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297B1 -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 Google Patents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297B1
KR101924297B1 KR1020180054507A KR20180054507A KR101924297B1 KR 101924297 B1 KR101924297 B1 KR 101924297B1 KR 1020180054507 A KR1020180054507 A KR 1020180054507A KR 20180054507 A KR20180054507 A KR 20180054507A KR 101924297 B1 KR101924297 B1 KR 10192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ode
unit
name
mi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명기
Original Assignee
홍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명기 filed Critical 홍명기
Priority to KR102018005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2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a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the same. Since a parking area name is displayed by using only unidirectional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a beacon (100) and a user terminal (200),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a remote server is not required to display the parking area name. And since a parking location is identified by a beacon signal with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instead of a beacon signal searched first, reliability in parking location identification is improved. Also, since set data of a major code (113) and a minor code (114) are used as an identifier of a parking area, there are practically no limitations on expressing various long parking area names and parking area names can be easily changed. When these points a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power consumption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asp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in case where a parking location i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in case of going to a parked location, and in case where whether a parking space is available and the location of the parking space are to be identified before parking.

Description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주차 위치 확인방법{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position checking system and a parking position check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주차 위치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드버타이징 모드(advertising mode or broadcasting mode)의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주차 위치를 파악하는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주차 위치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nd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system and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system for determining a parking position using a beacon in an advertising mode or a broadcasting mode And to a method of determining a position.

주차 후에 주차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한다고 하더라도 정작 주차 위치를 찾지 못하여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특히 대형의 주차장은 여러 층이면서도 각 층이 넓고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Even if you do not remember or remember the parking location after parking, you often get tired because you can not find the parking location. In particular, the large parking lot is more so because it is composed of multiple floors and each floor is wide and complex.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5773호(2015.07.24.공고, 이하 '특허문헌 1')에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를 자동 산출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system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a parking position using a beacon signal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535773 (published on May 24,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주차 후에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사용자 단말기)이 비콘의 Mac주소를 이용하여 원격서버에 저장된 해당 비콘에 대한 주차위치 정보, 예컨대, 주차장의 주소, 건물명, 동명, 층수, 층내 기둥위치 등을 다운로드 받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즉, 스마트폰을 통하여 주차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원격서버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는 것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parking position after parking, the smart phone (user terminal) uses the Mac address of the beacon to calculat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beacon stored in the remote server, , The name, the number of floors, the location of columns in the floor, and so on. That is,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a remote server is inevitably required in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parking position through the smartphone.

따라서 지하나 건물 내부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무선통신 상황이 안 좋은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정확한 주차위치를 수신받기 힘든 상황이 발생하여 문제가 된다. Therefore, i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ituation is bad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inside the building or inside the building, it is a problem that the smartphone does not receive accurate parking position.

예컨대, 운전자가 차에서 내리는 즉시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주차 차량 최근접의 비콘에 대한 주차위치 정보를 원격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 만약에 무선 통신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최근접 비콘에 대한 데이터를 다운받지 못하고, 오히려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한참 멀리 걸어가 통신상황이 원활한 위치에 도달해서야 비로소 이러한 다운로드 작업이 수행되어 실제로는 주차 차량에서 한참 멀리 떨어져 있는 비콘에 대한 주차위치 정보가 다운로드 될 수밖에 없어 주차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as soon as the driver comes down from the car, the smart phone held by the driver must download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on the beacon nearest to the parking vehicle from the remote server. If a wireless communication failure occurs, It is not until the driver reaches a position where the communication condition is smoothly reached by walking away from the car for a long distance. Such a downloading operation is actually performed so that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about the beacon far from the parking vehicle is actually downloaded,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may be reduced.

특히, 사용자 단말기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일반적인 스마트폰이 아니라 무선통신을 지원받지 못하는 기기라면 원격서버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주차위치를 전혀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예컨대 와이파이(wifi) 하에서만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탭(TAB)의 경우 주차장에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이상 주차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된다. In particular, if the user terminal is not a general smart phon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ut a device that does not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server can not be performed and the parking position can not be grasped at al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AB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only under WiFi, the parking position can not be grasped unless a WiFi is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7830호(2015.09.04.공고, 이하 '특허문헌 2')에는 스마트폰이 가장 최우선으로 탐색한 블루투스 기기의 기기명을 통하여 주차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478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ethod for determining a parking position through a device name of a Bluetooth device that is searched for by a smartphone as a top priority.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블루투스 기기에 고유의 기기명이 텍스트 형태, 예컨대 AMART B2-A11, AMART B2-B11, AMART B2-A12, AMART B2-B12와 같은 형태로 각각 설정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은 이러한 기기명을 블루투스 기기로부터 수신받아 주차위치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AMART는 쇼핑몰의 이름을 의미하고 B2-A11, B2-B11, B2-A12, B2-B12가 주차구역명이다. Specifically, device names unique to a plurality of Bluetooth devices are set in the form of text, for example, AMART B2-A11, AMART B2-B11, AMART B2-A12 and AMART B2-B12,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Bluetooth device to determine the parking position. Here, AMART is the name of the shopping mall, and B2-A11, B2-B11, B2-A12 and B2-B12 are the names of parking areas.

상기 특허문헌 2는 상기 특허문헌 1과 달리 스마트폰이 원격서버와의 데이터 통신 없이 블루투스 기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주차위치를 확인하기는 하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Unlike Patent Document 1, the patent document 2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although the smartphone confirms the parking position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device without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server.

첫째, 특허문헌 2는 주차위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가장 최우선적으로 서치되는 기기명을 활용하는데, 이 때 가장 최우선적으로 서치되는 블루투스 기기가 가장 최근접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임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차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First, Patent Document 2 utilizes the name of the device that is searched for in the highest priority in determining the parking position. Since the Bluetooth device which is searched for the highest priority at this time does not guarantee that it is the closest Bluetooth device, I can not grasp exactly.

