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467B1 -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467B1
KR101915467B1 KR1020180013557A KR20180013557A KR101915467B1 KR 101915467 B1 KR101915467 B1 KR 101915467B1 KR 1020180013557 A KR1020180013557 A KR 1020180013557A KR 20180013557 A KR20180013557 A KR 20180013557A KR 101915467 B1 KR101915467 B1 KR 10191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gas
thermal plasma
hydrogen
cement
kil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727A (ko
Inventor
김희섭
이선동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성신양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양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신양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4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453Burning; Melting using plasmas or radi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364Avoid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cement-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7Cooling ; Waste heat management
    • C04B7/475Cooling ; Waste heat management using the waste heat, e.g. of the cooled clinker, in an other way than by simple heat exchange in the cement production line, e.g. for generating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2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meth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소성설비에서 시멘트 부원료를 제조하면서 동시에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회전형 가마로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 소성공정을 진행하는 과정 중에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수소원을 주입할 수 있도록 예열기 시스템, 회전형 가마, 또는 냉각기의 가스공급부에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하여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분해하고 분해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클링커합성을 위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용량의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가 가능하고 시멘트 부원료의 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CEMENT KILNS INCLUDING THERMAL PLASMA SYSTEM FOR NON-CO2 GAS TREATMENT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열 플라즈마 시스템이 구비된 시멘트 소성설비에서 시멘트 부원료를 제조하면서 동시에 효율적으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회전형 가마로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란,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으로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현대 온난화의 한 원인은 화석연료의 사용, 숲의 파괴등으로 인한 온실가스의 증가에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가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및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등의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로 알려져 있다. 지금 까지 온실가스 저감 기술개발은 총 배출량이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 위주로 이행되어 왔다. 그러나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물질들은 이산화탄소에 비해 총 발생량은 적지만 온실효과 기여율이 매우 높아 이를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중 불화가스인 HFCs, PFCs, SF6 가스는 반도체 공정에서 주로 배출되는 가스들로 온실효과 기여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불화가스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연소법(Combustion), 열분해법(Thermal distruction), 화학/촉매분해법(Chemical/catalytic distruction), 플라즈마 분해법(plasma distruction) 등 다양한 기술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절연용 SF6, 냉매용 HFC 처리공정은 높은 부하가 작용하여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문제가 있고, 처리장치의 대형화가 불가피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461758 호는 과불화합물 가스의 대용량 처리방법 및 장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과불화화합물 분해제거용 촉매와 이를 이용한폐가스중의 과불화화합물 분해제거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는 과불화화합물 외에 다른 물질 및 입자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촉매활성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2001-0049466호는 과불화탄소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과불화탄소 함유 가스를 플라즈마에 의해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한다. 