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116B1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116B1
KR101921116B1 KR1020160037366A KR20160037366A KR101921116B1 KR 101921116 B1 KR101921116 B1 KR 101921116B1 KR 1020160037366 A KR1020160037366 A KR 1020160037366A KR 20160037366 A KR20160037366 A KR 20160037366A KR 101921116 B1 KR101921116 B1 KR 10192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all
terminal
receptac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8140A (en
Inventor
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1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1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땜납이나 코팅제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10)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11)과, 저벽(11)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벽(12)을 갖고, 당해 기립벽(12)은, 당해 기립벽(12)의 측면으로부터 파임과 함께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20)는, 저벽(11)에 일체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기부(21)와, 당해 기부(21)의 일단으로부터 홈부(12A) 안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22)와, 기부(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실장면에 납땜 접속 가능한 접속부(24)를 갖고, 기립벽(12)의 홈부(12A)는, 당해 기립벽(12)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저벽(11)은,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접촉 아암부(22)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PROBLEM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capable of preventing solder or a coating agent from adhering to a contact arm portion of a terminal.
The housing 10 has a bottom wall 11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a rising wall 12 extending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rising in the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from the bottom wall 11 The terminal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wall 11. The terminal 20 has a groove 12A exten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ising wall 12 in the direction of connector insertion and removal along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ising wall 12, A contact arm portion 22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base portion 21 in the groove portion 12A in the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and a contact arm portion 22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portion 21 And the groove portion 12A of the rising wall 12 is formed to extend over the standing range of the rising wall 12 and the bottom wall 11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 22 in the width direction.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직방체 외형의 하우징과, 커넥터 길이 방향(하우징의 긴 쪽 방향)에서 당해 하우징에 일체 성형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는 단자를 갖고 있다. 당해 하우징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 대면하는 저벽과, 당해 저벽의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사각틀 형상의 둘레벽과, 커넥터 폭방향(하우징의 상기 긴 쪽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 쪽 방향)에서의 중앙영역에서 저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을 갖고 있다. 상기 둘레벽과 상기 돌출벽으로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하는 사각 환상(環狀)의 공간은, 상대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As such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for example, a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is known. The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has a housing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uter shape and a terminal arranged and held by the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e housing includes a bottom wall facing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 peripheral wall of a rectangular frame rising up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and a peripheral wall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 short sid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wall and extends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 rectangular annular space surrounded by the peripheral wall and the projecting wall and opening upward is formed a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ating connector from above.

상기 단자는, 상기 저벽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基部)를 갖고 있고,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한 접촉 아암부가 상기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돌출벽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당해 접촉 아암부의 상단부에는,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상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수용부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자유단부는, 하우징 바깥에서 상기 실장면에 납땜 접속 가능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terminal has a base portion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long the bottom wall, and a contact arm portion resiliently displaceable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extends upward from the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long the protruding wall.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mating terminal provided on the mating connector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arm portion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housing portion. The free end of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ion that can be soldered to the mounting surfac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돌출벽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 상기 접촉 아암부가 탄성 변위했을 때에 그 변위 분의 진입을 허용하는 홈부가 돌출벽의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파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당해 홈부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지만, 상단은 폐색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부의 대향 내벽면(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 벽면)과 상기 접촉 아암부의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어, 당해 홈부와 상기 수용부는 이 극간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A protruding wall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for permitting entry of the displacement portion when the contact arm portion is resiliently displaced from a side surface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groove portion is opened, but the upper end is closed. Further,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arm portion and the opposing inner wall surface (the inner wall surface facing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gap.

또한, 저벽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접촉 아암부 및 상기 돌출벽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상하 방향(저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공부(孔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벽의 홈부와 상기 저벽의 공부는, 커넥터의 제조시, 하우징과 단자의 일체 성형 후에 금형을 하방으로 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이며, 서로 연통하고 있다. The bottom wall is provided with a hole portion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over the range including the contact arm portion and the projecting wall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t the terminal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groove portion and the bottom wall of the projection wall are formed by collecting the mold downwardly after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connecto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60360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160360

특허문헌 1의 커넥터의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시에, 단자의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납땜 접속할 때, 용융 상태의 땜납(용융 땜납)이 하우징의 저벽의 저면과 상기 실장면의 사이의 극간을 흐르고, 또한 저벽의 공부를 거쳐 단자의 접촉 아암부의 표면을 기어 올라가는, 소위 땜납 불어 오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접촉 아암부의 표면에 부착한 땜납이 굳어지면, 충분한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 상태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접촉 아암부의 표면을 불어 오른 용융 땜납이, 추가로 당해 접촉 아암부와 돌출벽의 홈부의 대향 내벽면의 극간을 거쳐 접촉부의 돌출면, 즉 상대 단자와의 접촉면에까지 달했을 경우에는, 상대 단자와의 접촉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In the case of mounting the connector of the patent document 1 on the circuit board, when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is soldered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the molten solder (molten solder) So-called solder blow-up, in which the surface of the contact arm portion of the terminal is climbed via the bottom wall, and so on. If the sold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contact arm is harden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ufficient elastic displacement state of the contact arm portion can not be obtained sufficiently. Further, when the molten solder blowing the surface of the contact arm portion reaches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that is,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mating terminal,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ntact arm portion and the opposite inner wal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of the projecting wall, Which may result in poor contact with the substrate.

또한, 상기 접속부와 상기 실장면의 납땜 접속 부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당해 납땜 접속 부분에 수지 등의 코팅제가 도포되는 경우가 있지만, 당해 코팅제도, 전술한 땜납의 경우와 동일하게 용융 상태로 흐르고, 접촉 아암부의 표면에 부착하여,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의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A coating agent such as a resin may be applied to the solder connecting portion in ord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older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surface. The coating agent may also be mel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solder described above And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contact arm portion to cause a problem of elastic displacement of the contact arm portion or poor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땜납이나 코팅제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ich can prevent solder or a coating agent from adhering to a contact arm portion of a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단자를 갖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어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과, 저벽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을 갖고, 당해 돌출벽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측면(커넥터 길이 방향의 측면)으로부터 파이면서, 동시에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저벽에 따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당해 저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기부와, 당해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에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와, 상기 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실장면에 납땜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부는, 커넥터 폭방향 및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홈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극간을 갖고 당해 홈부에 수용되어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having a housing and a terminal held by the housing and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And a bottom wall which is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nd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bottom wall which extends in the direction of connector insertion and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Wherein the protruding wall is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which is pierced from a side face (the side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which extends at the same time in the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Extends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long the bottom wall and is held by the integral molding on the bottom wall A contact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base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base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soldered to the mount surface, The portion has a gap between the inner side wal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displaceable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벽의 홈부는, 당해 돌출벽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벽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wall of the protruding wall is formed to extend over a standing range of the protruding wall, and the bottom wall is formed in at least a terminal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tact arm portion in the contact hole portion.

본 발명에서는, 돌출벽의 홈부는, 당해 돌출벽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당해 홈부는, 돌출벽의 꼭대기면 위치(저벽의 반대측의 단면)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홈부를 갖는 돌출벽을,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돌출벽의 꼭대기면측으로부터 저벽측을 향하여 금형을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성형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꼭대기면측과는 반대의 측에서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당해 홈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환언하면, 당해 홈부에 수용되는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저벽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portion of the projecting wall is formed over the whole standing region of the projecting wall. That is, the groove portion is opened in the connector insertion / extraction direction at the top surface position of the projection wall (the end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ttom wall). Therefore, the protruding wall having the groove portion can be formed by moving the mold from the top surface side of the protruding wall toward the bottom wall side in the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and arranging the mold. As a result,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op surface side,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contact arm portion of the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t the terminal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bottom wall in the rang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실장시, 단자의 접속부를 실장면에 납땜 접속할 때, 용융한 땜납이 하우징의 저벽과 상기 실장면의 사이를, 단자의 접촉 아암부측을 향하여, 즉 상기 범위를 향하여 흐르려고 해도, 당해 범위에서 저벽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 땜납이 상기 접촉 아암부의 표면을 기어 올라가는 일이 없이, 접촉 아암부로의 땜납의 부착이 방지된다. 이 결과, 땜납에 의해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에 지장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접촉 아암부의 접촉부에 땜납이 부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접촉부에서의 접촉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납땜 접속 부분에 수지 등의 코팅제를 도포할 때에 있어서도, 전술한 땜납의 경우와 동일하게, 접촉 아암부에의 코팅제의 부착이 저지되어,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 상태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확보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or is soldered, the melted solder is applied between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and the mounting surface toward the contact arm portion side of the terminal, that is, The molten solder does not climb over the surface of the contact arm portion, and adhesion of the solder to the contact arm portion is prevented. As a result,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contact arm portion by the solder does not occur. Further, since the solder does not adhere to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arm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ct failure state at the contact portion. Also, when applying a coating agent such as a resin to the solder connecting portion, adhesion of the coating agent to the contact arm portion is inhibited, a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solder, and the state of elastic displacement of the contact arm portion, Is satisfactorily secured.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저벽은, 커넥터 폭방향에서 접촉 아암부와는 상이한 범위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당해 저벽을 관통하는 저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저공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기부의 저면이 상기 저공부에서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기부의 양측 단면이 상기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bottom wall in a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in a range different from the contact arm por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exposed in the bottom portion and both end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are held by the bottom wall.

이와 같이 하우징의 저벽에 저공부를 형성하는 경우, 하우징과 단자의 일체 성형시에서, 단자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저공부가 형성되는 범위에서 기부의 저면이 금형에 의해 눌러진다. 금형을 발거함으로써 상기 범위에서 저벽에 상기 저공부가 형성된다. 당해 저공부에서, 저면이 노출하고 있는 기부의 양측 단면은 상기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된다. 즉, 기부의 양측 단면과 저벽의 사이에는 극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저공부는 당해 기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한 땜납이나 코팅제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측으로부터 저공부 안으로로 유입되는 일이 있어도, 땜납이나 코팅제는 상기 기부의 저면에 의해 그 이상의 진행이 저지되어, 당해 저공부 안에 머무르기 때문에, 땜납이나 코팅제가 단자의 접촉 아암부측에 기어 올라가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형으로 단자를 누름으로써 저공부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 상태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bottom of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the bottom of the base is pressed by the mold in a range in which the terminal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when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The bottom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in the above range by ejecting the mol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both end faces of the base exposed at the bottom face are held by the bottom wall. That is, there is no gap between both end faces of the base and the bottom wall, and the base is closed by the base. Therefore, even if the melted solder or the coating agent flows into the bottom of the circuit board from the mounting surface side, the solder or the coating agent is prevented from further proceeding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The solder or the coating agent does not climb to the contact arm side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tisfactorily secure the resilient displacement state of the contact arm portion and the contact state with the mating terminal, even if the recess is formed by pressing the terminal with the metal mold.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폭이 상기 저공부보다도 커져 있고, 양측 단면에 더하여, 상기 단자폭의 측연부에서의 적어도 한쪽의 판면이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ortion of the terminal has a terminal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larger than that of the bottom portion, and at least one plate surface in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terminal width is held by the bottom wall good.

