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895B1 -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 Google Patents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895B1
KR101916895B1 KR1020170153831A KR20170153831A KR101916895B1 KR 101916895 B1 KR101916895 B1 KR 101916895B1 KR 1020170153831 A KR1020170153831 A KR 1020170153831A KR 20170153831 A KR20170153831 A KR 20170153831A KR 101916895 B1 KR101916895 B1 KR 10191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wood
oil stain
weight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금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페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페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페인트
Priority to KR102017015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52Impregnating agent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9Feeding; Proportio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30Fireproof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보일유; 상기 아마보일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240 내지 320중량부; 및 인산 에스테르(phosphoric ester)를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와 무기계 수화물을 포함하는 무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복합 난연제 20 내지 60중량부; 를 포함하며,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복합 난연제를 사용하여 목재에 도포시 난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Oil stain for wood having excellent frameproofing}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스테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복합 난연제를 사용하여 목재에 도포시 난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할로겐계 난연제로 사용 가능한 할로겐 화합물에는 F(플루오린), Br(브롬), Cl(염소) 및 I(요오드) 등이 있는데 그 중 F 함유 화합물은 탄소와의 결합력이 강하고 I 함유 화합물의 경우는 탄소와의 결합력이 약하여 가공온도에서 쉽게 분해되어 사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Br 및 Cl의 경우 연소시 쉽게 분해가 일어나고 H-X(Br 또는 Cl)가 좁은 영역에서 분해가 발생되며 실제 연소되는 영역에서 농도가 높은 Br계 화합물의 난연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할로겐 화합물은 근본적으로 기체상에서 발생하는 라디칼을 안정화시켜 난연 효과를 가지게 되는데 연소시 수산화라디칼과 같은 활성화라디칼은 화학반응을 통하여 열을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잠열은 주위 인화성 물질이 연소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게 된다. 난연 소재는 활성라디칼인 산소와 수산화라디칼의 농도를 줄이고 연쇄반응을 정지시켜 난연 효과를 부여하게 되는데 연소시 C-X 결합의 절단은 흡열반응으로 가연성 물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분해시 불연성 기체를 발생시켜 산소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상기 할로겐 화합물은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되는 유해물질을 유발하므로 현재는 환경보호상의 이유로 인해 그 사용이 점점 제한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인계 난연제는 고체상의 반응에서 우수한 난연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산소를 다량 함유하는 목재에 효과가 있다. 인계 난연제는 먼저 열분해에 의해 폴리인산이 생성되고 이것은 에스테르화 및 탈수소화하여 숯을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숯이 산소와 열을 차단하게 된다. 비휘발성 고분자인 폴리인산은 탄소층을 형성시켜 산소 및 잠열을 차단시켜 열분해반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스핀(Phosphine)과 같은 물질을 폴리인산에 첨가시 숯 형성에 도움을 주는데 이는 탄소가 산화되어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하여 애프터글로(afterglow)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인계 난연제 중 적인이 있으며, 상기 적인의 경우 난연제 자체의 적색색상으로 인하여 이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적색을 띄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며, 독성이 없고 열적으로 안정적이지만 물과 접촉하는 경우 독성이 발생하고 폭발 가능성이 있는 포스핀 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시 주의를 요구하게 되고 안정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무기계 난연제는 포함되어 있는 무기계 수화물이 대부분 연소시 발열량이 적어 바람직하게는 가연성 수지에 필링(filling)하여 사용되나 난연성 확보를 위해서는 다량 함유되어야 하므로 위와 같이 가연성 수지에 필링하는 경우 난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351346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75299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94366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인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복합 난연제를 사용하여 무기계 난연제의 목재에 도포시 난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을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마보일유; 상기 아마보일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240 내지 320중량부; 및 인산 에스테르(phosphoric ester)를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와 무기계 수화물을 포함하는 무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복합 난연제 20 내지 60중량부; 를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제가 DMC(Dimethyl Carbonate) 또는 헤비 나프타(heavy naphth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합 난연제는, 상기 인계 난연제가 Trialkyl phosphate, Alkyldiaryl phosphate, Triaryl phosphate 및 Resorcinol bisphenyl phosph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계 난연제가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계 난연제가 Alkyldiaryl phosphate 또는 Triaryl phosph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목재 오일 스테인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페놀릭스(phenolics)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polyphenyleneoxi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분자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인계 난연제와 상기 무기계 난연제의 질량비는 8.5~9.5:0.5~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계 난연제와 무기계 수화물을 포함하는 무기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복합 난연제로 기존의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목재에 도포시 난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에서 복합 난연제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국민안전처(소방산업과)고시 제2015-1호(개정고시 제2016-138호) 방염성능기준에 따른 본 발명의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4는 종래의 오일 스테인과 본 발명의 오일 스테인을 목재에 적용하고 목재를 태운 후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 예의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은 건축내장재와 같은 목재의 마감처리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물성치는 50 내지 60(25℃, mPa·s)의 낮은 점도(viscosity)를 가지고 비중(specific gravity)이 0.92 내지 0.98(g/ml, at 25℃)이며, 아마보일유, 희석제 및 복합 난연제를 특정한 함량으로 포함한다.
