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723B1 -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723B1
KR101915723B1 KR1020160170495A KR20160170495A KR101915723B1 KR 101915723 B1 KR101915723 B1 KR 101915723B1 KR 1020160170495 A KR1020160170495 A KR 1020160170495A KR 20160170495 A KR20160170495 A KR 20160170495A KR 101915723 B1 KR101915723 B1 KR 10191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torage
lid
lamp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620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16017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7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 과일 및 반찬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상기 보관장치는 뚜껑,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보관장치의 냉각, 살균, 조명 및 배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뚜껑의 상부에 배치된 누름 가능한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는 저장영역이 칸막이에 의하여 2분할 되어, 제1저장 영역은 반찬을 담기 위한 공간, 제2저장영역은 야채 및 과일을 담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면하여 서랍과 같은 인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서 외곽을 둘러 일정한 간격으로 살균을 위한 적외선을 방출하는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는 색상이 변화하는 LED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부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된 모터조절부, 냉장조절부, 램프조절부 및 배수 경고부를 포함하는 보관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Food container for vegetable, fruit and side dishes}
본 발명은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멸균 및 냉장 기능을 수행하여 야채, 과일 및 반찬 등을 신선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일상에서 간편하게 꺼내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채, 과일 섭취를 권장하고 식생활 개선 및 신체 건강을 돕는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냉장고 시스템은 문을 열고 원하는 음식을 꺼내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섭취하는 모든 음식을 보관하고 있다. 식생활 문화가 변화하면서 육류의 섭취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야채 및 과일의 섭취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식 만을 꺼내는 경향이 있다. 냉장고 하부에 야채나 과일을 저장하는 저장소가 권장되기는 하나, 장기간 보관될 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이들이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반찬의 경우, 냉장고에 많은 반찬을 수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반찬 자체 보다는 반찬을 담기 위한 그릇이나 보관함의 용적이 크기 때문이다. 식사 시 반찬 그릇을 꺼내어 필요한 반찬을 옮기고, 다시 담아 냉장고에 이동하는 것 또한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출원인은'야채 보관 장치'(출원번호 10-2015-0003338호)에서 야채를 케이스의 내부에 담아두고 저온으로 유지하면서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상부 뚜껑을 들어 올리고 보관 중인 야채를 용이하게 꺼내 먹을 수 있는 야채 보관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출원은 야채나 과일의 냉장에는 적합하나, 반찬 저장고가 없어 사용 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 케이스를 덮는 뚜껑의 개폐가 기계식으로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문헌인 일본특허공보 제3874343호는 음식물 냉각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케이스 내부가 과일이나 야채로 충전되고, 반찬의 저장과 냉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활용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뚜껑은 간단한 들어 올리기 식으로, 용기의 냉각, 살균 등의 제어 기능과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주로 야채, 과일 및 반찬을 대상으로, 특히 반찬의 경우 반찬을 먹기 좋게 먹을 수 있는 양 만큼 보관 장치에 조금씩 넣어 두고 수시로 밥과 함께 식사하면서 필요한 양 만큼 보충하도록 하여 생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야채 및 과일과 별도로 분리된 반찬 저장 공간을 제공하여 반찬의 인출과 보관 및 냉각이 편리한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식의 버튼으로 뚜껑을 개방하여 음식물을 인출함으로써 조작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야채, 과일 및 반찬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는 뚜껑,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보관장치의 냉각, 살균, 조명 및 배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뚜껑의 상부에 배치된 누름 가능한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는 저장영역이 칸막이에 의하여 2분할 되어, 제1저장 영역은 반찬을 담기 위한 공간, 제2저장영역은 야채 및 과일을 담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면하여 서랍과 같은 인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서 외곽을 둘러 일정한 간격으로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는 색상이 변화하는 LED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부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된 