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841B1 - 배관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841B1
KR101920841B1 KR1020170165172A KR20170165172A KR101920841B1 KR 101920841 B1 KR101920841 B1 KR 101920841B1 KR 1020170165172 A KR1020170165172 A KR 1020170165172A KR 20170165172 A KR20170165172 A KR 20170165172A KR 101920841 B1 KR101920841 B1 KR 10192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pe
fixing means
ring fix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이도경
Original Assignee
김종우
주식회사 아이딘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주식회사 아이딘랩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17016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841B1/ko
Priority to PCT/KR2018/015215 priority patent/WO20191122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8Alignment aids for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 회전관과 일방향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급수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결합된 상태에서 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설치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연결 구조물{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HYDRANT TO PIPE}
본 발명은 배관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결합된 상태에서 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설치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수전구(水傳具:Water supply unit)란 옥내의 벽체 등에 설치되어 원 급수처로부터 급수배관을 통해 급수를 전달받으며 수도꼭지 또는 배수관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급수를 배수하는 장치를 통틀어 일컫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전구는 수도꼭지로 대표되는 수전과, 원 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를 수전에 전달하는 급수배관을 연결하는 연결 본체를 포함한다. 급수 배관은 벽체 등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수전은 연결 본체를 통하여 이 급수 배관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런데 급수 배관의 설치 상태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전의 설치 각도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아서, 수전이 급수 배관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회전 가능하여 설치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급수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급수 배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설치 각도의 변동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각도의 변동이 가능한 배관 연결 구조물은, 급수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급수 배관과 연통되는 결합구를 구비하는 연결 본체; 상기 결합구에 일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급수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급수를 배출하는 연결관; 상기 결합구의 제1 단턱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결합구와 상기 연결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링; 상기 제1 단턱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2 단턱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폐링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관 형상의 밀폐링 고정수단; 상기 링 고정수단의 내면에 형성되는 설치턱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이 상기 결합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링; 상기 제2 단턱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3 단턱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탈 방지링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관 형상의 방지링 고정수단;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과 상기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과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방향 회전관;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과 일방향 회전관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 회전관을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일방향 회전수단; 상기 연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과 상기 일방향 회전관을 상기 연결 본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일방향 회전수단은,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 회전관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다수개의 결합 톱니; 상기 일방향 회전관의 외면에 상기 다수개의 결합 톱니의 말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결합 톱니의 말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경사진 방향으로만 이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 톱니는, 상기 다수개의 결합 톱니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좌우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미동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일방향 회전관은, 상기 이탈 방지링을 상기 결합구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이탈 방지링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물에는,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교번 결합홈 구조에 결합되는 제2 교번 결합홈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구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나사와 결합되는 제2 체결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관 연결 구조물에 의하면 일방향 회전관과 일방향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급수 배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결합된 상태에서 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설치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회전관과 방지링 고정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본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링 고정수단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회전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방지링의 이탈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물(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본체(110), 연결관(120), 밀폐링(130), 밀폐링 고정수단(140), 이탈 방지링(150), 방지링 고정수단(160), 일방향 회전관(170), 일방향 회전수단(180) 및 체결구(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연결 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배관(1)과 연결되며, 상기 급수 배관(1)과 연통되는 결합구(111)를 구비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연결 본체(110)는 급수 배관(1)과 수전 사이에서 양자를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면서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 본체(110)는 상기 급수 배관(1)을 통하여 공급되는 급수가 상기 수전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111)는 전체적으로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연결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111)의 개구된 전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다단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연결 본체(110)의 외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커버 부재(113)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관(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111)에 일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급수 배관(1)을 통하여 공급되는 급수를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이 연결관(120)에는 수전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관(120)은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 내면에 체결 나사면(121)이 형성된다. 이 체결 나사면(121)은 신속한 체결을 위하여 2줄 나사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 나사면(121)이 종료되는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수전의 말단이 걸리도록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에는 단턱(123)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20)이 상기 결합구(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다른 구성요소들을 상기 결합구(111) 방향으로 밀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 중 상기 결합구(111)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도 1,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을 내측으로 일정한 깊이로 음각하여 걸림홈(124)이 형성된다. 이 걸림홈(124)은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이탈 방지링(150)의 말단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밀폐링(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111)의 제1 단턱(111a)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삽입구(111)와 상기 연결관(1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연결관(120)이 상기 결합구(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120)의 말단은 상기 결합구(111)에 밀착되어 설치되지만, 상기 결합구(111)를 통하여 상기 연결관(120)으로 공급되는 급수는 이 밀착된 틈을 통해서도 새어 나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링(13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111)와 연결관(120) 사이에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폐링(130)은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구(111)와 연결관(120) 사이에 약간 압축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111)의 제1 단턱(111a)이 이 밀폐링(130)의 설치 위치를 일차적으로 한정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밀폐링 고정수단(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턱(111a)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2 단턱(111b)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폐링(13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밀폐링 고정수단(140)은 전체적으로 관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결합구(11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링 고정수단(140)의 말단이 상기 밀폐링(130)을 상기 결합구(111) 방향으로 밀어서 고정하는 것이다. 물론 이 밀폐링 고정수단(140)도 후술하는 방지링 고정수단(160)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폐링 고정수단(140)은 후술하는 이탈 방지링(150)의 위치 한정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걸림턱(14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이탈 방지링(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의 외면에 형성되는 설치턱(161)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24)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120)이 상기 결합구(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링(150)은 내측이 상기 결합구(111)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이 경사진 부분(152)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124)에 삽입된다.
