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959B1 -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 Google Patents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959B1
KR101922959B1 KR1020170160617A KR20170160617A KR101922959B1 KR 101922959 B1 KR101922959 B1 KR 101922959B1 KR 1020170160617 A KR1020170160617 A KR 1020170160617A KR 20170160617 A KR20170160617 A KR 20170160617A KR 101922959 B1 KR101922959 B1 KR 101922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result
representative point
type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훈
한혁
진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Priority to KR102017016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7/3058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두 면 객체간 위상 관계 판별시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 점을 이용하여 두개의 면 객체간 위상을 판별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면 객체에 대한 위상 관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는 면 객체에 대한 다각형 형태의 객체 모델정보를 포함하는 객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소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객체 및, 이들간의 연산 타입을 포함하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서 해당 면 객체에 대한 객체 모델정보를 이용하여 두 면 객체간 요청된 연산처리를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위상관계 연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상관계 연산장치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기 설정된 대표점 연산타입인지를 판단하는 연산타입 판단부와, 대표점 연산타입에 대해 연산대상 면 객체의 객체 모델에서 적어도 둘이상의 방향에 대해 최단에 위치하는 점을 추출하는 대표점 추출부, 대표점 연산타입에 대해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과 질의대상 면 객체간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연산타입에 대응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고, 연산 결과가 항상 동일한 결과로 나타나는 보장된 연산 결과인 경우, 해당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대표점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APPARTUS FOR FAST CALCURATING THE TOPOLOGICAL BETWEEN AREAL FEATURES}
본 발명은 두 면 객체간 위상 관계 판별시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 점을 이용하여 두개의 면 객체간 위상을 판별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면 객체에 대한 위상 관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DBMS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구현되어 다수의 사용자들 또는 프로그램들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처리하고 적절히 응답하여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DBMS는 외부로부터 특정 질의(Query)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질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선택, 삽입, 갱신,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질의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한 어떠한 요구, 즉 데이터에 대한 어떠한 조작을 하기 원하는지를 기술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과 같은 언어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한편, 최근에는 사람, 자동차, 비행기 등과 같은 이동 객체를 다루는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Based Service)이 등장함에 따라 방대한 양의 위치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 객체의 공간 정보 즉, 공간 객체정보는 상기한 DBMS를 이용하여 저장 관리되고, DBMS에서는 사용자 질의에 대응하는 공간 객체간 연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연산 결과를 제공한다.
상기한 공간 객체는 통상 점 객체 자료구조로 저장되고, 서로 다른 객체간의 관계는 객체간의 위상 관계 연산을 통해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대용량 공간 객체간 위상 관계 연산시에는 객체를 구성하는 모든 점에 대한 위상 관계를 연산한다.
그런데, 면(Polygon) 객체의 경우 하나의 객체가 수십 만개 에 달하는 점을 갖는 경우도 종종 있으며, 보통 수백, 수천 개의 많은 점 데이터를 갖는다.
이 많은 점들에 대해 모두 연산을 수행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상당한 고비용 연산이기 때문에, 공간 객체에 대한 행동 변화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연산 결과를 확보할 수는 있으나, 위상 관계 연산에 따른 많은 시간 소비로 인해 공간 데이터 관련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공간 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종 연산 결과를 보장하면서도 연산 회수를 줄일 수 있는 면 객체간 위상 관계 연산 방법이 요구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576127호 (명칭 : 3차원 기하객체의 공간적 위상관계 판별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연산 결과를 보장할 수 있는 연산 타입에 대하여 연산대상에 대한 대표 점을 선별하여 추출하고, 일정 개수의 연산대상 대표점과 질의대상 면객체간의 비교를 통해 해당 연산자에 대한 연산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서로 다른 면 객체간 위상 관계에 대한 연산 결과를 보다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서로 다른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산대상 대표점과 질의대상 면객체간의 비교를 통해 해당 연산자에 대한 연산 결과가 해당 연산자에 대해 결과 보장된 연산결과인 경우에 한하여 최종적인 연산 결과로 인정함으로써, 연산 결과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면 객체에 대한 다각형 형태의 객체 모델정보를 포함하는 객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소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객체 및, 이들간의 연산 타입을 포함하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서 해당 면 객체에 대한 객체 모델정보를 이용하여 두 면 객체간 요청된 연산처리를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위상관계 