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175B1 - 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 Google Patents

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175B1
KR101924175B1 KR1020160183242A KR20160183242A KR101924175B1 KR 101924175 B1 KR101924175 B1 KR 101924175B1 KR 1020160183242 A KR1020160183242 A KR 1020160183242A KR 20160183242 A KR20160183242 A KR 20160183242A KR 101924175 B1 KR101924175 B1 KR 101924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k
application
data
smartphon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8483A (en
Inventor
이장춘
Original Assignee
이장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춘 filed Critical 이장춘
Priority to KR102016018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175B1/en
Publication of KR20180078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04M1/725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관리자가 목적APK파일에 포함되게 될 APK데이터를 매체에 등록하는 APK데이터등록단계(S10)와; 관리자가 상기 APK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세팅하기 위한 APK데이터세팅방법을 상기 매체에 등록하는 세팅방법등록단계(S20)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시APK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와; 사용자가 상기 APK데이터세팅방법에 따라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APK데이터를 세팅하는 APK데이터세팅단계(S4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원시APK파일과 APK데이터가 세팅된 목적APK파일이 생성되는 목적APK파일생성단계(S5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목적APK파일이 생성되면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양한 구성의 APK데이터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팩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An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of registering APK data to be included in a target APK file on a medium by an administrator providing an application executed in a user's smartphone; A setting method registering step (S20) of registering an APK data setting method for setting the APK data on a smartphone of a user to the medium by an administrator; A step (S30) of downloading a raw APK file in which a user downloads a source APK file of the application to a smartphone; An APK data setting step (S40) for the user to set the APK data by operat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APK data setting method; A target APK file generation step (S50) in which the source APK file and the destination APK file in which the APK data is set are generated in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tep (S60) in which the application APK file is generated in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the application is executable in a state i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able. Accordingly, an application pack that provides APK data of various configurations in a single application is created to be.

Description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0002]

본 발명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응용 프로그램 파일 집단인 어플리케이션팩(APK)을 기본 응용 프로그램 파일로 이루어진 원시APK파일과 APK데이터로 구분하고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양한 구성의 APK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유지보수업무를 효율화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in which an application pack (APK) which is a group of application program files constituting a mobile application is divided into a raw APK file composed of basic application program files and APK dat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genera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for efficiently developing and maintaining an application by searching for a method of providing APK data of various configurations.

스마트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각종 기능을 구현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기술분야 역시 동반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As the spread of smartphones becomes common, the technology related to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which is installed in smart phones and implements various functions, is also growing together.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단독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에서부터 스마트폰에 장착 혹은 연동되는 타 디바이스와 연계하여 하드웨어의 제어 기능까지 겸비하는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 및 형태가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Mobile applications are evolving in a variety of types and forms ranging from general application programs that function as software on their own, to programs that combine hardware functions with other devices that are installed in or connected to smart phones .

최근에는 스마트폰 하드웨어의 기술수준이 정점에서 평준화됨에 따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더 부각되고 있으며 다양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이 고성능 하드웨어의 개발을 주도하는 형태로 기술시장이 변동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level of smartphone hardware has been leveled, mobile applications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applications developed based on various ideas are changing the technology market to lead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hardware.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제공사의 웹사이트나 앱스토어를 통해 제공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한 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별도의 설치 및 실행 파일의 형태로 제작되어 배포된다.The mobile application is generally provided through the provider's website or the App Store, and is downloaded and installed on a smart phone. The mobile application is created and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separate installation and executable file.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 10 - 1155218 호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시스템이 공지된 바, 패키지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설치 프로그램의 실행을 준비하는 설치준비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완료하는 설치완료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 파일은 패키지 파일의 실행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설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n example,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155218 discloses a system for installing an application, and includes an install preparation unit for preparing an application install program to be executed using a package file, and an application install program And the package file includes execution information of the package file and application installation information.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팩(Android application package, APK)에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참조 라이브러리와,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자원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리소스와, 응용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인증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담은 매니페스트 파일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APK파일에는 상기 파일들이 하나로 압축되어 있다.The Android application package (APK) provided by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includes a reference library for the Android platform, resources for storing files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resources used to run the application, application source code, A manifest file containing appl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APK file includes the files compressed into one.

