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839B1 -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839B1
KR101915839B1 KR1020160022547A KR20160022547A KR101915839B1 KR 101915839 B1 KR101915839 B1 KR 101915839B1 KR 1020160022547 A KR1020160022547 A KR 1020160022547A KR 20160022547 A KR20160022547 A KR 20160022547A KR 101915839 B1 KR101915839 B1 KR 101915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power supply
modu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241A (ko
Inventor
최수선
Original Assignee
최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선 filed Critical 최수선
Priority to KR1020160022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839B1/ko
Priority to PCT/KR2016/007507 priority patent/WO2017146316A1/ko
Publication of KR2017010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H01M2/1016
    • G01R31/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45Multimode batteries, e.g. containing auxiliary cells or electrodes switchable in parallel or series connection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1 배터리 모듈 및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결합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POWER SUPPLY DEVICE HAVING FUNCTION OF MAINTAINING POWER}
본 발명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배터리 교체 시 전원 유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전자기기는, 휴대폰, 캠코더, PDA, PMP,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시작하였으며, 터치스크린 기술 도입으로 액정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고용량 배터리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휴대성 유지를 위해서는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회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스페어 배터리를 제공하여, 필요에 따라, 스페어 배터리를 구비하며 바꿔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식에 따르는 경우, 배터리 교체 시간 동안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디바이스를 끄고 켜는 동안의 부팅시간이 필요하다는 등의 불편이 발생한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 배터리를 교체하는 동안 중요한 연락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재실행되어야 하므로 부팅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 이에 최근에는, 배터리 교체시에도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3-0032216호는, 휴대폰의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의 슬라이딩 유도 홈을 구성하고, 그 유도 홈을 따라 배터리가 슬라이딩되어 배터리 장착부에 착탈 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배터리가 유도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사용 말 전위에 이른 배터리의 전원공급단자는 새로운 배터리를 유도 홈에 끼워 슬라이딩 시켰을 때 그 새로운 배터리의 전원공급단자가 휴대폰의 전원공급단자에 접촉될 때까지 그 휴대폰의 전원 공급단자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미 장착된 배터리를 일부만 분리한 상태에서 다른 배터리를 끼워야 하므로 배터리 교체 방법이 용이하지 않고, 현재 많이 쓰이는 배터리 접촉 구조 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보조전원 공급 방법이 연구되기도 하였으나, 종래의 배터리 접촉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전원 유지 기능을 부여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개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 1 배터리 모듈, 제 1 배터리 모듈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결합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Sensing)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배터리 접촉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을 유지 및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는,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1 배터리 모듈 및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결합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결합부는 제 1 단자, 제 2 단자, 스위칭 단자 및 접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자는 금속으로 제작된 핀(pin) 단자이고,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이 상기 제 2 결합부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스위칭 단자가 접촉하여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제어 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단자와 상기 스위칭 단자가 접촉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제어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이 상기 제 2 결합부를 통해 연결됨을 상기 센싱 모듈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로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로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공급되는 전력의 비율은 1:1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용량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온(on) 상태를 10분 내지 20분간 유지시킬 수 있는 용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 3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크기의 홀(hole)을 갖고,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고리(hook) 형태의 물리적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 내 기 설정된 길이의 홈(furrow)을 갖고,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상기 기 설정된 길이의 막대 형태의 물리적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크기의 홀을 갖고,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상기 기 설정된 크기의 돌출부 형태의 물리적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은 사용자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저장 용량 및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공급받는 전력량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은 물리 버튼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은 터치 패드(touch pad)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이 상기 제 2 결합부를 통해 연결됨을 상기 센싱 모듈이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은, 기 설정된 제 1 시간 동안에 기 설정된 공급비율에 따라 상기 주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하고, 상기 제 1 시간 이후 기 설정된 제 2 시간 동안에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보조배터리로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하고, 상기 제 2 시간 이후에는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 1 배터리 모듈, 제 1 배터리 모듈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결합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2 