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890B1 - Closestool having deodoriz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Closestool having deodoriza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6890B1 KR101916890B1 KR1020120056710A KR20120056710A KR101916890B1 KR 101916890 B1 KR101916890 B1 KR 101916890B1 KR 1020120056710 A KR1020120056710 A KR 1020120056710A KR 20120056710 A KR20120056710 A KR 20120056710A KR 101916890 B1 KR101916890 B1 KR 1019168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rim
- toilet
- discharge hole
-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를 제공한다.
상기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는,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며 변기본체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림수로와, 상기 림수로에 관통형성되어 세척수를 변기본체의 내면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림배출공이 구비된 림부와, 상기 림수로에 구비되며, 상기 림배출공을 통해 변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변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The toilet having the deodorizing function may include a rim channel provided at the upper edge of the toilet body to which the rinse water is supplied from the rinse water supply unit and a plurality of rim discharge holes formed through the rim channel to discharge the rinse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 rim part and a suction part provided on the rim channel and including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side the toilet bowl bod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and a suction part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And a suction fan.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본체 내부의 악취의 제거가 가능한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equipped with a deodorizing function capable of removing odors inside the toilet body.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공건물의 화장실에는 양변기가 설치되는데,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는 용변을 보는 당사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사용하는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이어서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Generally, a toilet is installed in a toilet of a home or a public building. The odor generated in a toilet is not only unpleasant to the person who uses the toilet but also discomforts the user who uses the toilet. Therefore, It is one of the factors.
따라서,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제거는 화장실 내에 있는 환풍기나 창문의 개폐로 이루어지나 이러한 장치들은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가 이미 화장실 전체로 확산되어 그 효과가 극히 미비하다.Accordingly, the removal of th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is performed by opening or closing the ventilator or the window in the toilet. However, these devices have little effect because the odor generated when the toilet has already spread to the toilet.
이에 화장실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변기의 구조가 연구되고 있으며, 종래 사이폰 원리를 이용하여 배수관을 설치하고 배수구의 물을 일정수위로 유지하여 배수구 아래로부터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toilet to effectively remove the smell of the toilet has been studied, and a structure is conventionally used in which a drain pipe is installed using the conventional siphon principle and the water in the drain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to prevent the smell from flowing back from below the drain have.
그러나, 변기의 물내림 조작을 하기 전에 화장실 내부로 냄새가 확산되며, 이미 냄새분자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 단지 물을 내리는 것만으로는 냄새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다. However, the odor is diffused into the toilet before the water dropping operation of the toilet, and if the odor molecule is already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just dropping the water does not remove the odor properly.
이에 따라, 강제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즉, 변기 내부에 모터로 구동되는 송풍기를 설치하고 변기본체(도기)와 별도로 설치되는 흡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는 흡입관을 통하여 강제로 이동하게 되며, 흡입관은 배수관으로 연결되어 흡입된 공기가 배수관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구조이다.Accordingly, a device for sucking in ai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has been developed. That is, a blower driven by a motor is installed inside the toilet, air introduced through a suction por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oilet body (pottery) is forcibly moved through a suction pipe, and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It is the structure that goes out.
하지만, 이러한 탈취장치는 흡입구가 용변 위치와 멀어 효과적으로 냄새분자를 흡입할 수 없으며, 또한 흡입구가 상방향을 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용변이 위치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 냄새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 deodorizing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odor removal efficiency is inferior due to the fact that the suction port can not effectively absorb the odor molecules far away from the use position, and the suction port faces the upward direction, have.
