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118B1 - Automatic shutdown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shutdow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118B1
KR101915118B1 KR1020160121511A KR20160121511A KR101915118B1 KR 101915118 B1 KR101915118 B1 KR 101915118B1 KR 1020160121511 A KR1020160121511 A KR 1020160121511A KR 20160121511 A KR20160121511 A KR 20160121511A KR 101915118 B1 KR101915118 B1 KR 10191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pressure tank
fluid
automatic shutdow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5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2380A (en
Inventor
서성원
김현석
류용희
이윤한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18B1/en
Publication of KR2018003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16K17/3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of excessiv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4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with a fracturing member, e.g. fracturing diaphragm, glass, fusible joint
    • F16K17/4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with a fracturing member, e.g. fracturing diaphragm, glass, fusible joint with a fracturing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자동 셧다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는 압력 탱크; 및 압력 탱크의 도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파열되어 압력 탱크 내의 유체를 배출하는 파열부를 포함한다.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is disclosed.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tank; And a rupture portion provided in the conduit of the pressure tank and ruptured due to a temperature r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Description

자동 셧다운 장치{AUTOMATIC SHUTDOWN DEVICE}[0001] AUTOMATIC SHUTDOWN DEVICE [0002]

본 발명은 자동 셧다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hutdown device.

보일러나 화학설비 등에는 그 본체나 접속배관부분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사태에 대비하여 안전장치로서 밸브 셧다운 장치가 설치된다. 밸브 셧다운 장치는 화학설비 등의 기기에 이상사태가 발생하였을 때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서 그 압력을 기기 밖으로 방출하기 위한 밸브용 안전 장치이며, 자압(自壓)형, 솔리노이드형, 다이야프렘형 등 형식이 있다.A valve shutdown device is installed in the boiler or chemical plant as a safety device in case of an abnormal situation that may occur in the main body or the connecting piping part. The valve shutdown device is a valve safety device for discharging the pressure out of the machine by manual or automatic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 chemical equipment or the like. It is a self-pressure type, a solenoid type, a die- There is a format.

이러한 밸브용 셧다운 장치는 사고 발생시에만 작동하는 안전장치이므로 그 기능의 점검을 위해 주기적인 자체성능검사를 실시하도록 의무화되어 있다.These valve shutdown devices are safety devices that operate on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so it is mandatory to conduct periodic self-performance tests to check their function.

관련한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2791호(2004.07.09, 압축기의 내부압력조절밸브)가 있다.A related art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62791 (July, 2004, internal pressure regulating valve of a compres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의 밸브용 셧다운 장치에 비해 설계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비용 및 보수 유지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셧다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which is simpler in design than a conventional valve shutdown apparatus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maintenance cos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압력 탱크; 및 압력 탱크의 도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파열되어 압력 탱크 내의 유체를 배출하는 파열부를 포함하는 자동 셧다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ure tank comprising: a pressure tank; And a rupturing portion provided in a conduit of the pressure tank and ruptured due to a temperature r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파열부는, 팽창성 유체로 채워지는 제1 내관; 팽창성 유체로 채워지며 제1 내관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 내관; 제1 내관과 제2 내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내관과 제1 내관을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를 통해 제1 내관 및 제2 내관과 연결되며, 제1 내관과 제2 내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rupture section includes: a first inner tube which is filled with an inflatable fluid; A second inner tube which is filled with an inflatable fluid and is continuous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first inner tube; A suppor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pipe and the second inner pipe to fix the first inner pipe and the first inner pipe; And an outer tub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tube and the second inner tube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arranged to surround the first inner tube and the second inner tube.

파열부는, 제1 내관의 단부와 제2 내관의 단부를 덮도록 외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덮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uptur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lid member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outer tube so as to cover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inner tube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inner tube.

외관의 내측과 제1 내관 및 제2 내관의 외측 사이에는 압력 탱크 내의 유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A space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inner tube and the second inner tube so that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can pass through.

