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504B1 -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 Google Patents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504B1
KR101921504B1 KR1020100043730A KR20100043730A KR101921504B1 KR 101921504 B1 KR101921504 B1 KR 101921504B1 KR 1020100043730 A KR1020100043730 A KR 1020100043730A KR 20100043730 A KR20100043730 A KR 20100043730A KR 101921504 B1 KR101921504 B1 KR 10192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lens
frame
polarizing
lens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4396A (en
Inventor
장국희
김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504B1/en
Publication of KR2011012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 렌즈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 형태의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 내에 외주면이 수용되는 편광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편광 렌즈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편광 렌즈가 프레임 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와 더불어 상기 편광 렌즈의 하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시청자가 누워서 시청하게 되어 상기 프레임이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프레임 내의 편광 렌즈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원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편광 렌즈의 편광 방향 변경으로 인해 입체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larizing lens comprising: a frame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recei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larizing lens; And a polarizing lens in whic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eceived in a receiving groove of the frame, wherein the polarizing lens is rotatably formed in the frame,
Since the polarizing lens is not fixed in the frame but is rotatable and the lower end of the polarizing lens is heavier than the other parts, the spec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and the stereoscopic image In view of viewing, even if the frame is tilted due to the viewer lying down, the polarizing lens in the frame can be maintained in the original state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accordingly, due to the polarization direction change of the polarizing len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recording medium.

Description

입체영상용 안경{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본 발명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입체영상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stereoscopic image glasses constituting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최근 들어 입체감 있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viewing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mages has been developed.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용 영상이 시청자의 좌안에서만 인지되도록 하고, 우안용 영상이 시청자의 우안에서만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감 있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llows the left eye image to be recognized only in the left eye of the viewer, and allows the viewer to view the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mage by allowing the right eye image to be recognized only in the viewer's right.

이와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을 사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안경을 사용하는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Such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n be classified into a method using glasses and a method using no glasses. Hereinafter, a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ing glasses will be described.

도 1은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로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패턴드 리타더 플레이트(Patterned Retarder Plate)(20), 및 안경(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10, a patterned retarder plate 20, and a pair of glasses (not shown) 30).

이와 같은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패턴드 리타더 플레이트(20)를 통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좌안용 영상은 상기 안경(30)의 좌측 렌즈만을 투과하고, 분리된 우안용 영상은 상기 안경(30)의 우측 렌즈만을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의 좌안에서는 좌안용 영상만이 인지되고, 시청자의 우안에서는 우안용 영상만이 인지되게 된다. In such a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is separated into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through the pattern drift plate 20, Only the left lens of the eyeglasses 30 passes through, and the separated right eye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only the right lens of the eyeglasses 30. Therefore, only the left eye image is recognized in the left eye of the viewer, and only the right eye image is recognized in the right eye of the viewer.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표시되는 영상 중에서 홀수 라인 영상과 짝수 라인 영상이 상기 패턴드 리타더 플레이트(20)를 통과하면서 서로 분리되고, 상기 홀수 라인 영상은 상기 안경(30)의 좌측 렌즈만을 통해 투과되고, 상기 짝수 라인 영상은 상기 안경(30)의 우측 렌즈만을 통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표시되는 홀수 라인의 영상을 좌안에서만 인지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표시되는 짝수 라인의 영상은 우안에서만 인지하게 되어 3차원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mong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the odd line image and the even line imag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pattern drift plate 20, And the even line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only the right lens of the eyeglasses 30 so that the viewer can recognize the odd lin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only in the left eye, The image of the even lin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is recognized only in the right side, so that the three dimensional image can be view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경을 이용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따라서 3차원 입체 영상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such conventional glasses has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is deteriorated according to the viewing posture of the viewer.

