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748B1 - 격발형 인공수정기 - Google Patents

격발형 인공수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748B1
KR101917748B1 KR1020180059375A KR20180059375A KR101917748B1 KR 101917748 B1 KR101917748 B1 KR 101917748B1 KR 1020180059375 A KR1020180059375 A KR 1020180059375A KR 20180059375 A KR20180059375 A KR 20180059375A KR 101917748 B1 KR101917748 B1 KR 10191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injector
guide tube
spr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표
Original Assignee
전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표 filed Critical 전상표
Priority to KR102018005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D19/027Devices for injecting semen into animals, e.g. syringes, guns,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발형 인공수정기에 관한 것으로, 주입기 안내튜브와 카메라 안내튜브가 나란히 삽입된 주입관이 체결된 총기 형상의 케이스에 격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안내튜브로 전방에 LED가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를 넣어 경관 입구를 정확히 찾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정액 주입기를 주입기 안내튜브로 밀어넣고 정액도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격발형 인공수정기{TRIGGER TYPE INSTRUMENT FOR ARTIFICIAL INSEMINATION}
본 발명은 소나 말 등 동물의 정액을 주사하여 인공적으로 수태를 시키는 데 사용되는 인공수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총의 형상으로 방아쇠로 격발시켜 정액을 주입시키는 격발형 인공수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물의 인공수정은 직장에 손을 넣는 등 감각적으로 자궁경관 입구를 찾아 주입관을 자궁경관에 넣고 피스톤인 플런저(plunger)를 밀어 정액을 자궁각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렇게 시술됨에 따라 자궁경관 입구를 제대로 찾을 수 없어 주입기로 경관 입구 주변을 여러 번 찌르게 돼 상처를 주게 되고, 수태율도 떨어져 다시 시도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국 등록특허 제10-0764564호에서는 정액 이송관과 함께 렌즈지지관을 구비하고, 손잡이 상면에 카메라 본체를 두고, 카메라 본체에서 얻은 영상을 모니터로 확인하며 시술할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정액 이송관의 끝에 주사기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주사기를 작동시켜 정액을 주입하는 것이어서, 완전 자동화에 이르지 못하고, 별도의 정액 이송관을 구비해야 하며, 정액 이송관에 정액이 남아있게 돼 정액을 낭비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주입관의 전방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경관 입구를 정확히 찾을 수 있게 하고, 자궁경관에 정액 주입관을 자동으로 삽입시키며, 정액도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격발형 인공수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는 주입기 안내튜브와 카메라 안내튜브가 나란히 삽입된 주입관; 상기 주입관의 후단이 체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주입기 안내튜브로 정액 주입기를 밀어넣고 정액을 주사하는 격발 부재; 상기 격발 부재를 제어하는 방아쇠 뭉치;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격발 부재 및 상기 방아쇠 뭉치를 지지하고 감싸는 총기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은 내부에 상기 주입기 안내튜브와 상기 카메라 안내튜브를 삽입 지지하는 관통 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전방에 상기 주입관의 후단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에는 후방으로 상기 주입기 안내튜브와 연통되는 주입기 삽입구와 상기 카메라 안내튜브와 연통되는 카메라 연결선 삽입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 부재의 좌우 측면에 체결되는 조립형 좌, 우측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좌, 우측 케이스는 상기 격발 부재의 좌, 우측 지지부 및 상기 방아쇠 뭉치를 감싸며 지지하는 좌, 우측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발 부재는 상기 좌, 우측 지지부에 삽입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제어기어를 사이에 두고 체결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소정의 각도로 부착된 2개의 타격 봉을 각각 구비한 좌, 우측 타격 부재; 및 상기 좌, 우측 타격 부재 중 어느 일 측으로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동력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아쇠 뭉치는 상기 제어기어에 접촉되었다 떨어지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전방에 기어 삽입부와 후방에 단턱부를 갖는 제어봉; 상기 제어봉의 후단에 구비된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제어봉을 전방으로 출몰하도록 요홈부가 형성된 좌, 우측 제어봉 케이스; 상기 제어봉의 단턱부에 걸리는 제어 돌출부를 갖는 방아쇠 몸체; 상기 방아쇠 몸체의 후단에 구비된 제2스프링; 및 상기 제2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방아쇠 몸체의 후방 돌출부가 출몰하도록 요홈부가 형성된 좌, 우측 방아쇠 몸체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원은 태엽동력장치이고, 상기 제어봉은 전후방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부는 길이방향으로 좌, 우측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 