그러나 이는 플라즈마에 의해 가열, 분해 처리하는 것으로, 플라즈마 분해법은 저온에서 효율적으로 과불화탄소를 분해할 수는 있으나 대량으로 처리하는 것이 곤란하며 전기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불화가스의 처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적인 고부가가치화 기술이 필요하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461758 호 (0002) 한국 공개특허 2001-0049466 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의 재활용을 통한 자원 재순환 사이클을 완성하기 위해 시멘트 제조공정에 이용되는 회전형 가마로를 이용하여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처리하면서 동시에 시멘트 부원료 제조가 가능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예열기 시스템, 회전형 가마 또는 냉각기는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에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하여 가스가 회전형 가마에 공급되기 전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미리 분해하고 원래 온실가스로 재결합이 어려우며, CaO와 반응하기 좋은 기상의 물질을 만들어 회전형 가마에 공급하여 전기에너지를 줄이는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공정진행 중 발생하는 고온으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분해할 수 있으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필요로 하는 시멘트 소성공정을 이용하기 위한 소성장치를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로, 상기 소성설비는 원료 공급기에서 공급받은 시멘트 원료를 예열하고, 상기 원료 내의 이산화탄소가 유리되는 탈탄산 반응을 증가시키는 하소로(precalciner)를 구비한 예열기 시스템; 상기 예열기 시스템을 거친 원료를 투입구(inlet)로 투입받아 클링커(clinker)로 소성하여 반출구(outlet)로 반출하되, 상기 소성을 위해 상기 투입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버너(burner)에서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화염을 생성하는 회전형 가마(kiln); 및 상기 가마로부터 투입받은 상기 클링커를 이동단계에 따라 복수개의 공기주입부로 냉각시키되, 상기 가마와 인접한 제1 공기주입부로 주입된 공기 전부는 상기 가마의 상기 반출구로 흡입되도록 공기흐름을 유도하는 공기흐름 구분판(partition plate)과 구분 벽(partition wall)을 구비한 냉각기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기 시스템, 회전형 가마 또는 냉각기는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열기 시스템과 상기 회전형 가마는 밀봉 연결되고, 상기 회전형 가마와 상기 냉각기도 밀봉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가 통과하는 경로에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는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및 삼불화질소(NF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수소원은 H2O, H2, 및 CH4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부는 상기 예열기 시스템에 구비되며, 상기 예열기 시스템의 상기 하소로는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포함하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부는 상기 회전형 가마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형 가마의 버너는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포함하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부는 상기 냉각기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기의 상기 제1 공기주입부는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포함하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은, 플라즈마 생성 및 유지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토치; 상기 플라즈마 토치에 질소를 공급하는, 기체 정량 공급장치를 구비한, 질소 기체 공급부; 플라즈마에 RF를 포함하는 교류 또는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장치; 냉각부; 및 상기 플라즈마 토치, 상기 질소 기체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장치 및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하소로(precalciner)를 구비한 예열기 시스템에서 원료 공급기로부터 공급받은 시멘트 원료를 예열하는 예열단계; 버너를 구비한 회전형 가마에서 상기 예열기 시스템을 거친 원료를 투입구(inlet)로 투입받아 버너의 연소열로 클링커(clinker)를 소성하여 반출구(outlet)로 반출하는 소성반출단계; 및 복수개의 냉각용 공기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마와 인접한 제1 공기주입부로 주입된 공기 전부는 상기 가마로 흡입되도록 공기흐름 구분판(partition plate)과 구분 벽(partition wall)을 구비한 냉각기에서 상기 가마로부터 투입받은 상기 클링커를 이동단계에 따라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하는 단계, 반출하는 단계 또는 냉각하는 단계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는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및 삼불화질소(NF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수소원은 H2O, H2, 및 CH4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단계는 상기 예열단계에 포함되며, 상기 예열기 시스템의 상기 하소로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수소원이 분사되는,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단계는 상기 소성반출단계에 포함되며, 상기 회전형 가마의 버너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및 수소원이 분사되는,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급단계는 상기 냉각단계에 포함되며, 상기 냉각기의 상기 제1 공기주입부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수소원이 분사되는,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멘트 소성공정은 공정진행 중 발생하는 고온으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주입할 수 있도록 예열기 시스템, 회전형 가마, 또는 냉각기의 가스공급부에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하여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분해하고 분해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클링커합성을 위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용량의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가 가능하고 시멘트 부원료의 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멘트 소성설비와 시멘트 원료, 연료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마에 