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658B1 - Dental Implant Package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Pac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658B1
KR101917658B1 KR1020170091488A KR20170091488A KR101917658B1 KR 101917658 B1 KR101917658 B1 KR 101917658B1 KR 1020170091488 A KR1020170091488 A KR 1020170091488A KR 20170091488 A KR20170091488 A KR 20170091488A KR 101917658 B1 KR101917658 B1 KR 101917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support
leveler
unit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4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091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65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6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unit including a fixture storage space capable of storing a fixture therein; and a housing unit including a coupling module for the housing unit for covering the main body unit and being assembled to an outer wall.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stored and carried.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Dental Implant Package}Dental Implant Package {Dental Implant Packag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합성 및 적층성이 우수하여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having excellent gathering and stacking properties and convenient storage and transportation.

치과용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A dental implant is a substitute that restores when the original tissue is lost, but in dentists it refers to a series of procedures for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In order to replace the missing root (root), a tooth fixture, made of titanium or the like, which has no rejection to the human body, is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at has exited the tooth, and then the artificial tooth is fix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ooth .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general prostheses or dentures,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the implants do not injure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 and they have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the natural teeth, but do not have cavities. Therefore, they can be used semi-permanently.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artificial tooth procedure (also referred to as an implant or implant procedur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fixture, but after a predetermined drill is used to puncture the fixation position, the fixture is placed on the alveolar bone to perform an artificial fusion to the bone, After the abutments are combined, it is common to finish the abutment with a final prosthesis.

치과용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Dental implants enhance the function of dentures in single-tooth restorations, as well as in partial and total toothless patients, improve the aesthetic aspects of dental prosthesis restoration, and further dissipate excessive stresses on the surrounding supporting bone tissue It helps to stabilize the dentition as well as sikim.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지대주가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Such a dental implant generally includes a fixture to be placed as an artificial root, an abutment to be coupled onto the fixture, an abutment screw to fix the abutment to the fixture, Of the artificial teeth. Here, the abutment is engaged with the fixture before the abutment is coupled to the fixture, that is, during the period until the fixture is fusion-bonded to the alveolar bone, thereby maintaining the engagement state.

치과용 임플란트의 한 구성요소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하게 식립되어야 한다.The fixtur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dental implant, serves as an artificial root as a part to be placed in a drill hole form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drill or the like at a position where the implant is performed. Therefore, the fixture should be securely mounted on the alveolar bone.

이에, 픽스츄어의 외면에는 드릴 홀을 형성하는 치조골의 내측벽 부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나사산)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부는 치조골에 인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 특히 초기 고정력(initial stability)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Thus,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so as to be firmly engaged with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forming the drill hole. Such a screw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to securely fix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as well a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thereby enhancing the fixing force, particularly initial stability, of the fixture to the alveolar bone. do.

이처럼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홀을 천공한 후, 천공된 홀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이어 골융합이 진행되면 픽스츄어에 지대주를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인공 치아(보철물)를 씌우는 단계로 진행된다.In the dental implant procedure, a hole is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using a drill, a fixture is placed in the drilled hole, and then, when the fusion is completed, the alveolar bone is bonded to the fixture and finally the artificial tooth (prosthesis) Lt; / RTI >

픽스츄어는 보통 항균 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로 포장되어 보관 및 이송된다. 이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 즉 픽스츄어가 보관시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오염되는 경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Fixtures are usually packaged, stored and transported in an antibacterial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This is because implant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at is, fixtures, can be adversely affected if they are contaminated with foreign substances or bacteria during storage.

일반적으로 픽스츄어는 각각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개별적으로 수용된다. 즉, 하나의 픽스츄어는 하나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에 수용된다. 따라서, 대량의 픽스츄어를 치과 병원 등에 납품하기 위해서 픽스츄어를 각각 수용한 대량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들을 한데 모아 병원으로 운송하여야 한다.Typically, fixtures are individually housed in each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That is, one fixture is accommodated in on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Therefore, in order to deliver a large number of fixtures to dental hospitals, a large number of dental implants packed with fixtures must be collected and transported to hospitals.

그런데,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들은 그 크기가 작고 상호간 독립적이기 때문에 운송과정에서 일부가 유실되는 등 물류과정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s are small in size and mutually independ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for a logistics process such as a partial loss during transportation.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60526호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2013.06.10.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60526 (Inano Bio Surge Co., Ltd.), 2013.06.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관 및 운송이 편리한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which is convenient to store and transpor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픽스츄어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을 차폐하며, 외벽에 조립을 위한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하우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ture comprising: a main body unit in which a fixture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ble by a fixture is provided; And a housing unit for shielding the main body unit and having a coupling module for a housing unit for assembling to an outer wall, may be provided in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상기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은, 상기 하우징유닛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상기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다른 하우징유닛에 마련된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다른 하우징유닛에 결합되는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odule for a housing unit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for a housing unit provided on one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And a second coupling for a hous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housing unit by interaction with a first coupling unit for the hous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outer wall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unit opposite to the one outer side wall of the housing unit, Section.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유닛의 상기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for the hous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for housing units protruding from the one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ap.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들에 끼움 결합되는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for the housing unit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other side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for the housing unit and fitted to the first protrusions for the housing unit can do.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may be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ther outer wall, a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having a hollow inside and having a circular section.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 및 상기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는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portion for the housing unit includes a flange portion for a housing unit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ther side outer wall and disposed in an edge region of the other side outer wall; And an inner side of the housing unit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wall of the flange portion for the hous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to fit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together with the second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protrusions.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유닛; 및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unit includes: a lower housing unit supporting the main unit; And an upper hous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unit.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픽스츄어를 지지하는 레벨러; 및 상기 레벨러를 지지하며, 상기 레벨러의 위치를 설정하는 레벨러 위치 설정부가 마련되는 레벨러 지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unit includes a leveler disposed in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and supporting the fixture; And a leveler supporting module for supporting the leveler and provided with a leveler positioner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leveler.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은, 제1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 및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comprises: a first supporting sidewall; A second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a third support sidewall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상기 레벨러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측벽의 내벽에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레벨러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leveler positioning portion is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depth in an inner wal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ing sidewall and the third supporting sidewall so that a part of the leveler is insertable, Grooves < / RTI >

상기 그루브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고정홀이 마련될 수 있다.And a fixing hol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groove.

