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014B1 - Steel pipe strut with 2 way connection member - Google Patents
Steel pipe strut with 2 way connection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5014B1 KR101915014B1 KR1020160183912A KR20160183912A KR101915014B1 KR 101915014 B1 KR101915014 B1 KR 101915014B1 KR 1020160183912 A KR1020160183912 A KR 1020160183912A KR 20160183912 A KR20160183912 A KR 20160183912A KR 101915014 B1 KR101915014 B1 KR 101915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coupled
- coupling
- flange
-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2방향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방향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판;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은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에 의해 서로 다른 2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와 결합하는 2방향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강관과 2방향결합부재의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또한 다양한 제1, 2부재를 서로 다른 2방향으로 용이하게 결합하여 축하중을 더 넓은 범위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제1, 2부재가 결합되는 각도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a width thereof; And a bi-directional engaging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l pipe and used for a purpose of engag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wherein the bi- A plurality of flange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utout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flanges and for coupling with the first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flanges and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re mutually coupled,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wo different directions by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to each other. will be.
By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shaped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a two-way engagement member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eel pipe and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easily coupled to each other in two different directions to stably support the axial load in a wider range,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quickly and easily adjusting the angle at which the member is coupled.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steel pipe strut with a two-way joining member, and particularly to a steel pipe strut with a two-way joining member that can be engaged with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일반적으로 지반 굴착시에는 굴착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고, 흙막이 벽체에 띠장을 수평으로 설치한 후, 띠장에 버팀보를 직접 설치하거나, 또는 잭을 먼저 설치한 후 잭에 버팀보를 설치하여 토압을 지지하게 된다.In general, in case of excavation of the grou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earth retaining wall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excavation surface, to install the wrist band horizontally on the wall of the earth retaining wall and then to install the strut directly on the wale, or to install the jack first,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상기의 버팀보로 이전에는 H형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축강성과 휨강성의 우수성 등으로 원형강관이나 사각강관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the past, the H-shaped steel was mainly used as the strut, but in recent years, round steel pipes and square steel pipes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excellent axial stiffness and excellent bending stiffness.
그러나 원형강관이나 사각강관의 경우 그 폐합단면으로 인하여 인접한 부재와의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인접한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내부 공간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주로 강관의 외측에서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부가한 후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결합을 하더라도 충분한 결합강도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round steel pipe or a square steel pi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join with the adjacent member due to the closed end face. That is, it is not easy to access the inner space for coupling with the adjacent member, and is welded or bolted to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or welded or bolted after adding a separate member. However, bonding is still not easy, and even if bonding is performed,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bonding strength.
또한, 강관과 강관을 서로 맞대어 결합하는 경우, 얇은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축력이 가해지므로 충분한 축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축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마주하는 강관이 서로 어긋나거나 경사지게 되는 경우 특정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게 되고, 이 부위에서 국부적 파손이 발생하거나, 나아가 버팀보 자체가 붕괴에 이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when the steel pipe and the steel pipe are butted against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sufficient axial force is difficult to be exhibited because the axial force is applied in the state where the thin end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opposing steel tubes are shifted or inclined in a state in which the axial force is applied, stress is concentrated at a specific portion, local breakage occurs at this portion, and further, the strand itself may collapse.
