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655B1 -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655B1
KR101922655B1 KR1020160175490A KR20160175490A KR101922655B1 KR 101922655 B1 KR101922655 B1 KR 101922655B1 KR 1020160175490 A KR1020160175490 A KR 1020160175490A KR 20160175490 A KR20160175490 A KR 20160175490A KR 101922655 B1 KR101922655 B1 KR 10192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ens
hemispherical
mold
plana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188A (ko
Inventor
차두환
김혜정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닉스
Priority to KR102016017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65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03B11/08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에 있어서, 유효경과 렌즈 외경을 포함하며, 광학렌즈는, 광학적 특성을 가진 제1면과 광학적 특성을 가진 제2면이 서로 이격 되어 마주 보면서 배치되고, 제1면의 외주부와 제2면의 외주부는 측면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유효경은, 서로 마주 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1면의 반구형 부분과 제2면의 반구형 부분으로 구성되고,
렌즈 외경은 제1면과 제2면 중에서 상기 유효경을 구성하지 않는 부분으로서 유효경을 둘러싸며, 제2면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돌출된 입체 패턴들이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광학렌즈가 개시된다.
이로써, 광학렌즈 성형 시 렌즈소재와 금형 사이에 고립된 분위기 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The optical lens and mold having pattern and stepped structure}
본 발명은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렌즈 성형 시 유리 소재를 고온으로 가열한 후 금형으로 압축하여 렌즈를 성형하는 압축성형 공정이 이용되며, 압축성형 시 렌즈소재와 금형 사이에 고립된 분위기 가스의 외부 배출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가 미성형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고, 성형된 렌즈를 광기구물에 조립 시 공기 유동이 원활하지 못해 조립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학렌즈와 광기구물을 조립하여 모듈화할 때에는 외부로부터 미세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이 렌즈모듈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광기구물과 렌즈 사이에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링)를 부착하는데, 렌즈 외경의 곡률로 인하여 탄성부재가 렌즈 외경에 고정되지 않고 미끄러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광기구물에 광학렌즈를 안정적으로 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렌즈성형 금형에는, 성형 상하부 금형이 형합 할 때, 광학렌즈용 유리재료(성형액)에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저항력이 없으므로, 광학렌즈 제조용 상하부 금형의 형합 시 넘치는 유리재료의 양이 많아서 렌즈 성형 및 성형 후처리 과정에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성형 된 렌즈를 카메라에 조립 시 렌즈와 광기구물 사이에 공기유동이 원활하여 조립이 용이한 광학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 성형 시 렌즈소재와 금형 사이에 고립된 분위기 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와 광기구물을 조립하여 모듈화할 때 렌즈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링)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 제조용 상하부 금형의 형합 시 넘치는 유리재료에 수직방향의 저항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렌즈 성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에 있어서,
유효경과 렌즈 외경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렌즈는, 광학적 특성을 가진 제1면과 광학적 특성을 가진 제2면이 서로 이격 되어 마주 보면서 배치되고, 제1면의 외주부와 제2면의 외주부는 측면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면과 제2면은 각각 반구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면의 반구형 부분과 상기 제2면의 반구형 부분은 서로 마주 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면의 반구형 부분은 상기 제1면의 중앙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의 반구형 부분은 상기 제2면의 중앙점을 포함하며, 상기 유효경은, 상기 서로 마주 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1면의 반구형 부분과 상기 제2면의 반구형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 외경은 상기 제1면과 제2면 중에서 상기 유효경을 구성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유효경을 둘러싸며, 상기 제2면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돌출된 입체 패턴들이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광학렌즈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광학렌즈용 유리재료가 수용되는 상면, 하면, 및 측면부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하부 금형; 을 포함하며, 상면, 하면, 및 측면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상면은 상기 광학렌즈용 유리재료의 반구형 부분의 형성을 위한 반구형 영역, 상기 반구형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반구형 영역을 둘러싸는 제1 평면 영역, 상기 제1 평면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평면 영역을 둘러싸는 제2 평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평면 영역에는 광학렌즈에 입체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패턴 홈들이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광학렌즈의 제용 금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의 유효경 외주부에 돌출된 입체 패턴들이 형성되어, 성형 된 렌즈를 모듈화할 때 렌즈와 광기구물 사이에 공기유동이 원활하여 조립이 용이한 광학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의 유효경 외주부에 돌출된 입체 패턴들이 형성되어 광학렌즈 성형 시 렌즈소재와 금형 사이에 고립된 분위기 가스의 배출이 용이한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의 측면부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광학렌즈를 광기구물에 조립할 때 렌즈의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링)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써 광학렌즈 제조용 상하부 금형의 형합 시 넘치는 유리재료에 수직방향의 저항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렌즈 성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도 2(b)의 광학렌즈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2(b)는 