연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상관계 연산장치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기 설정된 대표점 연산타입인지를 판단하는 연산타입 판단부와, 대표점 연산타입에 대해 연산대상 면 객체의 객체 모델에서 상,하, 좌,우의 각 최단에 위치하는 점을 추출하는 대표점 추출부, 대표점 연산타입에 대해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과 질의대상 면 객체간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연산타입에 대응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고, 연산 결과가 항상 동일한 결과로 나타나는 보장된 연산 결과인 경우, 해당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대표점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대표점 추출부는 연산대상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y 값이 가장 큰 상단 점과, 연산대상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y 값이 가장 하단 점, 연산대상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x 값이 가장 작은 좌단 점 및, 연산대상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x 값이 가장 큰 우단 점을 대표점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산타입 판단부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OVERLAPS, CONTAINS, WITHIN, TOUCHES, INTERSECTS 중 하나에 해당하는 대표점 연산타입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대표점 연산부는 "OVERLAPS"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을 포함(Contain)하면서, 질의대상 면 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이 디스조인트(Disjoint)하는 경우 "TRUE" 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고, "WITHIN"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이 디스조인트(Disjoint)하는 경우 "FALSE"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며, "CONTAINS"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이 인터섹트(Intersect)하는 경우 "FALSE"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고, "TOUCHES"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을 포함(Contain)하는 경우 "FALSE" 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며, "INTERSECTS"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이 인터섹트(Intersect)하는 경우 "TRUE"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위상 관계 연산 장치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대표점 연산타입이 아니거나, 상기 대표점 연산부의 연산 결과가 보장된 결과가 아닌 경우, 질의대상 면 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모든 점에 대해 요청된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점대점 연산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용량의 면 객체에 대한 위상 관계 연산시 특정 연산에 대해서는 선별된 소수의 대표점들을 이용하여 위상 관계 연산을 수행하여 그 연산 결과를 얻게 됨으로써, 공간 데이터 관련 서비스 응용에 빠른 응답시간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대표점을 이용한 연산 결과에 대해서는 해당 연산자에 대해 보장된 연산결과에 대해서만 의미 있는 결과로 판단함으로써, 연산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위상관계 연산장치(100)의 내부구성을 블럭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3은 면 객체의 객체모델 형태에 따른 MINMAX 포인트를 예시한 도면.
도4는 도2에 도시된 위상관계 연산부(130)에서 처리되는 연산 타입별 위상 관계 연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위상관계 연산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객체간 위상 관계 연산 장치는 위상관계 연산장치(100)가 데이터 저장소(200)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외부로부터의 면 객체에 대한 위상관계 요청정보를 근거로 해당 객체정보를 데이터 저장소(200)에서 호출하고, 호출된 객체에 대한 대표 점을 추출하여 추출된 대표점에 대한 위상 관계를 연산한다.
그리고,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대표점에 대한 위상 관계 연산이 결과 보장 연산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한다. 반면, 위상관계 연산장치(200)는 대표점에 대한 위상 관계 연산이 결과 보장 연산이 아닌 경우, 종래와 동일한 방법, 즉 면 객체를 이루는 모든 점에 대한 위상 관계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한다.
즉, 본 발명은 특정 면으로 이루어지는 면 객체에 적용되는 것으로, 면 객체간의 위상 관계 연산시, 연산 종류에 따라 대표점 연산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된 대표점 연산 대상에 대해 각 면 객체에 대한 대표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대표점을 이용하여 면 객체간 위상 관계 연산에 따른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저장소(200)는 공간 객체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내부 엔진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소(200)에 저장되는 공간 객체 정보는 객체에 대한 다각형 형태의 객체 모델, 예컨대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MBR 정보 추출시 얻어진 MBR에 대한 모든 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위상관계 연산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연산타입 판단부(110)와, 대표점 추출부(120), 위상관계 연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위상관계 연산부(130)는 대표점 연산모듈(131)과 점대점 연산모듈(13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연산타입 판단부(1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면 객체에 대한 위상 관계 요청에 대해 연산 타입이 기 설정된 대표점 연산 타입인지를 판단한다. 위상 관계 요청정보는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객체 및, 이들간의 연산 타입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면 객체에 대한 위상 관계 연산자는 OVERLPAS, CROSSES, WITHIN, CONTAINS, DISJOINT, EQUALS, INTERSECTS, TOUCHES 등 8 종류가 있다. 이중 대표점 연산을 통해 위상을 판별할 수 있는 연산자는 OVERLAPS, CONTAINS, WITHIN, TOUCHES, INTERSECTS 의 5가지의 경우로 한정될 수 있으며, 이는 면 객체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다.
