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389B1 -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389B1
KR101920389B1 KR1020170081026A KR20170081026A KR101920389B1 KR 101920389 B1 KR101920389 B1 KR 101920389B1 KR 1020170081026 A KR1020170081026 A KR 1020170081026A KR 20170081026 A KR20170081026 A KR 20170081026A KR 101920389 B1 KR101920389 B1 KR 101920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ice module
application
packag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일권
Original Assignee
스마트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3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포함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이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서버의 특정 서비스로 연결되는 연결 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역을 기초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모듈만 서버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트래픽 부하를 최소화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lective operation of a service module installed in parallel with an applica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포함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이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서버의 특정 서비스로 연결되는 연결 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역을 기초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모듈만 서버와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함으로써 트래픽 부하를 최소화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의 발전과 더불어 해당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배포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스토어 서버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실행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제작사는 자사의 어플리케이션을 최대한 많은 고객에게 배포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률을 높이고자 하나 대다수 고객에게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최근,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이용률이 높은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제작사의 어플리케이션을 별도의 모듈로서 필수 어플리케이션 내에 추가하고, 해당 필수 어플리케이션 설치시 상기 모듈이 병행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듈을 통해 제작사가 원하는 서비스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방식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독립적으로 다수의 고객에게 배포가 어려운 어플리케이션을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형태로 배포하여 고객 이용률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듈을 복수의 서로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태로 배포하는 경우 해당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설치한 사용자 단말에서 해당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모듈이 동일 정보에 반응하여 모두 동작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모듈과 통신하는 서버측에서 상기 과도한 트래픽으로 인해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복수의 모듈이 동시에 모두 동작하는 해당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는 동일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모듈에 의해 불필요한 동일 동작을 반복하고, 이러한 반복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으로 인해 데이터 사용료가 다중으로 부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서버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어느 하나만을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자 하나, 이러한 방식 역시 복수의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서버 과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520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고객이 사용하는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되어 서버와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 대응 서비스 모듈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되어 병행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 정보에 반응하여 상기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서비스 모듈만이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과 서버 사이에 발생하는 트래픽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서버 과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된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운영 체제 기반에서 실행되는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연결번호 입력 후 통화 선택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되며 상기 연결번호의 수신자로 상기 서비스 모듈이 설정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 모듈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을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모듈에 상기 연결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 모듈 각각에 의해, 상기 연결번호에 포함된 상기 특수문자를 기초로 상기 연결번호를 인식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연결 번호의 수신자에 대한 고유 식별자인 액션명을 식별하고, 상기 액션명이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 중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매니페스트 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인 패키지명을 추출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패키지명을 포함하는 패키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패키지 리스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액션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에 의해, 상기 패키지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는 정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서비스 모듈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에 의해, 상기 서비스 모듈에 미리 설정된 패키지명과 상기 패키지 리스트의 정렬에 따른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호 일치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만이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은 상기 결정 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서비스 모듈에 의해, 상기 연결번호를 미리 설정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번호에 매칭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연결번호에 매칭된 정보는 URL 정보이며,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에 의해, 상기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로 접속하여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운영 체제 기반에서 실행되는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연결번호 입력 후 통화 선택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되며 상기 연결번호의 수신자로 상기 서비스 모듈이 설정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 모듈을 식별하여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모듈에 상기 연결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 모듈이 실행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모듈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에서 상기 연결번호에 포함된 상기 특수문자를 기초로 상기 연결번호를 인식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연결 번호의 수신자에 대한 고유 식별자인 액션명을 식별하고, 상기 액션명이 상기 서비스 모듈의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 중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매니페스트 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인 패키지명을 추출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패키지명을 포함하는 패키지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패키지 리스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모듈만이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을 통해 상기 