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572B1 -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572B1
KR101914572B1 KR1020180071909A KR20180071909A KR101914572B1 KR 101914572 B1 KR101914572 B1 KR 101914572B1 KR 1020180071909 A KR1020180071909 A KR 1020180071909A KR 20180071909 A KR20180071909 A KR 20180071909A KR 101914572 B1 KR101914572 B1 KR 10191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head
user
korean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용
정보연
Original Assignee
장우용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우용,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우용
Priority to KR102018007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572B1/ko
Priority to PCT/KR2019/007505 priority patent/WO20192453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5Touch-screens; Virtual keyboard or keypads; Virtual buttons; Soft keys; Mouse tou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기 동작과 결합시킨 한글발성을 통해 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및 상기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입력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로서,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한글발성 뇌운동을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된 해당 문자를 쓰거나 이미지를 그리도록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THE SYSTEM OF BRAIN EXERCISE WITH HANGEUL VOCALIZATON}
본 발명은 뇌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기 동작과 결합시킨 한글발성을 통해 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질환 등 여러 건강문제로 인해 건강상태가 열악한 시기로 노인의 44.4%가 자신의 평소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정신건강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노인의 29.2%는 심각한 수준의 우울 증상을 지니고 있으며, 85세 이상 연령군에서는 43.0%로 두 배 이상의 차이가 있다.(정경희 외, 「2011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p.621.)
노인 우울증은 일상생활 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에 손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기능 손상은 노인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이문수, 곽동일, 정인과, 「노인 우울증에서 일상생활 기능의 손상」, 『노인정신의학』 4(1), 1999, pp.91-110.)
우울은 두뇌 활성 상태와도 관련성이 있다. 우울은 두뇌 활성 상태와도 관련성이 있다. Henriques와 Davidson(1991)은 15명의 우울증 환자와 13명의 정상인의 뇌파를 비교한 결과, 우울증 환자의 전두 영역에서 우반구 우세활동을 관찰하였다. 어떤 외부자극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뇌피질 신경세포의 자발적인 전기활동인 배경뇌파(background EEG) 검사에서 우울증 환자의 뇌파 활성 상태는 정상인에 비해 좌측 전두엽(frontal lobe)에서 알파파가 증가하고 우측 전두엽에서는 베타파가 증가한다. 즉, 환심과 보상을 받으려는 방향으로 감정과 행동이 유도되는 좌측 전두엽의 활성도는 감소하고, 좌절에 상처받기 쉬운 물러남에 취약한 성향을 담당하는 우측 전두엽 활성도는 증가하는 전두엽 부위의 비대칭 패턴을 보이며, 우울 증상이 심할수록 비대칭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최승원, 『전두엽 알파파 뉴로피드백의 우울증 치료효과』,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p.88.)
노인의 경제와 건강문제 측면을 살펴보면, 노인이 건강하지 못하여 경제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고, 경제적 빈곤으로 인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건강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를 발생시키는 등 경제와 건강문제가 서로 맞물려서 작용하는 특성이 있다.(원영신, 「노인건강운동이 노인의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산학연구단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6, p.40.)