또한, 강관의 축력을 넓게 분산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부재와 결합하는 경우 그 결합방법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eel pipe is combined with two or more members in order to widely disperse the axial force of the steel pipe, there is a great difficulty in the joining method.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Technique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re being developed.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8878호에는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도 6 참조). 이 종래개술은 띠장에 미치는 힘을 분산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양측 띠장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2개의 강관 버팀보(100a, 100b)와; 상기 양측 띠장의 내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대형 강관 버팀보(220)와; 상기 2개의 강관 버팀보와 대형 강관 버팀보 사이에 위치되어 2개의 강관 버팀보와 대형 강관 버팀보에 연결되는 연결체(300) 및 상기 2개의 강관 버팀보와 대형 강관 버팀보에 각각 접합되고 상기 연결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연결체에 체결되는 기초판(400)을 포함하는 강관 버팀보의 Y형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때, 2개의 강관 버팀보와 대형 강관 버팀보를 연결하는 연결체는 3면으로 형성되어, 3면 중에서 일면은 다른 면보다 넓어 대형 강관 버팀보가 연결되고, 그 나머지 면은 2개의 강관 버팀보가 연결되며, 이 연결체는 철근을 배근하고 앵커볼트를 돌출 매입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제조되고, 강관 버팀보의 단부에 접합된 기초판의 구멍에 앵커볼트의 단부를 끼움으로써 강관 버팀보와 결합된다.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698878 discloses "a wye-type connection structure of a steel pipe strut" (see Fig. 6). In this conventional art, two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연결체(300)는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310)를 타설하여 제조하므로, 제조가 복잡하며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rt, since the
또한, 설치하고자 하는 2개의 강관 버팀보(100a, 100b) 및 대형 강관 버팀보(220)의 크기, 형상, 결합 방향 등에 맞게 연결체(300)를 각각 제작해야 하므로, 연결체(300)의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재활용이 불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2개의 강관 버팀보(100a,100b)와 대형 강관 버팀보(220)는 연결체(300)에 의해 정해진 각도로만 결합이 가능하여, 설계, 제작, 시공 등의 오차 및 설계 변경에 따른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다.The two
또한, 기초판(400)이 2개의 강관 버팀보(100a, 100b) 및 대형 강관 버팀보(220)의 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용접 결합되는 것이므로, 전체 구조물을 함께 이동하여야 하므로 운반이 어렵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2553호에는 "토목 및 건축용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도 7a, 도 7b 참조). 이 종래개술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구조물과 구조물을 지지하고 양측에 중공부를 갖는 버팀보(110)와; 상기 버팀보의 측면에 연결되어 구조물을 지지하는 측면버팀보(120)와; 상기 측면버팀보와 버팀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버팀보를 중심으로 측면버팀보의 각도를 조절하는 회동지지수단(130)과; 상기 회동지지수단의 일측에 연결되어 버팀보의 중공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8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버팀보의 중공부의 내측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지지편(182)과; 상기 지지편과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동지지수단과 접하여 결합되는 절곡편(18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편과 상기 절곡편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보강편(186)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 및 건축용 구조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No. 10-0962553 discloses a " support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ee Figs. 7A and 7B). This conventional art includes a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측면버팀보(120)가 버팀보(1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므로, 측면버팀보(120)와 버팀보(110)의 견고한 결합을 얻기 위해 결합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많은 노력이 들게 된다. However, since the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버팀보(110)가 H형강인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be applied only when th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2방향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강관과 2방향결합부재의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또한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축하중을 더 넓은 범위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제1, 2부재가 결합되는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low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a width, and a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eel pipe and used for join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By including the two-way join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joining member that is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teel pipe and the two-way joining member, does not cause breakage at the joining portion, and easily joins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 bi-directional engaging member capable of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a stable range and easily adjusting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coupled.
또한, 타측 단부에는 상기 2방향결합부재를 동일한 결합부재를 결합하거나, 또는 형상이 상이한 다양한 결합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일측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를 결합하고, 타측에서도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를 결합하거나, 또는 타측에서는 강관과 동일한 방향으로 버팀보, 잭 등과 결합할 수 있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two ends of the two-way coupling members may be joined to each other at the other end, or a plurality of different coupling member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one side, And a two-way joining member capable of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or the joining memb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teel pipe on the other side.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는,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 및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2방향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방향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판;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제1, 2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el pipe strut with the two-way join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a bi-directional engaging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l pipe and used for engag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wherein the bi-directional engaging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eel pipe A plurality of flanges inserted and joined to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flanges and for coupling with the first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member while be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flanges,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can be coupled.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may be long holes.
또한, 상기 2방향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절개홈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에 결합되는 직교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교플랜지는 상기 복수의 플랜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wo-way engagemen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orthogonal flange formed at one end of the steel pipe and coupled to a cutout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urality of cutout grooves, And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used for coupl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또한,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외측면에 각각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되는 접합판; 상기 접합판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에는 볼트, 또는 리벳 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uxiliary coupling member may include a joint plate, which is bolted or rive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respectively; And a vertical plate coupled perpendicularly to the joining plate, wherein the vertical plate is formed with a bolt or a hole for riveting.
