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073B1 -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073B1
KR101924073B1 KR1020170077520A KR20170077520A KR101924073B1 KR 101924073 B1 KR101924073 B1 KR 101924073B1 KR 1020170077520 A KR1020170077520 A KR 1020170077520A KR 20170077520 A KR20170077520 A KR 20170077520A KR 101924073 B1 KR101924073 B1 KR 10192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network
call
iot device
vis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범모
박지수
심상익
심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07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방문자 단말로부터 IoT 매개번호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IoT 매개번호에 매핑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을 IoT 통화에 초대하는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초대 메시지를 전송받아 IoT 매개번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IoT 통화에 초대하는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요청에 따라 IoT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isitor Call and IoT Device Contro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홈 IoT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방문자는 댁내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IoT 디바이스(ex, 인터폰)를 통해 외부에 있는 집주인과 통화할 수 있고, 외부에 있는 집주인은 원격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이나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아파트, 개인주택 등에도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사물인터넷의 발전에 따라 출입문에 각종 IoT 디바이스(Internet of Things Device)를 구비하여 불특정 다수인에 의한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보안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한편, 최근 온라인 마켓 증대로 각종 택배 배달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나 핵가족화와 맞벌이의 증대로 배달 시간에 집이 비워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에, 배달하는 방문자들은 출입문을 열지 못하므로 경비원에 배달 물건을 맡기거나 출입문 앞에 배달물건을 두고 가는 경우가 발생하고, 그 결과 아파트 경비원들의 업무 과중, 배달 물건이 훼손되거나 도난 발생시 이에 대한 책임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입문 등에 배달물품을 보관할 장소를 표시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방문자(배달원) 이외 제3자에게도 보관장소가 공개되므로 배달물품 도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고, 방문자가 집을 방문한 손님이라면, 집 주인이 돌아오기 전까지는 집 밖에 계속 있을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다른 해결방안으로, 출입문 등에 집 주인의 휴대전화 번호 등을 남겨두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방문자(배달원)는 집 주인의 휴대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 배달물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소나 사람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어, 배달하는 사람의 편의를 도모하고 집 주인은 외부에 있더라도 본인이 원하는 곳에 배달물품을 두도록 요청할 수 있어 배달물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인 경우, 방문자는 집주인과의 통화로 비밀번호를 알 수 있어 집에 들어가 기다릴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누구나 볼 수 있는 곳에 집 주인의 휴대번호를 공개해야 한다는 부담이 따른다.
즉, 기존에는 집 주인의 개인 전화번호를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방문자와 외출중인 집주인이 직접 통화하고, 원격으로 출입문들 제어하여 방문자를 댁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79319호 "방문자 식별 시스템 및 방법"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댁내 사람이 없는 경우 방문자가 집주인의 전화번호를 모르더라도 IoT 디바이스 일 측면에 표시된 매개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함으로써 IoT 디바이스에 탑재된 스피커를 통해 외부에 있는 집주인과 직접 통화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집주인은 레거시 통화망(ex, VoLTE)에 연동되는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별도의 앱(App)을 사용하지 않고도 IoT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일 측면에 따른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방문자 단말로부터 IoT 매개번호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IoT 매개번호에 매핑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을 IoT 통화에 초대하는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초대 메시지를 전송받아 IoT 매개번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IoT 통화에 초대하는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요청에 따라 IoT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oT 통화 승낙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로 바이 메시지를 전송하여 방문자 단말의 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미디어 셋업 요청을 수신받아, 상기 방문자 단말로 IoT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은, IoT 통화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IoT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IoT 디바이스와 데이터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생성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IoT 매개번호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여 IoT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IoT 통화 세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IoT 디바이스 및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IoT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정보가 포함된 초대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IoT 매개번호에 매핑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정보가 포함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을 IoT 통화에 초대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이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oT 통화 승낙 메시지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가 생성한 통화 세션에 참가하여 IoT 통화가 실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이 IoT 통화 승낙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이후,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 