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543B1 - 말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말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543B1
KR101922543B1 KR1020140168005A KR20140168005A KR101922543B1 KR 101922543 B1 KR101922543 B1 KR 101922543B1 KR 1020140168005 A KR1020140168005 A KR 1020140168005A KR 20140168005 A KR20140168005 A KR 20140168005A KR 101922543 B1 KR101922543 B1 KR 10192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aleic acid
diameter
a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420A (ko
Inventor
유재원
빈성아
정인근
김세현
신송석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6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543B1/ko
Priority to CN201510608641.XA priority patent/CN105640790B/zh
Publication of KR2016006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Abstract

발명은 말레산(ma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 내부에 들어가 모발 직경을 증가시켜 모발을 두껍게 함으로써 모발 볼륨을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말레산(ma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모발의 직경의 증가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on

말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aleic acid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말레산(ma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 내부에 들어가 모발 직경을 증가시켜 모발을 두껍게 함으로써 모발 볼륨을 증진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쉽게 영향을 받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외선, 차고 건조한 바람, 실내 난방 및 무리한 빗질, 스트레스, 영양부족, 수면부족 또는 과다한 염색 등의 요인으로 인해 모발의 노화가 훨씬 앞당겨질 수도 있으며 또는 늦춰질 수도 있다. 일단 노화된 모발은 자기 회복 능력이 없기 때문에 평소에 세심하게 관리해 줄 필요가 있다.
현대 사회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다. 남성 뿐만 아니라 여성의 모발 노화 요인에 있어 스트레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사회적인 중압감은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모발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 현대인들이 모발 또한 하나의 패션으로 인식하면서 스타일링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여 스타일링 관련 제품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헤어 드라이어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모발의 노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상기 요인으로 인한 모발의 노화로 인해 모발의 탈락이 증가하고 모발이 가늘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모발의 탈락 증가와 모발 가늘어짐에 따라 풍성한 모발 볼륨감에 대한 니즈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풍성한 모발 볼륨감에 대한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탈모방지제 또는 육모제 등을 사용하여 모발의 탈락 감소와 함께 모발의 가늘어짐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현재 모발의 가늘어짐을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주로 고분자를 활용하여 모발 외부를 코팅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늘어진 모발의 경우 모발 내부의 강도가 많이 저하되어 있어서 모발 외부 코팅만으로 효과적인 모발 볼륨감 증진을 구현하기 어렵고 그 효과를 오래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모발 내부에 흡수되어 모발의 가늘어짐을 해결하는 화합물에 대해 보고된 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하기 화학식 I 내지 화학식 III과 같이 잠재적인 아민기를 보유하고 있어 적용에 제한적인 점이 있다. 필요한 경우 산으로 중화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산으로 중화하였을 때 효과가 유지되지 못 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화학식 I] (3-aminopropyl)triethoxysilane
Figure 112014115573494-pat00001

[화학식 II] caffeine
Figure 112014115573494-pat00002

[화학식 III] niacinamide
Figure 112014115573494-pat00003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010468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38423호 및 등록특허공보 0459636에는 말레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형성하여 모발 또는 피부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분자 형태로 이용된 경우가 많다. 한편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3-309190호에는 모발 스타일링을 위해 말레산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폴리아민, 중화제 등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아민을 사용할 경우 중화제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고분자가 사용되는 경우 모발 내에 침투되는 성질은 거의 없어 장시간 스타일링 효과는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고분자의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모발 내부로 직접 흡수되어 들어갈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형태의 전달을 통해 모발 직경의 증가 효과를 얻는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59564호, 제2011-0079825호, 제2003- 0003970호에는 말레산이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었으나 손상된 모발의 들뜬 큐티클층을 정돈하여 모발의 표면 상태를 부드럽게 하거나 모발 스트레이닝을 하기 위한 목적에 국한된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저분자 단일화합물에 해당하는 말레산(ma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단일 화합물의 모발 내 빠른 침투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모발의 직경의 증가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키고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말레산(ma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모발 직경의 증가 유도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레산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헤어 로션, 헤어 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 세럼, 헤어 에센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크림, 스타일링제, 헤어 컬러링제, 헤어 블리치제 또는 헤어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기포제, 세정제, 컨디셔닝제, pH 조절제, 펄화제, 방부제, 향료 및 점도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내부로 흡수되어 모발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말레산(ma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모발의 직경의 증가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모발의 볼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은 모발 직경 측정을 위하여 사용된 모발 트레스이다.
