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104B1 -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한 언더웨어 - Google Patents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한 언더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104B1
KR101916104B1 KR1020160126951A KR20160126951A KR101916104B1 KR 101916104 B1 KR101916104 B1 KR 101916104B1 KR 1020160126951 A KR1020160126951 A KR 1020160126951A KR 20160126951 A KR20160126951 A KR 20160126951A KR 101916104 B1 KR101916104 B1 KR 10191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ear
deformation
measuring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8745A (ko
Inventor
권영호
Original Assignee
권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호 filed Critical 권영호
Publication of KR20170038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7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 A61B5/4393Sexual arousal or erectile dysfunction evaluation, e.g. tumescence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 설치되어 신체의 변형을 감지하는 측정부와, 이 측정부에서 감지된 측정결과를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처리부와, 이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 측정부와 처리부와 통신부를 설치하여 인체의 변형을 측정하고 전송함으로써, 신체 일부의 변형을 언더웨어에서 용이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측정결과를 외부에서 통신해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한 언더웨어 {APPARATUS FOR SENSING OF UNDERWEAR AND UNDERWEA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한 언더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언더웨어에 설치되어 언더웨어를 착용한 신체의 변형을 측정하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및 상기 변형측정장치를 포함한 언더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더웨어(underwear)는 현대사회의 필수 의류용품 중의 하나로서 종래의 언더웨어는 면직물 등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밀폐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언더웨어 중 남성용 언더웨어는 정력증강이나 건강증진에 주안점을 두어 다양한 형태로 개량되고 있다.
이러한 남성용 언더웨어로는 기능성 물질을 안감으로 사용하고,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망사형태의 조직을 낭심부에 형성하는 등 기능성을 가미한 언더웨어나, 항균성 등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언더웨어가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언더웨어에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위해 인체를 감시하는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는 연구가 제안되고 있다.
특히, 남성의 경우에 음경의 기능장애 등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음경의 발기 상태 및 지속시간 등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상태 및 시간을 대략적으로 측정하는 수준에 머물러, 정확한 데이터를 얻지 못하여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발기부전 환자의 발기상태를 측정하는 인체 측정장치로는 각도기나 측정자를 이용했으나, 각도기를 사용하는 경우 음경의 발기전과 발기후의 변화하는 음경 길이와 크기 변화에 따른 발기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에 곤란하였다.
종래의 각도기는 각도 측정의 영점 지점을 각도기의 일측 가장자리 끝단지점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음경이 신체의 정중앙부위에 있고 음경이 정상적인 완전 발기시에는 정중앙 약간 상측의 전면으로 발기가 되는 음경의 특징에 따라 그 만곡각도를 측정하기 위하여는 측정하는 종래의 각도기의 위치나 방향을 재조정하여야 하므로 검사자의 검사 성실도에 따라서도 측정에 있어서 부정확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또한, 측정자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 자의 영점이 있는 부분의 끝단을 음경의 치골부위에 접하게 하고 음경 길이를 측정하며,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측정용 자의 끝을 피부에 대고 치골방향으로 최대한 깊게 누르면서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측정자에 의한 음경 길이의 측정에 있어서는 끝단이 단단하고 각이 진 자의 경우에는 피검사자의 피부를 자극하거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 충분한 힘으로 깊게 누르면서 측정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측정자에 존재하는 데드 스페이스로 인하여 음경 길이의 측정후 측정 길이에서 그 데드 스페이스의 간격만큼 제외하고 계산한 길이를 기록하여야 하므로 음경 길이의 측정이 번거럽고 불편함과 함께 측정값이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측정자의 눈금은 길이 방향의 일측단에 표시되어 있어 검사자가 측정용 자의 일측단을 피검사자 음경의 가상 중앙선을 맞추어 민첩하게 측정하여야 하므로 검사자의 검사 성실도에 따라서도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30443호 (2011년 03월 23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2154호 (2016년 02월 04일)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실1999-0035848호 (1999년 09월 1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신체 일부의 변형을 언더웨어에서 용이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측정결과를 외부에서 통신을 통해 관리할 수 있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일부의 변형에 의한 벤딩을 측정하는 동시에 음경 발기의 팽창도를 측정할 수 있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에 대한 다양한 위치에서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서 측정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다양한 관리수단에서 측정결과를 전달받고 저장해서 사용자의 건강개선이나 건강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 설치되어 신체의 변형을 