 품질이 좋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광고에 포함된 상품을 제공하는 광고주를 선호하지 않거나, 모르는 경우 광고의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업과 중소 기업이 동일한 품질을 나타내는 광고로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의 상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크다. 즉, 사용자마다 광고주, 광고, 상품에 대한 선호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광고별로 광고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의 상품에 대해 관심을 표현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증가 시키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소셜 지수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광고에 대한 노출 순위와 과금액을 결정함으로써, 광고주의 상품이나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할 의사가 높은 사용자들이 많은 광고가 많이 노출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는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주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소셜 지수 산출부; 상기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노출 순위 결정부; 및 상기 광고의 과금액을 결정하고, 결정한 과금액을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과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 또는 상기 과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소셜 지수를 사용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 또는 과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의 소셜 지수 산출부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은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주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의 과금액을 결정하고, 결정한 과금액을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과금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소셜 지수를 사용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 또는 과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의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소셜 지수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광고에 대한 노출 순위와 과금액을 결정함으로써, 광고주의 상품이나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할 의사가 높은 사용자들이 많은 광고가 많이 노출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와 다른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가 광고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은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와 다른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광고주(110), 광고주(110)의 광고, 광고주(110)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의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광고의 노출 순위를 보다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다.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광고주(110)들로부터 광고를 등록받고, 등록된 광고에 대한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소셜 지수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광고에 대한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소셜 지수 뿐만 아니라 품질 지수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광고에 대한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소셜 지수는 광고주(110)의 광고에 대한 사용자(130)의 관심 사항을 반영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이 때, 사용자(130)들은 광고주(110) 자체, 광고주(110)의 광고 또는 광고주(110)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할 수 있다. 즉, 소셜 지수는 광고주(110), 광고주(110)의 광고 또는 광고주(110)의 상품에 대한 사용자(130)의 관심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셜 지수는 광고주(110), 광고주(110)의 광고, 또는 광고주(110)의 상품과 관련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례로, 광고주(110) 자체에 대한 사용자(130)의 관심은 사용자(130)가 광고주(110)와 온라인 상의 인맥을 설정하는 행위로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130)는 카페, 블로그, 커뮤니티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주(110)를 자신의 이웃 또는 친구로 설정함으로써 광고주(110)와 온라인 상의 인맥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광고주(110)와 관련된 사이트에 인맥 설정 수단(예를 들면, 사이트의 페이지 상에 위치한 친구 등록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130)는 광고주(110)와 인맥을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광고주(110)의 광고에 대한 사용자(130)의 관심은 광고에 대해 선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30)는 광고주랑 특별한 관계가 없더라도 광고주(110)의 광고를 보고 광고에 대한 소감이나, 댓글, 리뷰를 작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130)는 광고주(110)의 광고를 스크랩하거나 자신의 인맥에게 소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30)는 광고주(110)의 광고에 대해 "좋다"라는 선호 정도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례로, 광고주(110)의 상품에 대한 관심은 광고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해 선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30)는 상품에 대한 소감이나, 댓글, 리뷰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30)는 구매를 위한 위시 리스트(wish list) 또는 장바구니에 광고주(110)의 상품을 담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130)는 광고주(110)의 상품에 대해 "좋다"라는 선호 정도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소셜 지수는 광고주(110)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110)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110)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주(110)와 관련된 사이트(120)나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120)를 방문한 사용자(130)가 광고주(110)를 이웃이나 친구로 인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130)는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상품과 관련된 광고주(110)와 인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광고주(110)와 인맥이 설정된 사용자(130)들의 수는 광고주(110)의 상품이나 광고에 관심을 가지는 사용자(130)들의 수일 수 있으므로, 광고주(110)의 광고 효과와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성도가 높은 사용자들이 많은 대기업인 광고주가 신 상품을 광고할 경우 사용자들이 구매할 확률이 높다. 반면,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중소 기업인 광고주가 상품을 광고하는 경우는 해당 광고나 상품에 관심을 가지는 사용자가 적으며, 사용자들이 상품을 신뢰하지 못하므로 광고에 따른 구매 확률이 낮을 수 있다.
