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116B1 -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116B1
KR101917116B1 KR1020160060444A KR20160060444A KR101917116B1 KR 101917116 B1 KR101917116 B1 KR 101917116B1 KR 1020160060444 A KR1020160060444 A KR 1020160060444A KR 20160060444 A KR20160060444 A KR 20160060444A KR 101917116 B1 KR101917116 B1 KR 10191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unit
imag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9571A (en
Inventor
성철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116B1/en
Priority to TW106116158A priority patent/TWI652034B/en
Priority to CN201720543800.7U priority patent/CN207979622U/en
Priority to TW106116156A priority patent/TWI639021B/en
Priority to TW106116151A priority patent/TWI689387B/en
Priority to TW106116154A priority patent/TWI653964B/en
Priority to EP17799660.0A priority patent/EP3459689B1/en
Priority to AU2017267155A priority patent/AU2017267155B2/en
Priority to PCT/KR2017/005136 priority patent/WO2017200305A1/en
Priority to US15/597,531 priority patent/US10349798B2/en
Priority to US15/597,670 priority patent/US10656656B2/en
Priority to US15/597,418 priority patent/US10517456B2/en
Priority to EP17799662.6A priority patent/EP3459691B1/en
Priority to EP17799661.8A priority patent/EP3459690B1/en
Priority to PCT/KR2017/005135 priority patent/WO2017200304A2/en
Priority to EP17799659.2A priority patent/EP3459688B1/en
Priority to PCT/KR2017/005133 priority patent/WO2017200303A2/en
Priority to JP2018560524A priority patent/JP2019516483A/en
Priority to PCT/KR2017/005132 priority patent/WO2017200302A2/en
Priority to US15/597,333 priority patent/US10456004B2/en
Priority to RU2018144340A priority patent/RU2719222C1/en
Publication of KR2017012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571A/en
Priority to KR1020180129189A priority patent/KR1024301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1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G05D2201/02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본체의 전방의 청소구역 내 바닥을 향해 제 1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본체 전방으로 상향으로 제 2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제 2 패턴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에 의해 조사된 각 패턴의 광이 장애물에 입사된 영상을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영상을 통해 청소구역 내 장애물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of a first pattern toward the bottom of a cleaning area in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of a second pattern upward in front of the main body And acquires an image of the light of each pattern irradiated by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incident on the obstacle through the image acquiring unit and acquire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situation in the cleaning area .

Description

로봇 청소기{ROBOT CLEANER}Robot Cleaner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이다.Generally, the robot clean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surface while traveling in a self-cleaning area without user's operation.

통상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청소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청소구역을 매핑(mapping)하거나, 좌륜과 우륜의 구동을 제어하여 장애물 회피 동작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천장 또는 바닥을 주시하는 센서를 통해 로봇 청소기가 이동한 거리를 계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이었으나, 로봇 청소기의 이동 거리를 기반으로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추정하는 간접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바닥의 굴곡등으로 로봇 청소기의 이동 거리가 정확하게 계측되지 못하는 경우, 장애물까지의 거리 역시 오차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이러한 로봇 청소기에 주로 사용되는 거리 측정 방식은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것으로, 광 또는 음이 장애물에 의해 산란되는 양이 많아 거리 계측에 상당한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Generally, such a robot cleaner senses distances to obstacles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and walls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maps the cleaning area accordingly, o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to perform an obstacle avoidance operation. Conventionally,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robot cleaner is measured through a sensor for observing the ceiling or floor, and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is calculated based on the distance. However,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can be indirectly estimated based 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bot cleaner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can not be measured accurately even 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bot cleaner can not be accurately measured due to the bending of the floor or the like. Particularly, the distance measuring method mainly used in such a robot cleaner uses infrared rays or ultrasonic wav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error occurs in distance measurement because light or sound is scattered by an obstacle.

최근에는 로봇 청소기의 전방으로 특정한 패턴의 광을 조사하여 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구역 내의 장애물 상황을 파악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10-2013-0141979호(이하, '979 발명이라 함.)는 십자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모듈과 청소기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로봇 청소기In recent years, a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irradiate light of a specific pattern to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to photograph it, to extract the pattern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nd to grasp the obstacle situation in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extracted pattern. 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41979 (hereinafter referred to as '979 invention') discloses a robot cleaner having a light source module for irradiating a cross pattern light and a camera module for acquiring an image in front of the cleaner

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구역 내의 장애물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로봇 청소기의 경우, 상기 광원모듈은 일정한 각도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하나만 구비되기 때문에,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에 제약이 따르고, 높이를 갖는 장애물의 입체적인 형태를 파악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979 발명은 십자 패턴이 청소구역의 바닥을 향해 조사되는 특성상, 상기 광원 모듈보다 높이 위치한 장애물 또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상기 광원 모듈부터 높은 곳까지 이르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는 없다.. Such a robot cleaner extracts a pattern from an image obtained through a camera module, and recognizes an obstacle situation in a cleaning area based on the extracted pattern.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robot cleaner, the light source module is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at a certain angle, and since there is only one light source module,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range in which the obstacle can be detected,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three- . In particular, the '979 invention can not detect an obstacle located higher than the light source module or an obstacle whose height from the bottom reaches the height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because the cross pattern is irradiated toward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979 발명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사된 수직선 형태의 광이 장애물에 입사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의 높이를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는 있으나, 이로부터 알 수 있는 장애물 정보는 어디까지나 수직선 패턴이 조사된 부분에 한정된 것이었다. In the '979 invention, when the light of the vertical line emitted from the camera module is incident on the obstacle, the height of the obstacle can be measured to some extent, but the information of the obstacle, .

또한, 침대와 같은 장애물의 경우는, 침대 다리에 매트리스가 거치되기 때문에, 상기 매트리스 아래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기 마련인데, 침대로부터 로봇 청소기의 위치에 따라서는,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조사된 십자 패턴의 광 모두가 상기 공간 내의 바닥으로 조사되어, 로봇 청소기의 제어 유닛은 상기 매트리스를 식별해 내지 못하고, 따라서, 로봇 청소기가 침대가 있는 쪽으로 계속하여 주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간의 높이에 따라서는 로봇 청소기가 상기 공간 내로 진입하지 못하고,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 등의 구조물과 충돌하거나, 바닥과 프레임 사이에 끼게 되어 더 이상 주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an obstacle such as a be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under the mattress because the mattress is mounted on the leg of the b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from the bed, The control unit of the robot cleaner can not identify the mattress, and therefore, the robot cleaner can be controlled to continue running to the side of the bed.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pace, the robot cleaner can not enter the spa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bot cleaner collides with a structure such as a frame supporting the mattress or is interposed between the floor and the frame and can not travel any mo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패턴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패턴들을 이용하여 장애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ot cleaner capable of acquiring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obstacle by using patterns irradiated from two pattern irradiation units arranged vertically.

