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931B1 -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 Google Patents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931B1
KR101913931B1 KR1020170024467A KR20170024467A KR101913931B1 KR 101913931 B1 KR101913931 B1 KR 101913931B1 KR 1020170024467 A KR1020170024467 A KR 1020170024467A KR 20170024467 A KR20170024467 A KR 20170024467A KR 101913931 B1 KR101913931 B1 KR 101913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propellers
fuselage
tilting
w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826A (ko
Inventor
장진한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기술융합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술융합협동조합 filed Critical 기술융합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7002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931B1/ko
Priority to PCT/KR2017/002064 priority patent/WO2018155739A1/ko
Publication of KR2018009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008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 B64C29/0016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 B64C29/0033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horizontal when grounded the lift during taking-off being created by free or ducted propellers or by blowers the propellers being tiltable relative to the fusel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46Arrangements of, or constructional features peculiar to, multiple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이 개시된다. 수직이착륙항공기는, 전방날개부 및 후방날개부를 포함하는 비행동체, 상기 전방날개부의 좌측날개부와 우측날개부에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 상기 후방날개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 및 상기 전방날개부와 상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AND TRANSITION METHOD}
본 발명은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프로펠러의 회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추력을 제어하는 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항공기 기타 동체에서 이착륙을 위한 프로펠러의 추력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도 프로펠러의 틸팅을 통해 수직 이착륙의 추력을 제어하는 수직 이착륙 무인 항공기(한국공개특허 10-2014-0034370)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기술은 단순히 3개의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추력을 제어하여 이착륙을 수행하므로, 틸팅 과정에서 동체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틸팅 과정에서 동체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추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프로펠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틸팅함으로써, 수직 이륙 후 전진 추력을 발생시키는 과정과 전진비행 중 발생하고 있는 추력을 수직방향의 추력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동체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공중에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두 가지 이상의 모터조합을 가지도록 하는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진 추력 전환을 위한 프로펠러의 틸팅 시 동체 중심에 먼 프로펠러를 동체의 자세 유지에 활용함으로써, 동체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진 추력 전환을 위한 프로펠러의 틸팅 시 오동작이 우려되는 프로펠러 감지시 틸팅 프로펠러 셋을 변경함으로써, 틸팅 과정에서의 동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오동작에 대처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력 제어 항공기는, 전방날개부 및 후방날개부를 포함하는 비행동체, 상기 전방날개부의 좌측날개부와 우측날개부에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 상기 후방날개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 및 상기 전방날개부와 상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방날개부와 상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 추력 합산은 상기 비행동체의 무게보다 2.4배 내지 4.8배 큰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방날개부에 마련된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는, 상기 좌측날개부에 제1 프로펠러 내지 제4 프로펠러, 상기 우측날개부에 제5 프로펠러 내지 제8 프로펠러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날개부에 마련된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는, 제9 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동체의 수직 이륙 시에 상기 제1 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는 상방을 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는 2개가 한쌍을 이루되, 각 쌍을 이루는 프로펠러 중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제1 프로펠러, 제3 프로펠러, 제6 프로펠러, 제8 프로펠러, 제9 프로펠러, 제12 프로펠러)과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제2 프로펠러, 제4 프로펠러, 제5 프로펠러, 제7 프로펠러, 제10 프로펠러, 제11 프로펠러)로 구성하되, 수직 이륙 완료 후에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과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이 순차적으로 틸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수직 이륙 완료 후에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과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이 순차적으로 틸팅되도록 3단계로 제어하며, 제1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은 추력을 감소시키고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은 동체 무게의 1.2배보다 큰 추력으로 동체의 자세를 유지하며, 제2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의 회전을 중지한 후 전방을 향해 틸팅(tilting)하고, 틸팅이 완료되면 다시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제어하고, 제3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의 