또한,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ull-up port may further include a nut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steel pipe, an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steel pipe, an insert pin screwed into the nut through the insertion hole, And a circular or rectangular ring coupled to the insertion pin.
또한,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2방향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the two-way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또한,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이격 구비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 및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웨브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제1보강웨브 및 제2보강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joint member may include a first flange coupled to the steel pipe, a second flang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An H-shaped steel including a web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a first reinforcing web and a second reinforcing web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eb, the first reinforcing web and the second reinforcing web being coupled between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제1절개홈, 제2절개홈)한 쌍의 절개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 및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joint member may include a pair of first and second cutout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cutout groove and a second cutout cutout) An H-shaped steel comprising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respectively, inserted and joined to the cutout groove, and a web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a coupl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of the H-shaped steel, wherein the coupling plate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members.
또한,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third joint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ange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third joint memb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And a coupl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plurality of flanges, wherein the coupling plate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members.
또한,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4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내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ourth join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And a plurality of flanges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and inserted into a cutout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connecting plate has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for engaging with other members . ≪ / RTI >
본 발명을 통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의 강관과,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2방향결합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강관과 2방향결합부재의 결합강도가 우수하고,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하며, 또한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축하중을 더 넓은 범위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제1, 2부재가 결합되는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by a two-way joining member which is used for the purpose of joining to one side end of the steel pipe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The joint strength between the steel pipe and the two-way joining member is excellent, no breakage occurs in the joining region,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are easily combined to stably support the axial load in a wider range , And the angle at whic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coupled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타측 단부에는 상기 2방향결합부재를 동일한 결합부재를 결합하거나, 또는 형상이 상이한 다양한 결합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일측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를 결합하고, 타측에서도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를 결합하거나, 또는 타측에서는 강관과 동일한 방향으로 버팀보, 잭 등과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two ends of the two-way coupling members may be joined to each other at the other end, or a plurality of different coupling member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one side,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or to provide the effect that the other side can be combined with the strut, jack or the lik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teel pipe.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보조결합부재가 설치된 도면, 설치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타측 단부에 제1결합부재가 구비된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타측 단부에 제2결합부재가 구비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타측 단부에 제3결합부재가 구비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타측 단부에 제4결합부재가 구비된 도면들이다.
도 6, 도 7은, 종래기술에 대한 도면들이다.1A to 1D are a perspective view,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installation view and an installation view of a steel tube sprocket having a two-way engagement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views showing a first coupling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a steel tube sprocket having a two-way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a second coupling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a steel pipe brace provided with a two-way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o 4C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third join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a steel pipe strut with a two-way join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C are views showing a fourth joining memb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a steel pipe brace comprising a two-way join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diagrams for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connected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tructure of a steel pipe strut with a two-way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이하, 편의상 '버팀보'라고 칭할 수 있다)는, 강관(10)과, 상기 강관(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2방향결합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방향결합부재(20)는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1,3)를 볼트 등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내측은 강관(10)의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외측은 내측의 반대쪽을 의미한다.1, a steel pipe strut with a two-way joining memb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rut boat for convenience) comprises a