둘째, AMART(건물명)의 경우에는 주차구역명을 B2-A11, B2-B11,...라고 표현하지만, AHOTEL(건물명)의 경우에는 B2-가11, B2-나11,...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이 각 건물마다 주차구역명이 여러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블루투스 기기명을 주차구역명에 대응토록 블루투스 기기마다 일일이 직접 세팅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다.Second, in the case of AMART (building name), the parking area name is expressed as B2-A11, B2-B11, ..., but in the case of AHOTEL (building name), B2- is 11, B2- It is very troublesome to manually set the Bluetooth device name for each Bluetooth device so that the name of the Bluetooth device corresponds to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셋째, 특허문헌 2의 경우 텍스트 형태로 표현되는 블루투스 기기명이 곧 주차구역명을 나타내므로, 예컨대 주차구역명으로서 '인천공항 제2터미널 장기주차장 1층 D121'을 표시하고자 할 때에 '인천공항 제2터미널 장기주차장 1층 D121'또는 'INCHON AIRPORT 2 TERMINAL LONG TERM PARKING 1F D-121'과 같은 기기명을 블루투스 기기가 계속 송출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송출 데이터량이 많아 상당한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바 블루투스 기기의 배터리 교체 간격이 짧을 수밖에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는다. Third,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name of the Bluetooth device expressed in a text form immediately indicates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when it is desired to display 'Incheon Airport Terminal 2 Long Term Parking Lot 1 D floor D121' Bluetooth device must keep sending device name such as 'D121' of parking lot or 'INCHON AIRPORT 2 TERMINAL LONG TERM PARKING 1F D-121'. 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is large, a considerable amount of power is consumed, which causes a disadvantage that the battery replacement interval of the Bluetooth device must be shor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5773호(2015.07.24.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535773 (Bulletin of July 24, 201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7830호(2015.09.04.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547830 (Announcement of Apr. 2015)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비콘에서 일방적으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non-connectable advertizing packet)을 스마트폰이 서치하여 주차위치를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은 스마트폰과 원격서버의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지 않으며, 둘째, 가장 센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콘을 통하여 주차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이 최우선적으로 서치되는 비콘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하게 주차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셋째, 비콘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세트를 구분자로 활용하여 주차구역명이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이 비콘의 기기명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주차구역명을 적은 송출 데이터량 및 저전력으로 신속하게 스마트폰에 알려주는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주차 위치 확인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a smart phone to search for a non-connectable advertizing packet unidirectionally transmitted from a beacon, Secondly, the parking position is detected through the beacon which is picked up at the highest reception intensity, so that the parking position can be more precisely detected than in the case of using the beacon which is firstly searched as in Patent Document 2 Third, if a beacon device name is used as in Patent Document 2 by using a data set including a major code and a minor code of a non-connection advertisement packet transmitted from a beacon as a delimiter,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which has various and complicated parking zone names To provide a positioning system and inform parked parking location how to use it quickly to a low-power smart phone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UID, 메이저코드, 마이너코드, 및 송출세기의 정보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주변으로 송출하는 복수개의 비콘(beacon); 및 A plurality of beacons for transmitting a non-connection ad- vertising packet having information of a UUID, a major code, a minor code, and a transmission strength to surroundings; And

상기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받아 주차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unconnected ad- vertising packet 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parking position; , ≪ / RTI >

상기 복수개의 비콘은 동일한 UUID와 동일한 송출세기를 가지며, The plurality of beacons having the same transmit strength as the same UUID,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The user terminal comprises:

주차전용 UUID가 설정되어 저장되는 주차전용 UUID 설정부;A parking dedicated UUID setting unit in which a parking dedicated UUID is set and stored;

상기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UUID가 상기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나머지 신호인 메이저코드, 마이너코드, 및 송출세기 데이터를 수신 받는 UUID 판단부;A UUID determination unit receiving a major code, a minor code, and transmission strength data, which are remaining signal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UID of the connectionless admission packet is the same as the parking dedicated UUID;

상기 UUID 판단부에서 수신된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들 중에서 가장 강한 수신강도(RSSI)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선택하는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A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for selecting a connectionless admission packet to be received with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RSSI) among the connectionless adjacency packets received by the UUID determination unit;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를 수신하는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 A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major code and a minor code of a connectionless admission packet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된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제1구역명을 매핑시키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제2구역명을 매핑시 주차구역명 매핑부; 및Mapping a first zone name to one of a major code and a minor code received by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and mapping a second zone name to the other one; And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에서 매핑된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on the screen, a name of a parking area having one set of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mapped by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And a control unit.

상기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 중에서 어느 하나는 수직적 주차구역명을 나타내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수평적 주차구역명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indicates a vertical parking area name and the other one indicates a horizontal parking area name.

상기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 중 어느 하나에 건물명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uilding name is included in either the first area name or the second area name.

상기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 각각은 숫자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each of the major code and the minor code is represented by a number.

상기 비콘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컴퍼니코드(company code)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UID 판단부와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는 상기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를 수신할 때에 상기 컴퍼니코드도 함께 수신 받으며,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는 상기 메이저코드와 상기 마이너코드를 상기 제1구역명 및 제2구역명에 각각 매핑시킬 때에 상기 컴퍼니코드를 건물명에 매핑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건물명, 상기 제1구역명 및 상기 제2구역명을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을 화면상에 출력한다. The company code may further include a company code in a non-connection advertisemen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beacon. In this case, when receiving the major code and the minor code, the UUID determination unit and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also receive the company code, and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maps the major code and the minor code to the first And maps the company code to a building name when mapping each of the first name, the first name, and the second zone name to the name of the building, 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a name of the parking zone having the building name, the first zone name, and the second zone name as a set on the screen.

상기 컴퍼니코드는 2바이트 내의 숫자나 문자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mpany code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a number or letter within 2 bytes.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별도의 관리서버에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이 저장되는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 및 주차과정에서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에 의해 얻어진 비콘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를,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에서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 상에 오버래핑시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주차위치 마킹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r a separate management server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selects a parking lot layout having a parking zone indicated by a set of major codes and minor codes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from among a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A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And a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for overlapping the parking position mar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beacon obtain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in the parking process on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ed by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and outputting the overlapping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위치 마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사용자 위치 마킹부는, 사용자가 주차했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비콘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마커를,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에서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에 오버래핑시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한다.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user location marking unit, wherein the user location marking unit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beacon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The location marker is overlapped on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ed by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and outputt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방법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UUID 판단부를 통하여 상기 비콘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서치하고, 상기 주차전용 UUID 설정부에 설정 저장되어 있는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한 UUID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 만에 대해 메이저코드, 마이너코드, 송출세기를 수신 받는 단계; Searching for a non-connection ad- versing packet transmitted from the beacon through the UUID determination unit, and for only a non-connection ad- justing packet having a UUID equal to the parking-only UUID set and stored in the parking-only UUID setting unit Receiving a major code, a minor code, and a transmission strength;

상기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한 UUID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Selecting, through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a non-connection ad- taining packet to be received with the highest reception strength among unconnected ad- taining packets having the same UUID as the parking-dedicated UUID;

가장 센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대한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를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 받는 단계;  Receiving a set of a major code and a minor code for a non-connection ad- vertising packet, which is received at a highest received signal strength, through a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된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를 통하여 상기 제1구역명을 매핑시키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구역명을 매핑시키는 단계; 및Mapping the first zone name to one of the major code and minor code received by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through the parking zone name mapping unit and mapping the second zone name to the other one; And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에 의해 매핑된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주차구역명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utputting,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a name of the parking area having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mapped by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as one set; Thereby informing the user of the name of the parking zon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방법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을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A step of selecting, through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a parking layout having a parking zone indicated by a set of major codes and minor codes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among a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 And

주차과정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와. 주차했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동을 할 때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비콘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마커를 상기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에 오버래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차했던 위치를 용이하게 찾아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arking location marker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parking area obtained during the parking process. When the user moves to search for a position where the user has parked, overlapping the user location marker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beacon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on the selected parking layout and outputting the overlapped location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position where the user has parked.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방법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thod,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을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A step of selecting, through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a parking layout having a parking zone indicated by a set of major codes and minor codes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among a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 And

상기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 주차과정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를 상기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에 오버래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서 사용자가 주차공간의 잔여여부와 그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verlapping a parking position mar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area obtained in the parking process for all users using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on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and outputting the overlapped position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parking space remains and the position thereof.

