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169B1 - foldable water craft - Google Patents

foldable water cra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169B1
KR101918169B1 KR1020170140145A KR20170140145A KR101918169B1 KR 101918169 B1 KR101918169 B1 KR 101918169B1 KR 1020170140145 A KR1020170140145 A KR 1020170140145A KR 20170140145 A KR20170140145 A KR 20170140145A KR 101918169 B1 KR101918169 B1 KR 10191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wing
base
auxiliary
main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츠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츠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츠윙
Priority to KR102017014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1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35/73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10Power-driven personal watercraft, e.g. water scoote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able water craft which is provided with a folding type structure to minimize volume to be easily stored and carried, and comprises: a base unit having a propulsion means having an electric motor supplied with power in a lower end thereof to provide a propulsion force, and provided with an electric condenser mutually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propulsion means; an underwater blade unit having a pair of main blade units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t both sides of the base unit, wherein one end is provided with a folding type by being individually hinged to both sides of a lower portion of the base unit for the other end to rotate in a lateral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unfolded, and an auxiliary blade unit of which one end portion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lade unit to be provided in a folding type, and rotated for the other end to head for an upper side in a state of being unfolded; and a buoyancy support body individually provided at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a blade fixing unit connected to support a gap between the auxiliary blade unit and the base unit, provided with an expansion type structure of which volume is selective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filling a gas, and provided with a buoyancy body spaced at an upper side of the main blade unit.

Description

접이식 수상 바이크{foldable water craft}Foldable water craft

본 발명은 접이식 수상바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접철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성이 개선된 접이식 수상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watercraf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watercraft having a foldable structure and having improved storage and portability to minimize volume.

일반적으로, 보트는 노 등을 이용한 인력에 의해 추진되거나 모터 등의 내연기관에 의해 추진되는 소형 배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보트는 수송 또는 낚시 등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레저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수상 레저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수상 레저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a boat refers to a small boat propelled by a man power using a furnace or the like or propelled by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 motor. These boats have been mainly used for transportation or fishing, but recently, as the leisure culture has spread and the population enjoying water leisure sports has been increasing, it is widely used for water leisure activities.

여기서, 수상 레저에 이용되는 보트는 수상 바이크, 요크 및 카약과 같은 소형 선박 형태로 구비되고 있으며, 수상스포츠를 편리하게 즐기도록 개인이 직접 상기 보트를 보관하거나 운반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Here, boats used for water and leisure are provided in the form of small vessels such as watercrafts, yorks, and kayaks. It is a trend that individuals directly store or transport the boats to enjoy water sports conveniently.

그러나, 종래의 보트는 부피 및 무게가 상당하여 운반이 까다롭고 보관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보트는 각 구성부품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보트로 구비되거나 선체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길이 내지 폭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보트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보관 및 휴대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 boats are bulky and heavy in weight, so that they are difficult to transport and require a large space for storage.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boat is provided with a built-in boat capable of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or a folding boat which can be folded in a length or width direction so a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hull, The prior art is disclosed.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보트는 조립이 복잡하여 각 구성부품에 대한 분해 또는 조립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구성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품을 별도로 관리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ssembled boat is complicated to be assembled,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disassemble or assemble each constituent part, and the connecting parts for joining the respective constituent parts must be managed separately, which is troublesome for the user.

또한, 종래의 접이식 보트는 부피 감소가 미미하여 휴대 내지 보관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트를 사용하거나 보관하기 위해서는 접이순서에 대응되도록 접히는 부분을 순차적으로 접거나 펼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olding boats of the related art have a problem in that the reduction in volume is so small that the portable and storage convenience is not greatly improved, and that the folde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order are folded or unfolded sequentially in order to use or store the boats.

한편, 종래의 보트에는 선체의 선저부에 수중익(hydrofoil)이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수중익이 구비된 선박은 활주시 상기 수중익에 의해 양력이 발생하여 선체가 물 위로 뜨게 되어 물의 점성과 유동에 의해 선저부가 받는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출력으로도 빠른 주행이 가능하면서도 파랑의 영향이 감소되어 비교적 조용한 항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boats are equipped with hydrofoils at the bottom of the hull. In the case of a ship equipped with hydrofoil, a lift is generated by the hydrofoil during sliding, and the hull is floated on the water, so that the resistance of the bottom portion due to the viscosity and flow of the water can be re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ravel with a low power even though the influence of wave is reduc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ake a relatively quiet voyage.

그러나, 상기 수중익을 종래의 조립식 및 접이식 보트에 적용하여 조립하는 경우, 상기 수중익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선저부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조립을 해야 하므로 선체를 안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 내지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hydrofoil is assembled by applying to the conventional assembling and folding boats, it is necessary to assemble the boat so that the bottom of the boat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prevent breakage of the hydrofoi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pparatus or space of the apparatus is required.

한국 공개특허 제10-1999-004664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4664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접철식 구조로 구비되어 보관 및 휴대성이 개선된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able watercraft having a foldable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volume and improved storage and portabilit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추진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식 축전기가 내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메인날개부와, 상기 메인날개부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보조날개부를 포함하는 수중날개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보조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날개고정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되 기체가 충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는 팽창형 구조체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날개부의 상측에 이격된 부력체가 구비된 부력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opulsion means including an electric motor, which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and provides a propulsion power, is installed at a lower end portion, and an electric capacito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propulsion means, A base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A main wing portion which is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so as to be hinged to each other, And an auxiliary wing portion tha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and is folded and folded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is rotated in an unfolded state toward the upper side; And an expansion type structural bod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ane fixing portion connected to support between the auxiliary van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nd being selectively bulky as the gas is filled. And a buoyancy support body having a buoyancy member spaced above the main wing portion.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는 상기 부력지지체의 양력분포영역이 증가되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보조날개부는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되되 접힘 상태에서 상기 메인날개부와 중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 main wing portion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other end so that the lift force distribution region of the buoyancy support body is increased. The auxiliary wing portion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other end, and has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mutually overlapping the main wing portion in the folded state It is preferable to set it.

이때, 상기 베이스부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부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힌지슬롯홀이 형성된 힌지회전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날개부의 일단부에는 힌지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조립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조립돌기에는 상기 힌지슬롯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회전부와 힌지 연결되되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시 상기 힌지슬롯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날개힌지축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rotation portion protruding from an inlet side edge of a laterally opened fixing groove portion and having a hinge slot hol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One end por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inge And a wing hinge shaft tha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hinge rotation part through the hinge slot hole and is slidably moved along the hinge slot when the hinge rota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part, .