패키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패키지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며,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패키지 리스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에 설정된 상기 패키지명을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모듈이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을 통해 상기 서비스 모듈에 미리 설정된 패키지명과 상기 패키지 리스트의 정렬에 따른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호 일치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만이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와 통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된 종속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서비스 모듈을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정보에 상기 서비스 서버와 관련된 특정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수신자로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만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되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되어 복수의 서비스 모듈이 실행된 경우에도 복수의 서비스 모듈 각각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되는 서비스 모듈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을 수집하여 자신과 함께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중인 모든 서비스 모듈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수집된 패키지명의 정렬 및 비교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모듈만이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복수의 서비스 모듈의 동시 동작에 따른 동일 기능의 반복을 방지하여 서비스 서버와 사용자 단말 사이의 과도한 트래픽 부하 및 서비스 서버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서비스 모듈 간 연동 구성을 배제하여 오류 발생을 원천 차단하고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형태로 배포하더라도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통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사가 자사의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률이 높은 다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서비스 모듈로서 삽입하여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형태로 배포한 후 사용자가 다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설치한 경우에도 상기 다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된 서비스 모듈 각각이 특정 정보에 반응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시 서로 다른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된 상기 서비스 모듈이 자신이 삽입된 필수 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 삽입된 서비스 모듈과의 우선 순위를 서비스 모듈간 연동 없이 독립적으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하나의 서비스 모듈만이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어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고 나머지 서비스 모듈은 실행이 종료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과도한 트래픽 부하를 방지하고 서비스 모듈 간의 연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발생을 원천 차단하여 서비스 서버와의 안정적인 통신에 따른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서비스 모듈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에 대한 선택적 동작 제어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10)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10)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앱(App))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된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앱스토어(App store) 서버(300)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서비스 모듈(10)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전화망을 이용한 음성 통신과 데이터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등을 지원하는 다양한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망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통신망은 널리 알려진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전화망(이동 전화망 포함) 및 데이터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인터넷 전화망(Internet Telephony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저장부(130), 표시부(140), 사용자 입력부(15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 및 앱스토어 서버(300)와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전화망에 연결되어 콜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코맨드(command)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이다. 표시부(140)는 별개로 마련된 디스플레이 소자(예를 들어, LCD 패널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50)는 입력 소자(예를 들어, 버튼, 휠, 터치 패드, IR 수신부 등)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140)와 사용자 입력부(150)는 하나의 구성부로 구성되어 출력 및 입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카드, USB 메모리, HDD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양한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12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1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운영체제(또는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되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앱스토어 서버(300) 및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앱스토어 서버(300)에 접속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관련 목록 정보를 상기 앱스토어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목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목록 정보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상기 앱스토어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운로드(download)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130)에 저장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앱스토어 서버(3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 각종 유틸리티, 각종 어플리케이션, 뷰어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관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영 체제는 모바일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iOS 등과 같은 모바일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운영체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구동하고, 상기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선택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상기 선택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기초로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제작사는 자사의 어플리케이션을 앱스토어 서버(300)에 등록하여 다수의 고객에게 배포하나 이러한 앱스토어 서버(300)에만 의존하는 경우 고객 확보에 한계가 있으며, 최대한 많은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앱스토어서 서버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소정의 수 이상의 다수 고객들이 다운로드하여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자사의 어플리케이션을 모듈 형태로 삽입하여 자사의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횟수 및 배포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이때,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되는 모듈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모듈(10)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기반으로 구동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되어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시 병행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포함되는 형태(인앱(in-app): in application)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기반으로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형태로 생성되는 종속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DK를 기반으로 생성된 종속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서비스 모듈(10)은 복수의 서로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되어(또는 