대표점 추출부(120)는 위상 관계 요청된 연산대상 면 객체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방향에 대한 MINMAX 포인트를 추출한다. 예컨대,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데이터 중 상/하/좌/우 방향의 최단에 위치하는 최대 4개의 MINMAX 포인트를 대표점으로 추출한다.
도3은 면 객체의 객체모델 형태에 따른 MINMAX 포인트를 예시한 것이다. 면 객체는 도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객체모델의 형상에 따라 최소 2 이상, 최대 4개의 MINMAX 포인트(P1 ~ P4)가 추출될 수 있다.
이러한 MINMAX 포인트 추출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상단 점(P1) :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y 값이 가장 큰 점
② 하단 점(P2) :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y 값이 가장 작은 점
③ 좌단 점(P3) :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x 값이 가장 작은 점
④ 우단 점(P4) :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x 값이 가장 큰 점
위상관계 연산부(130)에서 대표점 연산모듈(131)은 연산타입이 대표점 연산타입인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과 질의대상 면 객체간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연산타입에 대응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고, 연산 결과가 항상 동일한 결과로 나타나는 보장된 연산 결과인 경우, 해당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한다.
도3에는 서로 다른 상단 점(P1)과, 하단 점(P2), 좌단 점(P3), 우단 점(P4) 이 추출되어 4개의 MINMAX 포인트가 추출된 경우와, 상단 점(P1)과 좌단 점(P3)이 동일한 3개의 MINMAX 포인트가 추출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위상관계 연산부(130)에서 점대점 연산모듈(132)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대표점 연산타입이 아니거나, 상기 대표점 연산부의 연산 결과가 보장된 결과가 아닌 경우, 질의대상 면 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모든 점에 대해 요청된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결과를 외부로 반환한다.
도4를 참조하여 대표점 연산모듈(131)에서 처리되는 대표점 연산 타입별 위상 관계 연산 방법을 설명한다. 즉, 대표점 연산타입인 OVERLAPS, CONTAINS, WITHIN, TOUCHES, INTERSECTS 연산자에 대한 연산 조건 및 결과 보장 값에 대해 설명한다.
1. OVERLAPS 연산자
OVERLAPS 은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면 객체의 내부와 외부가 함께 만나는 경우에 "TRUE"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자이다. 이러한 OVERLAPS 연산은 항상 "TRUE" 인 조건만 검출이 가능하다.
즉, OVERLAPS 연산은 질의대상 면객체(Y)가 연산대상면 객체(X)의 MINMAX 포인트 중 한 개 이상을 포함(Contain)하면서, 질의대상 면객체(Y)와 연산대상면 객체(X)의 MINMAX 포인트 중 한 개 이상이 디스조인트(Disjoint)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장된 연산 결과인 "TRUE"를 얻게 된다.
2. WITHIN 연산자
WITHIN 은 도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면 객체가 다른 객체의 내부에 포함되면 "TRUE"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자로서, 이는 CONTAINS 연산과 반대되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WITHIN 연산은 항상 "FALSE" 인 조건만 검출이 가능하다.
즉, WITHIN 연산은 질의대상 면객체(Y)과 연산대상면 객체(X)의 MINMAX 포인트 중 한 개 이상이 디스조인트(Disjoint)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장된 연산 결과인 "FALSE" 를 얻게 된다.
3. CONTAINS 연산자
CONTAINS 연산은 도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면 객체가 다른 면 객체를 내부에 포함하면 "TRUE"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자이다.
이러한 CONTAIN 연산은 항상 "FALSE"인 조건만 검출이 가능하다.
즉, CONTAINS 연산은 질의대상 면 객체(Y)와 연산대상면 객체(X)의 MINMAX 포인트 중 한 개 이상이 인터섹트(Intersects)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장된 연산 결과인 "FALSE"를 얻게 된다.