이와 같이, 단자의 기부가, 그 양측 단면뿐만 아니라, 상기 단자폭의 측연부에서의 판면도 저벽에서 보유지지됨으로써, 상기 저공부가 상기 기부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색된다. 따라서, 땜납이나 코팅제가 상기 저공부를 거쳐 단자의 접촉 아암부측에 기어 올라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base end portions of the terminals but also the plate surfaces at the side edge portions of the terminal widths are held at the bottom wall, whereby the bottoms are more reliably closed by the base port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older or the coating agent from climb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 side of the terminal through the bottom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 배열되어 있고, 단자 배열 범위의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단자가 전원 단자를 이루고, 그리고 단자 배열 범위의 중간영역에 위치하는 다른 단자가 신호 단자를 이루고 있고, 하우징의 저벽의 저공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복수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의 상기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호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 terminal located in both end regions of the terminal arrangement range constitutes a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locat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terminal arrangement range constitutes a signal terminal And the base of the power terminal is formed so as to cover a plurality of the bottom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bottom of the signal terminal The base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at least one of the bottom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복수의 저공부를 덮어 형성된 단자의 기부는, 단자와 하우징의 일체 성형시, 상기 복수의 저공부의 각각의 위치에서 금형에 의해 판면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단자의 기부가 하나의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즉, 일체 성형시에 단자의 기부가 당해 하나의 저공부의 위치에서 금형에 의해 판면을 누를 수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부의 판면을 누르는 위치가 많아지기 때문에, 그 만큼, 당해 판면을 누르는 면적이 넓어져,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의 단자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The base portion of the terminal covered with the plurality of bottoms can be pressed by the mold at each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bottoms when the terminal and the housing are integrally formed.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base portion of the terminal is formed so as to cover one bottom,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base portion of the terminal can press the plate surface by the die at the position of the one bottom portion in the integral molding, The position of pressing the plate surface is increased, so that the pressing area of the plate surface is widened by that much, so that the posture of the terminal at the time of integral molding can be more stabiliz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접촉 아암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당해 돌출벽의 꼭대기면 위치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돌출벽의 꼭대기면측으로부터 저벽측을 향하여 금형을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돌출벽을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홈부에 수용되는 상기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하우징의 저벽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한 땜납이나 코팅제의 유입을 저벽으로 저지함으로써, 당해 땜납이나 코팅제가 상기 접촉 아암부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 상태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ov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ontact arm portion of the terminal is formed over the entire standing range of the projection wall of the housing, and is opened in the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projection wall. The protruding wall can be formed by moving the mold from the top surface side of the protruding wall toward the bottom wall side in the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can be formed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he molten solder or the coating agen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bottom wall,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ttached to the arm portion. As a result,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contact arm portion and the contact state with the mating terminal can be satisfactorily secu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것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감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사시도, 도 2(B)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사시도이며, 각각 커넥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좌반부(左半部)에서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고, 우반부(右半部)의 하방 위치에서는 당해 우반부에 보유지지되는 보강 금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리셉터클 신호 단자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가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신호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5(A)는 커넥터 감합 전 상태, 도 5(B)는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커넥터 폭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6(A)는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 도 6(B)는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g connector fitted thereon from above, showing a state before fitting a connector. Fig.
Fig. 2 (A)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nector of Fig. 1 taken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g. 2 (B)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Left half), and the lower half of the right half (the right half), respectively, and the reinforcing brackets Respectively.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ug connector of Fig. 1 inverted upside down, and Fig. 3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nector of Fig.
Fig. 4 is a bottom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par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of Fig. 1, wherein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s and the receptacle reinforcing brackets are shown in broken lines.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of Fig. 1 taken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showing a cross s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signal terminal. Fig. 5 (A) B) show the state of connector fittin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of Fig. 1 taken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shows a cross section at the center posi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Fig. 6 (B) shows the connector fitting state.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것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감합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며, 각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1에서의 상하 방향)을 삽발 방향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 방향, 즉 도 1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방향을 「커넥터 감합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 즉 도 1에서의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발출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한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의 감합 방향 및 발출 방향은, 각각 전술의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감합 방향」 및 「커넥터 발출 방향」의 반대 방향이 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 plug connector as a mating connector to be engaged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from above, and shows a state before fitting the connector. Fig. The receptacle connector 1 and the plug connector 2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mounting surfaces of different circuit boards (not shown) (Vertical direction in Fig. 1)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is set as the insertion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connector 2 is f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1,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connector 2 is moved downward in Fig. 1 is referred to as " connector fitting direction " That is, the upward directio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s " connector output direction ". The fitting direction and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as the mating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plug connector 2 are opposite to the "connector fitting direction" and the "connector fitting direction" of the aforementioned plug connector 2 .

[리셉터클 커넥터(1)의 구성] [Configura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과,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하우징(10)의 긴 쪽 방향)에서 당해 하우징(10)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를 갖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서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 상에 배치 실장된다. 1, the receptacle connector 1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outer shape, and a connector 10 extending in a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 direction of a long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plurality of receptacle signal terminals 20 and receptacle reinforcing brackets 30 arranged and held by the housing 10 by integral molding. The receptacle connector 1 is disposed and mounted on a circuit board in a posture shown in Fig.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10)의 후술하는 돌출벽(12)의 범위에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대칭인 2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배열 범위에 대하여 양방의 외측 위치에서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일부로서 리셉터클 전원 단자(45)를 갖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리셉터클 전원 단자(45)는,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양단영역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배열 범위에 대하여 양방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1,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s 20 are provided in two rows symmetrical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in the range of the projecting wall 12 of the housing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have.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s 30 are provided on the housing 10 at both outer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s 20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has the receptacle power supply terminal 45 as a part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1, the receptacle power supply terminal 45 is located on both outer sides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s 20 in both end regions of the projecting wall 12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have.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부착 대상면인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면을 갖고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을 긴 쪽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저벽(11)(도 4 참조)과,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저벽(11)의 중앙영역에서 당해 저벽(11)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12)과, 저벽(11)으로부터 기립하여 돌출벽(12)을 둘러싸는 사각틀 형상의 둘레벽(1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13)은,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저벽(11)의 연(緣)부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벽으로서의 측벽(14)과,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대향하는 저벽(11)의 연부로부터 기립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측벽(1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벽으로서의 단부벽(15)을 갖고 있다. 둘레벽(13)과 돌출벽(12)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한 사각 환상의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6)를 형성하고 있다. 1, the housing 10 is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resin, and has a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not shown) to be mounted, (Not show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s well as rising upward from the bottom wall 11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wall 11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 wall 12 and a peripheral wall 13 of a rectangular frame standing from the bottom wall 11 and surrounding the protruding wall 12. The peripheral wall 13 includes side walls 14 as a pair of outer walls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bottom wall 11 fac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nd wall 15 as a pair of outer walls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pair of side walls 14 with each other. The rectangular annular space opened upward between the peripheral wall 13 and the projecting wall 12 forms a receiving portion 16 for receiving the fitting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2. [

리셉터클 커넥터(1)의 저면도인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벽(11)은, 커넥터 길이 방향(도 4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지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저공부(11A)가 당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도 5(A), 도 5(B)를 참조). 이 저공부(11A)는, 하우징(10)과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일체 성형 후, 금형을 하방으로 발거할 때에 형성된다. 당해 저공부(11A)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는 저공부(11A)를 제외하고,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저공부(11A)끼리의 간격은, 다른 저공부(11A)끼리의 간격보다도 약간 좁아져 있다(도 4 참조). 또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는 저공부(11A)는, 다른 저공부(11A)보다도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치수가 약간 작아져 있다. 4, the bottom wall 11 is provided at a terminal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 4), in a connector insertion / extraction directio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drawing (See Fig. 5 (A) and Fig. 5 (B)). The reservoir 11A is formed when integrally molding the housing 10,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30, and releasing the mold downward. The bottoms 11A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except for the bottoms 11A located at both ends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 4). The spacing between the two bottoms 11A located in both end regions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other bottoms 11A (see FIG. 4). In addition, the bottoms 11A located at both ends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have a slightly smaller dimens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han the other bottoms 11A.

리셉터클 단자(20)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인 도 5(A),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공부(11A)는, 커넥터 길이 방향(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커넥터 폭방향(도 5(A), 도 5(B)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돌출벽(12)의 측면보다도 약간 외측의 위치에서 측벽(14)의 내면보다도 약간 외측의 위치까지 걸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저공부(11A)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후술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촉 아암부(22)보다도 외측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위치에 형성된 저공부(11A)도 마찬가지로,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후술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45)의 접촉 아암부(44)보다도 외측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접촉 아암부(22, 44)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는 저벽(11)이 폐색되어 있다. 이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45)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리셉터클 단자(20, 45)」라고 총칭한다. 5 (A) and 5 (B) which are sectional views at the posi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20, when viewed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In a range extending from a position slightly outside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wall 12 to a position slightly outside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s. 5A and 5B) Respectively. That is, the pad 11A is formed in a range outside the contact arm portion 22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he recess 11A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is likewise formed in a region outside the contact arm portion 44 of the receptacle power supply terminal 45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bottom wall 11 is closed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s 22, 44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Hereinafter,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receptacle power supply terminal 45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 receptacle terminals 20 and 45 " when there is no particular need to distinguish them.

또한, 저벽(11)은,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측방 고정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당해 저벽(11)의 저면이 당해 접속부(24)의 상면 및 측방 고정부(42)의 상면에 접면하고 있다. 또한, 당해 저벽(11)은, 접속부(24)끼리 사이의 위치 및 접속부(24)와 측방 고정부(42)의 사이의 위치에서는, 당해 저벽(11)의 저면이 당해 접속부(24)의 상면 및 측방 고정부(42)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당해 저면의 하방에 저홈부(11B)가 형성되어 있다(도 4도 참조). The bottom wall 11 is form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side fixing portion 42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2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ateral fixing portion 42. [0054] The bottom wall 11 of the bottom wall 11 is located at a posi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24 an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24 and the side fixing portion 42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11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fixing portion 42, and a low groove portion 11B is formed below the bottom surface (see also Fig. 4).