모터조절부, 냉장조절부, 램프조절부 및 배수 경고부를 포함하는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버튼의 하부에서 보관장치의 저면까지 연장된 칼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칼럼은 분리선을 경계로 상부 및 하부 칼럼으로 2분할되며, 분리선 아래에서 하부칼럼의 소정 지점에는 제2접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접점은 모터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보관장치는 칼럼 내부를 따라 버튼의 하면 중앙부에서부터 아래로 연장된 승강로드를 더 포함하며, 승강로드의 소정 지점에서 상기 제2접점보다 높은 위치에 제1접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접점은 모터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승강로드가 하향하여 제1접점과 제2접점이 맞닿아 모터와 통전되도록 한,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메인제어부는 램프의 ON시간에 따라 매칭되는 LED 광원 신호를 램프 조절부로 전송하며, 램프 조절부는 해당 신호에 따라 LED 광원의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된,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버튼의 하면에 압전필름을 설치하여 버튼의 눌림에 따라 상기 압전필름의 전압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야채, 과일 및 반찬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상기 보관장치는 뚜껑,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보관장치의 냉각, 살균, 조명 및 배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저장부의 위를 덮는 형상으로 상기 저장부로부터 분리되어 상승 가능하고, 상기 뚜껑은 뚜껑의 상부에 배치된 누름 가능한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는 저장영역이 칸막이에 의하여 2분할 되어, 제1저장 영역은 반찬을 담기 위한 공간, 제2저장영역은 야채 및 과일을 담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면하여 서랍과 같은 인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서 외곽을 둘러 일정한 간격으로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는 색상이 변화하는 LED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부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된 모터조절부, 냉장조절부, 램프조절부 및 배수 경고부를 포함하며, 버튼의 하부에서 보관장치의 저면까지 연장된 칼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칼럼은 분리선을 경계로 상부 및 하부 칼럼으로 2분할되며, 분리선 아래에서 하부칼럼의 소정 지점에는 제2접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접점은 모터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보관장치는 칼럼 내부를 따라 버튼의 하면 중앙부에서부터 아래로 연장된 승강로드를 더 포함하며, 승강로드의 소정 지점에서 상기 제2접점보다 높은 위치에 제1접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접점은 모터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승강로드가 하향하여 제1접점과 제2접점이 맞닿아 모터와 통전되어 승강로드와 상부칼럼이 함께 상승하여 독립적으로 뚜껑이 개방되고 저장부는 제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노출됨으로써, 상기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저장부로 반찬, 야채 및 과일의 인출이 직접 가능하도록 한,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야채 및 과일과 별도로 분리된 반찬 저장 공간을 제공하므로, 반찬의 인출과 보관 및 냉각이 편리하며, 식사 시 반찬을 꺼내고 보충하는 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원터치식의 버튼으로 뚜껑을 개방하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램프를 통한 멸균 작용으로 음식물의 신선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램프의 가동 시간에 따라 LED 광원의 색상을 변경시켜 사용자가 멸균 정도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장치의 부분 단면도로서 제1저장영역 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부에 내장된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용의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뚜껑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뚜껑 개방 동작과 관련한 메인제어부의 작동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메인제어부의 메모리에 기입된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장치의 조작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보관장치의 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보관장치(1)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크게 뚜껑(10), 저장부(20) 및 시스템부(30)를 포함한다. 저장부(20)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음식물 취입, 반출을 돕는다. 시스템부(30)는 보관장치(1)의 냉각, 살균, 조명 및 배수 기능을 컨트롤 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 장치는 미니 냉장고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보관장치(1)는 도시된 예에서는 평면상에서 보아 원형의 케이스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 또는 라운드 처리된 타원형 등 전체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뚜껑(10)은 투명한 재질의 둥근 반원구의 돔 형상 케이스로서, 돔의 대략 중앙에 버튼(B)을 구비하고 있다. 뚜껑(10)은 버튼(B)을 누르면 개방되는 간편한 원터치식 구조로 되어 있다. 버튼(B)의 하부에는 길다란 경질의 칼럼(410)이 하향 연장되어 뚜껑(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칼럼(410)은 승강을 위하여 그 대략 중앙 하부의 분리선(414)을 경계로 2분할될 수 있다. 분리선(414)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칸막이(26)의 상면과 수평으로 일치하는 것이 미관상 좋다.