본 발명은 말레산(ma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말레산(maleic acid)은 시스-부텐디산이라고도 하며, 불포화 유기이염기산으로 HOOCCH=CHCOOH의 구조식을 갖는다. 적층주형용 강화섬유나 페인트 전색제, 푸마르산 및 많은 화학약품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말레산과 말레산의 무수물은 공업적으로 벤젠을 촉매 존재하에서 산화시켜 제조된다. 말레산은 글리콜과 반응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생성하는 원료 물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탈수반응을 통해 무수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말레산의 기하이성질체인 푸마르산(fumaric acid) 즉 트랜스-부텐디산은 서양현호색(Fumaria officinalis)과 다양한 진균류 및 아이슬란드 이끼에서 발견된다. 말레산과 같이 폴리에스테르 제조 등에 사용되는 출발물질로 알려져 있고, 식품의 산미료로도 사용된다. 푸마르산은 말레산의 이성질화 반응 또는 당밀을 발효하여 얻을 수 있으며 무수물을 형성할 수는 없다. 그러나, 말레산에 비하여 물이나 대부분의 다른 용매에 훨씬 적은 양이 용해되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모발 직경의 증가 유도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레산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내부로 흡수되어 모발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함량이 적어 목적하는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으며, 1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제형화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말레산(maleic acid)과 함께 (3-Aminopropyl)triethoxysilane, 카페인(caffeine), niacinamide, 숙신산(succi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말레암산(maleamic acid) 및 말레이미드(malei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얻은 결과로부터, 상기 화합물 중 말레산만을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한 경우,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이 말레산을 제외한 나머지 화합물만을 포함한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말레산에 상기와 같이 말레산과 다른 화합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한 결과, 말레산만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모발 직경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부터, 말레산과 나머지 화합물의 혼합을 통해 단일 화합물로 구성된 조성물로부터 얻을 수 없었던 예측하지 못한 현저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헤어 로션, 헤어 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 세럼, 헤어 에센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크림, 스타일링제, 헤어 컬러링제, 헤어 블리치제 또는 헤어무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샴푸 또는 컨디셔너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기포제, 세정제, 컨디셔닝제, pH 조절제, 펄화제, 방부제, 향료 및 점도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내부로 흡수되어 모발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기포제, 세정제, 컨디셔닝제, pH조절제, 펄화제, 방부제, 향료 및 점도 조절제와 함께 항생제, 결합제, 붕해제, 희석제, 활택제, 안정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 및 세정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쯔비터(zwitter) 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설페이트계, 알킬 설포네이트계, 알킬 카르복실레이트계,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계, 알킬 이세티오네이트계, 알킬 타우레이트계, 알킬 설포숙시네이트계, 알킬 설포아세테이트, 알킬 포스페이트계, 음이온성 아미노산 유도체, 음이온성 폴리펩티드 유도체, 알킬 폴리글루코시드의 음이온성 유도체, 지방산 비누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알킬 설페이트계로는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ALS), 암모늄라우릴에틸설페이트(Ammonium Laurylethyl sulfate, ALES),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 및 소듐 라우릴에틸설페이트술페이트(Sodium Laurylethyl Sulfate; SLES)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쯔비터 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C8-C20)알킬베타인, N-(C8-C20)알킬아미도베타인 및 이의 유도체, 글리신 유도체, 술타인 및 이의 유도체, (C8-C20)알킬 폴리아미노카르복실레이트, (C8-C20)알킬 암포아세테이트, 소듐 라우로암모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민-옥사이드,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옥시드)와 폴리(프로필렌 옥시드)의 블록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시드)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옥시알킬렌화 알코올, 폴리(에틸렌 옥시드)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소르비탄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소르비탄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알킬 및 폴리알킬 글리코시드 또는 폴리글리코시드, 수크로오스의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글리세롤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스테르, 글리세롤이 폴리옥시에틸렌화된 알킬 및 폴리알킬 에테르, 제미니 계면활성제, 알킬 알코올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컨디셔닝제로는 디메치콘 베이스, 수소화된 폴리데센 및 양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H 조절제로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황산, 