상기 레벨러는, 상기 픽스츄어의 하부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픽스츄어를 지지하며,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er may include a lower support plate connected to a lower region of the fixture to support the fixture and an edge region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레벨러는,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픽스츄어를 지지하며,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er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pport plate spaced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and connected to an upper region of the fixture to support the fixture and an edge region inserted into the groove.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용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pport plate may each include a fixing protrusion member provided in the edge region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에는 상기 픽스츄어 수용공간과 격리된 보조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isolated from the fixtur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main body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and either the healing abutment or the cover screw And an auxiliary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modules.

상기 보조 수용모듈은, 상기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홈이 마련된 수용모듈 본체; 및 상기 수용모듈 본체의 상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includes a receiving module main body provided with an auxiliary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ny one of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cover screw;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for the main unit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wall of the receiving module main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ap.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은,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측벽; 및 상기 보조측벽의 내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에 끼움 결합되는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includes: an auxiliary sidewall forming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And an inn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wall of the auxiliary sidewall and fitted to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main unit.

상기 보조 수용모듈은, 상기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홈이 마련된 수용모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수용홈은 상기 수용모듈 본체의 측벽으로 개구될 수 있다.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includes a receiving module main body provided with an auxiliary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ny one of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cover screw, and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can be opened to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module main body.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은, 제1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상기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 및 상기 제3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상기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4 지지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지지측벽의 상부 영역은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레벨러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레벨러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comprises: a first supporting sidewall; A second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idewall; A third support sidewall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And a fourth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support sidewall and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wherein the upper region of the fourth support sidewall has an incised shape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inner walls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side walls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upport the leveler.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은, 제1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상기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 및 상기 제3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상기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4 지지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레벨러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고정블록;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블록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레벨러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comprises: a first supporting sidewall; A second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idewall; A third support sidewall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And a fourth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support sidewall and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wherein the leveler includes a first support sidewall A fixed block fixed to the upper region; And a moving block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sidewalls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block and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eparating from the fixed block,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movable block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upport the movable bloc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벽에 조립을 위한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하우징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일부가 유실될 가능성이 적고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조립체를 이루어 보관 및 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housing unit provided with a coupling module for a housing unit for assembly on an outer wall so that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a part is lost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by mutual coupl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can be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후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레벨러 지지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하부 지지 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끼움 결합 상태에서의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의 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본체유닛의 끼움 결합 상태에서의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와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의 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 2 viewed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Figure 5 is a rear view of Figure 2;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ure 2;
Fig. 7 is a view showing the main unit of Fig. 6.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9 is a view of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of Fig. 8 taken in another direc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upper support plate of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upport plate of Fig.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the second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and the inner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in the fitting state of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 1;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first projection for the main unit and the inner projection for the main unit in the fitting state of the main unit of Fig. 7;
14 is a view showing a main body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main body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main body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unnecessary obsc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후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레벨러 지지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의 하부 지지 플레이트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의 끼움 결합 상태에서의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의 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13은 도 7의 본체유닛의 끼움 결합 상태에서의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와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의 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 1,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2, FIG. 5 is a rear view of FIG. 2,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 2, and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Fig. 9 is a view of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of Fig. 8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upper support plate of Fig. 8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upport plate of Fig. 8,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for housing unit,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for housing unit, and the housing unit for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of Fig. The position of the inner projecting portion It indicated figures, and Figure 13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main unit inside the projection for the main unit in the fitted state of the body unit of Fig.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는, 픽스츄어(P)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공간(M)이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유닛(100)과, 본체유닛(100)을 차폐하며 외벽에 조립을 위한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210, 220)이 마련되는 하우징유닛(200)을 포함한다.1 to 13, a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unit 100 (FIG. 1) in which a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accommodating a fixture P is provided therein, And a housing unit 200 which is provided with coupling modules 210 and 220 for a housing unit for shielding the main body unit 100 and assembling to the outer wall.

하우징유닛(200)은 본체유닛(100)을 차폐하여 본체유닛(100)을 내부에 보관한다. 이러한 하우징유닛(200)은, 본체유닛(100)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유닛(200b)과, 하부 하우징유닛(2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유닛(200a)을 포함한다. The housing unit 200 shields the main body unit 100 to store the main body unit 100 therein. The housing unit 200 includes a lower housing unit 200b for supporting the main unit 100 and an upper housing unit 200a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unit 200b.

본 실시예에서 상부 하우징유닛(200a)과 하부 하우징유닛(200b)은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본체유닛(100)을 차폐한다.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유닛(200b)의 측벽에는 결합홈(J)이 마련되며, 상부 하우징유닛(200a)의 내벽에는 결합홈(J)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미도시)가 마련된다.In this embodiment, the upper housing unit 200a and the lower housing unit 200b shield the main body unit 100 by mutual coupling. 6, a coupling groove J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lower housing unit 200b and a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J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housing unit 200a. .