그리고, 상기 날개고정부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타단부는 상기 보조날개부의 타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날개고정부는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에 결합되면 회동이 구속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vane fixing par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ase part so as to be foldable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vane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is restrained and fixed.

한편, 상기 날개고정부의 일단부에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다축회동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one end portion of the van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multi-axis rotation portion which is rotate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back-and-forth direction.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folding watercr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베이스부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부력지지체는 하부에 구비된 수중날개부가 수상 이동시 수중에 잠긴 상태로 양력을 제공함에 따라 주행동안 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부상상태가 유지되므로 조파 및 마찰저항이 감소되어 추진수단의 에너지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First, the buoyancy suppor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is provided with a lifting force in a state where the underwater wing part provided at the lower part is immersed in water during the water movement, so that the buoyant state is maintain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water surface during traveling,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propulsion means can be further improved.

둘째,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메인날개부와, 메인날개부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보조날개부와, 보조날개부와 베이스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날개고정부가 모두 접철식으로 구비됨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소형화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Second, the main wing portion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the auxiliary w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and the wing fixing portion connected to support between the auxiliary w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all fold- And can be miniaturized to a minimum volume in the folded state, so that storage and portable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셋째, 상기 메인날개부는 타단부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에 따라 부유체가 부상할 수 있도록 양력이 작용되는 양력분포영역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되어 트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독 또는 다수의 인원이 탑승하여 무게중심점이 이동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부상할 수 있어 수상 주행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Third, since the main wing portion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other end, the length of the lifting region in which the lifting force acts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lifting body, so that the trimm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center of gravity is moved by a person on board, it can be stably lifted, which can further improve the stability of water running.

넷째, 상기 날개고정부는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축회동됨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수중날개부와의 접촉이 미연에 방지되어 간섭에 의한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호 중첩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의 측부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부피가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Fourth, since the wing fixing portion is rotated in multiple direc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ack-and-forth direction, contact with the wing portion in the folded state is prevented to minimize wear and tear due to interference, So that the volume can be further miniaturized.

다섯째, 상기 날개고정부는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다축 회동되지만 수중날개부가 주행을 위한 펼침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는 회동이 구속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날개고정부에 고정된 부력지지체가 수면과 이격된 후에도 주행 전 초기 형태인 수중날개와의 평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Fifth, when the wing fixing part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ulti-shaft is rotated, but when the wing part is fixed in the unfolded state for traveling, the rotation is fixed in a restrained state. Therefore, after the buoyancy supporting body fixed to the wing fix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rface, The parallel state with the water wing, which is the initial form, can be maintained.

여섯째,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는 선체에 수중날개부를 조립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수중날개부를 펼친 후 부유체가 상측에 배치되도록 날개고정부를 결합하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수중날개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 내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Sixth, the folding type watercraf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of assembling an underwater wing in a hull.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assembling an underwater wing in a hull, the folding wing bike is assembled only by inserting the wing fixing portion so that the floating body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fter the water wing portion is opened. A separate device or space is not required, and the assembl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가 수상에 부유중인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에서 수중날개부가 베이스부에 연결된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wate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foldable wate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folding wate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able watercraft is floating in an aquar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foldable watercraft connected to an underwater wing portion of a bas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able water bike is deplo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oldable watercraf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가 수상에 부유중인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에서 수중날개부가 베이스부에 연결된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able wate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of a foldable watercra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able water b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loating in an aquarium,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folding water b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and FIG. 6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watercraft is deplo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베이스부(10), 수중날개부(20) 및 부력지지체(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1 to 6B, the foldable watercraf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10, an underwater wing portion 20, and a buoyancy support 30.

여기서,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강, 호수, 해안 등지에서 수상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설계에 따라 1인 내지 다수의 인원이 탑승 가능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각 구성부품을 접어서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oldable watercraft 100 may be used as a means for watercraft movement on rivers, lakes, coasts, and the like. The foldable watercraft 10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o accommodate one to many people according to the design. The foldable watercraft 100 may be folded to minimize the total volume and may be easily carried and transported have.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10)는 외면 프로파일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는 경량성, 내식성, 내염성 및 내구성을 갖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 및 강도, 내식성이 우수한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base portion 10 may have an outer profile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and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having light weight, corrosion resistance, salt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a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material excellent in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단부에는 추진수단(11)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추진수단(11)은 후단부에 구비된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진수단(11)은 수중에 잠긴 상태로 구동되기 위해 내부로 물의 유입이 방지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base unit 10 is provided with a propelling means 11 at a lower end thereof. In detail, the propelling means 11 may include an electric motor for rotating the propeller provided at the rear end to provide propulsion. In addition, the propelling means 11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in order to be driven in a state of being submerged in water.

또한, 상기 추진수단(11)은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식 축전기(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구동되어 상기 베이스부(10)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진수단(11)은 후술되는 컨트롤러(60)를 통해 전원 연결 내지 회전량 등이 제어될 수 있다.The propulsion means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 capacitor 16 provided in the base portion 10 and is driven to rotate the propeller by receiving power from the electric capacitor 16, Thereby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base portion 10. At this time, the driving means 11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uch as power supply connection, rotation amount,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는 상기 베이스부(10) 내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의 일면에 구비된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 전력원로부터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력원이라 함은 상업용 내지 가정용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별도의 설치작업 없이도 사용자가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를 충전하기만 하면 수상에서 이용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는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다수의 전기식 축전기를 구비하여 예비 전력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Here, the electric capacitor 16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10, and the power may be charg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se 10. In this case,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for supply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or a domestic power source. Accordingly, since the user can charge the electric storage device 16 without any additional installation work, the user can use the electric storage device 16 at the airstream. Of course, the electric condenser 16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base unit 10, or may be detached from the base unit 10. In such a case, the us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ic condensers to be used as a standby power source It is possible.