둘째, 침대와 같이 청소 구역의 바닥과의 사이에 소정 높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주행 중에 상기 공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preventing the robot cleaner from being caught in the space in the case where there is an obstacle forming a space of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cleaner and the floor such as a bed.

셋째, 제 1 패턴 조사부와 제 2 패턴 조사부의 칼리브레이션 과정을 보다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ird, a robot cleaner that can more easily perform the calibrating process of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의 전면에 상하로 제 1 패턴 조사부와 제 2 패턴 조사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하측으로 제 1 패턴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상측으로 제 2 패턴의 광을 조사한다.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패턴의 광과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입사된 영역의 영상을 획득한다.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pattern irradiating portion and a second pattern irradiating portion are disposed on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portion irradiates light of a first pattern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irradiates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upwar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a front side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acquire an image of a region where light of the first pattern and light of the second pattern are incident.

로봇 청소기의 전방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패턴의 광은 청소구역의 바닥에 입사되나, 상기 패턴 광들이 조사되는 영역 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장애물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패턴의 광이 입사되고, 상기 장애물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입사되기 때문에, 상기 영상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영상에서 상기 장애물에 맺힌 광 패턴의 위치, 형상, 길이 등의 정보로부터 장애물의 입체적인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When no obstacle is present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is incident on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but if an obstacle is located in the area irradiated with the pattern light, Since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is incident on the upper part of the obstacl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ereoscopic image of the obstacle from the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shape and length of the light pattern formed on the obstacle in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ring unit The shape can be grasped.

특히, 상기 제 1 패턴의 광이 청소구역의 바닥에 입사된 경우에도,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장애물에 입사된 경우에는, 침대와 같이 청소구역의 바닥 상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장애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추정될 수 있고,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의 상기 제 2 패턴의 광의 상의 위치로부터 상기 공간의 높이를 파악하여, 상기 공간의 높이가 상기 로봇 청소기의 본체의 높이 보다 낮은 경우에는 장애물에 대한 회피 주행을 실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Particularly, even when 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is incident on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when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is incident on the obstacle, an obstacle that forms a predetermined space above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space is determined from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in th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If the height of the main body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it can be controlled so as to avoid the obstac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 상기 영상 획득부 및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가 동일한 크기의 수직 조사각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의 위치를 뒤바꾼 경우에도 각 패턴 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방향은 같기 때문에,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의 칼리브레이션이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the image acquir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may be arranged in a line, and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e acquiring unit . Furthermore, when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are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with a vertical irradiation angle of the same size, even when the positions of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are reversed, Since the directions of the irradiated light are the same, the calibration of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제 1 패턴 조사부 또는 제 2 패턴 조사부는 20˚ 내지 30˚의 수직 조사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획득부는 렌즈의 주축이 수평으로 정렬되고, 100˚ 내지 110˚의 화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바닥에 대한 영상을 상기 본체로부터 거리가 110mm 내지 120mm 이상인 위치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or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may irradiate light at a vertical irradiation angle of 20 to 30 degrees, and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main axis of the lens is horizontally aligned, have.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acquire an image of the floor from a position at a distance of 110 mm to 120 mm or more from the main body.

상기 제 1 패턴의 광과 상기 제 2 패턴의 광은 서로 다른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패턴은 광은 수평선과 상기 수평선과 직교하는 수직선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패턴은 상기 제 2 패턴의 광은 수평선을 포함하는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may be formed in different patterns, and 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is composed of a pattern including a horizontal line and a vertical lin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line,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may be a pattern including a horizontal lin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륜 및 우륜과,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청소구역 내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모듈과,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애물 감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애물 감지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결합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듈 프레임에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와, 상기 영상 획득부가 배치될 수 있다.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forming an outer appearance, left and right wheel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sing, a suction module disposed in the casing and sucking foreign matter from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And an obstacle detection uni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ing. Here, the obstacle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module fram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and the first pattern irradiation unit, the second pattern irradiation unit,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be disposed in the module fr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획득부가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는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패턴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패턴들을 이용하여 장애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특히, 애물의 입체적인 형상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by using the patterns irradiated from the two pattern irradiating units arrang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more specifically, has an effect of more accurately grasping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obstacle.

또한, 침대와 같이 청소 구역의 바닥과의 사이에 소정 높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장애물을 파악하고, 상기 공간의 높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제어함으로써, 로봇 청소기가 주행 중에 상기 공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grasp an obstacle which forms a space of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floor of the cleaning area such as a bed and control the traveling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pace so that the robot cleaner is caught in the sp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동일한 크기의 수직 조사각으로 광으로 조사하는 제 1 패턴 조사부와 제 2 패턴 조사부를 영상 획득부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의 칼리브레이션 과정을 보다 쉽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first pattern irradiation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on unit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the calibration process of the first pattern irradiation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on unit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arried 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수평 화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주요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장애물 감지유닛의 전면도(a)와 측면도(b)이다.
도 7은 장애물 탐지 모듈의 조사 범위와 장애물 탐지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 1 패턴 조사부를 칼리브레이션하는 과정에서 획득영상에 표시된 제 1 패턴 광을 도시한 것(a)과, 제 2 패턴 조사부를 칼리브레이션하는 과정에서 획득영상에 표시된 제 2 패턴 광을 도시한 것(b)이다.
도 9는 로봇 청소기가 제 1 위치에 있을 시, 전방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획득영상을 도시한 것(a), 로봇 청소기의 위치가 변경되어 제 2 위치에 있을 시의 획득영상을 도시한 것(b)이다.
도 10은 장애물에 제 1 패턴 광과 제 2 패턴 광이 입사된 경우에 있어서의 획득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horizontal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robot cleaner of FIG.
6 is a front view (a) and a side view (b)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FIG. 7 shows an irradiation range and an obstacle detection range of the obstacle detection module.
8A is a view showing the first pattern light displayed on the acquired image in the process of calibrating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FIG. 8B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pattern light displayed on the acquired image in the process of calibrating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b).
9 is a view showing an acquired image when an obstacle is located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in the first posi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n acquired image in a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is changed, (B).
10 shows an acquired image when the first pattern light and the second pattern light are incident on the obstacl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수평 화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로봇 청소기의 주요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장애물 감지유닛의 전면도(a)와 측면도(b)이다. 도 7은 장애물 탐지 모듈의 조사 범위와 장애물 탐지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horizontal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robot cleaner of FIG. 1.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robot cleaner of FIG. 6 is a front view (a) and a side view (b) o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FIG. 7 shows an irradiation range and an obstacle detection range of the obstacle detection module.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청소구역의 바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바닥 상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애물 감지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7, a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moving along the bottom of a cleaning area and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floor, And an obstacle detection unit 100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본체(1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에 배치되어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유닛(34)과, 케이싱(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륜(36(L))과 우륜(36(R))을 포함할 수 있다. 좌륜(36(L))과 우륜(36(R))이 회전함에 따라 본체(10)가 청소구역의 바닥을 따라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흡입유닛(34)을 통해 이물질이 흡입된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casing 1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defin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inwardly and a suction unit 12 disposed in the casing 11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 left wheel 36 (L) and a right wheel 36 (R) which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casing 11. As the left wheel 36 (L) and the right wheel 36 (R) rotate, the main body 10 moves along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and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34 in this process.

