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417B1 - 효과적인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시간 자원 패턴에 맵핑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시간 자원 패턴에 맵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417B1
KR101915417B1 KR1020177001628A KR20177001628A KR101915417B1 KR 101915417 B1 KR101915417 B1 KR 101915417B1 KR 1020177001628 A KR1020177001628 A KR 1020177001628A KR 20177001628 A KR20177001628 A KR 20177001628A KR 101915417 B1 KR101915417 B1 KR 10191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u
mapping
transmission
componen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889A (ko
Inventor
세르게이 판텔리브
세르게이 소신
알렉세이 코리야에브
뎁디프 차터지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2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른 UE 디바이스와 직접적인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용이하게 하며, 이때 단일의 스케줄링 지정은 패킷 데이터 유닛의 전송, 그의 대응하는 재전송, 및 이용 가능한 자원 풀로의 맵핑 방식을 표시한다. UE 디바이스는 D2D 통신과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동작한다. UE로부터 단일의 SA 전송은 후속 SA 전송을 디코딩하기 위한 맵핑 파라미터를 제공함으로써 D2D 통신 및 두 SA 전송 사이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PDU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효과적인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시간 자원 패턴에 맵핑{PACKET DATA UNIT MAPPING INTO TIME RESOURCE PATTERN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관련 출원의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8월 7일자로 출원된 "METHODS OF PDU MAPPING INTO TIME RESOURCE PATTERNS FOR TRANSMISSIONS FOR EFFICIENT D2D COMMUNICATION(효과적인 D2D 통신을 위한 PDU의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에 맵핑)"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2/034,698 호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분야
본 개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 시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을 시간 자원 패턴에 맵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3GPP는 디바이스간(D2D) 동작/기능성이 LTE 릴리즈 12 사양에서 지원되도록 표준화한다. 인접한 이동 디바이스 사이에서 D2D 통신과 같은 직접 통신을 이용하면 새로운 피어-투-피어 및 위치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면서, 스펙트럼 활용, 전체적인 처리량, 및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D2D 가능 LTE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하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접속되지 않을 때 기능을 할 수 있는 공중 안전 네트워크(public safety networks)의 대비책에 경쟁력 있는 잠재력을 갖는다. D2D를 도입하게 되면 기지국(base station, BS)에 기초한 또는 기지국에 중심적인 다년간의 셀룰러 아키텍처에 대한 많은 새로운 도전과 위험이 따른다. 해결해야 할 한 가지 문제는 셀룰러 통신 및 D2D 통신 양자에서 통신할 수 있는 이동 디바이스(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D2D 통신 시 자원 또는 다른 통신 자원을 공유하거나 통신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활용될 수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모드 및 D2D 통신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UE의 무선 통신 환경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이용될 수 있는 D2D 통신 모드에서 D2D 데이터와 통신하는 UE이다.
도 3은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이용될 수 있는 D2D 통신 모드에서 맵핑된 D2D 데이터와 통신하는 UE이다.
도 4는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이용될 수 있는 D2D 통신 모드에서 맵핑된 D2D 데이터와 통신하는 UE 이다.
도 5는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이용될 수 있는 D2D 통신 모드에서 맵핑된 D2D 데이터와 통신하는 다른 UE 이다.
도 6은 개시된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D2D 통신을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개시된 다양한 양태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플랫폼의 예시이다.
이제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도면 전체에서 같은 참조 부호는 같은 구성요소를 지칭하는데 사용되며 예시된 구조 및 디바이스는 반드시 축척하여 작성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컴포넌트",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의 용어는 컴퓨터 관련된 주체, 하드웨어, (예를 들어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말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예를 들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서 구동하는 프로세스, 컨트롤러, 회로 또는 회로 요소, 객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컴퓨터, 태블릿 PC 및/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가진 이동 전화일 수 있다. 예로써, 서버에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도 역시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스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국부화될 수 있고/있거나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 한 세트의 요소 또는 한 세트의 다른 컴포넌트가 본 출원에서 기술될 수 있는데, 여기서 "세트"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는 예를 들면, 다양한 데이터 구조가 이를테면 모듈로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는 이를테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된 시스템 내에서, 그리고/또는 신호를 매개로 다른 시스템과 통신하는 인터넷, 근거리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또는 유사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발생되어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서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컴포넌트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에 의해 동작되는 기계 부품에 의해 제공된 특정한 기능성을 갖춘 장치일 수 있고, 여기서 전기 또는 전자 회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펌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컴포넌트는 기계 부품 없이 전자 컴포넌트 또는 구성요소를 통해 특정한 기능성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컴포넌트는 전자 컴포넌트의 기능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여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개념을 구체적인 방식으로 제시하려는 의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인 "또는"이라기보다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려고 의도된다. 즉, 그렇지 않다고 명시하지 않거나, 문맥에서 분명히 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사용한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포함된 순열 중 어떤 것이라도 의미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즉, 만일 X가 A를 사용하거나, X가 B를 사용하거나, 또는 X 가 A와 B의 두 가지를 모두 다 사용한다면, "X는 A 또는 B를 사용한다"라는 것은 전술한 사례 중 어느 것이라도 만족한다. 또한, 본 출원과 첨부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관사 "하나"와 "하나의"는 그렇지 않다고 명시하지 않거나 문맥에서 분명히 단수 형태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구비하는", "구비하다", "갖는", "갖다", "가진", 또는 그의 변형 형태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중 어느 곳에서든 사용되는 범위까지, 그러한 용어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앞에서 기술된 결점을 고려하여,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 서브프레임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D2D 송신기(Tx)를 포함한다. 두 번째로, D2D Tx는 SA 서브프레임에서 방송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D2D 통신을 추가 지원하기 위해서 세부 사항은 해결되지 않고 정의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 특히, SA 서브프레임을 추가 정의하는 것과,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패킷 데이터 유닛(PDU)의 전송/재전송이 데이터 자원 풀 내에 맵핑될 수 있는 방법이 남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제어 정보는 예를 들면, 변조 및 코딩 방식, 데이터 전송에 사용될 자원, 또는 PDU를 디코딩하기 위한 맵핑 규칙과 같은 후속 데이터 전송에 관한 물리적 파라미터를 서술하는 데이터를 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가적인 양태 및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되는 다양한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환경(100)이 도시된다. 특히, 예시적인 무선 환경(100)은 한 세트의 무선 네트워크 매크로 셀(102, 104, 및 106)을 예시한다. 그러나 무선 환경(100) 내에 배치된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배치는 임의의 개수의 매크로 셀을 망라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커버리지 매크로 셀(102, 104, 및 106)은 육각형으로 예시되지만, 커버리지 셀은 배치 구성 또는 평면도, 담당할 지리적 영역,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해 일반적으로 결정되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각 매크로 셀(102, 104, 및 106)은 2π/3 구성으로 섹터화될 수 있으며, 이 구성에서 각 매크로 셀은 도 1에서 점선으로 구분되는 예로서 세 개의 섹터를 포함한다.