상기 아마보일유는 아마인유를 끓여서 만든 건성유(Linseed oil)로서, 본 실시예의 목재 오일 스테인의 베이스오일이 된다.
상기 용제는 본 목재 오일 스테인에서 희석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아마보일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240 내지 320중량부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용제는 친환경성분인 DMC(Dimethyl Carbonate) 또는 환경오염문제가 적고 취급이 용이한 헤비 나프타(heavy naphtha)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난연제는 인산 에스테르(Phosphoric ester)를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와 무기계 수화물을 포함하는 무기계 난연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마보일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중량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합 난연제의 특성은, 인의 함량이 총 중량에 대하여 9.5중량% 이상이고, 산가(acid number)가 0.1%(mg KOH/g)이하이고, 수분함유량(water contents)은 0.038%(w/w)이상 바람직하게 0.038이고, 점도(viscosity)는 2,500 내지 3,500(25℃, mPa·s) 바람직하게 2,580이고, 비중은 1.2(g/ml, at 25℃)이상 바람직하게 1.23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합 난연제는 낮은 휘발성과 우수한 열안정성 및 내수성을 가지며, 기존 할로겐계 난연제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발생이 없다.
이때, 상기 인계 난연제와 상기 무기계 난연제의 질량비는 8.5~9.5:0.5~1.5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인계 난연제와 무기계 난연제의 질량 비의 범위 내에서 최적의 난연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계 난연제는 1단계 열 차단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인계 난연제로 인산 에스테르(phosphate ester) 난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산 에스테르 난연제는 바람직하게 모노머 형태의 Trialkyl phosphate, Alkyldiaryl phosphate 및 Triaryl phosphate와, 올리고머 형태의 Resorcinol bisphenyl phosphate(RD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계 난연제가 모노머 형태의 난연제 중 방향족 탄화수소(aromatic hydrocarbon)인 aryl계 phosphate를 포함하는 Alkyldiaryl phosphate 또는 Triaryl phosph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본 실시 예의 목재 오일 스테인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페놀릭스(phenolics)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polyphenyleneoxide) 등의 고분자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페놀릭스(phenolics)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polyphenyleneoxide) 등의 고분자 성분은 aryl계 phosphate과 블렌딩 될 때 에스테르교환반응, 탈수반응 및 탄화반응에 의해 탄화(char)층을 형성하여 목재용 오일스테인으로 사용시 목재 표면에 불연층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열 전달 차단효과를 더 향상시킴으로써 목재의 난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기계 난연제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 및 수산화마그네슘이다. 유기계 난연제와 달리 무기계 난연제는 열에 의해 휘발되지 않고 분해되어 물, 이산화탄소, 이산화항 및 염산 등의 기체를 방출하며 대부분 흡열반응이 이루어진다. 이때, 기체상에서는 가연성 기체를 희석시키며 목재 표면을 도포하여 산소의 접근을 방지하고, 동시에 목재의 표면에서 흡열반응을 통하여 목재를 냉각시키고 열분해 생성물을 감소시켜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산화마그네슘은 300℃ 이상에서 분해되어 가공온도가 높은 목재에 사용이 용이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무기계 난연제로 바람직하게 수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열 전달을 차단하는 2단계 차단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계 난연제는 수산화마그네슘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반응식 1 >
목재연소반응:
CxHy + thermal energy → H' + OH' + CO, CO2
인계 난연제:
PO2' + H' + OH' → HPO2 + HOPO2'
HPO2 + H' → H2 + PO2'
PO2' + OH' → HOPO2 + PO'
무기계 난연제:
M(OH)x → MxOy (network structure) + yH2O + Charlayer
여기서, M(OH)x는 무기계 수화물이고, MxOy는 무기 산화물임.