흡입유닛(34)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팬(미도시)과, 상기 흡입 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기류가 흡입되는 흡입구(10h)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34)은 흡입구(10h)를 통해 흡입된 기류 중에서 이물질을 채집하는 필터(미도시)와, 상기 필터에 의해 채집된 이물질들이 축적되는 이물질 채집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34 may include a suction fan (not shown)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suction port 10h for sucking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uction fan. The suction unit 34 may include a filter (not shown)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tream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0h, and a foreign matter collecting box (not shown) in which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by the filter are accumulated.

또한, 본체(10)는 좌륜(36(L))과 우륜(36(R))을 구동시키는 주행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구동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는 좌륜(36(L)))을 회전시키는 좌륜 구동모터와 우륜(36(R))을 회전시키는 우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driving drive unit 300 for driving the left wheel 36 (L) and the right wheel 36 (R). The travel driving unit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drive motor. The at least one drive motor may include a left wheel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left wheel (36 (L)) and a right wheel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right wheel (36 (R)).

제어부(200)는 주행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주행제어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제어모듈(230)에 의해 상기 좌류 구동모터와 상기 우륜 구동모터의 작동이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본체(10)의 직진, 후진 또는 선회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들어, 본체(10)가 직진 주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좌륜 구동모터와 상기 우륜 구동모터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나, 상기 좌륜 구동모터와 상기 우륜 구동모터가 다른 속도로 회전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본체(10)의 주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본체(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륜(37)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travel control module 230 for controlling the travel driving unit 300. The operation of the left drive motor and the right drive motor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the drive control module 230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straightened, reversed, or turned. 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10 runs straight, the left wheel driving motor and the right wheel driving motor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but the left wheel driving motor and the right wheel driving motor are rotated at different speed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can be switched.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37 for stably supporting the main body 10 may be further provided.

케이싱(11)의 저면부 전방측에 위치하며,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솔을 갖는 브러시(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들(35)의 회전에 의해 청소구역의 바닥으로부터 먼지들이 제거되며, 이렇게 바닥으로부터 분리된 먼지들은 흡입구(10h)를 통해 흡입되어 채집통에 모인다.A brush 35 may be further provided, which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11 and has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blades. The dusts are removed from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by the rotation of the brushes 35, so that the dusts separated from the floor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0h and collected in the collecting box.

케이싱(11)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로봇 청소기(1)의 제어를 위한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컨트롤 패널(39)이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11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39 for receiving various commands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user.

본체(10)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베터리(38)가 구비되며, 베터리(38)의 충전 단자(33)가 상용 전원(예를 들어, 가정 내의 전원 콘센트)과 연결되거나, 상용 전원과 연결된 별도의 충전대(미도시)에 본체(10)가 도킹되어, 충전 단자(33)가 상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베터리(38)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를 구성하는 전장 부품들은 베터리(3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베터리(38)가 충전된 상태에서 로봇 청소기(1)는 상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자력 주행이 가능하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38. The charging terminal 33 of the battery 38 is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for example, a power outlet in a home) The main body 10 is docked to the charging terminal 33 (not shown), the charging terminal 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battery 38 can be charged. Electr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can b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the battery 38.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38 is charged, the robot cleaner 1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the commercial power supply, It is possible to drive.

장애물 감지유닛(100)은 본체(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장애물 감지유닛(100)은 케이싱(11)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모듈 프레임(110)과, 모듈 프레임(110) 상에 고정되는 제 1 패턴 조사부(120), 제 2 패턴 조사부(130) 및 영상 획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듈 프레임(110)이 없이 제 1 패턴 조사부(120), 제 2 패턴 조사부(130) 및/또는 영상 획득부(140)가 케이싱(11)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bstacle detection unit 10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6,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00 includes a module frame 110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ing 11 and extending vertically, a first pattern 110 fixed on the module frame 110, An irradiation unit 120, a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and an image acquiring unit 140.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and / or the image acquiring unit 140 may be fixed directly to the casing 11 without the module frame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각각의 패턴 조사부(120, 130)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투과됨으로써 소정의 패턴을 생성하는 패턴생성자(OPPE: Optical Pattern Projectio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레이져 다이오드(Laser Diode, L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eing Diode, LED) 등 일 수 있다. 레이져 광은 단색성, 직진성 및 접속 특성에 있어 다른 광원에 비해 월등해, 정밀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며, 특히,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은 대상체의 색상과 재질 등의 요인에 따라 거리 측정의 정밀도에 있어서 편차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상기 광원으로는 레이져 다이오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생성자는 렌즈, DOE(Diffractive optical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패턴 조사부(120, 130)에 구비된 패턴 생성자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광이 조사될 수 있다.Each of the pattern irradiators 120 and 130 may include a light source and an optical pattern projection element (OPPE) that generates a predetermined pattern by transmit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may be a laser diode (LD),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infrared ray or visible light is subject to variations in the accuracy of the distance measurement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color and the material of the object, A laser diode is preferable as the light source. The pattern generator may include a lens and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pattern generator included in each of the pattern irradiators 120 and 130, light of various patterns can be irradiated.

제 1 패턴 조사부(120)는 제 1 패턴의 광(P1, 이하, 제 1 패턴 광이라고 함.)을 본체(10)의 전방 하측을 향해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패턴 광(P1)은 청소구역의 바닥을 향해 입사될 수 있다. 제 1 패턴 광(P1)은 수평선(Ph)과 수직선(Pv)이 교차하는 십자 패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can irradiate the first pattern light P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pattern light) toward the front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ly, the first pattern light P1 can be incident toward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The first pattern light P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ross pattern in which the horizontal line Ph and the vertical line Pv intersect each other.

제 1 패턴 조사부(120), 영상 획득부(140) 및 제 2 패턴 조사부(13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획득부(140)는, 제 1 패턴 조사부(120)와 제 2 패턴 조사부(130) 사이에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the image acquiring unit 140,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may be arranged in a line. Preferabl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ttern irradiation unit 120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on unit 1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에서, 제 1 패턴 조사부(120)는 영상 획득부(140)의 상측에 위치하여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제 1 패턴 광(P1)을 조사하여, 제 1 패턴 조사부(120)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 2 패턴 조사부(130)는 영상 획득부(140)의 하측에 위치하여 전방을 향해 상방으로 제 2 패턴의 광(P2, 이하, 제 2 패턴 광이라고 함.)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패턴 광(P2)은 벽면이나, 청소구역의 바닥으로부터 적어도 제 2 패턴 조사부(130) 보다 높이 위치하는 장애물 또는 장애물의 일정 부분에 입사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is positioned above the image acquiring unit 140 and irradiates the first pattern light P1 downward toward the front to irradiate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below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s located below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and irradiates the second pattern light P2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pattern light) upward toward the front side can do. Accordingly, the second pattern light P2 may be incident on a wall or a certain portion of the obstacle or obstacle located at least higher than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portion 130 from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제 2 패턴 광(P2)은 제 1 패턴 광(P1)과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평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선은 반드시 연속한 선분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econd pattern light P2 may have a patter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attern light P1, and preferably includes a horizontal line. Here, the horizontal line is not necessarily a continuous line segment, but may be a dotted line as shown in the drawings.

