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328B1 -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 Google Patents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328B1
KR101920328B1 KR1020180066562A KR20180066562A KR101920328B1 KR 101920328 B1 KR101920328 B1 KR 101920328B1 KR 1020180066562 A KR1020180066562 A KR 1020180066562A KR 20180066562 A KR20180066562 A KR 20180066562A KR 101920328 B1 KR101920328 B1 KR 10192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re
lightning
ground wir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웅
김강석
김갑철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기술
Priority to KR1020180066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가공지선 지지대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전선이나 애자를 직격뢰 및 측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차폐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주의 상단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가공지선 지지대에 결합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전주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는 완금을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수뢰하여 대지로 방전하는 제1도체 및 상기 제1도체에 고정되고, 상기 완금에 가설되어 있는 가공전선 및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애자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수뢰하여 상기 제1도체를 통해 대지로 방전하는 제2도체를 포함하는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THUNDERBOLT SHIELD FOR MOUNTING OVERHEAD GROUND WIRE SUPPORTER}
본 발명은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서 전주의 상단 끝부분과 결합하여 가공지선을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가공지선 지지대의 종류에 상관없이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장착하여 전선이나 애자를 직격뢰 및 측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차폐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형적인 특성상 국지적인 낙뢰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가공 배전선로는 낙뢰로 인한 피해나 고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이 배전선로 최상단에 가공지선을 설치하여 직격뢰로부터 배전선로를 차폐하고 있다.
이를테면, 배전선으로의 전선이 낙뢰로부터 직격을 받으면 전선을 지지하는 애자의 절연이 낙뢰의 고전압에 견디지 못하고 섬락을 일으킬 때 애자의 파손 또는 전선을 파단시키는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배전선로의 전주 위에 가공지선을 설치하면 전선 가까이 존재하는 낙뢰를 정전유도작용에 의해서 흡수하여 지면으로 흐르게 해서 전선이나 애자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용 가공지선을 일정한 높이로 시설하기 위하여 전주 등 지지물의 상단 끝부분에 고정하는 가공지선 지지대는 통상 전선을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목적하는 곳까지 배선하기 위하여 전주 상에 가로로 설치되는 완금(완철)에서 1.5~1.8m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피뢰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창출 장주 또는 편출 장주 형태로 설치하는 배전선로의 일부가 가공지선에 의한 낙뢰 차폐 반경을 벗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전선로의 수에 따라 가공지선의 위치를 변경하여 보호 범위, 즉 차폐각(보호각)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2317호에 차폐각 확보를 위한 가공지선 지지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수평부(13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연장홀더(140)를 연결하고, 이 연장홀더(140)의 끝부분에 가공지선을 가설하기 위한 고정캡(150), 즉 가공지선의 선종 및 가선 조건(직선 및 인류)에 각각 적합한 가공지선 고정장치(인류금구)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기존 가공지선 지지대를 철거하거나 변경하지 않고 낙뢰 차폐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연장홀더(140)로 단순히 지지대 수평부(130)의 길이를 연장하여 가공지선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는 엄청난 전기에너지로 방전되어 입사하는 낙뢰를 효과적으로 차폐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데다 보통(일반) 장주, 창출 장주 및 편출 장주 등 다양한 장주 형태에 적합하게 구조를 변경하여 연장홀더(140)를 설치해야 하므로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완금(완철)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현수 애자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측뢰(측방에서 떨어지는 낙뢰)가 떨어져 현수 애자의 파손 또는 가공전선의 단선이나 피복 손상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0512317 B1(2005.08.26) KR 10-0740622 B1(2007.07.11) KR 10-0982047 B1(2010.09.07) KR 20-0305988 Y1(2003.02.18) KR 20-0339037 Y1(2004.01.07) KR 20-0340612 Y1(2004.01.