다른 섹터 구성이 가능하며, 개시된 주제의 양태 또는 특징은 섹터화 유형에 무관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매크로 셀(102, 104, 및 106)은 각기 매크로 셀 네트워크 디바이스, 기지국, 또는 eNodeB(108, 110, 및 112)를 통해 서빙된다. 무선 통신 컴포넌트(들)는 기능적으로 케이블(예를 들면, RF 및 마이크로파 동축 선), 포트, 스위치, 및 커넥터 등과 같은 링크를 통해 무선 신호(도시되지 않음)를 송신 및 수신하는 한 세트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에 연결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동 네트워크 플랫폼(들)(114)의 일부일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도시되지 않음), 및 한 세트의 매크로 셀을 서빙하는 한 세트의 기지국(예를 들면, eNodeB(108, 110, 및 112); 한 세트의 기지국 내의 기지국과 연관된 전자 회로 또는 컴포넌트; 기지국(108, 110, 및 112)을 통한 무선 기술에 따라서 동작되는 한 세트의 각 무선 링크(예를 들면, 링크(116, 118, 및 120))는 매크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네트워크 특징에 기초하여, 무선 제어기는 한 세트의 기지국(108, 110, 및 112) 또는 연관된 무선 장비 사이에서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알아야 한다. 일 양태에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기반의 네트워크의 경우, 무선 링크(116, 118, 및 120)는 Uu 인터페이스(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ir Interface,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다른 시장에 필요한 다양한 무선 기술에 따라서, 이동 네트워크 플랫폼(들)(114)은, 예를 들면, 회선 교환 기반(예를 들면, 음성 및 데이터) 및 패킷 교환(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 프레임 릴레이, 또는 비동기 전송 모드) 트래픽 및 시그널링 발생뿐 아니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126)(예를 들면, 이동 또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130)를 통해 네트워크형 원격 통신을 위한 전송 및 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원격 통신은 통신에 활용되는 무선 기술에 의해 정해진 통신에 맞게 표준화된 프로토콜에 적어도 일부분 기초한다. 또한, 원격 통신은 서비스 공급자 네트워크(122)에 의해 허가받은 임의의 전자기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개인 통신 서비스, 최신 무선 서비스, 및 일반적인 무선 통신 서비스 등), 및 현재 원격 통신에 이용 가능한 임의의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 또는 캐리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네트워크 플랫폼(들)(114)은,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관리 컴포넌트(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들), 셀룰러 게이트웨이 노드(들) 등)의 형태로, 이질적인 매크로 셀(102, 104, 및 106) 내의 기지국(108, 110, 및 112) 및 그의 연관된 무선 컴포넌트(들)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네트워크 플랫폼(들)은 이질적인 네트워크(예를 들면, Wi-Fi 네트워크(들), 펨토 셀 네트워크(들), 광대역 네트워크(들), 서비스 네트워크(들), 기업 네트워크(들) 및 기타 등등)을 통합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기술(예를 들면,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세계 이동 통신 시스템 등)에서, 이동 네트워크 플랫폼(114)은 서비스 공급자 네트워크(12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무선 백홀 링크(들)(124)는 T1/E1 전화 회선, T3/DS3 회선, 동기 또는 비동기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광 섬유 백본; 동축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링크 컴포넌트; 및 지상 무선-인터페이스 또는 딥 공간 링크(deep space link) (예를 들면, 항행용 위성 통신 링크)를 포함할 수 있는 시선(line-of-sight) 또는 비시선(non-line-of-sight) 링크와 같은 무선 링크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기반의 네트워크의 경우, 무선 백홀 링크(들)(124)는 luB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예시적인 무선 환경(100)이 매크로 셀 및 매크로 기지국에 대해 예시되지만, 개시된 주제의 양태, 특징 및 장점은 소형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또는 펨토 셀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선 환경(100)은 UE 디바이스(126)가 다른 UE(130)와 통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양태를 예시한다. UE(126)는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모드와 D2D 통신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D2D 통신 모드에서, UE(126)는 무선 통신 링크(128)를 통해 UE(130)와 직접 통신한다.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모드에서, 매크로 셀(102, 104, 또는 106)과 연관된 셀룰러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링크(136) 및 기지국(110)을 통해) UE(130)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또한, UE(126)는 디바이스간(D2D) 통신 컴포넌트(132) 및 PDU 맵핑 컴포넌트(134)를 포함한다. UE(126)는 D2D 통신 모드에 있는 동안 기지국(110)의 중재 없이, 이러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UE(126)에서 UE(130)로 직접 통신을 발생하고 제어할 수 있다. UE(126)에 의한 D2D 통신 모드의 장점은, 예를 들면, 링크(118 및 136)보다 링크(128)를 통한 더 짧은 통신 범위로 인해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모드 단독보다 높은 데이터 레이트가 경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UE(126, 130) 또는 하나 이상의 매크로 매크로 셀(102, 104, 또는 106) 내에서 동작하는 다른 이동 디바이스는 정체된 하나 이상의 셀 네트워크(예를 들면, 매크로 셀(102, 104, 또는 106))로부터의 트래픽을 오프로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2D 구성된 UE(예를 들면, UE(126))가 매크로 셀(102, 104, 또는 106) 내에서 더 많이 동작할 때, 이와 같은 네트워크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한 스펙트럼을 더 많이 가질 수 있으며 잠재적인 간섭을 더 제한할 수 있다.
UE(126)의 D2D 통신 컴포넌트(132)는 다른 UE 디바이스(130)와의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기, 송신기, 또는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2D 통신 컴포넌트(132)는 D2D 통신 모드와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D2D 통신 컴포넌트(132)는 D2D 통신 링크(136)를 통해 D2D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D2D 데이터는, 예를 들면, 단일의 전송(single transmission) 내의 후속 전송(subsequent transmission)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인 파라미터는 D2D 데이터 전송 내에서 제어 정보로서 제공된 파라미터를 이용함으로써 UE(130)가 수신되는 후속의 D2D 통신을 인식할 수 있게 하거나 인식하게 할 수 있다. D2D 통신 컴포넌트는 마찬가지로 D2D 데이터를 UE(126)로부터 UE(1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UE(130)는 또한 UE(126)로부터의 물리적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후속 전송을 디코딩할 수도 있다.
D2D 데이터는 단일의 전송 내 SA의 패킷 또는 데이터 컨테이너에 수용된 데이터일 수 있다. 앞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SA는 예를 들면, 변조 및 코딩 방식,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D2D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규칙 또는 UE(126) 또는 UE(130)에서 D2D 데이터를 처리 또는 디코딩하기 위한 다른 관련 정보를 감안하는 후속 전송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서술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파라미터는 UE(126)로부터 후속 전송에서 전송될 PDU의 수량 또는 PDU의 개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또한 각 PDU마다 PDU 재전송의 개수, PDU의 전송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 각 PDU에 대응하는 재전송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모든 후속 전송에 대해 동일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전송은 상이한 SA에 의해 구분될 수 있고, 또는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SA 사이의 각 후속 전송의 변동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
특정 전송 또는 SA 전송은, 예를 들면, 제어 정보를 가진 SA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각 SA 스케줄링 사이클 또는 전송 사이의 시간 전송 간격(time transmission interval, TTI)인 복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면, 24, 36,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TTI는 이용 가능한 논리 자원 풀(available logical resource pool)의 서브프레임으로서, 또는 SA 전송 사이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서 지정될 수 있으며, 미리 정의되거나 설정된 기간에서, 또는 단일의 전송에서 통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SA 영역은 잠재적 SA 전송을 위한 논리 자원 풀이라 말할 수 있으며, 이것은 현재의 D2D 노드(예를 들면, UE, 또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D2D 전송 내 자원)의 모든 전송 기회를 위한 시간 또는 간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SA 스케줄링 사이클은 예를 들면, 상이한 시간 인스턴스에서 두 개의 SA 전송, SA 사이클, 또는 두 개의 특정 SA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이용 가능한 D2D 데이터 서브프레임이라 말할 수 있다.
PDU 맵핑 컴포넌트(134)는 PDU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D2D 데이터의 PDU를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time 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T-RPT)에 맵핑하도록 구성된다. PDU 맵핑 방식은 한 세트의 맵핑 규칙에 따라서 PDU를 T-RPT에 맵핑하는 연속적 맵핑 방식(consecutive mapping scheme), 인터리빙된 맵핑 방식(interleaved mapping scheme), 의사-랜덤 맵핑 방식(pseudo-random mapping scheme), 또는 다른 생성된 패턴 또는 맵핑 방식(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PDU는 UE(126)와 UE(130) 사이에서 직접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초기 PDU 및 초기 PDU의 하나 이상의 재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PDU 또는 재전송은 또한 SA 사이클 또는 전송 내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또는 TTI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전송은 또한 초기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을 포함하는 단일 PDU 세트 또는 초기 PDU 및 각 초기 PDU와 연관된 재전송을 포함하는 다중 PDU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DU, 대응하는 PDU 재전송 또는 둘 다는 예를 들면, 특정 SA 스케줄링 사이클 또는 전송 동안 서브프레임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은)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PDU 맵핑은 UE(126)에 의해 선택되는 것으로서, D2D 통신 컴포넌트가 처음에 초기 PDU를 전송한 후 연이어 하나 이상의 PDU의 재전송을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연속적 맵핑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속 재전송은 각 SA 스케줄링 사이클/재전송 내에서 이용 가능한 또는 두 개의 SA 전송 사이에서 이용 가능한 TTI 전체에 산재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PDU 및 각 PDU 재전송은 연속하여 맵핑되며 각 TTI의 여러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PDU 맵핑 방식은 인터리빙된 PDU 맵핑 또는 다른 비연속적 맵핑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D2D 통신 컴포넌트는 예를 들면, PDU를 전송 한 후 SA 전송 사이의 서브프레임에다 PDU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인터리빙하도록 구성된다. 재전송은 또한 각 PDU의 일부가 서브프레임 또는 TTI에 의해 포함될 수 있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초기 PDU로 인터리빙될 수 있다. 각 PDU의 이러한 부분은 SA 스케줄링 사이클 또는 전송 전체에서 인터리빙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상이한 순서, 시퀀스로 인터리빙되거나 또는 상이한 서브프레임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인터리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기 PDU의 제 1 부분에는 그 PDU의 재전송의 제 1 부분이 뒤따를 수 있고, 공백 또는 PDU 없는 서브프레임이 뒤따르며, 세 번째 재전송의 제 1 부분이 그 다음에 오고, 그 다음으로 PDU/재전송의 제 2 부분이 뒤따른다.