이러한 문제 해결에 대한 대안으로 노인들의 의료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고 적극적인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최근 인간적이고 통합적이며 전인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대체요법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대체요법은 노인의 경제와 건강문제의 특성에 적합하고 법적인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움으로 양로원이나 노인복지시설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한다면 노인 건강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나대웅, 「노인 건강 증진을 위한 대체요법의 활용방안」, 『한국정신과학학회지』 12(1), 2008, pp.57-68.)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나 노인복지기관에서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프로그램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노인 건강증진 및 건강교육 프로그램 참여율은 12.6%로 매우 낮아 노년기 건강증진사업의 개발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정양숙, 『노인에게 적용된 운동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p.60.)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한글발성과 손가락체조 및 한글 뇌운동(자음/모음) 학습 활동이 뇌파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왔으며, 이를 통하여 한글발성과 손가락체조 및 한글 뇌 운동(자음/모음) 학습 활동이 신체에 미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연구에 기초하여 특히 쓰기 동작과 결합시킨 한글발성을 통해 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쓰기 동작과 결합시킨 한글발성을 통해 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며 신체 건강증진을 꾀할 수 있는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에 있어서,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두부 착용부와, 두부 착용부의 크기가 사용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크기 조절수단과, 두부 착용부의 내측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가압하며 진동에 의한 자극을 가하는 진동유닛과, 사용자로부터 한글발성 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사용자에게 한글발성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및 상기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입력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로서,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한글발성 뇌운동을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된 해당 문자를 쓰거나 이미지를 그리도록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는 블루투스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루투스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페어링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자 또는 이미지는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은 발성과 함께 상기 문자 또는 이미지에 대하여 왼손 쓰기/그리기 또는 오른손 쓰기/그리기가 행해지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이크는 거친 숨소리나 콧소리를 걸러내고, 두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마 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피커 주위에는 아로마 성분이 충전된 링 형태의 아로마 캡슐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아로마 캡슐은 두부 착용부의 내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피커의 주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에 의하면, 쓰기 동작과 결합시킨 한글발성을 통해 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며 신체 건강증진을 꾀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의 실제 사진을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의 스피커 주위에 링 형태의 아로마 캡슐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의 실제 사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은 크게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100)와, 사용자 단말(200)로 구성된다.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100)는 두부 착용부(110)와, 크기 조절부(120)과, 진동유닛(130)과, 마이크(MIC)와, 스피커(SP)와, 블루투스모듈(140)과. LED모듈(150)과, 전원(160)과, 제어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두부 착용부(110)는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두부 착용부(110)는 헬맷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귀부분과 후두 부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크기 조절수단(120)은 두부 착용부(110)의 크기가 사용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 조정되도록 한다. 크기 조절수단(120)은 두부 상부와의 크기 조절(상하조절)을 위한 제1 크기 조절수단(121) 및 두부 전후와의 크기 조절(좌우조절)을 위한 제2 크기 조절수단(123)으로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두부 상부와의 크기 조절을 위한 제1 크기 조절수단(121)은 진동유닛(130)이 장착되어 있는 상부 구조체(111)를 상하로 전후진시켜서 진동유닛(130)이 사용자의 두피에 적절한 자극을 가할 수 있게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크기 조절수단(1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구조체(111)에 고정 설치되고 두부 착용부(11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121a)와, 다이얼러(121b)의 조작에 의해 볼트(121a)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2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크기 조절수단(123)은,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방 보호패드(113)와 후방 보호패드(115)(도 9 참조) 중에서 후방 보호패드(115)에 고정 설치되고 두부 착용부(110)의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와, 다이얼러의 조작에 의해 볼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유닛(130)은 사용자의 두부를 가압하며 진동에 의한 자극을 가함으로써 뇌운동의 활성화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진동유닛(130)은 상부 구조체(121b)에 복수개로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유닛(130)은 진동수단(131)을 내장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자극돌기부(132)와, 상기 자극돌기부(132)가 사용자의 두부를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탄성체(133)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진동유닛(130)은 상기 자극돌기부(13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도시안됨)와, 상기 탄성체(133)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부(도시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MIC)는 사용자로부터 한글발성 사운드를 입력받는다.
바람직하게, 마이크(MIC)는 거친 숨소리나 콧소리를 걸러내고, 두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마 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부 착용부(110)의 전방측에, 구체적으로는 LED모듈(150)의 위치에 함께 설치되고 있어, 소리의 전달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스피커(SP)는 한글발성 사운드를 사용자의 귀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SP)는 두부 착용부(110)의 측면부에, 즉 사용자의 귀 부위에 한 쌍의 스피커(SP1, SP2)로 제공되고 있다.