한편, 상기 베이스부(10)는 후술되는 부력체(32)에 의해 수면(S)에 부유된 상태로 하단부측 일부분이 수중에 잠길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32)는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0)는 상기 추진수단(11)의 구동에 따라 수상 이동시 전단부측 유선형 외면을 통해 유체의 흐름을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 방향으로 유도하여 유체에 의한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주행이 시작되면 상기 부력체(32)가 수면(S)과 이격되어 상기 부력체(32)로 인한 유체의 저항력이 사라져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추력에도 빠른 수상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측은 상기 추진수단(11)에 의해 추진되는 방향으로, 후측은 전측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portion 10 may be submerged in the lower portion side portion in a state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S by the buoyant body 32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buoyant bodies 3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base unit 10 guides the flow of the fluid to the both sides of the base unit 10 through the streamlined outer surface on the front end side when the water is mov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ropulsion unit 11, . Further, when the running water bike 100 starts to travel, the buoyant body 32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rface S, the resistance of the fluid due to the buoyant body 32 disappears and the speed can be improv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water fast even in thrust.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side is understood as a direction that is propelled by the propelling means 11 and the rear side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side.

한편, 상기 수중날개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각 수중날개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 하부라 함은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기 추진수단(11)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중날개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의 측부에 일단부가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일단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중날개부(20)의 일단부가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연결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The underwater wings 20 are formed of a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base 10 and are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base 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underwater wing portions 20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respectively. 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the propelling means 11 mounted 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That is, one end of the underwater wing 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10, and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propelling means 11. At this time,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water wing 2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propelling means 11 by way of example.

상세히, 상기 수중날개부(20)는 메인날개부(21)와 보조날개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외면 프로파일이 유선형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중 이동시 유체의 흐름을 상측 및 하측으로 유도하고 하면부에 유체에 의한 양력(f)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중날개부(20)는 수상 이동시 수중에 잠긴 상태로 상기 양력(f)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부력체(32)가 주행동안 수면(S)으로부터 이격되어 부상상태가 유지되어 조파 및 마찰저항이 감소되므로 상기 추진수단(11)의 에너지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detail, the submersible wing 20 includes a main wing 21 and an auxiliary wing 22. At this time, the main wing portions 21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arrang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and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Here, the main wing 21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profile with an outer profile to guide the flow of the fluid upward and downward while moving in the water, and to induce a lift (f) . As a result, the buoyant body (32)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rface (S) during traveling to maintain the buoyant state, and the buoyant wave The frictional resistance is reduced, so that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propelling means 11 can be further improved.

이때,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타단부를 향해 전측 및 후측 중 일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날개부(21)가 타단부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wing portion 21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other end. Here, the main wing portion 21 may extend obliquely toward one side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toward the other end. In this embodiment, the main wing portion 21 may have a shape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other end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상세히,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측방향의 수평기준선(h1)과 중첩되는 일단부를 기준으로 타단부로 갈수록 제1각도(θ1)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각도(θ1)는 상기 수평기준선(h1)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In detail, the main wing portion 21 may be inclined toward the rear side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gle? 1 toward the other end with reference to one end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lateral horizontal reference line h1. That is, the main wing portion 2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substantially parallelogram. At this time, the first angle? 1 may be set at various angles based on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1.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상기 부력체(32)에 상기 양력(f)이 작용하는 상기 양력분포영역(L)이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력분포영역(L)이라 함은 상기 부력체(32)가 부상할 수 있도록 상기 양력(f)이 작용되는 영역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reby, the main wing portion 21 can increase the lifting region L in which the lifting force f acts on the buoyancy body 32. [ Here, the lift distribution region L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region where the lift force f acts so that the buoyant body 32 floats.

다시 말해,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 상기 수평기준선(h1)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면 상기 양력분포영역(L)의 전후방향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코드(c), 즉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21)가 타단부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면 상기 양력분포영역(L)의 전후방향 길이가 증가되어 상기 양력(f)이 작용될 수 있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main wing portion 21 is extended from the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h1,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lift distribution region L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main wing portion 21, (C), that is, the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Here, when the main wing 21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rear side toward the other end, the length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of the lift distribution region L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rea where the lift f can be applied .

이를 통해, 상기 부력체(32)의 후단부측이 전단부측보다 물속에 더 깊게 잠기는 트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부력체(32)의 후단부측이 물에 가라앉는 면적이 감소되어 유체의 저항력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단독 또는 다수의 인원이 탑승하여 무게중심점이 이동하게 되더라도 후단부 측이 상기 양력(f)에 의해 안정적으로 부상할 수 있어 수상 주행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rear end side of the buoyant body (3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eper than water in the deeper side than the front end side, and the area where the rear end side of the buoyant body (32) The resistance of the fluid can be reduced. Further, even if the weight center point is moved by the single or multiple persons on the foldable watercraft 100, the rear end side can be stably floated by the lift f,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water running can be further improved have.

한편,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 하부의 양측, 즉 상기 추진수단(11)의 양측부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접철식으로 구비된다라 함은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연결된 후술되는 날개힌지축(21c)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인접하도록 접혀지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펴질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접힘 상태로 구비되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의 전체 부피가 축소될 수 있어 사용자의 휴대성 및 보관편의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어 수중에 잠긴 상태로 수상 이동시 하면부에 상기 양력(f)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펼침 상태라 함은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를 사용하기 위해 각 구성부품이 펼쳐지도록 회동시킨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접힘 상태라 함은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의 전체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각 구성부품이 접혀지도록 회동시킨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 main wings 21 may be hing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that is,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propelling means 11, and may be provided in a folding manner. Here, the main wing 21 is provided in a folding type. The main wing 21 i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21c around the wing hinge shaft 21c, which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propelling means 11,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being able to be fold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ide of the base 10 or to be spread apart. Accordingly, if the main wing 21 is provided in a folded state, the entire volume of the foldable watercraft 100 can be reduced, and the portability and storag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the main wing 21 is rotated in the unfolded state while the other end is turned to the side, so that the lifting force f can be generated in the underside when the water is moved while being immersed in water. Here, the expanded state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is rotated to unfold the components to use the foldable watercraft 100. The folded state means that the entire volume of the foldable watercraft 100 is minimized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each component is rotated so as to be folded.

또한, 도 5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에는 힌지회전부(14)가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회전부(14)가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형성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5 and 6B, a hinge rotation part 14 is provided at a lower part of the base part 10. [ In this embodiment, the hinge rotation part 14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ropelling means 11 as an example.