회전을 중지한 후 전방을 향해 틸팅(tilting)하고, 틸팅이 완료되면 다시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 중 하나의 프로펠러에서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좌우 대칭점에 있는 프로펠러의 추력을 오프시킨 후 틸팅을 수행하고,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 중 하나의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수직 이륙 후,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으로 수직추력을 유지하고,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을 먼저 틸팅한 후,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을 틸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펠러내지 제12 프로펠러 중 두 개의 프로펠러에서 이상 동작이 감지된 경우, 좌측날개부의 프로펠러(제1프로펠러 내지 제4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고, 우측날개부의 프로펠러(제5프로펠러 내지 제8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제9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여, 선택된 6개의 프로펠러를 수직이륙 후 자세유지에 사용하는 프로펠러 셋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프로펠러를 우선순위로 틸팅을 진행하는 프로펠러 셋으로 분류하여 틸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동체의 착륙시, 이륙의 역순으로 수직 착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력 제어 방법은, 2n(n은 자연수)개의 좌측 날개 프로펠러, 2n(n은 자연수)개의 우측 날개 프로펠러 및 2n(n은 자연수)개의 후방 날개 프로펠러를 상방으로 틸팅하여 동체를 이륙시키는 단계, 전체 6n개의 프로펠러 중 기설정된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상기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는 회전을 유지하고,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는 회전을 중지한 후, 상기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가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하는 단계, 틸팅이 완료되면, 상기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 중지한 후 동체의 중심점에 먼 3n개의 프로펠러가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하는 단계 및 상기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프로펠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틸팅함으로써, 수직 이륙 후 전진 추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동체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진 추력 전환을 위한 프로펠러의 틸팅 시 동체 중심에 먼 프로펠러를 동체의 위치 유지에 활용함으로써, 동체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진 추력 전환을 위한 프로펠러의 틸팅 시 오동작이 우려되는 프로펠러 감지시 틸팅 프로펠러 셋을 변경함으로써, 틸팅 과정에서의 동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오동작에 대처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항공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펠러가 상부를 향하도록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펠러가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항공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수직이착륙항공기(100)는 전방날개부 및 후방날개부를 포함하는 비행동체(120), 전방날개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101~108), 후방날개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109~112) 및 프로펠러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동체(120)는 전방날개부(121, 122)와 후방날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날개부(121, 122)는 좌측날개부(121) 및 우측날개부(122)를 포함한다.
좌측날개부(121), 우측날개부(122), 및 후방날개부(130)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10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프로펠러(101~112)는 이륙시에는 상방을 향하고, 전진 추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될 수 있으며, 각 프로펠러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방날개부에 마련된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는, 일예로, 상기 좌측날개부(121)에 제1 프로펠러(101), 제2 프로펠러(102), 제3 프로펠러(103), 제4 프로펠러(104), 상기 우측날개부(122)에 제5 프로펠러(105), 제6 프로펠러(106), 제7 프로펠러(107), 제8 프로펠러(107)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날개부(130)에 마련된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는, 제9 프로펠러(109), 제10 프로펠러(110), 제11 프로펠러(111), 제12 프로펠러로 구성(112)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비행동체의 수직 이륙 시에 상기 제1 프로펠러(101) 내지 제12 프로펠러(112)는 상방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직 이륙 시의 프로펠러가 상방을 향하는 모습 및 전진 추력 발생을 위해 전방을 향하는 모습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펠러가 상부를 향하도록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프로펠러가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7 프로펠러(107)가 상방을 향하고 수직 이륙을 위한 추력을 발생시키며, 도 3을 참고하면, 제8 프로펠러(108) 등이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되어 수직 이륙 이후에 전진비행을 위한 전진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제1 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는 2개가 한쌍을 이루되, 각 쌍을 이루는 프로펠러 중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제1 프로펠러, 제3 프로펠러, 제6 프로펠러, 제8 프로펠러, 제9 프로펠러, 제12 프로펠러)과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제2 프로펠러, 제4 프로펠러, 제5 프로펠러, 제7 프로펠러, 제10 프로펠러, 제11 프로펠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수직 이륙 완료 후에는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과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이 순차적으로 틸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틸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틸팅 과정에서 동체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복잡하고 힘들어지나, 12개의 프로펠러 중 절반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절반은 프로펠러의 회전을 중지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하며, 