장공의 하나는 상기 태엽동력장치의 고정 부재가 삽입 슬리이딩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고 상기 태엽동력장치의 바닥판에 체결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서로 다른 각도로 지나는 복수 개의 평면과 상기 평면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으로 전체적으로 바람개비 형상의 톱니를 이루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어기어 및 상기 좌, 우측 타격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된 키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상기 태엽동력장치의 태엽을 감는 작동구가 상기 태엽의 일단을 집으며 체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입기 안내튜브와 카메라 안내튜브가 나란히 삽입된 주입관이 체결된 총기 형상의 케이스에 격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안내튜브로 전방에 LED가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를 넣어 경관 입구를 정확히 찾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정액 주입기를 주입기 안내튜브로 밀어넣고 정액도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총기 형상의 케이스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격발 부재와 방아쇠 뭉치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격발 부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은 도 4의 방아쇠 뭉치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주입관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어봉이 길이조절 가능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제어기어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방아쇠 뭉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에서 정액 주입기를 주입관에서 최대한 전진시키고 정액도 자동 분사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동력원의 회전축을 좌, 우측 장공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동작시켜 정액 주입기를 주입관에서 최소 전진시키고 정액도 자동 분사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격발형 인공수정기로 초임우에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격발형 인공수정기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방의 연결 부재(140)에 체결되고, 후방으로 가며 격발 부재(120)와 방아쇠 뭉치(130)를 구비한 케이스(110)로 전체적으로 총기 형상의 몸체(10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부재(140)에는 주입기 안내튜브(230)와 카메라 안내튜브(240)가 나란히 삽입된 주입관(210)을 포함하는 정액 공급 및 영상 수단(200)이 체결된다. 상기 주입관(210)의 후단이 연결 부재(140)에 바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격발 부재(120)는 연결 부재(140)의 후방에서 주입기 안내튜브(230)로 정액 주입기(300)를 밀어넣고 정액을 주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방아쇠 뭉치(130)는 격발 부재(120)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총기 형상을 가지고, 연결 부재(140)의 후방에서 격발 부재(120)와 방아쇠 뭉치(130)를 지지하고 감싸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연결 부재(140)의 좌우 측면에 체결되는 조립형 좌, 우측 케이스(112a. 114a; 112b, 114b)로 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케이스는 격발 부재(120)의 좌, 우측 지지부(112a, 112b)와 방아쇠 뭉치(130)를 감싸며 지지하는 좌, 우측 손잡이부(114a, 11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지지부(112a, 112b)는 각 전방에 연결 부재(140)의 양 측면(142)과 나사(113)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각 중앙 부위에 격발 부재(120)의 회전축(121)을 지지하는 관통공(111a, 111b)이 형성되고, 각 후단에 좌, 우측 손잡이부(114a, 114b)와 일체로 형성되어 총기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손잡이부(114a, 114b)는 대칭으로 또는 일 측에만 내부에 방아쇠 뭉치(130)를 감싸고 고정하는 수단으로 소정의 공간(118)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고정용 돌기(119, 119a)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볼트(115)를 고정용 돌기(119, 119a)에 체결하여 조립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격발 부재(12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좌, 우측 지지부(112a, 112b)의 관통공(111a, 111b)에 삽입된 회전축(121); 상기 회전축(121)에 제어기어(123)를 사이에 두고 체결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소정의 각도로 부착된 2개의 타격 봉(120a, 122a; 120b, 122b)을 각각 구비한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 및 상기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 중 어느 일 측으로 상기 회전축(121)에 체결된 동력원(12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는, 도 5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길이로 소정의 각도로 부착된 2개의 타격 봉, 즉 제 1 타격봉(120a, 120b)과 제 2 타격봉(122a, 122b)이 소정의 각도로 구비하고,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어기어(123)를 가운데 두고, 같은 길이의 제 1 타격 봉 2개(120a, 120b)와 제 2 타격봉 2개(122a, 122b)가 나란히 대칭되게 위치하도록 회전축(121)에 체결된다.