돌출벽(12)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신호 단자용 홈부(12A)가, 그리고 리셉터클 전원 단자(4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원 단자용 홈부(12B)가, 돌출벽(12)의 커넥터(10) 길이 방향의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파이면서,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5(A), 도 5(B) 참조). 이하, 신호 단자용 홈부(12A) 및 전원 단자용 홈부(12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단자용 홈부(12A, 12B)」라고 총칭한다. 도 5(A),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용 홈부(12A, 12B)는, 돌출벽(12)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단 위치에서는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 위치에서는 저벽(11)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당해 단자용 홈부(12A, 12B)는, 리셉터클 단자(20, 45)의 접촉 아암부(22, 44)를 수용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단자용 홈부(12A)와 전원 단자용 홈부(12B)는 동일한 홈폭 치수(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The projecting wall 12 has a signal terminal groove 12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ower terminal groove 12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ptacle power terminal 45 5 (A), 5 (B) and 5 (A), 5 (A) and 5 (B), respectively, while being pierc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rojecting wall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10 B). Hereinafter, the signal terminal groove portion 12A and the power terminal groove portion 12B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 terminal groove portions 12A and 12B " when there is no particular need to distinguish them. As can be seen from Figs. 5 (A) and 5 (B), the terminal groove portions 12A and 12B are formed over the entire standing range of the protruding wall 12, And is closed by the bottom wall 11 in the lower end position. The terminal groove portions 12A and 12B accommodate the contact arm portions 22 and 44 of the receptacle terminals 20 and 45, respectively. 1, the signal terminal groove 12A and power terminal groove 12B have the same groove width (dimens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가, 리셉터클 단자(20, 30)의 배열 범위의 부분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에서는, 측벽(14)의 내면(수용부(16)측에 위치하는 면)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경사하는 측방 안내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측방 안내면(14A)은,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커넥터 폭방향에서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안내한다. 1, the housing 10 is formed such that its end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is higher than the portion of the arrangement range of the receptacle terminals 20, 30. At the end portion, a lateral guide surface 14A which is inclined inward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s the downward direction is form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surface located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of the side wall 14. [ The lateral guide surface 14A guides the plug connector 2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in the process of engaging the connector.

단부벽(15)의 내면(수용부(16)측에 위치하는 면)의 상부에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양단영역에서 하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경사하는 단부 안내면(1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단부 안내면(15A)의 상연 및 하연은, 측방 안내면(14A)의 상연 및 하연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당해 단부 안내면(15A)은,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안내한다. An end guide surface 15A which is inclined i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the surface located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upper edge and lower edge of the end guide surface 15A ar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dge and lower edge of the lateral guide surface 14A. The end guide surface 15A guides the plug connector 2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in the connector fitting process.

또한, 측방 안내면(14A)과 단부 안내면(15A)의 사이에는, 하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 커넥터 폭방향 안쪽 및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경사하는 모퉁이 안내면(1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모퉁이 안내면(10A)의 상연 및 하연은, 측방 안내면(14A) 및 단부 안내면(15A)의 상연 및 하연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당해 모퉁이 안내면(10A)은,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커넥터 폭방향 및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안내한다. Between the lateral guide surface 14A and the end guide surface 15A, there is formed a corner guide surface 10A which is inclined downward inward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inward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s it is directed downward. 1, the upper edge and lower edge of the corner guide surface 10A ar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dge and lower edge of the lateral guide surface 14A and the end guide surface 15A. The corner guide surface 10A guides the plug connector 2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the connector length direction in the receiving portion 16 in the connector fitting process.

도 2(A)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 도 2(A), 도 2(B)에서는, 커넥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좌반부에서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고, 우반부의 하방 위치에서 당해 우반부에 보유지지되는 보강 금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A), 도 2(B)의 좌반부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비해 단자끼리의 간격 및 단자와 보강 금구의 간격을 크게 하여 나타내고 있다. Fig. 2 (A)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of Fig. 1, Fig. 2 (B) Fig. 2 (A) and 2 (B) show the cross-section of the housing at the center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showing the state where the housing is omitted from the left half, As shown in Fig. In FIG. 2 (A) and FIG. 2 (B),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einforcing metal are larger than those in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하, 도 1, 도 2(B) 및 도 5(A)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는, 띠 형상의 금속판 조편을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하우징의 저벽(11)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21)와, 당해 기부(21)의 돌출벽(12)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기부(21)의 측벽(14)측의 단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나서 하방을 향하여 꺾여진 역 U자 형상의 피보유지지부(23)와, 당해 피보유지지부(23)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24)를 갖고 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 2 (B) and 5 (A).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is formed by bending a band-shaped metal plate piec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includes a base portion 21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long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A signal contact arm portion 22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n the side of the wall 12 and an inverted U-shaped portion 22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base 21 on the side of the side wall 14 and then bent downward And a connecting portion 24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mpensated holder portion 23 toward the outside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도 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21)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수용부(16)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저벽(11)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당해 기부(21)는,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그 상면이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저벽(11)의 저공부(11A)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그 하면이 회로 기판측으로 노출하고 있다. 또한, 기부(21)는, 그 긴 쪽 방향(커넥터 폭방향)에서 돌출벽(12)측의 부분이 폭협부(幅狹部)로서 형성되고, 측벽(14)측의 부분이 당해 폭협부보다도 단자폭(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이 넓은 폭광부(幅廣部)로서 형성되어 있다. 5A, the base portion 21 extends over a range includ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is held on the bottom wall 11 by integral molding have. The base 21 exposes its top surface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and its bottom surface is exposed toward the circuit board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11A of the bottom wall 11. [ The portion of the base 21 on the side of the protruded wall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or width direction) is formed as a width-wise portion (widthwise portion), and the portion on the side wall 14 side And the terminal width (dimens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s a wide width portion (wide portion).

도 4에서 파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부(21)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상기 폭광부가 저벽(11)의 저공부(11A)의 대부분의 범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상기 폭협부가 저공부(11A)의 잔부의 범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부(21)의 폭협부 및 폭광부는, 그 단자폭이 저벽(11)의 저공부(11A)보다도 커져 있고, 당해 기부(21)의 양측 단면 그리고 양측 연부(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에서의 하면(판면)이 저벽(11)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기부(21)의 양측 단면(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단면)과 저벽(11)의 사이에는 극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저공부(11A)는, 그 상단 개구가 기부(21)의 하면에 의해 덮여 폐색되어 있다. 또한, 저공부(11A)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기부(21)의 측연부의 판면이 저벽(11)에 보유지지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적어도 기부(21)의 양측 단면만이 보유지지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기부(21)의 측단부의 판면이 저벽(11)에 보유지지되는 경우, 측단부의 상면만, 혹은 하면 및 상면의 양방이 보유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4, the base 21 is positioned such that the thickened portion corresponds to most of the region of the bottom 11A of the bottom wall 11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11A). The width and width of the base 21 ar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11A of the bottom wall 11 so that both ends of the base 21 and both side edges (Flat surface) of the bottom wall 11 is held by the bottom wall 11. [ Therefore, there is no gap between both side surfaces (side end surfaces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21 and the bottom wall 11, so that the bottom end opening of the bottom portion 11A It is covered and covered by the lower surface.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plate surface of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1 be held on the bottom wall 11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reservoir 11A and if at least both end faces of the base portion 21 are held good. Further, when the plate surface of the side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1 is held by the bottom wall 11,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end portion, or both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held.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돌출벽(12)의 신호 단자용 홈부(12A) 안에 수용되어 있고, 그 판두께 방향(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그 하부가 기부(21)와 동일한 폭 치수(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부가 하부보다도 작은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그 자유단측인 상단측 부분이 측벽(14)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여,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와 접촉하기 위한 신호 접촉 돌기부(22A)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5(B) 참조).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자유 상태에서, 신호 접촉 돌기부(22A)의 만곡 정부가 하우징(10)의 신호 단자용 홈부(12A)로부터 돌출하여 수용부(16) 안에 위치하고 있다(도 5(A) 참조). The signal contact arm portion 22 is accommodated in the signal terminal groove portion 12A of the protruding wall 12 and is elastically displaceabl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connector width direc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signal contact arm portion 22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dimension (the dimens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base portion 21,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dimension than the lower portion. The signal contact arm portion 22 has a free end side upper end portion curved convexly toward the side wall 14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lug signal terminal 60 of a plug connector 2 And is formed as a contact protruding portion 22A (see Fig. 5 (B)). The signal contact arm portion 22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6 so that the curved portion of the signal contact protruding portion 22A protrudes from the signal terminal groove portion 12A of the housing 10 in the free state A)).

피보유지지부(23)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21)의 측벽(14)측의 단부로부터 당해 측벽(14)의 내면을 따라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측 아암부(23A)와, 당해 내측 아암부(23A)의 상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당해 내측 아암부(23A)보다도 커넥터 폭방향 외측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이행부(23B)와, 당해 이행부(23B)를 거쳐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아암부(23C)를 갖고 있고, 측벽(14)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2, an inner arm portion 23A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base 21 on the side of the side wall 14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A transition portion 23B continuously bent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arm portion 23A toward the lower side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oute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inner arm portion 23A and an extension portion 23B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transition portion 23B And is held on the side wall 14 by integral molding.

내측 아암부(23A)는,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판면이 노출하고 있고, 당해 판면으로부터 직사각형 형상으로 파인 로크 요(凹)부(23A-1)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로크 요부(23A-1)는,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폭 치수(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는 내측 아암부(23A)의 폭 치수보다 작아져 있다. 당해 로크 요부(23A-1)는,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피로크단차부(61A-1)에 계지함으로써, 커넥터 감합 상태를 유지하여 커넥터끼리의 누락을 방지함과 함께, 당해 피로크단차부(61A-1)와의 계지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상기 신호 접촉 돌기부(22A)를 보조하는 역할도 행한다(도 5(B) 참조). The inner arm portion 23A has a plate surface ex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and a lock recessed portion 23A-1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rom the plate surface is formed. The lock recess 23A-1 is formed, for example, by press working, and its width dimension (dimension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inner arm portion 23A. The lock recessed portion 23A-1 is engaged with the firing step portion 61A-1 of the plug signal terminal 60 of the plug connector 2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connector fitting state is maintained, (See FIG. 5 (B)) by mak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contact with the tapered step portion 61A-1 at the time of engagement with the tapered step portion 61A-1.