저장부(20)는 야채, 과일 및 반찬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보관장치(1)의 내부에서는 저장 영역이 칸막이(26)에 의하여 2분할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저장영역(22)은 반찬을 담기 위한 공간이고, 제2저장영역(24)은 야채 및 과일을 담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1저장영역(22)은 저장부(20)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공간을 점유하여 충분히 반찬을 보관하고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찬을 저장하는 영역은 냄새를 발산하기 쉬우므로 칸막이(26)를 높이 올려 제2저장영역(24)과의 연통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저장부(20)를 이층의 구조로 하고 한 층은 제1저장영역(22), 다른 층은 제2저장영역(24)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칸막이(26)는 층을 나누는 수평판으로 대체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저장 영역간의 냄새를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다.
다시 도 1에서, 저장부(20)의 내부에서 외곽을 둘러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냉각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구(100)를 통해서는 냉매로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어 제1및 제2저장영역(22,24) 안에 있는 음식물을 냉각시킨다.
저장부(20)의 내부에서 외곽을 둘러 일정한 간격으로 램프(102)가 설치되어 있다. 램프(102)는 바람직하게는 살균을 위한 램프이다. 램프(102)에는 도시하지 않은 LED 광원을 더 설치하여 살균 시간 경과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구(100)와 램프(102)는 저장부(20)의 내면을 둘러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버튼(B)의 하부 또는 저장부(20)의 바닥 등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다.
저장부(20)의 외부에는 제1저장영역(22)에 면하여 서랍과 같은 인출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부재(220) 상에는 누름 버튼(222)과 같은 개방 부재가 장착된다. 또는 누름 버튼(222) 대신 손잡이를 설치해도 좋다. 사용자는 누름 버튼(222)을 눌러 인출부재(220)를 밖으로 꺼내어 저장 영역(22) 안에 있는 반찬을 꺼내거나 필요한 반찬을 보충할 수 있다.
반찬의 경우, 식사에 즈음하여 수시로 반찬을 섭취하거나 보충하는 것이 편리하므로 뚜껑(10)외에 별도의 인출부재(220)를 두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인출부재(220)는 기능에 따라서는 제2저장영역(24)에도 설치할 수 있다.
(28)은 저장부(20)의 외부에 설치된 조작패널로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는 조작패널을 통하여 보관장치(1) 내부의 냉각 강약을 조절하고, 살균 작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장치(1)의 부분 단면도로서 제1저장영역(22) 만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1저장영역(22)은 칸막이(26)외 별도의 칸막이(26a,26b,26c)를 통하여 4개의 저장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각각의 저장 영역에 대응하여 서랍과 같은 인출부재(220a,220b,220c,220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반찬을 종류 별로 저장하고 필요한 반찬 만을 꺼내면 되며, 특히 수분이 많은 반찬을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다른 반찬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반찬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과 기능성을 더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부(3)에 내장된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용의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다.
메인제어부(300)에 모터조절부(302), 냉장조절부(304), 램프조절부(306) 및 배수 경고부(308)가 연결되어 있다.
메인제어부(300)는 CPU, 메모리 및 I/O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각 조절부 및 경고부를 제어한다.
모터조절부(302)는 뚜껑(10)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모터의 동작을 구동한다. 냉장조절부(304)는 냉장 기능의 온, 오프와 냉각구(100)를 통한 냉각 공기의 유출량을 조절한다. 램프조절부(306)는 살균 램프의 온, 오프 기능을 수행하고 램프의 가동 시간에 따라 LED 램프가 발휘하는 색상을 변화시킨다. 배수 경고부(308)는 보관장치 내부의 배수통(404; 도 4 참조)에 물이 충만한 경우 이를 센서로 감지하여 메인제어부(300)로 송신하고, 메인제어부(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조작패널(28)의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기능을 한다.