한편, 도 2에 표시된 θh는 제 1 패턴 조사부(120)로부터 조사된 패턴 광(P1)의 수평 조사각을 표시한 것으로, 수평선(Ph)의 양단이 제 1 패턴 조사부(120)와 이루는 각도를 나타내며, 130˚ 내지 140˚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표시된 점선은 로봇 청소기(1)의 전방을 향하는 것이며, 제 1 패턴 광(P1)은 상기 점선에 대해 대칭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2 indicates the horizontal irradiation angle of the pattern light P1 irradiated from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The angle formed by both ends of the horizontal ray Ph with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is And is preferably set in the range of 130 DEG to 140 DEG,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2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1, and the first patterned light P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dotted line.

제 2 패턴 조사부(130) 역시 제 1 패턴 조사부(120)와 마찬가지로 수평 조사각이,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40˚ 범위에서 정해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패턴 조사부(120)와 동일한 수평 조사각으로 패턴 광(P2)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2 패턴 광(P1) 역시 도 2에 표시된 점선에 대해 대칭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may be set to a horizontal irradiation angle in a range of 130 to 140 degrees as in the case of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pattern light P1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dotted line shown in FIG.

영상 획득부(140)는 본체(10) 전방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영상 획득부(140)에 의해 획득된 영상(이하, 획득영상이라고 함.)에는 패턴 광(P1, P2)이 나타되며, 이하, 획득영상에 나타난 패턴 광(P1, P2)의 상을 광 패턴이라고 하고, 이는 실질적으로 실제 공간 상에 입사된 패턴 광(P1, P2)이 이미지 센서에 맺힌 상이기 때문에, 패턴 광들(P1, P2)과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제 1 패턴 광(P1) 및 제 2 패턴 광(P2)과 각각 대응하는 상들을 제 1 광 패턴(P1) 및 제 2 광 패턴(P2)이라고 하기로 한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40 may acquire an image in front of the main body 10. Particularly, the pattern light P1 and P2 appear in th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cquired image), and the image of the pattern light P1 and P2 Since the pattern light P1 or P2 incident on the actual space is substantially formed on the image sens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pattern lights P1 and P2 are assigned to the first pattern light P1 P1 and the second pattern light P2 are referred to as a first light pattern P1 and a second light pattern P2, respectively.

영상 획득부(140)는 피사체의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 후 다시 디지털 신호로 바꿔 메모리소자에 기억시키는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센서(미도시)와 영상처리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140 may include a digital camera that converts an image of an o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hen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stores the digital signal in a memory device. The digital camera includes an image sensor (not shown) Not shown).

상기 이미지센서는 광학 영상(imag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다수개의 광 다이오드(photo diode)가 집적된 칩으로 구성되며, 상기 광 다이오드로는 픽셀(pixel)을 예로 들 수 있다. 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칩에 맺힌 영상에 의해 각각의 픽셀들에 전하가 축적되며, 픽셀에 축적된 전하들은 전기적 신호(예를들어, 전압)로 변환된다. 상기 이미지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이 잘 알려져 있다.The image sensor is an apparatus for converting an optical image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image sensor is composed of a chip on which a plurality of photo diodes are integrated, and the photodiode may be a pixel. Charges are accumulated in the respective pixels by an image formed on the chip b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and the charges accumulated in the pixels ar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for example, voltage). As the image sensor,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and the like are well known.

상기 영상처리모듈은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바탕으로 디지털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일시적으로 디지털 정보(digital data)를 기록하는 버퍼 메모리(buffer memory)와, 상기 버퍼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를 처리하여 디지털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기(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module generates a digital image based on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The image processing module includes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buffer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ter,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to construct a digital image.

또한, 로봇 청소기(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의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microprocessor and includes a hard disk drive (HDD), a solid state disk (SSD), a silicon disk drive (SDD) (Not shown) such as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제어부(200)는 영상 획득부(140)에 의해 획득된 영상(획득영상)으로부터 광 패턴(P1, P2)을 검출하는 패턴검출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검출모듈(210)은 획득영상을 구성하는 소정의 픽셀들에 대해 점, 선, 면 등의 특징을 검출 (feature detection)하고, 이렇게 검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광 패턴(P1, P2) 또는 광 패턴(P1, P2)을 구성하는 점, 선, 면 등을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 pattern detection module 210 for detecting the light patterns P1 and P2 from the image (acquired image) obtain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210 detects features such as a point, a line, and a surface with respect to predetermined pixels constituting the acquired image and detects light patterns P1 and P2 or light It is possible to detect points, lines, surfaces,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patterns P1 and P2.

예를 들어, 패턴검출모듈(210)은 주변보다 밝은 픽셀들이 연속됨으로써 구성되는 선분들을 추출하여, 제 1 광 패턴(P1)을 구성하는 수평선(Ph)과 수직선(Pv), 제 2 광 패턴(P2)을 구성하는 수평선(P2)을 추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210 extracts line segments constituted by successive pixels brighter than the surroundings, and detects a horizontal line Ph and a vertical line Pv constituting the first light pattern P1,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horizontal line P2 constituting the horizontal line P2.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영상으로부터 원하는 형태의 패턴을 추출하는 다양한 기법들이 이미 알려져 있는 바, 패턴검출모듈(210)는 이들 공지된 기술들을 이용하여 제 1 광 패턴(P1)과 제 2 광 패턴(P2)을 추출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techniques for extracting a desired pattern from a digital image are already known.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210 detects a first light pattern P1 and a second light The pattern P2 can be extracted.

제 1 패턴 조사부(120)와 제 2 패턴 조사부(130)는 영상 획득부(140)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패턴 조사부(120)는 영상 획득부(140)로부터 거리 Dh 만큼 떨어진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패턴 조사부(130)는 영상 획득부(140)로부터 하측으로 같은 거리(Dh)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제 1 패턴 조사부(120) 또는 제 2 패턴 조사부(130)의 조사 방향이 수평과 이루는 각도를 수직 조사각이라고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수직 조사각은 각각의 패턴 조사부(120, 130)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주축(Optical axis)이 향하는 방향이 수평과 이루는 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 7,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away from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by a distance Dh,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from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And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of Dh. Hereinafter, the angle formed by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portion 120 or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portion 130 with the horizontal is defined as a vertical irradiation angle. Specifically, the vertical irradiation angle can be defined as an angle formed by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of the lenses constituting each of the pattern irradiating units 120 and 130.