즉, 상기 안경(30)은 상기 패턴드 리타더 플레이트(20)와 조합하여 좌측 렌즈와 우측 렌즈의 편광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형성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시청자가 바른 자세로 앉아서 시청하는 것을 가정하여 상기 안경(30)의 좌측 렌즈와 우측 렌즈의 편광방향이 조절되어 있다. That is, the glasses 30 are form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eft lens and the right lens in combination with the pattern-driven retarder plate 20. In general, assuming that the viewer sits and watches in the correct posture, The polarizing directions of the left and right lenses of the glasses 30 are adjusted.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시청자가 바른 자세가 아닌 누운 자세로 시청하게 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시청자가 누운 자세로 시청하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시청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경(30)이 기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안경(30)의 좌측 렌즈와 우측 렌즈의 편광 방향이 최초 설정된 방향과 상이하게 되어, 좌측 렌즈와 우측 렌즈에서 홀수 라인 및 짝수 라인의 영상 모두가 인지될 수 있어 원하는 3차원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ome cases, the viewer may be viewed in a lying posture rather than in a correct posture. When the viewer views the posture in a lying position, the glasses 30 worn by the viewer are inclined The polarizing direction of the left lens and the right lens of the eyeglasses 30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ly set direction and both the images of the odd line and the even line in the left lens and the right lens can be recognized, The user can not view the imag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청자의 시청자세가 변경된다 하더라도 안경의 좌측 렌즈와 우측 렌즈의 편광 방향이 최초 설정된 방향과 일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차원 입체영상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입체영상용 안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stereoscopic stereoscopic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which can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편광 렌즈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 형태의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 내에 외주면이 수용되는 편광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편광 렌즈는 상기 프레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용 안경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comprising: a frame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the form of a column so as to recei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larizing lens; And a polarizing lens in whic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rame, wherein the polarizing lens is rotatably formed in the frame.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동일한 높이일 경우의 상기 편광 렌즈의 편광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이한 높이일 경우의 상기 편광 렌즈의 편광방향이 서로 동일하다. Here,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polarizing lens whe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rame are the same height, and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polarizing lens whe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rame are different heights.

상기 편광 렌즈는 그 하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무겁게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편광 렌즈의 하단부에는 소정 무게의 기구물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기구물은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 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polarizing lens may be heavier than other portions. At this time, a mechanism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polarizing lens, and the mechanism may be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상기 수용홈의 일부가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광 렌즈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무게추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무게추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to allow a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to pass therethrough. A predetermined weight can be additional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polarizing lens. The weight can be proj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have.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 내에는 회전가능한 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광 렌즈의 외주면은 상기 볼과 접촉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볼과 접촉하는 편광 렌즈의 외주면은 상기 볼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Where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arizing lens is in contact with the ball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arizing lens in contact with the ball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ll, .

상기 편광 렌즈는 우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제1 방향의 편광만을 투과시키는 제1 편광 렌즈 및 좌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방향의 편광만을 투과시키는 제2 편광 렌즈로 이루어진다. The polarizing lens includes a first polarizing lens for transmitting only polarized light in a first direction so as to transmit only a right eye image, and a second polarizing lens for transmitting only polarized ligh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 polarizing len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편광 렌즈가 프레임 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와 더불어 상기 편광 렌즈의 하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시청자가 누워서 시청하게 되어 상기 프레임이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프레임 내의 편광 렌즈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원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편광 렌즈의 편광 방향 변경으로 인해 입체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olarizing lens is not fixed in the frame but is rotatable and the lower end of the polarizing lens is heavier than the other parts, the spec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and the stereoscopic image In view of viewing, even if the frame is tilted due to the viewer lying down, the polarizing lens in the frame can be maintained in the original state by the action of gravity, and accordingly, due to the polarization direction change of the polarizing len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recording medium.

도 1은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과 같은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청자의 시청 자세에 따라 3차원 입체 영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의 부분 절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FIG.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that the quality of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is deteriorated according to a viewing posture of a viewer in a conventional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s shown in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line AA of Fig.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의 부분 절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라인의 단면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Fig.

도 3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1)은, 프레임(100) 및 편광 렌즈(200a, 2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 to 5, the stereoscopic image glasses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nd polarizing lenses 200a and 200b.

상기 프레임(100)은 제1 프레임(100a), 제2 프레임(100b), 제1 연결부(100c), 및 제2 연결부(10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rame 100 includes a first frame 100a, a second frame 100b, a first connecting portion 100c,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00d.