본 발명에 의하면, 비콘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일방향 블루투스 통신만을 이용하여 주차구역명이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주차구역명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원격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지 않고, 최우선적으로 서치되는 비콘신호가 아닌 가장 강한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콘신호를 통하여 주차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주차위치 파악에 신뢰도가 향상되며,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 데이터를 주차구역의 구분자로 활용하기 때문에 다양하고 긴 형태의 주차구역명을 표현하는 데에 사실상 제한이 없고 쉽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종래에 비하여 전력소모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rking area name is displayed using only the one-way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beacon and the user terminal,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remote server is not required to display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 The reliability of the parking position is improved. Since the set data of the major code and the minor code is used as the discriminator of the parking zone, various long parking types There is virtually no limit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area name, and it is easily changeable.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mainten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본 발명은 주차한 위치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경우뿐 만 아니라, 주차했던 위치를 찾아가는 경우와 주차 전에 주차공간의 잔여여부 및 그 위치를 미리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not only for displaying a parked position on a user terminal but also for searching for a parked position an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rking space remains before parking and its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비콘(100)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주차구역명 매핑부(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주차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찾기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주차공간 확인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모드에서의 주차위치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찾기모드에서의 주차위치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확인모드에서의 주차위치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on-connection advertisement packet 110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0;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mod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arch mod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king space checking mode;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thod in a park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method in a search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method in a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복수개의 비콘(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200 and a plurality of beacons 100.

주차장에는 주차공간을 구획하는 주차라인(1a)이 지면에 표시되고, 실내의 경우 복수개의 기둥(1)이 일반적으로 설치된다. 주차구역명은 주차장의 벽면, 지면, 푯말, 기둥 등 다양한 곳에 표시될 수 있는데, 도 1에서는 기둥(1)에 B1-가1, B1-가2, B1-나1, B1-나2와 같은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In the parking lot, a parking line 1a for partitioning a parking space is displayed on the ground, and in the case of an indoor space, a plurality of columns 1 are generally installed. The parking area name can be display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parking lot wall, a floor, a signpost, a column, etc. In FIG. 1, the column 1 has B1-, B1-, B1-, B1-, As shown in FIG.

비콘(100)은 주차구역명이 기재되어 있는 곳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에서는 기둥(1)에 설치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해당 주차차량(3)의 주차를 마친 사용자(2)가 소지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있다. The beacon 100 is preferably installed at each place where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is described. In FIG. 1, a case where the beacon 100 is installed on the column 1 is shown. The user terminal 200 can utilize the smart phone as possessed by the user 2 who has completed the parking of the parking car 3 in question.

비콘(100)은 특정 디바이스를 지정하지 않고 주변으로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non-connectable advertizing packet, 110)의 블루투스 신호를 주기적으로 일방 송출한다. The beacon 100 periodically transmits the Bluetooth signal of the non-connectable advertizing packet 110 to the periphery without specifying a specific device.

참고로, 블루투스 통신 방법으로서 커넥팅 모드(connecting mode)와 어드버타이징 모드(advertising mode or broadcasting mode)가 있는데, 커넥팅 모드는 스마트폰에 블루투스 이어폰을 연결하는 것과 같이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이어폰이 1:1 페어링 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존의 전형적인 블루투스 통신방법을 말하며, 어드버타이징 모드는 하나의 비콘에서 특정 스마트폰을 지정하지 않고 주변으로 신호를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As a reference, there are connecting mode and advertising mode or broadcasting mode as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In the connecting mode, the smartphone and the Bluetooth earphone are connected in 1: 1 is a conventional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that is paired and exchanges data, and the advertising mode refers to a method of unilaterally transmitting signals from one beacon to a neighbor without designating a specific smartphone.

커넥팅 모드의 블루투스 이어폰이 스마트폰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과 어드버타이징 모드의 비콘이 스마트폰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언뜻 유사해 보이지만, 커넥팅 모드의 경우는 1:1 양방향 연결을 목적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어드버타이징 모드의 경우는 1:1 양방향 연결 목적이 아니라 일방향으로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점에서 다르다. The connection mode Bluetooth earphone transmits a signal to the smartphone and the beacon in the advertising mode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martphone at first glance, but in the connecting mode, the signal is transmitted for a 1: 1 bidirectional conn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advertising mode, the signal is transmitted for the purpose of data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not for a 1: 1 bidirectional connection purpose.

따라서 어드버타이징 모드의 경우 페어링/본딩 절차가 요구되지 않아 커넥팅 모드에 비하여 전력 손실이 매우 작고, 자신의 출력범위 안에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통해서 자신의 위치 및 존재를 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ad- justing mode, the power loss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connecting mode because the pairing / bonding procedure is not required, an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notify its position and presence through the ad- dressing packet within its own output range .

도 2는 비콘(100)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콘(100)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은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111),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112), 메이저코드(major code, 113), 마이너코드(minor code, 114), 송출세기(Tx power, 115)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on-connection advertisement packet 110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0. FIG. Referring to FIG. 2, a non-connection advertisement packet 110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0 includes a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111, a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112, a major code 113, minor code 114, and transmit power (Tx power, 115).

Mac주소(111)는 'EF:D7:A4:97:AD:08'과 같은 식으로 표현되는 물리적인 주소를 말하며 비콘 제조사에서 출고시 지정되어 나온다. UUID(112), 메이저코드(113), 마이너코드(114)는 물리적으로 의미있는 값이 아니며 사용자가 특정 값으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UUID(112)는 'f8e1d9ef-1915-44d0-818e-c1f6b691704b'와 같은 식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 각각은 일련숫자로 표현된다. 예컨대 각각 1~65500까지의 일련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Mac address (111) refers to the physical address expressed in the form of 'EF: D7: A4: 97: AD: 08' and is assigned from the beacon manufacturer at the factory. The UUID 112,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are not physically meaningful values, and the user can designate a specific value for use. The UUID 112 may be expressed in the same manner as 'f8e1d9ef-1915-44d0-818e-c1f6b691704b', and each of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is represented by a serial number. For example, from 1 to 65500, respectively.

종래의 특허문헌 1에서는 비콘의 Mac주소를 이용하여 주차위치를 특정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Mac주소를 활용하지 않고 UUID(112), 메이저코드(113), 마이너코드(114), 송출세기(115) 정보를 이용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UID 112, the major code 113, the minor code 114, the transmission strength 115, and the like are used without using the Mac address. However,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비콘(100) 각각에서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이 주기적으로 일방향 송출된다.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UUID(112), 메이저코드(113), 마이너코드(114), 송출세기(115)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eacons 100, the non-connection ad- vancing packet 110 is periodically transmitted in one direction. The non-connection admission packet 110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UUID 112, the major code 113, the minor code 114, and the transmission strength 115 as described above.