메인제어부(300), 모터조절부(302), 냉장조절부(304), 램프조절부(306) 및 배수 경고부(308)는 동일한 PCB 기판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시스템부(3)에 장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10)의 승강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뚜껑(1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칼럼(410)은 분리선(414)을 경계로 상부 및 하부 칼럼(410a,410b)으로 2분할되어 전체적으로 버튼(B)의 하부에서 보관장치(1)의 저면까지 연장된다. 상부칼럼(410a)의 외주는 하부칼럼(410b) 보다 크며 따라서 상부칼럼(410a)은 하부칼럼(410b)위로 일정 거리 포개질 수 있다. 분리선(414) 아래에서 하부칼럼(410b)의 소정 지점에는 제2접점(416b)이 설치되어 있다. 제2접점(416b)은 시스템부(30)에 내장된 모터(400)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모터(400)는 가정용 전원 또는 충전 건전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다. 모터(400)는 메인제어부(300)를 경유한 모터조절부(302)에 의하여 제어된다.
분리선(414) 바로 아래에서 하부칼럼(410b)의 내주면에는 스토퍼(414')로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칼럼(410) 내부를 따라서는 긴 원형의 승강로드(412)가 버튼(B)의 하면 중앙부에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승강로드(412)의 하단은 캡(406)에 수용되고 캡(406)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로서의 스프링(40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캡(406)의 상면에는 승강로드(412)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부(412')가 안착되어 있다.
분리선(414) 아래에서 승강로드(412)의 소정 지점에는 제1접점(416a)이 설치되어 있다. 제1접점(416a)은 제2접점(416b)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1접점(416a)과 제2접점(416b) 사이의 거리는 버튼(B)을 손으로 누를 때의 버튼(B)의 이동 거리와 같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접점(416a)은 시스템부(30)에 내장된 모터(400)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모터(400)의 피니언에 연결된 핀은 하부칼럼(410b)과 승강로드(412)를 구속하고 있으며, 모터(400)가 통전되면 핀이 퇴출하여 하부칼럼(410b)이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1접점(416a)과 제2접점(416b)은 이격되고 단락되어 모터(400)는 구동하지 않으며, 뚜껑(10)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404)는 배수함이며, (402)는 가습기, (414b)는 냉각기이다. 냉각기(414b)는 유로(414a)를 통하여 냉각구(100)로 냉각 가스를 공급한다. 이들 구조는 출원인의 선출원'야채 보관 장치'(출원번호 10-2015-0003338호)에 개시한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B)을 누르면, 도 4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칼럼(410a)이 분리선(414)을 지나 하부칼럼(410b) 위로 포개지면서 승강로드(412)와 같이 하향 이동한다. 승강로드(412)의 하단은 스프링(408)을 누르며, 스프링(408)에 의하여 위로 움직이는 탄성력을 받는다.
동시에, 승강로드(412)의 제1접점(416a)과 하부칼럼(410b)의 제2접점(416b)이 맞닿아 모터(400)와의 사이에 통전회로가 형성된다. 모터(400)의 핀이 퇴출하면서 승강로드(412)는 수직으로 위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이와 같이 스프링(408)과 모터(400)의 협업에 의하여 승강로드(412)는 상부칼럼(410a)과 함께 위로 상승하여 뚜껑(10)이 개방된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뚜껑(1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승강로드(412)의 상승으로 제1접점(416a)과 제2접점(416b)은 단락되며, 이 상태에서 승강로드(412)의 돌기부(412')와 하부칼럼(410b)의 스토퍼(414')가 맞닿으므로 뚜껑(10)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긴장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개방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뚜껑(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유롭게 야채, 과일 또는 반찬을 인출할 수 있다. 즉, 독립적으로 뚜껑이 개방되고 저장부는 제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노출됨으로써,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에서 저장부로 반찬, 야채 및 과일의 인출이 직접 가능하므로 대단히 편리하다.
반대로, 뚜껑(10)을 폐쇄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버튼(B) 또는 뚜껑(10)의 부위를 잡고 아래로 내려 도4a의 상태로 복귀하면 된다.
도 6은 뚜껑 개방 동작과 관련한 메인제어부(300)의 작동을 보인 흐름도이다.