상기 제1 프레임(100a)은 제1 편광 렌즈(200a)를 수용하고 있고, 상기 제2 프레임(100b)은 제2 편광 렌즈(200b)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00c)는 상기 제1 프레임(100a)과 제2 프레임(100b) 사이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제2 연결부(100d)는 상기 제1 프레임(100a)과 제2 프레임(100b) 각각을 안경 다리(110)와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100)의 구조는 그 기능성 및 미감 등을 고려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frame 100a accommodates a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ccommodates a second polarizing lens 200b. The first connection part 100c connects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00d connects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nd connects each with the eyeglass legs 110. The structure of such a frame 100 may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known in the art in consideration of its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상기 제1 프레임(100a)은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를 수용하기 위해서 제1 수용홈(105a)을 구비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 형태의 제1 수용홈(105a)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는 상기 제1 수용홈(105a)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100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The first frame 100a includes a first receiving groove 105a for accommodating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Specifically, the first frame 100a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105a for accommod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 first receiving groove 105a of a cylindrical shape is provided. Accordingly,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is not detached from the first frame 100a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5a.

유사하게, 상기 제2 프레임(100b)은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를 수용하기 위해서 제2 수용홈(105b)을 구비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 형태의 제2 수용홈(105b)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는 상기 제2 수용홈(105b)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2 프레임(100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Similarly, the second frame 100b has a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Specifically, the second frame 100b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of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be accommodated therein. Accordingly,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s not detached from the second frame 100b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는 우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제1 방향의 편광만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는 좌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방향의 편광만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우안용 영상은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만을 통해 투과되고, 좌안용 영상은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만을 통해 투과되어, 결국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transmits only the polarized light in the first direction so as to transmit only the image for the right eye and the second polarized lens 200b transmits the polarized light in the second polarized light Only the polarized light in the second direction is transmitted. Accordingly, the right eye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only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left eye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only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so that the viewer can view the stereoscopic image.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 각각은,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 각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 각각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을 착용하고 입체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시청자가 누워서 시청하게 되어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이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1 프레임(100a) 내의 제1 편광 렌즈(200a) 및 상기 제2 프레임(100b) 내의 제2 편광 렌즈(200b)는 원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광 방향 변경으로 인한 입체영상의 품질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s not fixed to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Two frames 100b, respectively. Therefore, even if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re inclined due to the audience lying down and viewing the stereoscopic image while wearing the glasse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in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n the second frame 100b can be kept intact so that the quality degrada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due to the polarization direction change Can be prevented.

즉, 상기 제1 프레임(100a) 또는 제2 프레임(100b)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동일한 높이일 경우, 다시 말하면, 시청자가 바른 자세로 시청하여 안경(1)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인 경우(도 4의 좌측 도면 참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또는 제2 편광 렌즈(200b)의 편광방향은, 상기 제1 프레임(100a) 또는 제2 프레임(100b)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이한 높이일 경우, 다시 말하면, 시청자가 누운 자세로 시청하여 안경(1)이 수평으로 유지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도 4의 우측 도면 참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또는 제2 편광 렌즈(200b)의 편광방향과 서로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irst frame 100a or the second frame 100b are at the same height, that is, when the viewer views the glasses in the correct posture and the glasses 1 are held horizontally The polarizing direction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or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frame 100a or the second frame 100b is In other words, when the viewer views the glasses 1 in a lying position and the glasses 1 are not held horizontally (see the right drawing in Fig. 4),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or the second polarizing glasses And becomes the same as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ens 200b.

이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이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가 원상태로 유지되어 편광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는 그 하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있다. In this way, even if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re inclined,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re maintained intact so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not change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re heavier than the other portions.

즉,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는 상기 제1 프레임(100a) 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와 더불어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의 하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프레임(100a)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는 원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is not fixed in the first frame 100a but rotatably,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is heavier than the other portion Therefore, even if the first frame 100a is tilted to the left or right,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can be maintained in an undirected state by the action of gravity.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도 상기 제2 프레임(100b) 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와 더불어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의 하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프레임(200a)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는 원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Similarly,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s not fixed in the second frame 100b but is rotatabl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s heavier than the other portion Therefore, even if the second frame 200a is tilted to the left or right,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can be kept in its original state by the action of gravity.

한편,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하단부를 다른 부분 보다 무겁게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하단부에 소정 무게의 기구물(210)을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form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heavier than the other portions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The structure 210 can be formed.