구비된 버너와 연료,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기와 클링커,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 플라즈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시멘트 제조공정은 원료인 석회석을 캐내는 채광공정, 채광한 석회석 덩어리를 부수는 파쇄공정, 품질산포를 줄이기 위해 부서진 석회석을 섞는 혼합공정, 혼합된 석회석을 기타 부원료와 함께 분말상태로 더욱 잘게 부수는 원료분쇄과정, 원료를 중온으로 가열하여 90%까지 하소(calcination)가 일어나도록 하는 예열공정, 원료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각종 화학반응 및 물리적 반응 이 일어나도록 하여 클링커를 제조하는 소성공정, 고온의 클링커를 냉각하는 냉각공정, 클링커에 석고를 첨가하여 더욱 잘게 부수어 시멘트를 완성하는 분쇄공정 등의 여러 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시멘트 소성설비’는 상기 예열공정, 소성공정 및 냉각공정을 진행하는 예열기 시스템, 회전형 가마 및 냉각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채광공정에서 채집된 석회석과 투입되는 부원료에는 CaCO3, SiO2, Al2O3, Fe2O3, MgCO3, K2O, Na2O 등이 포함되며, 상기 주부원료에는 Pb, As, Cu, Mg, Zn, Hg, Ca, Cd, 및/또는 Cl 등이 미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공정은 각 예열 단계별로 300 내지 850℃까지 온도가 올라가며, 예열기 시스템에 포함된 하소로에서 연소를 위해 유연탄, LPG, 벙커C유, WDF, 폐유, 폐합성수지, 가연성폐기물 및/또는 하수슬러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소성공정은 1,450 내지 2,000℃까지 온도가 상승되며, 회전형 가마에 구비된 버너에서 연소를 위해 유연탄, LPG, 및/또는 벙커C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열분해된 시멘트 원료에 불소가 결합한 불화칼슘(CaF2)은 시멘트 제조시 부원료인 혼화제 및 광화제로도 사용된다. 불소(F)원은 시멘트 클링커 제조시 광물형성에 필수적인 액상 생성온도를 낮추는 광화제로 사용되며, 광화제는 시멘트 클링커의 제조단계에서 소성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시멘트 생산 공정 중 가장 많은 에너지 소비를 차지하는 클링커 소성공정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시멘트 소성설비는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의 처리 및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분해하고 분해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클링커합성을 위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 구현예에서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인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및 삼불화질소(NF₃) 뿐만 아니라 염화불화탄소(CFC), 불화질소 및 불소원을 포함한 가스이면 본 발명의 시멘트 소성설비의 불소원으로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과불화탄소(PFC)는 구체적으로 탄소와 불소가 결합된 화합물로 CF4, CHF3, CH2F2, C2F4, C2F6, C3F6, C3F8, C4F8, C4F10 등이 포함된다. 수소불화탄소(HFC)는 HFC-134-a, HFC-152-a, HFC-32, HFC-125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멘트 소성설비와 시멘트 원료, 연료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시멘트 소성설비’는 원료 공급기에서 공급받은 시멘트 원료(10)를 예열하고, 상기 원료 내의 이산화탄소가 유리되는 탈탄산 반응을 증가시키는 하소로(precalciner)(31)를 구비한 예열기 시스템(30); 상기 예열기 시스템(300)을 거친 원료를 투입구(inlet)로 투입받아 클링커(clinker)(100)로 소성하여 반출구(outlet)로 반출하되, 상기 소성을 위해 상기 투입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버너(burner)(50)에서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화염(52)을 생성하는 회전형 가마(kiln)(40); 및 상기 가마로부터 투입받은 상기 클링커를 이동단계에 따라 복수개의 공기주입부(21)로 냉각시키되, 상기 가마와 인접한 제1 공기주입부(25)로 주입된 공기 전부는 상기 가마의 상기 반출구로 흡입되도록 공기흐름을 유도하는 공기흐름 구분판(partition plate)(65)과 구분 벽(partition wall)(66)을 구비한 냉각기(6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inlet)는 가스 정량 공급장치(MFC control)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마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마 및 상기 예열기 시스템(30)을 거쳐 공기 배출구(20)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소로(31) 및 버너(50)에는 유연탄, LPG, 벙커C유 등 연료(12)가 연료분쇄기(14) 또는 연료 분배기를 통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예열기 시스템(30), 회전형 가마(40) 또는 냉각기(60)는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3, 4, 5)를 구비하며, 상기 예열기시스템(30)과 상기 회전형 가마(40)는 밀봉 연결되고, 상기 회전형 가마(40)와 상기 냉각기(60)도 밀봉 연결된다.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에서 분해된 불소는 소성장비 내부나 다른 물질을 부식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불소와 쉽게 결합하는 수소원의 공급이 필요하다.
상기 수소원은 H2O, H2, 및 CH4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의 원활한 분해와 분해된 불소(F)의 재결합을 막는다. 이들 물질은 수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F와 반응하여 비교적 쉽게 변환이 되는 HF를 만들게 되고, 생석회와 다음의 화학반응을 유도한다.
CaO + 2HF -> CaF2 + H2O + heat
따라서 수소원의 투입으로 형석이 쉽게 만들어 질 수 있고, 이때 발생된 열은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의 분해를 위한 흡열과정에 사용된 열을 일정 정도 보상하여 회전형 가마 내부의 열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예열기 시스템(30)에 구비된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공급부(3)는 상기 하소로(31)에 위치한다. 이 경우 하소로(31)의 열에너지가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분해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가 통과하는 경로에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을 상기 하소로(31)를 포함하는 예열기 시스템에 설치한다.