본 실시예의 강관(10)은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중공 형상이며, 그 단면을 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강관은 종래에 버팀보로 널리 사용되어온 H형강에 비해 휨강성이 우수하여 버팀보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강관은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의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강관, 즉 원형강관, 사각강관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버팀보를 간편하고,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The
상기 2방향결합부재(20)는 강관(10)의 일측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와,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면서 상기 제1부재(1)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판(22)과,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용접 결합되면서 상기 제2부재(3)와의 결합을 위한 제2연결판(24)을 포함할 수 있다.The two-
복수의 플랜지는 강관(10)의 일측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각각 삽입되어 용접 결합, 즉 절개홈의 전체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강관(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를 통해 강관(10)에 전달되는 하중이 절개홈 전체에서 수용됨으로써, 하중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ange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formed at one side of the
제1, 2연결판(22,24)은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용접 결합됨과 동시에 상호 결합됨으로써, 2방향결합부재(20)의 강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또한, 제1, 2연결판(22,24)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즉, ㄱ자형상 등과 같이 서로 꺾여서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1,3)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제1, 2부재(1,3)를 서로 다른 2방향으로 결합하여 축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큰 축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강관(10)의 규격을 크게 할 수 있고, 버팀보의 설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으며, 버팀보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공간을 넓혀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또한, 제1, 2연결판(22,24)에는 관통 구멍인 결합구를 복수개 형성하여, 버팀보가 인접한 제1, 2부재(1,3)와 볼트 등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팀보를 결합하고자 하는 제1, 2부재(1,3)와 볼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결합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체결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하다.Furthe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상기 복수의 결합구는 그 전부 또는 일부를 관통 구멍의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장공은 제1, 2부재(1,3)의 종류 및 형상, 결합구의 제작오차, 버팀보와 제1, 2부재(1,3)의 시공오차 등에 관계없이 버팀보와 제1, 2부재(1,3)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The whole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having a long through-hole. This slot has a sprocket and first and
또한, 2방향결합부재(20)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강관(10)의 일측 단부에 직교플랜지(26)를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직교플랜지(26)는 복수의 플랜지와 결합됨과 동시에, 제1, 2연결판(22,24)이 상호 결합되는 내측 모서리에 결합될 수 있다. 직교플랜지(26)가 복수의 플랜지 및 제1, 2연결판(22,24)과 연결됨으로써, 2방향결합부재(20)의 강성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직교플랜지(26)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속되거나, 또는 양 외측에만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two-
강관(10)의 일측 단부에는 직교플랜지(26)를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전술한 복수의 절개홈과 직각방향으로 별개의 절개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절개홈에 직교플랜지(26)가 삽입된 후 매우 넓은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 즉 절개홈의 전체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2방향결합부재(20)가 강관(10)에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직교플랜지(26)를 통해 강관(10)에 전달되는 축하중이 절개홈 전체에서 수용됨으로써, 축하중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에 의해 두 방향에서만 강관(10)에 지지 및 결합되는 2방향결합부재(20)가 직교플랜지(26)에 의해 또 다른 두 방향에서 지지 및 결합되므로, 2방향결합부재(20)가 사방에서 지지 및 결합되어 지지력이 현저히 증가될 뿐 아니라 2방향결합부재(20)의 결합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The one end of the
상기 제1연결판(22)과 상기 제2연결판(24)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2부재(1,3)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결합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auxiliary coupling member 30 which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보조결합부재(30)는, 상기 제1연결판(22)과 상기 제2연결판(24)의 외측면에 각각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되는 접합판(32); 상기 접합판(32)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34);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34)에는 볼트, 또는 리벳 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접합판(32)과 수직판(34) 사이에는 보강 헌치가 더 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coupling member 30 includes a
접합판(32)은 제1연결판(22)과 제2연결판(24)의 외측면 각각에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접합판(32)을 생략하고 제1연결판(22)과 제2연결판(24)의 외측면 각각에 수직판(34)이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The joining
또한, 수직판(34)은 접합판(32)에 직각방향으로 하나 또는 한 쌍이 용접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직판(34)에는 볼트, 리벳 등이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One or a pair of the
상기 보조결합부재(30)를 제1, 2연결판(22,24)에 결합함으로써, 버팀보에 결합되는 제1, 2부재(1,3)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설치각도가 쉽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및 시공 오차 등으로 제1, 2부재(1,3)의 설치각도를 수정해야 할 경우에도, 버팀보와 제1, 2부재(1,3)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 3) coupled to the strut can be easily coupled by coupling the auxiliary coupling member (30)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22, 24) Lt; / RTI > Therefore, even when the mounting angles of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 3) need to be adjusted due to design and construction errors,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trut bracket and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 .