상기 기구물(210)은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하단부 앞면 또는 뒷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하단부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The fixture 21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nd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200b.

상기 기구물(210)로 인해서 시청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기구물(210)은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하단부 끝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기구물(210)은 상기 제1 프레임(100a)의 제1 수용홈(105a) 및 제2 프레임(100b)의 제2 수용홈(105b) 내에 형성됨으로써 시청자의 시야에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echanism 21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n order to minimize the view of the viewer due to the mechanism 210. In particular, The mechanism 210 is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5a of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of the second frame 100b so that no obstacle is given to the view of the viewer More preferable.

이와 같이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 각각이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 내에서 보다 원활히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프레임(100a)의 제1 수용홈(105a) 및 상기 제2 프레임(100b)의 제2 수용홈(105b) 내에는 회전가능한 볼(ball)(300)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allow each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to rotate more smoothly in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 rotatable ball 3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5a of the second frame 100b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of the second frame 100b.

즉, 상기 제1 프레임(100a)의 제1 수용홈(105a) 및 상기 제2 프레임(100b)의 제2 수용홈(105b) 내에 회전가능한 볼(ball)(30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외주면이 상기 볼(300)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회전성이 보다 증진될 수 있다. That is, by forming a ball 300 rotatable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5a of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of the second frame 100b,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ll 300 so that the rotatability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can be further improved .

또한, 상기 볼(300)과의 접촉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상기 볼(300)과 접촉하는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with the ball 300, the shape of the ball 3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 groove 22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FIG.

도면에는 상기 볼(300)이 4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볼(300)의 형성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상기 볼(300)의 크기 또한 제1 수용홈(105a) 및 제2 수용홈(105b)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balls 300 is not limited to four, and the number of the balls 300 may be variously changed. Also,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s of the groove 105a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의 부분 절개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안경(1)은, 프레임(100) 및 편광 렌즈(200a, 2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6 and 7, the stereoscopic image glasse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rame 100 and polarizing lenses 200a and 200b.

상기 프레임(100)은, 전술한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편광 렌즈(200a)를 수용하는 제1 프레임(100a), 제2 편광 렌즈(200b)를 수용하는 제2 프레임(100b), 상기 제1 프레임(100a)과 제2 프레임(100b)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00c), 및 상기 제1 프레임(100a)과 제2 프레임(100b) 각각을 안경 다리(110)와 연결하는 제2 연결부(100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3 to 5, the frame 100 includes a first frame 100a accommodating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 second frame 100b accommodating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 first connecting portion 100c connecting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00b connecting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00d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00d.

상기 제1 프레임(100a)은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 형태의 제1 수용홈(105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100b)은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 형태의 제2 수용홈(105b)을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frame 100a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105a of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receiv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In addition, the second frame 100b has a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in the form of a column so as to receiv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따라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 2 편광 렌즈(200b)는 상기 제1 수용홈(105a) 및 제2 수용홈(105b) 내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5a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200b, (100b).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 각각은,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 각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 각각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1)을 착용하고 입체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시청자가 누워서 시청하게 되어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이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1 프레임(100a) 내의 제1 편광 렌즈(200a) 및 상기 제2 프레임(100b) 내의 제2 편광 렌즈(200b)는 원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s not fixed to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Two frames 100b, respectively. Therefore, even if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re tilted because the viewer lie down to watch the stereoscopic image by wearing the spectacle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in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n the second frame 100b can be kept intact.

즉, 상기 제1 프레임(100a) 또는 제2 프레임(100b)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동일한 높이일 경우, 다시 말하면, 시청자가 바른 자세로 시청하여 안경(1)이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인 경우(도 7의 좌측 도면 참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또는 제2 편광 렌즈(200b)의 편광방향은, 상기 제1 프레임(100a) 또는 제2 프레임(100b)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이한 높이일 경우, 다시 말하면, 시청자가 누운 자세로 시청하여 안경(1)이 수평으로 유지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도 7의 우측 도면 참조)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또는 제2 편광 렌즈(200b)의 편광방향과 서로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irst frame 100a or the second frame 100b are at the same height, that is, when the viewer views the glasses in the correct posture and the glasses 1 are held horizontally The polarizing direction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or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s set such that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irst frame 100a or the second frame 100b In other words, when the viewer 1 is viewed in a lying position and the glasses 1 are not held horizontally (refer to the right drawing in Fig. 7),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or the second polarizing light And becomes the same as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lens 200b.