뚜껑의 개방 여부는 제1접점(416a)과 제2접점(416b)의 접촉을 기준으로 판단한다(S110). 접점들이 맞닿아 통전을 이룬 경우, 모터조절부(302)로 신호를 보내어 모터를 구동하여(S120) 뚜껑(10)을 개방시키고, 램프 조절부(306)를 통해 램프(102)를 오프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램프(102)는 보관장치(1)의 전원을 ON 한 상태에서 기본적인 디폴트로 온 상태를 유지하며, 뚜껑(10)이 개방되면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전자의 경우, 메인제어부(300)의 메모리에는 예를 들어 도 7과 같은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테이블에는 램프(102)의 ON 시간과 이에 대응한 LED광원의 색상이 매칭되어 있다. 예를 들어, 램프(102)의 ON 시간이 0 ~ 10분이면 LED 광원은 적색이며, ON 시간이 10분 ~ 30분이면 LED 광원은 노란색이고, ON 시간이 30분 이상이면 LED 광원은 녹색이다.
메인제어부(300)는 램프(102)의 ON시간에 따라 매칭되는 LED 광원 신호를 램프 조절부(306)로 전송하며, 램프 조절부(306)는 해당 신호에 따라 LED 광원의 색상을 변화시킨다.
사용자는 LED광원의 색상 변경을 통해 살균 초기(적색), 중간(노란색) 및 완료(녹색) 단계를 감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보관장치(1)의 상품성, 신뢰도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장치(1)의 조작패널(28)의 사시도이다.
조작패널(28)에는 디스플레이창(700), 냉각조절버튼(702,704), 배수 경고등(706), 냉각ON/OFF버튼(708), 램프ON/OFF버튼(709) 및 전원버튼(710)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냉각조절버튼(702)은 냉각공기 송풍량을 늘리기 위한 것이고, 좌측의 냉각조절버튼(704)은 냉각공기 송풍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창(700)에는 현재 가동 중인 보관장치(1)의 상태 정보가 표시된다.
조작패널(28)의 조작은 메인제어부(300)로 전달되어 다른 로직보다 선순위로 실행되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 사용자가 냉각조절버튼(702,704)을 누르면 해당 신호를 토대로 메인제어부(300)는 냉장조절부(304)를 제어하여 냉각구(100)를 흐르는 냉각공기의 송출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도 9는 보관장치(1)의 뚜껑(10)을 개폐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a에서, 버튼(B)의 본체(806) 하면에는 압전필름(800)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버튼(B)을 누르면 압전필름(800)의 변형으로 전압이 발생하고 이를 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메인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메인제어부(300)에 의해 모터(400)가 구동되어 도 4를 참조로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뚜껑(10)이 개방된다.
도 9b에서는, 버튼(B)의 본체(806) 하면에 누름부(804)가 형성되고 누름부(804)의 하면은 스프링(804)에 의하여 지지되며, 스프링(804)의 일단은 압전필름(800)에 고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버튼(B)을 누르면 누름부(804) 및 스프링(804)이 눌려 압전필름(800)이 변형되고, 전압이 발생하여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 메인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메인제어부(300)에 의해 모터(400)가 구동되어 도 4를 참조로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뚜껑(10)이 개방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개시한 실시예를 임의로 변경 또는 추가할 수 있으며 이들 변형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까지 미친다는 점은 자명하다.