상세히, 상기 힌지회전부(14)는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구비될 수 있며, 이를 위해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는 고정홈부(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부(13)는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부(13)는 상기 추진수단(11) 측부의 어느 일측에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진수단(11)의 중심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상기 고정홈부(13)에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In detail, the hinge rotation part 14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ropelling means 11, and a fixing groove 1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ropelling means 11 for this purpose. At this time, the fixing groove 13 may be formed to be laterally opened on the side of the propelling means 11. The fixing groove 13 may be formed at any one side of the side of the propelling means 11, but may be formed horizontally laterally from the center of the propelling means 11. Thus, the main wing portion 21 can be fixed to the fixing groove portion 13 in a horizontal state.

그리고, 상기 힌지회전부(14)는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힌지회전부(14)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홈부(13)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회전부(14)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홈부(13)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11)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hinge rotation part 14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entrance side edge of the fixing groove part 13. In detail, the hinge rotation part 14 may be extend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fixing groove part 13 and the other end thereof protrudes from the entrance side edge of the fixing groove part 13. That is, the hinge rotation unit 14 may be a separate member and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13, or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propelling unit 11 as the case may be.

이때, 상기 힌지회전부(1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힌지슬롯홀(14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슬롯홀(14a)은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회전부(14)는 상기 고정홈부(13)의 전후방향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각 힌지회전부(14) 사이에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inge rotation part 14 may be formed with a hinge slot hole 14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hinge slot hole 14a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directed inwardly from the inlet side of the fixing groove portion 13. The hinge rotation part 1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groove 1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opening of the fixing groove 13 between the respective hinge rotation parts 14. [ .

한편,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일단부에는 조립돌기(21b)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홈부(13)에 대응되는 전후방향 폭을 갖는 형합홈부(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형합홈부(21a)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립돌기(21b)는 일단부가 상기 형합홈부(21a)의 바닥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형합홈부(21a)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돌기(21b)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형합홈부(21a)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메인날개부(21)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돌기(21b)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축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삽입홀은 상기 날개힌지축(21c)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assembling protrusion 21b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wing 21. The main wing 21 may be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 fitting groove 21a having a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13 and the fitting protrusion 21b may be formed in the fitting groove 21a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assembling protrusion 21b may be extended so that one end of the assembling protrusion 21b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upling groove 21a and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b protrudes from the inlet side edge of the coupling groove 21a. That is, the assembling protrusion 21b may be a separate member and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21a, or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wing 21 in some cases. The assembling protrusion 21b may be formed with a shaft insertion hole formed in a back and forth direction. At this time, the shaft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vane hinge shaft 21c.

또한,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형합홈부(21a)의 중앙부, 즉 상기 각 힌지회전부(14) 사이에 개구된 상기 고정홈부(13)의 입구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힌지회전부(14) 사이간격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설정되어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각 힌지회전부(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ssembling protrusion 21b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entral portion of the coupling groove 21a, that i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inlet side of the fixing groove 13 opened between the respective hinge rotation portions 14. [ The assembly projections 21b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spective hinge rotation parts 14 so as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hinge rotation parts 14.

여기서, 상기 조립돌기(21b)에는 상기 날개힌지축(21c)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힌지축(21c)은 단면 프로파일이 원형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힌지축(21c)은 각 힌지슬롯홀(14a) 및 상기 축삽입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메인날개부(21)가 힌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wing hinge shaft 21c may be provided on the assembling protrusion 21b, and the wing hinge shaft 21c may have a circular profile in cross-sectional profile. The wing hinge shaft 21c may be inserted through the respective hinge slot holes 14a and the shaft insertion holes so that the main wing 21 can be hinged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메인날개부(21)가 측방향으로 펼쳐지면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고정홈부(13)에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날개부(21)를 상기 추진수단(11)의 측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밀면 상기 날개힌지축(21c)이 상기 각 힌지슬롯홀(14a)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고정홈부(13)의 내측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돌기(21b)는 상기 날개힌지축(21c)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13)에 삽입되고 상기 각 힌지회전부(14)는 상기 형합홈부(2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립돌기(21b) 및 상기 각 힌지회전부(14)가 상기 고정홈부(13) 및 상기 형합홈부(21a)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상기 메인날개부(21)는 회동이 구속되어 안정적으로 측방향을 향해 펼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날개부(21)는 별도의 부재 필요없이 간단한 회동 및 가압 조작만으로도 펼침 상태를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분실 우려가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main wing 21 is laterally expanded, the assembling protrusion 21b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xing groove 13. When the main wing portion 21 is push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side portion of the propelling means 11, the wing hinge shaft 21c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portion 13 along the rim of each of the hinge slot holes 14a.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assembling protrusion 21b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3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vane hinge shaft 21c, and the respective hinge rotation parts 14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1a . As the assembly projections 21b and the respective hinge rotation parts 14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3 and the mating groove 21a, the rotation of the main wing 21 is restrained, The unfolded state can be maintained toward the lateral direction. Accordingly, the main wing 21 can be maintained in the unfolded state by only a simple rotation and pressing operation without the necessity of a separate member, and the main wing 21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base 10, .

한편,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각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외면 프로파일이 유선형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측에 구비되는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날개부(22)의 일단부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에는 상호 형합되는 형합접촉면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날개부(22)가 기설정된 각도에 대응되도록 회동되면 각 형합접촉면이 상호 접촉되어 상기 보조날개부(22)의 회동 각도가 제한될 수도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wings 22 are provided as a pair and one end of each main wing 21 is hinged to the other end to be foldably installed. In detail,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may have an outer profile formed in a streamlined profile and may be rot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round a hinge shaft (not shown) provided at the other end side of the main wing portion 21 have. At this time, the one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21 may be formed with mutually mating contact surfaces. Accordingly, when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is rotat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angle, the respective engaging contact surface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may be limited.

여기서,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대면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측방향 길이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될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is disposed such that the other end portion thereof is turned to face upward in the unfolded state, and is substantially opposed to the base portion 10. That is, the auxiliary wings 22 are disposed to face the side of the base 1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to the lateral length of the main wings 21.

그리고,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타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펼쳐지며 후술되는 날개고정부(31)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 측에서 발생하는 와류 형태의 유체흐름이 중앙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메인날개부(21)에 작용하는 유체의 저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날개부(22)의 일단부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타단부는 상술한 상기 베이스부(10)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힌지 연결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is extended toward the upper side and is coupled to a wing fixing portion 31 described later. As a result, the auxiliary wing 22 prevents the vortex-like fluid flow generat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wing 21 from entering the center, The resistance can be reduced. Of course,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may be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21 in an upward direction. One end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wing portion 21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 main wing portion 21 .

