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009B1 -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009B1
KR101924009B1 KR1020170026631A KR20170026631A KR101924009B1 KR 101924009 B1 KR101924009 B1 KR 101924009B1 KR 1020170026631 A KR1020170026631 A KR 1020170026631A KR 20170026631 A KR20170026631 A KR 20170026631A KR 101924009 B1 KR101924009 B1 KR 10192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information
terminal
beacon signal
scan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324A (ko
Inventor
김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텍스
Priority to KR102017002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0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1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은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학생의 학생 단말 및 강의실마다 구비되어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고, 검출된 비콘 신호로부터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독출하여, 미리 저장된 출석부 테이블 정보와 비교를 통한 일치 여부에 따라 출결을 관리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MART STUDENT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의 비콘 신호를 검출하면,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수집된 학생 정보와 미리 저장된 출석부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출석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인터넷 및 무선통신 인프라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공유 및 위치인증이 가능하게 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확대와 서비스의 활성화에 따라 교육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강의실에서는 iCT 기술을 활용하는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기존 호명을 통하여 출석을 체크하던 방식에서 나아가 iCT 기술을 활용하여 출석을 관리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웹 기반 출석 시스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Bluetooth/RFID) 기반 출석 시스템 등과 같은 전산화된 출석 관리 서비스는 기존의 구두 출석 확인으로 인해 낭비되는 수업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강사-학생 간 출석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출석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하지만 기존 출석 관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비콘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출결하는 방식의 경우,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 음영지역 존재 시 출석확인 불가, 중도 이탈에 대한 해결방안 미비 등과 같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2818호("와이파이 비콘 시그널을 이용한 출결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이 비콘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출결하는 방식의 문제점인 스마트폰이 비콘 신호를 스캐닝 하는 데에 불가피한 높은 배터리 전력 소모, 음영 지역 존재 시 출석확인이 어려운 문제, 중도 이탈에 대한 해결 방안 미비 등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스캐닝하여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의 위치를 확인하고,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미리 저장된 출석부 정보와 비교하여 출결을 관리함으로써 출석 관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은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학생의 학생 단말 및 강의실마다 구비되어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고, 검출된 비콘 신호로부터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독출하여, 미리 저장된 출석부 테이블 정보와 비교를 통한 일치 여부에 따라 출결을 관리하는 스캐닝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은,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의 학생 단말로부터 송출된 상기 비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오프라인 기록/관리 출석부를 온라인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강사나 학생이 실시간으로 출결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기술은 학생 단말을 통해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을 하는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이 실행되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 학생 단말의 데이터를 소모해야 하는 비용적인 어려움이 있었으며, 학생 단말이 비콘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 비콘 신호를 스캐닝 하는 데에 높은 전력 소모가 불가피했으나, 본 발명은 학생 단말이 출석을 위해서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력 효율이 매우 높아지고, 학생 단말이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을 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 소모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시나리오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학생의 중도 이탈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채택하고 있는 기술적 수단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IoT(Internet of Things) 응용 서비스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비콘 기술 기반의 다양한 센싱 정보를 이용한 IoT 서비스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Bluetooth 4.0)을 기반으로 하는 비콘의 경우 인식 거리 약 50m, 측위 오차 5cm 이내의 특성을 가지며, 에너지 효율성이 매우 높아 무선 스마트 단말에 최적화된 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인 출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콘 기반의 스마트 수업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스마트 수업 관리 시스템은 학생의 스마트 단말들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 단말들의 비콘 신호를 검출하며,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학생의 위치, 학생 단말의 단말식별정보와 같은 단말식별정보를 수집하여 학생 단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한 인증을 통해 학생들의 출결을 관리한다.
또한, 강사 및 학생이 실시간으로 출결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스마트 수업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며, 목적 및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강사용과 학생용을 각각 설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명칭 및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시나리오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100)은 학생 단말(110) 및 스캐닝 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학생 단말(110)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출결을 위해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학생 단말(110)는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하고 비콘신호를 송출 가능한 전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노트북, 태블릿 PC, 학생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전자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중에 하나로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10에서 100미터 범위 안의 각종 전자, 정보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제어하는 기술 규격을 말한다. 블루투스 비콘은 비콘 신호를 반경 내에 무작위로 뿌리고, 이때 비콘 신호는 그 비콘의 고유한 메시지를 의미한다.