염산, 인산, 아세트산, 젖산,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 공지의 pH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펄화제로는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글라이콜모노스테아레이트, 지방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점도 조절제로는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 MEA, 코카마이드 DEA,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함유 가능한 성분 중 보습제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증제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및 이의 유도체, 구아검 및 이의 유도체, 아카시아검 및 이의 유도체, 아라비아검 및 이의 유도체, 카보폴 및 이의 유도체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색소는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기제들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컨디셔너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통상적인 컨디셔너 성분들로서 양이온계면활성제인 3급 아미도아민과 4급 암모늄화합물, 고융점화합물, 실리콘 화합물과 임의 성분으로서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절제, pH조절제 및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손상 방지용 컨디셔너에서 양이온계면활성제인 4급 암모늄화합물은 알킬(C14-C22)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C14-C22)이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소화 탈로우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탈로우 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3급 아미도아민은 예를 들면 코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베헤니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올레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및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아민류는 L-글루탐산, 락트산, 염산, 말산, 숙신산, 아세트산, 푸마르산, 시트르산 및 EDTA 등의 산으로 중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융점화합물로는 지방알코올계, 지방산계, 지방알코올 유도체, 탄화수소계 등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컨디셔너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폴리알킬실록산계, 폴리아릴실록산계, 폴리알킬아릴실록산계,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과 사이클로폴리실록산, 적당한 알킬 아미노 치환 화합물 및 아모디메티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컨디셔너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임의 성분으로는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절제, pH 조절제 및 향료와 함께 항생제, 결합제, 붕해제, 희석제, 활택제, 안정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헤어 로션, 헤어 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 세럼, 헤어 에센스, 린스, 헤어크림, 스타일링제, 헤어 컬러링제, 헤어 블리치제 또는 헤어무스의 형태로 제형화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발에 상기 조성물을 처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주성분물질'은 모발 직경 증진용 조성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말레산을 포함하여 하기 표 1에 기술된 화합물을 지칭하기 위한 뜻으로 사용된다.
[실험예 1] 모발 잔존율 측정
도 1의 모발 트레스(피닉스코리아, 대한민국)를 일반 샴푸로 충분히 세척한 후 어두운 곳에서 건조한 후 전자저울(AG204; Mettler Toledo)로 질량을 3회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주성분물질 1 g을 증류수 100 g에 녹인 후 상기 건조한 모발 트레스를 30 분씩 담가 처리하였다. 모발 트레스를 꺼내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질량을 3회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I로부터 모발 잔존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I]
모발 잔존율(%) = {(M-M0)/M0} * 100(%)
M: 주성분물질 처리 후의 모발 트레스의 질량
M0: 주성분물질 처리 전의 모발 트레스의 질량.
[실험예 2] 모발 직경 측정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용한 동일한 모발 트레스를 일반 샴푸로 충분히 세척한 후 어두운 곳에서 건조한 후 10 가닥의 모발 가닥에 대해 전자현미경(Eclipse 80i, Nikon)으로 평균 직경을 측정하였다. 상기 모발 트레스에서 모발 가닥을 10 가닥 취하여 눈금이 표시된 슬라이드 글라스에 고정하였다.
주성분물질 1 g을 증류수 100 g에 녹인 후, 상기와 같이 고정한 모발 가닥을 30 분씩 담가 처리하고 샴푸로 5회 세척한 후 건조하였다. 이후, 모발 가닥에 30분씩 담가 처리한 후 건조하기까지의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10회 처리되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모발 가닥의 평균 직경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II로부터 모발 직경 증가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II]
모발 직경 증가율(%) = {(D-D0)/D0} * 100(%)
D: 주성분물질 처리 후의 모발의 직경
D0: 주성분물질 처리 전의 모발의 직경.
[실험예 3] 모발 직경 측정 2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용한 동일한 모발 트레스를 일반 샴푸로 충분히 세척한 후 어두운 곳에서 건조한 후 10 가닥의 모발 가닥에 대해 전자현미경(Eclipse 80i, Nikon)으로 평균 직경을 측정하였다. 상기 모발 트레스에서 모발 가닥을 10 가닥 취하여 눈금이 표시된 슬라이드 글라스에 고정하였다.
1차 주성분물질 0.5 g을 증류수 100 g에 녹인 후, 상기와 같이 고정한 모발 가닥을 30 분씩 담가 처리하고 샴푸로 5회 세척한 후 건조하였다. 이후, 모발 가닥에 30분씩 담가 처리한 후 건조하기까지의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10회 처리되도록 하였다.