상기 회전축(121)에는 제어기어(123)와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 사이에 각각 원형 판(121f, 121g), 와셔(121e, 121h)가 더 체결될 수 있고,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의 양측에도 원통링(121c, 121j)이 더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21)은, 도 5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키홈(1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기어(123) 및 상기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 등은 물론 이외 상기 회전축(121)에 체결되는 부품들(121c, 121f, 121e 등)도 각 관통공(120c)에 키홈(120d)이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축(121)에 제어기어(123)의 양측으로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을 포함한 체결 부품들을 대칭적으로 삽입한 후 회전축(121)의 키홈(121a)에 고정키(121k)를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격발 부재(120)를 체결하고 해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아쇠 뭉치(130)는, 도 7과 같이, 제어기어(123)에 접촉되었다 떨어지며 회전축(12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전방에 기어 삽입부(136e)와 후방에 단턱부(136f)를 갖는 제어봉(136); 상기 제어봉(136)의 후단에 구비된 제1스프링(138); 상기 제1스프링(138)을 내장하고 제어봉(136)을 전방으로 출몰하도록 요홈부(134c)가 형성된 좌, 우측 제어봉 케이스(134a, 134b); 상기 제어봉의 단턱부(136f)에 걸리는 제어 돌출부(133)를 갖는 방아쇠 몸체(132); 상기 방아쇠 몸체의 후단에 구비된 제2스프링(135); 및 상기 제2스프링(135)을 내장하고 방아쇠 몸체의 후방 돌출부(131b)가 출몰하도록 요홈부(132c)가 형성된 좌, 우측 방아쇠 몸체 케이스(132a, 1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 우측 제어봉 케이스(134a, 134b)와 상기 좌, 우측 방아쇠 몸체 케이스(132a, 132b)는 각각 좌, 우 대칭인 내부구조를 갖고, 복수 개의 볼트(137, 139)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 우측 제어봉 케이스(134a, 134b)와 상기 좌, 우측 방아쇠 몸체 케이스(132a, 132b)는 각각 복수 개의 볼트(137, 139) 중 하나 이상으로 고정용 돌기(119, 119a)에도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도 4와 같이, 각 일 측만 별도의 볼트(미도시)로 고정용 돌기(119)에 체결되어 좌, 우측 손잡이부(114a, 114b) 중 어느 일 측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좌, 우측 방아쇠 몸체 케이스(132a, 132b)는 방아쇠 몸체(132)의 후방 요홈(131) 가운데 있는 후방 돌출부(131b)에 끼워진다.