팽창성 유체는 수은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flatable fluid may contain mercu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변의 온도 상승에 따라 팽창 가능한 재질을 이용하여 압력 탱크를 개방함으로써 기존의 인스트류먼트 에어(instrument air)를 계속 공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종래의 밸브용 셧다운 장치에 비해 설계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비용 및 보수 유지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셧다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continuously supply the existing instrument air by opening the pressure tank by using the inflatable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urroundings, the conventional valve shutdown device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intenance cost by simplifying the design structur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의 작동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views of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cept of the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밸브용 자동 셧다운 장치는 사고 발생시에만 작동하는 안전장치이므로 장치의 생애주기 동안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그 기능의 점검을 위해 주기적인 자체성능검사를 실시하도록 의무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유지 보수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밸브용 셧다운 장치는 보통 자동식으로 인스트류먼트 에어(instrument air)를 계속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로 인해 복잡한 신호 장치와 제어 장치가 요구되며 이러한 미세한 기기의 사용에 따른 잔고장과 그에 따른 유지보수가 많은 편이다. 또한, 수동식의 경우도 유지 보수에 있어서 작업하기 용이한 구조가 아니어서 유지 보수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편이다.Since the automatic shutdown device for valves is a safety device that operates only when an accident occurs, it is rarely actually used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device, but it is mandatory to perform periodic self-performance tests to check its function. Therefore, it takes considerable time and expense to maintain it. In addition, conventional shutdown devices for valves usually require a complicated signal device and a control device due to the problem that the instrument air must be continuously supplied automatically. In such a case, . Also, even in the case of manual operation, it is not easy to work in maintenance, so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in maintenance.

따라서, 종래의 밸브용 셧다운 장치에 비해 인스트류먼트 에어를 계속 공급할 필요가 없이 주변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셧다운 장치의 작동이 가능하여, 제작 비용 및 보수 유지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고 설계 구조가 간단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 셧다운 장치가 요구된다.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valve shutdown apparatus, there is no need to continuously supply the instrument air, and the shutdown apparatus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ambient temperature chang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A simple new type of automatic shutdown device is requir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의 사시도이며,1 and 2 are schematic views of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의 작동 개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cept of the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밸브 본체(110)는 파이프라인과 같은 배관(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관(10) 내에는 상온의 기체와 같은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valve body 110 may be connected to a pipe 10 such as a pipeline. A fluid such as a gas at room temperature can flow into the pipe 10.

밸브 본체(110)에는 화재나 폭발과 같은 안전 사고시 상기 밸브 본체를 폐쇄하도록 자동 셧다운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The valve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n automatic shutdown device for closing the valve body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fire or explos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100)는 압력 탱크(120)와 상기 압력 탱크(120)의 압력을 릴리스(Release)할 수 있는 파열부(130)를 포함한다.2, an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tank 120 and a burst portion 130 capable of releasing pressure of the pressure tank 120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셧다운 장치(100)는 화재 또는 폭발과 같은 안전 사고로 인해 밸브 주변의 온도가 상승시, 온도 상승에 따라 팽창이 가능한 팽창성 유체를 이용하여 압력 탱크(120)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릴리스함으로써 셧다운 장치의 작동이 가능하여, 기존의 인스트류먼트 에어(instrument air)를 계속 공급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복잡한 센서나 제어 장치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종래의 자동 셧다운 장치에 비해 밸브 셧다운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자동 셧다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짐으로써 그 제작 비용 및 보수 유지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이다.The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automatically shutting down the pressure tank 120 by using an inflatable fluid that can expand according to temperature rise when the temperature around the valve rises due to a safety accident such as fire or explos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hutdown apparatus by releasing the pressure instantaneously, so that there is no need to continuously supply the existing instrument air, an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complicated sensor or control device, and thus the conventional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The valve shutdown structure can be made very simple, and the structure of the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is simplifi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압력 탱크(120)는 평상시 그 내부에 소정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유체로 채워진다. 압력 탱크(120)의 압력을 이용하여 밸브 몸체(110)의 개폐부(미도시)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그 구체적 작동 관계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sure tank 120 is normally filled with fluid so that a predetermined pressure is maintained therein. The opening / closing part (not shown) of the valve body 110 can be kept open using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tank 120. In the meantime, detailed operation will not be described because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인스트류먼트 에어(instrument air)를 계속 공급하여 압력 탱크의 압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셧다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need to maintain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tank by continuing to supply the existing instrument air,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shutdown apparatus is simplified.

파열부(130)는 안전 사고 발생시 압력 탱크(120)의 압력을 릴리스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열부(130)는 압력 탱크(120)의 도관(미도시)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발생하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파열되어 압력 탱크(120) 내의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압력 탱크(120) 내의 압력이 릴리스됨으로써, 예를 들어 용수철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을 통해 밸브 몸체(110)의 개폐부(미도시)가 폐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밸브 본체(110)가 셧다운될 수 있다.The rupture unit 130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tank 120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Referring to FIG. 2, the rupturing portion 130 is installed in a conduit (not shown) of the pressure tank 120 and ruptured due to a temperature r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reby discharging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120. As a result, by releasing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tank 120,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not shown) of the valve body 110 can be closed through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spring to its original position, 110 may be shut down.