또한, 회전형 가마(40) 내부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분해하기에 충분한 열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해 상기 회전형 가마(40)에도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가 통과하는 경로에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보완으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확실히 분해하고 불산(HF)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마에 들어가는 전기에너지를 줄이고 연료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은 상기 냉각기(60)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기(60)로 공급되는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분해하기 위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플라즈마란 동수의 양(+), 음(-)의 전위를 갖는 소립자(전자, 이온등)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적으로 이온화한 가스를 말한다. 산업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즈마는 저온 플라즈마와 열 플라즈마로 나눌 수 있는데 저온 플라즈마의 경우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열 플라즈마는 금속의 절단 등에 응용하고 있다. 특히, 열플라즈마(Thermal plasma)는 주로 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시킨 전자, 이온, 중성입자로 구성된 기체로 구성입자가 1,000 내지 20,000 ℃와 100 내지 2,000 m/s 를 갖는 고속의 젯트 불꽃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고온, 고열용량, 고속, 다량의 활성입자를 갖는 열 플라즈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재래식 기술에서는 만들 수 없는 다양하고 효율적인 고온 열원이나 물리화학 reactor로 사용되어, 여러 산업분야에서 이용 되고 있다. 플라즈마 공정에 사용되는 열 플라즈마의 생성은 부분 직류 아크방전이나 고주파 유도결합(RF inductively coupled) 방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원리적으로는 모두 대상 기체에 강한 전장을 발생시켜 가속된 전자들의 연속된 충돌에 의해 충분한 전하 입자가 생성되어 전기전도성을 갖는 절연파괴에 이르도록 하여, 고전류가 흐르는 아크 방전으로 플라스마 상태를 유지시킨다. 직류아크 토치는 두 전극사이에 직접 전장을 걸어주는 반면에, 유도결합 플라스마 토치는 전극없이 고주파 코일에 의한 자기장 변화로 생긴 유도 전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다르다. 사용기체로는 아르곤, 헬륨과 같은 불활성기체나 질소, 수소, 공기가 보편적으로 많이 쓰인다. 다양한 기체의 열 플라즈마는 높은 온도와 열용량으로 인해 유기화합물을 열분해시켜 C, CnHm, CO, H2와 같은 화학적으로 안정된 화합물과 연소가스로 열분해 시킬 수 있고, 무기화합물은 용융시킨 후 아주 미세한 물질로 분해하여 고형체로 유리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이 유해폐기물이나 석탄인 경우에 열분해에 의한 연소가스 생산으로 정화와 재활용을 기할 수 있고, 유리화를 통해 비여과성 형태로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서 환경문제 해결 측면에서 열 플라즈마 이용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결합(RF inductively coupled) 방전을 이용하여 열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플라즈마 토치를 구비한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이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예열기 시스템(30), 회전형 가마(40) 및 냉각기(60) 중 한 곳 이상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은 플라즈마 생성 및 유지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토치; 상기 플라즈마 토치에 질소를 공급하는, 기체 정량 공급장치를 구비한, 질소 기체 공급부; 플라즈마에 RF를 포함하는 교류 또는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장치; 냉각부; 상기 플라즈마 토치, 상기 질소 기체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장치 및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의 주입구에 저출력으로 설치한다. 저출력으로 3,000 ℃ 내지 6,000 ℃의 초고온을 제공하며, 안정적인 불꽃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로 자동으로 재가동 및 출력 제어가 가능하며, 전기에너지만 사용하여 다른 보조연료가 불필요하고 소성에 필요한 연료 및 에너지를 절감하여 친환경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가마(40)에 구비된 버너(50)와 상기 버너(50)를 통한 연료,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회전형 가마(40)에 구비된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공급부(4)는 상기 가마에 구비된 버너(50)에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200) 및 수소원 분사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버너(50)에 공급되는 연료(12)는 내기 에어 (Swirl air)의 우회경로부(58)를 포함하며, 외기 Blower(27) 및 내기 Fan(26)을 통하여 외기 에어(Jet air)(54) 및 내기 에어(Swirl air)(56)가 공급되고 내·외기 에어의 우회 경로부(57)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는 전단에 위치하는 고온 분사기(51)로 화염(52)을 발생시키며 이 화염의 중심으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수소원이 분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분사가 화염의 중심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200) 및 수소원 분사부(300)의 분사구를 상기 고온 분사기(51) 앞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각기(60)와 클링커(100),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상기 냉각기(60)에 구비된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공급부(5)는 상기 냉각기의 상기 제1 공기주입부(25)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공기주입부에 위치하는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400) 및 수소원 분사부(500) 에서 분사된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는, 상기 가마(40)와 인접한 제1 공기주입부(25)로 주입된 공기 전부가 상기 가마(40)의 상기 반출구로 흡입되도록 공기흐름(22)을 유도하는 배기용 팬(미도시)으로 인해 상기 공기흐름(22)을 따라 상기 가마(40)로 전량 흡입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공기흐름(22)을 