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낙뢰로 인한 배전선로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존의 기술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착안하여 보통용, 창출용 및 편출용 등 다양한 종류의 가공지선 지지대에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장착함으로써 완금과 가공전선 및 애자를 직격뢰 및 측뢰로부터 보호하는 차폐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폐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각종 가공지선 지지대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완금과 전선 및 애자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전주의 상단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가공지선 지지대에 결합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구멍(clearance hole)이 다수 형성되고, 전주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는 완금을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수뢰하여 대지로 방전하는 제1도체 및 상기 제1도체에 고정되고, 상기 완금에 가설되어 있는 가공전선 및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애자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수뢰하여 상기 제1도체를 통해 대지로 방전하는 제2도체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보통 장주나 창출 장주 또는 편출 장주용 등 가공지선 지지대의 종류에 상관없이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장착하여 낙뢰를 차폐할 수 있어 완금과 가공전선 및 애자를 직격뢰 또는 측뢰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제1도체는, 상기 제2도체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제2도체는, 고리처럼 동그랗게 생긴 환형이나 타원고리형, 사각고리형, 삼각고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체 및 상기 제2도체는 원형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로 형성됨으로써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제1도체의 길이는, 그 낙뢰 차폐각의 범위 내에 상기 완금이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도체의 전후 폭 및 좌우 폭은, 그 낙뢰 차폐각의 범위 내에 상기 완금의 좌우 양쪽에 가공전선을 지지하기 위해 가설되어 있는 현수 애자가 위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완금과 가공전선 및 애자를 직격뢰 또는 측뢰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보통(일반)용이나 창출용 및 편출용 등 다양한 종류의 가공지선 지지대를 구조변경하지 않고, 그 형태에 상관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아울러 완금과 가공전선 및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애자를 보호하는 낙뢰 차폐 범위를 증대시켜 완금이나 애자에 근접하는 뇌격전류를 확실하게 흡인하고 안전하게 대지로 방류하기 때문에 가공지선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는 완금이나 애자의 파손 또는 가공전선의 파단 등의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공지선 지지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뢰 차폐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뢰 차폐구를 편출용 가공지선 지지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뢰 차폐구를 편출용 가공지선 지지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낙뢰 차폐구를 창출용 가공지선 지지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낙뢰 차폐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낙뢰 차폐구를 보통(일반)용 가공지선 지지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1)는 크게 제1도체(10) 및 제2도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도체(10)는 전주(P)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는 완금(200)을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수뢰하여 가공지선(G)의 접지선을 통해 대지로 방전하는 것으로, 전주(P)의 상단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가공지선 지지대(100)에 볼팅(bolting)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구멍(1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도체(10)는 가공지선 지지대(100)의 상단에 가공지선(G)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금구(110) 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가공지선 지지대(1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주(P)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가공지선 지지대(100)를 철거하거나 변경하지 않고도 낙뢰 차폐를 위한 보호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도체(10)의 볼트구멍(11)들은 각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심 간 거리는 고정금구(11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지지대와 고정금구를 고정해주는 볼트의 구멍) 중심 간의 규격 거리인 50±1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볼트구멍(11)은 고정금구(110)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과 일직선상에 위치시키기 편리하면서 볼트(B)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장공(slot hole)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도체(10)는 원형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 등의 관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길이는 완금(200)을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 차폐각의 범위인 45도 내에 완금(200)이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도체(10)의 완금(200)으로부터 높이와 길이 방향의 양쪽 선단에서 그 선단을 지나는 연직선에 대하여 각각 이루는 보호 각도 내에 완금(200)이 위치됨으로써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도체(10)는 제2도체(20)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제1도체(10)의 길이 방향 한쪽 끝부분은 제2도체(20)의 좌우 폭(길이) 방향의 한쪽 끝부분을 튀어나오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제1도체(10)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반대쪽) 끝부분은 제2도체(20)의 좌우 폭(길이) 방향의 다른 한쪽(반대쪽) 끝부분 보다 더 돌출된 채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1도체(10)와 제2도체(20)는 용접이나 리벳팅 혹은 볼팅 등의 고정방법으로 고정 또는 일체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1도체(10)의 내부 중공으로 조류가 들어갈 수 없도록 그 길이 방향의 양쪽 끝은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체(20)는 완금(200)에 가설되어 있는 가공전선(A) 및 이 가공전선(A)을 지지하는 애자(300)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수뢰하여 제1도체(10)를 통해 대지로 방전하는 것으로, 제1도체(10)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다.