바람직하게, 스피커(SP)는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한글발성 사운드를 내측 및 외측으로 출력함으로써 한글발성의 효과를 증진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및 사용자 단말의 전자적인 구성을 걔략적으로 도시하는데, 먼저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100)는 진동유닛(130)과, 블루투스모듈(140)과, LED모듈(150)과, 전원(160)과, 마이크(MIC)와, 스피커(SP)와, 제어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블루투스모듈(140)은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블루투스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LED모듈(150)은 예를들면 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데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원(160)(예: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모듈(170)은 모든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블루투스모듈(140)이 사용자 단말(200)과 페어링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무선통신부(210)와, 디스플레이부(220)와,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무선통신부(210)는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송수신부로, 특히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40)과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입력수단(220a)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로서, 한글발성 뇌운동을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화면부(220b)에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된 해당 문자를 쓰거나 이미지를 그리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220)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어부(230)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한글발성 뇌운동을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된 해당 문자를 쓰거나 이미지를 그리도록 제어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100) 및 사용자 단말(200)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의 스피커 주위에 링 형태의 아로마 캡슐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아로마 성분이 충전된 링 형태의 아로마 캡슐(180)을 스피커 주위에 배치하여 뇌의 집중효과를 증가시키므로 정신집중을 요하는 아로마테라피와 아로마콜로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로마 캡슐(180)은 두부 착용부(110)의 내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피커(SP1, SP2)의 주위에 장착되되, 바람직하게는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피커의 주위에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시스템에 의한 뇌운동 학습 효과검증
1. 검증대상
검증 대상자는 A시 S요양원에 있는 76-98세의 노인으로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사람들로 하였다. 이들 대상자들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지기능저하 판정을 받은 노인들이며, 기존의 신체 질환이 동반된 경우와 뇌파검사 제외 기준에 해당하는 자들은 검증 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2. 실험절차
이 검증은 본원에 따른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매일 1시간씩 총 30일(30시간)의 교육을 실시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에게 뇌운동 기기 시스템을 소개하고 측정 방법과 주의사항을 설명한 후 실험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
측정 장비는 1대의 뇌파측정시스템으로 뇌파 측정 전문가 1명과 1명의 노인복지사가 피험자를 측정하였다. 사전검사는 실험 시작 1일차, 사후 검사는 실험 종료일에 피험자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3. 측정 도구 및 분석
배경뇌파 검사는 외부의 어떠한 자극도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뇌피질 신경세포의 자발적인 전기활동을 측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 소음과 빛이 차단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해당 요양원 내의 상담실에서 편안한 의자에 앉아 눈을 감고 있는 피험자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시 잡파(artifacts)를 줄이기 위하여 몸의 움직임을 최대한 통제하고 주의를 주었다. 뇌파측정은 다원생체계측 시스템인 전산화 폴리그래프 시스템(polygraph system)인 PolyG-1(Laxtha Inc.,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머리 표면 총 8부위에서 단극유도(monopolar derivation) 방식으로 측정하였으며, 10/20 국제전극배치법(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에 의해 차례로 Fp1, Fp2, F3, F4, T3, T4, P3, P4 위치에 측정전극을 [도 11]과 같이 부착하였다. 참조전극(reference electrode) A1은 우측 귓불 뒤, 접지전극(ground electrode)은 이마에 부착하였으며, 사용된 전극은 금으로 도포된 접시형태의 디스크 전극으로 노파전용 전극풀(ElefixZ-401CE, Japan)을 묻혀 두피에 부착하였다.
4. 실험절차
1) 프로그램의 과정
이 검증에서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대표적인 문제 성향으로 제시되는 우울을 개선하고 조화로운 뇌기능 활성을 통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좀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복잡하지 않으며, 노인들이 따라 하기 쉬운 우리말 자음과 모음에 의한다.
본원의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은 노인의 기혈순환 강화, 심신의 안정과 스트레스 경감, 의식세계 확장, 평화로운 자아실현 등의 기대 효과를 두고 교육내용을 구안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은 ① 자음/모음 총 24글자 및 좌우 운동 48가지; ② 입술, 혀, 구강운동; ③ 한글 학습지를 이용한 자음, 모음의 혀 위치와 자세 그리고 쓰기로, 차시별 교육내용은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8061419442-pat00001
2) 프로그램의 주요내용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周時經)이 지은 것으로 '크다', '바르다', '하나'를 뜻하는 고유어 '한'에서 비롯되었다.
그 뜻은 큰 글 가운데 오직 하나뿐인 좋은 글, 온 겨레가 한결같이 써온 글, 글 가운데 바른 글(똑바른 가운데를 한가운데라 하듯이), 모난 데 없이 둥근 글(입 크기에 알맞게 찬 것을 한 입이라 하듯이)이란 여러 뜻을 한데 모은 것이라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한글은 낱소리 문자에 속하며, 낱자 하나는 낱소리 하나를 나타낸다. 낱소리는 닿소리(자음)와 홀소리(모음)로 이루어진다.
한 소리마디는 첫소리(초성), 가운뎃소리(중성), 끝소리(종성)의 낱소리 세 벌로 이루어지는데, 첫소리와 끝소리에는 닿소리를 쓰고 가운뎃소리에는 홀소리를 쓴다.