바이 메시지를 전송하여 방문자 단말의 호를 종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가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방문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셋업 요청을 수신받고 방문자 단말로 IoT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IoT 통화가 실현되는 단계 이후, 관리자 단말이 IoT 통화 세션을 통해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IoT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가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IoT 디바이스와 데이터 채널을 생성하고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생성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의 매개번호를 이용하여 방문자와 집주인이 통화하므로 불특정인에게 집주인의 전화번호가 공개되는 것을 방지하고, 집주인은 방문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이후 통화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집주인의 댁내 보안성 향상과 방문자 응대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댁내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방문자(ex, 배달원)는 IoT 디바이스에 탑재된 스피커를 통해 외부에 있는 집주인과 직접 통화하여 집주인의 요청대로 물건을 배달하고 돌아갈 수 있으므로 배달물건의 훼손이나 도난 시 책임을 면할 수 있고 재배달을 하지 않음으로써 방문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통화중인 세션을 활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므로, 최초 사용시 IoT 디바이스와의 페어링(paring) 단계가 요구되지 않고,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집주인의 통신단말에 별도의 프로그램(App)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통화중인 단말의 다이얼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댁내 사람이 없는 경우 방문자가 IoT 디바이스를 통해 집주인과 통화하고 집주인이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댁내 사람이 없는 경우 방문자가 IoT 디바이스를 통해 집주인과 통화하고 집주인이 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방문자 단말(10), IoT 디바이스(20), 관리자 단말(30), 그리고 통화제어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10)은 출입문을 개방하는 키를 갖지 못한 자가 소지하는 통신단말 장치로, 일 실시예에 따라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즉, 방문자 단말(1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IMS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10)은 통화요청 메시지인 초대 메시지(SIP INVITE)를 통화제어서버(40)로 전송하고, 초대 메시지는 IoT 디바이스(20)의 식별정보인 IoT 매개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는 IoT 디바이스(20)의 외관 또는 발견하기 쉬운 위치에 표시된 IoT 매개번호를 입력하여 호 연결을 신청하며, 이로 인해 관리자 단말(30)의 식별번호(ex, 전화번호)가 불특정인에게 알려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20)는 출입문과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락킹 장치로, 일 실시예에 따라 WeRTC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관리자 단말(30)과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있으나 댁내 사람이 없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방문자는 자신이 소지하는 방문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출입문에 구비된 IoT 디바이스(20)의 매개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를 시도하면, IoT 디바이스(20)의 매개번호에 매핑 된 집주인이 소지하는 관리자 단말(30)로 발신된다. 여기서, IoT 매개번호는 IoT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로, 누구나 알 수 있도록 IoT 디바이스의 외관에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은 출입문을 개방하는 키(권한)를 갖는 자가 소지하는 통신단말 장치로, 일 실시예에 따라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IoT 디바이스(20)와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30)은 IoT 디바이스(20)와 통화 중인 세션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IoT 디바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30)은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IoT 디바이스(20)와 별도의 페어링(pairing)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간단히 다이얼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손 쉽게 IoT 디바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에 있지 않고 외부에 나와있는 집주인은 자신의 휴대폰 화면, 즉 관리자 단말(30) 화면에 표시되는 방문자 단말(10)의 식별번호를 확인하고 통화연결을 수락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30) 화면에는 발신자 번호와 함께 "초인종을 통해 전화가 왔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함께 표시하여 집주인이 발신자 번호뿐만 아니라 발신측이 출입문 앞에 있는 방문자인 것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화제어서버(40)는, 방문자 단말(10)로부터 IoT 매개번호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IoT 매개번호에 맵핑된 관리자 단말(30)과 IoT 매개번호에 대응되는 IoT 디바이스(20) 간의 통화 세션을 설정하고, 방문자 단말(10)의 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방문자는 방문자 단말(10)을 통해 호 연결을 신청하면, IoT 디바이스(20)와 관리자 단말(30)의 호가 연결되고, 방문자 단말(10)의 호는 차단된다. 따라서, 방문자는 IoT 디바이스(20)의 스피커나 카메라를 통해 관리자와 음성 또는 화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화제어서버(40)는, 관리자 단말(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IoT 디바이스(20)와 데이터 채널을 생성한 후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여 IoT 디바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주인이 통화버튼을 입력하는 등으로 통화연결을 수락하면, 관리자 단말(30)과 IoT 디바이스(20) 간의 호가 연결되는 동시에 방문자 단말(10)의 호는 종료된다. 방문자는 IoT 디바이스(20)에 탑재된 스피커를 통해 집주인과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2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가 집주인과 영상통화를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방문자가 택배를 배달하는 경우, 실시예에 따라, 집주인은 IoT 디바이스(20)와 통화 연결중인 관리자 단말(30)을 통해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로 인해 IoT 디바이스(20)가 탑재된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택배를 배달하는 방문자는 출입문을 열고 댁내에 택배 물품을 두고 돌아갈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예시적인 상황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였고, 통화제어서버(40)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간단히 설명하였으나,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통화제어서버(40)가 수행하는 기능을 복수의 네트워크 및 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구성들로 구별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방문자는 택배 배달자, 방문객 등 출입문을 개방하는 키를 갖지 못한 자를 통칭하는 명칭이고, 집은 단순히 가정집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빌딩, 공공기관과 같이 출입문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는 공간을 모두 포함하며, 앞서 설명한 집주인은 이하 출입문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관리자로 정의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서로 다른 두 네트워크(100, 200), 방문자 단말(10), IoT 디바이스(20), 그리고 관리자 단말(30)을 포함한다. 