광학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광학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3(a)의 금형을 이용하여 광학렌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부(위)', '하부(아래)', '좌측’, '우측’, '전면', '후면' 등의 표현은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때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상대적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해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도 2(b)의 광학렌즈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2(b)는 광학렌즈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광학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광학렌즈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 100, 200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실시 예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한 특징들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같이 설명하기로 하고, 도 2는 도 1과 다른 특징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100)는, 유효경(V1)과 외경을 포함하며,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제1면과 광학적 특성을 가진 제2면이 서로 이격 되어 마주 보면서 배치되고, 제1면의 외주부와 제2면의 외주부는 측면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효경(V1, V11)은 서로 마주 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제1면의 반구형 부분(10, 210)과 제2면의 반구형 부분(20, 220)으로 구성되고, 렌즈 외경은 제1면과 제2면 중에서 유효경(V1, V11)을 구성하지 않는 부분으로서 유효경(V1, V1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면과 제2면은 각각 반구형 부분을 포함하고, 제1면의 반구형 부분(10, 210)과 제2면의 반구형 부분(20, 220)은 서로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면의 반구형 부분(10, 210)은 제1면의 중앙점(C)을 포함하고, 제2면의 반구형 부분(20, 220)은 제2면의 중앙점(C’)을 포함한다. 즉, 제1면의 반구형 부분(10, 210)과 제2면의 반구형 부분(20, 220)은 중앙부분이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의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면은 제1면의 반구형 부분(10, 210)과 연결되어 제1면의 반구형 부분(10, 210)을 둘러싸는 제1 평면 부분(11, 211)을 더 포함하고, 제2면은 제2면의 반구형 부분(20, 220)과 연결되어 제2면의 반구형 부분(20, 220)을 둘러싸는 제2 평면 부분(21, 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측면부는 제1 평면 부분(11, 211)의 외주부로부터 제2면(21, 221)과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L1, L11), 제1연장부(L1, L11)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L3, L13, L14), 제2연장부(L3, L13, L14)로부터 제2 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제3방향으로 전환되어 제2 평면 부분(21, 121)까지 연장되는 제3연장부(L5, L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은 제2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제2방향은 제1 평면(11)과 평행한 방향이고, 제3방향은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즉, 측면부를 구성하는 제1연장부(L1)와 제2연장부(L2)가 직각을 이루고, 제2연장부(L3)와 제3연장부(L5)가 직각을 이룸으로써 계단식의 단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1은 광학렌즈(100, 200)가 리테이너 및 베럴과 조립된 부분이며, A2는 베럴과 광학렌즈(100, 200)가 조립된 부분이다.
A1 부분을 참조하면, 광학렌즈(100, 200)의 측면부에 계단식의 단차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단차 부분(L3, L13, L5, L15)에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링)를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기구물과 광학렌즈(100, 20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으며, 또한 광기구물과 광학렌즈(100, 200) 사이 공간에 이물질의 침투 방지 및 외부충격 흡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A2 부분을 참조하면, 광학렌즈(100, 200)의 측면부에 계단식의 단차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광학렌즈(100, 200)를 광기구물(예를 들면, 베럴)에 더욱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은 제2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제2방향은 제1 평면(211)과 평행한 방향 및 제1 평면(211)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제3방향은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측면부는, 제2면에 수직인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L11), 제1연장부(L11)로부터 제1 평면(21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L13), L13로부터 제1 평면(211)에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L14) 및 L14로부터 제1방향과 동일한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부(L15)로 구성되는 단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와 광기구물을 조립하여 모듈화 할 때 사용하는 탄성부재(예를 들면, 고무링)가 L14 부분에 더욱 밀착되어 탄성부재의 부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제2면의 외주부에는 복수의 돌출된 입체 패턴(P1, P2, P11, P12)들이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된 입체 패턴(P1, P2, P11, P12)들은 예를 들면, 제2면에 포함되는 제2 평면 부분(21, 121)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a) 및 도 2의 (c)를 참조하여 입체 패턴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의 (a) 및 도 2의 (c)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돌출된 입체 패턴(P11, P12)들은 제2 평면 부분(221)에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a) 및 도 2의 (c)에는 입체 패턴이 8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입체 패턴들은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입체 패턴들은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a) 및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입체 패턴들이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복수 개의 입체 패턴들은 동일하지 않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비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의 (a) 및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입체 패턴들은 유효경의 중심(O)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입체 패턴들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입체 