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033B1 -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033B1
KR101924033B1 KR1020160153892A KR20160153892A KR101924033B1 KR 101924033 B1 KR101924033 B1 KR 101924033B1 KR 1020160153892 A KR1020160153892 A KR 1020160153892A KR 20160153892 A KR20160153892 A KR 20160153892A KR 101924033 B1 KR101924033 B1 KR 10192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rotrusion
contents
magn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098A (ko
Inventor
정승주
정현종
조지훈
Original Assignee
정승주
정현종
조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주, 정현종, 조지훈 filed Critical 정승주
Priority to KR102016015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0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자석, 숫자 표시부, 돌기홈으로 형성되는 외부뚜껑부; 상기 제1자석과 자기적 결합을 하는 제2자석과 걸림대로 형성되는 마그네틱 오프너; 외부뚜껑부의 돌기홈과 결합하는 돌기, 용기부와 결합하는 돌림부, 걸림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로 형성되는 내부뚜껑부; 및 돌림부와 결합하는 돌림홈, 내용물 배출부, 받침홈으로 구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배출 횟수 확인과 동시에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Adjustable containers of outing contents}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뚜껑을 조정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조정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건강을 보호 및 증진하기 위한 의지와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오랫동안 약을 복용해왔고, 근래에는 제약의 발달로 건강보조식품, 치료제 등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약은 물약, 가루약, 알약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먹기 수월하고 오래 보관이 가능한 알약 형태의 약이 많이 유통되는 실정이다. 이에 알약을 보관하는 용기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그 중에서 뚜껑을 열고 닫는 식의 용기가 주로 사용된다.
다만, 대부분의 용기가 약을 보관하는 기능을 할 뿐 약의 복용횟수를 확인할 수 있는 용기가 없어 사용자가 몇 회의 약을 복용하였는지 확인이 어렵고, 이로 인해 약 복용시간을 놓치거나 약을 남용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매번 뚜껑을 개봉하여야 하므로 뚜껑을 여닫을 때마다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등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등록 실용신안 제20-0347215호는 약의 복용 여부를 알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병뚜껑을 개시하였고, 구체적으로는 병의 개구부에 나선결합으로 밀봉되는 속뚜껑과 그 속뚜껑에 억지 끼워맞춤 되는 겉뚜껑으로 구성되고, 겉뚜껑은 결합면의 외경과 내경에 각각 병과 병뚜껑이 잠겨지는 방향으로만 돌아가도록 걸림턱을 설계하였다. 다만, 상기 고안은 사용자가 가하는 힘으로만 조절되는 것으로 예상보다 강한 힘이 부여되어 뚜껑이 예정한 위치보다 더 진행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뚜껑의 작동에 수동 뿐만 아니라 다른 작용 원리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약의 복용횟수 확인이 가능하고, 동시에 내용물도 배출될 수 있는 뚜껑부와 용기통을 포함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가 가한 힘에 의한 수동적 작동과 더불어 자석의 자기적 성질과 용기의 세부적 구조 간 상호 작용으로 쉽게 작동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용기가 넘어지거나 충격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하더라도 기능을 유지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자석, 숫자 표시부, 돌기홈으로 형성되는 외부뚜껑부; 상기 제1자석과 자기적 결합을 하는 제2자석과 걸림대로 형성되는 마그네틱 오프너; 상기 외부뚜껑부의 돌기홈과 결합하는 돌기, 용기부와 결합하는 돌림부, 걸림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로 형성되는 내부뚜껑부; 및 돌림부와 결합하는 돌림홈, 내용물 배출부, 받침홈으로 구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자석이 제2자석보다 자기력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그네틱 오프너 하단부와 받침홈이 자석을 포함하여 자기적 성질에 의하여 결합하되,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자기적 결합력보다는 결합력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약 또는 내용물의 배출 횟수의 확인이 가능하여 오용, 남용 또는 미복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 원리의 조합으로 예정한 위치로 진행시키기 용이하고, 수동만으로 작동되는 경우보다 요구되는 힘의 양이 줄어들어 사용상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약의 다량 투입시만 뚜껑을 개봉하여 내용물과 공기의 접촉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의 내용물 배출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의 내용물 배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의 내용물 배출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용기의 내용물 배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용기부(400), 뚜껑부 및 마그네틱 오프너(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부는 외부뚜껑부(100)와 내부뚜껑부(300)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뚜껑부(100)는 제1자석(101), 숫자표시부(102), 돌기홈(103)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자석(101)은 마그네틱 오프너(200)의 상단에 위치한 제2자석(201)과 자기적 성질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숫자 표시부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위치는 한정되지 아니하고, 숫자 표시부와 제1자석(101) 간의 위치적 상호관계가 있다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적 상호관계란 제1자석이 제2자석과 결합하는 때에 숫자표시부에 임의의 숫자가 표시됨을 의미한다.