학생 단말(110)로서 스마트 폰을 채용한 경우라면, 비콘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먼저, 학생 스마트폰이 출결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미리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은 강의 시간표에 따라 수업 시작 시간 전후로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학생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되게 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이후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따라 블루투스를 자동 턴오프시켜 비콘 신호의 송출을 멈출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학생의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고,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블루투스 턴온/턴오프가 제어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스캐닝 장치가 수신할 수 있는 특정 비콘 신호를 방사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 출결 확인을 위한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생 단말(110)은 강의에 출석하기 위해 블루투스를 통한 비콘 신호 송출만을 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보다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와이파이, 3G, 4G 등의 연결 불량 또는 통신 음영지역과 무관하게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만으로도 출석을 알릴 수 있다.
아울러,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학생 단말(110)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스캐닝 장치(130)가 검출하는 설정을 통해서는 학생 중도 이탈에 대한 해결 방안 미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강의실마다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캐닝 장치들이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스캐닝 장치마다 학생 단말들의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어느 학생 단말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감소하면, 서로 다른 강의실의 스캐닝 장치들로부터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학생의 이탈을 확정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세기가 감소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학생의 이탈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캐닝 장치(130)는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학생 단말(110)의 단말식별정보를 학생 단말(110)의 정보로서 수집한다. 즉, 학생 단말(110)의 고유 식별정보로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한다.
그리고 학생 식별을 위하여 최초에 학생의 학생 단말(110)의 단말식별정보는 스캐닝 장치(13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학생 개인정보로서 학생의 이름, 성별, 학번, 전화번호 등의 정보와, 단말기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 등록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학생의 학생 단말과의 통신 주체가 서버가 아닌 강의실마다 구비된 스캐닝 장치(130)가 됨에 따라, 학생 단말의 통신(와이파이, 3G, 4G 등)이 어려운 음영 지역이나 학생 단말의 데이터 사용 가능 여부에 상관없이 출석 관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스캐닝 장치(130)와 더불어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는 각 강의에 대한 수업명, 수업시간, 담당 강사, 강의 장소, 수강생, 수업 출결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각 수업 수강자들의 신상정보, 단말 식별정보, 수업 신청 정보, 수업 출결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학생 관련 정보가 저장된 학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캐닝 장치(130)는 미리 학생 단말(110)로부터 수업 신청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데, 이때 수업 신청 정보는 학생 단말 식별정보, 학생 식별정보, 수업 식별정보 등을 포함한다.
스캐닝 장치(130)는 학생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비콘 신호의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학생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출결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스캐닝 장치(130)는 학생 단말(110)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식별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해당 학생이 강의에 출석한 것으로 여긴다.
특히, 스캐닝 장치(130)는 서로 다른 강의실 마다 구비되고, 서로 다른 강의실마다 구비된 스캐닝 장치들은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스캐닝 장치들은 어느 한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감소하면, 서로 다른 강의실의 스캐닝 장치로부터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이탈을 확정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세기가 감소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학생의 이탈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스캐닝 장치(130)는 수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수업의 수업 시간 및 수강자들을 확인하고, 수업 시작 일정 시간 전후에 수업명, 수업 시간 및 수업 장소를 포함하는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푸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거나 푸시 시스템 미적용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이후, 스캐닝 장치(130)는 학생 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수업 참석 정보가 수신되면, 학생 단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학생의 수업 참석을 체크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대해 간략히 추가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부호가 동일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콘 기반 스마트 출결 관리 시스템은 다른 실시 예로서 스캐닝 장치(130)는 학생 단말(110)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들을 수집하여 출결을 관리하는 외부의 출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의 시스템으로도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캐닝 장치(130)와 출결 관리 서버(150)는 유, 무선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은 와이파이,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LTE 중 하나일 수 있다.
출결 관리 서버는 스캐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학생단말(11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스캐닝 장치 고유번호와 연계된 강의실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수강신청 정보와 일치 여부에 따라 출결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출결 관리 서버는 학생 단말(110)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식별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해당 학생이 강의에 출석한 것으로 여긴다. 여기서, 단말식별정보와 함께 학생 단말(1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학생의 수업 참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출결 관리 서버는 수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수업의 수업 시간 및 수강자들을 확인하고, 수업 시작 일정 시간 전후에 수업명, 수업 시간 및 수업 장소를 포함하는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푸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거나 푸시 시스템 미적용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이후, 출결 관리 서버는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학생 단말정보를 포함하는 수업 참석 정보가 수신되면, 학생 단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학생의 수업 참석을 체크한다. 또한, 출결 관리 서버는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학생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위치가 수업 장소인지를 판단하고, 수업 장소인 경우 학생 단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학생의 강의 참석을 체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출석 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의 학생 단말로부터 송출된 비콘 신호를 검출한다(S410).