결합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배터리 접촉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원 공급을 유지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에서 제 1 배터리 모듈과 제 2 배터리 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스위칭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에서 제 1 배터리 모듈과 제 2 배터리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스위칭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제 3 결합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제 3 결합부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제 3 결합부의 또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는 제 1 배터리 모듈(100) 및 제 2 배터리 모듈(120)로 구성되고, 제 1 배터리 모듈(100)은 제 1 결합부(102), 제 2 결합부(104), 제어 모듈(106), 보조 배터리(108) 및 센싱 모듈(110)을 포함하고, 제 2 배터리 모듈(120)은 주 배터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10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전력 공급 장치를 연결할 수 있고, 제어 모듈(106)은 전력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제 2 결합부(104)는 제 1 배터리 모듈(100)과 제 2 배터리 모듈(120)을 연결할 수 있고, 센싱 모듈(110)은 제 2 결합부(104)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108)는 제 1 배터리 모듈(100)과 제 2 배터리 모듈(120)이 분리될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배터리 교체시에도 일정 시간 전원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배터리 모듈(100)과 제 2 배터리 모듈(120)이 결합될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주 배터리(12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이 때 보조 배터리(108)도 주 배터리(12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나아가, 제 2 결합부(104)는 접지를 포함할 수 있고, 접지는 제 1 배터리 모듈(100)과 제 2 배터리 모듈(120)이 분리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쇼트(short) 또는 스파크(spark)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전력 공급 장치의 제 1 배터리 모듈(210) 내 제 1 결합부(212)를 통해서 제 1 배터리 모듈(210)과 연결될 수 있고, 제 1 배터리 모듈(210)은 제 2 결합부(214)를 통해 제 2 배터리 모듈(2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제 2 배터리 모듈(220) 내 주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전력 공급 장치의 제 1 배터리 모듈(310) 내 제 1 결합부(312)를 통해서 제 1 배터리 모듈(310)과 연결될 수 있고, 이 때 제 1 배터리 모듈(310)은 제 2 배터리 모듈과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300)는 제 1 배터리 모듈(310)에 포함된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에서 제 1 배터리 모듈과 제 2 배터리 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의 스위칭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에서 제 1 배터리 모듈과 제 2 배터리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스위칭 단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단자(430)는, 자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제 2 배터리 모듈이 제 1 배터리 모듈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 2 단자(450)와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2 배터리 모듈이 제 1 배터리 모듈과 결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에 의하여 제 1 단자(440)와 함께 가압되어 형태가 변형되고 제 2 단자(450)와는 접촉이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단자(4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자체 탄성을 가지므로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기 전에는 원래 형태를 유지하여 제 2 단자(450)와 접촉되어 있으나, 외부(제 2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 및 제 1 단자(440))에 의하여 가압되면 절곡의 정도가 심해지면서 형태가 변형되고, 따라서 고정 구비된 제 2 단자(450)와는 접촉이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440)는, 자체 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을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제 2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와 대응하는 지점에 돌출되어 구비되되, 제 2 배터리 모듈의 접속 단자에 의하여 가압되면, 제 1 배터리 모듈의 제 2 결합부 내부로 밀려들어가 스위칭 단자(430)와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스마트 폰 내 의 배터리 접속 단자와 유사한 형태이다.
제 2 단자(450)는, 스위칭 단자(430)와 대응하는 지점에 구비되고, 'ㄱ'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 2 단자(450)는 가압에 의하여 형태 변형이나 위치 변형되지 않는 것으로서, 탄성을 가질 필요가 없고, 스위칭 단자 (430)와 대응하는 지점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제 3 결합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제 1 배터리 모듈(600) 내에 제 3 결합부(60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결합부(606)는 제 1 배터리 모듈(60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크기의 홀(hole)을 가질 수 있고, 제 3 결합부(606)는 제 2 배터리 모듈(620)에 구비된 고리(hook) 형태의 물리적 연결 수단을 통해 제 1 배터리 모듈(600)과 제 2 배터리 모듈(6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제 3 결합부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제 1 배터리 모듈(700) 내에 제 3 결합부(70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결합부(706)는 제 1 배터리 모듈(700) 내에 기 설정된 길이의 홈(furrow)을 가질 수 있고, 제 3 결합부(706)는 제 2 배터리 모듈(720)에 구비된 기 설정된 길이의 막대 형태의 물리적 연결 수단을 통해 제 1 배터리 모듈(700)과 제 2 배터리 모듈(7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제 3 결합부의 또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제 1 배터리 모듈(800) 내에 제 3 결합부(80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3 결합부(806)는 제 1 배터리 모듈(80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크기의 홀을 가질 수 있고, 제 3 결합부(806)는 제 2 배터리 모듈(820)에 구비된 기 설정된 크기의 돌출부 형태의 물리적 연결 수단을 통해 제 1 배터리 모듈(800)과 제 2 배터리 모듈(82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제 1 배터리 모듈(900)은 사용자 입력 수단(905, 906, 907, 908)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수단(905, 906, 907, 908)을 통해 보조 배터리의 저장 용량 및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공급받는 전력량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905, 906, 907, 908)은 물리 버튼 형태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사용자 입력 수단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의 제 1 배터리 모듈(1000)은 사용자 입력 수단(1006)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수단(1006)을 통해 보조 배터리의 저장 용량 및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공급받는 전력량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1006)은 터치 패드(touch pad)형태 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 공급 장치는 제 1 배터리 모듈과 제 2 배터리 모듈이 제 2 결합부를 통해 연결됨을 센싱 모듈이 감지하는 경우, 제어 모듈이 기 설정된 제 1 시간 동안에 기 설정된 공급비율에 따라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하고, 제 1 시간 이후 기 설정된 제 2 시간 동안에 주 배터리로부터 보조배터리로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하고, 제 2 시간 이후에는 주 배터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등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제 1 배터리 모듈