다른 인터리빙된 패턴이 또한 예상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으며, 상세한 세부 내용 및 논의는 아래에서 후속 도면과 함께 강조 표시된다. 일 양태에서, PDU 맵핑 컴포넌트(134)는 맵핑 규칙의 예에 따라서 초기 PDU 전송 및 재전송을 등거리로 T-RPT에 맵핑한다. 대안으로, 오직 재전송 또는 오직 초기 PDU만이 등거리로 맵핑될 수도 있다. 파라미터 중 하나의 파라미터, 예를 들면, 나중에 전송될 복수의 PDU(초기 PDU 또는 대응하는 재전송)와 같은 파라미터는 SA 사이클(208) 내 PDU 위치를 반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하나 이상의 다른 파라미터 또는 기준은 또한 PDU의 위치, 타이밍, 데이터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으로, PDU 맵핑 방식 또는 프로세스는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이 의사-랜덤 프로세스에서 각 SA 스케줄링 사이클/전송 내에 맵핑되는 의사-랜덤 PDU 맵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2D 통신 컴포넌트(132)는 PDU와 연관된 서브프레임 및 각 재전송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의 무작위 시퀀싱에 기초하여 PDU 및 PDU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PDU 맵핑 컴포넌트(134)는, 예를 들면, 의사랜덤 함수에 기초하여, 순열된 인덱스(permuted index)의 다양한 랜덤 시퀀스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랜덤 함수는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D2D 송신기/그룹 정체, SA 논리 자원 풀 내 SA 메시지 전송의 위치, SA 사이클 또는 주기, PDU의 개수, 재전송의 개수, 초기 PDU의 시간 인스턴스, 재전송의 시간 인스턴스, 또는 다른 D2D 통신 관련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PDU 맵핑 컴포넌트(134)는 한 세트의 미리 정해진 기준에 기초하여 복수의 PDU 맵핑 방식 중에서 PDU 맵핑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기준은, 예를 들면, 설정된 맵핑 방식이 표시될지의 여부, 또는 변경 가능한 맵핑 방식일 수 있으며, 이때 설정된 맵핑 방식은 맵핑 방식 또는 상이한 맵핑 방식 중에서 발생되거나 선택될 수도 있다. 맵핑 방식 규칙은 각 UE(126 또는 130)에서 미리 결정될 수 있거나, 제어 정보 또는 SA 전송의 다른 자원 내에서 마련될 수 있다. 맵핑 방식은 SA 전송마다 변경되거나 일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상이한 UE와의 상이한 통신 링크(128)마다 변경되거나 같을 수 있다. 다른 미리 정해진 기준은, 예를 들면, UE(126)가 특정 UE(130)와 특정 D2D 링크를 설정할 수 있는 (예를 들면, 암호화, 보안 등에서) 복잡도 레벨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스케줄링 결정, 트래픽 부하 또는 타입, 지연 요건, QoE 또는 QoS 별 희망 전력 소비 레벨, 또는 다른 기준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시되는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UE의 D2D 통신 중에 D2D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논리 자원 풀을 이용하는 시스템 또는 통신 환경(200)의 예가 도시된다. UE(126)는 D2D 통신 모드에서 직접 UE(1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UE(126)는 셀룰러 통신 모드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UE(130)와 통신할 수 있지만, UE(126)는 또한 셀룰러 네트워크의 중재 또는 제어 없이 링크(128)를 통해 UE(130)와 직접 통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UE(126)는 앞에서 도 1에서 논의된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추가로 D2D 데이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스케줄링 컴포넌트(202) 및 디코딩(도출) 컴포넌트(204)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스케줄링 컴포넌트(202)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SA 사이클에 걸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 전송을 스케줄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은 다른 전송 프레임 또는 패킷의 스케줄링 지정의 주기적인 전송 사이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일 수 있다. SA는 이를 테면 변조 및 코딩 프로세스, 전송용 자원, 미리 정의된 맵핑 규칙, UE(126) 또는 다른 UE 디바이스로부터 디코딩 또는 직접 통신의 검출을 위해 선택된 맵핑 방식 또는 다른 파라미터를 위해 전송되는 후속 데이터를 서술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가진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각 SA 사이클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PDU를 맵핑 또는 디코딩하기 위한 미리 정의된 규칙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미리 명시될 수 있다. 그러나, 스케줄링 컴포넌트(202)는 대안으로 PDU 맵핑 방식의 선택에 따른 PDU 맵핑 규칙을 가지고 복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지정(SA) 전송을 스케줄할 수 있다. 맵핑 방식은 복잡도 레벨, 암호화 레벨, UE(126)에 의해 이용되는 자원의 액세스/로딩에 따라서 스케줄링 컴포넌트(202) 또는 다른 컴포넌트에 의해 선택될 수 있거나, 접속되는 또는 D2D 통신 모드에서 처음으로 D2D 데이터를 수신하는 UE(130)에 의해 검출되는 것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연속적 맵핑 방식 또는 프로세스는 스케줄링 컴포넌트(202)에 의해 스케줄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의 비-연속적 맵핑 방식은 대안으로 D2D 통신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사-랜덤 맵핑 방식이 또한 선택될 수도 있다. 스케줄링 컴포넌트(202)는 또한 PDU를 SA 사이클 사이의 논리 자원 풀에 맵핑하기 위한 상이한 맵핑 방식을 스케줄하여 상이한 맵핑 방식의 시퀀스가 UE(126)의 정체 또는 그와 연관된 다른 UE 정체에 기초하여 상이한 SA 전송 사이에서 발생되도록 한다.
도출 컴포넌트(204)는 T-RPT에 기초하여 후속 SA 전송 사이에서 D2D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용 가능한 SA 서브프레임을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출 컴포넌트(204)는 메모리 내에 미리 정의되거나 스케줄링 컴포넌트(202)로부터 선택된 SA 사이클, 프레임 또는 전송으로부터 맵핑 규칙 또는 맵핑 방식의 표시를 추출할 수 있다. 도출 컴포넌트(204)는 또한 그러한 맵핑 규칙을 이용하여, 현재의 D2D 노드 또는 UE 디바이스(126)로부터 전송에 이용 가능한 논리 서브프레임 풀로부터 각 PDU의 재전송을 위한 자원 인덱스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도출 컴포넌트(204)는 또한 T-RPT의 함수로서 제 1 SA 사이클/전송과 제 2 SA 사이클/전송 사이에서 초기에 전송된 PDU 및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포함하여 수신되는 시간 전송 간격을 따른 서브프레임을 디코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UE(126)는 제 1 SA 전송(210)과 제 2/후속 SA 전송(212)과 같은 SA 발생/전송 사이에서 SA 스케줄링 사이클(208) 전체에서 정의된 T-RPT로서 D2D 데이터(206)를 전달하도록 동작한다. SA 전송 사이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은 주기적인 SA 전송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인 시간 슬롯 또는 시간 전송 간격(time transmission interval, TTI)으로서 논리 D2D 자원 풀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SA 스케줄링 사이클(208)을 정의한다. (송신기,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로서) D2D 통신 컴포넌트(132)는 T-RPT를 이용하여 특정 D2D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프레임을 인식할 수 있다.
SA(210및 212) 사이에서 각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은 시간 전송 간격을 제공하며, 강조 표시된 서브프레임(214)은 현재 D2D 노드로서 UE(126)에게 TTI 내 전송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각 PDU는 후속 SA 사이클(도시되지 않음) 동안 SA의 제어 정보에서 전송될 수 있는, SA 사이클 내의 특정 서브프레임에서의 특정 시간 인스턴스에서 전송을 위해 명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강조 표시되거나 굵게 표시된 서브프레임(214)은 PDU의 일부의 전송 또는 그의 대응하는 재전송의 기회를 포함한다. 각 PDU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 전달될 수 있지만, SA 사이클의 PDU는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 내에서 또는 SA 스케줄링 사이클(208)의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반송되거나 캡슐화될 수 있다. PDU 부분은, 예를 들면, 각 PDU 또는 PDU 재전송 당 세 개의 서브프레임, 또는 더 적거나 많은 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의 SA 스케줄링 사이클(208) 내 모든 서브프레임보다 적은)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에는 아무런 PDU 또는 아무런 PDU 부분도 포함되지 않을 수 있지만, 다른 서브프레임은 PDU, PDU의 일부, 또는 PDU 재전송의 일부를 포함하는 논리 자원 풀 전체에서 분산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 제어 정보의 단일 SA 전송(210)은 논리 자원 풀에 따른 이용 가능한 데이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을 여러 서브프레임(214)에 걸쳐 시간 전송 간격 - TTI로서 스케줄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면, 많은 데이터 전송 인스턴스가 연속적인 SA 전송(210및 212) 사이에서 이용 가능할 때, 시그널링은 UE(130)의 수신기에게 후속 D2D 데이터 전송(212)의 파라미터에 관해 알려준다. 특히, 수신기는 스케줄된 PDU의 수량 및 각 PDU에 사용되는 재전송의 수량에 관해 알고 있을 것이다. 또한, UE(126, 130)의 D2D 수신기(D2D 통신 컴포넌트(132))는 수신기 측에서 적절한 신호 처리(예를 들면, LLR 결합)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각 PDU 및 그의 재전송을 위한 송신기 또는 D2D 통신 컴포넌트(132)에 의해 사용된 특정 시간 인스턴스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일 예에서, 만일 SA가 40ms/80ms/160ms/320ms 당 한번 전송된다면, MAC PDU 전송 및 재전송 위치를 시그널링하는 것은 상당한 시스템 오버헤드 및 SA 물리적 구조의 비효율적인 구성을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맵핑 규칙이 PDU의 초기 전송 및 PDU의 재전송을 위한 시간 인스턴스를 도출하기 위해 UE(126)에 의해 D2D 송신기 및 D2D 수신기에 의한 D2D 통신 모드에서 이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UE에 의해 D2D 통신 모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연속적 맵핑 방식의 예가 도시된다. 도 3의 연속적 맵핑 방식(300)에 따르면, 해당 PDU의 재전송은 서브프레임의 논리 자원 풀을 따라 연속하여 전송된다.