4. TOUCHES 연산자
TOUCHES 연산은 도4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면 객체의 경계선이 만나면 "TRUE"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자이다.
이러한 TOUCHES 연산은 항상 "FALSE" 인 조건만 검출이 가능하다.
즉, TOUCHES 연산은 질의대상 면 객체(Y)가 연산대상면 객체(X)의 MINMAX 포인트 중 한 개 이상을 포함(Contains)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장된 연산 결과인 "FALSE"를 얻게 된다.
5. INTERSECTS 연산자
INTERSECTS 연산은 두 면 객체가 만나면 "TRUE" 결과를 도출하는 연산자이다. 이에 따라 CONTAINS, WITHIN, OVERLAPS의 연산결과가 "TRUE" 이면, INTERSECTS 연산도 "TRUE" 결과를 갖는다.
이러한 INTERSECTS 연산은 항상 "TRUE" 인 조건만 검출이 가능하다.
즉, INTERSECTS 연산은 연산대상면 객체(X)의 MINMAX 포인트 중 한 개 이상이 질의대상 면 객체(X)와 인터섹트(Intersects)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장된 연산 결과인 "TRUE"를 얻게 된다.
이어, 도5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1에 도시된 위상관계 연산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면 객체에 대한 위상 관계 연산 방법을 설명한다.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외부로부터 면 객체에 대한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가 인가되면(ST10), 요청된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기 설정된 대표점 연산 타입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T20).
여기서, 위상 관계 연산요청정보는 질의대상 면 객체의 식별자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식별자 및, 연산 타입을 포함한다. 그리고, 대표점 연산 타입은 OVERLAPS, CONTAINS, WITHIN, TOUCHES, INTERSECTS 의 5가지 경우로 설정된다.
상기 ST20 단계에서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기 설정된 대표점 연산 타입에 해당하면,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연산대상면 객체에 대한 대표점을 추출한다(ST30).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데이터 저장소(200)에서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대상 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모델정보를 호출하고, 호출된 객체 모델에서 MINMAX 포인트 즉, 대표점을 추출한다.
이어,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과 질의대상 면 객체를 이루는 전체 점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면 객체간 요청된 위상 관계 연산을 수행한다(ST40).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상기 ST40 단계에서 수행된 위상 관계 연산 결과가 해당 대표점 연산 타입에 대해 보장된 연산 결과인지를 판단한다(ST50).
상기 ST50 단계에서 대표점 연산 타입에 대해 보장된 연산 결과가 획득된 경우,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ST50 단계에서 획득된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한다(ST70).
한편, 상기 ST50 단계에서 대표점 연산 타입에 대해 보장된 연산 결과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두 면 객체, 즉 질의대상 면 객체의 모든 점데이터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모든 점데이터에 대한 점대점 비교를 통해 요청된 위상 관계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한다(ST60).
또한, 위상관계 연산장치(100)는 상기 ST20 단계에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위상관계 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대표점 연산타입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두 면 객체의 모든 점대점 비교를 통해 요청된 위상 관계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ST60 단계를 수행한다.
100 : 위상관계 연산장치, 200 : 데이터 저장소,
110 : 연산타입 판단부, 120 : 대표점 추출부,
130 : 위상관계 연산부,
131 : 대표점 연산모듈, 132 : 점대점 연산모듈,
P1,P2,P3,P4 : MINMAX 포인트,
X : 연산대상 면 객체,
Y : 질의대상 면 객체.