즉,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의 운영체제에 따라서 그 형식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해당 응용프로그램 소스코드를 컴파일한 후 APK파일로 만들어주는 빌더를 이용해 모든 파일들을 하나의 패키지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제공하게 된다.In other words, although the mobile application has a somewhat different format depending 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device, all the files are generated as a single package file using a builder that basically compiles the application program source code and creates the APK file .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 10 - 0846203 호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생성 방법이 공지된바,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an example, a method of generating a mobile application is known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0846203,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 정보 등 구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구성 정보에 상응하는 메타데이터와 리소스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리소스 데이터 중 상기 입력받은 구성 정보에 따른 최적의 리소스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라이브러리 파일에 의해 소스 코드를 생성하여 컴파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step of receiv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such as platform information of a mobile application, reading metadata and resource data corresponding to inputted configuration information, selecting optimal resource data according to the inputted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the resource data And generating and compiling the source code with the library file.

등록특허 제 10 - 1155218 호Patent No. 10-1155218 등록특허 제 10 - 0846203 호Registration No. 10 - 0846203 공개특허 제 10 - 2011 - 0060394 호Published Patent No. 10 - 2011 - 0060394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기본 운영체제에 따라서 다소간에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으로 해당 응용프로그램 소스코드를 컴파일한 후 APK파일로 만들어주는 빌더를 이용해 모든 파일들을 하나의 패키지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앱스토어 등을 통해 배포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phone is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the basic operating system of the smartphone, basically, it compiles the application program source code and then builds the APK file into the builder, And distributed through an app store or the like.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생성 방법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참조 라이브러리와,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자원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리소스와, 응용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인증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담은 매니페스트 파일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을 하나의 파일에 압축하여 APK파일의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of generating a mobile application includes a reference library of the Android platform, a resource for storing files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a resource used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an application program source code, And a manifest file containing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and they are configured to be compressed into a single file and provided in the form of an APK file.

한편, APK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라이브러리, 자원, 소스코드 등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적 영역에 해당하므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단계가 완료된 후에는 유지보수 과정에서도 그 기본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특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ibrary, resource, and source code constituting the APK file correspond to the functional areas of the applica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the basic framework of the APK file does not deviate from the basic structure even after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application is completed.

그에 비해, 상기 리소스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가장 빈번하게 접근되는 항목으로, 어플리케이션의 레이아웃, 아이콘 및 배경 등의 이미지, 애니메이션 효과, 미디어파일 등이 포함되는데 어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 과정에서 자주 변경되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ource is the item that is accessed most frequently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and includes an application layout, an image such as an icon and a background, an animation effect, a media file, and so on. .

특히,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각종 아이콘이나 배경이미지, 및 링크된 URL과 같은 데이터는 비교적 개발이 용이하면서 업데이트 효과가 매우 큰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어플리케이션 생성 방법으로 리소스를 변경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APK파일을 리빌드, 혹은 리패키지하여 재배포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data such as icons, background images, and linked URLs included in an application are relatively easy to develop and have a very large update effect.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 order to change and replace a resource by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pplication generating method, the APK file must be rebuilt or repackaged and redistributed.