여기서,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장폭 간격 이하의 길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상기 보조날개부(22)가 중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측을 향해 회동될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may be set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main wing portion 21. Accordingly, the main wing portion 21 can be pivoted toward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10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is overlapped.

그리고,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타단부로 갈수록 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보조날개부(22)는 펼침 상태에서 상하방향의 수직기준선(h2)과 중첩되는 일단부를 기준으로 타단부를 향해 제2각도(θ2)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front side toward the other end. Specifically,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may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ngle? 2 toward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one end overlapping with the vertical reference line h2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unfolded state have. That is,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may be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a parallelogram.

이때, 상기 보조날개부(22)의 경사각은 상기 메인날개부(21)와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각도(θ2)는 상기 제1각도(θ1)에 대응되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0)와의 대향면이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상면부에 중첩되도록 접힌다. 이때,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10)와의 대향면이 전체적으로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상면부에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날개부(2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와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중첩되도록 접힐 수 있으며, 접힘 상태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소형화되어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인접하게 접힐 수 있어 사용자의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is set to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mutual direc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21. That is, the second angle? 2 may be set to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gle? 1. Here,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is folded so that the face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facing the base portion 10 overlaps the upper face por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21 in the folded state. At this time, since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is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main wing portion 21, a surface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facing the base portion 10 can be superpos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21 as a whole have. Accordingly,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can be folded so as to overlap with the main wing portion 21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wing portion 21, and can be miniaturized to a minimum volume in the folded state, It can be folded adjacent to the side so that the storage and portabl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부력지지체(30)는 상기 날개고정부(31)와 상기 부력체(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베이스부(10)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되되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 상부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보조날개부(22) 및 상기 베이스부(10) 사이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발판이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uoyant support 30 includes the vane fixing part 31 and the buoyant body 32. In detail, the vane fixing part 31 is formed of a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base part 10, a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1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wing fixing part 31 may extend to correspond to the interval between the auxiliary wing part 22 and the base part 10. In addition, a foot plate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ane fixing portion 31 to prevent slippage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타단부는 상기 수중날개부(20)의 타단부, 즉 상기 보조날개부(22)의 타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는 상기 날개고정부(31)에 의해 상기 보조날개부(22) 및 상기 베이스부(10) 사이가 지지됨에 따라 상기 보조날개부(22)가 구속되어 펼침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wing fixing part 31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ase part 10 and is folded and fold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ater wing part 20, In a detachable manner. The main wing portion 21 is supported by the wing fixing portion 31 between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and the base portion 10 so that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is restrained, The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이때,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에는 다축회동부(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축회동부(33)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축회동부(33)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일측에는 상하힌지축(33a)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전후힌지축(33b)이 구비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축회동부(33)의 일단부에 상하힌지축(33a)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전후힌지축(33b)이 구비된 형상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A, it is preferable that a multi-shaft pivot portion 3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lade fixing portion 31. Here, the multiaxial rotation unit 33 may be a separate member and hinged to one end of the vane fixing unit 31. The upper and lower hinge shafts 33a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ultiaxial turning unit 33 and the front and rear hinge shafts 33b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hinge shafts 33a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multidirectional rotary part 33 and the front and rear hinge shafts 33b are provided at the other end.

상세히, 상기 다축회동부(33)의 일단부에는 중앙측에 측방향으로 개구된 제1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삽입홈에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힌지부(15)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힌지부(15)는 상기 베이스부(10) 전단부의 측부에 상기 수중날개부(20)의 접힘 상태에서 상호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힌지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end of the multiaxial turning portion 33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which is laterally opened at the center side. Through this, the first insertion groove can be inserted with a fixed hinge portion 15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side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Here, the fixed hinge portions 15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at positions that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folded state of the water wing portion 20,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또한, 상기 다축회동부(33)의 일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삽입홈에 의해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분할된 단부에는 상기 제1삽입홈에 연통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힌지삽입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통홀 및 각 제1힌지삽입홀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삽입홈에 상기 고정힌지부(15)가 삽입되면 상기 상하힌지축(33a)은 제1힌지관통홀 및 각 제1힌지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다축회동부(33)는 상기 상하힌지축(33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 end of the multiaxial turning portion 33 may be divided by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a first hinge insert (not shown) may be formed at each of the divided end portion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Holes may be respectively formed. When the fixed hinge portion 15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such that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first hinge insertion hole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hinge shafts 33a are inserted into the first hinge insertion holes And each first hinge insertion hole. Accordingly, the multiaxial turning unit 33 can be pivoted up and down about the upper and lower hinge shafts 33a.

그리고, 상기 다축회동부(33)의 타단부에는 중앙측에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제2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힌지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홈에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홈에 의해 분할된 각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2힌지삽입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힌지축(33b)은 상기 제2삽입홈에 상기 날개고정부(31)의 일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힌지관통홀 및 각 제2힌지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전후힌지축(33b)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힌지축(33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어 다축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second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ultiaxial turning portion 33 so as to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a second hing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vane fixing part 31 in a vertic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vane fixing part 3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In addition, a second hinge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at each end portion divided by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he second hinge insertion hole formed to pass throug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ont and rear hinge shafts 33b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inge insertion holes and the second hinge insertion holes with one end of the blade fixing part 31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herefore, the vane fixing portion 31 is not only rotated about the front-rear hinge axis 33b in the front-rear direction but also vertically about the upper and lower hinge axis 33a, .