이러한 하우징유닛(200)의 외벽에는,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하우징유닛(200)과의 조립을 위한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210, 220)이 마련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1 to 5, coupling modules 210 and 220 for a housing unit for assembling with the other housing unit 200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200.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210, 220)은, 하우징유닛(200)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와, 하우징유닛(200)의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다른 하우징유닛(200)에 마련된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다른 하우징유닛(200)에 결합되는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modules 210 and 220 for the housing unit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210 for the housing unit provided on one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200 and a second coupling part 210 for coupl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wall of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220 for the hous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housing unit 200 by interaction with the first coupling unit 210 for the hous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200 .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는,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유닛(200)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들을 포함한다.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는, 하우징유닛(200)의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for the housing unit includes the first protrusions 211 for the housing unit, which are provided on one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200, as shown in detail in FIGS. The first coupling unit 210 for the housing unit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one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20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는, 도 2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유닛(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을 이루며 각 열에 6개가 마련됨으로써, 총 12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2 and 4, the first coupling unit 210 for the housing unit has two row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unit 200 and six rows in each row, Twelve of the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for the housing un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이러한 본 실시예의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의 형상, 개수 및 배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의 형상, 개수 및 배열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the number an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10 for the housing unit of this embodiment, and the shape, the number and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s 210 for the housing unit are various .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220)는 하우징유닛(200)의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220)는 다른 하우징유닛(200)에 마련된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다른 하우징유닛(200)의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210)에 결합된다.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0 for the housing unit is provided on the other outer wall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wall of one side of the housing unit 200.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0 for the housing unit 2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0 for the housing unit 200 of the other housing unit 200 by the interaction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0 for the housing unit provided in the other housing unit 200 210).

이러한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2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들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들에 끼움 결합되는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와,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222)와,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222)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에 연결되어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와 함께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를 끼움 결합하는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22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for the housing unit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of the other sid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211 for the housing unit, A second protrusion 221 for the housing unit to be fitted to the protrusions 211, a flange portion 222 for the housing unit which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uter wall at the other side and is disposed at the edge region of the outer wall at the other side, Unit flange portion 222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211 for the housing unit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211 for the housing unit is fitted and fixed together with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221 for the housing unit And an inner protrusion 223 for the housing unit.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는,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는, 도 3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들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들에 끼움결합된다. The second projection 221 for the housing unit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at the other side by a predetermined height. 3 and 5, the second projection 221 for the hous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jection parts 211 for the housing unit and is fitted to the first projection parts 211 for the housing unit .

이러한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는, 도 3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단면이 원형인 링 형상인 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3 and 5,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the housing unit is formed in a ring-shaped structure having an inner hollow and a circular sec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the housing unit, and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the housing uni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222)는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222)는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The flange portion 222 for the housing unit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wall of the other side. The flange portion 222 for the housing unit is disposed in the edge region of the other outer wall.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223)는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222)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223)는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에 연결되어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와 함께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를 끼움 결합시킨다. The inner protruding portion 223 for the housing unit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flange portion 222 for the housing unit. The inner protrusion 223 for the hou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211 for the housing unit to fit the first protrusion 211 for the housing unit together with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the housing unit.

상술한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 및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223)의 상호작용에 의해 하우징유닛(200)들이 서로 결합된다. 즉, 도 1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는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들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들에 끼움 결합되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는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와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223)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와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223)에 끼움 결합된다.The housing units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intera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211 for housing unit,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housing unit, and the inner protrusion 223 for housing unit. 12,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hous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211 for the housing unit, and is provided in the first protrusions 211 for housing unit And the first protrusion 211 for the hous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the housing unit and the inner protrusion 223 for the housing unit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the housing unit and the second protrusion 221 for the housing unit And is fitted into the protruding portion 223.

이와 같이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211)들과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221)들 및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223)들의 상호 끼움 결합에 의해 하우징유닛(200)들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housing units 2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protrusions 211 for the housing unit, the second protrusions 221 for the housing unit, and the inner protrusions 223 for the housing unit.

한편 하우징유닛(200)의 내부에는,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00)이 배치된다. 본체유닛(100)에는 픽스츄어(P)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공간(M)이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유닛(100)은 픽스츄어 수용공간(M)에 배치된 픽스츄어(P)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housing unit 200, the main body unit 100 is disposed as shown in detail in FIG. The main body unit 100 is provided therein with a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in which the fixture P can be accommodated. The main body unit 100 stably supports the fixture P disposed in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픽스츄어(P)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위해 본체유닛(100)은, 픽스츄어 수용공간(M)에 배치되며 픽스츄어(P)를 지지하는 레벨러(110)와, 레벨러(110)를 지지하는 레벨러 지지모듈(120)과, 레벨러 지지모듈(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치유 지대주(미도시) 및 커버 스크류(Q)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모듈(130)을 포함한다.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fixture P, the main body unit 100 includes a leveler 110 disposed in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for supporting the fixture P, a leveler 110 for supporting the leveler 110, And an auxiliary receiving module 130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and receiving any one of a healing abutment (not shown) and a cover screw (Q).