이행부(23B)는,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고, 당해 이행부(23B)의 상면이 측벽(14)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외측 아암부(23C)는, 측벽(14)으로부터 노출하는 일 없이 당해 측벽(14) 안에 매설 보유지지되고 있다(도 5(A)도 참조). 당해 외측 아암부(23C)는, 도 2(B)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작은 폭 치수(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The transition portion 23B is convexly curved upwar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ition portion 23B is exposed from the side wall 14. [ The outer arm portion 23C is buried and held in the side wall 14 without being exposed from the side wall 14 (see also Fig. 5 (A)). 2 (B), the outer arm portion 23C is formed with a lower width portion (a dimension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smaller than the other portion.

접속부(24)는, 기부(21)보다도 하방 위치에서, 외측 아암부(23C)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에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당해 접속부(24)는,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납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24 extends linearly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arm portion 23C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o almost the same position a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base portion 21, Is exposed from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10). The connecting portion 24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ignal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by soldering.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접속부(24)의 첨단 위치를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로 함으로써,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대형화가 회피되고 있다. 또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24)끼리 사이의 위치에서는 하우징(10)의 저벽(11)에 저홈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납땜 접속시에서, 용융 땜납이 저홈부(11B) 안으로 유입됨으로써, 접속부(24)의 양측 단면(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대하여 납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당해 접속부(24)에서 납땜 접속 가능한 부분의 면적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y making the leading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4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the siz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is avoided have. Further, as already described, at the posi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24,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the low groove portion 11B. Therefore, at the time of soldering connection, the molten solder flows into the low-trench portion 11B, so that it can be soldered to both end surfaces (side surfaces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24. [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ly large area of the solderable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24 while avoiding enlargement of the connector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다음으로, 도 1 및 도 2(B)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하우징(10)을 보강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 나아가서는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단,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 그리고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Next, the structure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has not only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housing 10, but also a function as a lock metal and a function as a power supply terminal as described later. However,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has a function as a lock metal and a function as a power supply terminal.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방으로부터 봐서, 단부벽(15)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과, 돌출벽(12)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과, 두 개의 측벽(14)의 각각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과, 수용부(16)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대별된다.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s formed by bending the metal plate member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includes a portion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end wall 15 and a portion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projecting wall 12, A portion provided at each position of the two side walls 14 and a portion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있어서의, 단부벽(15)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은, 당해 단부벽(15)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와, 당해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와, 당해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를 거쳐 단부벽(15)의 외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와,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양단 가까운 위치에서 당해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 고정부(34)를 갖고 있다. The portion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end wall 15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ncludes an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And an end wall 15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via the end wall top reinforcing portion 32. The end wall 15 is formed with a through- End side inner surface reinforcement portion 31 at a position near both ends of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ement portion 31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an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ement portion 31 toward the outside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34).

단부벽 내면 보강부(31)는, 하반부가 커넥터 폭방향으로 단부벽(15)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상반부가 상기 하반부 커넥터 폭방향 중앙영역에서 당해 하반부의 상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판면은, 단부벽(15)의 내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노출하고 있다.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상반부와 동일한 폭 치수(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상반부에 연속하여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여, 그 상면이 단부벽(15)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는,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와 동일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에 연속하여 연장되어, 그 판면이 단부벽(15)의 외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 및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가 각각 단부벽(15)의 내면 그리고 상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발 과정에서, 당해 단부벽(15)의 내면 그리고 상면이 플러그 커넥터(2)와의 간섭에 의해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ottom wall inner reinforcement portion 31 has a lower half portion extending over the entirety of the end wall 15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an upper half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half of the lower half portion in the widthwise middle region of the lower half connector. As shown in Figs. 1 and 2 (B), the plate surface of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slightly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and is exposed. The end wall top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2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dimension (dimens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s the upper half portion of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and is curved convexly upward continuously in the upper half portion , And the upper surface slightly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The end wall side compensated portion 33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end wall top reinforcing portion 32 and extends continuously to the end wall top reinforcing portion 32, Slightly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5. Since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ement portion 31 and the end wall top surface reinforcement portion 32 cover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connector 2 from being damaged by interference with the plug connector 2.

단부 고정부(34)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전원 회로부와 납땜 접속되어 고정된다. 당해 단부 고정부(34)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단부벽(15)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부 고정부(34)의 첨단 위치를 단부벽(15)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로 함으로써,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대형화가 회피되고 있다. 1, the end fixing portion 34 is exposed from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10 and is soldered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t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end fixing portion 34 extends substantially in the same position as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By thus positioning the tip end of the end fixing portion 34 substantially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the siz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avoided.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있어서의, 돌출벽(12)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벽(12)의 기립면으로서의 단면(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와, 당해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와, 당해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를 거쳐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37)와, 후술의 연출부(延出部; 43)로부터 돌출벽(12)의 전원 단자용 홈부(12B) 안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원 접촉 아암부(44)를 갖고 있다. 1, the portion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which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projecting wall 12 has a cross section as a rising surface of the projecting wall 12 A protruding wall top face reinforcing portion 3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protruding wall cross-sectional reinforcing portion 35 and a protruding wall top face reinforcing portion 36 bent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protruding wall cross- A protruding wall side flared portion 37 extending downward through a portion 36 extending upward from the extending portion 43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ower terminal groove portion 12B of the protruding wall 12 And has a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돌출벽 단면 보강부(35) 및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는, 돌출벽(12)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음과 함께, 각각의 판면이 돌출벽(12)의 단면 그리고 상면(꼭대기면)과 동일 레벨면을 이루어 노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벽 단면 보강부(35) 및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가 각각 돌출벽(12)의 단면 그리고 상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발 과정에서, 돌출벽(12)의 단면 그리고 상면이 플러그 커넥터(2)와의 간섭에 의해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otruding wall cross-section reinforcing portion 35 and the protruding wall top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6 are held by the protruding wall 12 and the respective plate surfaces are supported by the end surface of the protruding wall 12 and the upper surface ) And the same level surface. Since the protruding wall end face reinforcing portion 35 and the protruding wall top face reinforcing portion 36 cover the end face and the upper face of the protruded wall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and the upper surfa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interference with the plug connector 2. [

전원 접촉 아암부(44)는, 리셉터클 단자(20)의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동일한 열을 이루어 위치하고, 판두께 방향(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 변위하여, 후술의 플러그 보강 금구(70)에 설치된 대응 전원 접촉부로서의 내측 판부(73)(도 2(A) 참조)와 접압을 갖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5(B) 참조). 당해 전원 접촉 아암부(44)는, 그 자유단측인 상단측 부분이 측벽(14)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여, 그 볼록하게 만곡한 부분이 상기 내측 판부(73)와 접촉하기 위한 전원 접촉 돌기부(44A)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원 접촉 아암부(44)는, 자유 상태에서는, 전원 접촉 돌기부(44A)의 만곡 정부가 하우징(10)의 전원 단자용 홈부(12B)로부터 돌출하여 수용부(16) 안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접촉 아암부(44)는 생략된다.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is located in the same row as the signal contact arm portion 22 of the receptacle terminal 20 and is elastically displaced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connector width direction) (See Fig. 5 (A)) serving as a corresponding power source contact portion provided in the main body (see Fig.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has an upper end portion on its free end side curved convexly toward the side wall 14 and a convexly curved portion for contacting the inner side plate portion 73 44A. In the free state of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the curved portion of the power contact protruding portion 44A protrudes from the power terminal groove portion 12B of the housing 10 and is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In the case where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s not provided with a function as a power source terminal,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is omitted.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있어서의, 측벽(14)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은,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하반부의 커넥터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측벽(14)을 따라서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측벽측 피보유지지부(39)와, 당해 측벽측 피보유지지부(39)의 상연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이행부(40)와, 당해 이행부(40)를 거쳐 측벽(14)의 내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크판부(41)와, 측벽측 피보유지지부(39)의 하연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측방 고정부(42)를 갖고 있다. The portion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side wall 14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extends from both ends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half of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to extend inward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ide wall 14 A transition portion 40 bent down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sidewall side flared portion retaining portion 39 to be bent down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via the transition portion 40, And a lateral fixing portion 42 extending out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side wall side fired portion holder 39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측벽측 피보유지지부(39)는, 측벽(14)에 매설 보유지지되어 있다. 이행부(40)는,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고,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측벽(14)의 상면과 동일 레벨면을 이루어 노출하고 있다. 로크판부(41)는, 수용부(16)측에 위치하는 판면이 측벽(14)의 내면으로부터 노출한 상태로 당해 측벽(14)에 보유지지되어 있고, 그 노출한 판면으로부터 직사각형 형상으로 파인 로크 요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크판부(41)를 생략해도 좋다. The side wall side compensated portion retaining portion 39 is embedded and held in the side wall 14. As shown in FIG. 1,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ition portion 40 is exposed at the same leve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as shown in FIG. The lock plate portion 41 is held by the side wall 14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surface located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6 is expo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From the exposed plate surface, A concave portion 41A is formed. When the function as a lock metal is not provided in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the lock plate portion 41 may be omitted.

측방 고정부(42)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전원 회로부와 납땜 접속되어 고정되고, 후술의 전원 단자(45)를 위한 접속부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당해 측방 고정부(42)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측방 고정부(42)의 첨단 위치를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로 함으로써,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대형화가 회피되고 있다. 또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측방 고정부(42)와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의 사이의 위치에는 하우징(10)의 저벽(11)에 저홈부(11B)가 형성되어 있어, 납땜 접속시에서, 용융 땜납이 저홈부(11B) 안으로 유입되어 측방 고정부(42)의 측단면에 대하여 납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결과,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당해 접속부(24)에서 납땜 접속 가능한 부분의 면적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1, the side fixing portion 42 is exposed from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10 and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by soldering, And has a function as a connection portion for the terminal 45. Fig. The side fixing portion 42 is extended to the substantially same position a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4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by making the leading end of the side fixing part 42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outer side of the side wall 14, the siz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is avoided have. A bottom groove 11B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10 at a position between the side fixing portions 4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at the time of solder connection, the molten solder flows into the low-trench portion 11B and is solderable to the side end face of the lateral fixing portion 42. [ As a resul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area of the portion that can be solder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24 while avoiding enlargement of the connector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있어서의, 수용부(16)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은, 저벽(11)을 따라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벽 내면 보강부(31) 및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의 하단부끼리를 연접하는 연접 저부(38)(도 6(A), 도 6(B)도 참조)와, 저벽(11)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원 접촉 아암부(44) 및 로크판부(41)의 하단부끼리를 연접하는 연출부(43)를 갖고 있다. 연접 저부(38) 및 연출부(43)는, 그 상면이 수용부(16)에 노출한 상태에서 당해 저벽(11)에 보유지지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출부(43)를 생략해도 좋다. The portion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bracket 30 which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extends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bottom wall 11 and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and the projecting wall cross- (See also Figs. 6 (A) and 6 (B)) for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s 44 and 35 to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s 44 And a leading portion 43 connecting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lock plate portion 41 to each other. The concave bottom portion 38 and the extended portion 43 are held by the bottom wall 11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exposed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In the case where the function as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not provided in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the extended portion 43 may be omitted.