상기 숫자표시부(102)는 숫자의 범위 및 숫자 사이의 거리, 표시위치 등 숫자표시와 관련된 전반적 사항은 사용자의 재량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도 2처럼 숫자표시부(102)의 아래에 제1자석(101)이 위치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고정된 내부뚜껑부(300)의 위로 회전가능한 외부뚜껑부(100)를 돌리면, 마그네틱 오프너(200) 상단의 제2자석(201)과 외부뚜껑부(100)의 제1자석(101)이 결합하여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올라감으로써 내용물 배출부(402)가 열리고, 동시에 숫자표시부(102)에 임의의 숫자가 표시된다. 상기 임의의 숫자는 복용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석(101)은 그 위치 및 개수가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재량에 따르나 숫자표시부(102)와 대응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자석(101)이 제2자석(201)과 결합함과 동시에 숫자표시부(102)에 임의의 숫자가 표시되므로 양자 간 상호관계를 가진다.
또한, 숫자표시부(102)와 대응되지 않는 부분에는 제1자석이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제2자석과 척력이 작용하는 극성의 자극을 형성하여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아래로 더욱 내려가도록 형성하여 배출구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숫자표시부(102)와 대응되지 않는 부분이라 함은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내려가 배출구가 닫혀있을 때로 숫자표시부(102)에 임의의 숫자가 보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숫자표시부(102)를 통하여 사용자는 내용물 배출과 동시에 복용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내부뚜껑부(300)는 돌기(301), 돌림부(302), 걸림부(303)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301)는 외부뚜껑부(100)의 돌기홈(103)과 결합하는 것으로 내부뚜껑부(300)에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103)은 내부뚜껑부(300)의 돌기(301)와 결합되는 구조로, 돌기(301)와 돌기홈(103)이 결합하면 숫자표시부(102)에 복용 횟수가 나타나면서, 동시에 마그네틱 오프너(200)는 올라가 배출구를 연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자석과 제2자석이 결합하지 않아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내려가 배출구가 닫힌 상태임과 동시에 숫자표시부(102)에 임의의 숫자가 표시되지도 않는다.
돌기(301)의 재질이 단단한 것이 아닌 모양 또는 형상이 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뚜껑부(100)의 돌기홈(103)이 없는 부분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부뚜껑부(100)와 내부뚜껑부(300) 사이에는 미세한 공간이 존재하여, 외부뚜껑부(100)의 돌기홈(103) 없는 부분이 용이하게 돌기(301)를 갖는 내부뚜껑부(300)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돌기(301)와 돌기홈(103)의 구조적 특징은 외부결합부와 내부결합부 사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림부(302)는 용기부(400)의 돌림홈(401)과 결합하는 것으로, 나사형 결합을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돌림부(302)를 돌려 뚜껑을 개봉하여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03)는 마그네틱 오프너(200)의 걸림대(202)가 장애에 의하여 걸리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뚜껑부(300)로부터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오프너(200)는 제2자석(201)과 걸림대(20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201)은 마그네틱 오프너(200)의 상단에 위치하여 뚜껑부와 가깝고, 그리하여 제2자석(201)과 결합 및 탈결합을 할 수 있다. 제1자석(101)이 제2자석(201) 위로 위치하면 양 자석의 인력에 의하여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올라가고, 내용물 배출부(402)를 통하여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다. 제1자석(101)이 제2자석(201) 위로 위치하지 않도록 외부뚜껑부(100)를 이동시키면 제2자석(201)은 제1자석(101)과의 인력을 상실하여 다시 아래로 내려간다.
제1자석(101)은 자석의 종류, 개수 외 여러 요인을 조정하여 제2자석(201)보다 자력의 세기가 크도록 설정하여 양 자석이 가까워지면 제2자석(201)이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석은 상황에 따라 변하는 극성을 가진 자석을 사용하여 배출구가 열렸을 때는 제1자석(101)과 제2자석(201)이 반대되는 극성을, 닫혔을 때는 같은 극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대(202)는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내부뚜껑부(300)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걸림대(202)가 존재하지 않는 일자형으로 형성될 경우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제어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기부(400)는 돌림홈(401), 내용물 배출부(402), 받침홈(403)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림홈(401)은 외부뚜껑부(100)의 돌림부(302)와 나선형 결합을 하여 뚜껑을 개폐하는 것이고, 내용물 배출부(402)는 내용물이 나오는 부분이다.