한편, 강관(10)의 단부 근처에는 강관(10)의 인상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인상구(40)를 구비할 수 있다. 인상구(40)는 강관(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와, 강관(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를 통해 너트에 결합되는 것으로 나사가 형성된 삽입핀과,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4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상구(40)는 필요 없는 경우에 제거하거나,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ulling mouth (40) can be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steel pipe (10) to facilitate the pulling operation of the steel pipe (10). The pull-up
상기 인상구(40)는 너트가 없거나, 너트와 삽입핀 모두 없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인상구(40)를 링(42)만으로 구성하여 강관(10)의 외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인상구(40)를 강관(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혀져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pull-up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2방향결합부재(20)가 강관에 견고히 결합되고, 또한 2방향결합부재(2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강관(10)이 매우 안정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버팀보로서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버팀보 상호간의 연결시 강관(10)의 얇은 플랜지가 상호 접촉하지 아니하고 넓은 면적의 연결판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강관과 2방향결합부재(20)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2방향결합부재(20)의 분실의 염려가 없고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며, 보관 시 2방향결합부재(20)로 인하여 버팀보가 구르지 아니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trut bracke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very excellent as a strut, because the two-
상기 강관(1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2방향결합부재(20)와 동일한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양측에 동일한 2방향결합부재(20)가 결합될 수 있다. And the other end of the
도면 2를 참조하면, 강관(10)의 타측 단부에는 2방향결합부재(20)와 상이한 형상의 제1결합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second
이 제1결합부재(50)는, 강관(10)의 타측에 용접 결합되는 제1플랜지(52)와, 상기 제1플랜지(52)와 이격 구비되는 제2플랜지(54)와, 상기 제1플랜지(52)와 제2플랜지(54)를 연결하는 웨브(56)를 포함하는 H형강일 수 있다. 제1플랜지(52)는 강관(10)의 단부에 결합되거나, 제1플랜지(52) 크기의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즉, 제1결합부재(50)는 기존의 규격화되어 생산되는 H형강을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견고하고, 신속한 제작이 가능하며, 제작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H형강은 구조가 단순하고 개방된 형상으로 인하여, 타 부재와의 결합은 볼트 체결만으로 가능하므로 체결이 신속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관(10)을 직접 맞대어 결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강관(10)의 국부적 파손과 붕괴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아니한다.That is, the first joining
또한,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52)와 제2플랜지(54) 상호간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보강웨브와, 제2보강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보강웨브와 제2보강웨브는 H형강의 웨브(56)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1플랜지(52)와 제2플랜지(54)에 용접 결합될 뿐 아니라, 웨브(56)에도 용접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reinforcing web and a second reinforcing web may be included to increase the bearing force between the
제1보강웨브와 제2보강웨브는 제1플랜지(52), 제2플랜지(54) 및 웨브(56)의 3면에 용접 결합됨으로써, 웨브(56)의 휨을 억제하고, 동시에 제1플랜지(52)와 제2플랜지(54)를 상호 지지함으로써, 제1결합부재(50)의 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webs are welded to the three sides of the
또한, 제2플랜지(54)에는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복수의 결합구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Further, the
복수의 결합구는 타 부재의 종류, 형상, 또는 결합구의 제작 오차 등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일측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may be formed as elongated elongated holes on one side or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y can be easily combined regardless of the kind, shape, or manufacturing error of the other members.