이때, 변기본체와 별도로 외부로 노출되게 흡입구를 설치하면 미관상 좋지 않아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변기 본체 내부의 용변으로 인해 흡입장치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uction port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eparately from the toilet bowl body, the user may feel a sense of rejection because it is not very goo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ction device is contaminated due to the use of the toilet inside the toile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흡입구가 변기본체의 림수로의 림배출공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흡입부의 흡입효율이 향상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in which a suction port is disposed along a rim discharge hole of a rim of a toilet bowl body to improve a suction efficiency of the suction section,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써,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제공하며, 탈취장치가 용변에 의해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ile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which provides an exquisite cosmetic effect and prevents the deodorizing device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며 변기본체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림수로와, 상기 림수로에 관통형성되어 세척수를 변기본체의 내면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림배출공이 구비된 림부;와, 상기 림수로에 구비되며, 상기 림배출공을 통해 변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변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를 제공한다. Technical Solution [10]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nse water supply system comprising: a rinse channel provided at an upper edge of a toilet body to which rinse water is supplied from a rinse water supply unit; a rinse channel formed through the rinse channel to discharge rinse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 suction port for sucking the air inside the toilet bowl bod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and a suction unit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a suction fan for sucking air in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through the opening of the toilet bowl.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팬의 배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냄새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탈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eodorizing filter may further include a deodorizing filter connected to an outlet side of the suction fan to remove the odor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nd a harmful substance.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부는, 상기 림수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며, 상기 림배출공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ction portion includes a suction pip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channel; And the suction port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nd protruding into the toilet bowl bod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부는, 상기 림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흡입관;과, 상기 림배출공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흡입관에 끼움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T형관;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pipe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channel, the suction port protruding into the toilet bod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And a T-shaped tube including a connector which is connected by a connector.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관은 상기 림배출공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ction pip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im discharge ho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관은 실리콘 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suction pipe may be made of a silicone hose.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팬은 상기 변기본체의 후방측에 장착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ction fan can be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dy.
바람직하게, 상기 흡입관은,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의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에 연통결합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uction pip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and an inlet of the suction fan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to suck air through the suction pip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에 의하면, 흡입구는 변기본체의 림수로의 림배출공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므로, 흡입부의 흡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oilet with the deodor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rt can be installed along the rim discharge hole of the rim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so that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suction portion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림배출공을 통해서 세척과 탈취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hing and deodoriz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so that space utiliz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흡입부의 대부분이 림수로에 설치되므로 흡입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제공하며, 용변에 의해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st of the suction portion is installed in the rim channel, the suction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an apparently beautiful effect, and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use of the toile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의 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림부를 아래에서 본 하면도이며, 도 5(b)는 흡입구의 설치위치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m of a toilet with a deodoriz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ilet with deodor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BB 'of FIG.
FIG. 5 (a) is a bottom view of the rim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b) is a bottom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ction port.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Firs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toilet having the deodoriz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explai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림부(110)와, 흡입부(130)와, 흡입팬(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o 5, a