이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이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가 원상태로 유지되어 편광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프레임(100a)의 하측에는 제1 수용홈(105a)의 일부가 관통된 제1 관통홀(15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프레임(100b)의 하측에는 제2 수용홈(105b)의 일부가 관통된 제2 관통홀(15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의 하단부 및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의 하단부에는 각각 소정의 무게추(250)가 형성되어 있다. In this way, even if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are inclined,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re maintained intact so that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not changed A first through hole 150a through which a part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5a is forme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100a and a second through hole 150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100b, A predetermined weight weight 250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Respectively.

즉, 상기 제1 프레임(100a)의 하측에 제1 관통홀(15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의 하단부에 무게추(25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프레임(100a)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는 원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first through hole 150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weight 250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can be maintained in an undirected state by the action of gravity even if the first polarizing lens 100a is tilted to the left or right.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프레임(100b)의 하측에 제2 관통홀(15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의 하단부에 무게추(25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프레임(100b)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는 원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Similarly, since the second through-hole 150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100b and the weight 250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100b may be tilted to the left or right,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may be kept in the original state by the action of gravity.

한편, 상기 무게추(250)는 상기 제1 관통홀(150a) 및 제2 관통홀(150b)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The weight 250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50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0b,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have.

또한, 상기 무게추(250)가 상기 제1 관통홀(150a) 및 제2 관통홀(150b)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시청자가 상기 무게추(250)를 좌우로 이동시켜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를 임의로 회전시킴으로써 입체 영상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25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탑퍼(stoper)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무게추(250)를 소정 크기의 헤드(head)를 구비한 나사구조물로 구성하여 상기 무게추(250)와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사이, 또는 상기 무게추(250)와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 사이를 나사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무게추(250)를 나사구조물로 구성함으로써 나사구조물과 상기 제1 프레임(100a) 및 제2 프레임(100b)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별도의 스탑퍼 없이도 상기 무게추(25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When the weight 25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50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0b, the viewer moves the weight 250 to the left and right,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arbitrarily rotating the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In such a case, a separate stopper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weight 25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he weight weight 250 may be a screw structure having a head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eight weight 250 and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or between the weight weight 250 and the weight-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may be screwed together. That is, by making the weight 250 as a threaded structure, the rotation of the weight 250 can be preven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threaded structure and the first frame 100a and the second frame 100b without a separate stopper It can be stopped.

한편, 전술한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실시예서와 같이,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가 상기 제1 프레임(100a) 내에서 보다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관통홀(150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1 프레임(100a)의 제1 수용홈(105a) 내에 회전 가능한 볼(ball)(30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편광 렌즈(200b)가 상기 제2 프레임(100b) 내에서 보다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2 관통홀(150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제2 프레임(100b)의 제2 수용홈(105b) 내에 회전가능한 볼(ball)(30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allow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to rotate more smoothly in the first frame 100a as i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GS. 3 to 5, the first through holes 150a A ball 300 rotatable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05a of the first frame 100a may be additionally formed. Likewise, in order to allow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to rotate more smoothly in the second frame 100b,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of the second frame 100b, on which the second through hole 150b is not formed, And a ball 300 rotatable 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05b may be additionally formed.

또한, 상기 볼(300)과의 접촉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상기 볼(300)과 접촉하는 상기 제1 편광 렌즈(200a) 및 제2 편광 렌즈(200b)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3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with the ball 300, the shape of the ball 3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200a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200b,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roove may be formed.