감지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감지된 측정결과를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측정부는, 신체의 변형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벤드센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벤드센서는, 복수개의 위치에서 압력을 감지하도록 복수개의 센서블럭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처리부는,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결과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통신부는,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버나 휴대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언더웨어는 상기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 측정부와 처리부와 통신부를 설치하여 인체의 변형을 측정하고 전송함으로써, 신체 일부의 변형을 언더웨어에서 용이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측정결과를 외부에서 통신해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측정부로서 신체의 변형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벤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신체 일부의 변형에 의한 벤딩을 측정하는 동시에 음경 발기의 팽창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벤드센서로서 복수개의 위치에서 압력을 감지하도록 복수개의 센서블럭을 구성함으로써, 신체에 대한 다양한 위치에서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처리부에서 측정부의 측정결과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외부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서 측정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부에서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버나 휴대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외부의 다양한 관리수단에서 측정결과를 전달받고 저장해서 사용자의 건강개선이나 건강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는, 측정부(10), 처리부(20) 및 통신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언더웨어를 착용한 신체의 변형을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서 측정하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이다.
측정부(10)는,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 설치되어 신체의 변형을 감지하는 측정수단으로서, 이러한 측정수단으로는 남성 음경의 발기에 의한 벤딩(bending) 등과 같은 신체의 변형에 의한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벤드센서(bend sensor)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드센서는,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의 복수개의 위치에서 직접 접촉해서 신체 일부의 벤딩 변형에 의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접촉식 벤드센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센서블럭(11, 12, 13)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벤드센서는, 곡률 반경의 변경에 응답하는 전기 저항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센서로서, 언더웨어를 착용한 신체 일부의 변형, 구체적으로 음경발기의 팽창도(tumescence) 등의 변형을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서 확장이나 팽창에 의한 벤딩으로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벤드센서는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 설치되어 신체 일부의 요동 및 변형에 따라 유도된 곡률 크기에 응답하며, 센서내에 유도된 곡률에 비례하는 가변 전기 저항으로부터의 결과인 출력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처리부(20)는, 측정부(10)에서 감지된 측정결과를 전송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처리수단으로서, 측정부(10)에서 측정된 측정결과를 외부로 전송이 용이하도록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러한 처리부(20)로는 AD 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측정부(10)에서 측정된 결과를 아날로그 전기량으로 접수해서 AD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전기량을 디지털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통신부(30)는, 처리부(20)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이나 통신수단으로서, 통신케이블이나 인터넷망(100) 등의 유선통신이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통신 등과 같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나 서버(200)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며, 사용자가 작용한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서 발생되는 신체 일부의 변형에 의한 압력변화 데이터를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을 개재해서 전달 받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 전송된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에도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마트폰에서는 저장된 빅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감시하거나 확인할 수 있고 건강개선에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언더웨어 변형측정장치를 구비한 언더웨어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인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의 일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언더웨어 변형측정장치를 발기부전 환자가 착용하는 언더웨어에 부착해서 작동시키면, 환자의 발기상태에 대한 측정결과가 자동으로 기록되어 중앙관제센터로 보내지고 중앙관제센터에는 측정결과를 전문가에게 전송해 임상보고서를 작성하고 이 보고서를 통해 환자와 적합한 의료진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언더웨어는,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없이 상호간에 알아서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게 되므로, 사물이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을 주고 받는 점에서 인터넷의 