방문자 단말(10), IoT 디바이스(20), 그리고 관리자 단말(30)은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은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네트워크(10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이고, 제 2네트워크(200)는 WebRTC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IMS 네트워크는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해 음성, 인터넷,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통합 네트워크인 ALL-IP 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의된 것이다. 또한, ALL-IP 망은 이동통신망 구조와 프로토콜을 IP 기반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와 시그널링을 IP 기반으로 전송하며, 전송(bearer), 제어(control) 및 서비스(service) 기능을 분리하고, 멀티미디어 통신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WebRTC 네트워크는 크롬(chrome), 파이어폭스(firefox), 사파리(safari) 등과 같은 브라우저상에서 ID 기반으로 사용자들 간의 음성 및 영상 전화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통화 기술이다.
제1 네트워크(1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IMS-TAS) 및 미디어 서버(130, IMS-MS)를 포함한다. 방문자 단말(10) 및 관리자 단말(3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1 네트워크(100)에 접속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IMS-TAS)는, 발신자 표시, 발/착신 금지, 착신 전환, 그룹 통화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동작 및 호 처리와 호 연결 관리 및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필드 변경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호 처리용(텔레포니)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IMS-TAS)는, 가입자 정보 노드(HSS)를 통해 통신단말(10, 20) 및 IoT 디바이스(20)가 속한 네트워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IMS-TAS)는, 방문자 단말(10)로부터 IoT 매개번호가 포함된 초대 메시지(SIP INVITE)를 수신받으면, 제 2네트워크(200)로 통화 세션 생성을 요청하고, IoT 매개번호에 매핑된 관리자 단말(30)로 초대 메시지(SIP Invite)를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30)을 제 2네트워크(200)에 생성된 통화 대화방에 참여시킨다. 여기서, 제 2네트워크(200)에서 생성된 통화 대화방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화를 IoT 통화로 정의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30)로 전송되는 초대 메시지(SIP Invite)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에는 IoT 통화에 요구되는 미디어 압축방식(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IMS-TAS)는, 관리자 단말(30)로부터 초대 메시지(SIP Invite)에 대한 응답으로 IoT 통화 승낙 메시지(SIP OK)가 전송되면 방문자 단말(10)로 바이 메시지(SIP BYE)를 전송하여 방문자 단말(10)의 호를 종료한다. 여기서, 방문자 단말(10)의 호는 종료되나, 관리자 단말(30)과 IoT 디바이스(20)의 호 연결이 생성되므로, 방문자는 IoT 디바이스(20)의 스피커/카메라를 통해 관리자와 음성/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130, IMS-MS)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IMS-TAS)로부터 미디어 셋업(media setup) 요청을 수신받으면, 방문자 단말(10)로 IoT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는, "통화를 정상적으로 요청하였습니다. 안내 종류 후 앞에 보이는 인터폰을 통해 통화가 계속됩니다."와 같은 음성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미디어 셋업 메시지의 SDP에는 방문자 단말(10)이 지원하는 미디어 압축방식(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네트워크(200)는, WebRTC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서, 도 2를 참고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 및 미디어 서버(230, IoT-MS)를 포함한다. 또한, 제 2네트워크(200)는, 제1 네트워크(100)와 제2 네트워크(200)의 연동 및 제2 네트워크(200)와 IoT 디바이스(20)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미도시)와 같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WebRTC 서비스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의 웹 앱(Web App)을 통해서 통신 단말의 OS(Operating System)와는 무관하게 웹 브라우저를 통한 실시간 통화(Real-Time Communication)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의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이 기술을 WebRTC라고 통칭한다. 따라서 제2 네트워크(130)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20)는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웹 앱을 통해 실시간 음성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WebRTC 서비스에서 IoT 디바이스(20)는 별도의 고유의 전화번호를 갖지 않으며 ID 기반으로 사용자를 식별하여 통신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20)는, 제2 네트워크(200)에 접속하여 제1 네트워크(100)에 속한 관리자 단말(30)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는, 발신자 표시, 발/착신 금지, 착신 전환, 그룹 통화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 동작 및 호 처리와 호 연결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는,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IMS-TAS)로부터 초대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미디어 서버(230, IoT-MS)로 제1 네트워크(100)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30)과 제2 네트워크(200)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20)를 위한 통화 대화방, 즉, 통화 세션의 생성을 요청한다. 또한,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는, IoT 매개번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20)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미디어 서버(230, IoT-MS)가 생성한 통화 대화방에 IoT 디바이스(20)를 초대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230, IoT-MS)가 생성한 통화 대화방에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30)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20)가 참여하여 이루어지는 통화를 IoT 통화라고 정의한다.