연출부(43)는, 로크판부(41)와 동일한 단자폭 치수로 당해 로크판부의 하연으로부터 돌출벽(12)측을 향하여 연출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전원 단자용 홈부(12B)와 동위치에서, 연출부(43)의 돌출벽(12) 가까이의 연부(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전원 접촉 아암부(44)가 연장되어 있다. 이하, 연출부(43)와 전원 접촉 아암부(44)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전원 단자(45)」라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단자(45)가,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를 대신하여, 전원 단자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만들어져 있어도 좋다. The extended portion 43 is directed from the lower edge of the lock plate portion toward the side of the projection wall 12 with the same terminal width dimension as the lock plate portion 41. [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protruding wall 12 at the same position as the power supply terminal groove 12B of the protruding wall 12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edge portion extending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is extended. Hereinafter, the portion comprising the extended portion 43 and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is referred to as a " power source terminal 45 ".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s described in which the power supply terminal 45 is formed as a part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terminal may be formed as a member separate from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

연출부(43)는, 전원 단자(45)의 기부를 이루고 있다. 당해 연출부(43)는, 이미 서술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와 동일하게, 커넥터 폭방향에서 수용부(16)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에 대해서는 도 5(A), 도 5(B) 참조). 또한, 도 4에서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출부(43)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저공부(11A)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연출부(43)의 양측 단면 그리고 양측 연부(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에서의 하면(판면)이 저벽(11)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연출부(43)의 양측 단면(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단면)과 저벽(11)의 사이에는 극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상기 두 개의 저공부(11A)의 상단 개구는, 하나의 연출부(43)의 하면에 의해 덮여 폐색되어 있다. The extended portion 43 constitutes the base portion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45. The extended portion 43 extends over a range includ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16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same as the base portion 21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described previously)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5 (A) and 5 (B)). 4, the extended portion 43 is formed so as to include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two bottoms 11A located at both end regions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xtended portion 43 And the lower surface (flat surface) at both side edges (the edge portion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wall 11 are held by the bottom wall 11. Therefore, there is no gap between both side faces (side end faces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of the extended portion 43 and the bottom wall 11, and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two bottomed portions 11A, (43).

이상의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1)는, 이하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우선,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배열한다. 다음으로, 당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를, 상방으로부터 맞물려지는 금형(「상측 금형」이라 함)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맞물려지는 금형(「하측 금형」이라 함)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눌러 고정한다. 이때, 상측 금형 및 하측 금형은,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 그리고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연출부(43)의 각각의 상면 및 하면을 끼워 잡듯이 누른다. The receptacle connector 1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manufactured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re arranged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Next,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old (referred to as " lower mold ") which is engaged from above and from below by a mold And press down from below. At this time,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pressed while hold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21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extended portion 43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30, respectively.

그런데, 동일한 단자폭의 복수의 단자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하우징으로 보유지지하는 경우, 종래에서는, 일체 성형시에서 단자를 금형으로 누를 때, 모든 단자는, 각각 동일한 면적을 갖고 1개소에서 눌러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일부의 단자의 기부가 다른 단자의 기부보다도 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일부의 단자의 기부의 1개소를, 상기 다른 단자의 기부에서의 누름 면적(금형으로 누를 수 있는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누르는 것으로 하면, 일체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의 단자의 자세가 불안정이 되어 버린다. However,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having the same terminal width are held by a housing by integral molding, conventionally, when terminals are pressed by a mold at the time of integral molding, all the terminals have the same area and are pressed at one place There are many cases. However, when a base portion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wider than a base portion of the other terminal, on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of the part of the terminal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surface of the base portion of the other terminal Area), the posture of the part of the terminals becomes unstable at the time of the integral molding of the mold.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연출부(43)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보다도 폭이 넓지만, 당해 연출부(43)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소)에서 금형에 의해 눌러져, 그 누름 면적은 두 개의 저공부(11A)의 합계 면적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폭이 넓은 연출부(43)를 하나의 저공부(11A)의 면적을 갖고 1개소에서 누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누르는 개소수가 증가하고, 또한, 누름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일체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The extending portion 43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s wider than the base portion 21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but the extending portion 43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is embodiment, two portions are pressed by the mold, and the pressing area thereof is almost the same as the total area of the two bottoms 11A.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wide extended portion 43 is pressed at one place with the area of one bottom 11A, the number of the pressed portions increases and the pressing area becomes wider. Therefore, The posture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30 can be more stabiliz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벽(11)은, 연출부(43)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 개)의 저공부(11A) 이외의 범위에서 폐색되어 있어, 당해 연출부(43)가 당해 저벽(11)에 보유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일체 몰드 성형시에서의 큰 누름 면적 그리고 단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출부의 거의 전역에 걸치는 영역에서 저벽에 저공부가 형성되게 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연출부(43)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하우징(10)의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ttom wall 11 is closed in a range other than a plurality (two in this embodiment) of the bottoms 11A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portion 43, and the extending portion 43 Is held on the bottom wall 11. [0033]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in which the bottom wall is formed in the region extending over almost the entire region of the extended portion in order to secure the large pressing area and the stability of the terminal at the time of the integral molding, The strength of the housing 10 can be increased.

다음으로, 조합된 상하 두 개의 금형 안에 수지를 주입하고,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를 하우징(10)과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당해 하우징(10)에 보유지지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커넥터 전체로 보았을 때에, 거의 등간격의 복수 위치에서 금형에 의해 눌러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수지를 흘려 넣을 수 있다. Next, the resin is injected into the two upper and lower molds, and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re integrally molded with the housing 10 to be held by the housing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re pushed by the mold at a plurality of substantially equally spaced positions when viewed from the whole of the connector, the resin is uniformly poured over the entire connector .

일체 몰드 성형 후, 상측 금형 및 하측 금형을 각각 상방 그리고 하방으로 이동하여 발거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가 완성한다. 이 때, 하측 금형의 하방으로의 발거에 의해, 도 5(A),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단자용 홈부(12A, 12B)보다도 외측에서 저벽(11)에 저공부(11A)가 형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끼리 사이의 위치 그리고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측방 고정부(42)와 접속부(24)의 사이의 위치에는 저홈부(11B)가 형성된다. After the integral molding,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respectively moved upward and downward to be ejected, thereby completing the receptacle connector 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5 (A) and 5 (B), the protruding wall 12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t the terminal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 depression 11A is formed on the bottom wall 11 on the outer side of the terminal groove portions 12A and 12B. A low groove portion 11B is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24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at a position between the side fixing portion 42 and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벽(12)의 단자용 홈부(12A, 12B)는, 당해 돌출벽(12)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돌출벽(12)의 상면(꼭대기면) 위치에서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금형을 상방으로부터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단자용 홈부(12A, 12B)를 갖는 돌출벽(12)을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당해 단자용 홈부(12A, 12B)에 대응하는 범위에, 환언하면, 당해 단자용 홈부(12A, 12B)에 수용되는 리셉터클 단자(20, 45)의 접촉 아암부(22, 44)에 대응하는 범위에 저벽(11)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groove portions 12A and 12B of the protruding wall 12 are formed over the entire standing range of the protruding wall 12, and the protruding wall 12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top surface And is opened upward. Therefore, the projecting wall 12 having the terminal groove portions 12A and 12B can be formed by moving the upper mold from above. 12B accommodated in the corresponding terminal groove portions 12A, 12B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t the terminal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bottom wall 11 can be formed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s 22,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실장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측방 고정부(42)를 실장면에 납땜 접속할 때, 용융한 땜납이 하우징(10)의 저벽(11)과 상기 실장면의 사이를 리셉터클 단자(20, 45)의 접촉 아암부(22, 44)측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아암부(22, 44)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는 저벽(11)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 땜납이 상기 접촉 아암부의 표면을 기어 올라가는 일은 없다. When the receptacle connector 1 is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side fixing portion 42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re soldered to the mounting surface, A solder tends to flow between the bottom wall 11 of the housing 10 and the mounting surface toward the contact arm portions 22 and 44 of the receptacle terminals 20 and 45. [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ottom wall 11 is closed in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s 22 and 44, the molten solder does not climb up the surface of the contact arm portion.

또한, 저벽(11)에는 저공부(11A)가 형성되어 있지만, 모든 저공부(11A)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 혹은 리셉터클 전원 단자(45)의 연출부(43)에 의해 상단 개구가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한 땜납이 상기 실장면측으로부터 저공부(11A) 안으로 유입되는 일이 있어도, 당해 땜납은 상기 기부(21) 그리고 연출부(43)의 저면에 의해 그 이상의 진행이 저지되어, 당해 저공부(11A) 안에 머무르기 때문에, 접촉 아암부(22, 44)측에 기어 올라가는 일이 없다. All the bottoms 11A are formed by the base 21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or the extending portion 43 of the receptacle power supply terminal 45 The upper opening is closed so that even when the molten solder flows into the depressions 11A from the mounting surface side, the solder is further advanc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21 and the extending portion 43 So that it does not climb to the side of the contact arm portions 22 and 44 because it is held in the holding portion 11A.

또한, 커넥터 실장 후에 납땜 접속 부분에 코팅제가 도포된 경우에도, 전술한 땜납의 경우와 동일하게, 당해 코팅제가 접촉 아암부(22, 44)측에 기어 올라가는 일이 저지된다. 이 결과, 땜납이나 코팅제가 접촉 아암부(22, 44)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 아암부(22, 44)의 탄성 변위 상태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Further, even when the coating agent is applied to the solder connecting portion after the connector is mounted, the coating agent is prevented from climb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s 22 and 44 side,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solder described abov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lder or the coating agent from adher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s 22 and 44, thereby satisfactorily securing the elastic contact state of the contact arm portions 22 and 44 with the mating terminal.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 [Configuration of plug connector 2]

다음으로, 도 1, 도 2(A), 도 3 및 도 5에 기초하여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2)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은 도 3(A)의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50)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lug connector 2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 2A, 3, and 5. Fig. 3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nector 2 shown in Fig. 1, which is inverted upside down. Fig. 3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ug connector 2 of Fig. .