제 1 패턴 조사부(120)의 제 1 수직 조사각과 제 2 패턴 조사부(130)의 제 2 수직 조사각은 그 크기가 θr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 1 패턴 조사부(120)는 수평에 대해 하향하는 각도 θr로 제 1 패턴 광(P1)을 조사하고, 제 2 패턴 조사부(130)는 수평에 대해 상향하는 각도 θr로 제 2 패턴 광(P2)을 조사할 수 있다. θr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범위에서 정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을 아니다.The first vertical irradiation angle of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and the second vertical irradiation angle of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may be equal to each other by the angle? R.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irradiates the first pattern light P1 at a downward angle? 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rradiates the second pattern light P2). Theta r is preferably set in the range of 20 to 30 degrees,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제 1 패턴 조사부(120)와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영상 획득부(140)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제 1 패턴 조사부(120)와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방향은 반대지만 같은 수직 조사각(θr)으로 광을 조사하는 구조는, 칼리브레이션(caribration) 또는 제품 초기화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and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are arranged in a direction The structure that irradiates the light at the same vertical irradiation angle? R makes it easy to perform the calibration or the product initialization.

제 1 패턴 조사부(120) 및/또는 제 2 패턴 조사부(130)로부터 조사된 패턴 광이 장애물에 입사되었을 시, 상기 장애물이 제 1 패턴 조사부(12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따라, 획득영상에서 광 패턴(P1, P2)의 위치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제 1 패턴 광(P1)과 제 2 패턴 광(P2)이 소정의 장애물에 입사되었을 시, 상기 장애물이 로봇 청소기(1)로부터 가깝게 위치한 것일수록, 획득영상에서 제 1 광 패턴(P1)- 특히, 수평 패턴(Ph)-이 높은 위치에 표시되며, 반대로, 제 2 광 패턴(P2)은 낮은 위치에 표시된다. 즉, 영상 획득부(140)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구성하는 행(횡방향으로 배열된 픽셀들로 이루어진 선)에 대응하는 장애물까지의 거리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였다가, 영상 획득부(140)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검출된 광 패턴(P1, P2)이 소정의 행에서 검출되면, 그 행에 대응하는 장애물까지의 거리 데이터로부터 장애물의 위치가 추정될 수 있다.When the pattern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and / or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s incident on the obstacle, depending on the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P1, P2) are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pattern light P1 and the second pattern light P2 are incident on a predetermined obstacle, the closer the obstacle is located from the robot cleaner 1, P1) - particularly, the horizontal pattern Ph - is displayed at a high position, and conversely, the second light pattern P2 is displayed at a low position. That is, the distance data to the obstacle corresponding to the row (line consisting of pixel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nstituting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When the light patterns P1 and P2 detected i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ing are detected in a predetermined row,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can be estimated from the distance data to the obstacle corresponding to the row.

그런데, 이와 같은 과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제 1 패턴 조사부(120)와 제 2 패턴 조사부(130) 각각이 기 설정된 수직 조사각(θr)으로 정확하게 광을 조사하도록 정렬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전제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는 칼리브레이션 과정에서 검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검사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perform such a process,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must be aligned so as to irradiate light with a predetermined vertical irradiation angle? R, respectively. Whether or not this assumption has been made can be checked during the calibration process, for exampl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장애물 감지유닛(100)을 고정시키고, 장애물 감지유닛(100)로부터 일정 거리 전방에 장애물 감지유닛(100)을 향하는 평면을 갖는 수직한 입사판(T, 도 7 참조.)을 설치한다. 입사판(T)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패턴 광(P1)이 맺힐 수 있는 위치이다.The obstacle detection unit 100 is fixed and a vertical incidence plate T (see Fig. 7) having a plane facing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00 is install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00. [ The position of the incident plate T is preferably a position where the first pattern light P1 can be formed.

이 상태에서, 제 1 패턴 조사부(120)를 통해 광을 조사하고, 영상 획득부(140)를 통해 영상을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영상에는 입사판(T)에 입사된 제 1 광 패턴(P1)이 나타난다. 여기서, 장애물 감지유닛(100)로부터 입사판(T)까지의 거리는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장애물 감지유닛(100)이 불량 없이 정상적으로 제조된 경우라면, 획득영상 상에서 정해진 위치(ref1, 이하, 기준 위치라고 함.)에 제 1 광 패턴(P1)의 수평선(Ph)이 표시되어야 한다. 도 8의 (a)는 위와 같은 과정에서 획득영상에 표시된 제 1 광 패턴(P1)을 도시한 것으로, 수평선(Ph)이 기준 위치(ref1)에서 검출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In this state, light is irradiated through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120, and an image is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ring unit 140. A first light pattern P1 incident on the incident plate T appears on the thus obtained image. Here, since the distance from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00 to the incident plate T is already known, if the obstacle detection unit 100 is normally manufactured without defects, a predetermined position ref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erence position The horizontal line Ph of the first light pattern P1 should be displayed. FIG. 8A shows the first light pattern P1 displayed on the acquired image in the above process, and shows a case where the horizontal line Ph is detected at the reference position ref1.

이제 제 2 패턴 조사부(130)의 조사 방향을 검사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은, 장애물 감지유닛(100)을 위, 아래가 바뀌도록 뒤집은 후, 위에서 설명한 칼리브레이션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즉, 장애물 감지유닛(100)을 위, 아래가 바뀌되도록 뒤집어,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영상 획득부(14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에, 이번에는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광을 조사하도록 하여, 영상 획득부(140)를 통해, 입사판(T)에 맺힌 제 2 광 패턴(P2)이 나타난 영상을 획득한다. 이 경우,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정상이라면, 기준 위치(ref1)에서 제 2 광 패턴(P2)이 검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경우, 예를 들어 도 8의 (b)에서와 같이 획득영상에서 제 2 광 패턴(P2)이 기준 위치(ref1)로부터 거리 Δg 만큼 상측에 나타난 경우는, 제 2 패턴 조사부(130)의 수직 조사각이 기 설정된 값(θr) 보다 작은 경우로써, 제 2 패턴 조사부(130)의 수직 조사각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ow,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should be inspected.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by reversing the obstacle sensing unit 100 so that the obstacle sensing unit 100 is turned upside down, and then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calibration process. That is, after the obstacle detecting unit 100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s positioned above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rradiates light And acquires an image in which the second light pattern P2 formed on the incident plate T appears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unit 140. [ In this case, if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s normal, the second light pattern P2 should be detected at the reference position ref1. 8 (b), when the second light pattern P2 is displayed on the upper side by the distance? G from the reference position ref1, as shown in FIG. 8 (b), the second pattern irradiator 130 The vertical irradiation angle of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s preferably adjusted when the vertical irradiation angle of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r.

다만, Δg이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는, Δg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였다가, 향 후 획득영상에 나타난 제 2 광 패턴(P2)의 위치로부터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구할 시, Δg을 이용하여 제 2 광 패턴(P2)의 위치를 보상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However, if Δg is within the predetermined error range, Δg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when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ght pattern P2 on the acquired image to the obstacle is obtained, By compensa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ght pattern P2,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can be obtained more accurately.