한편, 이와 같은 한글은 첫소리(초성)인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ㅋ(키읔),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이 자음으로 배치되고, 가운뎃소리(중성)인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가 모음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한글은 소리내어 부르는 발성만으로도 뇌 운동을 자극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그러한 연구가 전무하였으며, 이에 대한 논의조차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① 한글의학 구조의 특징
한글은 세종대왕이 인체 구조학적으로 발음기관을 본떠 만든 문자로, 소리에 의한 움직임을 생물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동작의 방향성에 따른 혀와 안구의 운동 방향을 물리학적으로 정리하여 소리와 동작에 따라 뼈와 근육을 발달시켜 인체의 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 한글의학에 적용할 수 있다.
② 한글의학 뇌운동 이론적 배경
한글의학에서 소리는 성문 아래와 성문을 지나가는 기압은 성대에 힘을 가하며 진동하게 만든 것이며, 성대가 기류에 진동함으로써 생성되는 음성이 두경부의 빈공간인 부비동을 포함한 상부의 공기강(Cavity)에서 증폭된다. 그 폭이 공명이다. 또한 안구운동에 있어 수평, 수직, 비틀림, 회전을 일으키는 근육에 의해 위치와 운동이 제어되어 망막-시각피질-상구=뇌관 피드백에 의해서 기능이 소뇌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③ 한글의학 뇌운동의 정의
한글 의학에서 뇌운동이란 자연과학 원리 및 법칙을 통한 몸과 마음의 정신일체. 즉, 신체기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과 같은 감각이 뇌에 전달되는 정확한 경로를 찾아 자음, 모음을 이용 도형으로 대뇌, 소뇌, 뇌관, 좌뇌, 우뇌, 신경세포, 중추, 말초, 자율신경을 소생시킬 수 있도록 정리 되어 만들어진 한글의학의 뇌 운동이다. 뇌운동은 총88개로 정리하였다.
④ 한글 의학 발성 호흡
한글 의학에서 소리는 호흡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공기의 통용관 형상을 한 기관지를 통해 호흡이 될 때 소리의 강도가 일어나면 성대 저항력에 상응하는 지속적이면서도 민감한 변화에 일어나게 되고, 이때 발생되는 공기의 움직이는 정확한 경로를 찾아내어 한글소리 발성호흡으로 정리하였다.
점, 선, 면, 원선, 원점, 원면, 대각면, 대각점, 대각선, 원형 등으로 이루어진 호흡법이 116개가 있다. 도형을 이용하여 시각의 신경계의 다양한 측면을 독립적인 해부적 경로에 따라 안구의 3쌍의 근육을 균형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만든 운동법의 도표를 만들어 활용한다.
본원의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12] 및 [도 13]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한글발성 뇌 운동은 두뇌 활동과 원리들을 분석하고 명제화하여 체계화하고 올바른 추론과 증명의 법칙을 연구하여 만든 뇌운동 학습 프로그램으로, 뇌의 기초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균형과 발성 그리고 안구 운동을 통한 수평, 수직, 회선 운동을 자음과 모음의 쓰기와 결합시킨 자세와 발성,동작을 통하여 쓰는 방향에 따라 뇌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뇌운동 학습 프로그램이다.