플러그 커넥터(2)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부(16)에 적합한 틀 형상의 감합부(도 3(A) 참조)를 갖고 있고, 당해 감합부를 수용부(16) 안으로 끼워넣음으로써, 커넥터(1, 2)끼리가 감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50)과,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커넥터 길이 방향(하우징(50)의 긴 쪽 방향)으로 당해 하우징(50)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플러그 신호 단자(60) 및 플러그 보강 금구(70)를 갖고 있다. The plug connector 2 has a frame-shaped fitting portion (see FIG. 3A) suitable for the receiving portion 16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By fitting the fitting portion into the receiving portion 16, The connectors 1 and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ug connector 2 is connected to the housing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of the housing 50) parallel to the housing 50 of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outer shape and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50 having a plurality of plug signal terminals 60 and a plug reinforcement member 70 arranged and held by integral molding.

하우징(50)은,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 대상면인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면을 갖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벽(51)과, 당해 저벽(51)으로부터 하방(도 3(A)에서는 상방)으로 기립하는 감합부로서의 둘레벽(5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53)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54)과, 당해 두 개의 측벽(5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하우징(50)의 짧은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단부벽(55)을 갖고 있다. 둘레벽(53)에 의해 둘러싸여 도 1에서의 하방(도 3(A)에서는 상방)으로 개구한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벽(1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6)(도 3(A)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housing 50 has a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not shown), which is a mounting surface,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a circumferential wall 53 as an engaging portion rising from the bottom wall 51 downward (upward in Fig. 3 (A)). The peripheral wall 53 includes two side walls 54 extending in the arranging direc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pair of side walls 54 connecting the end portions of the two side walls 54 to each other in a connector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50)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peripheral wall 53 and opened downward in Fig. 1 (upward in Fig. 3 (A)) corresponds to a space 56 (also shown in Fig. 3A) for accommodating the protruding wall 12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3 (A)).

저벽(51)은, 도 1 및 도 3(A)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측벽(54)의 전역에 걸쳐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장출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장출부(51A)는, 리셉터클 단자(20)의 이행부(23B)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이행부(40)에 대응하여 위치해 있다(리셉터클 단자(20)의 이행부(23B)와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 5(B) 참조). 도 3(A)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장출부(51A)의 상면은, 후술하는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접속부(62) 및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측방 고정부(74)의 상면보다도 높게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장출부(51A)를 설치함으로써, 접속부(62) 및 측방 고정부(74)의 땜납 실장시에서, 용융 땜납이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흐르려고 해도, 장출부(51A)의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 의해 그 이상의 진행이 저지된다. 즉, 커넥터 폭방향에서 상기 이행부(23B, 40)에 대응하는 위치에 용융 땜납이 유입되는 일이 없다. The bottom wall 51 is formed with a protrusion 51A that protrudes outward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ide wall 54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s seen in Figs. 1 and 3A have. The projecting portion 51A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ition portion 23B of the receptacle terminal 20 and the transition portion 40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transition portion 23B of the receptacle terminal 20) 5 (B)). 3 (A),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51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62 of the plug signal terminal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ide fixing portion 74 of the plug reinforcing member 70, As shown in Fig. Even when the molten solder tries to flow inward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solder mounting of the connecting portion 62 and the side fixing portion 74 by providing the protruding portion 51A having such a shape, (I.e.,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That is, molten solder does not flow into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ransition portions 23B and 40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종래,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리셉터클 단자의 이행부와 대응하는 범위에 하우징 부분을 갖지 않고, 땜납 실장시에 상기 범위에 용융 땜납이 유입되어 버리는 것에 기인하여, 커넥터 감합시, 상기 범위에서 고체화 한 땜납이 상기 이행부와 간섭할 우려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장출부(51A)에 의해, 상기 범위에 용융 땜납이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기 때문에, 커넥터 감합시, 고체화 한 땜납이 상기 이행부(23B, 40)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the plug connector does not have a housing portion in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transition portion of the receptacle terminal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because the molten solder flows into the above range at the time of solder mount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older interferes with the transition por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olten sold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above range by the projecting portion 51A of the housing 50 as described above, the solder solidified at the time of fitting the connecto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transition portions 23B, 40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플러그 신호 단자(6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50)의 중앙 가까이 범위에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대칭인 2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 신호 단자(60)는, 띠 형상의 금속판 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2(A) 및 도 3(B)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에 보유지지되는 U자 형상의 U자 형상부(61)와, 당해 U자 형상부(61)의 두 개의 아암부 중 수용부(56)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아암부(후술의 내측 아암부(61C))의 도 2(A)에서의 상단(도 3(B)에서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62)를 갖고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60)는, U자 형상부(61)에서, 하우징(50)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The plug signal terminals 60 are provided in two rows symmetrical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within a range near the center of the housing 50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g signal terminal 60 is formed by bending a strip-shaped metal plate piec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s shown in FIGS. 2A and 3B, the plug signal terminal 60 is held on the side wall 54 Shaped U-shaped portion 61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6 out of the two arm portions of the U-shaped portion 61 (the inner arm portion 61C described later) (Lower end in Fig. 3 (B)) in Fig. 2 (A) of Fig. 2,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ignal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The plug signal terminal 60 is held in the U-shaped portion 61 by integral molding with the housing 50.

U자 형상부(61)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내측 아암부(23A)의 사이에 돌입하는 부분이며, 측벽(54)을 하방(도 3(A), 도 3(B)에서의 상방)에서부터 걸치도록 하여 당해 측벽(54)에 매설되어 있다. 당해 U자 형상부(61)는, 도 2(A)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아암부(61A)와, 당해 외측 아암부(61A)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내측 위치에서 상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이행부(61B)와, 당해 이행부(61B)를 거쳐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측 아암부(61C)를 갖고 있다.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U자 형상부(61)의 치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기부(22A)와 당해 신호 접촉 돌기부(22A)에 대향하는 내측 아암부(23A)의 판면과의 간격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The U-shaped portion 61 is a portion protruding between the signal contact arm portion 22 and the inner arm portion 23A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in the connector fitted state, (Upper side in Fig. 3 (A) and Fig. 3 (B)) and is embedded in the side wall 54. 2 (A), the U-shaped portion 61 includes an outer arm portion 61A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and an outer arm portion 61A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arm portion 61A. A transition portion 61B which is bent upward from an inner side posi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61B and an inner side arm portion 61C which extends upward through the transition portion 61B. The dimension of the U-shaped portion 61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is set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ignal contact protruding portion 22A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inner arm portion 23A facing the signal contact protruding portion 22A Which is slightly larger than the interval.

U자 형상부(61)의 외측 아암부(61A)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하고 있다. 그 노출한 판면에는, 당해 판면의 상부가 파여 형성된 단차 형상을 이루어 당해 외측 아암부(61A)의 폭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로크단차부(61A-1)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피로크단차부(61A-1)가 리셉터클 단자(20)의 로크 요부(23A-1)와 계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행부(61B)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이행부(61B)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이 측벽(54)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내측 아암부(61C)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56)측의 판면이 측벽(54)의 내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그 노출한 판면이,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기부(22A)와 접압을 갖고 접촉하는 대응 신호 접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outer arm portion 61A of the U-shaped portion 61 is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As shown in Fig. The exposed plate surface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61A-1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arm portion 61A and having a stepped shap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surface is folded. 1 is engaged with the lock recessed portion 23A-1 of the receptacle terminal 20. [0064]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A, the transition portion 61B extends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the lower surface (the upper surface in Fig. 3A) of the transition portion 61B is exposed from the side wall 54 have. 3A, the plate surface on th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56 is expo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of the inner arm portion 61C, And is formed as a corresponding signal contact portion which contacts and contacts the signal contact protruding portion 22A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

접속부(62)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아암부(61C)의 상단으로부터 저벽(51)의 저면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우징(50) 바깥으로 연출되어 있고(도 1 참조),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납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2A, the connecting portion 62 extends stra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arm portion 61C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wall 51, 50) (refer to Fig. 1), and can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ignal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by soldering.

플러그 보강 금구(70)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대응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10)의 각 단부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 보강 금구(70)는, 하우징(50)을 보강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와 로크하는 로크 기능, 나아가서는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전원 접촉 아암부(44)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단, 플러그 보강 금구(70)에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 그리고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1, one end of the plug reinforcing metal plug 70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housing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 The plug reinforcing metal fitting 70 not only functions to reinforce the housing 50 but also has a function of locking with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nd a function of locking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nd has a function as a power supply terminal to be brought into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plug reinforcement member 70 has a function as a lock metal and a function as a power supply terminal.

플러그 보강 금구(7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측벽(54)의 외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측 판부(71)와, 당해 외측 판부(71)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이행부(72)와, 당해 측방 이행부(72)를 거쳐 측벽(54)의 내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판부(73)와, 당해 내측 판부(73)의 상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측방 고정부(74)와,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두 개의 내측 판부(7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75)와, 연결부(75)의 하연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 외측 위치에서 상방을 향하여 꺾여진 단부 이행부(76)와, 당해 단부 이행부(76)를 거쳐 단부벽(55)의 외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부 피보유지지부(77)와, 연결부(75)의 상연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 고정부(78)를 갖고 있다. 2 (A), an outer side plate portion 71 extend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of the housing 50, and an outer side plate portion 71 extending alo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54 of the housing 50, A lateral transition portion 72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plate portion 71 toward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an inner plate portion 73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via the lateral transition portion 72 A lateral fixing portion 74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portion 73 to the outside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 connecting portion 75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two inner plate portions 73, An end transition portion 76 bent upward from an outer side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dge of the connection portion 75 and an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end wall 55 extending upwar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wall 55 via the end transition portion 76, (77),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From the end portion has a fixing portion (78) extending towards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외측 판부(71)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하고 있고, 그 노출한 판면에는, 당해 판면의 상부가 파여 형성된 단차 형상을 이루어 당해 외측 판부(71)의 폭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로크단차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로크단차부(71A)는,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외측 아암부(61A)의 피로크단차부(61A-1)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로크단차부(71A)는, 리셉터클 커넥터(1)와의 감합 상태에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로크 요부(41A)와 서로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A), the outer side plate portion 71 has a plate surface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and the exposed plate surface has a stepped shap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surface is dug A tapered step portion 71A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ide plate portion 71 is formed. The tapered step portion 71A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tapered step portion 61A-1 of the outer arm portion 61A of the plug signal terminal 60. [ The fulcrum stepped portion 71A is locked with the lock recessed portion 41A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n the state of fitting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1. [

측방 이행부(72)는, 측벽(54)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측방 이행부(72)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이 측벽(54)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도 3(A) 참조). 내측 판부(73)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내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하고 있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전원 접촉 아암부(44)와 접압을 갖고 접촉하는 대응 전원 접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The side shifting portion 72 extends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upper surface in FIG. 3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shifting portion 72 (upper surface in FIG. And exposed from the side wall 54 (see Fig. 3 (A)). 3A,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ide plate portion 73 is expos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and has a contact pressure with the power source contact arm portion 44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nd is formed as a corresponding power source contact portion to be contacted.