다음으로, 스캐닝 장치가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한다(S420).
다음으로, 스캐닝 장치가 학생 단말의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한다(S430). 구체적으로, 스캐닝 장치가 학생 단말 고유의 단말식별정보와,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스캐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말식별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출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초기 출결 이후, 학생이 강의실에서 중도 이탈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스캐닝 장치를 통해 학생들의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를 수업 중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검출하기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수업 시간 중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또는 설정된 시간 이후로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학생의 중도 이탈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학생의 중도 이탈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학생의 중도 이탈을 검출하는 방법은 먼저, 서로 다른 강의실마다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캐닝 장치들이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S510), 스캐닝 장치마다 학생 단말들의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520). 판단 결과, 어느 학생 단말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감소하면(S530), 서로 다른 강의실의 스캐닝 장치들로부터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를 판단한다(S540). 신호 세기가 감소된 순서에 따라 학생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S550). 그리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학생의 이탈을 확정할 수 있다(S560). 또는, 기준 세기가 감소되는 방향을 판단하여 학생의 이탈 경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스마트 출결 관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출석 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학생 단말(110)이 출결용 학생 어플리케이션을 다운하여 설치 실행함으로써 출결관리 서버에 단말식별정보를 저장하고, 학생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생 단말(110)이 단말식별정보를 출결 관리 서버(150)로 전송하면(S710), 출결 관리 서버(150)는 단말식별정보와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연동 저장하고(S720), 해당 수업에 관한 정보를 학생 단말(110)로 전송한다(S730).
즉, 출결 관리 서버(150)는 수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각 수업의 수업 시간 및 수강자들을 확인하고, 수업 시작 일정 시간 전후에 수업명, 수업 시간 및 수업 장소를 포함하는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푸시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업 정보를 학생 단말로 전송하거나 푸시 시스템 미 적용시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학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S740).
학생 단말(110)의 학생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강의 시간표에 따라 수업 시작 시간 전후로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출결용 학생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비콘 신호를 송출되게 한다(S750).
스캐닝 장치(130)는 강의실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비콘 신호를 실시간으로 스캐닝한다(S760).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를 스캐닝하는 데에는 높은 전력 소모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캐닝 장치(130)는 강의실에 구비하여 상시전원 공급을 통해 충분한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실시간으로 비콘 신호를 스캐닝중인 스캐닝 장치(130)가 중계장치 고유번호(위치확인용)와 비콘 신호를 검출하면(S770),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고(S780) 이를 출결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S790). 학생 단말 정보는 학생 단말(110)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출결 관리 서버(150)는 학생단말(110)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스캐닝 장치(130)로부터 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식별정보와 일치여부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을 판단한다(S792). 이때, 스캐닝 장치(130) 고유정보와 수신된 비콘 신호 중 단말기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학생 단말(110)의 위치정보도 미리 저장된 수업장소와 스캐닝 장치(130) 고유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해당 강의실 출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결 관리 서버(150)는 해당 학생의 출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794).
한편, 학생이 수업 중 강의실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100)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스캐닝 장치(130)를 통해 학생 단말(110)의 비콘 신호를 적어도 2회 이상 검출하기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수업 중 학생 단말(110)의 비콘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또는 설정된 시간 이후로 검출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것으로 이동 경로가 파악이 되면, 출결 관리 서버(150)는 이를 해당 학생의 중도 이탈로 여길 수 있다.