상기 방아쇠 몸체(132)의 후방의 상, 하단은 밖으로 걸림 턱(131a)이 형성되어, 도 11과 같이, 좌, 우측 손잡이부(114a, 114b)의 고정용 돌기(119, 119a)에 고정되어 제2스프링(135)에 의한 방아쇠 몸체(132)의 전방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동력원(129)은 전기적 방식 등 다른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태엽동력장치로 함이 바람직하다. 후자로 구현시 태엽동력장치(129)는, 도 6과 같이, 별도의 고정 부재(124)를 두거나 바로 좌측 또는 우측 지지부(112a)(112b)의 관통공(111a 또는 111b) 주위에 소정의 나사(122a)로 고정된 바닥판(126a); 상기 바닥판(126a)의 일측 턱(126e)에 외측 끝단(126c)이 고정된 태엽(126b); 상기 태엽(126b)을 덮으며 상기 바닥판(126a)에 돌림 결합수단(126f, 128a)으로 체결되는 덮개(128); 및 상기 덮개(128)의 가운데를 관통하여 상기 태엽(126b)의 내측 끝단(126d)을 가운데 절개 홈(125a)에 끼우고, 상기 바닥판(126a) 및/또는 상기 고정 부재(124)의 가운데를 관통하며, 도 4와 같이, 회전축(121)의 일단의 사각 홈(121b)에 삽입 체결되는 사각 체결부와 손잡이부를 갖는 작동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봉(136)은, 도 4 및 도 7과 같이, 전후방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전방 삽입봉(136a), 상기 전방 삽입봉(136a)이 삽입되는 후방 직선 관(136b) 및 고정 키(136h)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9와 같이, 상기 전방 삽입봉(136a)은 제어기어(123)에 치합되는 기어 삽입부(136e), 후방 직선 관(136b)의 전방이동을 제어하는 단턱부(136d), 길이조절용 관통공(136c)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 직선 관(136b)은 상부면에 장공(136g)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136g)의 전단과 마주하는 후방 직선 관(136b)의 하부면에는 키 삽입공(136i)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9(a)와 같이, 제어봉(136)을 길게 사용하다가, 도 9(b) 또는 도 9(c)와 같이, 고정 키(136h)를 약간 올려 키 삽입공(136i)만 이탈시킨 후 장공(136g)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전방 삽입봉(136a)을 후방 직선 관(136b)에 더 삽입한 후 고정 키(136h)를 뽑아 다른 길이조절용 관통공(136c)에 꽂아 고정하면 되므로, 제어봉(136)의 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제어봉(136)이 전후방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좌, 우측 지지부(112a, 112b)의 좌, 우측 관통공(111a, 111b)은, 도 4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좌, 우측 장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 우측 장공(111a, 111b)의 하나는 상기 태엽동력장치(129)의 고정 부재(124)가 삽입 슬리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124)는, 도 4와 같이, 사각 측면을 가지고, 고정 부재(124)가 삽입되는 좌측 또는 우측 장공(111a)(111b)도 직사각 관통공(111b)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어(123)는, 도 5 및 도 10과 같이, 상기 회전축(121)의 중심을 서로 다른 각도로 지나는 복수 개의 평면(123b)과 상기 평면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123a)으로 전체적으로 바람개비 형상의 톱니(123', 123")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톱니(123', 123")의 모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각 톱니의 곡면(123a)이 이루는 호의 길이는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의 각 2개의 타격 봉(120a, 122a)(120b, 122b)으로 정액 주입기(300)를 밀어넣고 정액을 주사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정액 공급 및 영상 수단(200)은, 도 2 및 도 8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관(210)은 내부에 주입기 안내튜브(230)와 카메라 안내튜브(240)를 삽입 지지하는 관통 부재(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 부재(220)는 두 개의 관통공(221, 222)이 형성되어 주입기 안내튜브(230)와 카메라 안내튜브(240)가 삽입되어 주입관(210) 내부에서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140)는, 도 3과 같이, 전방에 상기 주입관(210)의 후단(212)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 홈(14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141)에는 후방으로 상기 주입기 안내튜브(230)와 연통되는 주입기 삽입구(145)와 상기 카메라 안내튜브(240)와 연통되는 카메라 연결선 삽입구(14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액 주입기(300)는, 도 2와 같이, 정액 주입관(310)과 봉 형상의 플런저(320)로 구성될 수 있고, 정액 주입관(310)과 플런저(320) 각각에 통상과 같이 원형 캡(312, 322)이 후단에 부착되어 있다. 