한편, 영상 획득부(140)는 렌즈의 주축이 수평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고, 도 7에 표시된 θr는 영상 획득부(140)의 화각을 표시한 것으로, 100˚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10˚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을 아니다.7,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is arranged so that the main axis of the lens is orien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tas; r denotes an angle of view of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청소구역의 바닥으로부터 영상 획득부(140)까지의 대략 145mm 내지 155mm 사이에서 정해질 수 있고, 이 경우, 영상 획득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청소구역의 바닥은 d2로 표시된 지점 이후부터 나타나며, S2는 획득영상에 나타난 바닥 중에서 제 1 광 패턴(P1)의 중심(수평선(Ph)과 수직선(Pv)이 만나는 교점)의 위치(d3)에 이르는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특히, 영역 S2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영상 획득부(140)에 의해 상기 장애물에 제 1 패턴 광(P1)이 입사된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로부터 d2까지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0mm 내지 120mm로 설정되고, d3는 로봇 청소기(1)로부터 대략 거리 400mm에 위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bottom of the cleaning zone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ring unit 140 may be defined as a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cleaning zone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40, And S2 is a reg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acquired image to the position d3 of the center of the first light pattern P1 (the intersection point between the horizontal line Ph and the vertical line Pv).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area S2 obstacle is located, the image obtain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140 with the first pattern light P1 incident on the obstacle can be obtained. Here, the distance from the main body 10 to d2 is preferably set to 100 mm to 120 mm, and d3 is located at a distance of about 400 mm from the robot cleaner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7에 표시된 S1(로봇 청소기(1)로부터 d1 지점에 이르는 영역)제 1 광 패턴(P1)과 제 2 광 패턴(P2)의 위치가 역전되는 영역을 표시한 것으로, 영역 S1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획득영상에서 1 패턴 광(P1)이 제 2 패턴 광(P2)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때, d1은 로봇 청소기(1)로부터,바람직하게는, 70mm 내지 80mm 떨어진 위치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7 shows an area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light pattern P1 and the second light pattern P2 are reversed in S1 (an area from the robot cleaner 1 to d1) shown in Fig. 7, The one pattern light P1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pattern light P2 in the acquired image. At this time, d1 is preferably 70 to 80 mm away from the robot cleaner 1,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9는 로봇 청소기가 제 1 위치에 있을 시, 전방에 제 1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획득영상을 도시한 것(a), 로봇 청소기의 위치가 변경되어 제 2 위치에 있을 시의 획득영상을 도시한 것(b)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n acquired image when the robot cleaner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obstacle is positioned in front; FIG. 9 is a view showing an acquired image when the robot cleaner is in the first position, (B) of Fig.

청소구역 내에 침대와 같이 바닥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A)이 형성되는 장애물(OB1)이 위치하는 경우, 공간(A)을 인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간(A)의 높이를 파악하여 장애물(OB1)을 통과할 것인지, 회피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pace A when the obstacle OB1 in which the predetermined space A is formed between the floor and the floor such as a bed in the cleaning area is detected and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space A is grasp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pass or avoid the obstacle OB1.

예를 들어, 도 9의 (a)와 같이, 제 1 패턴 광(P1)은 공간(A) 내에 위치하는 바닥 상에 입사되고, 제 2 패턴 광(P2)은 공간(A)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물(예를 들어, 침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에 입사된 경우, 제어부(200)를 구성하는 장애물 정보 획득모듈(220)은 제 1 패턴 광(P1)이 입사된 부분의 상측에 장애물이 위치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으며, 특히, 획득영상에 나타난 제 2 광 패턴(P2)의 위치로부터, 로봇 청소기(1)로부터 장애물(OB1)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제 2 패턴 조사부(130)의 수직 조사각이 일정하기 때문에, 장애물(OB1)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제 2 패턴 광(P2)이 입사된 부분이 청소구역의 바닥으로부터 어느 높이에 위치하는지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장애물 정보 획득모듈(220)은, 공간(A)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공간(A)의 높이가 본체(10)의 높이보다 낮다고 판단된 경우, 주행제어모듈(230)은 본체(10)가 장애물(OB1)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주행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공간(A)의 높이가 본체(10)의 높이보다 높다고 판단된 경우, 주행제어모듈(230)은 본체(10)가 공간(A) 내로 진입 또는 공간(A)을 통과하도록 주행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the first pattern light P1 is incident on the floor located in the space A, and the second pattern light P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 A The obstacle information acquiring module 220 composing the controller 200 can recognize that the obstacl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pattern light P1 is incident The distance from the robot cleaner 1 to the obstacle OB1 can be known from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ght pattern P2 shown in the acquired image and furthermore, The vertical irradiation angle of the second pattern light P2 is constant based on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OB1 so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pattern light P2 is incident is located at the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Based on such information, the obstacl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220 can determine the height of the space A, and preferably, the height of the space A is determin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The travel control module 230 can control the travel driving unit 300 so that the main body 10 avoids the obstacle OB1 and travels. On the contrar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eight of the space A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the travel control module 230 controls the travel driving unit (not shown) so that the main body 10 enters into the space A or passes through the space A. 300 may be controlled.

한편, 도 9의 (b)와 같이, 제 1 패턴 광(P1)의 수직선(Pv)은 벽에까지 이르고, 수평선(Pv)은 바닥으로 입사되고, 제 2 패턴 광(P2)이 부분적으로 장애물(OB1)에 입사되어, 제 2 패턴 광(P2)의 일부분은 장애물(OB1)에 입사되고, 다른 일부분은 벽에 입사된 경우, 만약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없다면, 획득영상에 나타난 제 1 광 패턴(P!)만을 바탕으로 장애물 정보가 구해지기 때문에, 이 경우, 로봇 청소기의 전방에 벽이 존재한다는 사실 밖에 파악될 수 없으나, 실시예와 같이,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1)와 벽 사이에 장애물(OB1)이 존재한다는 것을 더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수평선(Ph)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패턴 광(P2)은 수평방향으로 더 넓은 영역에서 장애물(OB1)의 탐지가 가능하므로, 제 1 패턴 광(P1)의 수직선(Pv)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장애물(OB1)까지 탐지가 가능하다.9 (b), the vertical line Pv of the first pattern light P1 reaches the wall, the horizontal line Pv is incident on the bottom, and the second pattern light P2 partially reaches the obstacle OB1 and a part of the second pattern light P2 is incident on the obstacle OB1 while the other part is incident on the wall. If there is no second pattern irradiation part 130, Only the fact that a wall exists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can not be grasped because obstacle information is obtained based only on the light pattern P !,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s provided It can be seen that the obstacle OB1 exists between the robot cleaner 1 and the wall. Particularly, the second pattern light P2, which includes the horizontal line Ph, Since the obstacle OB1 can be detected, the vertical line Pv of the first pattern light P1 can not be detected Is detected by the obstacle (OB1) which is located at the train station is possible.