레벨러 지지모듈(120)은, 도 7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레벨러 지지모듈(120)의 내부에 픽스츄어 수용공간(M)이 마련된다. 7 and 8,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bar, and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is provided inside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레벨러 지지모듈(120)은, 제1 지지측벽(121)과, 제1 지지측벽(121)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122)과, 제1 지지측벽(121)과 제2 지지측벽(122)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123)과, 제1 내지 제3 지지측벽(121, 122, 123)에 연결되는 바닥판(126)과, 바닥판(126)에 연결되며 픽스츄어 수용공간(M)과 격리된 보조 수용공간(N)을 형성하는 보조측벽(127)과, 보조측벽(127)의 내벽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보조 수용모듈(130)에 마련되는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133, 도 8 참조)에 끼움 결합하는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128, 도 9 참조)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eveler support module 120 includes a first support sidewall 121, a second support sidewall 122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121, A third support side wall 123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 wall 121 and the second support side wall 122, a bottom plate 126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support side walls 121, 122 and 123, The auxiliary wall 13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uxiliary wall 127 a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accommodation module 130. The auxiliary wall 130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accommodation module 130, And an inner protruding portion 128 (see Fig. 9) for the main unit to be fitted into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133 (see Fig. 8) provided for the main unit.

도 7 및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측벽(121), 제2 지지측벽(122) 및 제3 지지측벽(123)은 3면에 각각 배치되어 픽스츄어 수용공간(M)의 한쪽 측방향을 외부에 노출시킨다(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한쪽 측방향을 통해 레벨러(110)가 픽스츄어 수용공간(M)으로 이동된다).7 and 8, the first support sidewall 121, the second support sidewall 122, and the third support sidewall 123 are disposed on three sides of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respectively, (The leveler 110 is moved to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through the exposed one-side direction as shown in Fig. 8).

바닥판(126)은 제1 내지 제3 지지측벽(121, 122, 123)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바닥판(126)은 제1 내지 제3 지지측벽(121, 122, 123)과 연결되어 픽스츄어 수용공간(M)과 보조 수용공간(N)을 격리한다.The bottom plate 126 is disposed in a lower region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 side walls 121, 122, 123. The bottom plate 126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supporting side walls 121, 122 and 123 to isolate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N from each other.

보조측벽(127)은 바닥판(126)에 연결된다. 이러한 보조측벽(127)은 바닥판(126)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어 픽스츄어 수용공간(M)과 격리된 보조 수용공간(N)을 형성한다. The auxiliary side wall 127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26. The auxiliary side wall 127 protrudes from the bottom plate 126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N isolated from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한편, 상술한 레벨러 지지모듈(120)에는 레벨러(110)의 위치를 설정하는 레벨러 위치 설정부(125)가 마련된다. 레벨러 위치 설정부(125)는, 제1 지지측벽(121)과, 제1 지지측벽(121) 및 제3 지지측벽(123)의 내벽에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레벨러(110)의 가장자리 영역이 삽입되는 그루브(125a)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is provided with a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125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leveler 110. [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portion 125 is formed by recessing the first support side wall 121 and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support side wall 121 and the third support side wall 123 by a predetermined depth, And includes a groove 125a into which the light beam is inserted.

본 실시예에서 그루브(125a)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마련되어 제1 내지 제3 지지측벽(121, 122, 123)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grooves 125a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grooves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 side walls 121, 122 and 123, as shown in detail in FI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 위치 설정부(125)에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그루브(125a)가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픽스츄어(P)의 길이에 따라 레벨러(110)가 삽입될 그루브(125a)를 선택 할 수 있고, 선택된 그루브(125a)에 의해 픽스츄어 수용공간(M) 내에서 레벨러(110)의 위치가 결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125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leveler 11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xture P The groove 125a to be inserted can be selected and the position of the leveler 110 in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is determined by the selected groove 125a.

그루브(125a)의 일부 영역에는, 도 7 내지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125a)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고정홀(125b)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지지측벽(121) 및 제2 지지측벽(122)에 고정홀(125b)이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홀(125b)에는 레벨러(1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고정용 돌출부재(K, 도 8 참조)가 삽입됨으로써, 레벨러(110)가 레벨러 지지모듈(120)에 고정된다.In some areas of the groove 125a, as shown in detail in FIGS. 7 to 9, a fixing hole 125b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125a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orting sidewall 121 and the second supporting sidewall 122 are provided with fixing holes 125b. The leveler 110 is fixed to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by inserting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K (see FIG. 8) provided in the edge region of the leveler 110 into the fixing hole 125b.

한편, 레벨러(110)는 픽스츄어(P)를 지지한다. 이러한 레벨러(110)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P)의 하부 영역에 연결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와,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되고 픽스츄어(P)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veler 110 supports the fixture P. 8, the leveler 110 includes a lower support plate 111 connected to a lower region of the fixture P, a lower support plate 111 located apart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111, P,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substrate.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는 픽스츄어(P)의 하부 영역에 연결되어 픽스츄어(P)를 지지한다. 이러한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중앙 영역에는 픽스츄어(P)의 최하단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 관통공(111a)이 마련된다. The lower support plate 111 is connect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fixture P to support the fixture P. The lower support plate 111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first through hole 111a through which the lowermost end region of the fixture P is inserted is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lower support plate 111. [

본 실시예에서 픽스츄어(P)의 몸체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픽스츄어(P)의 최하단부 영역은 제1 관통공(111a)에 삽입되지만 최하단부 영역 위쪽의 하단부 영역은 제1 관통공(111a)에 삽입되지 않고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지지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ody of the fixture P is tapered, the lowermost region of the fixture P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11a, while the lower end region above the lowermost region of the fixture P is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111a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plate 111.