정액 주입관(310)의 전단은 주입기 커버가 부착되고, 플런저(320)의 전단에는 정액 튜브가 끼워지고, 정액 튜브 속에는 종자 정액과 면봉이 들어 있다. 정액 주입관(310) 속에서 플런저(320)를 전진시키면, 플런저(320)의 전단이 정액 튜브 속의 면봉을 밀어 종자 정액을 주입기 커버의 노즐을 통해 분사하게 된다. 상술한 정액 주입기(300)는 현재 상용되는 정액 주입기일 수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8513호에 게시된 정액 주입기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도 2 및 도 8과 같이, 정액 주입기(300)는 연결 부재(140)의 주입기 삽입구(145)를 통해 주입관(210)의 주입기 안내튜브(230)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아쇠 뭉치(130)의 방아쇠 몸체(13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격발 부재(120)의 좌, 우측 타격 부재(121d, 121i)로 정액 주입관(310)의 원형 캡(312)과 플런저(320)의 원형 캡(322)을 2개의 타격 봉, 즉 제 1 타격봉(120a, 120b)과 제 2 타격봉(122a, 122b)으로 순차 가격 하여 정액 주입기(300)를 밀어넣고(제 1 타격봉으로 가격시) 정액(321)을 주사하게 된다(제 2 타격봉으로 가격시).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에서 정액 주입기(300)의 정액 주입관(310)을 주입관(210)에서 최대한 전진시키고 정액(321)을 분사시키는 예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동력원(129)의 회전축(121)을 좌, 우측 장공(111a, 111b)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1에서 2로) 동작시켜 정액 주입관의 돌출부(310a)를 주입관(210)에서 최소 전진시키고 정액(321)을 분사시키는 예를 보여준다. 도 17에 도시된 자궁경관(30)의 길이는 300~400kg인 초임우나 염소는 5cm, 400~500kg인 동물은 7cm, 500kg 이상인 소나 말 등은 10cm로 서로 다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동력원(129)의 회전축(121)을 좌, 우측 장공(111a, 111b)에 적절히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동물의 인공수정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에 LED(251)가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250)는 카메라 안내튜브(240)에 삽입하고, 연결선 및 접속단자(252)는 연결 부재(140)의 카메라 연결선 삽입구(143)를 통해 후방으로 빼내, 도 1과 같이,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254)로 연결하여 경관 입구를 정확히 찾을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며, 상술한 격발형 인공수정기의 사용 실시 예와 함께 정액 주입기(300) 전진 및 정액(321) 분사 원리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7과 같이, 격발형 인공수정기에 정액 주입기(300)를 장착한 후, LED(251)가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250)에 스마트폰(254)에 연결하고, 소의 외음부(10)와 질(20)에 주입관(210)을 삽입하여 경관(30)의 입구를 스마트폰(254)으로 찾는다. 경관 입구에 주입관(210)으로부터 돌출된 정액 주입관의 선단(310a)을 약간 삽입한 상태에서 시작한다.
초기 상태는, 도 15와 같이, 격발 부재(120)의 좌, 우측 2개의 타격 봉(120a, 120b; 122a, 122b) 중 짧은 좌, 우측 제 1 타격 봉(120a, 120b)이 정액 주입관(310)의 원형 캡(312) 밑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기어(123)는, 도 10(a)와 같이, 정지 톱니(123")의 다음 톱니 사이에 제어봉(136)의 기어 삽입부(136e)가 치합되어 태엽동력장치(129)의 탄성에너지에 의한 회전축(121)의 회전이 차단된 상태에 있다. 방아쇠 몸체(132)는, 도 11(a)와 같이, 제어봉(136)의 후방 직선 관(136b)의 단턱부(136f)에 제어 돌출부(133)가 걸려있는 상태로 있다.
도 11(b)와 같이, 방아쇠 몸체(132)를 후방으로 밀어주면(1차 격발하면), 제어 돌출부(133)가 제어봉(136)을 후진시켜, 제어기어(123)는, 도 10(b)와 같이, 회전되어 다음 톱니에 걸리게 되고, 좌, 우측 제 1 타격 봉(120a, 120b)은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더 돌아 정액 주입관(310)의 원형 캡(312) 밑에 접촉하게 된다. 1차 격발 후에는 제1스프링(138) 및 제2스프링(135)으로 도 11(a)의 상태로 돌라간다.