틸팅이 완료되면 프로펠러를 회전하여 전방 추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틸팅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펠러는 동체의 중심에 먼 프로펠러일 수록 안정적인 수평 유지가 가능해지므로,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제1 프로펠러, 제3프로펠러, 제6 프로펠러, 제8 프로펠러, 제9 프로펠러, 제12 프로펠러)는 초기 수평 유지에 활용되고,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제2 프로펠러, 제4 프로펠러, 제5 프로펠러, 제7 프로펠러, 제10 프로펠러, 제11 프로펠러)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틸팅된 후, 틸팅이 완료되면 프로펠러를 회전하여 전진 추력을 발생시키고, 이후 다시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제1 프로펠러, 제3프로펠러, 제6 프로펠러, 제8 프로펠러, 제9 프로펠러, 제12 프로펠러)의 회전을 중지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틸팅하고, 틸팅 완료 후 프로펠러를 회전하면, 틸팅 과정에서의 동체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12개의 프로펠러 중 절반만이 수평을 유지하는데 활용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상기 전방날개부와 상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 추력 합산은 상기 비행동체의 무게보다 2.4배 이상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전체 12개의 프로펠러로 구성되는 경우, 12개의 프로펠러가 수평유지를 위해 사용된다면, 12개의 프로펠러의 추력은 비행동체 무게의 2.4배가 되어 충분한 상승력과 수평유지력을 가지게 될 것이며, 6개의 프로펠러로 고도유지와 수평유지를 위해 사용된다면, 6개의 프로펠러의 추력은 비행동체 무게의 1.2배가 될 것이므로, 수평을 유지하고 동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최소한의 추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만, 일부 프로펠러의 오동작 등을 대비하고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1.2배 이상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수직 이륙 완료 후에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과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이 순차적으로 틸팅되도록 제어하되,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제1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은 추력을 감소시키고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은 동체 무게의 1.2배보다 큰 추력으로 동체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의 회전을 중지한 후 전방을 향해 틸팅(tilting)하고, 틸팅이 완료되면 다시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의 회전을 중지한 후 전방을 향해 틸팅(tilting)하고, 틸팅이 완료되면 다시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수직 이륙 완료 시에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제1 프로펠러, 제3 프로펠러, 제6 프로펠러, 제8 프로펠러, 제9 프로펠러, 제12 프로펠러)을 초기 수평유지를 위해 활용하나,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제1 프로펠러, 제3 프로펠러, 제6 프로펠러, 제8 프로펠러, 제9 프로펠러, 제12 프로펠러)에 속한 프로펠러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펠러에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에는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으로 수직추력을 유지하고,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을 먼저 틸팅한 후,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을 틸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 중 하나의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좌우 대칭점에 있는 프로펠러의 추력을 오프시킨 후 틸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 중 하나의 프로펠러에서 오동작이 감지된 경우, 오동작 감지 프로펠러와 좌우 대칭점에 있는 프로펠러(ex. 제2 프로펠러의 대칭점에 있는 프로펠러는 제7 프로펠러임)를 함께 오프하여 동체의 균형을 맞추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 중 하나의 프로펠러에서 오동작이 감지된 경우에는 틸팅하는 셋의 순서를 바꾸어 틸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펠러내지 제12 프로펠러 중 두 개의 프로펠러에서 이상 동작이 감지된 경우, 좌측날개부의 프로펠러(제1프로펠러 내지 제4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고, 우측날개부의 프로펠러(제5프로펠러 내지 제8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제9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여, 선택된 6개의 프로펠러를 수직이륙 후 자세유지에 사용하는 프로펠러 셋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프로펠러를 우선순위로 틸팅을 진행하는 프로펠러 셋으로 분류하여 틸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프로펠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틸팅함으로써, 수직 이륙 후 전진 추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동체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진 추력 전환을 위한 프로펠러의 틸팅 시 동체 중심에 가까운 프로펠러를 동체의 위치 유지에 활용함으로써, 동체의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프로펠러의 틸팅 시 오동작이 우려되는 프로펠러 감지시 틸팅 프로펠러 셋을 변경함으로써, 틸팅 과정에서의 동체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오동작에 대처할 수 있는 추력 제어 항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직이륙 시 추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이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며,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기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간소화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410)에서는 2n(n은 자연수)개의 좌측 날개 프로펠러, 2n(n은 자연수)개의 우측 날개 프로펠러 및 2n(n은 자연수)개의 후방 날개 프로펠러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틸팅하여 동체를 이륙시킬 수 있다. 즉, 전체 프로펠러의 수는 짝수개로 이루어지며, 좌측 날개, 우측 날개, 후방 날개에 동일한 수의 프로펠러를 마련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는 전체 6n개의 프로펠러 중 기설정된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상기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는 회전을 유지하고,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는 회전을 중지한 후, 상기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가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할 수 있다.