이때, 상기 날개고정부(31)는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22)에 결합되면 회동이 구속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날개고정부(31)의 타단부에는 결합돌기(31a)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31a)는 상기 보조날개부(22)의 타단부 일측에 관통 형성된 끼움홀(22a)에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재(31b)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31a)는 상기 날개고정부(31)의 두께 이상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1b)에는 상기 나사산에 형합되는 나사홀부가 관통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날개고정부(31)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일단부가 상기 다축회동부(33)에 의해 다축 회동되더라도 상기 수중날개부(20)가 주행을 위한 펼침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는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22)와 결합되어 회동이 구속되므로 수상 이동시에도 상기 부력체(32)가 수면(S)과 이격된 후에도 주행 전 초기 형태인 상기 수중날개부(20)와의 평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vane fixing portion 31 is coupled to the auxiliary vane portion 22, the rotation is preferably restrained and fixed. In detail, a coupling protrusion 31a may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vane fixing part 31. [ The coupling protrusion 31a may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22a formed at on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and may be fastened to a separate fixing member 31b.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s 31a are extended to have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ane fixing portion 31,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n the fixing member 31b, a screw hole So that the vane fixing part 31 can be fixed. Accordingly, even if one end portion of the blade fixing portion 31 is rotated by the multi-shaft rotation portion 33 by the multi-shaft rotation portion 33, when the underwater blade portion 20 is fixed in the opened state for traveling, 22 so that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buoyant body 32 with the underwater wing 20 can be maintained even after the buoyant body 32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rface S,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31a) 및 상기 고정부재(31b)는 억지 끼움으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날개부(22)와 상기 날개고정부(31)가 착탈식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upling protrusions 31a and the fixing members 31b may be coupled with each other by interference fit, and the auxiliary vanes 22 and the vane fixing portions 31 may be detachably fixed to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이와 같이,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수중날개부(20)의 펼침 상태에서 상기 상하힌지축(33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상기 전후힌지축(33b)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날개부(21) 및 상기 보조날개부(22)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전측을 향해 회동되므로 접힘 상태에서 상기 수중날개부(20)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날개고정부(31)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수중날개부(20)와의 접촉이 미연에 방지됨에 따라 간섭에 의한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호 중첩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부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부피가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The wing fixing part 31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upper and lower hinge shafts 33a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water wing part 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auxiliary wing part 22 . The wing fixing part 31 is rotated toward the front 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main wing 21 and the auxiliary wing 22 about the front and rear hinge shafts 33b, The interference with the wing portion 20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since the wing fixing part 31 is prevented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underwater wing part 20 in the folded state, the wear and breakage due to the interference is minimized and the durability is further improved, And is disposed in a folded state on the side of the base portion 10, so that the volume can be further miniaturized.

그리고,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날개고정부(31)에는 상기 부력체(32)가 착탈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32)는 기체가 충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는 팽창형(inflatable) 구조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부력체(32)는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도록 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테르, 강화폴리비닐 등의 유연한(flexibl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32)는 상기 날개고정부(31)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단부 및 후단부가 라운드진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초기 수상 이동시 유체 저항력이 감소될 수 있다.1 to 6B, the buoyant body 3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ane fixing part 31.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t body (32) is provided with an inflatable structure which is selectively volumetric as the gas is filled. In detail, the buoyant body 32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synthetic rubber, polyether, reinforced polyvinyl or the like so that a filling space is formed therein and its volume is selectively controlled. Further, the buoyant body 32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vane fixing portion 31, and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may be formed as a rounded outer surface profile, have.

여기서, 상기 부력체(32)는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상측에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부력체(32)의 하면, 상기 베이스부(10)의 측면, 상기 베이스부(10)와 대향되는 상기 보조날개부(22)의 내면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상면의 내측에는 양력 발생을 위한 수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buoyant body 3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wing 21.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t body 32 is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facing the base portion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wing portion 21 A water flow space for generating lift can be formed inside.

이때, 상기 부력체(32)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되 가능한 얕은 흘수(draft)를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메인날개부(21)로부터 상기 양력(f)이 발생하면 보다 빠르게 수면(S)으로부터 이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t body 32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set to have a shallow draft as much as possible. Accordingly, when the lifting force f is generated from the main wing 21, it can be removed from the water surface S more quickly.

그리고, 상기 부력체(32)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 또는 배출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에 내삽된 공기주입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수단(미도시)은 외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는 에어펌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수단(미도시)은 상기 컨트롤러(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식 축전기(16)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부력체(32)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주입되거나 배출할 수 있다.The buoyant body 32 may be connected to air injecting means (not shown) inserted into the base 10 to selectively inject or discharge the air. Here, the air injecting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with an air pump or the like capable of sucking or discharging the outside air. The air injecting means (not shown) may be driven by power from the electric capacitor 1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0 and may be selectively driven to inject or discharge air into the buoyant body 32 can do.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32)는 공기가 주입되면 전측 및 후측을 향해 기설정된 길이를 갖도록 팽창될 수 있으며, 상부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32)는 일측이 상기 날개고정부(31)에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32)가 상기 날개고정부(31) 에 부착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된 기체를 배출한 후 상기 부력체(32)를 상기 날개고정부(31)의 하면부측으로 접거나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부력체(32)는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됨에 따라 제품의 운반, 휴대 및 보관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러(60)의 조작만으로도 자동으로 공기가 충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중날개부(20)를 펼친 후 상기 부유체(32)가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날개고정부(31)를 상기 수중날개부(20)에 결합하기만 하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상기 수중날개부(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 내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1, the buoyant body 32 may be inflat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when air is injected, and the buoyant body 32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ride on the upper side. One side of the buoyant body 3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vane fixing part 31 by a separate coupling member, and may be attached by a method such as adhesion. In this case, when the buoyant body 32 is attached to the vane fixing part 31, the user discharges the gas filled in the filling space, and then the buoyant body 32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vane fixing part 31 Folded or curled. As a result, the buoyancy body 32 is selectively adjusted in its volume to improve the transportation, carrying and storage of the product, and the air is automatically fill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60, . The foldable watercraft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ing fixing portion 31 is coupled to the water wing portion 20 so that the float 3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after the water wing portion 20 is substantially opened. The assembling is completed, so that a separate device or space for separating the water wing portion 20 from the ground is not needed, so that the assembling property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1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부(10)는 좌석지지부(40)와 컨트롤러지지부(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석지지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 후측에 회동되도록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며, 지지연장부(41) 및 좌석부(4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1 to 5A, the base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seat support unit 40 and a controller support unit 50. One end of the seat supporting portion 40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0 and may include a supporting extension portion 41 and a seat portion 42.