즉, 광고주(110)와 인맥이 설정된 사용자(130)들은 광고주(110)의 상품이나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할 의사가 높은 사용자(130)들일 수 있으므로, 광고주(110)와 인맥이 설정된 사용자(130)들에 기초하여 산출한 소셜 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광고주(110)의 광고에 따른 구매자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110)는 사용자(130)가 광고주(110)를 이웃이나 친구로 설정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광고주(110)를 이웃이나 친구로 설정한 사용자(130)에게 할인 혜택이나 추가 서비스, 및 최신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 및 광고주의 상품이 판매되는 사이트를 통하여 광고주(110)의 광고나 상품에 관심을 가지는 사용자의 수나 관심 정도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사용하여 소셜 지수를 산출함으로써, 관심도가 높은 광고나 상품이 높은 소셜 지수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광고 효과가 높은 광고의 노출 순위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노출 장치(140)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가 결정한 광고 노출 순위에 따라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소셜 지수 산출부(210)와 품질 측정부(220), 노출 순위 결정부(230) 및 과금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110)와 광고주(110)의 광고, 광고주(110)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사용자들을 기초로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110)와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의 수, 광고주(110)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 및 광고주(110)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에 비례하여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110)와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소셜 지수를 높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110)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나 광고주(110)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소셜 지수의 값을 높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를 하나 이상 고려하여 통합된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광고의 T&D(Title & Description), 광고주와 관련된 사이트나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 및 광고주의 상품이 판매되는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가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할 수 있는 인맥 설정 수단, 또는 사용자가 광고, 상품에 관심을 표현할 수 있는 관심 표현 수단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와 관련된 사이트에 추가된 인맥 설정 수단을 통하여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 광고주의 광고와 관련된 사이트 추가된 인맥 설정 수단을 통하여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 및 광고주의 상품과 관련된 사이트 추가된 인맥 설정 수단을 통하여 광고주에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를 분류함으로써, 광고주, 광고, 상품 중에서 많은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대상을 판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 중에서 광고주의 광고와 관련된 사이트 추가된 인맥 설정 수단을 통하여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의 비율이 가장 많은 경우, 다수의 사용자들이 광고를 보고 광고주에게 관심을 가지게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셜 지수 산출부(210)가 추가하는 인맥 설정 수단은 아이콘이나 버튼 형상일 수 있으며, 광고주(110)의 상품 리스트를 포함하고, 사용자(130)가 리스트에 포함된 상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130)가 선택한 상품을 사용자의 관심 정보로 수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소셜 지수 산출부(210)가 추가하는 관심 표현 수단은 사용자가 광고나 상품에 대한, 호감 여부나, 호감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이나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관심 대상으로 등록하는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사용자가 관심 표현 수단을 선택하는 경우, 광고주(110)와 관련된 사이트의 주소를 표현하거나 광고주(110)와 관련된 사이트를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미투데이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미투'와 같은 공감 버튼이나 페이스북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라이크'와 같은 공감 버튼을 사용자가 광고나 상품에 대한 호감을 선택할 수 있는 관심 표현 수단으로써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 및 광고주의 상품이 판매되는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싫다'. '좋다', '아주 좋다'와 같이 호감 여부나, 호감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들을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 및 광고주의 상품이 판매되는 사이트에 추가하고, 각각의 아이콘을 선택한 사용자의 숫자에 따라 광고나 상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호감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싫다'를 선택한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호감도를 감소하고, '좋다', 나 '아주 좋다'를 선택한 사용자들의 수에 따라 호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아주 좋다'를 선택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소셜 지수 산출부(210)가 증가시키는 호감도의 값은 '좋다'를 선택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증가시키는 호감도의 값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호감도와 광고를 관심 광고로 등록한 사용자들의 수에 기초하여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를 결정하고, 상품에 대한 사용자들의 호감도와 상품을 관심 상품으로 등록한 사용자들의 수에 기초하여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산출한 소셜 지수,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산출한 소셜 지수,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산출한 