미디어 서버(230, IoT-MS)는, 미디어 스트림(stream) 자원(resource)를 제어하여 미디어 스트림을 믹싱(mixing)하고, 문자와 음성 간 변환, 음성 인식,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트랜스코딩(다른 코덱 간의 변환) 등을 위한 미디어 소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서버(230, IoT-MS)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의 요청에 따라 그룹 통화 대화방, 즉 IoT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1 네트워크(100)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30)과 제2 네트워크(200)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20)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IoT 통화 세션에 참여한 관리자 단말(30) 및 IoT 디바이스(20)의 통화 데이터를 트랜스코딩 및 믹싱하여 관리자 단말(30) 및 IoT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IoT 통화 세션에 참여한 관리자 단말(30)은, IoT 통화 세션을 통해 제2 네트워크(200)의 미디어 서버(230, IoT-MS)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IoT 디바이스(2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네트워크(200)의 미디어 서버(230, IoT-MS)는, IoT 통화 세션을 통해 관리자 단말(30)로, 제어관련 안내멘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관련 안내멘트는 "현관문을 열고 싶으시면, 73#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멘트로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230, IoT-MS)는, 안내멘트에 대한 응답으로 관리자 단말(3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은, 실시예에 따라, 제어신호를 보낸 관리자 단말(30)이 관리 권한 있는 단말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추가로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받고 해당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230, IoT-MS)는, 인증된 제어신호를 제2 네트워크(20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로 전달한다.
제2 네트워크(200)의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는, 제어신호 메시지를 IoT 디바이스(20)로 전송하여 IoT 디바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는, IoT 디바이스(20)와 데이터 채널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미디어 서버(230, IoT-MS)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20)는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동작(ex, 현관 개방)을 수행하고 수행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로 피드백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230, IoT-MS)는, 어플리케이션 서버(210, IoT-AS)로부터 전송받은 수행결과 안내멘트를 IoT 통화 세션을 통해 관리자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행결과 안내멘트는 "현관문이 열렸습니다."와 같은 음성멘트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방문자 단말(A)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과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 통화(VoLTE: Voice over 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이다. VoLTE 등 IP 기반 음성, 영상 통화에서는, 음성 및 영상의 압축조건을 서술하는 SDP를 포함하는 SIP 메시지를 단말 간에 교환하여 통화조건을 교섭하며 이러한 교섭을 세션 교섭(session negotiation)이라고 한다. SIP는 통화 세션 설정기능을 담당하고, SDP는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하여 교환되는 패킷의 특성을 정의하고, 세션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 정보가 기록된다. 압축조건에는 미디어 압축방식(codec), 비트 레이트 등 각종 수치와 RTP 패킷으로의 미디어 탑재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방문자 단말(A)은 통화 요청 메시지인 초대 메시지(SIP Invite Message)를 생성하여 IoT 디바이스(B)로 전송한다(S301). 즉, 방문자 단말(A)은 IoT 디바이스(B)를 수신자로 하는 호 설정(call connection)을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로 요청한다. 초대 메시지는 IoT 디바이스(B)의 식별정보인 IoT 매개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자는 IoT 디바이스(B)의 외관 또는 발견하기 쉬운 위치에 표시된 IoT 매개번호를 수신자로 하여 호 연결을 신청하며, 이로 인해 관리자 단말(C)의 식별번호(ex, 전화번호)가 불특정인에게 알려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A)로부터 초대 메시지(SIP Invite Message)를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는, 미디어 서버(IMS-MS)로 미디어 셋업(media setup) 메시지를 전달한다(S303). 이때, 미디어 셋업 메시지의 SDP에는 초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 방문자 단말(A)의 정보가 포함된다. 