상기 림부(110)는,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며 변기본체(1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림수로(111)와, 상기 림수로(111)에 관통형성되어 세척수를 변기본체(10)의 내면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림배출공(113)이 구비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림부(11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변기본체(10)의 개구 가장자리에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림부(110)의 중공부에는 림수로(111)가 형성되어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어 유동할 수 있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변기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물탱크일 수 있고, 수도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에는 물내림 조작부인 레버(24)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용변을 마치고 레버를 누르면 물탱크 또는 수도전으로부터 상기 변기본체(10) 내부로 물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림수로(111)에도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미설명 부분인 도면부호 21은 변기 커버이고, 도면부호 22는 시트이다.At this time, the wash water supply unit may be a water tank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또한, 상기 림수로(111)에는 하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림배출공(1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림배출공(113)을 통해 상기 림수로(111)로 공급된 세척수가 상기 변기본체(10)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한편, 상기 흡입부(130)는, 상기 림수로(111)에 구비되며, 상기 림배출공(113)을 통해 변기본체(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즉,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기(100)는, 상기 변기본체(10) 내부의 악취를 흡입하는 상기 흡입부(130)가 상기 림수로(1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림배출공(11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1, 3 and 4, the
이때, 도 1의 실시예에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흡입부(130)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3 내지 도 5의 단면도는 도 2의 흡입부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서 실선은 물의 유출입을 나타내고, 1점 쇄선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In this case, although the
그리고, 상기 흡입팬(150)은 상기 흡입부(13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입부(130)를 통해 변기본체(10)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팬(150)의 설치위치와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흡입부(13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면 기존의 팬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림수로(111)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림배출공(113)마다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구(131)가 상기 변기본체(10) 내부 전체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부(130)의 흡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짧은 시간에 최대한 냄새분자를 흡입하도록 상기 흡입구(131)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림배출공(113)을 통해서 세척과 탈취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washing and deodoriz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흡입부(130)의 대부분이 상기 림수로(111)에 설치되므로 흡입부(1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제공하며, 용변에 의해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most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100)는, 상기 흡입팬(150)의 유출구(153)측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냄새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탈취필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31)를 통해 상기 변기본체(10) 내부의 악취와 세균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면, 상기 탈취필터(170)는 상기 공기 속에 포함된 냄새와 병원균을 포함한 각종 세균을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130)를 통하여 흡입된 변기본체(10)의 공기가 건물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도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and 2, if the odor and bacteria-containing air in the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부(130)는, 상기 림수로(11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흡입관(133)과, 상기 흡입관(133)에 연결되며 상기 림배출공(113)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10)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흡입구(1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흡입관(133)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림수로(11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림수로(111)의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흡입관(133)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측 가장자리에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흡입관(133)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림배출공(113)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10)의 내부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림배출공(113)에서 상기 본체 내부로 소정거리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는, 상기 흡입구(131)의 공기 흡입력이 강하므로 상기 림배출공(113)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흡입구(131)로 빨려들어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림배출공(113)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본체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므로 상기 흡입구(131)가 상기 본체 내부로 돌출되어 있으면 상기 림배출공(113)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흡입구(131)로 역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 air sucking force of the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림배출공(113)에서 돌출되게 장착하되, 하부를 향해 형성된 상기 흡입구(131)의 하단부를 변기본체(10)의 내부(변기본체(10)의 내벽 반대방향)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림배출공(113)에서 배출되는 물이 흡입구(131)로 역류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또한, 도 5(a)와 도 5(b)에는, 상기 림배출공(113)에 상기 흡입구(131)가 장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림배출공(113)의 일측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는 상기 림배출공(113)에서 상기 변기본체(10) 내부 중앙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131)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5 (a) and 5 (b)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이때, 상기 흡입구(131)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부식방지를 위해 부식방지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흡입관(133)은 상기 변기본체(10)의 상측 둘레에 형성된 림수로(111)를 따라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31)는 상기 림수로(111)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림배출공(113)마다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31)가 상기 변기본체(10) 내부 전체에 배치되므로 상기 흡입부(130)의 흡입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짧은 시간에 최대한 냄새분자를 흡입하도록 상기 흡입구(131)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다만, 상기 림수로(111)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변기본체(10)의 내부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변기본체(10)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변기본체(10)의 후방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rinse
한편, 상기 흡입부(130)는, 상기 흡입관(133)과 상기 흡입구(131)의 연결부분에 T형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흡입부(130)는, 상기 림배출공(113)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10)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흡입구(131)와, 상기 복수의 흡입관(133)에 끼움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구(135)를 포함하는 T형관을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T형관 중 두 개의 구멍은 상기 흡입관(133)과 끼움결합되는 연결구(135)가 되고, 한 개의 구멍은 흡입구(131)가 되어 상기 림배출공(113)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wo of the T-shaped pipes may be connected to the