패턴들의 형상은, 도 2의 (a) 및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복수 개의 입체 패턴들의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들 형상들을 혼합한 형태(예를 들면, 사각형과 삼각형의 반복 형상)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면의 외주부에 복수의 돌출된 입체 패턴(P1, P2, P11, P12)들이 형성됨으로써 광학렌즈(100, 200)를 광기구물(예를 들면, 베럴)과 조립할 때, 광학렌즈(100, 200)와 광기구물 사이의 에어(air)가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렌즈(100, 200)와 광기구물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은, 광학렌즈용 유리재료가 수용되는 상면, 하면, 및 측면부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하부 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 하면 및 측면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면은 광학렌즈용 유리재료의 반구형 부분의 형성을 위한 반구형 영역, 반구형 영역과 연결되어 반구형 영역을 둘러싸는 제1 평면 영역, 제1 평면 영역과 연결되어 제1 평면 영역을 둘러싸는 제2 평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평면 영역에는 광학렌즈에 입체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패턴 홈들이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금형을 이용하여 광학렌즈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은 광학렌즈용 유리재료(300)가 수용되는 상면, 하면, 및 측면부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하부 금형(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면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영역(410), 반구형 영역(410)을 둘러싸는 제1 평면 영역(411), 제1 평면 영역(411)과 연결되어 제1 평면 영역(411)을 둘러싸는 제2 평면 영역(415), 제1 평면 영역(411)과 제2 평면 영역(415)을 연결하는 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 영역은 제1 측면 영역(413)과 제2 측면 영역(2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면은, 반구형 영역(210), 반구형 영역(210)을 둘러싸는 제1 평면 영역(411), 제1 평면 영역(411)과 연결되어 제1 평면 영역(411)을 둘러싸는 제2 평면 영역(415) 및 제1 평면 영역(411)과 제2 평면 영역(415)를 연결하는 측면 영역(413)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은 하부 금형(400)에 수용되는 광학렌즈용 유리재료(300)를 압착하기 위한 상부 금형(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금형(5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510) 및 하면(53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면(530)에는 광학렌즈용 유리재료(300)에 반구형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반구형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 금형(400)은, 하면(430)으로부터 제1 평면 영역(411)까지의 제1높이(H1)와 하면(430)으로부터 제2 평면 영역(415)까지의 제2높이(H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높이(H2)가 제1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높이(H2)가 제1높이(H1)보다 형성됨으로써 광학렌즈용 렌즈재료(300)가 상부 금형(500)에 의해 하부 금형(400)에 압착되는 경우, 성형 후 광학렌즈(200)에 단차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를 따르면 제1 평면 영역(411)에는 광학렌즈용 유리재료(300)에 입체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패턴 홈(H1)들이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패턴 홈(H1)이 8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패턴 홈들은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패턴 홈들은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패턴 홈들이 동일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복수 개의 패턴 홈들은 동일하지 않은 간격을 사이에 두고 비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패턴 홈들은 하부 금형(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패턴 홈들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패턴 홈들의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복수 개의 패턴 홈들의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이들 형상들을 혼합한 형태(예를 들면, 사각형과 삼각형의 반복 형상)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광학렌즈
300: 광학렌즈용 유리재료
400: 하부 금형
500: 상부 금형

Claims (14)

  1. 광학렌즈에 있어서,
    유효경과 렌즈 외경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렌즈는, 광학적 특성을 가진 제1면과 광학적 특성을 가진 제2면이 서로 이격 되어 마주 보면서 배치되고, 제1면의 외주부와 제2면의 외주부는 측면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제1면과 제2면은 각각 반구형 부분을 포함하고, 제1면의 반구형 부분과 제2면의 반구형 부분은 서로 마주 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1면의 반구형 부분은 제1면의 중앙점을 포함하고, 제2면의 반구형 부분은 제2면의 중앙점을 포함하며,
    제1면은 상기 반구형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제1면의 반구형 부분을 둘러싸는 제1 평면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2면은 상기 제2면의 반구형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반구형 부분을 둘러싸는 제2 평면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경은, 상기 서로 마주 보면서 평행하게 배치된 상기 제1면의 반구형 부분과 제2면의 반구형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렌즈 외경은 제1면과 제2면 중에서 상기 유효경을 구성하지 않는 부분으로서 상기 유효경을 둘러싸며,
    제2면의 평면 부분에는 복수의 돌출된 입체 패턴들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광학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제1 평면 부분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제2면과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제1연장부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 제2연장부로부터 제2 방향과는 다른 방향인 제3방향으로 전환되어 제2 평면 부분까지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인, 광학렌즈.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제1방향은 상기 제2면에 수직인 방향이고, 제2방향은 제 1평면과 평행한 방향이고, 제3방향은 제1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것인, 광학렌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들은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학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들은 상기 유효경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학렌즈.