UE(126)와 UE(130) 사이에서 D2D 통신 링크(128)를 통해 전달되는 D2D 데이터의 SA 영역(302)은 예를 들면, SA 영역 내에서 여러 SA 전송(210 및 212) 및 전송 기회의 횡단면을 예시한다. 강조 표시되든 아니면 굵게 표시되든 SA 영역(302) 중에서 예시된 각 직사각형 부분(예를 들면, 서브프레임(214))은 제 1 SA 전송(210)과 제 2 SA 전송(212) 사이의 자원 풀 중에서 전송을 위한 TTI 또는 이용 가능한 자원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초기 PDU(304) 및 후속 재전송(306 및 308)은 SA 사이클(208) 내에서 세 개의 다른 TTI 또는 서브프레임이 이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대응하는 재전송(312, 314)을 가진 제 2 초기 PDU(310) 및 대응하는 재전송(318, 320)을 가진 제 3 초기 PDU(316)는 두 개의 SA 전송(210 및 212) 사이의 SA 사이클(208) 내에서 맵핑된다. PDU 재전송의 개수는 각 초기 PDU(304, 310, 또는 316)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일정한 재전송의 개수일 수 있거나, 각 초기 PDU(304, 310, 316)에 따라 개수가 변할 수 있다. 또한, SA 사이클은 상이한 개수의 초기 PDU 및 그의 대응하는 재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된 바와 같이, SA 사이클(208)은 PDU 및 재전송의 세 개의 상이한 패킷 또는 그룹에 대비하는 세 개의 각 초기 PDU(304, 310, 316) 및 대응하는 전송(306, 308, 312, 314, 318, 320)을 포함한다. 본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더 많거나 더 적은 PDU 및 재전송(들)의 패킷이 맵핑되고 D2D 통신 모드에서 링크(128)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제 1, 제 2 및 제 3 패킷 중에서 또는 SA 시그널링 전송 사이의 상이한 SA 사이클 중에서 상이한 개수의 재전송이 또한 맵핑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적 맵핑 방식(300)은 단일 SA 전송(210)이 단일 SA 사이클(208)과 함께 이용되는 T-RPT를 나타내고, 단일 SA 사이클(208) 동안 여러 PDU 및 그의 대응하는 재전송을 참조하거나 또는 가리키는 T-RPT를 예를 들어 보여준다. 그러면 수신 UE(130)는 T-RPT에 기초하여 특정 D2D 데이터 전송 동안 논리 D2D 자원 풀 중에서 PDU를 가진 서브프레임을 디코딩하거나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속적 맵핑 방식 옵션이 장점은 PDU 전송 지연이 줄어든 것과, 예를 들면, UE(130) 또는 UE(126)의 수신기 버퍼 크기의 요건이 낮아진 것이다. 다음과 같은 맵핑 수학식은 SA 사이클(208)에 걸친 연속적 PDU 맵핑 방식 및 재전송 맵핑의 사례에서 PDU 맵핑 컴포넌트(134)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7006496265-pct00001
NPDU는 단일 SA 스케줄링 사이클(208)에서 맵핑될 PDU의 개수를 나타낸다. NPDU 파라미터는 시그널링된 SA(210)에서, 예를 들면, 메시지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 시그널링에 의해 (미리) 구성되는 것과 같이,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NTTI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PDU의 재전송의 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NTTI 파라미터는 SA 메시지에서 시그널링되거나, RRC 또는 SIB 시그널링에 의해 (미리) 구성되는 것과 같이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그 밖에, 0 ≤ k ≤ NTTI - 1의 범위는 예를 들면, 스케줄링 사이클(208) 내의 특정 PDU의 재전송 인덱스를 나타낸다. 0 ≤ n ≤ NPDU - 1의 범위는 또한 SA 스케줄링 사이클(208) 내에서 전송되는 PDU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파라미터
Figure 112017006496265-pct00002
는 n째 PDU의 k째 재전송을 위한 (T-RPT 내부의) D2D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나타낸다.
앞에서 표현된 연속적 맵핑 방식은 스케줄링 컴포넌트(202)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각 PDU 및 대응하는 패킷(초기 PDU 및 연관된 재전송)이 TTI로서의 서브프레임 사이에 연속하여 맵핑되도록 PDU 맵핑 컴포넌트(134)에 의해 SA 사이클(208)에 맵핑된다. 그러한 서브프레임의 일부는 서브프레임 내에 PDU 또는 PDU 재전송을 포함할 수 있지만, 다른 부분은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거나, 아무런 PDU 또는 아무런 PDU 재전송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예를 들면, 모든 서브프레임은 PDU를 포함할 수 있거나, 수량이 변하거나 각 SA 사이클의 특정 TTI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D2D 데이터의 연속적 맵핑(300)의 장점은 PDU 전송 지연이 줄어든 것과, 그것 때문에 디코딩 (도출) 컴포넌트를 통한 처리 또는 디코딩 시 수신기(예를 들면, UE(130)) 버퍼 크기의 요건이 낮아진 것이다. 그러나 스케줄링 컴포넌트(202)에 의해 연속적 맵핑을 선택할 때 잠재적인 인자는 스케줄링 컴포넌트가 D2D 통신 모드에서 D2D 통신을 위해 증가된 UE 전력 소비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UE(130)일지라도 첫 번째 초기의 시도 또는 초기 PDU로부터 D2D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기 때문에, UE(130)는 모든 PDU(304, 310, 316)를 수신하기 위해 전체 SA 사이클(208) 동안 깨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마찬가지로 D2D 통신 모드 때 전력 소비 또는 자원 요구에 의거하여 UE에 의해 더 적은 전력 소비에 대비하는 다른 맵핑 방식이 또한 선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UE에 의해 D2D 통신 모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D2D 데이터의 인터리빙된 맵핑(400)의 다른 예가 도시된다. 맵핑(400)은 인터리빙 또는 인터리빙 맵핑 방식에 따라서 T-RPT 내에서 PDU가 맵핑된 논리 자원 풀의 SA 영역(402)을 포함한다. 수신 UE(130)는 PDU 또는 임의의 재전송을 처리하기 위해 T-RPT에 기초하여 D2D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인터리빙된 맵핑 방식(400)의 선택/이용에 응답하여, 모든 PDU(304, 310, 및 316)의 초기 전송(402)은, 예를 들면, PDU 재전송(306, 308, 312, 314, 318, 및 320)에 앞서 먼저 전송된다. 초기 PDU 전송(304, 310, 및 316)의 다음에는 대응하는 PDU 패킷(초기 PDU 및 재전송(들))의 첫 번째 PDU 재전송(306, 312, 및 318))이 뒤이어 오고, 그 다음으로 두 번째 재전송(308, 314, 및 320)이 뒤이어 오는데, 이것은 인터리빙된 순서대로 모든 PDU에 대해 하나씩 전송되는 것이다. 초기 PDU(304, 310, 및 316)에 대응하는 각 재전송(306, 308, 312, 318, 및 320)은 모든 초기 PDU가 전송된 이후, 각 패킷(초기 PDU 및 임의의 대응하는 재전송)이 다음 패킷(예를 들면, 초기 PDU 및 재전송(들)을 포함하는 각 패킷)에 앞서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전송되는 연속적인 순서와 대조적으로 인터리빙된 순서대로 전송된다. 패킷과 연관된 재전송(306, 312, 318 및 308, 314, 320)은 무작위 순서를 가질 수 있거나, 각 패킷의 두 번째 재전송(308, 314, 및 320)이 SA 사이클(208)을 따라서 전송되기 전에 제 1, 제 2 및 2제 3 패킷과 연관된 첫 번째 재전송(306, 312, 318)이 전송되는 선형적으로 변이된 순서를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전송되는 재전송은 초기 PDU(304, 310, 316)의 순서에 따른 순서에 대응한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초기 PDU는 패킷 0, 1, 2와 연관된 인터리빙된 시퀀스(예를 들면, 1, 0, 2, 또는 다른 초기 시퀀스)의 다른 순서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인터리빙된 맵핑의 첫 번째 재전송(306, 312, 318)은 초기 PDU(304, 310, 및 316)의 순서, 또는 SA 사이클(208)의 서브프레임을 따른 다른 순서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인터리빙된 맵핑 방식(400)은 각 개개의 패킷(초기 PDU 및 그의 대응하는 재전송(들))이 더 오랜 기간에 걸쳐, 즉 SA 스케줄링 사이클(208)을 따라 전송되기 때문에 더 큰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추출할 수 있다. 더욱이, 만일 수신 D2D UE(130)가 전송 UE(126)에 대해 품질 문턱치를 충족시키는 채널 전파 조건을 갖는다면, 수신 UE는 초기 PDU(304, 310, 316)의 첫 번째 전송으로부터 모든 PDU(304, 310, 316)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SA 스케줄링 사이클(SA 사이클(208))의 나머지 시간 동안 전력 소비를 낮추기 위해 슬립 상태(sleep)를 유지하거나 전력을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남아 있는 재전송 처리는 전송 중인 UE(126) 또는 수신 중/SA 사이클(208)의 나머지를 디코딩 중인 UE(130)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효과적인 에너지 절감을 위해 건너뛸 수 있다. 그래서, 인터리빙된 맵핑 방식(400)은 연속적 맵핑 방식(300)보다 UE(130)가 원하는, 또는 수신 UE(130)에 의해 다른 맵핑 방식이 이용되는 디코딩보다 낮은 더 낮은 전력 소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다음과 같은 맵핑 수학식은 SA 사이클에 걸친 인터리빙된 PDU 및 재전송 맵핑의 사례에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7006496265-pct00003
앞에서 도 3의 연속적 맵핑 방식과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NPDU 파라미터는 단일 SA 스케줄링 사이클(208)에서 맵핑될 PDU의 개수를 나타낸다. NPDU 파라미터는 시그널링된 SA(210)에서, 예를 들면, 메시지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 시그널링에 의해 (미리) 구성되는 것과 같이,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NTTI 파라미터는 PDU의 재전송 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NTTI 파라미터는 SA 메시지에서 시그널링되거나, RRC 또는 SIB 시그널링에 의해 (미리) 구성되는 것과 같이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거나 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 밖에, 0 ≤ k ≤ NTTI - 1의 범위는 예를 들면, 스케줄링 사이클(208) 내의 특정 PDU의 재전송 인덱스를 나타낸다. 0 ≤ n ≤ NPDU - 1의 범위는 또한 SA 스케줄링 사이클(208) 내에서 전송되는 PDU의 인덱스를 나타낸다. 파라미터
Figure 112017006496265-pct00004
는 n째 PDU의 k째 재전송을 위한 (T-RPT 내부의) D2D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의사-랜덤 맵핑 방식(500)을 포함하는 맵핑 방식의 다른 예가 도시된다. 맵핑 방식(500)은 SA 영역(502)을 따른 예를 들어 보여주는 의사-랜덤 맵핑 방식(5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맵핑 방식(500)에서, 초기 PDU 전송 및 재전송의 순서는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이용하기 위해 의사난수 발생 규칙을 사용하여 랜덤하게 발생된다.