구체적으로, 파열부(130)는 팽창성 유체(133)로 채워지는 제1 내관(131); 팽창성 유체(133)로 채워지며 제1 내관(131)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 내관(132);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 내관(131)과 제1 내관(132)을 외관(135)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지지부재(134); 및 지지부재(134)를 통해 제1 내관(131) 및 제1 내관(132)과 연결되며, 제1 내관(131)과 제1 내관(132)을 둘러싸도록 그 외측에 배치되는 외관(135)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upturing portion 130 includes a first inner tube 131 filled with the inflating fluid 133; A second inner tube 132 filled with the inflatable fluid 133 and disposed continuously with respect to the first inner tube 131; A support member 134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pipe 131 and the second inner pipe 132 to fix the first inner pipe 131 and the first inner pipe 132 to the inside of the outer pipe 135; And an outer tube 135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first inner tube 132 through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support member 134 and disposed outside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first inner tube 132 to surround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first inner tube 132, . ≪ / RTI >

여기서, 팽창성 유체(133)로는 예를 들어 수은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온도 상승에 의해 부피가 팽창할 수 있다면, 수은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이 팽창성 유체(133)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mercury may be used as the inflating fluid 133, for example. Of course,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mercury can be used as the inflating fluid 133, if the volume can expand by the temperature rise.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은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34)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팽창성 유체(133)는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의 내측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second inner tube 132 may be formed of a pipe-shaped member and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on both sides thereof with respect to the support member 134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flatable fluid 133 may be received inside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second inner tube 132, respectively.

외관(135)은 지지부재(134)를 통해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에 연결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을 둘러싸도록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outer tube 13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second inner tube 132 through the support member 134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second inner tube 132, (Not shown).

제1, 제2 내관(131, 132)과 외관(135) 사이에는 공간부(137)가 구비될 수 있다. 공간부(137)는 압력 탱크(120) 내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덮개부재(136)가 제1, 제2 내관(131, 132)의 내측에 수용된 팽창성 유체(133)의 팽창압에 의해 제1, 제2 내관(131, 132)으로부터 각각 분리될 경우, 압력 탱크(120) 내의 유체가 공간부(137)를 통해 압력 탱크(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space 137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ner tubes 131 and 132 and the outer tube 135. The space portion 137 can be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120 can pass. The lid member 136 to be described lat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inner pipes 131 and 132 by the expansion pressure of the inflating fluid 133 hous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inner pipes 131 and 132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12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tank 120 through the space portion 137. [

지지부재(134)는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외관(135)의 내측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내관(131)의 일단과 제2 내관(132)의 일단은 각각 지지부재(134)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의 내부에 수용된 팽창성 유체(133)가 제1 내관(131)의 일단과 제2 내관(132)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34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pipe 131 and the second inner pipe 132 and serves to fix them to an inner position of the outer pipe 135.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one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132 ar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34,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inflating fluid 133 contained in the first inner pipe 131 and the second inner pipe 132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end of the first inner pipe 131 and one end of the second inner pipe 132 .

제1 내관(131)의 타단과 제2 내관(132)의 타단에는 각각 덮개부재(136)가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재(136)는 평상시에는 제1 내관(131)의 타단과 제2 내관(132)의 타단을 덮도록 외관(135)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므로,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의 내부에 수용된 팽창성 유체(133)가 제1 내관(131)의 타단과 제2 내관(132)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 cover member 136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132, respectively. The lid member 136 is normal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outer tube 135 so as to cover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132. Thus,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second inner tube 132 13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132.

그러나,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주변 온도가 상승할 경우에는, 덮개부재(136)가 팽창성 유체(133)의 팽창압력에 의해 제1 내관(131)의 타단과 제2 내관(132)의 타단으로부터 각각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덮개부재(136)가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압력 탱크(120) 내의 유체가 제1, 제2 내관(131, 132)과 외관(135) 사이에 구획된 공간부(137, 빈 공간)를 통해 압력 탱크(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자동 셧다운 장치(100)의 자동 셧다운을 구현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rises due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 lid member 136 is displace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132 by the inflation pressure of the inflating fluid 133 Can be separated. As a result, the lid member 136 is separated from the first inner pipe 131 and the second inner pipe 132, so that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120 flows to the first and second inner pipes 131 and 132 and the outer pipe 135,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essure tank 120 through the space portion 137 (space) defined between the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100 and the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100, thereby realizing automatic shutdown of the automatic shutdown apparatus 100.