이러한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 영역은 그루브(125a)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125a)에 형성된 고정홀(125b)에 삽입되는 고정용 돌출부재(K)가 마련된다. An edge region of the lower support plate 111 is provided so as to be insertable into the groove 125a. 11, a fixing protruding member K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5b formed in the groove 125a is provided in the edge region of the lower supporting plate 111. [

이러한 고정용 돌출부재(K)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 영역이 그루브(125a)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고정용 돌출부재(K)가 고정홀(125b)에 삽입되고, 이러한 고정용 돌출부재(K)가 고정홀(125b)에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가 레벨러 지지모듈(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xing protrusion member K is provided in a shape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edge area of the lower support plate 111.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edge area of the lower support plate 111 into the groove 125a, The lower support plate 111 is detached from the leveling module 120 by the operation in which the protrusion member K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5b and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K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5b Lt; / RTI >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111)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는 픽스츄어(P)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픽스츄어(P)를 지지한다.The upper support plate 112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111. The upper support plate 112 is connect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fixture P to support the fixture P.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는 픽스츄어(P)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픽스츄어(P)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는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의 중앙 영역에는 픽스츄어(P)의 상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2 관통공(112a)이 마련된다. The upper support plate 112 is connect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fixture P to support the fixture P. The upper support plate 112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a second through hole 112a through which the upper region of the fixture P is inserted is provid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upper support plate 112.

이러한 제2 관통공(112a)의 측벽은, 픽스츄어(P)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픽스츄어(P)를 지지함으로써, 픽스츄어(P)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side wall of the second through hole 112a is connected to the upper area of the fixture P to support the fixture P to prevent the fixture P from tilting.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125a)에 형성된 고정홀(125b)에 삽입되는 고정용 돌출부재(K)가 마련된다. 10, a fixing protruding member K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5b formed in the groove 125a is provided in the edge region of the upper support plate 112. As shown in Fig.

이러한 고정용 돌출부재(K)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의 가장자리 영역이 그루브(125a)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고정용 돌출부재(K)가 고정홀(125b)에 삽입되고, 이러한 고정용 돌출부재(K)가 고정홀(125b)에 삽입되는 동작에 의해 상부 지지 플레이트(112)가 레벨러 지지모듈(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xing protrusion member K is protruded laterally from the edge region of the upper support plate 112 so that the edge region of the upper support plate 112 is fixed to the groove 125a The upper support plate 112 is detached from the leveling module 120 by the action that the protrusion member K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5b and the fixing protrusion member K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5b Lt; / RTI >

한편 보조 수용모듈(130)은, 레벨러 지지모듈(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보조 수용공간(N)을 개폐한다. 또한 보조 수용모듈(130)은 치유 지대주(미도시) 및 커버 스크류(Q)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N. 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130 also accommodates either the healing abutment (not shown) or the cover screw (Q).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모듈(130)은, 치유 지대주(미도시) 및 커버 스크류(Q)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홈(132)이 마련된 수용모듈 본체(131)와, 수용모듈 본체(131)의 상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133)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module main body 131 provided with an auxiliary receiving groove 132 for receiving any one of a healing abutment (not shown) and a cover screw Q,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33 protruding from the upper wall of the main body 13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ap.

보조 수용홈(132)은 수용모듈 본체(131)의 상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 수용홈(132)은 치유 지대주(미도시) 및 커버 스크류(Q)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한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조 수용홈(132)에 커버 스크류(Q)가 수용되는 상태가 도시되는데, 보조 수용홈(132)에는 치유 지대주(미도시)도 수용될 수 있다.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132 is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module main body 131.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132 receives either the healing abutment (not shown) or the cover screw (Q). 6 to 8 show a state in which the cover screw Q is receiv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132.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132 may receive a healing abutment (not shown).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133)들은 수용모듈 본체(131)의 상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133)는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first protrusions 133 for the main unit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wall of the receiving module main body 131. The first protrusions 133 for the main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ap.

이러한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133)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모듈 본체(131)의 상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도 1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128)에 연결되어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128)에 끼움결합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8, the first protrusion 133 for the main unit protrudes from the upper wall of the receiving module main body 131, and as shown in detail in FIG. 13, And is engaged with the inner protrusion 128 for the main unit.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FIG.

먼저 픽스츄어(P)를 픽스츄어 수용공간(M)에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픽스츄어(P)의 길이에 따라 픽스츄어 수용공간(M)에서의 레벨러(110) 위치가 결정된 후,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러(110)를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레벨러(110)의 가장자리 영역이 그루브(125a)에 끼워진다.The position of the leveler 110 in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xture P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leveler 110 in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xture P, 8, the leveler 110 is laterally moved so that the edge region of the leveler 110 is sandwiched between the grooves 125a.

레벨러(110)의 측방향으로의 이동과정에서 고정용 돌출부재(K)가 고정홀(125b)에 삽입되어 레벨러(110)가 레벨러 지지모듈(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The fixing protrusion member K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25b and the leveler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leveler 110 in the lateral direction.

다음, 커버 스크류(Q)를 보조 수용모듈(130)의 보조 수용홈(132)에 수용한 후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133)를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128)에 끼움결합하여 보조 수용모듈(130)을 레벨러 지지모듈(120)을 결합시켜 보조 수용공간(N)을 차폐한다.Next, after the cover screw Q is receiv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132 of 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130,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133 for the main body unit is fitted into the inner projecting portion 128 for the main unit, (130) is coupled to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to shield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N).

이후, 레벨러(110), 레벨러 지지모듈(120) 및 보조 수용모듈(130) 모두가 결합된 본체유닛(100)을 하우징유닛(200)으로 감싸 본체유닛(100)을 차폐한다. 이때, 상부 하우징유닛(200a)과 하부 하우징유닛(200b)이 결합되어 본체유닛(100)을 감싼다.Thereafter, the main unit 100 including both the leveler 110,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120 and 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130 is enclosed by the housing unit 200 to shield the main unit 100. At this time, the upper housing unit 200a and the lower housing unit 200b are coupled to wrap the main unit 100. [

본체유닛(100)을 하우징유닛(200)이 차폐한 다수개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로 보관 및 운송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s 10 in which the main unit 100 is shielded by the housing unit 200 can be stored and transported in an assembled state as shown in FIG.