뇌운동 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크기 조절부(120)를 작동시켜 사이즈를 조절하면서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100)를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자 단말(200)과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확립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진동유닛(130)의 진동 출력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왼손 "기역" 쓰기를 선택하게 되면, 발성의 방법, 마음가짐, 집중력,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인 지시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구체적인 지시는 음성을 통해서 안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지시에서 "기역"을 발성하면서 필순에 따라 "기역"을 쓰게 되며, 반대로 필순에 따라 "기역"을 쓰면서 "기역"을 발성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의 한글발성 사운드는 마이크(MIC)로 입력되어 스피커(SP)를 통해 출력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한번 자신의 한글발성 사운드를 듣도록 함으로써 한글발성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표 1]에 나타낸 프로그램 과정을 모두 수행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5. 뇌파측정 결과(알파파에 대한 효과검정)
프로그램의 효과검정을 위하여 측정한 값은 알파파에 대한 사전, 사후 측정값을 나타내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112018061419442-pat00002
알파파의 진폭은 낮고 주파수는 규칙적이나, 특히 중심~마루 부위는 뒤통수부위보다 주파수가 느리다. 또한 연령의 증가와 함께 알파파의 연속성이나 개안 등에 대한 반응성이 저하하므로 알파 억제(alpha-blocking)가 감소하며, 알파파의 출현량도 감소한다. 출현 부위는 알파파의 뒤통수 부위 우세성이 감소되고, 이마~중심부위 우세로 되는 것이 많다, 보통 각성 시 노화와 함께 알파파의 주파수는 8Hz 전후로 감소하여 느린 알파파가 나타난다. 이 파형을 중심으로 알파파가 뒤통수부위 우세가 아니라 알파파의 출현율이 높아 머리 전체영역에 걸쳐서 장시간 지속적으로 변동이 작고 거의 같은 진폭, 같은 주파수의 알파파가 전반성으로 출현하며, 분포의 극소적 차이가 작고 균등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전과 사후 측정값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뇌 맵핑(mapping) 형태로 시각화하여 결과는 [도 15]와 같다. 각 피험자의 사전과 사후의 변화된 패턴을 그림은 제시해 준다. 맵핑은 붉은색에 가까울수록 알파파 활성상태가 강함을 의미하며, 옅은 색일수록 알파파 활성상태가 약함을 의미한다.
[도 14]는 정상인의 알파파에 대한 표준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배경뇌파 측정 시 알파파의 경우 시각정보의 차단으로 후두엽 영역에서 알파파가 우세하게 출현하고 좌우 측두부에서는 알파파의 출현량이 낮게 출현하게 된다.
피험자1은 사전에 비해 좌측 전두에서 알파파가 다소 감소하였고 우측 후두부에서는 다소 증가하여 표준패턴에 가까워짐을 볼 수 있다. 이는 인지기능과 관련성이 높은 전두엽의 활성상태가 다소 높아진 것을 나타낸다.
피험자2는 사전의 경우 표준패턴보다는 우측전두부와 좌측후두부에서 다소 낮게 출현하고 있어, 정서적으로 감정의 기복이 심할 수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교육 후의 사후 맵핑은 사전에 비해 정상인 표준패턴에 가까워진 것을 보여준다. 인간의 고유리듬인 알파파가 표준패턴에 가까워졌다는 것은 두뇌 상태가 더욱 건강하고 안정 되어졌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피험자3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좌우전두부에서 알파파의 출현량이 감소한 것을 보여준다.
피험자 4는 표준패턴과 유사하게 뒤통수 부위에서 알파파(alpha wave)가 우세하게 출현하였으며 좌우뇌의 활성화 상태에서도 사전에 비해 사후에 대칭을 이루고 있다. 특히, 피험자 4는 좌우전두부에서 알파파가 감소하고 후두부에서 알파파 우세 현상이 나타나 표준패턴에 가까운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피험자 3과 피험자 5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후두부에서 알파파의 출현량은 우세해 지고 좌우뇌 대칭을 이루고 있으나 전두엽 부위에서 알파파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전두부에서 쎄타파(theta wave)가 우세한 경우는 뇌의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일 것이며 베타파(beta wave)가 우세하게 출현한 경우는 인지와 정서적 감정조절에 어려움을 있을 수 있다.