즉, 상기 연결관(120)을 상기 결합구(111)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이 경사진 부분(152)이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을 타고 슬라이딩하다가 상기 걸림홈(124)에 이르러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이탈 방지링(150)은 상기 연결관(120)이 상기 결합구(11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링은(150)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얇은 두께를 가져서 상기 경사진 내측 부분(152)이 휘어질 수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단턱(111b)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3 단턱(111c)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탈 방지링(15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은 전체적으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구(111) 방향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이탈 방지링(150)을 상기 밀폐링 고정수단(140)의 걸림턱(141)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탈 방지링(15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은 이탈 방지링(150)의 위치 한정 외에 후술하는 일방향 회전관(170)과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구(111)의 내면에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결합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의 외주면에는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본체(110)의 내면에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제1 교번 결합홈(113)과 맞물려서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이 상기 연결 본체(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제2 교번 결합홈(162)이 형성된다. 이 제2 교번 결합홈(162)은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이 상기 연결 본체(110) 및 결합구(11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교번 결합홈(114)과 서로 맞물리는 위치로 찾아 들어가서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의 회전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은 도 1,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과 상기 연결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과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은 전체적으로 관 형태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구조와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일방향 회전만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의 전단은 쐐기 형상의 단면 구조(171)를 가져서, 상기 이탈 방지링(150)을 상기 결합구(111) 방향으로 밀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이 상기 결합구(111) 방향으로 전진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쐐기 형상의 단면 구조(171)가 상기 걸림홈(124)에 삽입되어 있는 이탈 방지링의 경사진 부분(152)을 밀어서 상기 경사진 내측 부분(152)이 상기 걸림홈(124)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관(120)을 상기 결합구(111)로부터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일방향 회전수단(18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과 일방향 회전관(170)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을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일방향 회전수단(180)은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과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방향 회전수단(180)은 구체적으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톱니(181)와 결합홈(18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결합 톱니(181)는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다수개의 톱니(181)로 구성된다. 각 결합 톱니(181)는 이웃한 결합톱니(181)와의 사이에 일정한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각 결합 톱니(181) 중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의 내면에 결합된 부분(181a)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결합 톱니(181)의 말단 부분(181b)이 외력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 톱니의 말단 부분(181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진다. 이 경사 구조는 상기 결합홈(182)의 경사구조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이 일방향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홈(18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의 외면에 상기 다수개의 결합 톱니(181)의 말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결합 톱니(181)의 말단부(181b)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경사진 방향으로만 이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이 제1 방향(D1)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 톱니(181)가 약간 미동하면서 상기 결합 톱니(181)의 말단이 경사진 결합홈(182)을 타고 넘으면서 회전되지만, 제2 방향(D2)으로 회전하려는 경우에는 가파른 경사를 가지는 결합홈(182)와 결합 톱니(181)의 구조상 상기 결합 톱니(181)와 결합홈(182)이 서로 맞물려서 회전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구(190)는 도 1,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본체(110)의 외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112)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과 상기 일방향 회전관(170)을 상기 연결 본체(110)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체결구(190)는 상기 연결관(120)과 다른 연결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전체적으로 상기 연결 본체(110)에 체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구(190)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 본체(110)의 전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 나사면(112)과 대응되는 체결 나사면(19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190)를 체결 나사면(112, 191)끼리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면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90)의 내면 중 상기 체결 나사면(191)이 끝나는 부분에는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160)을 상기 결합구(111) 방향으로 밀어서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걸림턱(19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190)의 내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나사(125)와 결합되는 제2 체결나사(193)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배관 연결 구조물(100)은 상기 연결관(1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 본체(110)와 결합되고, 일정한 회전 회수 이상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딱딱' 소리를 내면서 계속하여 회전하면서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연결관(12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 본체(110)와 분리될 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지는 않는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구조물