미디어 셋업 요청받은 제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IMS-MS)는 방문자 단말(A)로 IoT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는, "통화를 정상적으로 요청하였습니다. 안내 종류 후 앞에 보이는 인터폰을 통해 통화가 계속됩니다."와 같은 음성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는, 방문자 단말(A)로부터 수신받은 초대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로 전달하여 IoT 통화 세션 설정을 요청한다(S305). 이때, 초대 메시지는 방문자 단말(A)을 발신자로 IoT 디바이스(B)를 수신자로 하여 전송되는 메시지이며, SDP에는 IoT 디바이스(B)와 매핑된 관리자 단말(C) 정보가 포함된다. 즉,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는 IoT 디바이스(B)와 관리자 단말(C)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IoT 디바이스(B)를 수신자로 하는 초대 메시지가 전송되면, 저장된 관리자 단말(C) 정보를 SDP에 추가한 초대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는,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로부터 초대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미디어 서버(IoT-MS)로 미디어 셋업 메시지를 전달하여 IoT 통화 세션 생성을 요청한다(S307). 이때, 미디어 셋업 메시지의 SDP에는 IoT 통화 세션에 참여할 단말들의 정보 즉, IoT 디바이스(B) 및 관리자 단말(C)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는, IoT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200)의 미디어 서버(IoT-MS) 정보가 SDP에 저장된 초대 메시지를 IoT 통화 세션에 참여할 IoT 디바이스(B) 및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로 전달한다(S309, S311).
제1 네트워크(100)의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는, IoT 매개번호에 매핑된 관리자 단말(C)로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로부터 전달받은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IoT 통화에 초대할 수 있다(S313). 이때, 초대 메시지의 SDP에는 IoT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IoT-MS) 정보가 저장된다.
초대 메시지를 수신받은 관리자 단말(C)은 IoT 통화를 수락할 수도 있고(S315, Yes), 수락하지 않을 수도 있다(S315, No). 즉, 관리자 단말(C)이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oT 통화 승낙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로 전달하면(S315, Yes),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는 방문자 단말(A)로 바이 메시지(SIP BYE)를 전송하여 방문자 단말(A)의 호를 종료한다(S317). 만약, 관리자 단말(C)이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oT 통화 거절 메시지를 전달하면(S315, No),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는 방문자 단말(A)로 실패 메시지를 전달하고 방문자 단말(A)의 호를 종료한다. 실패 메시지는, 예를 들어, "관리자가 부재중입니다."와 같은 음성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C)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B)가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IoT-MS)가 생성한 통화 세션에 참가하여 IoT 통화가 시작될 수 있다(S319, S321).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3에 따라 IoT 통화가 시작된 이후,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는 안내멘트 요청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IoT-MS)로 전달한다(S401). 미디어 서버(IoT-MS)는 IoT 통화 세션을 통해 관리자 단말(C)로 안내멘트 메시지를 전달한다(S403). 예를 들어, 안내멘트 메시지는 "현관문을 열고 싶으시면, 73#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음성멘트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에 속한 관리자 단말(C)은 안내멘트에 대한 응답으로 IoT 통화 세션을 통해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IoT-MS)로 IoT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405). 미디어 서버(IoT-MS)는 제어신호를 보낸 관리자 단말(C)이 관리 권한 있는 단말인지 인증을 수행한다(S407). 인증은 관리자 단말(C)로부터 추가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받아 해당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IoT-MS)는, 인증된 제어신호를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로 전달한다(S409).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는, 미디어 서버(IoT-MS)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 메시지를 IoT 디바이스(B)로 전송하여 IoT 디바이스(B)를 제어할 수 있다(S411).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는, IoT 디바이스(B)와 데이터 채널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B)는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동작(ex, 현관 개방)을 수행하여 제어명령을 실행하고(S413), 실행 결과를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로 피드백할 수 있다(S415).