필수 어플리케이션 내부에 포함되어)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각각 삽입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앱스토어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서비스 모듈(10)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포함된 필수 어플리케이션 설치시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된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병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구동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40)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는 전화망이나 데이터망을 이용한 음성통화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정된 전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복수의 번호 버튼과 통화 연결을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삽입된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manifest) 정보(일례로, 안드로이드 OS의 경우 AndroidManifest.xml)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broadcast Receiver)에는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상기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모듈(10) 관련 액션명(또는 수신자 액션명(Receiver Action Name))(도 4에서, kr.smartshop.ACTION_CERTIFICATION)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션명은 상기 전화번호의 브로드캐스트 수신자(broadcast receiver)인 서비스 모듈(10) 관련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는 상기 운영체제가 실행된 제어부(12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운영체제 기반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식별정보인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에 대한 구성정보(일례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환경이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각종 라이브러리 정보 등)이며,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어플리케이션 관련 고유 식별자, 어플리케이션의 컴포넌트(일례로, 액티비티(Activity), 서비스(Service), 브로드캐스트 리시버(Broadcast receiver),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 어플리케이션에 링크(link)되는 라이브러리(library)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고유 식별자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고유 패키지명(Package name)(또는 패키지 ID, 어플리케이션 ID 등)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를 참조하여(기초로) 상기 전화번호의 수신자인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식별하여 호출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모듈(10)에 미리 설정된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이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설정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설정된 액션명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식별하여 호출한 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저장부(130)에서 상기 서비스 모듈(10) 관련 데이터를 호출(또는 독출)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션명은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하여 실행되는 서비스 모듈(10)의 고유 식별자로서 정의되고, 서로 다른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된 서로 다른 서비스 모듈(10) 상호 간에는 동일 액션명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삽입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매니페스트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는 상호 동일한 액션명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통화 연결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중 해당 전화번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또는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정보에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는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특정 동작을 처리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식별하기 위한 액션명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를 통해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함과 더불어 해당 필수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비스 모듈(10)을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정의된 액션명을 기초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액션명을 기초로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필수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 중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비스 모듈(10)을 상기 액션명을 기초로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서비스 모듈(10)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실행하며, 상기 서비스 모듈(10)로 상기 전화번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여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운영체제에서 정의되는 인텐트(intent)로서(또는 인텐트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인텐트로 제공되는(또는 인텐트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전화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화번호 생성 및 통화 선택시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조회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전화번호를 브로드캐스트 수신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를 기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하고,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별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설정된 액션명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모듈(10a, 10b, 10n)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어 식별된 서비스 모듈(10a, 10b, 10n)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브로드캐스팅 기능을 기초로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 선택시 상기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로 브로드캐스팅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 선택시 상기 전화번호를 기초로 바로 전화망을 통해 통화 연결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 모듈(10a, 10b, 10n)로 상기 전화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된 서비스 모듈(10)(도 5에서, 10a, 10b, 10n)에는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액션명 및 패키지명과 동일한 액션명 및 패키지명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설정된 액션명을 기초로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이 설정된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에는 상기 액션명을 포함하는 설정정보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액션명과 상기 서비스 모듈(10)의 설정정보에 포함된 액션명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는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모듈(10)이 포함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서로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된 각각의 서비스 모듈(10a, 10b, 10n)을 상호 구분할 필요성이 없어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된 매니페스트 정보 및 각 서비스 모듈(10a, 10b, 10n)의 설정정보에는 동일 액션명이 설정되나,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 모듈(10a, 10b, 10n) 각각은 어느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된 상태인지를 구분해야 하므로 서로 다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된 서비스 모듈(10a, 10b, 10n) 상호 간에는 서로 다른 패키지명이 설정된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수 어플리케이션인 어플리케이션 1 및 2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1의 매니페스트 정보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 1에 삽입된 서비스 모듈 1(10a) 각각에는 액션명과 패키지명 1이 설정되고, 어플리케이션 2의 매니페스트 정보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 2에 삽입된 서비스 모듈 2(10b) 각각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과 동일한 