  7.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패턴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광학렌즈.
  8.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광학렌즈용 유리재료가 수용되는 상면, 하면, 및 측면부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하부 금형; 을 포함하며,
    상면, 하면, 및 측면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상면은 상기 광학렌즈용 유리재료의 반구형 부분의 형성을 위한 반구형 영역, 상기 반구형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반구형 영역을 둘러싸는 제1 평면 영역, 상기 제1 평면 영역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평면 영역을 둘러싸는 제2 평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평면 영역에는 광학렌즈용 유리재료에 입체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패턴 홈들이 서로 이격 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에 수용되는 상기 광학렌즈용 유리재료를 압착하기 위한 상부 금형; 을 더 포함하는 것인,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으로부터 제1 평면 영역까지의 제1높이와 상기 하면으로부터 제2 평면 영역까지의 제2높이는 서로 다른 것인,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높이가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것인,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홈들은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홈들은 상기 반구형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홈들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광학렌즈의 제조용 금형.
KR1020160175490A 2016-12-21 2016-12-21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 KR101922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490A KR101922655B1 (ko) 2016-12-21 2016-12-21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490A KR101922655B1 (ko) 2016-12-21 2016-12-21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188A KR20180072188A (ko) 2018-06-29
KR101922655B1 true KR101922655B1 (ko) 2018-11-27

Family

ID=6278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490A KR101922655B1 (ko) 2016-12-21 2016-12-21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6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2939A (ja) * 2013-03-19 2014-09-29 Stanley Electric Co Ltd 光学レンズ
US20150146303A1 (en) * 2013-11-28 2015-05-28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Optical Lens, Mold Set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Le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2939A (ja) * 2013-03-19 2014-09-29 Stanley Electric Co Ltd 光学レンズ
US20150146303A1 (en) * 2013-11-28 2015-05-28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Optical Lens, Mold Set for Manufacturing the Optical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188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526B1 (ko) 렌즈 모듈
US8228610B2 (en) Lens injection mold
US20160349414A1 (en) Stacks of arrays of beam shaping elements including stacking, self-alignment and/or self-centering features
CN102687051B (zh) 摄像透镜单元
US8319885B2 (en) Detachable camera module
JP6459983B2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101740775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CN102062923A (zh) 镜头模组
JP2007101878A (ja) レンズ構造体
KR101922655B1 (ko) 입체패턴 및 단차구조를 가지는 광학렌즈 및 광학렌즈 제조용 금형
CN106896463B (zh) 用于车载光学成像系统的光学镜头
CN101451888B (zh) 树脂成型光学透镜
CN202691900U (zh) 透镜和包括该透镜的照明装置
US20180239104A1 (en) Optical lens,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lens barrel
US9519112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7869137B2 (en) ABBE prism lens with improved focus and reduced flair
US20120105987A1 (en) Auto-focus lens module
KR101444622B1 (ko) 렌즈 모듈
US10732406B2 (en) Lens structure formed by materials in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US20130084353A1 (en) Stamp for molding lenses
JP6820978B2 (ja) レンズ及び当該レンズを含むレンズモジュール
JP2006309121A5 (ko)
CN211826658U (zh) 光学镜头及其一体式密封件
JP5726504B2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バーコードスキャナ
KR20200129105A (ko) 스페이스 링, 렌즈 시스템, 스페이스 링의 제조 방법 및 렌즈 시스템의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