1: 안경 100: 프레임
100a: 제1 프레임 100b: 제2 프레임
100c: 제1 연결부 100d: 제2 연결부
105a: 제1 수용홈 105b: 제2 수용홈
150a: 제1 관통홀 150b: 제2 관통홀
110: 다리 200a: 제1 편광 렌즈
200b: 제2 편광 렌즈 210: 기구물
220: 홈 250: 무게추
300: 볼
1: Glasses 100: Frame
100a: first frame 100b: second frame
100c: first connection part 100d: second connection part
105a: first receiving groove 105b: second receiving groove
150a: first through hole 150b: second through hole
110: leg 200a: first polarizing lens
200b: second polarizing lens 210:
220: groove 250: weight weight
300: view

Claims (10)

편광 렌즈의 외주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 형태의 수용홈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 내에 외주면이 수용되는 편광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렌즈는 그 하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무겁게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 내에는 회전 가능한 볼이 구비되고, 상기 편광 렌즈의 외주면은 상기 볼과 접촉하며, 상기 편광 렌즈는 상기 볼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편광 렌즈의 하단부에는 소정 무게의 기구물이 구비되고, 상기 기구물은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 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에 의해 가려지는 입체영상용 안경.
A frame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the shape of a cylinder so as to receiv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arizing lens; And
And a polarizing lens in which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rame,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polarizing lens is heavier than the other portio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ball,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arizing lens is in contact with the ball, and the polarizing lens is in contact with the ball The frame being rotatable within the frame,
Wherein the polarizing lens is provided with a mechanism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rame and is shielded by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동일한 높이일 경우의 상기 편광 렌즈의 편광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상이한 높이일 경우의 상기 편광 렌즈의 편광방향이 서로 동일한 입체영상용 안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ariz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lens when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rame are the same height and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polarizing lens when the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polarizing lens is different from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of the frame are the s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과 접촉하는 편광 렌즈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구비된 입체영상용 안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arizing lens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all is provided with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렌즈는 우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제1 방향의 편광만을 투과시키는 제1 편광 렌즈 및 좌안용 영상만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방향과는 상이한 제2방향의 편광만을 투과시키는 제2 편광 렌즈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용 안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arizing lens includes a first polarizing lens for transmitting only polarized light in a first direction so as to transmit only a right eye image, and a second polarizing lens for transmitting only polarized ligh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 stereoscopic image glasses including a polarizing lens.
KR1020100043730A 2010-05-11 2010-05-11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KR101921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30A KR101921504B1 (en) 2010-05-11 2010-05-11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730A KR101921504B1 (en) 2010-05-11 2010-05-11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396A KR20110124396A (en) 2011-11-17
KR101921504B1 true KR101921504B1 (en) 2018-11-26

Family

ID=4539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730A KR101921504B1 (en) 2010-05-11 2010-05-11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5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3328A (en) * 2013-09-30 2014-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Three-dimensional glasses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4778A (en) * 2008-08-28 2010-03-11 Seiko Epson Corp Polarized light eye glass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4778A (en) * 2008-08-28 2010-03-11 Seiko Epson Corp Polarized light eye g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396A (en)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4344A (en) Spectacles for stereoscopic pictures
JPS6035049B2 (en) Stereo glasses for watching movies, etc.
US10295836B2 (en) Lens structure and dual-purpose eyeglasses with sunglasses and 3D glasses functions
KR101890621B1 (en) Glasses
KR101921504B1 (en)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KR101033606B1 (en) Glasses
WO2015043142A1 (en) Three-dimensional glasses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CN102608769A (en) Stereoscopic spectacles
KR20170074330A (en) A giasses of assembling type
WO2012018409A1 (en) Tilt compensation for stereoscopic visual displays
US7408710B2 (en) Polarizer device adapted to polarized light
KR102421926B1 (en) Virtual Reality 3D Image Expansion Device with High Brightness
KR200464366Y1 (en) Glasses for watching 3d image
CN202159188U (en) Adjustable polarized type 3D-2D compatible 3D glasses
CN105872514A (en) Virtual 3D display apparatus
US20150177529A1 (en) Three-dimensional eyeglasses
CN214335377U (en) Full-color high-definition (5 k-8 k) high-brightness double-vertical-screen stereo image viewing device
KR101338238B1 (en) Three dimensional image watching glasses comprising position adjusting member
KR20120013520A (en)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able system
KR101344621B1 (en) Portable three dimensions glasses
KR20130005759A (en) Glasses for stereoscopic image
JP2011149978A (en) Polarization glasses for stereoscopic vision
GB2469996A (en) Contact lenses for viewing 3D films
US20120069437A1 (en) Mixed use three dimensional eyewear
CN112731679A (en) Full-color high-definition (5 k-8 k) high-brightness double-vertical-screen stereo image view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16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27

Effective date: 201807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