액션명이 설정되나 상기 패키지명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1의 패키지명 1과 상이한 패키지명 2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2의 매니페스트 정보 및 상기 서비스 모듈 2(10b)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키지명은 상기 설정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a, 10b, 10n) 각각은 상기 전화번호 수신시 상기 전화번호에 미리 설정된 특수문자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전화번호를 미리 설정된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데이터망을 통해 전송하는 대상인 연결번호로서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전화번호가 상기 연결번호로 인식된 경우 상기 연결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와 연결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수문자의 일례로, "*" 또는 "#" 등이 상기 서비스 모듈(10)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연결번호 인식시 상기 설정정보의 액션명과 자신이 삽입된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정보에 설정된 액션명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연결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연결번호 인식시 상기 연결번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는 특정 웹 페이지(web page)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나 컨텐츠 등과 같은 상기 연결번호와 매칭되는 서비스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연결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연결번호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 및 인증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100)에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에 포함된 연결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연결번호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가 정보 보안(보호)이 요구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인 경우 상기 연결번호에 대응되는 서비스 정보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또는 회원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또는 사용자 단말(또는 사용자)이 인증된) 경우에만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20)는 서비스 모듈(10)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에 특수문자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비스 모듈(10)의 프로세스(process)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10)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연결 번호를 기초로 콜(call)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부(110)와 연결되는 전화망을 통해 교환기(300)로 상기 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모듈(10)은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번호 입력 및 통화 선택을 통해 편리하게 인터넷에 접속하여 해당 연결번호와 관련된 웹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가 연결번호와 함께 전송되도록 하여 서비스 서버(200)에서 상기 연결번호에 대응되는 웹 서비스가 정보 보호가 요구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인 경우 사용자와 관련 웹 서비스 제공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100)에 한해 상기 사용자 관련 웹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여 인증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삽입된 복수의 서로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120)는 각각의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별 서비스 모듈(10)로 상기 연결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번호를 브로드캐스트 수신한 복수의 서비스 모듈(10)이 동시에 실행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는 복수의 서비스 모듈(10)을 모두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게 되며, 각 서비스 모듈(10)에서 불필요하게 상기 연결번호에 대응되는 동일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복수의 서비스 모듈(10)에서 전송되는 동일 정보로 인해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서비스 서버(200)에서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이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여 수신된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여 동일한 화면이 복수로 출력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더군다나, 복수의 서비스 모듈(10)이 동시에 동작하여 상호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여 불필요한 트래픽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필요한 트래픽으로 인해 데이터 사용료가 다중으로 부가되는 동시에 비용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연동을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만을 실행하는 방식이 등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 역시 어플리케이션 상호간 연동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리소스(resource)가 배정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리소스 낭비가 상당할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연동 과정에서 오류 발생으로 인해 서비스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10)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서비스 모듈(10)의 멀티(multi) 동작(또는 복수의 서비스 모듈(10)의 동시 동작)에 따른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 모듈(10)이 삽입된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된 서비스 모듈(10)이 독립적으로 실행 지속 여부(또는 서비스 서버(200)와의 통신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된 하나의 서비스 모듈(10)만이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불필요한 트래픽 발생 및 트래픽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서비스 모듈(10)이 삽입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상기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통화 선택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된 서비스 모듈(10a, 10b, 10c)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미리 설정된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연결번호인 경우 상기 서비스 모듈(10)에 설정된 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액션명과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액션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설정정보의 액션명과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액션명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액션명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조회하여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이 매니페스트 정보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설정정보의 액션명과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액션명 상호 간 비교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기 비교 과정 없이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액션명이나 상기 설정정보의 액션명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조회하여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이 매니페스트 정보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이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설정된 필수 어플리케이션 또는 필수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액션명에 대응되어 식별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매니페스트 정보로부터 패키지명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취합하여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서로 다른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필수 어플리케이션 1 내지 3)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필수 어플리케이션 1의 서비스 모듈 1(10a)은 상술한 바에 따른 액션명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후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자신이 삽입된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 1과 더불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 2 및 3의 매니페스트 정보에서 각각 패키지명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 1(10a)은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 1 내지 3 각각으로부터 추출한 패키지명 1 내지 3을 