상기 반응식 1은 난연 기능 연소 메커니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복합 난연제는, 인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의 5족 화합물이 고분자 내 산소와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흡수하면서 산소를 차단하여 유기물의 고체상 탄화 시에 생성되는 탄소질 물질인 탄화(char)층이 형성되도록 산을 형성함으로써 물성을 유지하고, 이때 인산에 의한 탈수 및 탄화 작용과 인 함유 라디칼들의 수소(H')와 수산기(OH') 포획에 의해 오일 스테인에 난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합 난연제는 안정적인 화학 구조와 가소성을 갖는 인산 에스테르계 5족 화합물을 포함하여 고분자 사슬을 쪼갬으로써 화염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인계 난연제가 Alkyldiaryl phosphate 또는 Triaryl phosph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페놀릭스(phenolics)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polyphenyleneoxide) 등의 고분자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메인 체인(main chain)에 산소와 방향족을 갖는 에스테르 인산과 상기 고분자 성분의 에스테르교환반응, 탈수반응 및 탄화반응으로 인해 탄화층이 더 두껍게 형성되어 형성되어 표면에 더 강화된 불연층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고분자 내 열 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더 향상된 난연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고분자 블랜딩 과정을 거처 생성된 인 화합물은 높은 온도에서 고분자 내 산소와 주변 산소를 흡수하여 오르쏘(Ortho) 인산(M3PO4)이 축합중합을 통해 메타인산(HPO3)이 형성되면서 폴리인산이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탄화층과 산화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조연성 가스인 산소를 차단하여 화염의 전개를 막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무기계 난연제는 포함되어 있는 무기계 수화물이 대부분 연소시 발열량이 적어 바람직하게는 가연성 수지에 필링(filling)하여 사용되나 난연성 확보를 위해서는 다량 함유되어야 하므로 위와 같이 가연성 수지에 필링하는 경우 난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복합 난연제가 인계고상 및 기상 난연 성분과 무기물 수화물계 성분을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와 무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복합 난연제는, 무기계 난연제에 함유된 무기계 수화물이 화재의 열로 인해 무기 산화물로 전환되되, 상기 무기 산화물은 열 용량이 작고 열 전달 속도가 느려 목재 내로 전달되는 열을 지연시킴으로써 화재 확산을 방지하고 표면에서 열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 예의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의 난연 효과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염의 고온 조건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일 스테인의 내화학성과 내수성 및 표면적 특성이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화염에 의해 표면 온도가 상승되면 표면 연소 반응에 의해 유기물의 분해와 동시에 무기 수화물의 표면 반응이 일어나 목재 표면에 무기계 산화물이 형성되면서 분자 간에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3D의 망상 구조를 갖는 무기계 산화물의 결합이 일어나고, 이에 유기물 내부로 화염의 침투를 막는 막을 형성하여 표면에서 산화 반응이 국한되어 진행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화재가 발생되면 화염에 직접 노출되는 지점에서는 공기(산소)의 흡수로 인한 유기물 표면에서 공기 중의 질소 층이 생성되고 동시에 열로 인한 인계 난연제의 5족 화합물의 고분자 절단과 탄화층의 형성으로 외부 공기를 차단하는 1단계 차단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1단계 차단막의 형성과 함께 무기계 난연제의 무기계 수화물이 열에 의해 2단계 차단막의 역할을 하는 무기 산화물을 형성하며 열 전파를 차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화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 및 수산화마그네슘 계열의 무기계 수화물의 경우 수증기가 발생하면서 조직이 비산되고 작용 온도가 낮기 때문에 2단계 차단막의 열 전파 차단 기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위와 같이 1단계 차닥막 및 2 단계 차단막의 형성은 열과 직접 접하는 표면에서 진행되며 표면에 얇게 형성된 피막 형태의 2중층 차단막이 내부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화염의 전파를 지연시켜 주게 되고 결과적으로 본 오일 스테인을 목재에 도포시 우수한 난연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재 오일 스테인은 추가로 여러 가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바람직하게 상기 아마보일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12 내지 52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는 건조제, 피막방지제, 방충제, 소포제, 자외선차단제, 발수제, 침강방지제 및 증점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제는 바람직하게 도료용 건조제로서 프탈산다이옥틸(Dioctyl phthalate)을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막방지제는 바람직하게 2-부탁온 옥심(2-Butanone oxime)을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0.