이렇게 다수개로 상호 결합된 상태의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는 서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송과정에서 일부가 유실될 가능성도 적고 보관도 간편하다. Since the plurality of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s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partly being lost during the transfer process and storage is easy.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10)는, 외벽에 조립을 위한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210, 220)이 마련되는 하우징유닛(200)을 구비함으로써,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일부가 유실될 가능성이 적고 상호간의 결합에 의해 조립체를 이루어 보관 및 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housing unit 200 having the coupling modules 210 and 220 for the housing unit for assembly on the outer wall, And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loss of part in the transportation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nvenient by assembling by the mutual coupling.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main body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레벨러 지지모듈(320) 및 레벨러 위치 설정부(325)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3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at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320 and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portion 32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ther resp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320 and the leveler positioner 325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레벨러 지지모듈(320)은, 제1 지지측벽(321)과, 제1 지지측벽(321)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322)과, 제1 지지측벽(321)과 제2 지지측벽(322)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323)과, 제3 지지측벽(323)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며 제1 지지측벽(321)과 제2 지지측벽(322)을 연결하는 제4 지지측벽(324)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eveler support module 320 includes a first support sidewall 321, a second support sidewall 322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321, A third support side wall 323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 wall 321 and the second support side wall 322 and a second support side wall 323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support side wall 323, And a fourth support sidewall 324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sidewalls 322 and 324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 제4 지지측벽(324)은, 도 1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영역은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detail in Fig. 14,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support side wall 324 is provided in an incised shape.

이러한 제4 지지측벽(324)의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달리 레벨러(310)를 레벨러 지지모듈(320)의 상부에서 픽스츄어 수용공간(M)으로 진입시키는 방식을 위한 것으로, 제4 지지측벽(324)의 절개부를 통해 작업자가 레벨러(310)를 붙잡은 상태에서 픽스츄어 수용공간(M)에서 레벨러(310)를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즉 본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 플레이트(311) 및 상부 지지 플레이트(312) 모두가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321, 322, 323, 324)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됨)The fourth support side wall 324 has a shape for entering the leveler 31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320 to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leveler 310 can be easily moved up and down in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M with the operator holding the leveler 310 through the cutout of the lower support plate 324 in the present embodiment. 311 and the upper support plate 312 are both 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support side walls 321, 322, 323, 324)

이렇게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 레벨러(310)는, 레벨러 위치 설정부(325)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벨러 위치 설정부(325)는,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321, 322, 323, 324)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레벨러(31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325a)를 포함한다.The leveler 310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operator in this way is fixed in position by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325. In this embodiment,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portion 325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side walls 321, 322, 323, and 324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upport the leveler 310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325a.

본 실시예에서 지지돌기(325a)는, 도 1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측벽(321)과 제3 지지측벽(323)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에 마련된다. 또한 지지돌기(325a)는, 제2 지지측벽(322)과 제3 지지측벽(323)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 제1 지지측벽(321)과 제4 지지측벽(324)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 및 제2 지지측벽(322)과 제4 지지측벽(324)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에도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돌기(325a)들은 레벨러(310)를 지지하여 레벨러(310)의 이동을 방지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 325a is provided in an edge area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 wall 321 and the third support side wall 323, as shown in detail in Fig. The support protrusions 325a also have corner areas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sidewall 322 and the third support sidewall 323, corner areas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321 and the fourth support sidewall 324, And is also provided in an edge area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side wall 322 and the fourth support side wall 324. The support protrusions 325a support the leveler 310 to prevent the leveler 310 from moving.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15 is a view showing a main body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보조 수용모듈(430)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13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only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module 430,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3, .

본 실시예에서 보조 수용모듈(430)의 수용모듈 본체(431)에는 커버 스크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홈(432)이 마련된다. 이러한 보조 수용홈(432)은, 도 1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모듈 본체(431)의 측벽으로 개구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ceiving module main body 431 of 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430 is provided with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432 for receiving the cover screw. This auxiliary receiving groove 432 opens to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module main body 431 as shown in detail in Fi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용모듈(430)에서 보조 수용홈(432)이 수용모듈 본체(431)의 측벽으로 개구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넓힐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4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432 is opened to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module main body 431, thereby widening the space utiliza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본체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16 is a view showing a main body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레벨러 지지모듈(520) 및 레벨러(510)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4의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only in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520 and the leveler 510,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14. Therefor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레벨러 지지모듈(520)은, 도 1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측벽(521)과, 제1 지지측벽(521)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522)과, 제1 지지측벽(521)과 제2 지지측벽(522)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523)과, 제3 지지측벽(523)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며 제1 지지측벽(521)과 제2 지지측벽(522)을 연결하는 제4 지지측벽(524)을 포함한다.16,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520 includes a first supporting sidewall 521 and a second supporting sidewall 521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ing sidewall 521 A third support side wall 523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 wall 521 and the second support side wall 522 and a second support side wall 523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the third support side wall 523, And a fourth support side wall 524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side wall 522 with the second support side wall 522.