Claims (5)

  1. 면 객체에 대한 다각형 형태의 객체 모델정보를 포함하는 객체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소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객체 및, 이들간의 연산 타입을 포함하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서 해당 면 객체에 대한 객체 모델정보를 이용하여 두 면 객체간 요청된 연산처리를 수행하고, 그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위상관계 연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상관계 연산장치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기 설정된 대표점 연산타입인지를 판단하는 연산타입 판단부와,
    대표점 연산타입에 대해 연산대상 면 객체의 객체 모델에서 적어도 둘이상의 방향에 대해 최단에 위치하는 점을 추출하는 대표점 추출부,
    대표점 연산타입에 대해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과 질의대상 면 객체간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해당 연산타입에 대응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고, 연산 결과가 항상 동일한 결과로 나타나는 보장된 연산 결과인 경우, 해당 연산 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대표점 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점 추출부는 연산대상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y 값이 가장 큰 상단 점과, 연산대상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y 값이 가장 하단 점, 연산대상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x 값이 가장 작은 좌단 점 및, 연산대상 면 객체를 구성하는 점 좌표 중 x 값이 가장 큰 우단 점 의 최대 4개 방향에 대한 대표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타입 판단부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OVERLAPS, CONTAINS, WITHIN, TOUCHES, INTERSECTS 중 하나에 해당하는 대표점 연산타입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점 연산부는 "OVERLAPS"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을 포함(Contain)하면서, 질의대상 면 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이 디스조인트(Disjoint)하는 경우 "TRUE" 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고,
    "WITHIN"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이 디스조인트(Disjoint)하는 경우 "FALSE"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며,
    "CONTAINS"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이 인터섹트(Intersect)하는 경우 "FALSE"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고,
    "TOUCHES"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을 포함(Contain)하는 경우 "FALSE" 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며,
    "INTERSECTS" 연산타입에 대해 질의대상 면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대표점 중 한 개 이상이 인터섹트(Intersect)하는 경우 "TRUE"의 보장된 연산 결과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관계 연산 장치는 위상관계 연산요청정보의 연산 타입이 대표점 연산타입이 아니거나, 상기 대표점 연산부의 연산 결과가 보장된 결과가 아닌 경우, 질의대상 면 객체와 연산대상 면 객체의 모든 점에 대해 요청된 연산을 수행하고, 그 연산결과를 외부로 반환하는 점대점 연산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KR1020170160617A 2017-11-28 2017-11-28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KR101922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617A KR101922959B1 (ko) 2017-11-28 2017-11-28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617A KR101922959B1 (ko) 2017-11-28 2017-11-28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959B1 true KR101922959B1 (ko) 2018-11-28

Family

ID=6456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617A KR101922959B1 (ko) 2017-11-28 2017-11-28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9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127B1 (ko) 2004-09-24 2006-05-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기하객체의 공간적 위상관계 판별 방법
KR101169663B1 (ko) 2009-11-17 2012-08-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객체 표현 방법, 3차원 객체 위상 질의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127B1 (ko) 2004-09-24 2006-05-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기하객체의 공간적 위상관계 판별 방법
KR101169663B1 (ko) 2009-11-17 2012-08-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객체 표현 방법, 3차원 객체 위상 질의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8591B2 (en) Spatio-temporal data management system, spatio-temporal data management method,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JP4878178B2 (ja)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US8812272B2 (en) Designing a modeled object within a session of a computer-aided design system interacting with a database
CN110674358B (zh) 企业信息比对分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4893148B2 (ja) 形状簡略化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KR102005343B1 (ko) 분할 공간 기반의 공간 데이터 객체 질의처리장치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CN102193996B (zh) 基于移动设备的可视Web对象搜索引擎方法
WO2016134580A1 (zh) 一种数据查询方法及装置
US20190244114A1 (en) Method of assembling parts of a product
CN110597935A (zh) 一种空间分析方法和装置
CN113886390A (zh) 轨迹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895533B (zh) 一种表单映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60364908A1 (en) Analysis Model Creation Assistance System, Analysis Model Creation Assistance Device and Analysis Model Creation Assistance Program
CN108874873B (zh) 数据查询方法、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KR101922959B1 (ko) 면 객체간 빠른 위상 관계 연산 장치
CN114064707A (zh) 一种用于数据虚拟化服务器的数据查询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7341221B (zh) 索引结构的建立、关联检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2789488A (zh) 数据查询处理系统和数据查询处理方法
CN113449052A (zh) 空间索引的建立方法、空间区域查询方法及装置
US11176283B2 (en) Analysis model creation assistance device and analysis model creation assistance method
CN116595044A (zh) 数据库选择率计算的优化方法、存储介质与设备
KR101516631B1 (ko) 모바일 환경의 공간 스카이라인을 위한 가시권 이웃 질의 방법
KR20200080994A (ko) 면 객체와 선 객체간의 빠른 위상 관계 연산 방법
Siqueira et al. Benchmarking spatial data warehouses
CN113821514A (zh) 数据拆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