소셜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광고주와 관련된 통합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품질 측정부(220)는 광고의 사전 팩터에 따른 퀄리티 팩터를 이용하여 광고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전 팩터는 광고가 노출되기 전에 광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로써 광고와 연관된 T&D 점수(Title & Description score), 사이트 인기도(site authority), 사이트 점수(site score) 및 사용자 패턴 분석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T&D 점수는 광고주(110)가 설정한 T&D의 연관성(relevance) 수치로서, 키워드와 상기 T&D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제1 연관성 수치 또는 상기 T&D 내의 단어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제2 연관성 수치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사이트 인기도는 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사용자 방문 횟수, 사용자 만족도 또는 연관성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등급체계로서 상기 사이트 인기도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품질을 정형화하여 나타낸 값, 그 중에서도 사전평가 요소인 상기 퀄리티 팩터를 보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트 점수는 사이트와 키워드간의 연관성을 사이트를 크롤링하여 측정한 값으로서 크롤링의 깊이와 기술력에 따라 상기 사이트 점수에 부여되는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의 사이트에 대한 CM(Content Match) 연관도 또는 웹 검색의 검색 알고리즘 상의 순위를 결정하는 점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품질 측정부(220)는 광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사전 팩터 또는 사후 팩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품질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품질 측정부(220)는 광고와 연관된 T&D 점수, 사이트 인기도, 사이트 점수 및 사용자 패턴 분석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전 팩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품질 측정부(220)는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횟수, 광고에 대한 전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후 팩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릭 회수는 광고에 대한 노출수 대비 클릭 횟수를 나타내는 CTR(Click Through Rate)로 대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품질 측정부(220)는 사전 팩터와 사후 팩터를 정형화 및 정규화하고, 정형화 및 정규화된 사전 팩터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연산함으로써 광고의 퀄리티 팩터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품질 측정부(220)는 광고의 퀄리티 팩터 값을 광고의 품질로 사용할 수 있다.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소셜 지수를 고려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산출한 소셜 지수,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산출한 소셜 지수,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산출한 소셜 지수 및 통합 소셜 지수 중 하나와 광고 입찰가를 사용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광고주의 소셜 지수 및 광고의 품질 지수를 사용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광고의 입찰액, 광고주의 소셜 지수 및 광고의 품질 지수를 사용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광고의 품질이 좋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광고나 광고에 포함된 상품을 선호하지 않으면 광고의 효과가 감소하며, 사용자가 광고주를 선호하는 경우, 광고가 노출된 사용자가 광고에 포함된 상품을 구매할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광고주(110)나 광고주(110)의 상품, 광고주(110)의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소셜 지수에 광고의 품질이나 광고 입찰가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과금부(240)는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에 대한 과금액을 결정하고, 광고가 광고 노출 장치(140)에서 노출되는 경우, 광고주에게 결정된 과금액을 과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PC(Click Per Cost) 형태의 과금 방식에서 입찰액과 광고의 클릭 횟수에 따라 과금액이 결정된다. 이 때, 노출 순위를 결정할 때 소셜 지수를 고려하는 경우, 소셜 지수가 높을수록 입찰액을 낮게해도 노출 순위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소셜 지수가 높은 광고주는 낮은 입찰액으로도 높은 노출 순위가 결정된다. 결국, 소셜 지수에 따라 입찰액을 높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노출 순위가 높게 결정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CPC 과금 방식에 따라 과금액이 줄어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과금부(240)는 소셜 지수에 따라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과금액에 대한 가격 할인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소셜 지수가 높은 광고주에게 높은 할인 비율을 적용하여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가 광고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고주(310)와 제2 광고주(320)로부터 동일한 광고 입찰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제1 광고주(310)와 광고주와 인맥이 설정된 사용자(311)들의 수를 확인하여 제1 광고주(310)의 소셜 지수인 3을 산출하고, 제2 광고주(320)와 광고주와 인맥이 설정된 사용자(321)들의 수를 확인하여 제2 광고주(320)의 소셜 지수인 1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소셜 지수가 높은 제1 광고주(310)의 광고가 제2 광고주(320)의 광고보다 광고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제1 광고주(310)의 광고의 광고 노출 순위를 제2 광고주(320)의 광고의 광고 노출 순위보다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100)는 소셜 지수에 따라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광고주(110)의 상품이나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할 의사가 높은 사용자들이 많은 광고가 많이 노출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410)에서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110), 