받침홈(403)은 마그네틱 오프너(200)의 하단부가 들어가는 부분으로, 제1자석(101)과 제2자석(201)의 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내용물의 보관을 위해서 다시 내려와 고정되는 부분이다. 홈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되는 힘을 증가시켜 내용물의 이탈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공기의 투입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오프너(200)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하여 받침홈(403)과의 결합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받침홈(403)과 마그네틱 오프너(200)의 하단부에 자석을 부착하여 인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제1자석(101)과 제2자석(201)의 자기적 결합력보다는 약하도록 설정하여 배출구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의 개수가 적거나 자석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사용자가 외부뚜껑부(100)를 눌러서 돌리면 외부뚜껑부(100) 및 내부뚜껑부(300)가 동시에 회전하여 용기부(400)와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한 작용의 일실시예는 도 2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뚜껑부를 누르며 돌려 내부뚜껑부(300)의 돌림부(302)와 용기부(400)의 돌림홈(401)의 나사결합을 풀어 개봉한 후 내용물을 투입하여 다시 닫는다. 내부뚜껑부(300)는 고정되고, 외부뚜껑부(100)만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이동된다. 설정된 지점(제2자석 위)으로 숫자표시부(102)와 제1자석(101)이 진행되면, 제1자석(101)과 제2자석(201)의 인력에 의하여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올라가면서 배출구가 열리고 내용물을 배출하고 동시에 숫자표시부(102)에 임의의 숫자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외부뚜껑부(100)에 힘을 가하여 더 돌려 진행하면, 제1자석(101)과 제2자석(201)의 인력이 상실되고, 마그네틱 오프너(200) 하단부와 받침홈(403)의 자석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마그네틱 오프너(200)가 내려오고, 배출구가 닫히면서 내용물이 다시 보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외부뚜껑부 101 : 제1자석
102 : 숫자표시부 103 : 돌기홈
200 : 마그네틱 오프너 201 : 제2자석
202 : 걸림대
300 : 내부뚜껑부 301 : 돌기
302 : 돌림부 303 : 걸림부
400 : 용기부 401 : 돌림홈
402 : 내용물 배출부 403 : 받침홈

Claims (3)

  1. 상부 외면에 배치되는 숫자 표시부, 상기 숫자 표시부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석, 내측면에 복수로 함몰되는 돌기홈으로 형성되는 외부뚜껑부
    상기 제1자석과 자기적 결합을 하는 제2자석, 측부로 돌출되는 걸림대로 형성되는 마그네틱 오프너;
    상기 외부뚜껑부의 돌기홈과 결합하는 돌기, 하기 용기부와 결합하는 돌림부, 상기 걸림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로 형성되는 내부뚜껑부; 및
    상기 돌림부와 나사형으로 회전 결합하는 돌림홈, 하부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내용물 배출부, 상기 마그네틱 오프너의 하단부가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내용물 배출부에 대응하는 일측 하부에 함몰 형성되는 받침홈으로 구성되는 용기부
    를 포함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이 제2자석보다 자기력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오프너 하단부와 받침홈이 자석을 포함하여 자기적 성질에 의하여 결합하되,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의 자기적 결합력보다는 결합력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KR1020160153892A 2016-11-18 2016-11-18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KR10192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92A KR101924033B1 (ko) 2016-11-18 2016-11-18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92A KR101924033B1 (ko) 2016-11-18 2016-11-18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98A KR20180056098A (ko) 2018-05-28
KR101924033B1 true KR101924033B1 (ko) 2018-11-30

Family

ID=6245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92A KR101924033B1 (ko) 2016-11-18 2016-11-18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2642B (zh) * 2019-09-11 2022-01-25 杭州市第一人民医院 一种盲人用定量取药药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98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7900C2 (ru) Крышка с защитой от вскрытия детьми для контейнера
EP2461784B1 (en) Press in bottle adapter
ES2365758T3 (es) Contenedor de càpsulas.
US7798329B2 (en) Insert package
EP0531394B1 (en) Dispensing container for tablets
WO2014088931A1 (en) Child deterrent package
CA2886532A1 (en) Novel portable secure storage devices
GB2333512A (en) Dispensing container
CN204618858U (zh) 一种智能药盒
WO2013003293A1 (en) Fluid safety dispenser
CN204701882U (zh) 一种药品存储盒
KR101924033B1 (ko) 내용물 배출 조정 용기
US9199766B1 (en) Container time indicator with a device for inhibiting the removal of the cap
CN209506518U (zh) 一种防儿童打开的安全瓶
US3430795A (en) Medicine bottle with safety closure means
AU2003278663B2 (en) Security container with locking closure and locking arrangement for a closure
CA3057344A1 (en) Container with security lock
US9402783B2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for the secure storage of therapeutic agents
WO2010073010A2 (en) Closure
KR101212939B1 (ko) 복용여부를 확인 가능한 알약용기
US9010535B1 (en) Pillbox for a cellular phone having a port
CN107826447A (zh) 一种防止儿童开启药瓶
KR20190072880A (ko) 알약 보관함이 구비된 물통
JP5459358B2 (ja) 薬を飲んだかどうかの不安を解消できる薬箱
JP6754189B2 (ja) 飲料容器の蓋体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