즉, 동체의 중심에 먼 프로펠러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프로펠러는 회전을 중지한 상태에서 틸팅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틸팅 과정에서 동체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는 틸팅이 완료되면, 상기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 중지한 후 동체의 중심점에 먼 3n개의 프로펠러가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할 수 있다.
즉, 절반의 프로펠러에 대한 틸팅이 완료되면, 나머지 절반의 프로펠러도 틸팅하여 전체 프로펠러의 틸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는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하도록 하여, 틸팅이 완료된 나머지 절반의 프로펠러에 대해서도 전진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로펠러의 그룹을 나누어 일부 그룹은 수평을 유지하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그룹은 프로펠러를 오프한 상태로 틸팅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모든 프로펠러를 틸팅할 수 있어 틸팅 과정에서 동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추력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력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112 : 제1 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
120 : 전방날개부
121 : 좌측날개부
122 : 우측날개부
130 : 후방날개부

Claims (8)

  1. 전방날개부 및 후방날개부를 포함하는 비행동체;
    상기 전방날개부의 좌측날개부와 우측날개부에 각각 마련되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
    상기 후방날개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 및
    상기 전방날개부와 상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날개부에 마련된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는,
    상기 좌측날개부에 제1 프로펠러 내지 제4 프로펠러, 상기 우측날개부에 제5 프로펠러 내지 제8 프로펠러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날개부에 마련된 다수의 틸팅 프로펠러는,
    제9 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행동체의 수직 이륙 시에 상기 제1 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는 상방을 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는 2개가 한쌍을 이루되, 각 쌍을 이루는 프로펠러 중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제1 프로펠러, 제3 프로펠러, 제6 프로펠러, 제8 프로펠러, 제9 프로펠러, 제12 프로펠러)과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제2 프로펠러, 제4 프로펠러, 제5 프로펠러, 제7 프로펠러, 제10 프로펠러, 제11 프로펠러)로 구성하되,
    수직 이륙 완료 후에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과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이 순차적으로 틸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항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날개부와 상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 추력 합산은 상기 비행동체의 무게보다 2.4배 내지 4.8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항공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직 이륙 완료 후에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과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이 순차적으로 틸팅되도록 3단계로 제어하며,
    제1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은 수직추력을 감소시키고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은 동체 무게의 1.2배보다 큰 수직추력으로 동체의 자세를 유지하며,
    제2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의 회전을 중지한 후 전방을 향해 틸팅(tilting)하고, 틸팅이 완료되면 다시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제어하고,
    제3 천이단계에서는,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의 회전을 중지한 후 전방을 향해 틸팅(tilting)하고, 틸팅이 완료되면 다시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항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 중 하나의 프로펠러에서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좌우 대칭점에 있는 프로펠러의 추력을 오프시킨 후 틸팅을 수행하고,
    상기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 중 하나의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수직 이륙 후,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으로 수직추력을 유지하고, 동체 중심점에서 먼 프로펠러 셋을 먼저 틸팅한 후, 동체 중심점에서 가까운 프로펠러 셋을 틸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항공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펠러내지 제12 프로펠러 중 두 개의 프로펠러에서 이상 동작이 감지된 경우, 좌측날개부의 프로펠러(제1프로펠러 내지 제4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고, 우측날개부의 프로펠러(제5프로펠러 내지 제8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며, 후방날개부의 프로펠러(제9프로펠러 내지 제12 프로펠러) 중 이상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것 중 2개를 선택하여, 선택된 6개의 프로펠러를 수직이륙 후 자세유지에 사용하는 프로펠러 셋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프로펠러를 우선순위로 틸팅을 진행하는 프로펠러 셋으로 분류하여 틸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항공기.