복수개의 비콘(110)은 동일한 UUID(112)와 동일한 송출세기(11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타용도 비콘의 데이터를 불필요하게 수신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후자는 보다 정확한 주차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beacons 110 have the same transmit strength 115 as the same UUID 112. The former is for preventing the user terminal 200 from unnecessarily receiving data of the beacon beacon, and the latter is for grasping a more accurate parking position.

사용자 단말기(200)는 커넥팅모드 블루투스 연결부(210), 어드버타이징 패킷 수신부(220), 주차구역명 매핑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250),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260), 주차위치 마킹부(270), 사용자 위치 마킹부(280), 및 모드 선택부(290)를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a connecting mode Bluetooth connection unit 210, an admission packet receiving unit 220, a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a display unit 240, a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50, A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270, a user location marking unit 280, and a mode selection unit 290. The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270,

어드버타이징 패킷 수신부(220)는 주차전용 UUID 설정부(221a), UUID 판단부(221),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222),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를 포함한다. The admission packet receiving unit 220 includes a parking dedicated UUID setting unit 221a, a UUID determination unit 221, a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222, and a major code x minor code reception unit 223.

주차전용 UUID 설정부(221a)에는 주차전용 UUID가 설정되어 저장된다. A parking dedicated UUID is set and stored in the parking dedicated UUID setting section 221a.

UUID 판단부(221)는 복수개의 비콘(100)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을 서치하여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의 UUID(112)가 상기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나머지 신호 즉, 메이저코드(113), 마이너코드(114), 송출세기(115) 신호를 수신 받는다. The UUID determination unit 221 searches for a connectionless admission packet 110 sent out from a plurality of beacons 100 so that the UUID 112 of the connectionlessly- And receives the remaining signals, that is, the major code 113, the minor code 114, and the transmission strength 115 signal.

이렇게 하면, 주차위치 확인과는 상관없는 타용도 비콘의 데이터는 어드버타이징 패킷 수신부(220)를 통하여 애초부터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주차위치 확인 속도 및 소비전력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In this way, the data of the other-use beacon which is not related to the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beginning through the ad- vancing packet receiving unit 220, which is preferable in terms of the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speed and the power consumption.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222)는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한 UUID(112)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을 선택한다.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222 selects the non-connection admission packet 110 that is picked up at the highest reception strength among the non-connection advertisement packets 110 having the same UUID 112 as the parking- do.

비콘(1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0)가 멀리 떨어질수록 사용자 단말기(200)에 수신되는 수신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작아질 것이다. 복수개의 비콘(100)이 동일한 송출세기(115)를 갖는다면 가장 큰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콘(100)이 사용자 단말기(200)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것이라는 의미가 될 것이다. As the user terminal 200 moves farther away from the beacon 100,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200 will decrease. If the plurality of beacons 100 have the same transmission strength 115, it means that the beacon 100 having the largest reception strength is positioned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200.

복수개의 비콘(100)이 동일한 송출세기(115)를 갖도록 하면 수신강도(RSSI) 값을 가지고 여러 인자를 반영하여 비콘(100)과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일일이 환산하여 계산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수신강도(RSSI) 자체만 비교함으로써 곧바로 가장 가까이에 있는 비콘(100)을 파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A complicated process of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by reflecting various factors with the RSSI value when the plurality of beacons 100 have the same transmission strength 115 The beacon 100 nearest to the beacon 100 can be grasped by comparing only the reception strength RSSI itself.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는 가장 센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에 대한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를 수신 받는다.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section 223 receives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for the non-connection admission packet 110 which is picked up at the highest received signal strength.

도 4는 주차구역명 매핑부(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차구역명 매핑부(230)는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 중에서 메이저코드(113)에는 제1구역명을 매핑시키고, 마이너코드(114)에는 제2구역명을 매핑시킨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As shown in FIG. 4,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maps the first area name to the major code 113 among the major code 113 and minor code 114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223 , And the minor code 114 is mapped to the second zone name.

이 때, 제1구역명으로는 층수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수직적 주차구역명을 부여하고, 제2구역명으로는 동일 층에서의 위치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수평적 주차구역명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을 통하여 수직적 및 수평적 위치를 내포하는 주차위치를 표현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name of the parking area be given a vertical parking area name ind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umber of stories, and a second area name be given a horizontal parking area name indicating position related information in the same floor. Then, the parking position includ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parking area name having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as one set.

예컨대, 비콘(100)에서 메이저코드(113) '1'과 마이너코드(114) '1'을 송출하였을 때 도 4에서와 같은 매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잠실 제2롯데월드 지하1층(B1) 가1'이라는 하나의 주차구역명이 표현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건물명이 제1구역명에 포함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건물명이 아예 포함되지 않거나 건물명이 제2구역명에 포함될 수도 있다. 건물명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주차구역명은 도 5에서와 같이 단순히'4F C15'와 같이 표현될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1' are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0, if mapp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4, 'Jamsil 2nd Lotte World B1' Quot; 1 " can be expressed. In FIG. 4, the name of the building is included in the first area name, but the name of the building may not be included at all or the name of the building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area name. If the name of the building is not included,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will be simply expressed as '4F C15' as in FIG.

위에서는 메이저코드(113)에 제1구역명이 매핑되고, 마이너코드(114)에 제2구역명이 매핑되는 예를 들었지만, 그 반대로 메이저코드(113)에 제2구역명이 매핑되고, 마이너코드(114)에 제1구역명이 매핑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The first zone name is mapped to the major code 113 and the second zone name is mapped to the minor code 114. Conversely, the second zone name is mapped to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 To be mapped to the first area name.

사용자(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의 구동앱을 사전에 관리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에 다운로드 받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주차구역명 매핑부(230)의 매핑 데이터도 사용자 단말기(200)로 함께 다운로드 된다. The user 2 preferably downloads the driving app of the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the user terminal 200 in advance. At this time, the mapping data of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is also downloaded to the user terminal 200 together.

따라서 예컨대 건물명이나 주차구역명이 바뀌는 경우, 종래의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이 비콘(100)의 기기명을 일일이 직접 바꾸지 않고서도 관리자가 업데이트된 매핑 데이터를 관리서버(300)에 업로드 해두면 사용자 단말기(200)가 이렇게 업데이트된 매핑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변경된 새로운 주차구역명으로 매핑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관리 차원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name of the building or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is changed, if the manager uploads the updated mapping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without directly changing the device name of the beacon 100 as in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2, ) Can download the updated mapping data so that the mapping can be made to the changed parking area name, which is highly desirable for maintenance.

디스플레이부(240)는 주차구역명 매핑부(230)에서 매핑된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 예컨대 '잠실 제2롯데월드 지하1층(B1) 가1'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상으로 출력시킨다.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having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mapped by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as one set, for example, 'Jamsil 2nd Lotte World B1 B1' And outputs i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0.