이어, 도 11(b)와 같이, 방아쇠 몸체(132)를 후방으로 다시 밀어주면(2차 격발하면), 제어 돌출부(133)가 제어봉(136)을 후진시켜, 제어기어(123)는, 도 10(c) 내지 도 10(e)와 같이, 톱니의 곡면에 기어 삽입부(136e)가 접하며, 다음 톱니의 평면에 걸릴 때까지 회전된다. 그 결과로, 좌, 우측 제 1 타격 봉(120a, 120b)은, 도 15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돌며 정액 주입관(310)의 원형 캡(312)을 밀어, 도 18과 같이, 정액 주입관(310)이 경관(30) 끝까지 전진하게 된다. 기어 삽입부(136e)가 톱니의 곡면에 접하며 제어기어(123)가 회전하는 것은, 도 11(c)와 도 11(d)와 같이, 방아쇠 몸체(132)가 제2스프링(135)으로 원위치 한 이후에도 제1스프링(138)으로 제어봉(136) 후단을 밀어주기 때문이다.
이때 설계에 따라, 즉 제어기어(123)의 톱니 설계에 따라, 1, 2차 격발로 나누지 않고, 한 번의 격발로 정액 주입관(310)을 경관(30) 끝까지 들어가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정액 주입관(310)을 경관(30) 끝까지 전진시키는 단계에서, 정액 주입관(310)에 삽입된 플런지(320)도 따라 전진하게 된다. 또한, 짧은 좌, 우측 제 1 타격 봉(120a, 120b)이 회전하여 정액 주입관(310)의 원형 캡(312)에서 벗어나는 순간, 도 15와 같이, 긴 좌, 우측 제 2 타격 봉(122a, 122b)이 플런저(320)의 원형 캡(322) 밑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음, 방아쇠 몸체(132)를 후방으로 다시 밀어주면(3차 이상 격발하면), 도 10(e) 내지 도 10(g)와 같이, 다음 여러 개의 톱니를 거치며, 도 16 및 도 19와 같이, 좌, 우측 제 2 타격 봉(122a, 122b)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플런저(320)를 전진시킴으로써, 자궁각(40)에 분사되는 정액(321)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물론, 제어기어(123)의 톱니 설계를 달리하여, 방아쇠 몸체(132)를 한 번 격발하여, 좌, 우측 제 1 타격 봉(120a, 120b)으로 정액 주입관(310)의 전진에 이어 바로 좌, 우측 제 2 타격 봉(122a, 122b)으로 플런저(320)를 전진시켜 정해진 정액(321)을 자궁각(40)에 분사시킬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4에서 태엽동력장치(129)의 작동구(125)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태엽(126)을 감아서 탄성에너지를 저장할 경우에는, 10(h)와 같이, 각 톱니의 곡면에 기어 삽입부(136e)가 접하며 돌게 된다. 정지 톱니(123")가 있을 경우에는, 도 10(a)와 같이, 정지 톱니(123")에 기어 삽입부(136e)가 물리면서 정지하게 된다.
기타, 미설명된 도면 부호 116a, 116b는 좌, 우측 안내 편이고, 117은 정액 주입기(300)의 장착 공간이다.
상술한 각 실시 예는 주입기 안내튜브(230)와 카메라 안내튜브(240)가 나란히 삽입된 주입관(210)이 체결된 총기 형상의 케이스(110)에 격발 부재(120)를 구비함으로써, 카메라 안내튜브(240)로 전방에 LED(251)가 부착된 디지털 카메라(250)를 넣어 경관 입구를 정확히 찾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정액 주입기(300)의 정액 주입관(310)을 주입기 안내튜브(230)를 통해 경관(30)에 밀어넣고 정액(321)도 자동 분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총기 형상의 몸체
110: 케이스
112a, 112b: 좌, 우측 지지부
114a, 114b: 좌, 우측 손잡이부
120: 격발 부재
120a, 120b: 짧은 좌, 우측 타격 봉
122a, 122b: 긴 좌, 우측 타격 봉
130: 방아쇠 뭉치
132: 방아쇠 몸체
132a, 132b: 좌, 우측 방아쇠 몸체 케이스
134a, 134b: 좌, 우측 제어봉 케이스
136: 제어봉
140: 연결 부재
200: 정액 공급 및 영상 수단
210: 주입관
220: 관통 부재
230: 주입기 안내튜브
240: 카메라 안내튜브
250: 디지털 카메라
300: 정액 주입기
310: 정액 주입관
320: 플런저

Claims (7)

  1. 주입기 안내튜브와 카메라 안내튜브가 나란히 삽입된 주입관;
    상기 주입관의 후단이 체결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주입기 안내튜브로 정액 주입기를 밀어넣고 정액을 주사하는 격발 부재;