이와 같이, 상기 흡입부(130)는, T형관을 이용한 단순한 끼움결합방식에 의해 상기 흡입관(133) 연결 및 흡입구(131)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므로 생산 비용 및 제작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흡입관(133)은, 상기 흡입구(131)에서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150)의 유입구(151)는 상기 배출구(137)에 연통결합되어 상기 흡입관(133)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이때, 예를 들어, 상기 흡입관(133)에는 T형의 분기관(140)이 연통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37)는 상기 분기관(14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37)에는 상기 흡입팬(150)의 유입구(151)가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상기 배출구(137)가 상기 변기본체(10)의 후방에 한개가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개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에 상기 흡입팬(150)이 연결되어 공기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T-
한편, 상기 흡입관(133)은 상기 림배출공(113)으로부터 소정간격(d)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흡입관(133)은 상기 림수로(111) 내부에 설치하되 상기 림배출공(113)에서 떨어지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관(133)이 상기 림배출공(113)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림부(110)를 통한 변기본체(10) 내부면의 세척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and 4, the
상기 흡입관(133)은 실리콘 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에 따라, 상기 흡입관(133)은, 실리콘 재질의 탄성력 등의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상기 T형관을 연결하기 용이해질 수 있으므로, 다수의 끼움결합으로 제작되는 흡입부(130)의 제작공정이 용이하고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133)과 상기 연결구(135)의 기밀성이 유지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다만, 상기 흡입관(133)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끼움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However, the material of the
상기 흡입팬(150)은 상기 변기본체(10)의 후방 측에 장착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흡입부(130)의 배출구(137)와 상기 배출구(137)에 연결된 흡입팬(150)은, 상기 변기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31)를 통해 흡입한 공기가 변기의 뒷쪽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할 때, 배출되는 공기로 인해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150)의 설치로 인해 변기의 측면이나 전면 디자인이 제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를 이용하면, 상기 흡입구는 상기 림수로 전체 또는 일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림배출공마다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구가 상기 변기본체 내부의 넓은 범위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부의 흡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림배출공을 통해서 세척과 탈취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을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ilet having a deodorizing function can be installed in each of the rim discharging holes provided at a certain interval on the entire or part of the rim water. Therefore, The suction efficiency of the suction unit can be improved. Also, since the washing and deodorizing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the spa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또한, 상기 흡입부의 대부분이 상기 림수로에 설치되므로 흡입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상 미려한 효과를 제공하며, 용변에 의해 이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suc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rim channel, the suction un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provides an apparently beautiful effect and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the use of the toilet.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100 :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110 : 림부
111 : 림수로 113 : 림배출공
130 : 흡입부 131 : 흡입구
133 : 흡입관 135 : 연결구
137 : 배출구 150 : 흡입팬
170 : 탈취필터100: toilet bowl with deodorizing function 110: rim
111: Rimso road 113: Rim discharge hole
130: Suction part 131: Suction part
133: Suction pipe 135:
137: Outlet 150: Suction fan
170: deodorization filter
Claims (8)
상기 림배출공을 통해 변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림수로 내부에 배치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변기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팬;
을 포함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A rim portion provided with wash water from a wash water supply portion and provided at an upper edge of the toilet body, and a plurality of rim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rim water passage to discharge wash wa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body;
And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inside the toilet bowl bod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the suction unit being disposed inside the rim water passage; And
A suction fan connected to the suction unit and sucking air inside the toilet bowl through the suction unit;
Wherein the toilet has a deodorizing function.
상기 흡입팬의 배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냄새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탈취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odorization filter connected to an outlet side of the suction fan to remove the odor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nd a harmful substance.
상기 림수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며, 상기 림배출공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흡입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ortion
A suction pip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channel; And
A suction port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nd protruding into the toilet bod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Wherein the toilet has a deodorizing function.
상기 림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흡입관; 및,
상기 림배출공을 통해 상기 변기본체 내부로 돌출되게 구비된 상기 흡입구와, 상기 복수의 흡입관에 끼움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T형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uction portion
A plurality of suction pipe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m channel; And
A T-shaped pipe including the suction port protruded into the toilet bowl main body through the rim discharge hole,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s by fitting;
Wherein the toilet has a deodorizing function.
상기 흡입관은 상기 림배출공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suction pipe is spaced apart from the rim discharge ho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흡입관은 실리콘 호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suction pipe is made of a silicone hose.
상기 흡입팬은 상기 변기본체의 후방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suction fan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toilet bowl main body.