의사-랜덤 PDU 맵핑은 스케줄된 선택 또는 정해진 결정에 대응하여 PDU 맵핑 컴포넌트(13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프로세스 또는 동작에서, PDU 맵핑 컴포넌트(134)는 1부터 NTTINPDU까지 순열된 인덱스의 시퀀스 P (P = f(seed))를 의사 랜덤하게 발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f는 의사-랜덤 순열 함수이다). 의사-랜덤 순열 함수의 시드는 예를 들면, D2D 송신기/그룹 정체, SA 풀에서 SA 메시지 전송의 위치, 동기화 또는 SA 사이클/주기, 또는 다른 파라미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의 함수일 수 있다. 시드 함수는 마찬가지로 랜덤 값을 포함할 수 있는 초기 파라미터로부터 출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시드는 네트워크에 의해 특정 UE(126, 130)에 기초한 UE 특정 기능에다 (미리) 구성될 수 있거나, 임의의 UE에 대한 공통적인 방식/기능으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PDU 맵핑 컴포넌트(134)는 의사-랜덤 맵핑의 제 2 프로세스 또는 동작에서, 각 PDU의 모든 전송을 맵핑하기 위한 인덱스 세트
Figure 112017006496265-pct00005
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증가 순서
Figure 112017006496265-pct00006
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의 수학식은 SA 사이클(208)에 걸쳐 의사-랜덤 맵핑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7006496265-pct00007
SA 영역(502)은 의사-랜덤 방식(500)에 따라서 초기 PDU 및 재전송을 가진 패킷의 예시적인 의사-랜덤 순서를 예를 들어 보여준다. 예를 들면, 각 수평선 모양의 강조 표시된 서브프레임은 제 1 패킷의 부분 또는 PDU를 나타내며, 반면에 각 대각선 모양의 강조 표시된 서브프레임은 제 2 패킷의 부분 또는 PDU를 나타내며, 각 격자 패턴 모양의 서브프레임은 제 3 패킷의 부분 또는 PDU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PDU를 가진 서브프레임은 랜덤하게 분산되어 있다. 제 1 패킷의 초기 PDU(304)는 SA 사이클(208)의 T-RPT에서 일차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제 2 패킷의 두 번째 PDU(318)는 그 다음으로 전송되며, 그런 다음 제 2 패킷의 첫 번째 PDU(310)가 그 뒤를 이어 전송되는 등으로 예시된 것처럼 그렇게 전송된다. 다른 랜덤 시퀀스가 또한 예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다른 시간 인스턴스에서 특정 TTI 또는 서브프레임이 또한 다른 위치 또는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배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방법이 일련의 행위 또는 사건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기술되지만, 그러한 행위 또는 사건의 예시된 순서는 제한하는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일부의 행위는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그리고/또는 기술된 것 이외의 다른 행위 또는 사건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시되지 않은 모든 행위가 본 명세서의 설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 또는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요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묘사된 행위 중 하나 이상의 행위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행위 및/또는 국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양태에 따라서 UE 디바이스 사이에서 D2D 통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 흐름(600)이 도시된다. 예를 들면, UE는 D2D 통신과 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셀 네트워크를 통한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602)에서, 방법(600)은 제 1 UE(예를 들면, UE(126))를 통해, 후속 D2D 전송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전달하기 시작하며, 예를 들면, UE(126)로부터 또는 UE(126)에 의해 D2D 통신의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604)에서, 방법(600)은 PDU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시간 전송 간격(time transmission interval, TTI)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예를 들면, SA 사이클(208)) 사이에서 D2D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 유닛(PDU(304, 306, 308, 310, 312, 314, 316, 318, 또는 320)을 T-RPT로 맵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PDU의 맵핑은 초기 PDU 및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PDU 재전송을 제 1 SA(210)와 후속 SA(212) 사이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DU가 없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는 맵핑된 PDU가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다른 부분과 구분된다.
예를 들면, PDU의 맵핑은 또한, 연속적 맵핑 방식(300)에 따라서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을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 내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TTI의 서브세트로 서로 연속하여 맵핑하는 단계; 인터리빙된 맵핑(400)에 따라서 인터리빙 서브프레임을 갖는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을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208) 내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에 맵핑하는 단계; 또는 의사-랜덤 맵핑 방식에 따라서 의사-랜덤 시퀀스의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을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 내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TTI의 서브세트에 맵핑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606)에서, D2D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는 또한 단일 전송에서 T-RPT의 시작을 표시하고 단일 전송의 제 1 SA(scheduling assignment)(210)와 후속 전송의 제 2 SA(212) 사이에서 PDU를 가진 TTI를 참조하는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을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맵핑 방식은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TTI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사이에 PDU의 맵핑을 지시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설정된 맵핑 방식이 표시되는지 여부, 변경 가능한 맵핑 방식, 전력 소비 레벨, 수신 UE(130)의 현재 전력 소비 역량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인터리빙 방식은 전력을 낮추기 위해 선택될 수 있으며, 의사-랜덤 방식은 더 큰 복잡도 또는 보안을 위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된 기준은 UE(126)가 특정 UE(130)와 특정한 D2D 링크를 위해 설정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암호화, 보안 등에서) 복잡도의 레벨, 각종 맵핑 규칙뿐만 아니라, 스케줄링 결정, 트래픽 부하 또는 타입, 지연 요건, QoE 또는 QoS 별 희망 전력 소비 레벨, 또는 UE(126) 또는 130)에 대한 다른 기준일 수 있다.
개시된 주제의 다양한 양태에 대한 추가적인 맥락을 제공하기 위해,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특징 또는 양태를 가능하게 하고/가능하게 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예를 들면, 기지국, 무선 액세스 포인트, 펨토셀 액세스 포인트, 및 기타 등등)의 액세스와 관련된 액세스 (사용자) 장비(126, 130)의 실시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네트워크의 액세스와 관련된 액세스 장비인 UE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는 세그먼트(7021-702B)(B는 양의 정수임)를 통해, 신호(들)를 무선 디바이스, 무선 포트, 무선 라우터 등으로부터 수신하고 그쪽으로 송신할 수 있다. 세그먼트(7021-702B)는 네트워크의 액세스와 관련된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으며, 모니터 컴포넌트(704) 및 안테나 컴포넌트(70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모니터 컴포넌트(704) 및 안테나 컴포넌트(706)는 통신 플랫폼(708)에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 플랫폼은 수신된 신호(들) 및 송신될 다른 신호(들)의 처리 및 조작에 대비한 전자 컴포넌트 및 연관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통신 플랫폼(708)은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할 때 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전송할 때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수신기/송신기(710)를 포함한다. 또한, 수신기/송신기(710)는 단일의 데이터 스트림을 여러 병렬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할할 수 있거나, 상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기/송신기(710)에는 시간 및 주파수 공간에서 신호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712)가 연결된다.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712)는 시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코드 분할 다중화, 공간 분할 다중화와 같은 다양한 다중화 방식에 따라서 정보(데이터/트래픽 및 제어/시그널링)을 다중화할 수 있다. 또한,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컴포넌트(712)는 정보(예를 들면, 아다말-월시(Hadamard-Walsh) 코드, 베이커(Baker) 코드, 카사미(Kasami) 코드, 다상(polyphase) 코드, 및 기타 등등과 같이 실질적으로 본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코드에 따른 코드)를 스크램블하고 확산할 수 있다.