취합하여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 2에 삽입된 서비스 모듈 2(10b) 및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 3에 삽입된 서비스 모듈 3(10c)은 상기 서비스 모듈 1(10a)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상기 서비스 모듈 1(10a)과 함께(또는 동시에) 실행되어 상기 제어부(120)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에서 지원하는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모듈 1(10a)과 동일한 동작 과정을 통해 액션명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 1 내지 3으로부터 패키지명을 추출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 1(10a)이 생성한 패키지 리스트 정보와 동일한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모듈 1 내지 3(10a, 10b, 10c)은 상호 간 서로 다른 패키지명을 가질 뿐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 이후 미리 설정된 정렬 방식(또는 정렬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정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대문자를 우선순위로 하는 미리 설정된 정렬 방식에 따라 패키지명의 선두(최초) 문자(또는 시작 문자)를 기준으로 대문자를 가지며 알파벳 순서가 앞서는 문자가 상기 선두 문자에 설정된 패키지명이 우선순위를 가지도록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상기 정렬방식에 따른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숫자를 최우선 순위로 하고, 대문자 및 알파벳 순서를 차순위로 하는 정렬방식에 따라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따른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순서대로 정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모든 서비스 모듈(10)은 각각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함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상호 동일한 정렬방식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렬을 통해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갱신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서로 다른 복수의 서비스 모듈(10)(서비스 모듈 1 내지 3)은 정렬 결과가 동일한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모듈(일례로, 서비스 모듈 1)이 생성한 패키지 리스트 정보의 정렬 결과와 다른 서비스 모듈(일례로, 서비스 모듈 2 및 3) 각각이 생성한 패키지 리스트 정보의 정렬 결과가 상호 동일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정렬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정렬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서 최우선 순위(또는 1순위)에 위치하는 패키지명을 식별하고, 상기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을 자신에 설정된 패키지명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상기 패키지명의 비교에 따른 일치여부 판단에 따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연결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상기 서비스 모듈(10)의 실행이 종료되거나 상기 서비스 모듈(10) 자체적으로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모듈 1(10a)은 상기 서비스 모듈 1(10a)에 설정된 패키지명 1과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최우선 순위에 위치하는 패키지명 2가 상호 일치하지 않으므로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서비스 모듈 2(10b)는 상기 서비스 모듈 2(10b)에 설정된 패키지명 2와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최우선 순위에 위치하는 패키지명 2가 상호 일치하므로 실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연결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모듈 3(10c)은 상기 서비스 모듈 3(10c)에 설정된 패키지명 3과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최우선 순위에 위치하는 패키지명 2가 상호 일치하지 않으므로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상기 정렬 방식에 따라 정렬된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비교 방식에 따라 어느 하나의 패키지명을 선택하고, 선택된 패키지명과 자신에 설정된 패키지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과 자신의 패키지명을 비교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비교 방식을 통해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서 어느 하나의 패키지명을 선택하고, 선택된 패키지명과 자신의 패키지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실행 지속 여부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의 통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된 타 서비스 모듈(10)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거나 타 서비스 모듈(10)과 연동할 필요 없이 자신이 삽입된 필수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고 서비스 모듈(10)이 삽입된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패키지명을 수집하는 것으로서 확인하여 이를 통해 타 서비스 모듈(10)이 자신과 함께 동작 중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서비스 모듈(10)이 상호 연동 없이 수집된 패키지명을 정렬하여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과 자신의 패키지명을 비교하는 것으로서 독립적으로 실행 여부(또는 서비스 서버(200)와의 통신 여부)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에 대응되는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된 서비스 모듈(10)을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 모듈(10)이 실행 종료되도록 하고, 하나의 서비스 모듈(10)만이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100)의 트래픽 부하와 리소스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기존의 어플리케이션 연동 과정에서의 오류 발생을 원천 차단하여 안정적으로 하나의 서비스 모듈(10)만을 동작시킬 수 있어 서비스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대한 정렬에 따라 최우선 순위에 위치하는 패키지명과 동일한 패키지명을 가진 서비스 모듈(10)은 상기 연결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연결번호 또는 상기 서비스 요청정보 수신시 상기 연결번호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포함된 DB(210)를 검색하여, 상기 DB(210)에서 상기 연결번호에 매칭된 URL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URL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상기 URL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 서비스를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거나, 상기 서비스 정보에 따른 컨텐츠를 상기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10)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전화번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전화번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40)에 표시된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화번호 발신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기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별로 매니페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또는 브로드캐스트 수신자)에 상기 전화번호를 브로드캐스트 수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화번호를 브로드캐스트 수신하는 서비스 모듈(10)이 삽입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서비스 모듈(10)로 상기 전화번호를 브로드캐스트 전송할 수 있다(S1).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전화번호의 브로드캐스팅 대상인 서비스 모듈(10)을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설정된 액션명을 기초로 식별하고, 해당 식별된 서비스 모듈(10)을 실행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10)로 상기 전화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행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전화번호를 수신하고(S2), 해당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문자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대상인 연결번호로 확인할 수 있다(S3).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액션명을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10)에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삽입된 필수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정보(더욱 상세히는, 매니페스트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리시버)에 포함된 액션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S4),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S5)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매니페스트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액션명이 동일한 하나 이상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매니페스트 정보로부터 패키지명을 추출하여 수집할 수 있다(S6).