한편,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에 2바이트 정도의 컴퍼니코드가 별도로 더 포함되도록 하여, 건물명 관련 정보는 컴퍼니코드에, 층수 관련 정보는 메이저코드(113)에, 층 내에서의 주차위치 관련 정보는 마이너코드(114)에 각각 실어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컴퍼니코드는 UUID(112), 메이저코드(113), 마이너코드(114)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non-connection ad- dressing packet 110 may further include a company code of about 2 bytes, so that the building-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ompany code, the floor-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major code 113, The location-relat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minor code 114, respectively. The company code can be set to a specific value by the user such as the UUID 112,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

이 경우, UUID 판단부(221)에서는 메이저코드, 마이너코드, 송출세기를 수신할 때에 상기 컴퍼니코드가 함께 수신되고,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에서는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를 수신할 때 상기 컴퍼니코드가 함께 수신되며, 상기 컴퍼니코드에 대응하도록 실제 건물명의 매핑 변환 데이터가 포함된 주차구역명 매핑부(230)에서는 '컴퍼니코드 -> 건물명, 메이저코드->층수, 마이너코드-> 층내에서의 주차위치'로의 매핑 변환이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서는 '건물명, 층수, 층내에서의 주차위치'를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이 출력된다. In this case, when receiving the major code, the minor code, and the transmission strength, the UUID determination unit 221 receives the company code together, and when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223 receives the major code and the minor code, The company name, the name of the building, the major code, the number of floors, and the minor code) in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including the mapping conversion data of the actual building name corresponding to the company code, Parking position ", and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having the" building name, number of floors, parking position in the floor "as a set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본 발명에 의하면, 비콘(100)에서 '1'과 '1'이라는 아주 작은 데이터량의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를 송출하더라도 사용자 단말기(200)에서는 이들이 '잠실 제2롯데 월드 지하1층(B1) 가1'이라는 기다란 명칭의 주차구역명으로 매핑 변환되어 화면상으로 출력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eacon 100 transmits a major code 113 and a minor code 114 of a very small amount of data of '1' and '1', the user terminal 200 transmits' 1 " B1 < / RTI > is mapped to a parking area name of long name " 1 "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를 1~65500까지 사용할 경우 메이저코드(113)x마이너코드(114)의 조합은 각각 2바이트면 충분히 표현할 수 있으므로 총 4바이트의 작은 데이터를 송출하면서도 건물명뿐 만 아니라 수직적 및 수평적 위치를 포함하는 장문의 주차구역명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are used from 1 to 65500, the combination of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can be sufficiently expressed by 2 bytes eac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name of the long-distance parking area includ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주차구역명은 짧을 수도 있지만, '잠실 제2롯데월드 지하 1층 B1-가1', '인천공항 제2터미널 장기주차장 1층 가-A1'등과 같이 건물명을 포함하여 길게 표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허문헌 2에서와 같이 기기명에 이러한 문구를 직접 표현한다면, 비콘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송출되어 전력소모에 따른 배터리 교체가 자주 이루어질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해당 건물의 이름이나 주차구역명이 변경되는 경우에 비콘을 일일이 수거하여 새로운 기기명을 직접 재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유지관리 측면에서 매우 불편하다.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may be short, but it may be necessary to express the long name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name of the building such as 'Jamsil 2nd Lotte World B1 - 1'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2nd Terminal Long-term Parking Lot 1 -A1'. In such a case, if such a phrase is directly expressed in the device name as in Patent Document 2, a large amount of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beacon, and battery replacement due to power consumption frequently occurs. In addition, It is troublesome to collect the beacon one by one and re-enter the new device name directly, which is very inconvenient in terms of maintenance.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숫자로 되어 있는 메이저코드(113) 및 마이너코드(114)를 수신 받은 후 주차구역명 매핑부(23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이를 실제 주차구역명으로 매핑 변환시키는 방식을 채용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receiving the major codes 113 and minor codes 114 in numerals, the user terminal 200 maps and converts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to the actual parking zone name through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Such a problem can be solved by employing it.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250)는 각 건물에 대한 층별 주차장 레이아웃이 저장된다. 주차장 레이아웃에는 주차구역명이 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차장 레이아웃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관리서버(300)로부터 구동앱을 다운로드 받을 때에 함께 다운로드 되도록 함으로써 주차구역명 매핑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200)가 항상 업데이트된 내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50 stores a floor parking layout for each build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king area name is displayed in the parking lot layout. The parking lot layout is preferably downloaded together with the driving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so that the user terminal 200 can always utilize the updated contents in the same manner as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data.

주차장 레이아웃의 용량이 너무 클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 다운로드 되지 않고 그대로 관리서버(300)에 보관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250)가 관리서버(300)에만 존재할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When the capacity of the parking lot layout is too large, it may b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without being downloaded to the user terminal 200 as it is. That is, it means that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50 may exist only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260)는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250)가 관리서버(300)에만 존재할 경우 주차장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관리서버(300)와의 무선통신이 요구될 것이다.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260 selects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223 among the various parking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50, Select the parking lot layout with the parking area. Whe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50 exists only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will be requir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parking lot layout.

주차위치 마킹부(270)는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280)에서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 상(250a)에, 상기 주차모드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270a)를 오버래핑시켜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출력시킨다. The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270 overlaps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space obtained in the parking mode on the selected parking path layout image 250a in the parking path layout selection unit 280,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상기 주차모드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관리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주차위치 마커(270a)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관리서버(300)와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것이다. The parking zone location obtained in the parking mode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may be transferred to a separate management server 300 and stored. In the latter cas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will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사용자(2)가 주차했던 위치를 찾기 위하여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이동을 할 때, 사용자 위치 마킹부(280)는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222)에 의해 선택된 비콘(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마커(280a)를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250a)에 오버래핑시켜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  6A to 6C to search for the position where the user 2 has parked, the user location marking unit 280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beacon 110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222 The user location marker 280a is overlapped on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250a and output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

모드 선택부(290)는 주차모드, 찾기모드, 또는 주차공간 확인모드를 선택하기 하기 위한 것이다. 모드별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mode selection unit 290 is for selecting a parking mode, a search mode, or a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The operation principle of each mod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주차모드Parking mode

모드 선택부(290)를 통하여 주차모드가 선택되면, 어드버타이징 패킷 수신부(220), 주차구역명 매핑부(230), 및 디스플레이부(240)가 가동되어 주차차량(3)이 주차된 주차구역명이 사용자 단말기(200)에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When the parking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290, the admission packet receiving unit 220,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and the display unit 240 are activated, and the parking vehicle 3 is parked The area nam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on the screen.