변조기/복조기(714)도 또한 통신 플랫폼(708)의 일부이기도 하며, 주파수 변조, 진폭 변조(예를 들면, M-ary 직교 진폭 변조(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M은 양의 정수임), 위상 편이 변조(phase-shift keying), 및 기타 등등)와 같은 많은 변조 기술에 따라서 정보를 변조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액세스와 관련된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는 또한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 내 실질적으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능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716)를 포함한다. 특히, 프로세서(716)는 예를 들면, 모니터 컴포넌트(704), 안테나 컴포넌트(706), 및 프로세서 내부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통해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는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의 기능성을 제어하거나, 그의 동작 조건을 보여주는 기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18)는 정보를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18)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패널, 모노리식 박막 기반의 전기변색(electrochromic) 디스플레이 등 일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18)는 청각 표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동작 명령어를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지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컴포넌트(예를 들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18)는 또한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가 외부의 커맨드(예를 들면, 재시작 동작)을 수신하게 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링크된 키패드를 통해 또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0)는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가, 백홀 링크(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입력 및 출력 데이터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셀룰러 기술(예를 들면,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세계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는 서비스 공급자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하게 한다.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0)는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으며, 최종 사용자 상호작용 및 상태 정보 전송을 위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18)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716)는 기능적으로 통신 플랫폼(708)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데이터(예를 들면, 심볼, 비트, 또는 칩)에 대해 직접 및 역 고속 퓨리에 변환, 변조 속도의 선택, 데이터 패킷 포맷의 선택, 및 패킷간 시간(inter-packet time) 등을 실행하는 것과 같은 다중화/역다중화를 위한 연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716)는 데이터, 시스템, 또는 어드레스 버스(722)를 통해 기능적으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718) 및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20)에 접속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와 같은 컴포넌트 각각에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에서, 메모리(724)는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를 통해 무선 커버리지로의 액세스를 인가하는 장소 및/또는 커버리지 영역(예를 들면, 매크로 섹터, 식별자(들)),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의 무선 환경에서 커버리지 영역의 순위를 포함할 수 있는 섹터 인텔리전스(sector intelligence), 또는 무선 링크 품질 및 그와 연관된 무선 링크 세기 등을 보유할 수 있다. 메모리(724)는 또한 데이터 구조, 코드 명령어 및 프로그램 모듈,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 정보, 스크램블, 확산 및 파이롯트 전송을 위한 코드 시퀀스, 액세스 포인트 구성, 및 기타 등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716)는 액세스 장비 및/또는 소프트웨어(126, 130) 내부에 존재하는 컴포넌트, 플랫폼, 및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고 그리고/또는 이들에게 기능성을 부여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 및 검색하기 위해 (예를 들면, 메모리 버스를 통해) 메모리(724)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단일 코어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멀티스레드 실행 기능을 가진 단일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멀티스레드 실행 기능을 가진 멀티 코어 프로세서; 하드웨어 멀티스레드 기술을 가진 멀티 코어 프로세서; 병렬 플랫폼; 및 분산된 공유 메모리를 가진 병렬 플랫폼을 비롯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컴퓨팅 프로세싱 유닛 또는 디바이스를 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 및/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고안된 집적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램 가능 로직 컨트롤러, 복합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공간 사용을 최적화하거나 이동 디바이스의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분자 및 양자-점 기반 트랜지스터, 스위치 및 게이트와 같은 나노-스케일 아키텍처를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프로세싱 유닛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포넌트 및/또는 프로세스의 동작 및 기능성과 관련된 "저장", "데이터 저장", "데이터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및 실질적으로 임의의 다른 정보 저장 컴포넌트와 같은 용어는 "메모리 컴포넌트" 또는 "메모리"에서 구현된 주체, 또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메모리 컴포넌트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 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한하지 않고,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면,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아래를 참조할 것), 디스크 저장소(아래를 참조할 것), 및 메모리 저장소(아래를 참조할 것)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플래시 메모리에 포함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의 캐시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하지 않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동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기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강화된 동기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싱크링크(Synchlink)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다이렉트 램버스(direct Rambus)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많은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또는 방법의 개시된 메모리 컴포넌트는 이러한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와 같은 것과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는 방법, 방법의 행위 또는 블록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머신에 의해 수행될 때 그 머신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 및 예에 따라서 여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동시에 통신하기 위한 방법의 행위 또는 장치나 시스템의 행위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와 같은 주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장치는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과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며, 후속 D2D 통신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후속 D2D 통신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D2D 통신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 맵핑 컴포넌트는 D2D 통신을 발생하기 위해, PDU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D2D 데이터의 PDU를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time 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T-RPT)에 맵핑하도록 구성된다.
예 2는 예 1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scheduling assignment cycle)에 걸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가진 스케줄링 지정 전송을 스케줄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예 3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2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스케줄링 컴포넌트는 또한 PDU 맵핑 방식의 선택에 따라서 PDU 맵핑 규칙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지정 전송을 스케줄하도록 구성된다.
예 4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3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파라미터는 PDU의 수량의 표시, PDU에 각기 대응하는 PDU 재전송의 개수, PDU의 전송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 및 PDU의 재전송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5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4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D2D 통신 컴포넌트는 또한 단일 전송에서 T-RPT를 표시하며 제 1 스케줄링 지정과 제 2 SA 사이에서 PDU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를 참조하는 제 1 스케줄링 지정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 6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5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는 T-RPT에 기초하여 후속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데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을 도출하도록 구성된 도출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예 7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6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 맵핑 컴포넌트는 또한 한 세트의 미리 정해진 기준에 기초하여 복수의 PDU 맵핑 방식 중에서 PDU 맵핑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예 8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7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 맵핑 방식은 연속적 맵핑(consecutive mapping)을 포함하며, D2D 통신 컴포넌트는 또한 초기에 PDU를 전송한 이후 PDU의 하나 이상의 재전송을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이 주제에서 PDU 및 하나 이상의 재전송은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의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예 9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8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 맵핑 방식은 인터리빙된 PDU 맵핑(interleaved PDU mapping)을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D2D 통신 컴포넌트는 PDU를 전송한 이후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의 서브프레임에서 PDU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인터리빙하도록 구성된다.
예 10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9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 맵핑 방식은 의사랜덤 PDU 맵핑(pseudorandom PDU mapping)을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D2D 통신 컴포넌트는 PDU와 연관된 서브프레임 및 각 재전송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의 랜덤 시퀀싱에 기초하여 PDU 및 PDU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 11은 실행에 대응하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이다. 동작은 제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통해, UE로부터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후속 D2D 전송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과, PDU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D2D 데이터의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을 시간 전송 간격(time transmission interval)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time 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T-RPT)에 맵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12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1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D2D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은 단일 전송에서 T-RPT의 시작을 표시하며 단일 전송의 제 1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과 후속 전송의 제 2 SA 사이에서 PDU를 갖는 TTI를 참조하는 SA를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 13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1-12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동작은 UE를 통해, D2D 통신과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 14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1-13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동작은 후속 전송에서 전달되는, PDU의 개수, 상기 PDU의 각각에 대응하는 PDU 재전송의 개수, 상기 PDU에 각기 대응하는 시간 인스턴스의 제 1 세트, 및 상기 PDU 재전송에 각기 대응하는 시간 인스턴스의 제 2 세트를 표시하는, 단일 전송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사이의 상기 TTI의 서브세트에 맵핑된, 상기 PDU를 가진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 15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1-14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동작은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TTI의 복수의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PDU의 맵핑을 지시하는 맵핑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 16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1-15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를 맵핑하는 것은 연속적 맵핑 방식에 따라서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을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 내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TTI의 서브세트에 서로 연속하여 맵핑하는 것과, 인터리빙 서브프레임을 갖는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을 인터리빙된 맵핑 방식에 따라서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 내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TTI의 서브세트에 맵핑하는 것과, 의사-랜덤 시퀀스의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을 의사랜덤 맵핑 방식에 따라서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 내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TTI의 서브세트에 맵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예 17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1-16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를 맵핑하는 것은 초기 PDU 및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PDU 재전송을 제 1 SA와 후속 SA 사이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맵핑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가 없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부분은 PDU가 맵핑된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다른 부분과 구분된다.
예 18은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 모드와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모드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디바이스이며,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연결되어,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의 실행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맵핑 컴포넌트는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 및 PDU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 전송의 SA 사이클에 맵핑하도록 구성되며, SA 전송을 송신 또는 수신하고 SA 사이클에 기초하여 D2D 통신 모드에서 후속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이다.
예 19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8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맵핑 컴포넌트는 또한 PDU를 제 1 복수의 시간 전송 간격에 맵핑하며, SA 전송의 제 1 SA와 후속 SA 전송의 제 2 SA 사이의 복수의 시간 전송 간격의 일부분 내에서,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제 2 복수의 시간 전송 간격에 맵핑하도록 구성된다.
예 20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8-19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SA 전송은 SA 사이클의 시작을 표시하며, 후속 SA 전송과 관련되고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후속 SA 전송의 디코딩을 용이하게 하는 파라미터를 가진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SA를 포함한다.