본 실시예의 제4 지지측벽(524)은 제2 실시예의 제4 지지측벽(324)과 달리 상부 영역이 절개되지 않는다.The fourth support side wall 524 of this embodiment is not cut in the upper area unlike the fourth support side wall 324 of the second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 레벨러(510)는,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521, 522, 523, 524)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고정블록(512)과,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521, 522, 523, 524)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블록(512)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블록(511)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eveler 510 includes a fixed block 512 fix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sidewalls 521, 522, 523, and 524, first to fourth supporting sidewalls 521 522, 523, and 524, and movable in a direction that is moved toward and away from the fixed block 512. The movable block 511 includes a movable block 511,

본 실시예의 경우는 제2 실시예와 달리 고정블록(512)은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521, 522, 523, 524)에 고정된 상태이고 이동블록(511)만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픽스츄어(P)의 길이에 따라 이동블록(511)을 고정블록(512)에 따라 접근 및 이격시켜 픽스츄어(P)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fixed block 512 is fixed to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side walls 521, 522, 523 and 524, and only the moving block 511 is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at is, the moving block 511 approaches and separates the fixed block 512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xture P,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fixture P.

이때, 이동블록(511)은 레벨러 위치 설정부(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레벨러 위치 설정부(미도시)는,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521, 522, 523, 524)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이동블록(511)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미도시)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moving block 511 is fixed by a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not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not shown)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s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side walls 521, 522, 523, and 524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Not shown)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not shown).

이러한 지지돌기(미도시)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지지측벽(521)과 제3 지지측벽(523)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 제2 지지측벽(522)과 제3 지지측벽(523)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 제1 지지측벽(521)과 제4 지지측벽(524)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 및 제2 지지측벽(522)과 제4 지지측벽(524)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에도 마련된다.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 (not shown) has a corner area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521 and the third support sidewall 523, a second support sidewall 522 and a third support sidewall 523 An edge area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 wall 521 and the fourth support side wall 524 and an edge area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 side wall 522 and the fourth support side wall 524 do.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rawings,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descri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00: 본체유닛
110: 레벨러 111: 하부 지지 플레이트
111a: 제1 관통공 112: 상부 지지 플레이트
112a: 제2 관통공 120, 320, 520: 레벨러 지지모듈
121: 제1 지지측벽 122: 제2 지지측벽
123: 제3 지지측벽 125, 325: 레벨러 위치 설정부
125a: 그루브 125b: 고정홀
126: 바닥판 127: 보조측벽
128: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 130, 430: 보조 수용모듈
131, 431: 수용모듈 본체 132, 432: 보조 수용홈
133: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 200: 하우징유닛
200a: 상부 하우징유닛 200b: 하부 하우징유닛
210, 220: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 210: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
211: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 220: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
221: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 222: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
223: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 J: 결합홈
K: 고정용 돌출부재 M: 픽스츄어 수용공간
N: 보조 수용공간 P: 픽스츄어
Q: 커버 스크류
10: Dental implant packaging container 100: Body unit
110: Leveler 111: Lower support plate
111a: first through hole 112: upper support plate
112a: second through hole 120, 320, 520: leveler supporting module
121: first support side wall 122: second support side wall
123: third support side wall 125, 325: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125a: Groove 125b: Fixing hole
126: bottom plate 127: auxiliary side wall
128: inner protruding portion for main unit 130, 430: auxiliary receiving module
131, 431: receiving module main body 132, 432: auxiliary receiving groove
133: first protrusion for main unit 200: housing unit
200a: upper housing unit 200b: lower housing unit
210, 220: coupling unit for housing unit 210: first coupling unit for housing unit
211: first protrusion 220 for housing unit 220: second fitting part for housing unit
221: second protrusion for housing unit 222: flange for housing unit
223: inner protrusion for housing unit J: engaging groove
K: Fixing protrusion member M: Fixture accommodation space
N: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P: fixture
Q: Cover screw

Claims (21)