도 10은 장애물에 제 1 패턴 광과 제 2 패턴 광이 입사된 경우에 있어서의 획득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제 1 패턴 광(P1)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있는 장애물 정보에 더하여, 제 2 패턴 광(P2)을 통해 장애물의 입체적인 형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OB2)의 실제 높이는 로봇 청소기(1)가 주행을 통해 극복할 수 없는 높이이나, 로봇 청소기(1)의 현위치에서는 제 1 광 패턴(P1)이 장애물의 하부 영역에 입사되기 때문에, 만약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없는 경우라면, 주행제어모듈(230)은 본체(10)가 장애물(OB2)을 타고 넘어갈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일단 본체(10)가 장애물(OB2)을 향해 주행하도록 제어한 후, 본체(10)가 점점 장애물(OB2) 쪽으로 접근됨에 따라 획득영상 상에서 제 2 광 패턴(P2)의 위치가 점점 상승되어, 장애물(OB2)의 높이가 본체(10)가 극복 가능한 높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그제서야 회피 주행을 실시하도록 주행 구동부(300)를 제어할 것이다.10 shows an acquired image when the first pattern light and the second pattern light are incident on the obstacle. 10, in addition to obstacle information that can be grasped through the first pattern light P1,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pattern light P2, The shape can be grasped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actual height of the obstacle OB2 is a height that the robot cleaner 1 can not overcome by traveling, but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 the first light pattern P1 enters the lower area of the obstacle The travel control module 230 determines that the main body 10 can get over the obstacle OB2 so that once the main body 10 reaches the obstacle OB2,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ght pattern P2 is gradually elevated on the acquired image as the main body 10 gradually approaches the obstacle OB2 so that the height of the obstacle OB2 become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 It is determined that the avoidance driving is to be carried out, the driving driving unit 300 will be controlled.

이에 반해, 실시예와 같이, 제 2 패턴 조사부(130)가 구비되는 경우는, 현 위치에서 제 2 패턴 광(P2)이 장애물(OB2)에 입사되기 때문에, 미리 장애물(OB2)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고, 그 만큼 더 미리 주행 경로를 최적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130 is provided as in the embodiment, since the second pattern light P2 is incident on the obstacle OB2 at the current position, the height of the obstacle OB2 is previously determined And can optimize the traveling path in advance as much as possible.

한편, 장애물 정보 획득모듈(220)은 획득영상에 나타난 수직선(Pv)의 길이를 바탕으로 로봇 청소기(1)의 전방에 위치하는 낭떠러지를 인식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의 전방에 낭떠러지(예를 들어, 계단)이 위치하는 경우, 수직선(Pv)의 전단부가 낭떠러지 아래에까지 이를 수 있고, 이렇게 낭떠러지 아래로 조사된 부분은 획득영상에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획득영상에 나타난 수직선(Pv)의 길이가 짧아진다. 따라서, 장애물 정보 획득모듈(220)은 이렇게 수직선(Pv)의 길이가 짧아진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전방에 낭떠러지가 위치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렇게 파악된 낭떠러지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제어모듈(230)은 로봇 청소기(1)가 낭떠러지에 빠지지 않는 경로를 따라 주행될 수 있도록 주행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bstacl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220 can recognize the cliff located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1 based on the length of the vertical line Pv shown in the acquired image. When a cliff (for example, a staircase) is located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1, the front end of the vertical line Pv can reach the bottom of the cliff, and since the portion irradiated downward from the cliff does not appear in the acquired image, The length of the vertical line (Pv) in the acquired image is shortened. Accordingly, when the length of the vertical line Pv is shortened, the obstacl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220 can recognize that the cliff is located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1, and based on the detected cliff information, The module 230 can control the travel driving unit 300 so that the robot cleaner 1 can travel along a path that does not fall into a cliff.

Claims (20)