측방 고정부(74)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판부(73)의 상단(도 3(A), 도 3(B)에서는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도 1 및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50) 바깥으로 연출되어 있어,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side fixing portion 74 extends outward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plate portion 73 (lower end in FIGS. 3A and 3B) as seen in FIG. 2A, As shown in Figs. 1 and 2A, is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50,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by soldering.

연결부(75)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갖고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기부(75A)와, 당해 연결 기부(75A)의 양단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 단부(75B)를 갖고 있다. 당해 연결부(75)는, 단부벽(55)에 매설 보유지지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A, the connecting portion 75 includes a connecting base portion 75A having a plat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a connecting base portion 75A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ase portion 75A And has a connecting end portion 75B which is bent and extends inward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75 is buried and held in the end wall 55.

단부 이행부(76)는, 단부벽(55)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단부 이행부(76)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의 일부가 단부벽(55)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도 3(A) 참조). 단부 피보유지지부(77)는, 단부벽(55)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도 1 및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벽(55)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하고 있다. 단부 고정부(78)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저벽(51)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그 상면(도 3(A)에서는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납땜 접속되어 고정된다. The end transition portion 76 extends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wall 55 (upper surface in FIG. 3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transition portion 76 (upper surface in FIG. Is exposed from the end wall 55 (see Fig. 3 (A)). The end flared portion 77 is held by the end wall 55 and the plate face is expos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wall 55 as shown in Figs. 1 and 3A. 1, the end fixing portion 78 protrudes from the bottom wall 51 of the housing 50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d fixing portion 78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lower surface in FIG. 3A) of the circuit board And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by soldering.

[커넥터의 감합 동작] [Connector Fitting Operation]

다음으로, 도 1,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커넥터(1, 2)의 감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신호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5(A)는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 도 5(B)는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커넥터 폭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6(A)는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 도 6(B)는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Next, the fitt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s 1 and 2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1, 5, and 6.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and the plug connector 2 of Fig. 1 and showing a s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signal terminal, and Fig. 5 (A) FIG. 5B shows a state before the fitting, and FIG. 5B shows a state before the fittin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of Fig. 1 taken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shows a cross section at a center posi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Fig. 6 (A) 6 (B) shows the connector fitting state.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측방 고정부(42)를 각각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함과 함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단부 고정부(34)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납땜 접속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를 회로 기판에 실장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접속부(62) 및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측방 고정부(74)를 각각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함과 함께,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단부 고정부(78)를 상기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납땜 접속하여, 플러그 커넥터(2)를 상기 다른 회로 기판에 실장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에 있어서의 각각의 납땜 접속 부분에, 필요에 따라서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제를 도포해도 좋다. The connecting portion 24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and the side fixing portion 42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re respectively solder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s of the circuit board, The end fixing portion 34 of the receptacle connector 30 is solder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to mount the receptacle connector 1 on the circuit board. The connecting portion 62 of the plug signal terminal 60 of the plug connector 2 and the lateral fixing portion 74 of the plug reinforcing metal fitting 7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s of the other circuit board by soldering, The end fixing portion 78 of the metal fitting 70 is solder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other circuit board so that the plug connector 2 is mounted on the other circuit board. A coating agent for preventing corrosion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solder connecting portion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and the plug connector 2, if necessary.

다음으로, 도 1, 도 5(A) 및 도 6(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를 수용부(16)가 상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함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2)를 수용부(56)가 하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하여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1, 도 5(A) 및 도 6(A)에서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당해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를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부(16) 안으로 끼워넣는다. Next, as shown in Figs. 1, 5 (A) and 6 (A), the receptacle connector 1 is set in a posture in which the receptacle portion 16 is opened upward, Is positioned above the receptacle connector 1 in a posture in which the receptacle 56 is opened downward. As shown by the arrows in Figs. 1, 5 (A) and 6 (A), the plug connector 2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fitting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2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1 Into the portion (16).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U자 형상부(61)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기부(22A) 및 로크 요부(23A-1)의 사이를 밀어 넓혀서 돌입한다. 그리고, 신호 접촉 아암부(22)가 커넥터 폭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탄성 변위한다. 또한, U자 형상부(61)의 돌입이 진행하면,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 신호 접촉 돌기부(22A)가 U자 형상부(61)의 내측 아암부(61C)(대응 신호 접촉부)와 접압을 갖고 접촉함과 함께, U자 형상부(61)의 외측 아암부(61A)의 피로크단차부(61A-1)가 로크 요부(23A-1) 안에 돌입하여, 당해 로크 요부(23A-1)의 상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계지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이 결과, 커넥터(1, 2)의 단자(20, 60)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함과 함께 서로 로크된다. As a result, the U-shaped portion 61 of the plug signal terminal 60 of the plug connector 2 is inserted into the signal contact projection portion 22A of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2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and the lock recessed portions 23A- 1). Then, the signal contact arm portion 22 is elastically displaced inward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5 (B), the signal contact protruding portion 22A is engaged with the inner arm portion 61 of the U-shaped portion 61 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1 of the outer arm portion 61A of the U-shaped portion 61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61C (corresponding signal contact portion) And is positioned so as to be engageable in the connector eject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edge of the lock recessed portion 23A-1. As a result, the terminals 20 and 60 of the connectors 1 and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locked with each other.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전원 접촉 돌기부(44A)가, 당해 전원 접촉 아암부(44)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내측 판부(73)(대응 전원 접촉부)와 접압을 갖고 접촉한다. 또한,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피로크단차부(71A)가,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로크 요부(41A) 안에 돌입하여, 당해 로크 요부(41A)의 상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계지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이 결과, 보강 금구(30,70)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함과 함께 서로 로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접속 동작이 완료한다. 또한, 커넥터 발출시에는, 플러그 커넥터(2)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단자끼리 그리고 보강 금구끼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를 발출할 수 있다. The power contact protruding portion 44A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s connected to the inner plate portion 73 of the plug reinforcing metal fitting 70 corresponding to the power contact arm portion 44 . In the connector fitting state, the tapered stepped portion 71A of the plug reinforcing metal fitting 70 protrudes into the locking recessed portion 41A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nd is positioned so as to be engageable in the direction of exit. As a result, the reinforcing brackets 30, 7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locked together. In this manner, the fitting and connect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s 1 and 2 are completed. In order to release the plug connector 2, the plug connector 2 can be pulled out by lifting the plug connector 2 upward and releasing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terminals and between the reinforcing brackets.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단부벽(15)의 내면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판면이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하우징(10)의 돌출벽(12)의 단면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의 판면이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삽발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가 정규의 감합 위치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단부벽(15)을 향하여 어긋난 경우에는, 당해 감합부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판면에 당접하기 때문에, 단부벽(15)의 내면에 직접 당접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감합부가 정규의 감합 위치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돌출벽(12)측을 향하여 어긋난 경우에는, 당해 감합부는,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의 판면에 당접하기 때문에, 돌출벽(12)의 단면에 직접 당접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단부벽(15) 및 돌출벽(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late surface of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s ex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of the housing 10 and the projecting wall 12, the plate surface of the projecting wall cross-section reinforcing portion 35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is exposed. Therefore, when the fitting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2 is displaced from the regular fitting position toward the end wall 15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nnector insertion process, the fitting portion is fitted to the plate surface of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It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15 directly. When the fitting portion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fitting position toward the projection wall 12 side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tting portion abuts against the plate surface of the projection wall cross-section reinforcing portion 35, It is not directly contacted with the end face. As a result, damage to the end wall 15 and the protruding wall 12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단부벽(15)의 꼭대기면에서는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의 판면이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하우징(10)의 돌출벽(12)의 꼭대기면에서는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의 판면이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가 정규의 감합 위치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단부벽(15)측으로 어긋나 감합되어 단부벽(15)의 꼭대기면측에 당접해도, 당해 감합부는,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에 당접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단부벽(15)의 꼭대기면에 직접 당접하는 일이 없다. 또한,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가 정규의 감합 위치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돌출벽(12)측으로 어긋나 감합되어 돌출벽(12)의 꼭대기면측에 당접해도, 당해 감합부는,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에 당접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돌출벽(12)의 꼭대기면에 직접 당접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단부벽(15) 및 돌출벽(12)의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 및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를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또한, 당해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 및 당해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 중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surface of the end wall 15 of the housing 10 is expos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end wall top surface reinforcement 32 and the top surface of the top wall 15 of the housing 10 is exposed,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protrusion wall top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6 is exposed on the top surface. Therefore, even when the fitting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2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fitting position to the side of the end wall 15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abuts on the top surface side of the end wall 15 in the connector fitting process, The top wall of the end wall 15 of the housing 10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top wall. Even if the fitting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2 is displaced from the normal fitting position to the protruding wall 12 side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abuts on the top surface side of the protruding wall 12 in the connector fitting process, The protruding wall top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6 does not contact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ding wall 12 of the housing 10 directly. As a result, damage to the end wall 15 and the protruding wall 12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end wall top reinforcing portion 32 and the projecting wall top wall reinforcing portion 36 are provided in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nd that the end wall top reinforcing portion 32 and the corresponding Only one of the protruding wall top surface reinforcing portions 36 may be provid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에서 단부벽(15)에 보유지지됨과 함께,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37)에서 돌출벽(12)에 보유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발 과정에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가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로부터의 당접력을 받아 하우징(10)으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 및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37)를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또한, 당해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 및 당해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37) 중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bracket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held on the end wall 15 at the end wall side compensated fulcrum portion 33 and is supported by the projected wall side fulcrum portion retaining portion 37 to the projecting wall 12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housing 10 due to the biasing force from the fitting portion of the plug connector 2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nector.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end wall side bulb retainer portion 33 and the projecting wall side bulb retainer portion 37 are provided on the receptacle reinforcing bracket 30 and the bulb retainer portion 33 and the projecting wall portion Only one of the wall side flared and retained portions 37 may be provid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와 돌출벽 단면 보강부(35)는 연접 저부(38)에 의해 연접됨으로써 일체적으로 만들어져 있고,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와 돌출벽 단면 보강부(35)가 서로의 강도를 보충하는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보강 금구(30) 자체의 강도가 향상하여,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뜻하지 않은 변형 등이 방지되어, 하우징(10)을 보다 강하게 보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and the projecting wall end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5 are integrally formed by being joined together by the connecting bottom portion 38, and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1 and the projecting wall cross- The strength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bracket 30 itself is improved and the unexpected deformation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bracket 30 is prevented, The reinforcing member 10 can be strengthened more strongly.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와 돌출벽 단면 보강부(35)를 연접 저부(38)에서 연접하고,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커넥터끼리의 어긋남에 의한 하우징(10)의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구성에 대해서는, 더 한층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보강 금구에,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당해 측벽에 보유지지되는 둘레벽 내면 보강부로서의 측벽 내면 보강부와, 당해 측벽 내면 보강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측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돌출벽 기립면 보강부로서의 돌출벽측면 보강부를 설치하여, 당해 측벽 내면 보강부 및 돌출벽측면 보강부의 하단끼리를, 저벽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접 저부에 의해 연접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커넥터끼리의 어긋남에 의한 하우징의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리셉터클 보강 금구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d wall inner surface reinforcement portion 31 and the projecting wall cross-section reinforcement portion 35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fitting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nnection bottom portion 38, The housing 10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strength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bracket 30 itself is improved.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bracket 30 can be further modified. For example,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is provided with a side wall inner surface reinforcement portion extend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being held by the side wall as a peripheral wall inner surface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protruding wall side reinforcing portion as a protruding wall standing surface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along the face (side) and held on the protruding wall is provided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wall inner surfac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wall side reinforc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or width May be connected by a concave bottom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using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ors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receptacle reinforcing metal itself.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의 양종의 단자를 갖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1)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어느 한쪽의 종류의 단자만을 갖는 단자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1 having the receptacle signal terminal and the receptacle power supply terminal and both types of terminals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terminal having only one kind of terminal Do.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의 접촉 아암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돌출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홈부가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저벽이 측벽의 홈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groov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contact arm portion of the terminal is formed on the projecting wal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on the side wall. In this case, the bottom wall at the terminal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es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ortion of the side wall.