또한, 동일 리소스를 사용하는 이종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유사 기능의 상이한 리소스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제공시에도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로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APK파일에 리소스가 개별 포함되도록 빌드해야 한다.Also, when developing heterogeneous applications using the same resources or developing and using applications using different resources of similar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APK files of the respective applications so that resources are individually included in the APK files of the respective applications do.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의 비효율화를 초래하고 동일 데이터의 중복 사용에 따른 DB 및 어플리케이션 용량 증대에 따른 네트워크 과부하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ss is inefficient, and problems such as overload of the network due to increase of DB and application capacity due to duplication of the same data can be caused.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관리자가 목적APK파일에 포함되게 될 APK데이터를 매체에 등록하는 APK데이터등록단계(S10)와;An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of registering, in a medium, APK data to be included in the destination APK file by an administrator providing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s smartphone;

관리자가, 상기 APK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세팅하기 위한 APK데이터세팅방법을 상기 매체에 등록하는 세팅방법등록단계(S20)와;A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of an administrator registering an APK data setting method for setting the APK data on a user's smartphone to the medium;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시APK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와;A step (S30) of downloading a raw APK file in which a user downloads a source APK file of the application to a smartphone;

사용자가 상기 APK데이터세팅방법에 따라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APK데이터를 세팅하는 APK데이터세팅단계(S40)와;An APK data setting step (S40) for the user to set the APK data by operating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APK data setting method;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원시APK파일과 APK데이터가 세팅된 목적APK파일이 생성되는 목적APK파일생성단계(S50)와;A target APK file generation step (S50) in which the source APK file and the destination APK file in which the APK data is set are generated in the smartphone of the user;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목적APK파일이 생성되면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양한 구성의 APK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tep (S60) in which the application APK file is created in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the application is executable in a state in which the APK file can be executed. Thus, it is possible to achieve APK data of various configurations in a single application.

본 발명은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양한 구성의 APK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구성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유지보수업무를 효율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method of providing APK data of various configurations by a single application can be configured, and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work of the applic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즉,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응용 프로그램 파일 집단인 어플리케이션팩(APK)을 기본 응용 프로그램 파일로 이루어진 원시APK파일과 APK데이터로 구분하고 UI데이터 및 URL데이터를 포함하는 APK데이터를 별도 세팅하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UI 및 링크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제공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at is, the application pack (APK), which is a group of application program files constituting the mobile application, is divided into a raw APK file composed of a basic application program file and APK data, and APK data including UI data and URL data are separately set, UI, and link. ≪ / RTI >

특히,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시각적인 영역에서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관리자 입장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적 영역을 제외한 아이콘이나 배경이미지와 같은 리소스의 다각적인 제공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원하는 APK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양한 구성의 어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in consideration of a characteristic that a user who installs and uses an application on a smart phone reacts sensitively to a change in a visual area,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con, background image,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pplications with various configurations for generating desired APK data in a single appli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a method of providing multiple resources of the same resource.

아울러, 본 발명은 관리자로부터 제공되는 APK데이터세팅방법에 의한 리소스의 정상적 활성화(세팅) 없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불가능한 구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인증 매커니즘에 리소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utilizing resources in an application use authentication mechanism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pplication can not be executed without normal activation (setting) of a resource by an APK data setting method provided from an administrator .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APK데이터등록단계(S10) 및 세팅방법등록단계(S20)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APK데이터세팅단계(S40)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APK파일생성단계(S50) 및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1 and 2 are flowch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ocess of an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and a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ocess of downloading a raw APK file (S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ocess of setting APK data (S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ocess of a target APK file creation step (S50)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tep (S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APK데이터등록단계(S10) 및 세팅방법등록단계(S20)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APK데이터세팅단계(S40)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목적APK파일생성단계(S50) 및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and a setting method regist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ocess of downloading a raw APK file (S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genera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ocess of a step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of setting APK data (S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reating a target APK file The generation step S50 and the application execution step S6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chematic process.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응용 프로그램 파일 집단인 어플리케이션팩(APK)의 구조를 기본 응용 프로그램 파일로 이루어진 원시APK파일과 원시APK파일에 세팅되는 리소스를 포함하는 APK데이터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개별 제공함에 따라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양한 구성의 APK데이터를 세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팩을 생성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A method of genera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 of an application pack (APK), which is a group of application program files constituting a mobile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 phone, as a raw APK file And APK data including resources to be set in the APK data, and to generate an application pack capable of setting APK data of various configurations in a single application upon providing the APK data individually to a user.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APK데이터등록단계(S10)와, 세팅방법등록단계(S20)와,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와, APK데이터세팅단계(S40)와, 목적APK파일생성단계(S50), 및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1, the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the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the RAW APK file download step S30, the APK data registration step S20, A setting step S40, a destination APK file creation step S50,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tep S60, and the concrete configuration of each step is as follows.