상기 흡입관은,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흡입팬의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에 연통결합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suction pip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inlet of the suction fan is communicated with the outlet and sucks air through the suction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6710A KR101916890B1 (en) | 2012-05-29 | 2012-05-29 | Closestool having deodoriza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6710A KR101916890B1 (en) | 2012-05-29 | 2012-05-29 | Closestool having deodorization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454A KR20130133454A (en) | 2013-12-09 |
KR101916890B1 true KR101916890B1 (en) | 2018-11-08 |
Family
ID=4998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6710A KR101916890B1 (en) | 2012-05-29 | 2012-05-29 | Closestool having deodoriza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689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0524A (en) | 2019-06-07 | 2020-12-16 | 금영성 | Deodorant device for toilet and deodorant seat for toilet with this |
WO2024019751A1 (en) * | 2021-11-22 | 2024-01-25 | Jamie Shahrooz S | Toilet ventil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7796B1 (en) * | 2012-12-24 | 2019-06-12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Bidet |
CN104963400A (en) * | 2015-06-26 | 2015-10-07 | 谢秀邦 | Peculiar-smell-free closestool |
KR102407222B1 (en) * | 2021-10-04 | 2022-06-10 | 우종식 | Toilet Bowl Having Odor Removal Struc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25250A (en) * | 2003-01-20 | 2004-08-12 | Shuji Fukuda | Ventilator for toile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1897A (en) * | 2009-06-12 | 2010-12-16 | 김기출 | Apparatus for deodorization of a toilet bowl |
KR20110037333A (en) * | 2009-10-06 | 2011-04-13 |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 Chamber pot having discharging a bad smell device |
-
2012
- 2012-05-29 KR KR1020120056710A patent/KR10191689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25250A (en) * | 2003-01-20 | 2004-08-12 | Shuji Fukuda | Ventilator for toile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0524A (en) | 2019-06-07 | 2020-12-16 | 금영성 | Deodorant device for toilet and deodorant seat for toilet with this |
WO2024019751A1 (en) * | 2021-11-22 | 2024-01-25 | Jamie Shahrooz S | Toilet ventil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454A (en) | 2013-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6890B1 (en) | Closestool having deodorization function | |
JP2017504739A (en) | Flush toilet seat with a bad smell removal function | |
CN107149454A (en) | The Multifunctional integration device and its dish-washing machine of use in dishwasher | |
KR20130002392A (en) | Toilet bbowl having a ddeodorizing device | |
KR200401803Y1 (en) | Offensive odor exhaust device of chamber pot | |
KR200492905Y1 (en) |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 |
KR101656137B1 (en) | Bidet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bad smell | |
CN102695835A (en) | Toilet stool with apparatus for eliminating offensive odor | |
CN106836418B (en) | Toilet deodorization device and toilet deodorization system with same | |
KR102294814B1 (en) | Deodorant device for toilet and deodorant seat for toilet with this | |
JP2004225250A (en) | Ventilator for toilet | |
KR20090009037A (en) | A piss pot sheet | |
KR20110126946A (en) | Ventilator for a toilet bowl | |
JP2551868Y2 (en) | Deodorant toilet | |
KR20190089256A (en) | Toilet bowl with smell removal device | |
KR101368088B1 (en) | Offensive odor treatment apparatus for a chamber pot in toilet | |
CN101357049A (en) | Odor-removing environmental protection toilet seat | |
CN201598703U (en) | Odor-removing environmental-friendly pedestal pan | |
KR102000496B1 (en) | Bidet for toilet bowl | |
KR200373279Y1 (en) | A toilet stool | |
KR200405776Y1 (en) | Toilet odor discharge device with exhaust fan | |
WO2016148669A1 (en) | Toilet | |
KR20160115601A (en) | Interior fan type deodorizing Toilet Seat Features a Flush using excrete trap | |
KR20220070622A (en) | The discharge of odour from the toilet with multiple inlet | |
KR200165609Y1 (en) | Bad smell removing device for rest roo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