주차모드의 선택은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290)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러한 조작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에 대한 구동앱이 다운로드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차량을 커넥팅 모드 블루투스 연결부(210)를 통하여 블루투스 연결시킨 상태에서 운전을 하다가 도 1에서와 같이 주차장에 주차하여 시동을 끄면, 자동적으로 차량과 스마트폰 사이의 커넥팅 모드 연결이 끊어지게 되고, 이 때, 모드 선택부(290)에 의해 자동적으로 주차모드가 선택되면서 상기 구동앱이 활성화된다. The selection of the parking mode may be made by the user manually operating the mode selection unit 290, but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without such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smartphone and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ing app for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ownloaded are connected to the Bluetooth through the connecting mode Bluetooth connection unit 210,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lot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mode is disconnected automatically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martphone. At this time, the driving app is activated while the parking mode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290. [

주차모드가 선택되어 구동앱이 활성화되면, 가장 강한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콘(100)에 대한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가 어드버타이징 패킷 수신부(220)를 통하여 수신되고, 주차구역명 매핑부(230)에서 해당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 세트에 대응하는 실제 주차구역명, 예컨대 '잠실 제2롯데월드 지하1층(B1) 가1'로 매핑 변환되어 스마트폰 화면상에 출력된다. When the parking mode is selected and the driving app is activated,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for the beacon 100, which are picked up with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are received via the ad- vancing packet receiving unit 220, The area name mapping unit 230 maps and converts the actual parking area name corresponding to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set to '1' in 'Jamsil 2nd Lotte World B1', for example,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콘(100)과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의 일방향 블루투스 통신만을 이용하여 주차구역명이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주차구역명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원격서버와의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지 않고, 최우선적으로 서치되는 비콘신호가 아닌 가장 강한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콘신호를 통하여 주차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주차위치 파악에 신뢰도가 향상되며,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의 세트 데이터를 주차구역의 구분자로 활용하기 때문에 다양하고 긴 형태의 주차구역명을 표현하는 데에 사실상 제한이 없고 쉽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종래에 비하여 전력소모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is displayed using only the one-way Bluet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beacon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remote server Since the parking position is grasped through a beacon signal which is not the beacon signal which is searched for in the highest priority but which is received with the strongest reception intensity without requiring data communication, reliability of grasping the parking position is improved, and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is used as a delimiter of the parking area, there is no practical limitation in expressing a variety of long and long type parking area names, and it is easily changeable. Considering this point,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mainten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찾기모드Search mode

도 6은 찾기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드 선택부(290)에서 찾기모드가 선택되면,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250a)이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260)를 통하여 선택된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arch mode. When a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290,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223 among a plurality of parking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50 The parking lot layout 250a having the parking area indicated by the set of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260 is selected.

상기 주차모드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270a)는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250a)에 주차위치 마킹부(270)를 통하여 오버래핑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indicating the parking area position obtained in the parking mo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by overlapping with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250a through the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270. [

상기 주차모드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관리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주차위치 마커(270a)를 오버래핑시키는 과정에서 관리서버(300)와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것이다. The parking zone location obtained in the parking mode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may be transferred to a separate management server 300 and stored. In the latter cas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300 will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overlapping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주차했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사용자(2)가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이동을 할 때, 사용자 위치 마킹부(280)는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222)에 의해 선택된 비콘(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마커(280a)를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250a)에 오버래핑시켜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한다. 비콘(110)은 각 블록(block)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6A to 6C, the user location marking unit 280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beacon 110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222, The user location marker 280a is overlapped on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250a and outputt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 The beacon 110 is preferably installed for each block.

사용자 단말기(200)의 가장 가까이에 있는 비콘(100)의 위치가 사용자 위치 마커(280a)로서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2)는 주차위치 마커(270a)와 사용자 위치 마커(280a)를 동시에 보면서 주차했던 위치를 수월하게 찾아갈 수 있게 된다.Since the position of the beacon 100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200 is displayed as the user location marker 280a, the user 2 can view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and the user location marker 280a at the same time The location can be easily found.

본 발명의 경우, 주차했던 위치를 찾아가는 사용자(2)의 이동이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의 수신강도만으로 신속하게 파악되므로 사용자 위치 마커(280a)가 사용자(2)의 이동 속도를 충분히 따라가면서 표시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user 2 who searches for the position where the user has parked is quickly recognized only by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non-connection admission packet 110, the user position marker 280a It is displayed along enough.

주차공간 확인모드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도 7은 주차공간 확인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드 선택부(290)에서 주차공간 확인모드가 선택되면, 앞선 찾기모드에서와 같이 주차장 레이아웃(250a)이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260)를 통하여 선택된다.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When the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290, the parking lot layout 250a is selected through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260 as in the preceding search mode.

상기 주차모드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270a)는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250a)에 주차위치 마킹부(270)를 통하여 오버래핑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7에서 빨간색은 주차위치 마커(270a)로서 주차중임을 나타내고 파란색은 비어 있는 주차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디스플레이 될 때 남아 있는 주차공간의 수가 화면상에 부기되면 바람직하다.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indicating the parking area position obtained in the parking mod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by overlapping with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250a through the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270. [ In Fig. 7, red indicates that parking is being performed as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and blue indicates an empty parking space. It is preferable if the number of remaining parking spaces displayed on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주차공간 확인모드에서의 주차위치 마커(270a)는 본인에 대한 것을 나타내는 찾기모드에서와는 달리 모든 사용자에 대한 것이므로 주차장에 얼마나 많은 차량이 어느 위치에 주차되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차건물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해당 주차건물에 비어 있는 주차공간 수와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주차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Since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in the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is for all users unlike the search mode indicating that the user is in the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it is possible to check how many vehicles are parked in the parking lot. Therefore, the driver can determine the number and location of vacant parking spaces in advance in the parking space before entering the parking space, so that the pa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모드에서의 주차위치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method in a park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UUID(112), 메이저코드(113), 마이너코드(114), 송출세기(115) 정보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주변으로 송출하는 복수개의 비콘(100)을 설치한다(S10). 여기서, 복수개의 비콘(100)은 동일한 UUID(112)와 동일한 송출세기(115)를 갖는다. First, a plurality of beacons 100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less admission packet having information on the UUID 112, the major code 113, the minor code 114, and the transmission strength 115 to the periphery are installed (S10 ). Here, the plurality of beacons 100 have the same emanating strength 115 as the same UUID 112.

다음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모드 선택부(290)를 통하여 주차모드를 선택한다(S20). 주차모드의 선택은 사용자(2)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주차차량(3)의 시동을 끔으로써 주차차량(3)과 사용자 단말기(200) 사이의 커넥팅 타입 블루투스 연결이 해지될 때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Next, the parking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290 of the user terminal 200 (S20). The selection of the parking mode may be performed manually by the user 2 and the connecting type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the parking vehicle 3 and the user terminal 200 is canceled by turning off the parked vehicle 3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done automatically when it is done.

이렇게 주차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UUID 판단부(221)는 비콘(100)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을 서치하고, 주차전용 UUID 설정부(221a)에 설정 저장되어 있는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한 UUID(112)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만에 대해 메이저코드(113), 마이너코드(114), 송출세기(115)를 수신 받는다(S30). 이 과정을 거침으로써, 주차위치 확인과는 상관없는 타용도 비콘의 데이터는 애초부터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When the parking mode is selected, the UUID determination unit 221 of the user terminal 200 searches for the non-connection admission packet 110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0, and transmits the non-connection advertisement packet 110 to the parking dedicated UUID setting unit 221a The minor code 114 and the transmission strength 115 are received only for the unconnected admission packet 110 having the same UUID 112 as the parking dedicated UUID stored in the setting ). By this process, the data of the other-use beacon not related to the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beginning.