    상기 격발 부재를 제어하는 방아쇠 뭉치;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격발 부재 및 상기 방아쇠 뭉치를 지지하고 감싸는 총기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형 인공수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내부에 상기 주입기 안내튜브와 상기 카메라 안내튜브를 삽입 지지하는 관통 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전방에 상기 주입관의 후단이 삽입 체결되는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홈에는 후방으로 상기 주입기 안내튜브와 연통되는 주입기 삽입구와 상기 카메라 안내튜브와 연통되는 카메라 연결선 삽입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형 인공수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연결 부재의 좌우 측면에 체결되는 조립형 좌, 우측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좌, 우측 케이스는 상기 격발 부재의 좌, 우측 지지부 및 상기 방아쇠 뭉치를 감싸며 지지하는 좌, 우측 손잡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형 인공수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 부재는 상기 좌, 우측 지지부에 삽입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제어기어를 사이에 두고 체결되고, 서로 다른 길이로 소정의 각도로 부착된 2개의 타격 봉을 각각 구비한 좌, 우측 타격 부재; 및
    상기 좌, 우측 타격 부재 중 어느 일 측으로 상기 회전축에 체결된 동력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형 인공수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 뭉치는 상기 제어기어에 접촉되었다 떨어지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전방에 기어 삽입부와 후방에 단턱부를 갖는 제어봉;
    상기 제어봉의 후단에 구비된 제1스프링;
    상기 제1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제어봉을 전방으로 출몰하도록 요홈부가 형성된 좌, 우측 제어봉 케이스;
    상기 제어봉의 단턱부에 걸리는 제어 돌출부를 갖는 방아쇠 몸체;
    상기 방아쇠 몸체의 후단에 구비된 제2스프링; 및
    상기 제2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방아쇠 몸체의 후방 돌출부가 출몰하도록 요홈부가 형성된 좌, 우측 방아쇠 몸체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형 인공수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태엽동력장치이고,
    상기 제어봉은 전후방으로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좌, 우측 지지부는 길이방향으로 좌, 우측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 우측 장공의 하나는 상기 태엽동력장치의 고정 부재가 삽입 슬리이딩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고 상기 태엽동력장치의 바닥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형 인공수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어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서로 다른 각도로 지나는 복수 개의 평면과 상기 평면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으로 전체적으로 바람개비 형상의 톱니를 이루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어기어 및 상기 좌, 우측 타격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된 키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상기 태엽동력장치의 태엽을 감는 작동구가 상기 태엽의 일단을 집으며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발형 인공수정기.