따라 상기 가마(40)로 전량 흡입되는 과정을 보조할 수 있도록 공기흐름 구분판(partition plate)(65)과 구분 벽(partition wall)(66)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구분판(65)은 상기 공기흐름을 유도하되 클링커(100)의 흐름(101)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냉각기(60) 내부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기(60)에 구비된 복수개의 공기주입부(21) 중 상기 제1 공기주입부(25)에서 멀리 위치한 공기주입부(21)로 주입된 공기는 상기 클링커(100)를 냉각한 뒤 공기배기관(23)으로 배기될 수 있고, 가운데 위치한 공기주입부(21)로 주입된 공기는 상기 클링커(100)를 냉각한 뒤 예열탑 추기배관(24)으로 배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하여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하소로(precalciner)(31)를 구비한 예열기 시스템(30)에서 원료 공급기로부터 공급받은 시멘트 원료(10)를 예열하는 예열단계; 버너(50)를 구비한 회전형 가마(40)에서 상기 예열기 시스템(30)을 거친 원료를 투입구(inlet)로 투입받아 버너(40)의 연소열로 클링커(clinker)(100)를 소성하여 반출구(outlet)로 반출하는 소성반출단계; 및 복수개의 냉각용 공기주입부(21)를 포함하고, 상기 가마(40)와 인접한 제1 공기주입부(25)로 주입된 공기 전부는 상기 가마(40)로 흡입되도록 공기흐름 구분판(partition plate)(65)을 구비한 냉각기(60)에서 상기 가마(40)로부터 투입받은 상기 클링커(100)를 이동단계에 따라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하는 단계, 반출하는 단계 또는 냉각하는 단계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을 통과한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는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및 삼불화질소(NF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수소원은 H2O, H2, 및 CH4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상기 수소원은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분해된 불소(F)가 수소와 재결합하여 불산(HF)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수소원 및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공급단계는 상기 예열단계에 포함되어 상기 예열기 시스템(30)의 상기 하소로(31)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수소원이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기 수소원 및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공급단계는 상기 소성반출단계에 포함되어 상기 회전형 가마(40)의 버너(50)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및 수소원이 분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수소원 및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공급단계는 상기 냉각단계에 포함되어 상기 냉각기(60)의 상기 제1 공기주입부(25)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600)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수소원이 분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1. 시멘트 소성설비 4,5. 가스 공급부
10. 시멘트 원료 12. 연료
14. 연료 분쇄기 20. 공기배출구
21. 공기주입부 22. 공기흐름
23. 공기 배기관 24. 예열탑 추기배관
25. 제1 공기주입부 26. 내기Fan
27. 외기 Blower 30. 예열기 시스템
31. 하소로 40. 회전형 가마(kiln)
50. 버너 51. 고온 분사기
52. 화염 54. 외기 에어(Jet air)
56. 내기 에어(Swirl air) 57. 내·외기 에어 우회 경로부 58. 내기 에어 우회경로부
60. 냉각기 65. 공기흐름 구분판(partition plate)
66. 구분 벽(partition wall) 100. 클링커
101. 클링커의 흐름
3, 200, 400.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300, 500. 수소원 분사부 600. 열 플라즈마 시스템

Claims (9)

  1.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로,
    상기 소성설비는,
    원료 공급기에서 공급받은 시멘트 원료를 예열하는 예열기 시스템;
    상기 예열기 시스템을 거친 원료를 투입구(inlet)로 투입받아 클링커(clinker)로 소성하여 반출구(outlet)로 반출하되, 상기 소성을 위해 상기 투입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버너(burner)에서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화염을 생성하는 회전형 가마(kiln); 및
    상기 가마로부터 투입받은 상기 클링커를 이동단계에 따라 복수개의 공기주입부로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기 시스템, 회전형 가마 또는 냉각기는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예열기 시스템과 상기 회전형 가마는 밀봉 연결되고, 상기 회전형 가마와 상기 냉각기도 밀봉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가 통과하는 경로에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는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및 삼불화질소(NF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예열기 시스템에 구비되며,
    상기 예열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소로는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소원은 H2O, H2, 및 CH4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회전형 가마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형 가마의 버너는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포함하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냉각기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기 상에서 상기 가마와 인접한 제1 공기주입부는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포함하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 플라즈마 시스템은,
    플라즈마 생성 및 유지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플라즈마 토치;
    상기 플라즈마 토치에 질소를 공급하는, 기체 정량 공급장치를 구비한, 질소 기체 공급부;
    플라즈마에 RF를 포함하는 교류 또는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장치;
    냉각부; 및
    상기 플라즈마 토치, 상기 질소 기체 공급부, 상기 전력 공급장치 및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6.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예열기 시스템에서 원료 공급기로부터 공급받은 시멘트 원료를 예열하는 예열단계;