102 : 제 1 결합부
104 : 제 2 결합부
106 : 제어 모듈
108 : 보조 배터리
110 : 센싱 모듈
120 : 제 2 배터리 모듈
122 : 주 배터리

Claims (8)

  1.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1 배터리 모듈; 및
    주 배터리를 포함하는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결합부;
    상기 전력 공급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 1단자, 제 2단자, 스위칭 단자 및 접지를 포함하는 제 2 결합부;
    상기 제 2 결합부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Sensing) 모듈; 및
    사용자 입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싱 모듈이 제 2결합부의 상태를 통해 제 1배터리 모듈과 제 2배터리 모듈이 연결됨을 감지하면,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기 설정된 공급 비율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공급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고,
    전력 공급의 방식을 전력 공급이 개시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하되, 기 설정된 제 1시간 동안에는 주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하고, 기 설정된 제 2시간 동안에 주 배터리로부터 보조배터리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게 하고, 기 설정된 제 2시간 이후에는 주 배터리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결합부의 제 1 단자는 금속으로 제작된 핀(pin) 단자이고,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이 상기 제 2 결합부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스위칭 단자가 접촉하여 상기 주 배터리와 상기 제어 모듈이 연결되며,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단자와 상기 스위칭 단자가 접촉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제어 모듈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저장 용량 및 상기 주 배터리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공급되는 전력량의 비율의 설정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은,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 3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크기의 홀(hole)을 갖고,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고리(hook) 형태의 물리적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 2 배터리 모듈을 연결하는,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160022547A 2016-02-25 2016-02-25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KR101915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547A KR101915839B1 (ko) 2016-02-25 2016-02-25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PCT/KR2016/007507 WO2017146316A1 (ko) 2016-02-25 2016-07-11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547A KR101915839B1 (ko) 2016-02-25 2016-02-25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41A KR20170100241A (ko) 2017-09-04
KR101915839B1 true KR101915839B1 (ko) 2018-11-06

Family

ID=5968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547A KR101915839B1 (ko) 2016-02-25 2016-02-25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5839B1 (ko)
WO (1) WO201714631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40B1 (ko) 2005-07-19 2006-11-23 이세찬 전원 공급 장치
KR101442587B1 (ko) * 2014-04-28 2014-09-22 최수선 배터리 교체 시 전원 유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320B1 (ko) * 2001-07-12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메인 배터리를 이용한 보조전원 공급 시스템
KR20110015947A (ko) * 2009-08-10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비상 충전 방법
KR20120140429A (ko) * 2011-06-21 2012-12-31 정철환 모바일 단말기 배터리 교체 시스템
KR102205841B1 (ko) * 2014-04-28 202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의 상태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240B1 (ko) 2005-07-19 2006-11-23 이세찬 전원 공급 장치
KR101442587B1 (ko) * 2014-04-28 2014-09-22 최수선 배터리 교체 시 전원 유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316A1 (ko) 2017-08-31
KR20170100241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4369B (zh) 一种具有双模式切换功能的终端设备
EP3121926B1 (en)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US8284067B2 (en) Delayed power-on func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US8862916B2 (en) Wireless control of power sockets based on host and signal quality
US9258024B2 (en) SIM card connector and mobile terminal
CN102014204B (zh) 一种移动终端关机状态下显示时间的方法
US201501607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N104882941A (zh) 一种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873978A (zh) 一种终端的屏幕更换方法和装置
US9214131B2 (en) Non-volatile display accessory controlled and powered by a mobile device
US201601705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2019198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System Performance Thereof
CN105138108A (zh) 终端
KR101915839B1 (ko) 전원 유지 기능을 갖는 전력 공급 장치
CN110989817B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开机管理方法
US10348126B2 (en) Battery switching method
JP2014215749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2587B1 (ko) 배터리 교체 시 전원 유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
CN106843440B (zh) 一种移动终端的重启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30042141A1 (en) Dat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main battery that is replaceable while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in operation and a method applicable thereto
CN105786366A (zh) 移动终端的快捷启用方法和装置
CN112214433B (zh) 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辅助设备及存储介质
KR101005004B1 (ko) 휴대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
CN105677321A (zh) 切换系统的方法和装置
US9337672B2 (en) Displaying apparatus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ing fram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