KR1020180059375A 2018-05-25 2018-05-25 격발형 인공수정기 KR10191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75A KR101917748B1 (ko) 2018-05-25 2018-05-25 격발형 인공수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375A KR101917748B1 (ko) 2018-05-25 2018-05-25 격발형 인공수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748B1 true KR101917748B1 (ko) 2018-11-12

Family

ID=6439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375A KR101917748B1 (ko) 2018-05-25 2018-05-25 격발형 인공수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74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6025A (zh) * 2018-12-26 2019-05-28 天津农学院 一种马属动物专用可视化输精器及其人工授精方法
CN110215310A (zh) * 2019-06-20 2019-09-10 张保全 一种授精仪
KR20200104712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팜프로 인공 수정 장치
CN112755370A (zh) * 2021-01-06 2021-05-07 山东美毅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间充质干细胞外泌体子宫内膜制剂、制取方法及宫腔灌注管
CN113331980A (zh) * 2021-05-10 2021-09-03 武汉市正华精机技术发展有限公司 兽用无针注射器
CN113749813A (zh) * 2021-06-29 2021-12-07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兔子人工授精注射装置
KR20230137113A (ko) * 2022-03-21 2023-10-04 (주)메덱스 가축 인공수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64B1 (ko) 2005-12-31 2007-10-09 대한민국 동물 정액 및 수정란 화상인식 주입장치 및 그 방법
WO2017129929A1 (fr) 2016-01-29 2017-08-03 Elexinn Dispositif pour le franchissement du col de l'uterus d'un animal de rente, pour le transfert de materiel ou substance a but reproductif, therapeutique ou diagnostique ou prelevement depuis l'uterus
CN107349029A (zh) 2017-09-07 2017-11-17 云南省畜牧兽医科学院 一种对羊群进行连续输精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564B1 (ko) 2005-12-31 2007-10-09 대한민국 동물 정액 및 수정란 화상인식 주입장치 및 그 방법
WO2017129929A1 (fr) 2016-01-29 2017-08-03 Elexinn Dispositif pour le franchissement du col de l'uterus d'un animal de rente, pour le transfert de materiel ou substance a but reproductif, therapeutique ou diagnostique ou prelevement depuis l'uterus
CN107349029A (zh) 2017-09-07 2017-11-17 云南省畜牧兽医科学院 一种对羊群进行连续输精的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6025A (zh) * 2018-12-26 2019-05-28 天津农学院 一种马属动物专用可视化输精器及其人工授精方法
KR20200104712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팜프로 인공 수정 장치
KR102176095B1 (ko) 2019-02-27 2020-11-10 주식회사 팜프로 인공 수정 장치
CN110215310A (zh) * 2019-06-20 2019-09-10 张保全 一种授精仪
CN110215310B (zh) * 2019-06-20 2021-07-23 张保全 一种授精仪
CN112755370A (zh) * 2021-01-06 2021-05-07 山东美毅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间充质干细胞外泌体子宫内膜制剂、制取方法及宫腔灌注管
CN113331980A (zh) * 2021-05-10 2021-09-03 武汉市正华精机技术发展有限公司 兽用无针注射器
CN113331980B (zh) * 2021-05-10 2024-02-23 武汉市正华精机技术发展有限公司 兽用无针注射器
CN113749813A (zh) * 2021-06-29 2021-12-07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兔子人工授精注射装置
KR20230137113A (ko) * 2022-03-21 2023-10-04 (주)메덱스 가축 인공수정장치
KR102681119B1 (ko) 2022-03-21 2024-07-04 박영섭 가축 인공수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748B1 (ko) 격발형 인공수정기
US5106370A (en) Pellet carrier fed pellet implanter apparatus
US3402712A (en) Pellet implanter
US3774607A (en) Pellet implant gun
US1347622A (en) Vaccine-injector
US10687928B2 (en) Apparatus for vaginal penetration of animals comprising a viewing system, in particular for locating the cervix of the uterus
CN105877868B (zh) 一种分体式手持自动注射器
US4106770A (en) Hypodermic syringe projectile
ES460541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aparatos de inyeccion para anima- les.
US20140041667A1 (en) Intra Uterine Device For An Animal And A System For Loading The Intra Uterine Device Into A Delivery Gun
CN107158521B (zh) 固定排气并可重复使用的定量注射装置
KR101831526B1 (ko) 동물용 주사기
BR102018011088A2 (pt) pistola injetora para o tratamento de animais
CN209884418U (zh) 一种猪用疫苗注射枪
KR101966547B1 (ko) 동물용 주사기
KR20190105558A (ko) 동물용 주사기
US4368732A (en) Artificial insemination device for aviculture
KR101506129B1 (ko) 탄성 부재를 구비한 약물 주사침 및 그 주사침을 포함하는 약물 주사기
CN211834863U (zh) 一种畜牧兽医用枪式注射器
CN216090922U (zh) 一种畜牧兽医用灌药器
KR102021520B1 (ko) 동물용 주사기
CN215688752U (zh) 一种兽医用注射装置
CN216060871U (zh) 一种可调节的兽医用长柄注射枪
CN210170228U (zh) 一种羊群连续输精枪
US11376193B2 (en) Syringe hold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