도면 3을 참조하면, 강관(10)의 타측 단부에는 2방향결합부재(20)와 상이한 형상의 제2결합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상기 제2결합부재(60)는, 상기 강관(10)의 타측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플랜지(62)와 제2플랜지(64), 및 상기 제1플랜지(62)와 상기 제2플랜지(64)를 연결하는 웨브(66)를 포함하는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62)와 제2플랜지(64)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68)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제1플랜지(62)와 제2플랜지(64)는 절개홈에 삽입된 후 매우 넓은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즉, 절개홈의 전체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강관(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랜지(62)와 제2플랜지(64)를 통해 전해지는 축하중은 강관(10)의 절개홈 전체에서 수용함으로써 축하중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상기 연결판(68)은 제1플랜지(62) 및 제2플랜지(64)와 용접으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1플랜지(62)와 제2플랜지(64)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결국 제2결합부재(6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판(68)에는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결합하고자 하는 타 부재와 볼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결합이 완료되므로, 체결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다.The connecting
제2결합부재(60)는 중앙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플랜지는 제1플랜지(62)와 제2플랜지(64) 사이에 설치되어 강관(10)에 형성되는 절개홈에 삽입되어 용접 결합됨과 동시에 웨브(66) 및 연결판(68)과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즉, 중앙플랜지는 강관(10)과 웨브(66)와 연결판(68)에 용접 결합됨으로써, 제1플랜지(62), 제2플랜지(64), 웨브(66), 연결판(68), 강관(10)이 형성하는 2개의 폐사각형을 분할하여 결합함으로써, 제2결합부재(60)의 강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플랜지는 타 부재로부터 전해오는 축하중을 안정되게 강관(10)에 전달함으로써, 축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The second engaging
도면 4를 참조하면, 강관(10)의 타측 단부에는 2방향결합부재(20)와 상이한 형상의 제3결합부재(70)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two-
제3결합부재(70)는, 상기 강관(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와,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78)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복수의 플랜지는 강관(10)의 절개홈에 삽입된 후 매우 넓은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즉 절개홈의 전체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복수의 플랜지가 강관(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를 통해 강관(10)에 전해지는 축하중이 절개홈 전체에서 수용됨으로써, 축하중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강관(10)과 제3결합부재(70)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제3결합부재(70)를 통해 전달되는 축하중을 강관(10)이 매우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버팀보로서 매우 우수하다.The plurality of flanges are welded to the
또한,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버팀보 상호간의 연결시, 강관(10)의 얇은 플랜지 즉, 강관(10) 단부의 얇은 단면이 아닌 넓은 면적의 연결판(78)이 상호 접하여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하지 아니한다.In addition, the stru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ructed such that when connecting the strut bosses, the thin flange of the
본 실시예의 버팀보는 강관(10)에 제3결합부재(70)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제3결합부재(70)가 분실될 염려가 없고,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하며, 보관 시 제3결합부재(70)로 인해 버팀보가 구르지 아니하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stru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third joining
연결판(78)은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서,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복수의 결합구는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용이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체결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편리할 수 있다. Since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easily coupled with the adjacent other members by bolts or the like, the fastening operation can be very fast and convenient.
또한, 연결판(78)은 복수의 플랜지와 결합됨으로써, 플랜지의 강성을 증가시켜 결국 제3결합부재(7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복수의 플랜지의 배치 형상은 방사방향 또는 우물정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shape of the plurality of flanges may b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r in the shape of a sperm pit.
도 5를 참조하면, 강관(10)의 타측 단부에는 2방향결합부재(20)와 상이한 제4결합부재(80)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5, a second joining
상기 제4결합부재(80)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강관(10)의 타측 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연결판(88)과, 상기 연결판(88)의 내측에 용접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강관(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용접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urth engaging
또한, 연결판(88)은 강관(10)의 단부에 용접으로 결합되며, 이 연결판(88)에 의해 버팀보가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버팀보가 인접한 타 부재와의 연결시 강관(10)의 얇은 단부가 아닌 넓은 면적의 연결판(88)이 접하여 결합됨으로써, 강관(10)을 직접 결합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강관(10) 단부의 국부적 파손, 나아가 버팀보의 붕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즉, 연결판(88)에는 관통 구멍인 결합구가 복수개 형성되어, 인접한 타 부재와 볼트 등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연결판(88)의 내측에 결합된 복수의 플랜지는 연결판(88)의 휨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제4결합부재(8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플랜지는 강관(10)의 절개홈에 삽입된 후 매우 넓은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 즉 절개홈의 전체 범위에서 강관(10)과 용접 결합됨으로써, 제4결합부재(80)를 강관(1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아울러, 연결판(88)과 플랜지를 통해 강관(10)에 전해지는 축하중이 절개홈 전체에서 수용함으로써, 축하중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ange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즉, 연결판(88)의 내측에 플랜지가 용접 등으로 결합되고, 연결판(88)이 강관(10)에 용접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플랜지가 강관(10)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용접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결국 제4결합부재(80)가 강관(10)과 견고히 결합되고 동시에 강관(10) 단부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팀보가 인접한 타 부재와 견고히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버팀보에 작용하는 축하중과 휨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at is, the flang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또한, 강관(10)의 단부 근처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for bolt fastening may be formed near the end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nstituted or operated selectivel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Furthermore,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제1부재