상세히, 상기 지지연장부(41)의 일단부는 일측에 구비된 좌석힌지축(41a)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연장부(41)는 상측으로 회동되어 펼침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연장부(41)의 일단부 타측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끼움홈(41b)이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one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part 41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10 by a seat hinge shaft 41a provided at one side in a vertical direction. Here, the support extension part 41 is rotated upward, and one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part 41 may be seat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10 in the extended state. In addition, a fitting groove 41b, which is laterally opened,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41.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에는 좌석고정돌기(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좌석고정돌기(12)는 일단부가 돌기힌지축(12a)에 의해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석고정돌기(12)는 상기 지지연장부(41)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에 안착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끼움홈(41b)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돌기힌지축(12a)은 상기 좌석힌지축(41a)으로부터 상기 지지연장부(41)의 전후방향 폭을 초과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단부 전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고정돌기(12)는 상기 끼움홈(41b)에 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석고정돌기(12)는 타단부측 외면 프로파일이 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홈(41b)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고정돌기(12)의 타단부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eat fixing protrusion 12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10. At this time, the seat fixing protrusion 12 may be hinged so that one end portion thereof is laterally rotated by the projection hinge shaft 12a. At this time, the seat fixing protrusion 12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one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part 41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art 10 and the other end is slidably inserted in the fitting groove 41b in th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projection hinge shaft 12a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base unit 10 so as to extend from the seat hinge shaft 41a to the width of the support extension unit 4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urther, the seat fixing protrusion 12 may be extended to a length that can be laterally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41b. The inner surface profile of the fitting groove 41b may correspond to the profil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12, .

이를 통해, 상기 좌석지지부(40)는 별도의 부재 없이도 상기 끼움홈(41b)에 상기 좌석고정돌기(12)를 삽입하기만 해도 회동이 구속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좌석고정돌기(12) 및 상기 좌석지지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각 구성부품의 분실 우려가 없어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at support portion 40 can be easily used, because the rotation of the seat support portion 40 is locked in a state where the seat fixing protrusion 12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41b without a separate member. In addition, since the seat fixing protrusion 12 and the seat supporting portion 40 are connected to the base 10, there is no fear of losing each of the components, and storage and management can be facilitated.

그리고, 상기 지지연장부(41)의 타단부에는 좌석부(42)가 구비되되, 상기 좌석부(42)는 전후방향으로 분할되어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좌석부(42a,42b)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확장힌지부(42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좌석부(42a,42b)의 상호 대향단부가 상기 확장힌지부(42c)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힌지부(42c)는 상기 각 좌석부(42a,42b)의 상호 대향단부가 연결된 힌지축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지지연장부(41)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A seat portion 4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extension portion 41, and the seat portion 42 may be divided into a pair of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 extended hinge portion 42c capable of pivot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may be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seat portions 42a and 42b and mutual opposite ends of the seat portions 42a and 42b may be formed in the extended hinge portion 42c . The extension hinge portion 42c is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hinge shaft to which mutually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seat portions 42a and 42b are connected and is fix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extension portion 41 .

이때, 상기 각 좌석부(42a,42b)는 상기 확장힌지부(42c)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전후측을 향해 각각 힌지 회동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좌석부(42a,42b)의 대향단부가 상호 접촉되어 회동이 제한되면 상호 밀착된 상태로 전후측을 향해 수평상태로 펼쳐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좌석부(42)의 상측에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좌석부(42a,42b)가 밀착되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실질적으로 연장된 상태이므로 추가적인 사용자의 동반 탑승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좌석부(42a,42b)는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중첩되도록 접혀질 수 있다.The respective seat portions 42a and 42b may be hinged to front and rear side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hinge axis of the extended hinge portion 42c. When they are mutu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restricted in rotation, they can be spread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nd rear sides in a state of close contact. Accordingly, not only the user can si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42 but also the respective seat portions 42a and 42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ength is substantially exten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o. The seat portions 42a and 42b may be folded so that the seat portions 42a and 42b are rotat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overlapped.

이와 같이, 상기 좌석지지부(40)는 상기 좌석힌지축(41a)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되어 접힘 상태시 상기 각 좌석부(42a,42b)가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의 하부측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수중날개부(20)와의 간섭없이 상기 베이스부(10)와 연결된 상태에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The seat supporting portion 40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bout the seat hinge shaft 41a so that the seat supporting portions 40 are fol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 portions 42a and 42b face each other in the folded state, 10, the volume can be minimiz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base unit 1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underwater wing unit 20.

한편, 상기 지지연장부(41)는 펼침 상태에서 상하방향의 수직기준선(h2)과 중첩되는 타단부를 기준으로 일단부를 향해 제3각도(θ3)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연장부(41)는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각도(θ3)는 상기 제2각도(θ2)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좌석부(42)는 상기 부력체(32)의 중앙부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하여 정지된 상태에도 안정적인 부유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좌석부(42)에 착석시 상기 양력분포영역(L)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변화로 인해 하중 중심점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메인날개부(21)의 받음각이 커지도록 조절하여 상기 양력(f)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상기 부력체(32)를 수면(S)으로부터 이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부력체(32)가 상기 수중날개부(20)로부터 작용되는 저항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양력(f)에 의해 부상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허리 내지 하체의 힘을 이용하거나 자세를 조정하여 상기 추진수단(11)의 추진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부(10) 및 상기 보조날개부(22)의 전방 각도를 변화시켜 상하운동 없이 좌우 방향전환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extension part 41 may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gle? 3 toward one end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verlapping with the vertical reference line h2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extended state have. At this time, the support extension part 41 may be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a parallelogram. Here, the third angle? 3 may be set to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ngle? 2. Accordingly, since the seat portion 42 is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buoyant body 32, a stable floating stat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user is seated and stopped. At this time, the user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 distribution area L when the seat 42 is seated. According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oad can be shifted due to the change of the posture of the user, and the lift angle of the main wing portion 21 is increased so that the lift force f is greatly increased, (S). Further, since the buoyant body 32 is floated by the lift f so that the resistance force acting from the underwater wing 20 is reduced, the user can use the force of the waist or the lower body or adjust the postur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eans 11 can be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user can change the front angle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so that the user can chang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out moving up and down.

또한, 상기 베이스부(10)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상기 제3각도(θ3)에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0)의 후단부는 접힘 상태에서 상기 지지연장부(41)의 대향단부와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형합될 수 있으므로 부피가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10 may extend obliquely toward the front side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angle? 3 from the upper end toward the lower end. Accordingly,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can be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end portions of the support extension portion 41 in the folded state, so that the volume can be further minimized.