참고로, 덮개부재(136)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관(131)의 타단과 제2 내관(132)의 타단을 완전히 덮도록 외관(135)의 양단부를 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제1 내관(131)과 제2 내관(132)의 내부에 수용된 팽창성 유체(133)가 제1 내관(131)의 타단과 제2 내관(132)의 타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3, the cover member 136 covers the opposite ends of the outer tube 135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tube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132, It can be sealed. The inflatable fluid 133 contained in the first inner pipe 131 and the second inner pipe 13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ner pipe 13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ner pipe 132 Can be block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자동 셧다운 장치 110: 밸브 몸체
120: 압력 탱크 130: 파열부
131: 제1 내관 132: 제2 내관
133: 팽창성 유체 134: 지지부재
135: 외관 136: 덮개부재
137: 공간부
100: Automatic shutdown device 110: Valve body
120: pressure tank 130: rupture part
131: first inner pipe 132: second inner pipe
133: inflatable fluid 134: support member
135: Appearance 136: Cover member
137: space portion

Claims (5)

압력 탱크; 및
상기 압력 탱크의 도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발생하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파열되어 상기 압력 탱크 내의 유체를 배출하는 파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파열부는,
팽창성 유체로 채워지는 제1 내관;
팽창성 유체로 채워지며 상기 제1 내관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2 내관;
상기 제1 내관과 상기 제2 내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내관과 상기 제1 내관을 고정시키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통해 상기 제1 내관 및 상기 제2 내관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내관과 상기 제2 내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관;
을 포함하는 자동 셧다운 장치.
Pressure tanks; And
A rupture part installed in the conduit of the pressure tank and ruptured due to a temperature r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 RTI >
The rupturing portion
A first inner tube which is filled with an inflatable fluid;
A second inner tube that is filled with an inflatable fluid and is disposed continuously with respect to the first inner tube;
A suppor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pipe and the second inner pipe to fix the first inner pipe and the first inner pipe; And
An outer tube connected to the first inner tube and the second inner tube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inner tube and the second inner tube;
Lt; / RTI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제1 내관의 단부와 상기 제2 내관의 단부를 덮도록 상기 외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덮개부재;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셧다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upturing portion
A lid member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outer tube so as to cover the end of the first inner tube and the end of the second inner tube;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shutdow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의 내측과 상기 제1 내관 및 상기 제2 내관의 외측 사이에는 상기 압력 탱크 내의 유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는 자동 셧다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and the outside of the first inner tube and the second inner tube so that the fluid in the pressure tank can pass 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유체는 수은을 포함하는 자동 셧다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atable fluid comprises mercury.
KR1020160121511A 2016-09-22 2016-09-22 Automatic shutdown device KR1019151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11A KR101915118B1 (en) 2016-09-22 2016-09-22 Automatic shutdow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11A KR101915118B1 (en) 2016-09-22 2016-09-22 Automatic shutdow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80A KR20180032380A (en) 2018-03-30
KR101915118B1 true KR101915118B1 (en) 2018-11-05

Family

ID=6190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511A KR101915118B1 (en) 2016-09-22 2016-09-22 Automatic shutdow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1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80A (en)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2779B2 (en) Tank device for storing gaseous media
US7798165B2 (en) Rupture control system
JP2019521296A5 (en)
US8408247B2 (en) Element for controlling filling and/or drawing of a pressurized gas, tank and circuit provided with such an element
JP5297061B2 (en) Flange joint structure
JP2017219304A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leak detection method in air conditioning system
RU2621434C2 (en) Device for leakages from safety valve visual display
US537014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flatable bladder valve system
JP3796243B2 (en) Vent valve structure for liquid storage tank vent pipe
CN107427673B (en) Diaphragm valve for controlling flow and pressure relief
KR101915118B1 (en) Automatic shutdown device
GB2252163A (en)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US20160298779A1 (en) Auxiliary flow prevention mechanism for an air valve in a pipeline
US8800588B2 (en) Glass bulb thermally-activated pressure relief device, safety inspection method, and equipment
EP3638605B1 (en) Cross-activated pressure relief apparatus
KR20210072381A (en) Device of testing rupture disc for rupture disc and testing method thereof
CA2862846A1 (en) Bellows valve and double valve body incorporating the same
US3800816A (en) Fuel line shut off
KR101964270B1 (en) Blowdown valve
KR200488483Y1 (en) Chamber for pressure switch of fire extinguishment system
JP2012016415A (en) Fire extinguisher
US3295545A (en) Liquid storage tank venting device for zero gravity environment
ES2765736T3 (en) Overpressure encapsulation system for explosion protection and corresponding operating procedure
KR20170035761A (en) Safety Manifold Valve
RU2374542C2 (en) Multipurpos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