다음에,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한 UUID(112)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을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222)를 통하여 선택한다(S40). 복수개의 비콘(100)이 동일한 송출세기(115)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가장 큰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콘(100)이 사용자 단말기(100)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Next, the unconnected ad- ditioning packet 110, which is picked up at the highest received strength among the unconnected ad- archiving packets 110 having the same UUID 112 as the parking-dedicated UUID, (S40). Since the beacons 100 have the same transmission strength 115, the beacon 100 having the largest reception strength i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located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100. [

이어서, 가장 센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110)에 대한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 세트를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를 통하여 수신 받는다(S50).  Subsequently, the main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set for the non-connection admission packet 110 which is picked up at the highest receiving strength are received through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223 (S50).

다음에,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에서 수신된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 중에서 어느 하나에는 주차구역명 매핑부(230)를 통하여 상기 제1구역명을 매핑시키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구역명을 매핑시킨다(S60).Next, the first area name is mapped through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to either the major code 113 or the minor code 114 received by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223, And maps the second zone name (S60).

이어서, 주차구역명 매핑부(230)에 의해 매핑된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출력된다(S70). 도 4의 매핑표를 참고하였을 때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로서 각각 '1', '1'이 수신되었다면 주차구역명으로서 '잠실 제2롯데월드 지하1층(B1) 가1'이 디스플레이 된다. Subsequently,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having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mapped by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230 is outputt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S70) . 4, when '1' and '1' are received as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Jamsil 2nd Lotte World B1' is 1 ' Is display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찾기모드에서의 주차위치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method in the search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 단말기(200)의 모드 선택부(290)를 통하여 찾기모드를 선택한다(S120). First, a search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290 of the user terminal 200 (S120).

다음에,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250a)을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260)를 통하여 선택한다(S130). Next, a parking zone indicated by the set of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223 out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50 The parking lot layout 250a is selected through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260 (S130).

이어서, 상기 주차모드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270a)와. 주차했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사용자(2)가 이동을 할 때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222)에 의해 선택된 비콘(1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마커(280a)를 주차장 레이아웃(250a)에 오버래핑시켜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한다(S140). 이러한 오버래핑은 주차위치 마킹부(270)와 사용자 위치 마킹부(28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Then, a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zone obtained in the parking mode. The user position marker 280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beacon 110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222 when the user 2 moves to search for the position where the user has parked is overlapped on the parking lot layout 250a, (240) to the screen (S140). This overlapping is accomplished through the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270 and the user location marking unit 28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공간 확인모드에서의 주차위치 확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arking position confirmation method in a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 단말기(200)의 모드 선택부(290)를 통하여 주차공간 확인모드를 선택한다(S220). First, the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mode selection unit 290 of the user terminal 200 (S220).

다음에,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223)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113)와 마이너코드(114)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250a)을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260)를 통하여 선택한다(S230). Next, a parking zone indicated by the set of the major code 113 and the minor code 114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223 out of the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50 The parking lot layout 250a is selected through the parking layout selection unit 260 (S230).

이어서, 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상기 주차모드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270a)를 주차장 레이아웃(250a)에 주차위치 마킹부(270)를 통하여 오버래핑시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240).Subsequently,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area obtained in the parking mode for all users is overlapped on the parking layout 250a through the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27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S240).

주차공간 확인모드에서의 주차위치 마커(270a)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것이 표시되므로 주차장에 얼마나 많은 차량이 어느 위치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Since the parking position marker 270a in the parking space confirmation mode is displayed for all users, it is possible to confirm how many vehicles are parked in which position in the parking lot.

1a: 주차라인 1: 기둥
2: 사용자 3: 주차차량
100: 비콘
110: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 111: Mac주소
112: UUID 113: 메이저코드
114: 마이너코드 115: 송출세기
200: 사용자 단말기
210: 커넥팅모드 블루투스 연결부 220: 어드버타이징 패킷 수신부
221a: 주차전용 UUID 설정부 221: UUID 판단부
222: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 223: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
230: 주차구역명 매핑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 260: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
270: 주차위치 마킹부 280: 사용자 위치 마킹부
290: 모드 선택부 300: 관리서버
1a: Parking Line 1: Column
2: User 3: Parked vehicle
100: Beacon
110: Disconnected Ad- viation Packet 111: Mac Address
112: UUID 113: Major code
114: Minor code 115: Emission intensity
200: User terminal
210: connecting mode Bluetooth connection unit 220: adverting packet receiving unit
221a: parking-dedicated UUID setting unit 221: UUID judging unit
222: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223: major code x minor code reception unit
230: Parking area name mapping part 240: Display part
250: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260: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270: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280: user position marking unit
290: Mode selection unit 300: Management server

Claims (13)