110 : 연결 본체 120 : 연결관
130 : 밀폐링 140 : 밀폐링 고정수단
150 : 이탈 방지링 160 : 방지링 고정수단
170: 일방향 회전관 180 : 일방향 회전수단
190 : 체결구 1 : 급수 배관

Claims (6)

  1. 급수 배관과 연결되며, 상기 급수 배관과 연통되는 결합구를 구비하는 연결 본체;
    상기 결합구에 일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급수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급수를 배출하는 연결관;
    상기 결합구의 제1 단턱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결합구와 상기 연결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밀폐링;
    상기 제1 단턱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2 단턱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밀폐링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관 형상의 밀폐링 고정수단;
    상기 밀폐링 고정수단의 내면에 형성되는 설치턱에 걸쳐서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이 상기 결합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링;
    상기 제2 단턱의 전측에 형성되는 제3 단턱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탈 방지링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관 형상의 방지링 고정수단;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과 상기 연결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과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방향 회전관;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과 일방향 회전관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 회전관을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하는 일방향 회전수단;
    상기 연결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에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과 상기 일방향 회전관을 상기 연결 본체 방향으로 가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일방향 회전수단은,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 회전관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는 다수개의 결합 톱니;
    상기 일방향 회전관의 외면에 상기 다수개의 결합 톱니의 말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결합 톱니의 말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어 경사진 방향으로만 이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톱니는,
    상기 다수개의 결합 톱니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좌우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미동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회전관은,
    상기 이탈 방지링을 상기 결합구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이탈 방지링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링 고정수단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교번 결합홈 구조에 결합되는 제2 교번 결합홈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나사와 결합되는 제2 체결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구조물.
KR1020170165172A 2017-12-04 2017-12-04 배관 연결 구조물 KR10192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172A KR101920841B1 (ko) 2017-12-04 2017-12-04 배관 연결 구조물
PCT/KR2018/015215 WO2019112277A1 (ko) 2017-12-04 2018-12-04 배관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172A KR101920841B1 (ko) 2017-12-04 2017-12-04 배관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841B1 true KR101920841B1 (ko) 2018-11-21

Family

ID=6460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172A KR101920841B1 (ko) 2017-12-04 2017-12-04 배관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0841B1 (ko)
WO (1) WO201911227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645B1 (ko) * 2014-08-01 2016-08-19 주식회사 아이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수전의 결합구조
KR101654858B1 (ko) 2015-06-30 2016-09-06 이도경 수전의 결합구조
KR200484776Y1 (ko) * 2016-08-22 2017-11-20 탁준 수전용 배관에 결합된 수전의 풀림을 방지한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516B1 (ko) * 2003-06-25 2006-05-03 주식회사 애강 파이프 연결구
KR101325712B1 (ko) * 2012-02-06 2013-11-08 주식회사 대연 파이프 연결장치
KR101703030B1 (ko) * 2014-03-27 2017-02-06 박강훈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645B1 (ko) * 2014-08-01 2016-08-19 주식회사 아이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수전의 결합구조
KR101654858B1 (ko) 2015-06-30 2016-09-06 이도경 수전의 결합구조
KR200484776Y1 (ko) * 2016-08-22 2017-11-20 탁준 수전용 배관에 결합된 수전의 풀림을 방지한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277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8315B2 (ja) 掃除口継手の蓋体及び掃除口継手
US8322755B2 (en) Tube coupling
CA2581158C (en) Rotatable liquid-tight conduit connector assembly
WO2010013339A1 (ja) 配管のワンタッチ継手
US7628632B2 (en) Locking mechanism
CN107923162B (zh) 水龙头的安装结构
US9145666B2 (en) Magnetically activated switch assembly for food waste disposer
US10435873B2 (en) Faucet coupling structure
EP2227649B1 (en) Pipe fitting
US9322157B1 (en) Mechanically coupled drain fixture and outlet fitting
WO2001059351A1 (en) Waste pipe connector
JP2009250388A (ja) 管体と管体敷設装置との接続構造および管体敷設装置
KR101920841B1 (ko) 배관 연결 구조물
US20050067017A1 (en) Flush-mount supply line and drain connector
JP6714293B2 (ja) ホース接続具
US7322615B1 (en) Adjustable plumbing fitting
JP2002098276A (ja) 管継手
JP5253024B2 (ja) 接続部受口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管継手、ます、パイプ
JP7194008B2 (ja) 離脱防止装置
JP4352434B1 (ja) 配管のワンタッチ継手
JP2011007303A (ja) 管継手
JP2009156447A (ja) 管状接続部材と継手部材との接続構造
JP2008185156A (ja) シリンダ式バルブ
SE529985C2 (sv) Monterings- och kopplingsdosa
JP2012036918A (ja) 移動防止手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