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충제는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교반시 발생되는 기포를 소멸시키는 작용을 하여 실리콘(silicon)계 내열 및 소포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제는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수제는 실리콘계 발수효과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강방지제는 상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바람직하게 Hydroxyethyl cellulos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 예의 목재 오일 스테인은 무색으로 이루어지는데, 필요시 색을 가지도록 하려면 제조하려는 색상에 맞추어 유색 배합표에 따라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의 6 내지 7중량%의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료는 공지된 것 중 목재에 사용 가능한 것들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난연은 방염과 유사한 의미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국민안전처(소방산업과)고시 제2015-1호(개정고시 제2016-138호) 방염성능기준에 따라 시험한 결과, 본 발명의 목재 오일 스테인을 도포한 목재의 탄화길이는 3회 측정에 7, 8 및 9cm가 각각 측정되었고, 탄화면적은 3회 측정에 25, 32 및 41㎠이 각각 측정되었고, 잔염시간은 3회 측정에 모두 4초가 측정되었고, 잔신시간은 3회 측정에 모두 0초가 측정되었다. 상기 국민안전처 고시에서 목재의 방염성능기준은 최대 탄화길이 20cm 이내, 탄화면적 50㎠ 이내, 잔염시간 10초 이내, 잔신시간 30초 이내이고, 본 발명의 시험결과가 모든 항목을 만족하므로 본 발명의 목재 오일 스테인이 우수한 난연성(방염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오일 스테인과 본 발명의 오일 스테인을 목재에 적용하고 두 목재를 토치를 이용하여 각각 태운 후의 사진이다. 난연제의 경우 1급인 불연, 2급인 준불연 및 3급인 난연으로 구분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오일 스테인을 도포한 목재는 3급의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정도로 목재가 심하게 탄 것을 볼 수 있고, 반면에 본 발명의 복합 난연제를 사용한 목재 오일 스테인을 도포한 목재의 경우 탄 정도가 미비하고 앞서 국민안전처 고시 시험결과에서도 보듯이 난연시험결과가 3급인 난연 등급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아마보일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제 240 내지 320중량부를 교반하여 제1 화합물을 마련한다(S1).
다음으로, 상기 제1 화합물에 첨가제 중 건조제와 피막방지제를 더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여 제2 화합물을 마련한다(S2).
다음으로, 상기 제2 화합물에 첨가제 중 방충제, 소포제, 자외선차단제 및 발수제를 더 첨가하고 30분 이상 교반하고, 여기에 침강방지제 및 복합 난연제를 더 첨가하여 제3 화합물을 마련한다(S3).
다음으로, 상기 제3 화합물에 증점제를 첨가하고 40분 이상 고속으로 교반하여 최종 제품을 완성한다(S4). 이때, 증점제는 바람직하게 공리양행의 xylene 90중량%와 BP-183B 10중량%를 미리 혼합하여 흔들어서 제3 화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요시 목재 오일 스테인이 색을 가지도록 하려면 제조하려는 색상에 맞추어 유색 배합표에 따라 목재 오일 스테인 총 중량의 6 내지 7중량%의 안료를 더 첨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5).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 제1 화합물 마련 단계
S2: 제2 화합물 마련 단계
S3: 제3 화합물 마련 단계
S4: 증점제 첨가 단계
S5: 안료 첨가 단계

Claims (5)

  1. 목재용 마감 처리제이며,
    100 중량부의 아마보일유;
    상기 아마보일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240 내지 320중량부의 용제;
    인산 에스테르(phosphoric ester)를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와 무기계 수화물을 포함하는 무기계 난연제로 이루어진 20 내지 60중량부의 복합 난연제; 및
    안료; 를 포함하고,
    상기 인계 난연제가 Alkyldiaryl phosphate 또는 Triaryl phosph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용제가 DMC (Dimethyl Carbonate) 또는 헤비 나프타(heavy naphth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 난연제에서, 인의 함량이 상기 복합 난연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9.5중량% 이상이고, 산가(acid number)가 0.1%(mg KOH/g) 이하이고, 수분함유량(water contents)은 0.038%(w/w) 이상이고, 점도(viscosity)는 2,500 내지 3,500(25℃, mPa·s)이고, 비중은 1.2(g/ml, at 25℃) 이상이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페놀릭스(phenolics)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polyphenyleneoxid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분자 성분을 더 포함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난연제는,
    상기 무기계 난연제가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와 상기 무기계 난연제의 질량비가 8.5~9.5: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KR1020170153831A 2017-11-17 2017-11-17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KR10191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31A KR101916895B1 (ko) 2017-11-17 2017-11-17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31A KR101916895B1 (ko) 2017-11-17 2017-11-17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895B1 true KR101916895B1 (ko) 2018-11-08

Family

ID=64330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831A KR101916895B1 (ko) 2017-11-17 2017-11-17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8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036B1 (ko) * 2020-08-19 2021-05-25 아이앤지산업(주) 빠른 건조, 뒤틀림 억제 및 투습 방지 특성을 가지는 항균 오일스테인 페인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를 도포한 목재