예 21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8-20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파라미터는 PDU 및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갖는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 사이클 내에서 서브프레임의 위치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스케줄되는 PDU의 개수, 및 대응하는 각 PDU의 재전송의 개수를 포함한다.
예 22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8-21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도출 컴포넌트는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의 함수로서 제 1 SA와 제 2 SA 사이에서 PDU 및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전송 간격을 가진 서브프레임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예 23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8-22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맵핑 컴포넌트는 또한 D2D 통신 모드 동안 SA 사이클의 디코딩 중에 슬립 동작 모드에서 낮은 전력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리빙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PDU 및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맵핑하도록 구성된다.
예 24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8-23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맵핑 컴포넌트는 또한 PDU 및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등거리로 맵핑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SA 사이클의 시간 자원 패턴에 인터리빙된다.
예 25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18-23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맵핑 컴포넌트는 또한 PDU 및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에 대한 순열된 인덱스의 시퀀스를 발생함으로써 의사-랜덤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PDU 및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맵핑하도록 구성된다.
예 26은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이다.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는 디바이스간(D2D) 통신과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그리고 후속 D2D 통신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후속 D2D 통신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D2D 통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 맵핑 컴포넌트는 D2D 통신을 발생하기 위해, PDU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D2D 데이터의 PDU를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time 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T-RPT)에 맵핑하도록 구성된다.
예 27은 예 26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scheduling assignment cycle)에 걸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가진 스케줄링 지정 전송을 스케줄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예 28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26-27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스케줄링 컴포넌트는 또한 PDU 맵핑 방식의 선택에 따라서 PDU 맵핑 규칙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지정 전송을 스케줄하도록 구성된다.
예 29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26-28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파라미터는 PDU의 수량의 표시, PDU에 각기 대응하는 PDU 전송의 개수, PDU의 전송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 및 PDU의 재전송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 30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26-29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D2D 통신 컴포넌트는 또한 단일 전송에서 T-RPT를 표시하며 제 1 스케줄링 지정과 제 2 SA 사이에서 PDU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를 참조하는 제 1 스케줄링 지정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 31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26-30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는 T-RPT에 기초하여 후속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데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을 도출하도록 구성된 도출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예 32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26-31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 맵핑 컴포넌트는 또한 한 세트의 미리 정해진 기준에 기초하여 복수의 PDU 맵핑 방식 중에서 PDU 맵핑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예 33은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26-32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 맵핑 방식은 연속적 맵핑(consecutive mapping)을 포함하며, D2D 통신 컴포넌트는 또한 초기에 PDU를 전송한 이후 PDU의 하나 이상의 재전송을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이 주제에서 PDU 및 하나 이상의 재전송은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의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를 포함한다.
예 34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26-33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 맵핑 방식은 인터리빙된 PDU 맵핑(interleaved PDU mapping)을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D2D 통신 컴포넌트는 PDU를 전송한 이후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의 서브프레임에서 PDU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인터리빙하도록 구성된다.
예 35는 옵션의 특징을 포함하거나 생략하는 예 26-34 중 어느 예의 주제를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PDU 맵핑 방식은 의사랜덤 PDU 맵핑(pseudorandom PDU mapping)을 포함하며, 이 주제에서 D2D 통신 컴포넌트는 PDU와 연관된 서브프레임 및 각 재전송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의 랜덤 시퀀싱에 기초하여 PDU 및 PDU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양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기능은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상에 저장되거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달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비롯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하지 않고,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원하는 정보 또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나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다른 유형 및/또는 비일시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레이저 디스크, 광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데 반해, 디스크(disc)는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생한다. 전술한 것들의 조합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와 관련하여 기술된 예시적인 다양한 로직,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나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조합으로서, 예를 들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협업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동작 및/또는 행동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를 들면, 절차,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에서 또는 프로세서의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는데, 외부에서 구현되는 경우 메모리 유닛은 본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은 각종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술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 CDMA18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ideband-CDMA, 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을 포함한다. 또한, CDMA1800는 IS-1800, IS-95 및 IS-856 표준을 담당한다. TDMA는 세계 이동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진화된 UTRA(Evolved UTRA, E-UTRA), 울트라 모바일 광대역(Ultra Mobile Broadband, 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18, 플래시-OFDM(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은 다운링크에서 OFDMA를 적용하고 업링크에서 SC-FDMA를 적용하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릴리즈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이라는 명칭의 조직에서 만든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 또한, CDMA18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라는 명칭의 조직에서 만든 문서에 서술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짝지어 지지 않은 비면허 스펙트럼, 802.xx 무선 LAN, 블루투스(BLUETOOTH), 및 임의의 다른 단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흔히 이용하는 피어-투-피어(예를 들면, 모바일-투-모바일(mobile-to-mobile) 애드 혹(ad hoc) 네트워크 시스템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등화를 이용하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는 개시된 양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SC-FDMA는 OFDMA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유사한 전반적인 복잡성을 갖는다. SC-FDMA 신호는 그의 고유한 단일 캐리어 구조 때문에 낮은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비(peak-to-average power ratio, PAPA)를 갖는다. SC-FDMA는 송신 전력 효율 면에서 PAPR이 낮은 것이 이동 단말기에 유리할 수 있는 업링크 통신에서 활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양태 또는 특징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조 물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제조 물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망라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띠 등), 광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내장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와 관련하여 기술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 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정보를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정보를 저장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양태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ASIC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양태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 및/또는 행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머신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상에서 코드 및/또는 명령어 중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 또는 그의 임의의 집합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요약서에 서술된 내용을 포함하는 본 개시의 예시된 실시예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예를 개시된 조금도 틀림 없는 형태로 빠뜨림 없게 하려거나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 및 예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기술되지만, 관련 기술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처럼, 그러한 실시예 및 예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다양한 수정이 가능하다.
이 점에서, 개시된 주제가 다양한 실시예 및 대응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해당 사항이 있을 경우, 다른 유사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개시된 주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주제의 동일한, 유사한, 대안의, 또는 대체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수정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주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단일의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아래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따른 폭과 범위 내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전술한 컴포넌트(어셈블리, 디바이스, 회로, 시스템 등)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하여, 그러한 컴포넌트를 기술하는데 사용된 ("수단"이라고 말하는 것을 비롯한)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본 개시의 예시적인 구현 예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개시된 구조와 구조적으로 동등하지 않을지라도, 달리 지적하지 않는 한, (예를 들면, 기능적으로 동등한) 기술된 컴포넌트의 명시된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컴포넌트 또는 구조에 대응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특정한 특징이 여러 구현 예 중 단지 하나의 구현예에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특징은 임의의 주어진 또는 특정한 응용에 대해 바람직하고 유리할 수 있으므로 다른 구현예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Claims (25)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과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며, 후속 D2D 통신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후속 D2D 통신과 관련된 제어 정보로서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D2D 통신 컴포넌트와,
    상기 D2D 통신을 발생하기 위해, PDU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D2D 데이터의 PDU를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time 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T-RPT)에 맵핑하도록 구성된 PDU 맵핑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scheduling assignment cycle)에 걸쳐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D2D 데이터를 가진 스케줄링 지정 전송을 스케줄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링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컴포넌트는 상기 PDU 맵핑 방식의 선택에 따라서 PDU 맵핑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스케줄링 지정 전송을 스케줄링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물리적 파라미터는,
    PDU의 수량의 표시, 상기 PDU에 각기 대응하는 PDU 재전송의 개수, 상기 PDU의 전송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 및 상기 PDU의 재전송에 대응하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2D 통신 컴포넌트는, 단일 전송에서 상기 T-RPT를 표시하며 제 1 스케줄링 지정(SA)과 제 2 SA 사이에서 상기 PDU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를 참조하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지정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RPT에 기초하여 후속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에서 D2D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데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을 도출하도록 구성된 도출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맵핑 컴포넌트는 한 세트의 미리 정해진 기준에 기초하여 복수의 PDU 맵핑 방식 중에서 상기 PDU 맵핑 방식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맵핑 방식은 연속적 맵핑(consecutive mapping)을 포함하며,