개념을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 측정부와 처리부와 통신부를 설치하여 인체의 변형을 측정하고 전송함으로써, 신체 일부의 변형을 언더웨어에서 용이하게 측정하는 동시에 측정결과를 외부에서 통신해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측정부로서 신체의 변형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벤드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신체 일부의 변형에 의한 벤딩을 측정하는 동시에 음경 발기의 팽창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벤드센서로서 복수개의 위치에서 압력을 감지하도록 복수개의 센서블럭을 구성함으로써, 신체에 대한 다양한 위치에서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처리부에서 측정부의 측정결과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외부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서 측정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부에서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버나 휴대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외부의 다양한 관리수단에서 측정결과를 전달받고 저장해서 사용자의 건강개선이나 건강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측정부
20: 처리부
30: 통신부
100: 인터넷
200: 서버

Claims (5)

  1. 신체의 음경 발기에 의한 벤딩을 측정하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로서,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에 설치되어 신체의 변형을 감지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감지된 측정결과를 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언더웨어의 전면부위의 복수개의 위치에서 직접 접촉해서 음경의 발기에 의한 벤딩 변형을 감지하도록 복수개의 센서블럭이 일자형상으로 배치된 접촉식 벤드센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버나 휴대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의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를 포함한 언더웨어.
  5. 삭제
KR1020160126951A 2015-09-30 2016-09-30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한 언더웨어 KR101916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12 2015-09-30
KR20150006412 201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745A KR20170038745A (ko) 2017-04-07
KR101916104B1 true KR101916104B1 (ko) 2018-11-07

Family

ID=5858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951A KR101916104B1 (ko) 2015-09-30 2016-09-30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한 언더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6064A1 (ko) * 2018-11-20 2020-05-28 조정기 발기능 측정 장치 및 발기능 검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8394B3 (de) * 2018-07-30 2020-01-23 Bluelife GmbH Mobiles Diagnosesystem zur Früherkennung von vaskulären Erkrankung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758B1 (ko) 1999-08-27 200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고정부재, 이를 갖는 램프 어셈블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FR2930714B1 (fr) 2008-05-05 2012-10-19 Pierre Lavoisier Dispositif et procede de mesures et de controle de la rigidite d'un penis
KR101592154B1 (ko) 2015-11-27 2016-02-04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음경 발기력 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6064A1 (ko) * 2018-11-20 2020-05-28 조정기 발기능 측정 장치 및 발기능 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745A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8212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ядра тела
US7689271B1 (en) Non-invasive heart rate and respiration measurements from extremities
CN105011939A (zh) 一种用于动态监测阴茎勃起状态的多参数采集与记录装置
JP2017515623A5 (ko)
CN203988015U (zh) 远程、实时的健康信息监测装置
US20190380641A1 (en) Smart brassiere preventing breast cancer and other breast diseases in advance
WO2016013760A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결합형 체온계 시스템
CN101999892A (zh) 老年人远程监控诊断装置
KR20190070051A (ko) 착용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1916104B1 (ko) 언더웨어의 변형측정장치 및 그를 포함한 언더웨어
KR20130024468A (ko) 센서의 탈부착이 가능한 생체신호 발신기
CN204033320U (zh) 智能体温检测装置及腕带式智能体温计
US20170071477A1 (en) System for detecting core body temperatur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80088247A (ko) 비접촉 압전센서를 이용한 이동체용 무선생체신호 감시장치
Chauhan et al. Sensor networks based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CN203290881U (zh) 穿戴式体温监测器及体温监测系统
JP2007521030A5 (ko)
KR20100063595A (ko) 전기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무구속 움직임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81099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응급 문자 전송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793816B1 (ko)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49317A (ko) 운동량에 따른 근피로도 측정방법
KR102186414B1 (ko) 개인의 상황을 파악한 개인 맞춤형 비정상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5144106A5 (ko)
CN204318735U (zh) 一种吊坠式生理指标测量仪
CN211783958U (zh) 一种可联网的测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