출결 관리 서버(150)는 학생 단말(110) 및 강사 단말(115)로 데쉬보드를 통한 실시간 강의 현황 및 휴강/보강 등의 정보 변경에 따른 공지 사항을 푸시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은 전자출결 외에 기숙사 점호관리, 출입통제, 도서관 열람실 좌석배정, 기타 예약관리, 출입통제 시스템 등에 활용 가능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휴대용 학생 단말 등을 본 발명의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음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오프라인 기록/관리 출석부를 온라인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강사나 학생이 실시간으로 출결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기술은 학생 단말을 통해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을 하는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이 실행되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 학생 단말의 데이터를 소모해야 하는 비용적인 어려움이 있었으며, 학생 단말이 비콘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경우 비콘 신호를 스캐닝 하는 데에 높은 전력 소모가 불가피했으나, 본 발명은 학생 단말이 출석을 위해서 비콘 신호를 송출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력 효율이 매우 높아지고, 학생 단말이 서버와 직접 통신 연결을 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 소모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110: 학생 단말
115: 강사 단말 130: 스캐닝 장치
150: 출결 관리 서버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강의실에 구비된 스캐닝 장치가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학생의 학생 단말로부터 송출된 상기 비콘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검출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스캐닝 장치가 상기 학생 단말의 정보와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생 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출석한 학생의 중도 이탈을 확인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강의실 내에 구비된 적어도 둘 이상의 스캐닝 장치들이 정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스캐닝 장치가 어느 한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가 기준 세기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 세기보다 감소하면, 상기 서로 다른 강의실들로부터 상기 신호 세기의 순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상기 학생의 이탈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학생 단말 고유의 단말식별정보를 해당 학생 정보와 매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캐닝 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말식별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의 출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상기 스캐닝 장치를 통해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를 수업 중 적어도 2회 이상 검출하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수업 시간 중 상기 학생 단말의 비콘 신호가 설정된 횟수 이상 또는 설정된 시간 이후로 검출되는지 여부를 더 포함하는,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026631A 2017-02-28 2017-02-28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31A KR101924009B1 (ko) 2017-02-28 2017-02-28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31A KR101924009B1 (ko) 2017-02-28 2017-02-28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24A KR20180099324A (ko) 2018-09-05
KR101924009B1 true KR101924009B1 (ko) 2018-11-30

Family

ID=6359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31A KR101924009B1 (ko) 2017-02-28 2017-02-28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0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38A (ko)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서우에스앤디 비콘을 이용한 학생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205A (zh) * 2018-09-29 2019-01-15 大连锐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座位管理系统
WO2022114323A1 (ko) * 2020-11-30 2022-06-02 (주)헬로팩토리 키패드 장치를 이용한 강의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37150B1 (ko) * 2021-07-01 2021-12-10 (주)코아메소드 학생 위치 확인 시스템
CN113727317B (zh) * 2021-08-13 2024-03-26 大匠智联(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识别人群密切聚集活动的方法及系统
KR102606139B1 (ko) * 2021-08-24 2023-11-23 정희용 온라인 교육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818B1 (ko) 2015-03-24 2016-07-2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와이파이 비콘 시그널을 이용한 출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_이제 출석체크도 어플리케이션으로!(https://blog.naver.com/sw_maestro/220508250871, 2015.10.1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38A (ko)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서우에스앤디 비콘을 이용한 학생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324A (ko)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009B1 (ko) 비콘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68943B2 (en) Business metric identification from structured communication
CN104609270B (zh) 一种智能电梯控制系统及方法
KR101340619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기반 출석체크 시스템 및 방법
KR101462722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위치 확인이 가능한 출결 체크 시스템
KR101425345B1 (ko) 와이파이 비콘 프레임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전자 출결 시스템의 인증 방법
Morel et al. A generic information and consent framework for the IoT
KR20140030707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관 좌석 예약 및 운영 시스템
CN103414996A (zh) 特定场所人员定位的方法、服务器及系统
JP2014115936A (ja) 講義支援サーバ、講義支援システム及び講義支援プログラム
CN100369041C (zh) 便携式通信终端和电子邮件发送方法
KR20170076193A (ko) 통학 관리 플랫폼 서버 및 이에 의한 통학 관리 방법
KR20160038542A (ko) IoT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협업 시스템
KR20070074968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출결 관리 시스템
KR20150094921A (ko) Xidstory 앱과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한 출석 체크 방법
KR101944753B1 (ko)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
Banepal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fi based attendance system using raspberry pi
Anumba et al. Case studies of intelligent context-aware services delivery in AEC/FM
KR101972518B1 (ko) 음성신호 기반 스마트 출석 관리 시스템
JP4814125B2 (ja) 対象者移動軌跡把握支援システム
JP2014179697A (ja) 無線端末及び位置管理システム
CN114157988B (zh) 一种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以及介质
KR20190068252A (ko) 이탈자를 판별할 수 있는 스마트 출결 시스템
KR101679302B1 (ko) 학원관리 시스템
KR101686748B1 (ko) 스마트폰 위치 기반 출결 체크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