픽스츄어가 수용 가능한 픽스츄어 수용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을 차폐하며, 외벽에 조립을 위한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이 마련되는 하우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유닛용 결합모듈은,
상기 하우징유닛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는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상기 일측 외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타측 외벽에 마련되며, 다른 하우징유닛에 마련된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다른 하우징유닛에 결합되는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유닛의 상기 일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2 결합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들에 끼움 결합되는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타측 외벽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 및
상기 하우징유닛용 플랜지부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말단부가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를 끼움 결합하는 하우징유닛용 내측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2 돌기부는,
상기 타측 외벽에서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부 영역이 개구되며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A main body unit in which a fixture accommodation space accommodating a fixture is provided; And
And a housing unit for shielding the main body unit and provided with a coupling module for a housing unit for assembling to an outer wall,
Wherein the coupling module for the housing unit comprises:
A first coupling unit for a housing unit provided on one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And
A second coupling unit for hous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housing unit by interaction with a first coupling unit for the hous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outer wall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unit, ≪ / RTI &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for the housing unit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for housing unit protruding from the one outer wall of the housing uni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gap,
Wherei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for the housing unit comprises:
A second protrusion for housing unit protruding from the other outer wall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for the housing unit and fitted to the first protrusions for the housing unit;
A flange for a housing unit protruding from the other outer wall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disposed in an edge region of the outer wall of the other side; And
And a housing unit which is provided to project from the inner wall of the flange portion for the housing unit and has a distal end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and to fit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together with the second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And an inner protrusion,
Wherein the second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outer side wall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wall, and the upper region is opened and the inside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o have a circular ring shape in cross 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용 제1 돌기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housing unit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유닛; 및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unit includes:
A lower housing uni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unit; And
And an upper housing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픽스츄어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픽스츄어를 지지하는 레벨러; 및
상기 레벨러를 지지하며, 상기 레벨러의 위치를 설정하는 레벨러 위치 설정부가 마련되는 레벨러 지지모듈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unit includes:
A leveler disposed in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and supporting the fixture; And
And a leveler supporting module for supporting the leveler and having a leveler positioning part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leve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은,
제1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 및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comprises:
A first support sidewall;
A second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And a third support sidewall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측벽의 내벽에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어 상기 레벨러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며,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A plurality of grooves which are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at an inner wal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upport side walls and into which a part of the leveler is insertable and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mplant packaging container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그루브의 바닥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고정홀이 마련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fixing hole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formed in a part of the groov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는,
상기 픽스츄어의 하부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픽스츄어를 지지하며,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leveler comprises:
And a lower support plate connected to a lower region of the fixture to support the fixture and having an edge region inserted in the groov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는,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픽스츄어의 상부 영역에 연결되어 상기 픽스츄어를 지지하며,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leveler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n upper support plat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pport plate and connected to an upper region of the fixture to support the fixture and wherein an edge reg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용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upper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pport plate may be formed of,
And a fixing protrusion member provided in the edge region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에는 상기 픽스츄어 수용공간과 격리된 보조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개폐하며,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모듈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supplementary accommodation space isolated from the fixture accommodation space,
The main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receiving module detachably coupled to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to open / close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and accommodate any one of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cover screw.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용모듈은,
상기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홈이 마련된 수용모듈 본체; 및
상기 수용모듈 본체의 상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호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includes:
A receiving module main body provided with an auxiliary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ny one of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cover screw; An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 the main unit protruding from the upper wall of the receiving module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은,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측벽; 및
상기 보조측벽의 내면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본체유닛용 제1 돌기부에 끼움 결합되는 본체유닛용 내측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comprises:
An auxiliary side wall defining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And
Further comprising an inn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of the auxiliary sidewall and fitted to the first protrusion for the main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용모듈은,
상기 치유 지대주 및 커버 스크류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보조 수용홈이 마련된 수용모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수용홈은 상기 수용모듈 본체의 측벽으로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uxiliary receiving module includes:
And a receiving module main body provided with an auxiliary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any one of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cover screw,
Wherein the auxiliary receiving groove is open to the side wall of the receiving module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은,
제1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상기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 및
상기 제3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상기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4 지지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지지측벽의 상부 영역은 절개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레벨러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레벨러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comprises:
A first support sidewall;
A second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idewall;
A third support sidewall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And
And a fourth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support sidewall and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An upper region of the fourth support sidewall is provided in an incised shape,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inner walls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side walls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upport the level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러 지지모듈은,
제1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측벽;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상기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3 지지측벽; 및
상기 제3 지지측벽에 대해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측벽과 상기 제2 지지측벽을 연결하는 제4 지지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레벨러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의 상부 영역에 고정된 고정블록;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블록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레벨러 위치 설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측벽의 내벽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veler supporting module comprises:
A first support sidewall;
A second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 sidewall;
A third support sidewall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And
And a fourth support sidewall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support sidewall and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sidewall and the second support sidewall,
The leveler comprises:
A fixed block fixed to an upper area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side walls; And
A movable block movably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support side walls and movabl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eparating from the fixed block,
The leveler position setting unit,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inner walls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 side walls an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support the movement block.
KR1020170091488A 2017-07-19 2017-07-19 Dental Implant Package KR1019176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88A KR101917658B1 (en) 2017-07-19 2017-07-19 Dental Implant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488A KR101917658B1 (en) 2017-07-19 2017-07-19 Dental Implant Pack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658B1 true KR101917658B1 (en) 2018-11-13

Family

ID=6439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488A KR101917658B1 (en) 2017-07-19 2017-07-19 Dental Implant Pack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6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906B1 (en) * 2021-10-13 2022-05-10 (주)메코텍티타늄 Dental implant fixture c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051Y1 (en) * 2005-09-02 2005-12-16 주식회사 조인원 Supporting means for implant and package for implant using the same
KR100886400B1 (en) * 2007-06-28 2009-03-04 (주)오리엔트엠지 A dental fixture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051Y1 (en) * 2005-09-02 2005-12-16 주식회사 조인원 Supporting means for implant and package for implant using the same
KR100886400B1 (en) * 2007-06-28 2009-03-04 (주)오리엔트엠지 A dental fixture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906B1 (en) * 2021-10-13 2022-05-10 (주)메코텍티타늄 Dental implant fixture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260B1 (en) Dental implant package
KR100723949B1 (en) Dental implant package
KR101394116B1 (en) Dental implant package
KR100886400B1 (en) A dental fixture container
US5961330A (en) Vial for dental implant delivery system
KR101164444B1 (en) An assembly for implant
RU2555384C2 (en) Module support device, intended for inclined dental implants
KR101917658B1 (en) Dental Implant Package
KR200473225Y1 (en) Magnetic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
KR101511332B1 (en) Dental Implant Package
KR200470574Y1 (en) Ball 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
EP1985257B1 (en) Container for dental implant
KR20100122691A (en) Fixture of dental implant
KR101250493B1 (en) A guide device and a surgical procedure method for implant
KR20130016540A (en) Implant parallel procedure device and method
KR2016001132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ntal implant using intra oral scanning and computer aided design library
KR101917657B1 (en) Dental Implant Package
KR101437376B1 (en) Abutment holder for implanting
KR100982967B1 (en) grip for fixed implant fixture
KR101144322B1 (en) Dental membrane
KR20100118464A (en) Fixture of dental implant
KR200493997Y1 (en) Surgical connector for dental fixture
USD966519S1 (en) Storage of implant
KR100918254B1 (en) Dental implant having a angle guide-marks
KR20090111010A (en) Connector for abutment and implant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