    버너를 구비한 회전형 가마에서 상기 예열기 시스템을 거친 원료를 투입구(inlet)로 투입받아 버너의 연소열로 클링커(clinker)를 소성하여 반출구(outlet)로 반출하는 소성반출단계; 및
    복수개의 냉각용 공기주입부를 포함하고, 냉각기에서 상기 가마로부터 투입받은 상기 클링커를 이동단계에 따라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하는 단계, 반출하는 단계 또는 냉각하는 단계는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수소원 및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를 공급하는 공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는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 및 삼불화질소(NF₃)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공급단계는 상기 예열단계에 포함되며,
    상기 예열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소로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수소원이 분사되는,
    상기 수소원은 H2O, H2, 및 CH4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는 상기 소성반출단계에 포함되며,
    상기 회전형 가마의 버너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및 수소원이 분사되는,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단계는 상기 냉각단계에 포함되며,
    상기 냉각기 상에서 상기 가마와 인접한 제1 공기주입부에 구비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분사부 및 수소원 분사부를 통해,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통과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및 수소원이 분사되는,
    시멘트 소성설비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KR1020180013557A 2018-02-02 2018-02-02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KR10191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57A KR101915467B1 (ko) 2018-02-02 2018-02-02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57A KR101915467B1 (ko) 2018-02-02 2018-02-02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388A Division KR101869447B1 (ko) 2016-08-02 2016-08-02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727A KR20180016727A (ko) 2018-02-19
KR101915467B1 true KR101915467B1 (ko) 2018-11-06

Family

ID=6138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557A KR101915467B1 (ko) 2018-02-02 2018-02-02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4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191A (ja) * 2005-01-05 2006-07-20 Mitsubishi Materials Corp 汚染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セメント製造用のロータリーキル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191A (ja) * 2005-01-05 2006-07-20 Mitsubishi Materials Corp 汚染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セメント製造用のロータリーキル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727A (ko) 201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447B1 (ko)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JP5347183B2 (ja) ガス流からフッ素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962222B2 (en) Device for thermal destruction of organic compounds by an induction plasma
JP7217056B2 (ja) プラズマ相で対象ガス含有排出ガス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646906B1 (ko) Sf6 처리를 위한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sf6 처리방법
Kim et al. Abatement of fluorinated compounds using a 2.45 GHz microwave plasma torch with a reverse vortex plasma reactor
Chen et al. Abatement of fluorinated compounds in thermal plasma flow
KR101869448B1 (ko) 불화가스 처리를 위한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불화가스 처리방법
KR101915467B1 (ko) 열 플라즈마 시스템을 구비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비이산화탄소(non-CO2) 온실가스 처리방법
KR101915468B1 (ko) 불화가스 처리를 위한 시멘트 소성설비 및 그를 이용한 불화가스 처리방법
KR20160090658A (ko)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처리공정 시스템
TW202021657A (zh) 有害氣體分解用反應器
KR102040142B1 (ko) 시멘트 소성설비용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처리장치
KR102040155B1 (ko)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처리용 시멘트 소성설비
KR20160127925A (ko) 난분해성 유해가스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00116206A (ko)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 처리용 비이송식 플라즈마 토치
CN105776916A (zh) 一种低碳排放水泥生产装置
Machmud et al. Review on Applying Plasma and Catalysis for Abating the Emissions of Fluorinated Compounds
RU2437834C1 (ru) Способ разложения карбонатов
JP2010266081A (ja) 溶融物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Ohm et al. Effect of burner types and steam injection methods on thermal destruction of waste refrigerants (HFC-134a)
KR20130002125A (ko) 석회석 소성로를 이용한 폐냉매 처리방법
Mizuno Plasma destruction of fluorocarbons
Watanabe Water Plasmas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
JP2023547670A (ja) プラズマによるガス除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