1 : 야채,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 10 : 뚜껑
20 : 저장부 30 : 시스템부
410 : 칼럼 22 : 제1저장영역
24 : 제2저장영역 100 : 냉각구
412 : 승강로드

Claims (4)

  1. 야채, 과일 및 반찬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상기 보관장치는
    뚜껑,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보관장치의 냉각, 살균, 조명 및 배수 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부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저장부의 위를 덮는 형상으로 상기 저장부로부터 분리되어 상승 가능하고,
    상기 뚜껑은 뚜껑의 상부에 배치된 누름 가능한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는 저장영역이 칸막이에 의하여 2분할 되어, 제1저장 영역은 반찬을 담기 위한 공간, 제2저장영역은 야채 및 과일을 담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저장영역에 면하여 서랍과 같은 인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서 외곽을 둘러 일정한 간격으로 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램프는 색상이 변화하는 LED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부는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에 연결된 모터조절부, 냉장조절부, 램프조절부 및 배수 경고부를 포함하며,
    버튼의 하부에서 보관장치의 저면까지 연장된 칼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칼럼은 분리선을 경계로 상부 및 하부 칼럼으로 2분할되며, 분리선 아래에서 하부칼럼의 소정 지점에는 제2접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접점은 모터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보관장치는 칼럼 내부를 따라 버튼의 하면 중앙부에서부터 아래로 연장된 승강로드를 더 포함하며, 승강로드의 소정 지점에서 상기 제2접점보다 높은 위치에 제1접점이 설치되며, 상기 제2접점은 모터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승강로드가 하향하여 제1접점과 제2접점이 맞닿아 모터와 통전되어
    승강로드와 상부칼럼이 함께 상승하여 독립적으로 뚜껑이 개방되고 저장부는 제 자리에서 이동하지 않고 노출됨으로써, 상기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저장부로 반찬, 야채 및 과일의 인출이 직접 가능하도록 한, 보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램프의 ON시간에 따라 매칭되는 LED 광원 신호를 램프 조절부로 전송하며, 램프 조절부는 해당 신호에 따라 LED 광원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보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버튼의 하면에 압전필름을 설치하여 버튼의 눌림에 따라 상기 압전필름의 전압이 변하도록 한, 보관장치.
KR1020160170495A 2016-12-14 2016-12-14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 KR10191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95A KR101915723B1 (ko) 2016-12-14 2016-12-14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95A KR101915723B1 (ko) 2016-12-14 2016-12-14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20A KR20180068620A (ko) 2018-06-22
KR101915723B1 true KR101915723B1 (ko) 2018-11-06

Family

ID=6276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95A KR101915723B1 (ko) 2016-12-14 2016-12-14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766A (zh) * 2020-08-20 2020-11-24 嘉兴霸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高温冷藏消毒柜
KR102497532B1 (ko) * 2020-09-10 2023-02-07 조관식 청과물 보관 박스
CN115479423B (zh) * 2021-05-31 2024-01-05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制冷装置的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59Y1 (ko) * 2004-01-07 2004-04-13 (주)성철사창원공장 붙박이형 냉장고의 배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459Y1 (ko) * 2004-01-07 2004-04-13 (주)성철사창원공장 붙박이형 냉장고의 배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20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1321B2 (en) Illuminated cooler with improved built-in illumination
KR101915723B1 (ko) 야채, 과일 및 반찬 보관장치
US9890993B1 (en) Cooler with secondary lid
US20190000272A1 (en) Cooking device
JP5128846B2 (ja) 冷蔵庫の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御方法
US8505329B2 (en) Refrigerated chest for rapidly quenching beverages, and visually identifying when such beverages reach target temperature
JP2007285642A (ja) 冷蔵庫
KR101778993B1 (ko) 디스펜서용 조작레버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4813126B (zh) 具有用于容器盖的指示器件的家用制冷器具
JP5082395B2 (ja) 冷蔵庫
WO2006126482A1 (ja) 冷蔵庫
US20060028820A1 (en) Illuminated storage container
KR20090084122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소형냉장고가 승강식으로 구비된 테이블
KR100778284B1 (ko) 열전소자 냉장고를 구비한 테이블
KR101700194B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3250006A (ja) 冷蔵庫
JP2007003173A (ja) 冷蔵庫
TWI622535B (zh) refrigerator
KR200478705Y1 (ko) 케이크 냉장고
KR101378753B1 (ko) 반찬 냉장고
KR20070053013A (ko) 냉장고
EP3219228B1 (en) Hanging device for displaying and storing foodstuffs
CN215864266U (zh) 一种灭菌保鲜盒
CN209135588U (zh) 一种多功能led化妆盒
CN1110278C (zh) 带有半导体冷热箱的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