3: 제2부재
10: 강관
20: 2방향결합부재
22: 제1연결판
24: 제2연결판
26: 직교플랜지
30: 보조결합부재
32: 접합판
34: 수직판
40: 인상구
42: 링
50: 제1결합부재
52: 제1플랜지
54: 제2플랜지
56: 웨브
60: 제2결합부재
62: 제1플랜지
64: 제2플랜지
66: 웨브
68: 연결판
70: 제3결합부재
78: 연결판
80: 제4결합부재
88: 연결판1: first member
3: second member
10: Steel pipe
20: two-way coupling member
22: first connection plate
24: second connecting plate
26: Orthogonal flange
30: auxiliary coupling member
32:
34: Vertical plate
40: Impression hole
42: Ring
50: first coupling member
52: 1st flange
54: second flange
56: web
60: second coupling member
62: 1st flange
64: second flange
66: web
68: Connection plate
70: third coupling member
78: Connection plate
80: Fourth coupling member
88: Connection plate
Claims (11)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서로 다른 방향의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2방향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방향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판;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제2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의 상기 제1, 2부재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2방향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절개홈과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홈에 결합되는 직교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직교플랜지는 상기 복수의 플랜지 및 상기 제1, 2연결판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A hollow-shaped steel pipe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width; And
And a bi-directional engaging member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l pipe and used for a purpose of engag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in different directions,
The two-
A plurality of flange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utout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steel pipe;
A first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flanges and for coupling with the first member; And
And a second connecting plat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flanges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member,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r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Two members can be combined,
The two-
Further comprising an orthogonal flange formed at one end of the steel pipe and coupled to a cutting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urality of cutting grooves,
Wherein the orthogonal flange is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flang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is a long hole.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외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2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oupling member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to be used for coupl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Steel pipe strut.
상기 보조결합부재는,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외측면에 각각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되는 접합판;
상기 접합판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에는 볼트, 또는 리벳 결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uxiliary coupling member comprises:
A joining plate which is bolted or rivet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plate, respectively;
And a vertical plate coupled perpendicularly to the joining plate,
Wherein the vertical plate is provided with a bolt or an rivet-engaging hole.
상기 강관의 단부 근처에 구비되는 인상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구는 상기 강관의 내측에 구비되는 너트, 상기 강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삽입구,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삽입핀, 상기 삽입핀에 결합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의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ll-up port provided near an end of the steel pipe,
The pull-up port includes a nu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teel pipe, an insertion port formed through the steel pipe, an insertion pin screwed into the nut through the insertion port, and a circular or rectangular ring coupled to the insertion pin Wherein the two-way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two-way coupling member.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2방향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6,
And the two-way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에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이격 구비되는 제2플
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 및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웨브의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되는 제1보강웨브 및 제2보강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랜지는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6,
And a first engag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The first engagement member
A first flange coupled to the steel pipe, and a second flang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An H-shaped steel including a web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And a first reinforcing web and a second reinforcing web which are coupl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of the H-shaped steel and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eb,
And the second flang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members.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홈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 및
상기 H형강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
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6,
And a second engagement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An H-shaped steel including a first flange and a second flang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pair of cutout grooves spaced from each other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and a web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A connect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of the H-shaped steel;