이후, 2차 주성분물질 0.5 g을 증류수 100 g에 녹인 후, 상기 1차 주성분 물질 처리된 모발 가닥에 30분씩 담가 처리한 후 건조하기까지의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10회 처리되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모발 가닥의 평균 직경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학식 II로부터 모발 직경 증가율을 구하였다.
[실시예 1]
주성분물질을 말레산(maleic acid)으로 하여 상기 실험예 1과 실험예 2의 방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성분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증류수만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성분물질을 상기 화학식 I의 (3-Aminopropyl triethoxysilane)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성분물질을 상기 화학식 II의 카페인(caffeine)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성분물질을 상기 화학식 III의 niacinamid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성분물질을 말레산에서 이중결합이 없는 형태인 숙신산(succinic acid)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성분물질을 말레산의 이중결합이 시스(cis)에서 트랜스(trans)로 바뀐 푸마르산(fumaric acid)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성분물질을 말레산의 1개의 카르복실기가 아미드기로 바뀐 말레암산(maleamic acid)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주성분물질을 말레산의 2개의 카르복실기가 아미드기로 바뀐 말레이미드(maleimid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과 모발 직경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8의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도시하였다.
[표 1]
(질량 : g)
Figure 112014115573494-pat00004

[표 2]
(직경: μm)
Figure 112014115573494-pat00005

상기 표 1 및 표 2의 결과를 통해 본원 발명의 말레산을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한 결과, 모발에서의 잔존율(%)와 모발 직경 증가율(%)이 각각 5.2%와 4.85%로서, 대조군에 비하여 잔존율은 최대 53%, 직경 증가율은 최대 10배 이상 증가함으로써 월등히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모발 외부 코팅 후 모발 내부에 흡수되어 모발의 가늘어짐을 해결하는 화합물로 사용되어 온 아민기를 가진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4의 주성분물질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와 비교할 때에도 모발에서의 잔존율(%)은 상기 비교예 2 대비 약 20%까지 증가하였으며, 모발 직경 증가율은 상기 비교예 4 대비 약 10배 이상 증가하였고, 놀랍게도 상기 비교예 2 대비 약 47%가 증가하여 종래에 널리 사용된 주성분물질과 대비해서도 현저한 모발 직경 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의 말레산 유사 화합물과 비교하여 월등히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부터 말레산의 모발 직경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말레산의 독특한 구조적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2]
1차 주성분물질을 상기 화학식 I의 (3-Aminopropyl triethoxysilane), 2차 주성분물질을 말레산(maleic acid)로 하여 상기 실험예 1과 실험예 3의 방법으로 모발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2에서 2차 주성분물질을 상기 화학식 I의 (3-Aminopropyl triethoxysilane)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 2에서 2차 주성분물질을 상기 화학식 II의 카페인(caffeine)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1]
상기 실시예 2에서 2차 주성분물질을 상기 화학식 III의 niacinamide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2]
상기 실시예 2에서 2차 주성분물질을 숙신산(succinic acid)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3]
상기 실시예 2에서 2차 주성분물질을 푸마르산(fumaric acid)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한 과정으로 모발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9 내지 비교예 13의 결과를 표 3에 도시하였다.