UUID, 메이저코드, 마이너코드, 및 송출세기의 정보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주변으로 송출하되, 상기 메이저코드와 상기 마이너코드 각각은 숫자로 표현되는 복수개의 비콘(beacon); 및
상기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받아 주차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비콘은 동일한 UUID와 동일한 송출세기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주차전용 UUID가 설정되어 저장되는 주차전용 UUID 설정부;
상기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UUID가 상기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나머지 신호인 메이저코드, 마이너코드, 및 송출세기 데이터를 수신 받는 UUID 판단부;
상기 UUID 판단부에서 수신된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들 중에서 가장 강한 수신강도(RSSI)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선택하는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를 수신하는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
상기 비콘의 메이저코드에 매핑시키기 위한 제1구역명과 상기 비콘의 마이너코드에 매핑시키기 위한 제2구역명이 매핑데이터로서 저장되되, 상기 제1구역명과 상기 제2구역명 중에서 어느 하나는 수직적 주차구역명을 나타내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수평적 주차구역명을 나타내며,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메이저코드를 상기 제1구역명에 매핑시키고,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마이너코드를 상기 제2구역명에 매핑시키는 주차구역명 매핑부; 및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에서 매핑된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A plurality of beacons, each of which is represented by a number, wherein the major code and the minor code each include a beacon;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the unconnected ad- vertising packet 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parking position; , ≪ / RTI >
The plurality of beacons having the same transmit strength as the same UUID,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parking dedicated UUID setting unit in which a parking dedicated UUID is set and stored;
A UUID determination unit receiving a major code, a minor code, and transmission strength data, which are remaining signal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UID of the connectionless admission packet is the same as the parking dedicated UUID;
A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for selecting a connectionless admission packet to be received with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RSSI) among the connectionless adjacency packets received by the UUID determination unit;
A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major code and a minor code of a connectionless admission packet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A first area name for mapping to a beacon major code and a second area name for mapping to a minor code of the beacon are stored as mapping data, wherein one of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represents a vertical parking area name The minor code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is mapped to the first zone name, and the other one represents the horizontal parking zone name, the major code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is mapped to the first zone name, A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parking area name to the area name;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on the screen, a name of a parking area having one set of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mapped by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Wherein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컴퍼니코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UUID 판단부와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는 상기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를 수신할 때에 상기 컴퍼니코드도 함께 수신 받으며,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는 상기 메이저코드와 상기 마이너코드를 상기 제1구역명 및 제2구역명에 각각 매핑시킬 때에 상기 컴퍼니코드를 건물명에 매핑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건물명, 상기 제1구역명 및 상기 제2구역명을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on-connection advertisemen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beacon further includes a company code, and the UUID determination unit and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when receiving the major code and the minor code, The parking lot name mapping unit maps the company code to a building name when mapping the major code and the minor code to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respectively, and the display unit maps the building name,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are set on the scree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 중 어느 하나에 건물명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ilding name is included in either the first area name or the second area nam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퍼니코드는 2바이트 내의 숫자나 문자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3. The system of claim 2, wherein the company code is represented by a number or letter within two by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또는 별도의 관리서버에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이 저장되는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 및
주차과정에서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에 의해 얻어진 비콘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를,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에서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 상에 오버래핑시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주차위치 마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위치 마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위치 마킹부는, 사용자가 주차했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비콘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마커를,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에서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에 오버래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ar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r a separate management server,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parking lot layout having a parking zone indicated by a set of major codes and minor codes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among a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And
And a parking position marking unit for overlapping the parking position mar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beacon obtain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in the parking process on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ed by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and outputting the overlapping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user location mar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user location marker indicating a location of the beacon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in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location where the user has parked, Wherein the control unit overlaps the selected parking space layout selected by the parking space layout selection unit and outputs the overlapped image to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제1항의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주차 위치 확인방법에 있어서,
상기 UUID 판단부를 통하여 상기 비콘에서 송출되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서치하고, 상기 주차전용 UUID 설정부에 설정 저장되어 있는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한 UUID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만에 대해 메이저코드, 마이너코드, 송출세기를 수신 받는 단계;
상기 주차전용 UUID와 동일한 UUID를 갖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들 중에서 가장 큰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가장 센 수신강도로 잡히는 비연결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대한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를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 받는 단계;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된 메이저코드에는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를 통하여 상기 제1구역명을 매핑시키고,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된 마이너코드에는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를 통하여 상기 제2구역명을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주차구역명 매핑부에 의해 매핑된 제1구역명과 제2구역명을 하나의 세트로 하는 주차구역명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주차구역명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확인방법.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thod using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system of claim 1,
Searching for a non-connection ad- versing packet transmitted from the beacon through the UUID determination unit, and for only a non-connection ad- justing packet having a UUID equal to the parking-only UUID set and stored in the parking-only UUID setting unit Receiving a major code, a minor code, and a transmission strength;
Selecting, through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or, a non-connection ad- taining packet to be received with the highest reception strength among unconnected ad- taining packets having the same UUID as the parking-dedicated UUID;
Receiving a set of a major code and a minor code for a non-connection ad- vertising packet, which is received at a highest received signal strength, through a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And the minor code received by the major code x minor code mapping unit maps the first zone name through the parking zone name mapping unit to the major code received by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 And
Outputting,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a name of the parking area having the first area name and the second area name mapped by the parking area name mapping unit as one set; And the user is informed of the name of the parking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항의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주차 위치 확인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을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주차과정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와 주차했던 위치를 찾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동을 할 때 상기 최강 수신강도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비콘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위치 마커를 상기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에 오버래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차했던 위치를 용이하게 찾아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확인방법.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thod using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system of claim 7,
A step of selecting, through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a parking layout having a parking zone indicated by a set of major codes and minor codes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among a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 And
A user position mar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beacon selected by the strongest reception strength selection unit when the user moves to search for the parking position mar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zone obtained in the parking process is overlapped with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Outputting on a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position of the parking position.
제7항의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을 이용하는 주차 위치 확인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주차장 레이아웃 중에서 상기 메이저코드x마이너코드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메이저코드와 마이너코드의 세트가 지시하는 주차구역이 있는 주차장 레이아웃을 상기 주차장 레이아웃 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 주차과정에서 얻어진 주차구역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위치 마커를 상기 선택된 주차장 레이아웃에 오버래핑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화면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함으로서 사용자가 주차공간의 잔여여부와 그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확인방법.
A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method using the parking position determining system of claim 7,
A step of selecting, through the parking lot layout selection unit, a parking layout having a parking zone indicated by a set of major codes and minor codes received from the major code x minor code receiving unit among a plurality of parking lot layouts stored in the parking lot layout storage unit ; And
Overlapping a parking position marke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area obtained in the parking process for all users using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on the selected parking lot layout and outputting the overlapped position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whether the parking space is left or not and the position of the parking space.
KR1020180054507A 2018-05-11 2018-05-11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KR101924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07A KR101924297B1 (en) 2018-05-11 2018-05-11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507A KR101924297B1 (en) 2018-05-11 2018-05-11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297B1 true KR101924297B1 (en) 2019-02-22

Family

ID=65584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507A KR101924297B1 (en) 2018-05-11 2018-05-11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2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0498A (en) * 2019-03-12 2019-07-2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A kind of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of parking stall instru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360A (en) * 2013-11-13 2015-05-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rking location notification device in a outdoor parking lot, and the method of thereof
KR20150076321A (en) * 2013-12-26 2015-07-07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Parking location reminder system using beacon sensors
KR101535773B1 (en) 2015-03-05 2015-07-24 노명섭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parking spot using and method thereof
KR101547830B1 (en) 2015-01-06 2015-09-04 (주)리더라이텍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park location using wireless device n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60013458A (en) * 2014-07-25 2016-02-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ne's smart devices from being lost using near field radio transmit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5360A (en) * 2013-11-13 2015-05-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rking location notification device in a outdoor parking lot, and the method of thereof
KR20150076321A (en) * 2013-12-26 2015-07-07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Parking location reminder system using beacon sensors
KR20160013458A (en) * 2014-07-25 2016-02-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one's smart devices from being lost using near field radio transmitter
KR101547830B1 (en) 2015-01-06 2015-09-04 (주)리더라이텍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park location using wireless device n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535773B1 (en) 2015-03-05 2015-07-24 노명섭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parking spot using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0498A (en) * 2019-03-12 2019-07-2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A kind of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of parking stall instr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36674A1 (en) Intelligent parking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JP5526026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emergency calls, service calls, and inventory information
US20030095043A1 (en) Traffic control device transmitter, receiver, relay and display system
CN1606893A (en) Mobile device power saving
WO2015115014A1 (en) Beacon-signal reception system, storage device, terminal device, and beacon-signal reception method
KR101625617B1 (en) System for providing signal waiting tim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5255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user in locating a communication source of sufficient capacity
US10834551B2 (en) Mobile object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object side device
KR101924297B1 (en)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US201600071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device
TW589856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sending/receiving system and information terminal
JP2011237186A (en) Navigation device and guide method thereof
US20200401959A1 (en) Emergency traffic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evice
JP4940690B2 (en) Navigation system
KR101486267B1 (en) Wireless position recognition system For Vehicles
US8775569B2 (en) Method for updating the data of a navigation system
KR1018423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eavy Vehicles
KR102057400B1 (en) Parking location checking system and parking location checking method using same
CN102506854A (en) Wireless region traffic pointing system
CN202393393U (en) Wireless mode area traffic guide system
KR20130052962A (en) Navig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4308291B2 (en)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KR20090050552A (en) Car path provision system being capable two-way communication
JP2002257554A (en) Information delivery device,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information delivery method
US20230362581A1 (en) Iot mesh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