    상기 D2D 통신 컴포넌트는 초기에 상기 PDU를 전송한 이후 PDU의 하나 이상의 재전송을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PDU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재전송은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의 서브프레임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맵핑 방식은 인터리빙된 PDU 맵핑(interleaved PDU mapping)을 포함하며,
    상기 D2D 통신 컴포넌트는 상기 PDU를 전송한 이후 스케줄링 지정 전송 사이의 서브프레임에서 PDU에 대응하는 재전송을 인터리빙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맵핑 방식은 의사랜덤 PDU 맵핑(pseudorandom PDU mapping)을 포함하며,
    상기 D2D 통신 컴포넌트는 PDU와 연관된 서브프레임 및 각 재전송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의 랜덤 시퀀싱에 기초하여 상기 PDU 및 상기 PDU에 대응하는 상기 재전송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11.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로서, 상기 명령어는 실행에 대응하여,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를 통해, 상기 UE로부터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후속 D2D 전송과 관련된 제어 정보로서 PDU와 연관된 물리적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2D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과,
    PDU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D2D 데이터의 PDU를 시간 전송 간격(time transmission interval, TTI)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걸쳐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time resource pattern for transmission, T-RPT)에 맵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2D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은, 단일 전송에서 상기 T-RPT의 시작을 표시하며 상기 단일 전송의 제 1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과 후속 전송의 제 2 SA 사이에서 PDU를 갖는 상기 TTI를 참조하는 SA를 주기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상기 UE를 통해, 상기 D2D 통신과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후속 전송에서 전달되는, PDU의 개수, 상기 PDU의 각각에 대응하는 PDU 재전송의 개수, 상기 PDU에 각기 대응하는 시간 인스턴스의 제 1 세트, 및 상기 PDU 재전송에 각기 대응하는 시간 인스턴스의 제 2 세트를 표시하는, 단일 전송에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사이의 상기 TTI의 서브세트에 맵핑된, 상기 PDU를 가진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TTI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PDU의 상기 맵핑을 지시하는 맵핑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를 맵핑하는 것은,
    연속적 맵핑 방식에 따라서 PDU 및 대응하는 재전송을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 내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상기 TTI의 서브세트에 서로 연속하여 맵핑하는 것과,
    인터리빙 서브프레임을 갖는 상기 PDU 및 상기 대응하는 재전송을 인터리빙된 맵핑 방식에 따라서 상기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 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상기 TTI의 서브세트에 맵핑하는 것과,
    의사-랜덤 시퀀스의 상기 PDU 및 상기 대응하는 재전송을 의사랜덤 맵핑 방식에 따라서 상기 스케줄링 지정 사이클 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상기 TTI의 서브세트에 맵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DU를 맵핑하는 것은 초기 PDU 및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PDU 재전송을 제 1 SA와 후속 SA 사이의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맵핑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PDU가 없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부분은 상기 PDU가 맵핑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다른 부분과 구분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8.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 모드와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모드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디바이스로서,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어, 상기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의 실행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 상기 실행 가능한 컴포넌트는,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 PDU) 및 상기 PDU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 전송의 SA 사이클에 맵핑하도록 구성된 맵핑 컴포넌트를 포함함 - 와,
    상기 SA 전송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SA 사이클에 기초하여 상기 D2D 통신 모드에서 후속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SA 전송은 상기 SA 사이클의 시작을 표시하며, 후속 SA 전송과 관련되고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속 SA 전송의 디코딩을 용이하게 하는 상기 PDU와 연관된 파라미터를 가진 상기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SA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컴포넌트는 상기 PDU를 제 1 복수의 시간 전송 간격에 맵핑하며, 상기 SA 전송의 제 1 SA와 후속 SA 전송의 제 2 SA 사이의 복수의 시간 전송 간격의 일부분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제 2 복수의 시간 전송 간격에 맵핑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20. 삭제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PDU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갖는 상기 스케줄링 지정(scheduling assignment, SA) 사이클 내에서 서브프레임의 위치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스케줄되는 PDU의 개수, 및 대응하는 각 PDU의 재전송의 개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22. 제 18 항에 있어서,
    전송용 시간 자원 패턴의 함수로서 제 1 SA와 제 2 SA 사이에서 상기 PDU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포함하는 시간 전송 간격을 가진 서브프레임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도출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컴포넌트는 상기 D2D 통신 모드 동안 상기 SA 사이클의 디코딩 중에 슬립 동작 모드에서 낮은 전력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리빙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PDU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맵핑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컴포넌트는 상기 PDU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등거리로 맵핑하도록 더 구성되며 서로 상기 SA 사이클의 시간 자원 패턴에 인터리빙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25. 제 18 항, 제 19 항과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컴포넌트는 상기 PDU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에 대한 순열된 인덱스의 시퀀스를 발생함으로써 의사-랜덤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PDU 및 상기 하나 이상의 PDU 재전송을 맵핑하도록 더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KR1020177001628A 2014-08-07 2015-05-29 효과적인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시간 자원 패턴에 맵핑 KR101915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34698P 2014-08-07 2014-08-07
US62/034,698 2014-08-07
PCT/US2015/033337 WO2016022200A1 (en) 2014-08-07 2015-05-29 Packet data unit mapping into time resource patterns for efficien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889A KR20170020889A (ko) 2017-02-24
KR101915417B1 true KR101915417B1 (ko) 2018-11-05

Family

ID=5526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628A KR101915417B1 (ko) 2014-08-07 2015-05-29 효과적인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시간 자원 패턴에 맵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12704B2 (ko)
EP (1) EP3178173A4 (ko)
KR (1) KR101915417B1 (ko)
CN (1) CN106537812B (ko)
WO (1) WO2016022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5015A1 (ko) 2013-10-28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575325B2 (en) * 2014-10-09 2020-02-25 Acer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service in unlicensed cell
US11089490B1 (en) * 2015-03-27 2021-08-10 M87,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o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to facilitate WT mode of operation decisions
WO2017028300A1 (en) * 2015-08-20 2017-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ation on ul resource allocation in prose relay
EP3148284B1 (en) * 2015-09-25 2020-10-21 ASUSTek Compute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olving mismatch between sidelink buffer status report (bsr) and available sidelink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76716A4 (en) * 2015-11-27 2018-1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trol information sending method, data block transmiss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WO2017196129A1 (ko) * 2016-05-12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의 사이드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KR102334627B1 (ko) * 2017-02-0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rpt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848450B (zh) * 2018-06-25 2020-03-20 北京邮电大学 一种宏用户位置确定方法、微基站群及宏基站
US10833818B2 (en) * 2018-11-13 2020-11-10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exclusion in a half duplex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564852B (zh) * 2019-09-10 2022-09-09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实例数据的系统侧传输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3353A1 (en) * 2012-02-27 2013-08-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ime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laid on a Cellular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0951B2 (en) 2008-05-22 2012-02-21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s, memory device constructions, constructions, memory device forming methods, current conducting devices, and memory cell programming methods
CN103368713B (zh) 2012-03-26 2017-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到设备的通信方法及装置
WO2013149665A1 (en) 2012-04-05 2013-10-10 Nokia Siemens Networks Oy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CN110062371B (zh) * 2012-08-23 2022-08-05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执行装置到装置发现的方法和设备
US9407302B2 (en) 2012-12-03 2016-08-02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mobile terminal, method for request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N103024914B (zh) 2012-12-27 2015-04-29 南京邮电大学 终端直通技术共享系统下行资源的跨层设计方法
US9301160B2 (en) 2013-03-14 2016-03-29 Fujitsu Limited Network supervise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2045339B1 (ko) 2013-04-26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기 대 기기 무선 통신에서의 발견 신호 자원 지시 방법
US9277439B2 (en) 2013-06-28 2016-03-01 Intel Corporation Device-to-device contention management scheme for mobile broadband networks
KR102445061B1 (ko) * 2014-08-06 2022-09-1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장치-대-장치 송신 패턴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3353A1 (en) * 2012-02-27 2013-08-2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ime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laid on a Cellular Networ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ricsson, "On resource allocation for communication in Mode1 and Mode 2", R1-142402, 3GPP TSG RAN WG1 Meeting#77 (2014.05.10.)
Intel Corporation, "Distributed Resource Allocation for D2D communication", R1-142016, 3GPP TSG RAN WG1 Meeting#77 (2014.05.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37812A (zh) 2017-03-22
EP3178173A4 (en) 2018-03-14
US10212704B2 (en) 2019-02-19
CN106537812B (zh) 2019-04-05
EP3178173A1 (en) 2017-06-14
KR20170020889A (ko) 2017-02-24
US20170215187A1 (en) 2017-07-27
WO2016022200A1 (en)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417B1 (ko) 효과적인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패킷 데이터 유닛의 시간 자원 패턴에 맵핑
JP6822514B2 (ja) 通信装置、ユーザー装置及び方法
EP3372007B1 (en) Scheduling ues with mixed tti length
CN103621146B (zh) 用于有限带宽通信装置的蜂窝通信系统支持
EP3116276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023666B (zh)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RU2754583C1 (ru) Выделение временной области для повторений
JP2020523894A (ja) 参照信号送信方法、参照信号受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9226313B2 (en) Transmission device, receiving devic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iving method
CN109076442A (zh) 对按需式系统信息的协作组广播
TW202112083A (zh) 用於穩健量測與資料接收之裝置及方法
JP6403871B2 (ja) 物理ダウンリンク・データ・チャネル送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機器
TW201713148A (zh) 用於非許可射頻譜帶上的直接lte的對話前監聽
CN105453676B (zh) 设备到设备通信中开放发现的资源分配的系统和方法
KR102232476B1 (ko)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12520622A (ja) リソースを中継に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0145759A (ja) 通信システム
JP7011695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ショート送信時間間隔を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CN104521265A (zh) 通信控制设备、终端设备和通信控制方法
TW201836420A (zh) 用於縮短的傳輸時間間隔的時間遮罩技術
US20170048906A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
KR101952062B1 (ko) 조건부 점진적 인코딩 및 디코딩
CN111971987A (zh) 集中式无线接入网络的接入层(as)安全性(c-ran)
US11825495B2 (en) Frequency hopping enabling for an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by a user equipment
CN115053571B (zh) 用于减少错误寻呼接收的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