[표 3]
(질량 : g)
Figure 112014115573494-pat00006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해 상기 화학식 I의 (3-Aminopropyl triethoxysilane)등 같이 기존의 모발 직경을 증가시키는 화합물과 본원 발명의 말레산을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모발에 처리한 결과, 모발에서의 잔존율(%)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에서는 말레산이 상기 화학식 I의 (3-Aminopropyl triethoxysilane)과 시너지 효과를 보였으나 그 시너지 효과가 (3-Aminopropyl triethoxysilane)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샴푸
하기 기재된 구성성분 및 함량으로 모발용 샴푸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말레산 5.0 g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1.0 g
폴리비닐알코올 0.05 g
세틸알코올 1.0 g
라우릴산글리세린 0.05 g
향 0.5 g
안식향산나트륨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2] 헤어 컨디셔너
하기 기재된 구성성분 및 함량으로 모발용 헤어 컨디셔너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말레산 3.0 g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0 g
폴리비닐알코올 0.05 g
세틸알코올 1.0 g
라우릴산글리세린 0.05 g
향 1.0 g
안식향산나트륨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3] 헤어 무스
하기 기재된 구성성분 및 함량으로 모발용 헤어 무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말레산 8.0 g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0 g
폴리비닐알코올 0.05 g
세틸알코올 1.0 g
라우릴산글리세린 0.05 g
향 1.0 g
안식향산나트륨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4] 헤어 로션
하기 기재된 구성성분 및 함량으로 모발용 헤어 무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말레산 6.0 g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1.0 g
폴리비닐알코올 0.05 g
세틸알코올 1.0 g
라우릴산글리세린 0.05 g
향 1.0 g
안식향산나트륨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5] 헤어 토닉
말레산 5.0 g
에탄올 60.0 g
피마자유 5.0 g
글리세린 3.0 g
로가닌 0.1 g
향료, 색소적량
정제수 잔량 (to 100g)
[제형예 6] 모발 영양화장수
말레산 5.0 g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0 g
폴리비닐알코올 0.05 g
세틸알코올 1.0 g
라우릴산글리세린 0.05 g
향 1.0 g
안식향산나트륨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7] 헤어 세럼
말레산 10.0 g
유동 파라핀 30.0 g
폴리에틸렌글리콜 1.0 g
로가닌 0.2 g
향료, 색소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8] 헤어 에센스
말레산 5.0 g
스쿠알란 3.5 g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1.0 g
폴리글리세릴-2 디스테아레이트 0.5 g
피이지-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g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6 g
글리세린 20.0 g
1,3부틸렌글리콜 20.0 g
디프로필렌글리콜 4.5 g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0.07 g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08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9] 린스
말레산 5.0 g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5.0 g
폴리디메틸실록산, a-부틸디메틸실록시-w-(d-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 0.1 g
아크릴산 0.7 g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15.0 g
이소파라핀 하이드로카본 50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10] 헤어크림
말레산 5.0 g
유동 파라핀 40.0 g
폴리에틸렌글리콜 1.0 g
트윈 200.1
로가닌 0.2 g
향료, 색소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11] 스타일링제
말레산 10.0 g
세틸트리메칠 암모늄 클로라이드 0.5 g
스테아릴트리메칠암모늄 클로라이드 0.5 g
스테아트리메칠암모늄하이드로 라이즈드 애니멀 프로테인 0.5 g
글리세린 15.0 g
향료,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12] 헤어 컬러링제
말레산 5.0 g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1.0 g
폴리비닐알코올 0.05 g
세틸알코올 1.0 g
라우릴산글리세린 0.05 g
향 1.0 g
색소 5.0 g
안식향산나트륨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제형예 13] 헤어 블리치제
말레산 5.0 g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1.0 g
폴리비닐알코올 0.05 g
세틸알코올 1.0 g
라우릴산글리세린 0.05 g
안식향산나트륨 0.1 g
정제수 잔량(to 100 g)

Claims (7)

  1. 말레산(male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직경의 증가 유도용인 헤어 케어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직경의 증가 유도용인 헤어 케어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헤어 로션, 헤어 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 세럼, 헤어 에센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크림, 스타일링제, 헤어 컬러링제, 헤어 블리치제 또는 헤어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직경의 증가 유도용인 헤어 케어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포제, 세정제, 컨디셔닝제, pH 조절제, 펄화제, 방부제, 향료 및 점도 조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직경의 증가 유도용인 헤어 케어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내부로 흡수되어 모발의 직경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직경의 증가 유도용인 헤어 케어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3항의 모발 직경의 증가 유도용인 헤어 케어 조성물을 모발에 처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발 직경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140168005A 2014-11-28 2014-11-28 말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005A KR101922543B1 (ko) 2014-11-28 2014-11-28 말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201510608641.XA CN105640790B (zh) 2014-11-28 2015-09-22 包含马来酸作为有效成分的毛发用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005A KR101922543B1 (ko) 2014-11-28 2014-11-28 말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420A KR20160064420A (ko) 2016-06-08
KR101922543B1 true KR101922543B1 (ko) 2018-11-28