광고주(110)의 광고, 광고주(110)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소셜 지수 산출부(210)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품질 측정부(220)는 광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사전 팩터 또는 사후 팩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품질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품질 측정부(220)는 광고와 연관된 T&D 점수, 사이트 인기도, 사이트 점수 및 사용자 패턴 분석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전 팩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품질 측정부(220)는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횟수, 광고에 대한 전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후 팩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클릭 회수는 CTR(Click Through Rate)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단계(S430)에서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단계(S410)에서 산출한 소셜 지수를 고려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소셜 지수와 광고 입찰액이 적용된 결과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소셜 지수, 품질 지수 및 광고 입찰액이 적용된 결과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노출 순위 결정부(230)는 소셜 지수에 광고의 품질이나 광고 입찰가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S440)에서 광고 노출 장치(140)는 단계(S430)에서 결정된 광고 노출 순위에 따라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단계(S450)에서 과금부(240)는 단계(S430)에서 노출된 광고의 과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과금부(240)는 단계(S410)에서 산출한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과금액에 대한 가격 할인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지수가 클수록 과금부(240)는 과금액에 대한 가격 할인 비율을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단계(S460)에서 과금부(240)는 단계(S450)에서 결정한 광고의 과금액에 따라 단계(S440)에서 노출된 광고에 대응하는 광고주에게 결정된 과금액을 과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주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이용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고 과금액을 결정함으로써, 광고주의 상품이나 광고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할 의사가 높은 사용자들이 많은 광고가 많이 노출되도록 하여 광고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110: 광고주
120: 사이트
130: 사용자
140: 광고 노출 장치

Claims (20)

  1.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주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소셜 지수 산출부;
    상기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노출 순위 결정부; 및
    상기 광고의 과금액을 결정하고, 결정한 과금액을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과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 또는 상기 과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소셜 지수를 사용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 또는 과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과금부는,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과금액에 대한 가격 할인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 산출부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 산출부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를 하나 이상 고려하여 통합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 산출부는,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광고의 T&D(Title & Description), 광고주와 관련된 사이트,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 및 광고주의 상품이 판매되는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가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할 수 있는 인맥 설정 수단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 산출부는,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 및 광고주의 상품이 판매되는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가 광고 또는 상품에 관심을 표현할 수 있는 관심 표현 수단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는,
    상기 소셜 지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또는 상기 소셜 지수와 광고의 입찰액이 적용된 결과가 높은 순서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광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사전 팩터 또는 사후 팩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품질 지수를 결정하는 품질 측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와 상기 과금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셜 지수에 품질 지수를 더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는,
    광고주의 소셜 지수에 광고주의 광고 입찰가나 광고의 품질 지수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팩터는,
    광고와 연관된 T&D 점수, 사이트 인기도, 사이트 점수 및 사용자 패턴 분석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후 팩터는,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횟수, 광고에 대한 전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10. 삭제
  11. 소셜 지수 산출부, 노출 순위 결정부, 및 과금부를 포함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가 수행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 산출부에서, 광고주, 광고주의 광고, 광고주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에서, 상기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부에서, 상기 광고의 과금액을 결정하고, 결정한 과금액을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과금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소셜 지수를 사용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 또는 과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과금하는 단계는,