미디어 서버(IoT-MS)는,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로부터 전송받은 실행 결과를 안내멘트 형태로 IoT 통화 세션을 통해 관리자 단말(C)로 전송할 수 있다(S419). 예를 들어, 실행 결과를 안내멘트는, "현관문이 열렸습니다."와 같은 음성멘트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방문자 단말
20: IoT 디바이스
30: 관리자 단말
100: 제1 네트워크
110: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MS-TAS)
130: 제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IMS-MS)
200: 제2 네트워크
210: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IoT-AS)
230: 미디어 서버(IoT-MS)

Claims (12)

  1. 방문자 단말로부터 IoT 매개번호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IoT 매개번호에 매핑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을 IoT 통화에 초대하는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초대 메시지를 전송받아 IoT 매개번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IoT 통화에 초대하는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요청에 따라 IoT 통화 세션을 생성하여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에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oT 통화 승낙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방문자 단말로 바이 메시지를 전송하여 방문자 단말의 호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미디어 셋업 요청을 수신받아, 상기 방문자 단말로 IoT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IoT 통화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IoT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IoT 디바이스와 데이터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생성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7.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IoT 매개번호를 포함하는 초대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여 IoT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IoT 통화 세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IoT 디바이스 및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IoT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정보가 포함된 초대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IoT 매개번호에 매핑된 관리자 단말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 정보가 포함된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을 IoT 통화에 초대하는 단계;
    관리자 단말이 초대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oT 통화 승낙 메시지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과 제2 네트워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가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가 생성한 통화 세션에 참가하여 IoT 통화가 실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이 IoT 통화 승낙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이후,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방문자 단말로 바이 메시지를 전송하여 방문자 단말의 호를 종료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가 제1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방문자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셋업 요청을 수신받고 방문자 단말로 IoT 통화 연결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oT 통화가 실현되는 단계 이후,
    관리자 단말이 IoT 통화 세션을 통해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 IoT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가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IoT 디바이스와 데이터 채널을 생성하고 제2 네트워크의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른 제어 메시지를 생성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IoT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70077520A 2017-06-19 2017-06-19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2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520A KR101924073B1 (ko) 2017-06-19 2017-06-19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520A KR101924073B1 (ko) 2017-06-19 2017-06-19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073B1 true KR101924073B1 (ko) 2018-11-30

Family

ID=6456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520A KR101924073B1 (ko) 2017-06-19 2017-06-19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0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959B1 (ko) 2014-06-23 2015-09-23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유키 상호교환으로 생성된 기간제 출입키를 이용한 방문자 출입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959B1 (ko) 2014-06-23 2015-09-23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유키 상호교환으로 생성된 기간제 출입키를 이용한 방문자 출입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325B2 (ja) 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77416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W200529640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on of instant messaging and teleconferencing via a telephone network
US11888632B2 (en) Verifying user identities for admission to video conferences
US202203031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onference acceleration
US11095637B2 (en) Interface for telecommunications by desktop native applications
EP2884750A1 (en) Monitoring method and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t top box
EP2894825B1 (en) Conferencing system and conferencing method
KR101360950B1 (ko) Sip 서버를 이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 및 장치
WO2023141049A1 (en) Expo floor layout
KR101924073B1 (ko) IoT 기반의 방문자 통화 및 IoT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186066B1 (ja) イベントの発生を通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30760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ebinar backstage
KR20050043597A (ko) 인터넷을 이용한 홈 방문자 확인 서비스 방법
CN107404591B (zh) 智能门铃监控方法和装置
JP2018026811A (ja) イベントの発生を通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2034554B2 (en) Enhanced conference rooms for persistent hybrid virtual collaborative workspaces
US9473737B1 (en) On-demand video communication for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residents
US20230353403A1 (en) Enhanced conference rooms for persistent hybrid virtual collaborative workspaces
US20240022409A1 (en) Non-fungible tokens for virtual accessories during virtual meetings
US20240022408A1 (en) Non-fungible tokens for virtual accessories during virtual meetings
US20240040340A1 (en) Integrated push-to-talk communication
US20230353608A1 (en) Connecting enhanced conference rooms with persistent hybrid virtual collaborative workspaces
US20240146785A1 (en) General incident response system
US20240195850A1 (en) Aggregation & distribution of diverse multimedia f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