즉, 제1도체(10)의 길이 방향 한쪽 부분이 제2도체(20)의 좌우 폭(길이) 방향 한쪽 가장자리 밖으로 돌출되도록 제2도체(20)는 제1도체(10)의 길이 방향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2도체(20)는 원형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 등을 환형, 타원고리형, 사각고리형, 삼각고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 또는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도체(20)는 원형파이프를 사각고리 형상으로 성형한 후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진 제1도체(10)와 조립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가공지선 지지대(100)에 고정 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낙뢰 차폐각의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제2도체(20)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낙뢰 차폐각의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원형파이프를 사각고리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도체(20)의 전후 폭 및 좌우 폭은, 가공전선(A)과 이를 지지하기 위해 완금(200)의 좌우 양쪽에 가설되어 있는 현수 애자(300)를 낙뢰로부터 보호하도록 그 낙뢰 차폐각의 범위인 45도 내에 현수 애자(300)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2도체(20)의 현수 애자(300)로부터 높이와 길이 방향의 양쪽 선단 및 좌우 폭 방향의 양쪽 선단에서 그 선단을 지나는 연직선에 대하여 각각 이루는 보호 각도 내에 현수 애자(300)가 위치됨으로써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도체(20)는 완금(200) 및 현수 애자(300)의 규격에 상응하는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도체(10) 및 제2도체(20)는 알루미늄, 아연도금강, 스테인리스강, 주석을 도금한 구리 등의 전기를 잘 전달하면서 볼트(B)의 조임 토크 및 일정 수평하중 및 수직하중 등을 견디어 변형이나 균열 등이 없는 강도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출용 가공지선 지지대(100) 또는 편출 장주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때, 가공지선 지지대(100)에 고정금구(11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B)와 너트(N)를 풀고 제1도체(10)의 볼트구멍(11)들 중 길이 방향의 한쪽 끝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11)을 고정금구(110)의 볼트구멍 위에 위치시킨 후 다시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낙뢰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완금(200)이나 가공전선(A) 및 현수 애자(300)에 근접하여 입사되는 뇌격전류를 확실하게 흡인하고 가공지선(G)의 접지선을 통하여 안전하게 대지로 방류함으로써 가공지선(G)의 차폐각도를 벗어나는 위치에 있는 완금(200)과 가공전선(A) 및 현수 애자(30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출용 가공지선 지지대(100) 또는 창출 장주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때, 가공지선 지지대(100)에 고정금구(11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B)와 너트(N)를 풀고 제1도체(10)의 볼트구멍(11)들 중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11)을 고정금구(110)의 볼트구멍 위에 위치시킨 후 다시 볼트(B)와 너트(N)로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낙뢰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창출용 및 편출용 등 다양한 종류의 가공지선 지지대(100) 형태에 상관 및 구조변경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은 물론 유지보수, 점검 시 등에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완금(200)과 가공전선(A) 및 현수 애자(300)를 보호하는 낙뢰 차폐범위를 증대시켜 낙뢰로부터 완금(200)과 가공전선(A) 및 현수 애자(300)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일반)용 가공지선 지지대(100) 또는 보통(일반) 장주에 적용할 때에는 제2도체(20)의 좌우 폭(길이)보다 더 길게 튀어나온, 즉 제1도체(10)의 한쪽으로 치우친 끝부분을 절단한 후 장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2)는 크게 제1도체(10) 및 제2도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제1도체(10)의 길이 방향 양쪽 끝부분이 제2도체(20)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제2도체(20)의 좌우 폭(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1도체(10)는 완금(200)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측뢰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체(20)는 원형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 등을 환형, 타원고리형, 사각고리형, 삼각고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 또는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도체(20)는 원형파이프를 사각고리 형상으로 성형한 후 원형파이프로 이루어진 제1도체(10)와 조립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가공지선 지지대(100)에 고정 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낙뢰 차폐각의 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체(20)의 전후 폭 및 좌우 폭은, 가공전선(A)과 이를 지지하기 위해 완금(200)의 좌우 양쪽에 가설되어 있는 현수 애자(300)를 낙뢰로부터 보호하도록 그 낙뢰 차폐각의 범위인 45도 내에 현수 애자(300)가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2도체(20)의 현수 애자(300)로부터 높이와 길이 방향의 양쪽 선단 및 좌우 폭 방향의 양쪽 선단에서 그 선단을 지나는 연직선에 대하여 각각 이루는 보호 각도 내에 현수 애자(300)가 위치됨으로써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제2도체(20)의 전후 폭은 현수 애자(300)의 설치 폭보다 더 넓거나 동일하게 형성하고, 좌우 폭은 완금(200)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측뢰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일반)용 가공지선 지지대(100) 또는 보통(일반) 장주에 적용하여 낙뢰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때, 가공지선 지지대(100)에 고정금구(11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B)를 풀고 제1도체(10)의 볼트구멍(11)들 중 제2도체(20)의 중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11)을 고정금구(110)의 볼트구멍 위에 위치시킨 후 다시 볼트(B)를 조임으로써 상술한 실시 예 1과 달리 제1도체(10)의 돌출된 부분을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깔끔하여 눈에 잘 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도체 11: 볼트구멍