KR102422467B1 (ko) 2022-03-11 2022-07-20 주식회사 푸른이엔티 목재 속함침성, 속건성, 방수성, 난연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저농도 아크릴계 목재오일스테인 조성물 및 이를 함침 및 도포한 목재
KR102601703B1 (ko) 2023-06-28 2023-11-13 최무근 목재보호용 도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036B1 (ko) * 2020-08-19 2021-05-25 아이앤지산업(주) 빠른 건조, 뒤틀림 억제 및 투습 방지 특성을 가지는 항균 오일스테인 페인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를 도포한 목재
KR102422467B1 (ko) 2022-03-11 2022-07-20 주식회사 푸른이엔티 목재 속함침성, 속건성, 방수성, 난연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친환경 저농도 아크릴계 목재오일스테인 조성물 및 이를 함침 및 도포한 목재
KR102601703B1 (ko) 2023-06-28 2023-11-13 최무근 목재보호용 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ng et al. The flame retardant behaviors and synergistic effect of expandable graphite and dimethyl methylphosphonate in rigid polyurethane foams
Xu et al. Effect of chicken eggshell on the flame‐retardant and smoke suppression properties of an epoxy‐based traditional APP‐PER‐MEL system
Braun et al. Flame retardant mechanisms of red phosphorus and magnesium hydroxide in high impact polystyrene
Xie et al. Expandable graphite systems for halogen‐free flame‐retarding of polyolefins. I. Flammability characterization and synergistic effect
Ye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fumed silica on intumescent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Chen et al. Synergistic effect of nickel formate on the thermal and flame‐retardant properties of polypropylene
KR101916895B1 (ko) 난연성이 우수한 목재 오일 스테인
Wang et al. Fire‐resistant effect of nanoclay on intumescent nanocomposite coatings
Chen et al. Flame retardant effects of organic inorganic hybrid intumescent flame retardant based on expandable graphite in silicone rubber composites
US20210355385A1 (en) Fire retardant
CN1380368A (zh) 膨胀型防火涂料
Realinho et al. Flame retardancy effect of combined ammonium polyphosphate and aluminium diethyl phosphinate in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Xu et al. EG-based coatings for flame retardance of shape stabilized phase change materials
Intharapat et al. Preparation of boric acid supported natural rubber as a reactive flame retardant and its properties
Xia et al. Flame retarding and smoke suppressing mechanisms of nano composite flame retardants on bitumen and bituminous mixture
Deodhar et al. Calcium carbonate and ammonium polyphosphate‐bas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polypropylene
Zhang et al. Effect of phosphorus‐containing flame retardants on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stability of tetrafunctional epoxy resin
Zeng et al. Exposure of hydrocarbon intumescent coatings to the UL1709 heating curve and furnace rheology: effects of zinc borate on char properties
Pang et al. Preparation of expandable graphite with silicate assistant intercalation and its effect on flame retardancy of ethylene vinyl acetate composite
Hoang et al. Organo‐phosphorus flame retardants for poly (vinyl chloride)/wood flour composite
Ye et al. Synergistic effects and mechanism of ZnCl 2 on intumescent flame-retardant polypropylene
Li et al. Synergistic flame retardant effects of ammonium polyphosphate in ethylene‐vinyl acetate/layered double hydroxides composites
Qin et al. Synergistic effect of modified expanded graphite and zinc borate on the flamm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crystallization behavior of LLDPE/EVA composites with Mg (OH) 2/Al (OH) 3
Xia et al. Inhibitory effects of developed composite flame retardant on bituminous combustion and volatile emissions
Xu et al. A new flame retardance strategy for shape stabilized phase change materials by surface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