한편,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는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부(10)의 전단부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컨트롤러힌지축(51)에 의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의 일단부 및 상기 베이스부(10)의 전단부 일측에는 상술한 상기 베이스부(10) 및 상기 메인날개부(21)의 힌지 연결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controller support portion 50 may be hinged to a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base portion 10 by a controller hinge shaft 51 which can be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course, the one end of the controller support portion 50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ing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 main wing portion 21,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의 타단부에는 별도의 상기 컨트롤러(60)가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 타단부에 구비된 접속단자와 결합되어 유선으로 상기 추진수단(11) 및 상기 공기주입수단(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부의 상기 추진수단(11) 및 상기 공기주입수단(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6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추진수단(11) 및 공기주입수단(미도시)이 구동될 수 있다.Here, the controller 6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troller support unit 5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6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troller supporter 50 and connected to the propelling means 11 and the air injecting means (not shown) by wire.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pulsion unit 11 and the air injection unit (not shown) inside the base unit 10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troller support unit 50. Further, the controller 60 may be connected to drive the propulsion unit 11 and the air injection unit (not shown).

이와 같이, 상기 접이식 수상 바이크(100)는 상기 메인날개부(21), 상기 보조날개부(22), 상기 좌석지지부(40) 및 상기 컨트롤러지지부(50)가 모두 접철식으로 구비됨에 따라 접힘 상태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소형화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휴대편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wing portion 21, the auxiliary wing portion 22, the seat support portion 40, and the controller support portion 50 are both folded in the folding type, Since it can be miniaturized to a minimum volume, storage and portable convenien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He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having", or "having" as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mean that the constituent element can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mponents bu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베이스부 11: 추진수단
20: 수중날개부 21: 메인날개부
22: 보조날개부 30: 부력지지체
31: 날개고정부 32: 부력체
40: 좌석지지부 50: 컨트롤러지지부
100: 접이식 수상 바이크
10: base part 11: propelling means
20: underwater wing 21: main wing
22: auxiliary wing 30: buoyant support
31: wing fixing part 32:
40: seat support part 50:
100: folding water bike

Claims (5)

하단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추진력을 제공하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추진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추진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식 축전기가 내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 하부의 양측에 일단부가 각각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메인날개부와, 상기 메인날개부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펼침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회동되는 보조날개부를 포함하는 수중날개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보조날개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되는 날개고정부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되 기체가 충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는 팽창형 구조체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날개부의 상측에 이격된 부력체가 구비된 부력지지체를 포함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A base unit having an electric capacitor internally connected to the propulsion unit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propulsion unit, the propulsion unit including an electric motor,
A main wing portion which is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which is pivot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so as to be hinged to each other, And an auxiliary wing portion that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main wing portion and is folded and folded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wing portion is rotated in an unfolded state toward the upper side; And
And an expansion type structural bod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vane fixing portion connected to support between the auxiliary van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nd being selectively bulky as the gas is filled, And a buoyancy support body having a buoyancy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w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날개부는 상기 부력지지체의 양력분포영역이 증가되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보조날개부는 타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되되 접힘 상태에서 상기 메인날개부와 중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wing portion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other end so that the lift force distribution region of the buoyancy support body is increased,
Wherein the auxiliary wing portion is set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mutually overlap with the main wing portion in a folded state when the auxiliary wing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other en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부의 입구측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힌지슬롯홀이 형성된 힌지회전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날개부의 일단부에는 힌지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조립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조립돌기에는 상기 힌지슬롯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회전부와 힌지 연결되되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시 상기 힌지슬롯홀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날개힌지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includes a hinge rotation part protruding from an entrance side edge of a laterally opened fixing groove part and having a hinge slot hol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Wherein one end of the main w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protrusion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Wherein the assembling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wing hinge shaft which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hinge rotation part through the hinge slot hole and slidable along the hinge slot when the hinge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고정부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측부에 힌지 연결되어 접철식으로 구비되며, 타단부는 상기 보조날개부의 타단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날개고정부는 타단부가 상기 보조날개부에 결합되면 회동이 구속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vane fixing part is hinge-connected to the side of the base part so as to be folded and folded,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vane part,
Wherein the wing fixing part is fixed by rotation when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auxiliary w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고정부의 일단부에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다축회동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수상 바이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end portion of the wing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multi-shaft rotation portion that is rotat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the back-and-forth direction.
KR1020170140145A 2017-10-26 2017-10-26 foldable water craft KR101918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45A KR101918169B1 (en) 2017-10-26 2017-10-26 foldable water cr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45A KR101918169B1 (en) 2017-10-26 2017-10-26 foldable water cra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169B1 true KR101918169B1 (en) 2018-11-13

Family

ID=6439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145A KR101918169B1 (en) 2017-10-26 2017-10-26 foldable water cra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16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610A (en) 2007-10-29 2009-05-21 Ichiro Yamazaki Hydrofo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610A (en) 2007-10-29 2009-05-21 Ichiro Yamazaki Hydrofoi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2459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387B2 (en) Self-propelling hydrofoil device
US6178905B1 (en) Personal hydrofoil water craft
US4942838A (en) Inflatable watercraft with portable engine package
ES2647830T3 (en) System and method for underwater observation
CN116215822A (en) Electric motor waterway aircraft and drive train system
JP2001130478A (en) Ship with hydrofoil
US6539889B2 (en) Frame, inflatable skin and watercraft formed from same
KR101918169B1 (en) foldable water craft
WO2006119057A1 (en) Watercraft with submerged passive flotation devices
KR101996609B1 (en) foldable water craft
CN205632940U (en) Unmanned ship of hydrofoil of little water plane of stealthy monomer
CN213566378U (en) Anti-tilting ship balancing device
US7610870B1 (en) Interlocking platform boats
US20020124783A1 (en) Personal hydrofoil water craft
FR3103780A1 (en) Electrically powered inflatable water craft intended to be piloted in a standing position
CN111836758A (en) Inflatable motor boat
CN113120155B (en) Marine wing bridge and ship
KR101393541B1 (en) Boat with improved drive performance
US20220281557A1 (en) Marine craft
US6543378B1 (en) Personal watercraft
CN204415697U (en) Yacht
KR20140066619A (en) Trunk type boat
CN110254604A (en) Folding foilcraft
US8813672B2 (en) Swimming platform for a boat
US20200031430A1 (en) Multiple hull folding 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