이때, 상기 서비스 모듈(10)은 액션명의 일치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S5)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상기 조회를 통해 수집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기초로 패키지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해당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미리 설정된 정렬 방식에 따라 정렬할 수 있다(S7).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서 정렬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 중 미리 설정된 비교 방식에 따라 어느 하나의 패키지명을 선택하고, 자신에 기설정된 패키지명과 비교하여(S8)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
이후,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서 선택된 패키지명과 자신의 패키지명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연결번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고(S10), 상기 연결번호에 대응되어 수신된 URL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상기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140)를 통해 상기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11).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은 상기 패키지 리스트 정보에서 선택된 패키지명과 자신의 패키지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S9)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된 종속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서비스 모듈(10)을 어플리케이션의 매니페스트 정보에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관련된 특정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수신자로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만이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되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정보와 관련되어 복수의 서비스 모듈(10)이 실행된 경우에도 복수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되는 서비스 모듈(10)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을 수집하여 자신과 함께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 중인 모든 서비스 모듈(10)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기 수집된 패키지명의 정렬 및 비교를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 모듈(10)만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복수의 서비스 모듈(10)의 동시 동작에 따른 동일 기능의 반복을 방지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100) 사이의 과도한 트래픽 부하 및 서비스 서버(200)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서비스 모듈(10) 간 연동 구성을 배제하여 오류 발생을 원천 차단하고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형태로 배포하더라도 서비스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사가 자사의 서비스 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률이 높은 다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서비스 모듈(10)로서 삽입하여 상기 필수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형태로 배포한 후 사용자가 다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설치한 경우에도 상기 다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된 서비스 모듈(10) 각각이 특정 정보에 반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시 서로 다른 복수의 필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된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자신이 삽입된 필수 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다른 필수 어플리케이션 삽입된 서비스 모듈(10)과의 우선 순위를 서비스 모듈(10)간 연동 없이 독립적으로 판단하여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하나의 서비스 모듈(10)만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어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고 나머지 서비스 모듈(10)은 실행이 종료되도록 지원함으로써, 과도한 트래픽 부하를 방지하고 서비스 모듈(10) 간의 연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발생을 원천 차단하여 서비스 서버(200)와의 안정적인 통신에 따른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모듈(10)의 동작 내용(실시예)은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실행한 제어부(120)가 동작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모듈(10)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의 동작 구성(실시예)은 상기 제어부(120)가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제어하여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실행하는 내용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운영 체제 기반에서 실행되는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연결번호 입력 후 통화 선택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되며 상기 연결번호의 수신자로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설정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 모듈(10)을 식별하여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모듈(10)에 상기 연결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실행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서비스 모듈(10)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10)에서 상기 연결번호에 포함된 상기 특수문자를 기초로 상기 연결번호를 인식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연결 번호의 수신자에 대한 고유 식별자인 액션명을 식별하고, 상기 액션명이 상기 서비스 모듈(10)의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 중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매니페스트 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인 패키지명을 추출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패키지명을 포함하는 패키지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패키지 리스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서비스 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모듈(10)만이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을 통해 상기 패키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패키지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며,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패키지 리스트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에 설정된 상기 패키지명을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모듈(10)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 각각을 통해 상기 서비스 모듈(10)에 미리 설정된 패키지명과 상기 패키지 리스트의 정렬에 따른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호 일치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10)만이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모듈(10)이 실행 중인 상태의 상기 제어부(120)는 어플리케이션부로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모듈(10)을 대체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모듈(10)의 실행이 종료된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제어부(120)로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10)이 실행 중인 상태의 제어부(120)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엔진(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서비스 모듈 100: 사용자 단말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표시부
150: 사용자 입력부 200: 서비스 서버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된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운영 체제 기반에서 실행되는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연결번호 입력 후 통화 선택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되며 상기 연결번호의 수신자로 상기 서비스 모듈이 설정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을 식별하는 식별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을 각각 실행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에 상기 연결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에 의해, 상기 연결번호에 포함된 상기 특수문자를 기초로 상기 연결번호를 인식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연결 번호의 수신자에 대한 고유 식별자인 액션명을 식별하고, 상기 액션명이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 중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매니페스트 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인 패키지명을 추출하여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상기 패키지명을 포함하는 패키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패키지 리스트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와의 통신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에 의해, 상기 패키지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는 정렬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에 의해, 상기 서비스 모듈에 미리 설정된 패키지명과 상기 패키지 리스트의 정렬에 따른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을 비교하고,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중에서 비교 결과 상호 일치하는 특정 서비스 모듈만이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중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 모듈의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 모듈의 실행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액션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 단계는 상기 서비스 모듈에 의해, 문자 또는 숫자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상기 특정 서비스 모듈에 의해, 상기 연결번호를 미리 설정된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연결번호에 매칭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번호에 매칭된 정보는 URL 정보이며,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상기 서비스 모듈에 의해, 상기 URL 정보에 대응되는 웹페이지로 접속하여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방법.