상기 APK데이터등록단계(S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관리자가 목적APK파일에 포함되게 될 APK데이터를 매체에 등록하는 단계이다.The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is a step of the APK data to be included in the target APK file by the administrator providing the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s smartphone, on the medium.

일반적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팩(APK)에는 플랫폼의 참조 라이브러리와,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자원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리소스와, 응용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인증서 및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담은 매니페스트 파일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APK파일에는 상기 파일들이 하나로 압축되어 있다.A typical application package (APK) of a mobile application includes a platform reference library, resources for storing files to be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resources used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application program source code, File and the like, and the APK file is compressed into one file.

상기 목적APK파일은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시 제공하게 될 APK파일이며, 후술하게 될 원시APK파일에 APK데이터를 세팅하여 목적APK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target APK file is an APK file to be provided at the time of distribution of an application, and APK data is set in a raw APK file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an objective APK file can be generated.

상기 APK데이터등록단계(S10)에서 관리자에 의해 매체에 등록되는 APK데이터는 상기 리소스 중에서도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아이콘과 배경이미지를 포함하는 UI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링크되는 웹사이트 접속을 위한 URL데이터로 이루어진다.The APK data registered in the medium by the administrator in the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includes UI data including an icon constituting the application and background image among the resources, URL data for accessing the website linked through the application .

상기 UI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요소들이다. 어플리케이션에 배치되는 상기 아이콘은 예컨대 런쳐 아이콘, 메뉴 아이콘, 액션바 아이콘, 상태바 아이콘, 탭 아이콘, 다이얼로그 아이콘, 리스트뷰 아이콘 등이 있으며, 배경이미지 역시 어플리케이션 로딩 화면의 배경이미지, 메인 화면 및 각 메뉴 화면의 배경이미지 등이 있다.The UI data are elements constituting an interface provided to a user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The icon to be placed in the application includes, for example, a launcher icon, a menu icon, an action bar icon, a status bar icon, a tab icon, a dialog icon, a list view icon, And a background image of the screen.

상기 URL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외부 링크로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사 홈페이지나 각종 웹사이트의 주소이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배치되는 각종 아이콘이나 메뉴에 링크되어 브라우져를 통해 웹사이트를 로딩하도록 한다.The URL data is an address of an application manufacturer's homepage or various web sites connected to an external link in an application. It is generally linked to various icons and menus that are placed in the application and loads the website through the browser.

상기와 같은 APK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의 유지보수 과정에서 변경 및 교체가 빈번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이종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일 APK데이터를 중복 사용할 수도 있다. The APK data may be frequently changed and replaced dur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lication, and the APK data may be duplicat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applications.

예컨대,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기능은 동일하되 UI데이터 및 URL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APK데이터만을 별도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면 개발자 입장에서는 전체 어플리케이션팩의 리빌드 혹은 리패키지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도 APK데이터만을 리세팅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과정을 적극적으로 효율화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unction is the same in a specific application but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UI data and the URL data, if the APK data is separately updated and provided, the developer can omit the process of rebuilding or repackaging the entire application pack, The maintenance process can be aggressively streamlined because it is reset.