Family

ID=5619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005A KR101922543B1 (ko) 2014-11-28 2014-11-28 말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2543B1 (ko)
CN (1) CN105640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5518B2 (en) 2013-08-01 2015-08-04 Liqwd, Inc. Methods for fixing hair and skin
CN107847400A (zh) 2015-05-01 2018-03-27 欧莱雅 活性剂在化学处理中的用途
JP6873994B2 (ja) 2015-11-24 2021-05-19 ロレアル 毛髪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US11213470B2 (en) 2015-11-24 2022-01-04 L'oreal Compositions for treating the hair
BR112018010344B1 (pt) 2015-11-24 2021-08-10 L'oreal Composição para cabelo, sistema e método para tratamento do cabelo, métodos para alteração da cor do cabelo e do formato do cabelo, e, kits de multicompartimentos
US11135150B2 (en) 2016-11-21 2021-10-05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emically treated hair
US11433011B2 (en) 2017-05-24 2022-09-06 L'oreal Methods for treating chemically relaxed hair
US11596588B2 (en) 2017-12-29 2023-03-07 L'oreal Compositions for altering the color of hair
US11419809B2 (en) 2019-06-27 2022-08-23 L'oreal Hair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WO2023227364A1 (en) * 2022-05-25 2023-11-30 Wella Germany Gmbh Improving hair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5059A (ja) * 2001-06-01 2009-08-20 Neochemir Inc 酸性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育毛剤、外用剤用の皮膚等への浸透促進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12B1 (ko) * 1997-12-27 2006-04-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칼라지속성샴푸조성물
KR100761217B1 (ko) * 2001-07-04 2007-10-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염모제 조성물
JP4313245B2 (ja) * 2004-05-06 2009-08-12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KR20060059564A (ko) * 2004-11-29 2006-06-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산을 포함하는 모발처리제
CN101062050A (zh) * 2006-04-29 2007-10-31 北京尼奥克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一氧化氮的新型生发产品及其制备方法
FR2930438B1 (fr) * 2008-04-25 2012-09-2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au moins un compose organique du silicium, au moins un tensioactif cationique et au moins un acide organique, et un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mettant en oeuvre ladite composition
CN102231974A (zh) * 2008-10-29 2011-11-02 欧莱雅 使用弱二元羧酸用热松弛或矫直毛发的方法
US20110104093A1 (en) * 2009-11-02 2011-05-05 Living Proof, Inc Hair volumizing composition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5059A (ja) * 2001-06-01 2009-08-20 Neochemir Inc 酸性外用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化粧料、育毛剤、外用剤用の皮膚等への浸透促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40790A (zh) 2016-06-08
KR20160064420A (ko) 2016-06-08
CN105640790B (zh)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543B1 (ko) 말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EP3678634B1 (de) Zusammensetzung enthaltend quaternäre ammoniumverbindung,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pflege- und reinigungsformulierungen
JP2007517823A (ja) 特に透明なゲルの形態である酸化処理用薬剤
CN108391418A (zh) 包含至少一种低聚酯铵盐的洗发剂组合物
EP1228748B1 (de) Haarpflegemittel mit diquaternären Silikonpolymeren
EP3233025B1 (de) Haarbehandlungsmittel, enthaltend mindestens ein saures protein sowie mindestens ein salz
EP3185847B1 (de) Verfahren zur erhöhung der waschbeständigkeit künstlich gefärbter haare
KR101145060B1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US20190021978A1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
JP2021515747A (ja) 局所用組成物
KR20230117400A (ko) 항균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피부 보호를 위한 (바이오)-알칸디올
DE102015222976A1 (de) Haarpflegemittel enthaltend Caseinhydrolysat zur Verbesserung der Haarstruktur
WO2015086005A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e kombination aus oligopeptiden und ceramiden
WO2014146820A1 (de) Mittel zur temporären verformung keratinhaltiger fasern
JP6052863B2 (ja) 毛髪処理剤組成物
WO2019059608A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CN116615172A (zh) 包含天然聚合物和一种或多种(生物)烷二醇的组合物
EP2976059B1 (de) Mittel zur temporären verformung keratinhaltiger fasern
EP1787683A2 (de) Wasserfreie Zusammensetzungen und daraus herstellbare Mittel
WO2015086004A1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e kombination aus proteolipiden und ceramiden
KR20180053986A (ko) 아파니조메논 플로스-아쿠애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152290B1 (ko) 진주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DE102014225207A1 (de) "Haarbehandlungsmittel enthaltend ein Dipeptid II"
DE102020205399A1 (de) Schäumbare Zusammensetzung
EP3079774B1 (de) Haarbehandlungsmittel enthaltend carbonsäure-n-alkylpolyhydroxyalkylam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