1 :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저벽
11A : 저공부
12 : 돌출벽
12A : 신호 단자용 홈부
12B : 전원 단자용 홈부
14 : 측벽
15 : 단부벽
16 : 수용부
20 : 리셉터클 신호 단자
21 : 기부
22 : 신호 접촉 아암부
24 : 접속부
30 : 리셉터클 보강 금구
31 : 단부벽 내면 보강부(외벽 기립면 보강부)
32 :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외벽 꼭대기면 보강부)
33 :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외벽측 피유지부)
35 : 돌출벽 단면 보강부(돌출벽 기립면 보강부)
36 :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
37 :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
38 : 연접 저부
42 : 측방 고정부(접속부)
44 : 전원 접촉 아암부
43 : 연출부(기부)
45 : 리셉터클 전원 단자
1: Connector
2: Plug connector
10: Housing
11: bottom wall
11A:
12: protruding wall
12A: a groove for a signal terminal
12B: Groove for power terminal
14: side wall
15:
16:
20: Receptacle signal terminal
21: donation
22: signal contact arm portion
24: Connection
30: Receptacle reinforcement bracket
31: End wall inner reinforcement (outer wall standing surface reinforcement)
32: Reinforcing section at the top of the end wall (Reinforcement section at the top of the outer wall)
33: End wall side compensated holding portion (outer wall side held portion)
35: projecting wall cross-section reinforcing portion (projecting wall standing-plane reinforcing portion)
36: protruding wall top surface reinforcing portion
37: Pitch holding part on the protruding wall side
38:
42: Side fixing portion (connection portion)
44: Power contact arm portion
43: Lecture (donation)
45: Receptacle power terminal

Claims (4)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단자를 갖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어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과, 저벽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을 갖고,
당해 돌출벽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길이 방향의 측면으로부터 파이면서, 동시에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저벽에 따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당해 저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기부와, 당해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에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와, 상기 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실장면에 납땜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부는, 커넥터 폭방향 및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홈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극간을 갖고 당해 홈부에 수용되어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의 홈부는, 당해 돌출벽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벽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저벽은, 커넥터 폭방향에서 상기 접촉 아암부와는 상이한 범위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당해 저벽을 관통하는 저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저공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기부의 저면이 상기 저공부에서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기부의 양측 단면이 상기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having a housing and terminals held by the housing, the electrical connector being disposed on a mounting surface of a circuit board,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mating connector in a connector insert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surface, a bottom wall formed parallel to the mounting surface and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protruding wall extending in a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he protruding wall is formed with a groove portion which is pierced from the side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extends in the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The terminal includes a base portion extending in a connector width direction along the bottom wall and held by the bottom wall by integral molding, a contact arm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in a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and contact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contact arm portion has a gap between itself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roove por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and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ich is elastically displaceable in a connector width direction,
The groove portion of the projecting wall is formed over the entire standing region of the projecting wall,
The bottom wall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a terminal position in the connect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m por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The bottom wall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bottom wall in the connector insertion direction in a range different from the contact arm portion in the connector width direction,
Wherein a base portion of the terminal is formed to include a rang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connect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exposed in the bottom portion and both end faces of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electrical connector is held and suppor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폭이 상기 저공부보다도 커져 있고, 양측 단면에 더하여, 상기 단자폭의 측연부에서의 적어도 한쪽의 판면이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ortion of the terminal has a terminal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larger than that of the bottom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terminal width of the terminal width is held by the bottom wall, Electrical connecto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 배열되어 있고, 단자 배열 범위의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단자가 전원 단자를 이루고, 그리고 단자 배열 범위의 중간영역에 위치하는 다른 단자가 신호 단자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하우징의 저벽의 저공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간격을 갖고 복수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의 상기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호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erminals located at both end regions of the terminal arrangement range constitute a power supply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located in the middle region of the terminal arrangement range constitutes a signal terminal,
Wherein a bottom wall of the housing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pac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base portion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is formed so as to cover a plurality of the bottom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base portion of the signal terminal is formed so as to cover at least one of the bottom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KR1020160037366A 2015-04-01 2016-03-29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1019211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4829 2015-04-01
JP2015074829A JP6341876B2 (en) 2015-04-01 2015-04-01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40A KR20160118140A (en) 2016-10-11
KR101921116B1 true KR101921116B1 (en) 2018-11-22

Family

ID=5716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66A KR101921116B1 (en) 2015-04-01 2016-03-29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41876B2 (en)
KR (1) KR101921116B1 (en)
CN (1) CN106058518B (en)
TW (1) TWI61163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5730B2 (en)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onnector with shielding shield plate
JP6806593B2 (en) *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CN106911024A (en) * 2017-03-30 2017-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Board to board connector and its socket
KR102333832B1 (en) * 2017-04-03 2021-12-0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Socket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319024B1 (en) * 2017-05-31 2021-10-2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Socket terminal an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CN107394538A (en) * 2017-06-12 2017-11-24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High-current board is to plate plug, socket and connector assembly
JP6530015B2 (en) * 2017-06-28 2019-06-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6446109B1 (en) 2017-10-10 2018-1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KR102472680B1 (en) * 2017-10-23 2022-11-3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ower terminal an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KR102472685B1 (en) * 2017-10-23 2022-11-3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ower terminal an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JP6574470B2 (en) * 2017-11-06 2019-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2019186062A (en) 2018-04-11 2019-10-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KR102041368B1 (en)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7148357B2 (en)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JP7341651B2 (en) * 2018-10-24 202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connector device
JP7202866B2 (en) *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TERMINAL FOR BOARD CONNECTOR, CONNECTOR AN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CN113169471B (en) * 2018-12-04 2023-02-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Electric connector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KR102553861B1 (en) * 2019-02-27 2023-07-10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lug connector
JP7364363B2 (en)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JP7282464B2 (en) * 2019-05-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7075912B2 (en) 2019-06-11 2022-05-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CN118198756A (en) 2019-08-01 2024-06-1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Female multipolar connector and multipolar connector set provided with same
KR102210024B1 (en) * 2019-10-10 2021-02-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ower terminal an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TWI760873B (en) * 2019-10-18 2022-04-1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Connector
KR102268227B1 (en)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Socket Connector
KR102268474B1 (en)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Socket connector
JP2021197299A (en) * 2020-06-16 2021-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onnector assembly preventing intrusion of liquid substan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connector assembly
JP2022015752A (en) * 2020-07-09 2022-01-21 京セラ株式会社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JP7534164B2 (en) * 2020-09-11 2024-08-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onnector terminals, connectors
JP7379309B2 (en) * 2020-10-27 2023-11-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A protective member for protecting a connector equipped with a housing having a central convex portion, and a connector in which the protective member is arranged
KR102505915B1 (en) * 2021-01-26 2023-03-0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Electric connector for radio frequenc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55997U (en) * 2012-06-15 2013-04-03 苏州工业园区惠众精密工业有限公司 Board to bo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64U (en) * 1993-09-09 1995-03-31 ケル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JPH11354229A (en) * 1998-05-29 1999-12-24 Molex Inc Electric connector and parallel electric connectors
US6276941B1 (en) * 2000-02-22 2001-08-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CN2785176Y (en) * 2005-01-26 2006-05-31 深圳泰瑞美精密器件有限公司 Board-to-board main socket connector
JP4526428B2 (en) * 2005-04-18 2010-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Board to board connector
JP4303259B2 (en) * 2006-05-15 2009-07-29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is connector
TWM349125U (en) * 2008-05-26 2009-0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101001889B1 (en) * 2008-10-06 2010-1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tor assambly for board to board
JP5369125B2 (en) * 2011-02-01 2013-12-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TWM419318U (en) * 2011-05-18 2011-12-21 Assem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02121093U (en) * 2011-06-08 2012-01-18 昆山德力康电子科技有限公司 Board-to-board connector
CN103872489B (en) * 2014-01-24 2018-01-1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CN204144511U (en) * 2014-08-26 2015-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Electric connector and combin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55997U (en) * 2012-06-15 2013-04-03 苏州工业园区惠众精密工业有限公司 Board to boar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40A (en) 2016-10-11
JP6341876B2 (en) 2018-06-13
TW201707290A (en) 2017-02-16
TWI611635B (en) 2018-01-11
CN106058518A (en) 2016-10-26
CN106058518B (en) 2018-05-15
JP2016195056A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116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101921117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9088113B2 (en) Connector
JP5660756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US7931477B2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mating pair with solder barrier
JP668195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KR101355429B1 (en) Electric connector
US11158967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 disengageable by an operation portion
EP2846409A2 (en) Connector
KR20160009491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TW201249032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10084924A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2054810B1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EP2846414A1 (en) Connector
JP681747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6574470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101498743B1 (en) Connector for substrate
US11411343B2 (en) Circuit board device and board connector
JP6530015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100622968B1 (en) Electric connector for boards
JP6625706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20210259126A1 (en) Circuit board device
JP2006073372A (en) Connector for joining substrate
JP5408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