또한, 기능이 상이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일 UI데이터 및 URL데이터를 적용하고자 할 경우 단일 APK데이터를 각각에게 제공하여 DB 및 네트워크 사용량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ame UI data and URL data are to be applied i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having different functions,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efficiency of DB and network usage by providing each APK data.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팩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응용 프로그램 파일로 이루어진 원시APK파일과 APK데이터를 별도 분리하여 제공하도록 구성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K file and the APK data constituted by the basic application program files of the application are separated and provided in the application pack.

상기 세팅방법등록단계(S20)는 관리자가 상기 APK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세팅하기 위한 APK데이터세팅방법을 상기 매체에 등록하는 단계이다.The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is a step for the administrator to register the APK data setting method for setting the APK data on the user's smartphone with the medium.

구체적으로 상기 APK데이터세팅방법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관리자가 제공하는 NFC태그에 태깅하여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 관리자가 제공하는 QR코드를 리딩하여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 관리자가 제공하는 USB메모리에 접속하는 방법, 관리자가 제공하는 이메일의 링크를 통해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한다.Specifically, the APK data setting method includes a method of accessing a medium by tagging an NFC tag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using a smart phone by a user, a method of accessing a medium by reading a QR code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And a method of connecting to a medium through a link of an e-mail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are configured to select one or a plurality of methods.

따라서, 상기 세팅방법등록단계(S20)에서는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APK데이터세팅방법에 따라서만 APK데이터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APK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APK데이터를 이용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인증 매커니즘을 구현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도출하도록 한다.Accordingly, in the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the APK data can be set only according to the APK data setting method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to the user, thereby providing APK data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and at the same time, And the effect of the two sake of implementing the mechanism is derived.

아울러, 상기 APK데이터등록단계(S10) 및 세팅방법등록단계(S20)에서 APK데이터 및 APK데이터세팅방법이 등록되는 매체는 DB가 구축된 서버, PC, USB메모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edia in which the APK data and the APK data setting method are registered in the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and the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include a DB, a PC, and a USB memor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APK데이터등록단계(S10) 및 세팅방법등록단계(S20)를 통해 관리자가 APK데이터 및 APK데이터세팅방법을 매체에 등록한 후에는, 사용자에 의한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가 실시된다.After the administrator registers the APK data and the APK data setting method on the medium through the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and the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the APK file downloading step (S30) by the user, .

상기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원시APK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이다.The original APK file download step S30 is a step in which the user downloads the APK file of the application to the smartphone.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시APK파일은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최종 목적APK파일에서 APK데이터가 미세팅된 상태의 파일이며,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앱스토어나 어플리케이션 제작사의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할 수 있으나 APK데이터가 미세팅된 상태에서는 실행이 불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ource APK file is a file in which the APK data is not set in the final destination APK file constituting the application. Like the general application, the APK file can be downloaded to the user's smartphone through the homepage of the app store or application maker Execution is impossible when APK data is not set.

상기 APK데이터세팅단계(S40)는 사용자가 상기 APK데이터세팅방법에 따라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APK데이터를 세팅하는 단계이다.The APK data setting step S40 is a step in which the user manipulates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APK data setting method to set APK data.

즉, 상기 원시APK파일이 다운로드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관리자가 상기 세팅방법등록단계(S20)를 통해 등록한 APK데이터세팅방법에 따라 조작하면 매체로부터 APK데이터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세팅된다.That is, if the smartphone of the user who downloaded the RAW APK fil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APK data setting method registered by the administrator in the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the APK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medium to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set.