청소구역을 주행하며, 청소구역 내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 전방의 소정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영역 내로 제 1 패턴의 광을 하향으로 조사하는 제 1 패턴 조사부;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영역 내로 제 2 패턴의 광을 상향으로 조사하는 제 2 패턴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수평한 바닥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측면에서 바라볼 시,
상기 제 1 패턴의 광이 조사되는 경로와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조사되는 경로는 교차되고,
상기 제 1 패턴의 광과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교차되는 지점을 상기 수평한 바닥 상에 정사영한 지점(d1)은,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기 시작하는 상기 수평한 바닥 상의 지점(d2)보다 상기 본체로부터 더 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기 시작하는 상기 수평한 바닥 상의 지점(d2)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턴의 광이 상기 수평한 바닥 상에 맺히는 지점(d3)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패턴의 광과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교차하는 지점을 상기 수평한 바닥 상에 정사영한 지점(d1)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기 시작하는 상기 수평한 바닥 상의 지점(d2)까지의 거리보다 긴 로봇 청소기.
A main body for traveling a cleaning zone and suck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ottom of the cleaning zone;
An image acquiring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for acquir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in front of the main body;
A first pattern irradiator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irradiating light of a first pattern downward into the area; And
And a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irradiating light of the second pattern upward into the area,
When the main body is placed on a horizontal floor and the main body is viewed from the side,
A path through which light of the first pattern is irradiated and a path through which light of the second pattern is emitted intersect,
The point (d1) at which 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intersect with each other on the horizontal floor is a point (d1) on the horizontal floor at which the image is acquired by the image acquiring unit (d2) at a point closer to the main body,
The distance from the point (d2) on the horizontal floor where the image is obtained by the image acquiring unit to the point (d3) on which 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is formed on the horizontal floor, And a point (d2) on the horizontal floor at which the image is acquir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from an image point (d1)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floor at a point where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crosses Long robot clea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렌즈의 주축이 수평으로 정렬되고, 100˚ 내지 110˚의 화각을 갖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acquire,
Wherein the main axis of the lens is horizontally aligned and has an angle of view of 100 deg. To 110 de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바닥에 대한 영상을 상기 본체로부터 거리가 110mm 내지 120mm 이상인 위치부터 획득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acquire,
And acquires an image of the floor from a position at a distance of 110 mm to 120 mm or more from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은 각각 수평선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each include a horizontal l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의 광과 상기 제 2 패턴의 광은 서로 다른 패턴으로 구성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are configured in different patter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 및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acquiring unit,
Wherein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are arranged in a line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는 제 1 수직 조사각으로 상기 제 1 패턴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는 제 2 수직 조사각으로 상기 제 2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로봇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irradiates light of the first pattern at a first vertical irradiation angle,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on unit irradiates light of the second pattern at a second vertical irradiation ang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로봇 청소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acquir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ttern irradiation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on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는 제 1 수직 조사각으로 상기 제 1 패턴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는 제 2 수직 조사각으로 상기 제 2 패턴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 1 수직 조사각 또는 상기 제 2 수직 조사각은 20˚ 내지 30˚인 로봇 청소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irradiates light of the first pattern at a first vertical irradiation angle,
Wherein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irradiates light of the second pattern at a second vertical irradiation angle,
Wherein the first vertical irradiation angle or the second vertical irradiation angle is 20 ° to 30 °.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좌륜 및 우륜;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청소구역 내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 모듈; 및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배치되는 장애물 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결합되는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 전방의 소정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모듈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영역 내로 제 1 패턴의 광을 하향으로 조사하는 제 1 패턴 조사부; 및
상기 모듈 프레임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영역 내로 제 2 패턴의 광을 상향으로 조사하는 제 2 패턴 조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이 수평한 바닥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을 측면에서 바라볼 시,
상기 제 1 패턴의 광이 조사되는 경로와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조사되는 경로는 교차되고,
상기 제 1 패턴의 광과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교차되는 지점을 상기 수평한 바닥 상에 정사영한 지점(d1)은,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기 시작하는 상기 수평한 바닥 상의 지점(d2)보다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더 근접한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기 시작하는 상기 수평한 바닥 상의 지점(d2)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턴의 광이 상기 수평한 바닥 상에 맺히는 지점(d3)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패턴의 광과 상기 제 2 패턴의 광이 교차하는 지점을 상기 수평한 바닥 상에 정사영한 지점(d1)으로부터 상기 영상 획득부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기 시작하는 상기 수평한 바닥 상의 지점(d2)까지의 거리보다 긴 로봇 청소기.
A casing forming an appearance;
Left and right wheel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sing;
A suction module disposed in the casing for sucking foreign matter from the floor in the cleaning area; And
And an obstacle detection uni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sing,
The obstacle detection unit includes:
A module frame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casing;
An image acquiring unit disposed in the module frame and acquir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area in front of the casing;
A first pattern irradiator disposed in the module frame and irradiating light of a first pattern downward into the area; And
And a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disposed in the module frame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irradiating light of a second pattern upward into the area,
When the casing is viewed from the side with the casing lying on a horizontal floor,
A path through which light of the first pattern is irradiated and a path through which light of the second pattern is emitted intersect,
The point (d1) at which 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and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intersect with each other on the horizontal floor is a point (d1) on the horizontal floor at which the image is acquired by the image acquiring unit (d2) at a point closer to the casing,
The distance from the point (d2) on the horizontal floor where the image is obtained by the image acquiring unit to the point (d3) on which the light of the first pattern is formed on the horizontal floor, And a point (d2) on the horizontal floor at which the image is acquired by the image obtaining unit from an image point (d1)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floor at a point where the light of the second pattern crosses Long robot clea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과 상기 제 2 패턴은 각각 수평선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pattern and the second pattern each include a horizontal lin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 및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로봇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image acquiring unit,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are arranged in a line in a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로봇 청소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image acquiring unit may acquir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pattern irradiation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on unit.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조사부와 상기 제 2 패턴 조사부는 상기 영상 획득부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로봇 청소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first pattern irradiating unit and the second pattern irradiating unit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e acquiring unit.
KR1020160060444A 2016-05-17 2016-05-17 Robot cleaner KR1019171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444A KR101917116B1 (en) 2016-05-17 2016-05-17 Robot cleaner
CN201720543800.7U CN207979622U (en) 2016-05-17 2017-05-16 Robot cleaner
TW106116156A TWI639021B (en) 2016-05-17 2017-05-16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106116151A TWI689387B (en) 2016-05-17 2017-05-16 Mobile robot
TW106116154A TWI653964B (en) 2016-05-17 2017-05-16 Mobile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TW106116158A TWI652034B (en) 2016-05-17 2017-05-16 Cleaning robot
US15/597,333 US10456004B2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PCT/KR2017/005136 WO2017200305A1 (en) 2016-05-17 2017-05-17 Robot vacuum cleaner
US15/597,531 US10349798B2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5/597,670 US10656656B2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detecting inclination using pattern light
EP17799660.0A EP3459689B1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7799662.6A EP3459691B1 (en) 2016-05-17 2017-05-17 Robot vacuum cleaner
EP17799661.8A EP3459690B1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05135 WO2017200304A2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17799659.2A EP3459688B1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05133 WO2017200303A2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8560524A JP2019516483A (en) 2016-05-17 2017-05-17 Robot vacuum cleaner
PCT/KR2017/005132 WO2017200302A2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U2017267155A AU2017267155B2 (en) 2016-05-17 2017-05-17 Robot vacuum cleaner
RU2018144340A RU2719222C1 (en) 2016-05-17 2017-05-17 Robot vacuum cleaner
US15/597,418 US10517456B2 (en) 2016-05-17 2017-05-17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180129189A KR102430113B1 (en) 2016-05-17 2018-10-26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444A KR101917116B1 (en) 2016-05-17 2016-05-17 Robot clea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89A Division KR102430113B1 (en) 2016-05-17 2018-10-26 Robot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571A KR20170129571A (en) 2017-11-27
KR101917116B1 true KR101917116B1 (en) 2018-11-09

Family

ID=60810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444A KR101917116B1 (en) 2016-05-17 2016-05-17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1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364B1 (en) * 2018-04-13 201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067600B1 (en) * 2018-05-16 2020-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0116232A1 (en) 2018-12-05 2020-06-11 ソニー株式会社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4714352B (en) * 2020-12-29 2024-04-26 上海擎朗智能科技有限公司 Robot pose information determi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326712A (en) * 2021-12-06 2022-04-12 云鲸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Method for generating navigation path of robot, devic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4962A (en) 1988-09-06 1990-09-04 Transitions Research Corporation Visual navigation and obstacle avoidance structured light system
JP2013104858A (en) * 2011-11-17 2013-05-30 Ckd Corp Three-dimensional measuring device
US20150168954A1 (en) * 2005-10-21 2015-06-18 Irobo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obstacle detection using structured ligh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4962A (en) 1988-09-06 1990-09-04 Transitions Research Corporation Visual navigation and obstacle avoidance structured light system
US20150168954A1 (en) * 2005-10-21 2015-06-18 Irobo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obstacle detection using structured light
JP2013104858A (en) * 2011-11-17 2013-05-30 Ckd Corp Three-dimensional meas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571A (en)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67155B2 (en) Robot vacuum cleaner
US10517456B2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656656B2 (en) Mobi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detecting inclination using pattern light
KR101917116B1 (en) Robot cleaner
US10255501B2 (en)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47207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CN112153928B (en) Sweep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042031B2 (en) A system having an autonomous driving type vacuum cleaner and an autonomous traveling type vacuum cleaner and a charging stand.
KR20180046175A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KR102048364B1 (en) Robot cleaner
KR20080090367A (en) Moving robot and operating method for same
KR20180121441A (en) Robot cleaner
JP2020052601A (en) Autonomous travel cleaner and control method
KR102428214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WO2020059292A1 (en) Autonomous traveling cleaner
KR20190003846A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KR20180133829A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