20: 제2도체 100: 가공지선 지지대
110: 고정금구 200: 완금(cross arm)
300: 현수 애자 P: 전주
A: 가공전선 G: 가공지선

Claims (3)

  1. 전주(P)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는 완금(200)을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수뢰하여 대지로 방전하며, 전주(P)의 상단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가공지선 지지대(100)에 결합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볼트구멍(11)이 다수 형성된 제1도체(10); 및
    상기 완금(200)에 가설되어 있는 가공전선(A) 및 가공전선(A)을 지지하는 애자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낙뢰를 수뢰하여 상기 제1도체(10)를 통해 대지로 방전하며, 전후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좌우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사각고리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도체(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체(10)는 상기 제2도체(20)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고정하되,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2도체(20)의 길이 방향 한쪽 가장자리 밖으로 돌출되거나 그 길이 방향의 양쪽 끝부분이 상기 제2도체(20)의 길이 방향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도체(10)의 낙뢰 차폐각의 범위 내에 상기 완금(200)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1도체(10)의 길이는 상기 완금(200)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도체(20)의 낙뢰 차폐각의 범위 내에 상기 완금(200)의 좌우 양쪽에 가공전선(A)을 지지하기 위해 가설되어 있는 현수 애자(300)가 위치되도록 상기 제2도체(20)의 전후 폭은 상기 현수 애자(300)의 설치 폭보다 더 넓거나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도체(20)의 좌우 길이는 상기 완금(200)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체(10)와 상기 제2도체(20)는 각각 원형파이프 또는 사각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3. 삭제
KR1020180066562A 2018-06-11 2018-06-11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KR10192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562A KR101920328B1 (ko) 2018-06-11 2018-06-11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562A KR101920328B1 (ko) 2018-06-11 2018-06-11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328B1 true KR101920328B1 (ko) 2018-11-20

Family

ID=6456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562A KR101920328B1 (ko) 2018-06-11 2018-06-11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3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317B1 (ko) * 2005-04-28 2005-09-02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차폐각 확보를 위한 가공지선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317B1 (ko) * 2005-04-28 2005-09-02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차폐각 확보를 위한 가공지선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514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151402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력 손실 감시 및 절감장치
KR101920328B1 (ko) 가공지선 지지대 장착용 낙뢰 차폐구
KR20090019946A (ko) 송전선 구조물의 낙뢰 처리장치
RU127261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тиц антиприсадного типа для опор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KR100237070B1 (ko) 송전선로의 애자련 보호용 점퍼 아킹장치
KR101781116B1 (ko) 피뢰기 장착 컷 아웃 스위치
JP4482274B2 (ja) 空中電力線用頂部ポール支持体
KR20220148587A (ko) 케이블헤드 지지금구
CN107393661A (zh) 一种复合绝缘子防鸟害均压环
KR102397071B1 (ko) 송전 철탑의 전력 케이블 설치 장치
KR20190041190A (ko) 일체형 피뢰기 결합애자
JPH07111722A (ja) 送電鉄塔における誘雷装置
CN210326912U (zh) 一种均压屏蔽环
CN219610746U (zh) 便于调节的四偶极子天线
KR101747745B1 (ko) 초고압 변전소용 피뢰기 단자 결합구조
CN219779754U (zh) 一种避雷装置
KR20210150096A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및 아킹혼 가변형 설치금구
JP6126973B2 (ja) 頂部設備取付け装置
CN217563275U (zh) 一种高压输电线路防绕击装置
CN210579613U (zh) 电气设备用防护遮阳罩
CN103618276A (zh) 一种避雷器多功能连接装置
CN220797778U (zh) 一种避雷针安装支架
CN211151486U (zh) 一种新型防雷装置
CN215008614U (zh) 一种杆塔防雷接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