또한, 상기 APK데이터세팅단계(S40)에서 APK데이터의 세팅이 실패 시에는 APK데이터의 매체 등록 여부를 확인하여 미등록 시 관리자에게 상기 APK데이터등록단계(S10)를 재실시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후속 단계로의 진행을 중단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한한다.If the setting of the APK data fails in the setting of the APK data (S40), it is checked whether the APK data is registered in the medium, and the manager is requested to re-execute the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stopped to restrict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다시 말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원시APK파일이 다운로드되더라도 APK데이터가 미세팅된 상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불가능하므로 매체에 APK데이터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 관리자에게 APK데이터를 매체에 재등록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관리자가 제공하는 APK데이터를 세팅하지 않고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인증 매커니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In other words, even if the original APK file is downloaded to the smartphone of the user, if APK data is not registered on the medium, APK data can not be executed when the APK data is not set. , Or an authentication mechanism that restricts the use of the application without setting the APK data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상기 목적APK파일생성단계(S50)는 상기 APK데이터세팅단계(S40)를 정상적으로 통과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원시APK파일과 APK데이터가 세팅된 목적APK파일이 생성되는 단계이다.The target APK file creation step S50 is a step in which the source APK file and the destination APK file in which the APK data is set are generated in the smartphone of the user who has normally passed the APK data setting step S40.

따라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목적APK파일이 생성되면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application APK file is created in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the application is executable so that the user can execute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execution step S60.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관리자에 의해 실시되는 APK데이터등록단계(S10) 및 세팅방법등록단계(S20)와,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와, APK데이터세팅단계(S40)와, 목적APK파일생성단계(S50), 및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를 흐름에 따라 도시하고 있다.FIG. 2 shows an overall f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and the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performed by the administrator and the step APK data setting step S40, a destination APK file creating step S50, and an application executing step S60 are shown in the flow chart.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은 라이브러리, 자원, 소스코드, 매니페스트 파일 등 기본 응용 프로그램 파일로 이루어진 원시APK파일과 원시APK파일에 세팅되는 리소스, 즉 UI데이터와 URL데이터를 포함하는 APK데이터를 개별 구성하여 별도 제공한다.The smartphone application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imitive APK file composed of basic application program files such as a library, a resource, a source code, and a manifest file, and APK data including resources set in a primitive APK file, And provided separately.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는 상기 APK데이터를 매체에 등록한다. 상기 매체는 DB가 구축된 서버나 PC, 또는 USB메모리와 같은 저장매체일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administrator registers the APK data on the medium. The medium may be a server or a PC on which a DB is built,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또한, 관리자는 상기 APK데이터를 세팅할 수 있는 APK데이터세팅방법을 상기 매체에 등록한다. 상기 APK데이터세팅방법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관리자가 제공하는 NFC태그에 태깅하여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관리자가 제공하는 QR코드를 리딩하여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관리자가 제공하는 USB메모리에 접속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관리자가 제공하는 이메일의 링크를 통해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는 상기 방법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Also, the manager registers the APK data setting method capable of setting the APK data on the medium. The APK data setting method includes a method in which a user tags a smart phone in an NFC tag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to access a medium, a method in which a user accesses a medium by reading a QR code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using a smart phone, A method of connecting a smart phone to a USB memory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or a method of connecting a smart phone to a medium through a link of an e-mail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and the user may perform one or a plurality of methods You can choose.

관리자에 의해 상기 APK데이터와 APK데이터세팅방법이 매체에 등록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우선 스마트폰을 이용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원시APK파일을 다운로드한다. 통상의 어플리케이션과는 달리 본 발명의 상기 원시APK파일은 다운로드된 상태만으로는 실행이 제한된다.When the manager registers the APK data and the APK data setting method on the medium, the user first accesses a web site or an application store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using a smart phone and downloads a raw APK file as shown in FIG. Unlike the normal application, the execution of the RAW APK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downloaded state.

사용자는 다운로드된 원시APK파일에 APK데이터를 세팅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을 상기 관리자가 등록한 APK파일세팅방법에 따라 조작한다.The user manipulates the smartphone according to the APK file setting method registered by the manager in order to set APK data in the downloaded original APK file.

예컨대, 관리자가 제공한 NFC태그에 스마트폰을 태깅하여 APK데이터가 등록된 매체에 접속함으로써 APK데이터를 전송받아 세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PK data can be received and set by tagging the smartphone with the NFC tag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and accessing the medium on which the APK data is registered.