  8.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삽입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운영 체제 기반에서 실행되는 전화번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설정된 특수문자를 포함하는 연결번호 입력 후 통화 선택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포함되며 상기 연결번호의 수신자로 상기 서비스 모듈이 설정된 매니페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포함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을 식별하여 각각 실행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에 상기 연결번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이 실행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서비스 모듈에서 상기 연결번호에 포함된 상기 특수문자를 기초로 상기 연결번호를 인식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연결 번호의 수신자에 대한 고유 식별자인 액션명을 식별하고, 상기 액션명이 상기 서비스 모듈의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상기 매니페스트 정보 중 상기 액션명과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매니페스트 정보 각각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고유 식별자인 패키지명을 추출하여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상기 패키지명을 포함하는 패키지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패키지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패키지명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정렬하고, 상기 서비스 모듈에 미리 설정된 패키지명과 상기 패키지 리스트의 정렬에 따른 최우선 순위의 패키지명을 비교하고,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중에서 비교 결과 상호 일치하는 특정 서비스 모듈만이 미리 설정된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동일한 액션명을 가진 하나 이상의 서비스 모듈 중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 모듈의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 모듈의 실행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81026A 2017-06-27 2017-06-27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20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026A KR101920389B1 (ko) 2017-06-27 2017-06-27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026A KR101920389B1 (ko) 2017-06-27 2017-06-27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389B1 true KR101920389B1 (ko) 2018-11-20

Family

ID=6456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026A KR101920389B1 (ko) 2017-06-27 2017-06-27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3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932B1 (ko) * 2008-06-06 2014-04-08 애플 인크. 모바일 장치용의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932B1 (ko) * 2008-06-06 2014-04-08 애플 인크. 모바일 장치용의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496B1 (en) Activation sequence using permission based connection to network
US10397771B2 (en) Techniques for provisioning bootstrap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s (eSIMS) to mobile devices
US11716612B1 (en) Bootstrap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nfiguration
US9043936B2 (en) Communications device
CN103596177A (zh) 移动终端一键接入公共WiFi的接入方法
CN104067571A (zh) 用于无线网络连接性的可扩展框架
CN104601639A (zh) 网页应用消息推送方法、客户端、服务器及系统
CN102480501A (zh) 应用资源下载方法及相关设备
CN112822756B (zh) 通信方法、系统以及基站、终端
CN104363226A (zh) 一种登录操作系统的方法、装置及系统
CN108139915A (zh) 一种应用程序组的操作方法及终端
US10045216B1 (en) WiFi access point connection protocol adaptation
US9992326B1 (en) Out of the box experience (OOBE) country choice using Wi-Fi layer transmission
CN101895883B (zh) 一种支持鉴权算法更新的智能卡及方法
EP27865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rovided access tokens
KR20130058579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자동 인증 및 상황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EP3979071B1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CN112637221B (zh) 一种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1920389B1 (ko) 어플리케이션과 병행 설치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1969449B (zh) 一种用于移动通讯设备终端浏览器的自动填表系统及其应用方法
KR20190001288A (ko) 어플리케이션에 삽입되는 서비스 모듈의 선택적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787642B (zh) 一种基于第三方应用认证连网方法及装置
CN108574588B (zh) 客户端、服务端及差异化升级方法
CN104680112A (zh) 一种二维码登录的无线路由实现方法及系统
US20230336983A1 (en) Establishing a backup connectivity between a sensor and a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