However,
Wherein the coupling plate has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members.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3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 및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6,
And a third engagement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The third engagement member
And is inserted and joined to a plurality of cut-away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l pipe
A plurality of flanges; And
And a connecting plate coupled to an outer end of the plurality of flanges,
Wherein the coupling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members.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4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결합부재는,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 및
상기 연결판의 내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강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은 타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방향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6,
And a fourth engagement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fourth engaging member
A connect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And
And a plurality of flange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late and inserted into the cutout groove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coupling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memb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3912A KR101915014B1 (en) | 2016-12-30 | 2016-12-30 | Steel pipe strut with 2 way connection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3912A KR101915014B1 (en) | 2016-12-30 | 2016-12-30 | Steel pipe strut with 2 way connection mem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782A KR20180078782A (en) | 2018-07-10 |
KR101915014B1 true KR101915014B1 (en) | 2018-11-06 |
Family
ID=6291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3912A KR101915014B1 (en) | 2016-12-30 | 2016-12-30 | Steel pipe strut with 2 way connection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5014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48816A (en) * | 2001-05-25 | 2002-12-04 | Yoshida Kouzou Design:Kk | Anchorage device and protective fence |
KR200387370Y1 (en) * | 2005-03-17 | 2005-06-17 | 황문삼 | Gradient buttressing materials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ith rotatable connecting bracket |
KR100698878B1 (en) * | 2005-12-29 | 2007-03-22 | (주)핸스건설 | Y Type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s |
US20130074440A1 (en) * | 2011-03-29 | 2013-03-28 | Cameron John Black | Geometric connecting assembly and method for braced frame connections |
KR101591480B1 (en) * | 2015-10-21 | 2016-02-03 |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 Steel Pipe Strut Connection Structure Bearing Composite Stress |
CN205063087U (en) * | 2015-10-29 | 2016-03-02 | 上海堃熠工程减震科技有限公司 | Buckling restrained brac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3497B1 (en) * | 2006-04-14 | 2007-01-24 | (주)핸스건설 |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oil pressure |
-
2016
- 2016-12-30 KR KR1020160183912A patent/KR10191501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48816A (en) * | 2001-05-25 | 2002-12-04 | Yoshida Kouzou Design:Kk | Anchorage device and protective fence |
KR200387370Y1 (en) * | 2005-03-17 | 2005-06-17 | 황문삼 | Gradient buttressing materials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ith rotatable connecting bracket |
KR100698878B1 (en) * | 2005-12-29 | 2007-03-22 | (주)핸스건설 | Y Type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s |
US20130074440A1 (en) * | 2011-03-29 | 2013-03-28 | Cameron John Black | Geometric connecting assembly and method for braced frame connections |
KR101591480B1 (en) * | 2015-10-21 | 2016-02-03 |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 Steel Pipe Strut Connection Structure Bearing Composite Stress |
CN205063087U (en) * | 2015-10-29 | 2016-03-02 | 上海堃熠工程减震科技有限公司 | Buckling restrained brac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782A (en) | 2018-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13425B1 (en) | Structural connectors | |
KR101364922B1 (en) | Buckling-Restrained Braces | |
KR101118608B1 (en) | Phi truss structure | |
KR101687005B1 (en) | L-section steel synthetic strut for earth retaining structure | |
KR101354857B1 (en) | Strut having angle pipe section symmetrical with neural axis | |
WO2015141393A1 (en) | Brace device and earth-retaining falsework | |
KR100993096B1 (en) | A lattice girder for tunnel construction | |
KR102066926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 | |
KR101914674B1 (en)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
KR101289149B1 (en) | Structure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pipe struts | |
CN101413298B (en) | Light triple-heavy metal circular tube flexion restriction support energy dissipating machine | |
KR20050075314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trut | |
KR101915014B1 (en) | Steel pipe strut with 2 way connection member | |
KR101915013B1 (en)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
KR20130062018A (en) | Jointing apparatus for steel pipe support strut and support strut using the same and support strut installation method | |
KR101670941B1 (en) | Band of steel pipe strut | |
KR101831107B1 (en) | Temporary bridge structure | |
JP4386804B2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xisting steel towers | |
JPWO2017195233A1 (en) | Support | |
KR102008991B1 (en) | supporting system for strut using wale girders with plural row | |
KR102171986B1 (en) | Steel pipe strut assembly | |
KR101869262B1 (en)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
KR200399887Y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trut | |
KR102139278B1 (en) | Hybrid joint apparatus and joint method for tubular steel pole | |
KR101914679B1 (en) | Steel pipe strut with connection 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