또는, 관리자가 제공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리딩하여 APK데이터가 등록된 매체에 접속함으로써 APK데이터를 전송받아 세팅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PR data can be received and set by reading the QR code provided by the manager to the smartphone and accessing the medium on which the APK data is registered.

또는, 관리자가 제공하는 USB메모리에 등록된 APK데이터를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APK데이터를 세팅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PK data registered in the USB memory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can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to set the APK data.

또는, 관리자가 제공하는 이메일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여 매체에 접속함으로써 APK데이터를 전송받아 세팅할 수 있다.Alternatively, APK data can be received and set by accessing a medium by clicking a link included in an e-mail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상기 APK데이터세팅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4가지 방법 외에도 관리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매체 및 경로에 의해 또 다른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K data setting method can be modified into other forms by various media and paths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in addition to the four methods as described above.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기존에 다운로드된 상기 원시APK파일에 APK데이터가 세팅되면서 목적APK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6, the smartphone of the user creates the APK file by setting the APK data in the downloaded original APK file. Thus, the application is executable on the smartphone of the user.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APK데이터의 UI데이터에 포함된 배경이미지 및 아이콘들이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배치되며 APK데이터의 URL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링크들이 아이콘 또는 메뉴에 링크되어 외부 사이트로의 접속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When the user executes the application, the background image and icons included in the UI data of the APK data are arranged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and various links included in the URL data of the APK data are linked to the icon or menu to allow access to the external site .

또한, 관리자가 상기 APK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매체에 등록할 경우 사용자 역시 상기 APK데이터를 리세팅하여 기존의 배경이미지 및 아이콘, URL을 업데이트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Also, when the administrator updates the APK data and registers the APK data on the medium, the user can also update the background image, the icon, and the URL by resetting the APK data.

아울러, 상기 매체에 등록된 APK데이터는 타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동일한 APK데이터세팅방법을 제공할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여 세팅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PK data registered in the medium may be accessed and set by a user if another application provides the same APK data setting method.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응용 프로그램 파일 집단인 어플리케이션팩(APK)을 기본 응용 프로그램 파일로 이루어진 원시APK파일과 UI데이터 및 URL데이터를 포함하는 APK데이터로 구분하여 별도 제공한 후 APK데이터를 세팅하는 방법으로 어플리케이션팩을 생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원하는 APK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양한 구성의 어플리케이션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in the method of genera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pack (APK), which is a group of application program files constituting a mobile application, includes a raw APK file composed of basic application program files, UI data, and URL data APK data to be provided separately and then APK data is set to generate application packs. Thus, applications with various configurations for generating desired APK data in a single application can be easily provided.

더불어, 본 발명은 관리자로부터 제공되는 APK데이터세팅방법에 의한 APK데이터의 정상적 세팅 없이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불가능한 구성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인증 매커니즘에 리소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suggesting a method of utilizing resources for an application use authentication mechanism through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pplication can not be executed without normal setting of APK data by an APK data setting method provided from an administrator.

S10: APK데이터등록단계
S20: 세팅방법등록단계
S30: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
S40: APK데이터세팅단계
S50: 목적APK파일생성단계
S60: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
S10: APK data registration step
S20: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30: Steps to Download the Raw APK File
S40: APK data setting step
S50: Step of creating target APK file
S60: Application execution phase

Claims (4)