    소셜 지수에 따라 광고의 과금액에 대한 가격 할인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고주에 대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 광고주의 광고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 및 광고주의 상품에 관심을 표현한 정보에 기초한 소셜 지수를 하나 이상 고려하여 통합된 소셜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 산출부에서,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광고의 T&D(Title & Description), 광고주와 관련된 사이트,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 및 광고주의 상품이 판매되는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가 광고주와 인맥을 설정할 수 있는 인맥 설정 수단을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지수 산출부에서, 광고주의 광고가 노출되는 사이트, 및 광고주의 상품이 판매되는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사용자가 광고 또는 상품에 관심을 표현할 수 있는 관심 표현 수단을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셜 지수가 높은 순서에 따라, 또는 상기 소셜 지수와 광고의 입찰액이 적용된 결과가 높은 순서에 따라 광고의 노출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는 품질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품질 측정부에서, 광고의 품질을 나타내는 사전 팩터 또는 사후 팩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품질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주에게 과금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셜 지수에 품질 지수를 더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광고주의 소셜 지수에 광고주의 광고 입찰가나 광고의 품질 지수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광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팩터는,
    광고와 연관된 T&D 점수, 사이트 인기도, 사이트 점수 및 사용자 패턴 분석 지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후 팩터는,
    상기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횟수, 광고에 대한 전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노출 순위 결정 방법.
  20. 삭제
KR1020120019074A 2012-02-24 2012-02-24 소셜 지수를 사용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92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74A KR101924471B1 (ko) 2012-02-24 2012-02-24 소셜 지수를 사용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74A KR101924471B1 (ko) 2012-02-24 2012-02-24 소셜 지수를 사용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432A KR20130097432A (ko) 2013-09-03
KR101924471B1 true KR101924471B1 (ko) 2018-12-03

Family

ID=4944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074A KR101924471B1 (ko) 2012-02-24 2012-02-24 소셜 지수를 사용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799B1 (ko) * 2018-11-08 2020-12-07 주식회사 텐원더스 소셜 광고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432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13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user generated content
US9996626B1 (en) Selection of content item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search results
JP5990321B2 (ja) クライアントの位置に連動する広告の露出順位の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Lu et al. Differential effects of keyword selection in search engine advertising on direct and indirect sales
JP5926556B2 (ja) ユーザグループに基づいた広告提供システムおよび広告提供方法
US201400323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items within a location-based service
US20120059848A1 (en) Social network based user-initiated review and purchase related information and advertising
US20120010939A1 (en) Social network based online advertising
KR20000036648A (ko)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20122100A1 (en) Product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WI550535B (zh) 基於他人購物清單之商品組合推薦系統、網站、及其方法
KR101109990B1 (ko) 광고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22128B1 (ko) 관심사 카테고리와 키워드 기반 고객 맞춤형 이커머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20120215645A1 (en)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traffic quality
Gai et 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Digital Payment Process, Quality of Application, and Online Service on Repurchase Intention of Online Shopping Platform Customers
KR101582244B1 (ko) 구매자의 소개를 이용한 소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JP6397092B1 (ja)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KR20150053290A (ko) 광고집행이 가능한 웹사이트 및 이를 이용한 수익창출 방법
KR102106617B1 (ko) 광고 반응 기반의 사용자 관심도 예측 방법
KR101924471B1 (ko) 소셜 지수를 사용한 광고 노출 순위 결정 장치 및 방법
US20210097574A1 (en) Delivering advertisements to mobile applications
JP691431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81883B1 (ko) 캠페인 추천기반 광고판매시스템의 셀러 리셀러 매칭시스템과 방법
JP20201021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96041A (ko) 광고의 타겟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