  8. 2n(n은 자연수)개의 좌측 날개 프로펠러, 2n(n은 자연수)개의 우측 날개 프로펠러 및 2n(n은 자연수)개의 후방 날개 프로펠러를 상방으로 틸팅하여 동체를 이륙시키는 단계;
    전체 6n개의 프로펠러 중 기설정된 프로펠러를 기준으로 상기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는 회전을 유지하고,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는 회전을 중지한 후, 상기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가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하는 단계;
    틸팅이 완료되면, 상기 가까운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 중지한 후 동체의 중심점에 먼 3n개의 프로펠러가 전방을 향하도록 틸팅하는 단계; 및
    상기 동체의 중심점에서 먼 3n개의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천이 방법.
KR1020170024467A 2017-02-24 2017-02-24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KR101913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67A KR101913931B1 (ko) 2017-02-24 2017-02-24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PCT/KR2017/002064 WO2018155739A1 (ko) 2017-02-24 2017-02-24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67A KR101913931B1 (ko) 2017-02-24 2017-02-24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826A KR20180097826A (ko) 2018-09-03
KR101913931B1 true KR101913931B1 (ko) 2018-10-31

Family

ID=6325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67A KR101913931B1 (ko) 2017-02-24 2017-02-24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3931B1 (ko)
WO (1) WO20181557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370A (ko) 2019-11-15 2021-05-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날개 양력과 추력 혼합형 수직이착륙 비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4353B (zh) * 2021-02-07 2023-06-16 之江实验室 一种分布式气驱倾转多旋翼飞行器及其控制方法
EP4209414A1 (en) * 2022-01-05 2023-07-12 Zuri.com S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1555A1 (en) * 2014-03-18 2016-02-04 Joby Aviation, Inc. Aerodynamically efficient lightweigh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pivoting rotors and stowing rotor blad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9514A (en) * 1993-11-15 1995-05-30 Duncan; Terry A. VTOL aircraft control method
KR20070100092A (ko) * 2006-11-30 2007-10-10 함동호 수직이착륙 비행체
KR101416742B1 (ko) * 2012-11-07 2014-07-0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틸트 로터형 비행체
KR101755278B1 (ko) * 2014-12-09 2017-07-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하이브리드 프로펠러 장치를 구비하는 고정익 수직 이착륙 무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1555A1 (en) * 2014-03-18 2016-02-04 Joby Aviation, Inc. Aerodynamically efficient lightweight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with pivoting rotors and stowing rotor blad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370A (ko) 2019-11-15 2021-05-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날개 양력과 추력 혼합형 수직이착륙 비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5739A1 (ko) 2018-08-30
KR20180097826A (ko)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5006B2 (en) Multi-rotor aircraf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13453982B (zh) 垂直起降飞机
KR102020291B1 (ko) 버티컬 이착륙, 버티컬 및 호리즌탈 비행 및 비행중 에너지 생성이 가능한 비행체
US10252796B2 (en) Rotor-blown wing with passively tilting fuselage
US11091258B2 (en) VTOL aircraft with tilting rotors and tilting ducted fans
US9957042B1 (en) Bimodal propeller aircraft
KR101913931B1 (ko) 수직이착륙항공기 및 그 천이방법
US20160272312A1 (en) Tilt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CN109606672A (zh) 具有可向下倾转的后旋翼的倾转旋翼式飞行器
US20140158815A1 (en) Zero Transition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10011348B1 (en) Vertical thrust lever
US20170008622A1 (en) Aircraft
AU2018284337B2 (en) Vehicle system
KR20170089360A (ko) 무인 비행기 및 그 비행 제어 방법
JP2023512074A (ja) ティルティングファンアッセンブリを備えた航空機
EP2506109B1 (en) Flight path control system for aircraft
Forshaw et al. Transitional control architecture and methodology for a twin rotor tailsitter
Bauersfeld et al. Fused-PID control for tilt-rotor VTOL aircraft
KR101664899B1 (ko) 멀티콥터
CN111948940A (zh) 一种基于动态最优控制的倾转旋翼无人机轨迹优化方法
Arshad et al. Stability analysis for a concept design of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pkarian Pitch-decoupled VTOL/FW aircraft: First flights
Jo et a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wing developed for long distance flight and stable transit flight
Cai et al. Control and dynamics analysis for miniature autogyro and compound autogyro
US20230195143A1 (en) Control of Aircraft with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