리소스와, 응용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인증서와, 매니페스트 파일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파일들이 하나로 압축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가 어플리케이션팩을 형성하는 목적APK파일의 리소스에 포함될 APK데이터를 매체에 등록하는 APK데이터등록단계(S10)와,
관리자가, 상기 APK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세팅하기 위한 APK데이터세팅방법을 매체에 등록하는 세팅방법등록단계(S20)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APK데이터가 제외된 상태로 압축된 원시APK파일을 다운로드하는 원시APK파일다운로드단계(S30)와,
사용자가 상기 APK데이터세팅방법에 따라서 스마트폰에 APK데이터를 세팅하는 APK데이터세팅단계(S4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원시APK파일과 APK데이터가 세팅된 목적APK파일이 생성되는 목적APK파일생성단계(S5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목적APK파일이 생성되면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실행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APK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아이콘 및 배경이미지를 포함하는 UI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링크되는 웹사이트 접속을 위한 URL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이한 복수의 APK데이터를 구비하여 원시APK파일과 조합에 따라서 서로 다른 UI 및 링크를 구비하는 목적APK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APK데이터세팅방법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관리자가 제공하는 NFC태그에 태깅하여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 관리자가 제공하는 QR코드를 리딩하여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 관리자가 제공하는 USB메모리에 접속하는 방법, 관리자가 제공하는 이메일의 링크를 통해 매체에 접속하는 방법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방법을 선택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팩 생성 방법.
1.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generation method in which a resource, an application source code, a certificate, and files used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including a manifest file are compressed into one,
An APK data registration step (S10) in which an administrator registers APK data to be included in a resource of a target APK file forming an application pack,
A setting method registration step (S20) of an administrator registering an APK data setting method for setting the APK data on a smartphone of a user,
A raw APK file download step (S30) in which a user downloads a compressed raw APK file in a state where APK data is excluded from the smartphone,
An APK data setting step (S40) in which a user sets APK data on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APK data setting method,
A destination APK file generation step (S50) in which the source APK file and the destination APK file in which the APK data are set are generated in the smartphone of the user,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step (S60) in which the application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application can be executed while the target APK file is generated in the smartphone of the user;
The APK data includes:
UI data including an icon constituting an application and a background image, and URL data for accessing a web site linked through an application,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fferent APK data, Generating a destination APK file having a link;
The APK data setting method includes:
A method of accessing the medium by tagging the NFC tag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using the smartphone by the user, a method of accessing the medium by reading the QR code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a method of accessing the USB memory provided by the administrator, And a method of connecting to a medium through a link of an e-mail to which the application is conn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83242A 2016-12-30 2016-12-30 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KR1019241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242A KR101924175B1 (en) 2016-12-30 2016-12-30 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242A KR101924175B1 (en) 2016-12-30 2016-12-30 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483A KR20180078483A (en) 2018-07-10
KR101924175B1 true KR101924175B1 (en) 2018-11-30

Family

ID=6291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242A KR101924175B1 (en) 2016-12-30 2016-12-30 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17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483A (en)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8669B2 (en) Registering a mobile application with a server
US9367305B1 (en) Automatic container definition
US9792141B1 (en) Configured generation of virtual machine images
US9342273B1 (en) Automatic communications graphing for a source application
US10078498B2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xtending at least one function of a package file
US20160154629A1 (en) Application builder based on metadata
JP6217277B2 (en) Software development method and system therefor
CN103778178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nfiguring snapshot of virtual machine (VM)
US20150365275A1 (en) Cloud environment configuration for cloud applications
US10367916B2 (en) Enhanced feature vector
CN103207902A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financial client side data
US9141363B2 (en) Application construction for execution on diverse computing infrastructures
Colombo-Mendoza et al. MobiCloUP!: a PaaS for cloud services-based mobile applications
Hall Ansible configuration management
Saito et al. DevOps with Kubernetes: accelerating software delivery with container orchestrators
CN110597564A (en) Installation package construction and service component load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US9692808B2 (en) Code path directives for controlling in-app experiences
WO2023154182A1 (en) Visual cluster deployment and operation system and method
WO2020199597A1 (en) Blockchain node management agent service installatio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509761B2 (en) Open user interface
US11675578B2 (en) Meta-operators for managing operator groups
Boyer et al. Architecture-based automated updates of distributed microservices
JP6300750B2 (en) Verification program, verification apparatus, and verification method
KR101924175B1 (en) Method for create a smartphone application pack
US20140313215A1 (en) Scene-isolated interne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