6. 결론
이 검증을 통해, 본원의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은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깊은 호흡과 같이 행하는 동작으로 정신을 집중시켜 행하는 신체적 정신적 운동으로 심신을 안정되게 할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서의 스트레스 해소가 될 수 있어 심신의 양생법으로 노인들에게 활용가치가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원의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시스템을 이용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이 전두엽의 알파파 비대칭성을 완화하여 인지기능의 향상과 우울을 개선하는데 영향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글 뇌 학습지(운동) 교육 프로그램은 뇌기능의 정상패턴을 유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부분 개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110 : 두부 착용부
120 : 크기 조절부
130 : 진동유닛
MIC : 마이크
SP : 스피커
140 : 블루투스모듈
150 : LED모듈
200 : 사용자 단말

Claims (7)

  1.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에 있어서,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두부 착용부와, 두부 착용부의 크기가 사용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 조정되도록 하는 크기 조절수단과, 두부 착용부의 내측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가압하며 진동에 의한 자극을 가하는 진동유닛과, 사용자로부터 한글발성 사운드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사용자에게 한글발성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 및
    상기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크기 조절수단은 두부 상부와의 크기 조절(상하조절)을 위한 제1 크기 조절수단 및 두부 전후와의 크기 조절(좌우조절)을 위한 제2 크기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크기 조절수단은 상기 진동유닛이 장착되어 있는 상부 구조체를 상하로 전후진시켜서 진동유닛이 사용자의 두피에 자극을 가할 수 있게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상부 구조체에 복수개로 장착되어 있고, 진동수단을 내장하며, 사용자의 두부에 접촉하는 자극돌기부와, 상기 자극돌기부가 사용자의 두부를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탄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두부 착용부의 내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측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도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고,
    상기 한글발성 뇌운동 기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입력수단을 구비한 디스플레이부로서, 한글발성 뇌운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 한글발성 뇌운동을 위한 한글의 자음, 모음 또는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글자를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된 해당 글자를 쓰도록 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된 해당 글자에 대하여 발성과 함께 왼손 쓰기 또는 오른손 쓰기가 행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스피커 주위에는 아로마 성분이 충전된 링 형태의 아로마 캡슐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아로마 캡슐은 두부 착용부의 내로 돌출되게 형성된 스피커의 주위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KR1020180071909A 2018-06-22 2018-06-22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KR101914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09A KR101914572B1 (ko) 2018-06-22 2018-06-22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PCT/KR2019/007505 WO2019245322A1 (ko) 2018-06-22 2019-06-21 자극 발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09A KR101914572B1 (ko) 2018-06-22 2018-06-22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572B1 true KR101914572B1 (ko) 2018-11-02

Family

ID=6432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09A KR101914572B1 (ko) 2018-06-22 2018-06-22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083B1 (ko) * 2019-01-22 2019-10-25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발성 호흡 기반 지각 학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호흡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98B1 (ko) 2002-09-25 2005-03-23 엠엠기어 주식회사 헬멧형 스피커장치을 이용한 의자용 스피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98B1 (ko) 2002-09-25 2005-03-23 엠엠기어 주식회사 헬멧형 스피커장치을 이용한 의자용 스피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083B1 (ko) * 2019-01-22 2019-10-25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발성 호흡 기반 지각 학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9326B2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for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neur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visual processing and perception conditions
Sadikovna Objectives and tasks of cochlear implantation
Sadikovna COCHLEAR IMPLANTATION: AN INNOVATION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MEDICINE, DEAF PEDAGOGY AND SPEECH THERAPY
Guntupalli et al. Emotion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fluent listeners while watching the speech of adults who stutter
CN110325237A (zh) 用神经调制增强学习的系统和方法
Miri et al. PIV: Placement, pattern, and personalization of an inconspicuous vibrotactile breathing pacer
Ádám Perception, consciousness, memory: Reflections of a biologist
KR20200031483A (ko)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 추천 시스템 및 장치
KR101914572B1 (ko) 한글발성 뇌운동 시스템
KR2020009126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수면 유도 방법
RU2412727C2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развития сенсорных систем у детей с нарушениями развития аутистического спектра
KR102125550B1 (ko) 자극 발생 시스템
RU2722457C1 (ru) Перс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сихофизиологической релакс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Gabriel et al. Parameters for applying the brainstem auditory evoked potential with speech stimulus: Systematic review
Tyson Individual singing instruction: An evolutionary framework for psychiatric music therapists
Vervoort et al. LISTEN to LIVE-our Brain and Music: The Tomatis Listening training and therapy
WO2019245322A1 (ko) 자극 발생 시스템
RU2150301C1 (ru) Способ оздоровления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путем конструктивного выхода из стресса
Ibrahim STUDY OF THE PROCESS OF CALLING GOD'S NAME FROM SCIENTIFIC GLASSES: ASPECTS OF DZIKRULLAH BY SCIENCE
Miri Using Technology to Regulate Affect: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Morkovin Mechanisms of Compensation for Hearing Loss: Theories and Research in the Soviet Union
CN113304378A (zh) 一种智能型大脑优化装置
Munoz The Breath as a Holistic Regulator: An Expressive Arts Therapy Community Project
US20090156889A1 (en) Method of inducing sleep
Cooper Meditation, Wisdom, and Compassion in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